KR102020117B1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0117B1
KR102020117B1 KR1020170136129A KR20170136129A KR102020117B1 KR 102020117 B1 KR102020117 B1 KR 102020117B1 KR 1020170136129 A KR1020170136129 A KR 1020170136129A KR 20170136129 A KR20170136129 A KR 20170136129A KR 102020117 B1 KR102020117 B1 KR 10202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field
information
dat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1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3965A (en
Inventor
임영익
홍기현
양석용
임승택
정병택
서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텔리콘 연구소
Priority to KR102017013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17B1/en
Publication of KR20190043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31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에 내재된 검색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필드 정보를 쉽게 인지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특정시킬 수 있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로부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여 임의의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DB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검색 모듈;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하는 필드 정보 추출 모듈;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 표현되도록 시각화하며,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정보 시각화 모듈; 및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검색 정렬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데이터에 내재된 검색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필드 정보를 쉽게 인지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특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nd visualizes search field information embedded in data, thereby providing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search field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and easily specify desired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The purpose is to provid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ata search module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query (Search) for the search from the user input query to extract the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for providing any electronic information;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and analyzing data for each search field; The search field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is visualized and output according to an arbitrary display format, and visualized to be represented by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search field from a user, and the search field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And a search sorting module for rearranging and outputting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search module based on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and easily specify the desired information by extracting and visualizing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embedded in the data.

Description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ARCH FIELD AND METHOD FOR STORING THEREOF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본 발명은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데이터에 내재된 검색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필드 정보를 쉽게 인지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특정시킬 수 있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by extracting and visualizing search field information embedded in the dat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 search field that can easily specify desired information,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법률 전자정보는 크게 법령과 판례(행정 심판원의 심결이나 행정부처의 질의응답 등을 포함)를 중심으로, 그 각각에 대한 논문, 주석서 등의 정보로 범주를 구분할 수 있다.The legal electronic information can be classified into categories such as papers and commentary on each of them, with a focus on statutes and precedents (including administrative judges' judgments and Q & As of administrative departments).

법령과 판례는 명확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는 결과물로서, 각각에 대한 하위 정보 또한 명확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Statutes and precedents are results that can be classified by clear criteria, and sub-information for each can also be classified by clear criteria.

예를 들어, 법령 데이터는 헌법을 최상위의 법률로 하여 그 아래에 국회의 의결에 따른 법률, 법률의 위임을 받아 행정기관이 발하는 시행령과 시행규칙,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로서 조례와 규칙, 그밖에 훈령과 예규로 차등화 된다.For example, statute data includes the Constitution as the highest law, and under the law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enforcement decrees and enforcement regulations issued by the administrative agencies under the authority of the law, and the local laws and regulations and other regulations. Differentiated by instruction and bylaws.

또한, 규율 대상에 따라 사인간의 법률문제에 관한 민사법, 형사적 제재를 다루는 형사법, 공법적 관계를 규율하는 공법으로 나눌 수도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subject of the regulation, it may be divided into civil law on legal matters between persons, criminal law dealing with criminal sanctions, and public law governing public law relations.

또한, 판례 데이터는 법원의 위치(서울, 부산, 대구, …), 심급(대법원, 고등법원, …), 판결일자, 재판종류(형사, 민사, 행정, …) 등에 따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se data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urt (Seoul, Busan, Daegu,…), the class (the Supreme Court, the High Court,…), the date of the judgment, the type of trial (criminal, civil, administrative,…), and so on.

한편, 검색 결과를 분류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검색 필드 정보'라 하고, 상기한 법률 전자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은 모두 검색 필드 정보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that can be a criterion for classifying a search result is referred to as 'search field information', and the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legal electronic information may be search field information.

또한, 질의에 따라 1차적으로 수집된 법률 전자정보를 통계처리 작업을 통해 얻어진 통계값부터, 작성일자, 작성주체와 같은 메타정보도 검색 필드 정보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from the statistical value obtain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cessing work on the legal electronic information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query, meta information such as creation date and creation subject may also be search field information.

또한, 법령과 판례뿐만 아니라, 특허, 논문, 주석서 등의 다른 법률 데이터 역시 필드 정보를 갖는다.In addition to the statutes and precedents, other legal data such as patents, papers and commentaries also have field information.

한편, 정보를 탐색하려는 사용자가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는 필드 정보를 알고 있다면, 방대한 양의 데이터 가운데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ho wants to search the information knows the field information to classify the data, it will be very helpful to search for the desired information among the vast amount of data.

특히, 법률정보와 같은 특정할 수 있는 여러 필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할 경우, 필드 정보의 활용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이유는, 단 하나의 기준을 이용해도 상당한 양의 불필요한 정보를 검색 범위에서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particular, when retrieving data with specific field information, such as legal information, field informa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use it. This is because it can be excluded.

이러한 필드 정보를 이용한 검색은 온라인 쇼핑 사이트에서 쇼핑 대상을 한정하는 기능으로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효율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The search using the field information is provided as a function of limiting shopping targets in an online shopping site so as to provide an efficient search service to a user.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검색 조건에 대한 필드 설정 방법 또는 시스템은 미리 사용자가 수치 입력 폼 또는 여러 탭(Tab)으로 구성된 라디오 버튼, 체크박스 등의 방식으로 필드를 설정하게 되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field setting method or system for a general search condition, the user sets the field in a manner such as a numerical input form or a radio button composed of several tabs, a check box, and the lik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필드 설정 UI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사용자가 예를 들어, 2015년에 대한 자료를 검색하는 경우, '필드 설정'에서 기간 설정 필드인 '2105'를 클릭(10)하면, 2015년에 해당하는 3건의 결과가 '검색 결과' 필드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xt-based field setting UI according to the prior art. For example, when a user searches for materials for 2015, the user clicks on a period setting field '2105' in 'field setting' ( 10), three results corresponding to 2015 are configured to be output in the 'search results' field.

이러한 종래의 검색필드 설정 방법은 사용자가 검색 결과를 보기 전에 필요한 항목을 미리 설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설정에 따른 검색 결과를 즉시 확인하며, 필요한 항목을 추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search field setting method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user presets the necessary items before viewing the search results, so that the user immediately checks the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setting, and it is difficult to add necessary items.

또한, 필드 설정에 따른 연동된 검색 결과를 제공하더라도, 텍스트 기반의 종래의 검색필드 설정 방법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인지되기 어렵다.In addition, even if the linked search result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field setting, the conventional text-based search field setting method is not intuitively recognized by the user.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검색 결과는 개별 검색 결과만 출력될 뿐, 제공되는 여러 필드 정보에 대한 상호 연관성을 찾아보기 어렵고, 재판의 종류와, 기간 설정 간의 관계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result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re only outputs the individual search result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ous field information provid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confirm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between the type of trial and the period setting.

또한, 상기 관계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워 다른 종류의 필드를 정교하게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다른 재판의 결과를 찾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information,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ccurately set other types of fields, and it is not easy to find the result of another trial.

또한, 필드 설정에 대한 정보가 단순 필드 선택 및 텍스트 기반의 필드 선택으로 제공되어 사용자는 다양한 조합의 필드 선택이 필요할 경우, 직관적으로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nformation on field setting is provided as a simple field selection and a text-based field selection, a user may have difficulty in setting intuitively when various combinations of field selection are required.

또한, 텍스트 기반의 필드 설정 방식은 각 필드에 대한 관계 및 관련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워, 필드 선택 사항은 단순한 기능으로 제공되고 있다.In addition, the text-based field setting method is difficul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and relevance for each field, field selection is provided as a simple function.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23984호(발명의 명칭: 법률 정보 사이트를 통한 다차원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23984 (Invention name: Method and system for multidimensional information service through legal information sit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이터에 내재된 검색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필드 정보를 쉽게 인지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특정시킬 수 있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and visualizes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inherent in the data, a system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the search field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to easily specify the desired inform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stor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으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로부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여 임의의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DB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검색 모듈;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하는 필드 정보 추출 모듈;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 표현되도록 시각화하며,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정보 시각화 모듈; 및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 설정값을 기초로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검색 정렬 모듈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by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query (Search) for the search from a query input by the user to provide the search result data in the search DB that provides any electronic information A data retrieval module for extracting;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and analyzing data for each search field; The search field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is visualized and output according to an arbitrary display format, and visualized to be represented by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search field from a user, and the search field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for calculating a; And a search sorting module for rearranging and outputting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search module based on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provided from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질의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임의의 검색 DB에 질의하며, 상기 검색 DB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쿼리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ata search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query from a user; And a query extractor which analyzes the input query to generate a search query, queries a search DB using the generated search query, and receives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은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필드별로 분류하고 통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분류,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정보 시각화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정보 반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by analyzing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A data processor for classifying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each search field by using the extracted field information; And an information return unit for converting the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search field data into data for transferring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은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시각화부;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에 대한 반응을 상기 시각화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작하는 상호 작용부; 및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 필드의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설정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sualization unit for converting the data for each search field provid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into an arbitrary graph form to be displayed; An interface unit providing a layer for detecting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on the displayed screen; An interaction unit configured to receive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interface unit and display a response to the input through the visualization unit; And a setting value calculator configured to calculate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search field by using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시각화부는 상기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인포 그래픽을 이용한 다차원 다색상의 그래프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by configuring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in a multi-dimensional multi-color graph using at least one infographic.

또한, 본 발명은 시각적 UI 제공 방법으로서, a) 데이터 검색 모듈이 사용자가 입력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검색 DB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검색단계; b)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이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하는 필드 정보 추출단계; c) 정보 시각화 모듈이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를 임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정보 시각화단계; 및 d) 검색 정렬 모듈이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검색 정렬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providing a visual UI, a) the data search module analyzes the query entered by the user to generate a search query (Query), the data using the search query to extract the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Search step; b)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available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and analyzing data for each search field; c)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receives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and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search field from the user and visualizes the data according to an arbitrary display format; And d) a search sorting step in which the search sorting module rearranges and outputs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search module by using search field setting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 단계는 데이터 검색 모듈이 사용자로부터 질의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이 입력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이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임의의 검색 DB에 질의하고, 상기 검색 DB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query from the user data search module; Generating a search query by analyzing the input query by the data search module; And querying an arbitrary search DB using the generated search query, and extracting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 단계는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이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이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필드별로 분류하고 통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이 분류,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정보 시각화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available as a search field by analyzing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Classifying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for each search field by using the extracted field information; And converting,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data for each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search field into data for delivery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 단계는 정보 시각화 모듈이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로부터 입력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어를 제공하여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단계;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이 상기 레이어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에 대한 반응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이 상기 입력된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 필드의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converts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provid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to be displayed in an arbitrary graph form; Implementing an interface for interaction by providing a layer for detecting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on a screen on which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is displayed;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receiving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a user through the layer and expressing a response to the input to be displayed on a screen; And calculating, b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of a corresponding search field by using the input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입력에 대한 반응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표현하는 단계는 표시된 각 그래프가 시각적으로 하이라이트 되도록 활성화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하는 초기단계;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비활성화된 상기 그래프의 하이라이트 상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토글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일정 시간이상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표현단계의 동작을 중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expressing the response to the inp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include an initial step of activating or deactivating each displayed graph to be visually highlighted; A toggle step of activating a highlight state of the graph deactivated according to the user input or deactivating the activated state; And if the user does not inpu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ation step.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서,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정보 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rding medium,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the search field is stored, the progra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ording medium to be executed in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데이터에 내재된 검색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시각화함으로써, 사용자가 검색 필드 정보를 쉽게 인지하여 원하는 정보를 쉽게 특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extracting and visualizing search field information embedded in data,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search field information and easily specify desired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2차원 공간에 구현된 다차원 그래프를 사용하여 검색 필드를 구성하고, 그 구성된 검색 필드의 조작을 통해 검색을 수행함으로써, 능률적이고 신속하게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construct a search field using a multi-dimensional graph implemented in a two-dimensional space, and perform the search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configured search field, thereby obtaining the desired information efficiently and quickly hav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텍스트 기반의 필드 설정 UI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검색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도 1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1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정보 시각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도 6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의 데이터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6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의 필드 정보 추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6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의 정보 시각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도 9에 따른 정보 시각화 과정의 상호작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검색 결과에 대한 필드 종류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의 데이터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13은 도 11에 따른 검색 결과에서 데이터 처리된 필드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도 11에 따른 검색 결과에서 관련 정보를 하이라이트 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낸 예시도.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ext-based field setting UI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search module of a system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1.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1.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search process of a visual UI providing process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6.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of a visual UI providing process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6.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of a visual UI providing process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6.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action process of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according to FIG. 9.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data processing of an extracted field by extracting a field type for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FIG. 11; FIG.
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graphically showing field information processed in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FIG. 11; FIG.
FIG. 1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user to highlight relevant information in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FIG. 11;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compris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e other components.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 part", "... group", "... module" and the like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divided into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the two.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데이터 검색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1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필드 정보 추출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의 정보 시각화 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ata searching module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1.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1, and FIG. 5 is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1.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odule.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UI 제공 시스템은, 데이터 검색 모듈(100)과,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과, 정보 시각화 모듈(300)과, 검색 정렬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컴퓨터, 서버 등의 디지털 정보처리 장치에 설치된다.2 to 5, the UI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trieval module 100,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and a search alignment module 4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d is preferably installed in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a server.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은 사용자(600)가 입력한 질의로부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여 검색 DB(130)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구성으로서, 입력부(110)와, 쿼리 추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ata search module 100 generates at least one search query for searching from a query input by the user 600 and extracts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130. And a query extractor 120.

상기 입력부(110)는 사용자(600)로부터 질의를 입력받는 구성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패드 등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로 이루어진다.The input unit 110 is configured to receive a query from the user 600 and includes an input device including a keyboard, a mouse, a touch screen pad, and the like.

상기 쿼리 추출부(120)는 입력된 질의 또는 질의문을 분석하여 검색 DB(130)에 질의하기 위한 키워드 추출과 같은 검색에 필요한 검색 쿼리를 생성한다.The query extractor 120 analyzes an input query or a query statement and generates a search query required for searching such as keyword extraction for querying the search DB 130.

상기 검색 퀴리는 질의문에 포함된 명사만 추출하는 방법부터 기계적인 학습을 통해 질의문장에서 핵심적인 주제어를 추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The search query may be a method of extracting only core nouns from a query sentence through mechanical learning from a method of extracting only nouns included in a query sentence.

또한, 상기 쿼리 추출부(120)는 상기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법률정보, 특허정보, 논문정보, 상품정보 등의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DB(130)에 질의하며, 상기 검색 DB(130)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In addition, the query extractor 120 queries the search DB 130 that provides electronic information such as legal information, patent information, article information, and product information by using the generated search query. Receive the search result data.

또한,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은 상기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DB(1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search modul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arch DB 130 for providing the electronic information.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은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으로서, 정보 추출부(210)와, 데이터 처리부(220)와, 정보 반환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200 extracts field information available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100 and analyzes data for each search field.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10 and data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cessing unit 220 and an information return unit 230.

상기 정보 추출부(210)는 데이터 검색 모듈(100)에서 검색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한다.The information extractor 210 analyzes the search result data searched by the data search module 100 and extracts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즉 상기 정보 추출부(210)는 검색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예를 들면, 분야, 제목, 작성일자, 작성주체 등 검색 필드 정보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추출한다.That is, the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10 analyzes and extracts various search field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search field information, such as field, title, creation date, and creation subject, for example.

또한, 상기 정보 추출부(210)는 검색 DB(130)에서 제공되지 않는 필드의 경우, 자연어 처리를 통해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특정 필드 정보를 직접 추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extractor 210 may directly extract specific field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data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in the case of a field not provided by the search DB 130.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는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필드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검색 필드별로 관련 데이터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데이터들의 통계 처리를 수행한다.The data processor 220 classifies the search fields by using the extracted field information, classifies relevant data by the classified search fields, and performs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lassified data.

상기 정보 변환부(230)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220)에서 분류 및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정보 시각화 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한 일정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The information converter 230 converts the data for each search field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220 into data having a predetermined format for transmission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and outputs the data.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은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하여 출력하고,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 표현되도록 시각화하며,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구성으로서, 시각화부(310)와, 인터페이스부(320)와, 상호 작용부(330)와, 설정값 산출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visualizes and outputs the search field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according to an arbitrary display format, and receives and displays manipul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arch field from the user 600. Visualizing and calculating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the configuration includes a visualization unit 310, an interface unit 320, an interaction unit 330, and a setting value calculation unit 340. It is configured by.

상기 시각화부(310)는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다양한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The visualization unit 310 converts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provided from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into various graph forms and displays them.

또한, 상기 시각화부(310)는 상기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포 그래픽을 이용한 다차원 다색상의 그래프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isualization unit 310 configures and displays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as a multi-dimensional multicolor graph using at least one infographic.

상기 인터페이스부(320)는 필드 정보가 그래프 등의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600)로부터 입력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600)의 입력 조작을 통한 정보 시각화 모듈(300)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interface unit 320 provides a layer for detecti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600 on a screen in which field information is visually expressed and displayed on a graph, thereby providing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through an input operation of the user 600 ( Interaction with 300).

상기 레이어는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매개체로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시각화 표현에 덧씌워져 사용자(600)와 시각화 모듈(300) 사이에 데이터의 입력과 상기 입력에 따른 출력 변경이 반영되도록 상호작용을 제공한다.The layer is configured to operate as a medium for receiving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 600. The layer is overlaid on a visualization representation to change data input and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between the user 600 and the visualization module 300. Provide interaction to reflect this.

상기 상호 작용부(33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사용자(600)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에 대한 변경 및 대응을 반응하여 상기 시각화부(3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작한다.The interaction unit 330 receives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6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20 and is displayed through the visualization unit 310 in response to the change and response to the input. It works.

상기 설정값 산출부(340)는 사용자(600)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 필드에 설정된 기본 설정값으로부터 변경된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한다.The setting value calculator 340 calculates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changed from the basic setting value set in the corresponding search field by using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600.

상기 검색 정렬 모듈(400)은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 설정값을 기초로 정렬 범위를 조정하고,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한 검색 결과가 사용자(600)에게 출력되도록 한다.The search sorting module 400 adjusts the sorting range based on the search field setting value provided b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and reorders the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by the data search module 100. Output to the user 600.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visual UI providing method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의 데이터 검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8은 도 6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의 필드 정보 추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과정의 정보 시각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른 정보 시각화 과정의 상호작용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searching process of a process of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6.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process of a visual UI providing process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6,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of a visual UI providing process for setting a search field according to FIG. 6.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teraction process of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process according to FIG. 9.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데이터 검색 모듈(100)은 사용자(600)가 입력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검색 DB(130)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S100)한다.2 to 10, the data retrieval module 100 analyzes a query input by the user 600 to generate a search query, and uses the search query to retrieve a search result from the search DB 130. Extract the data (S100).

상기 S100 단계에서 데이터 검색 모듈(100)는 사용자(600)로부터 질의문을 입력받으면(S110), 상기 입력된 질의 또는 질의문을 분석하여 검색 DB(130)에 질의하기 위한 키워드 추출과 같은 검색에 필요한 검색 쿼리를 생성(S120)한다.In step S100, when the data search module 100 receives a query from the user 600 (S110), the data search module 100 analyzes the input query or the query and searches for a search such as keyword extraction for querying the search DB 130. Generate the required search query (S120).

또한, 상기 S120 단계에서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DB(130)에 질의하고, 상기 검색 DB(130)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수신(S130)한다.In addition, by using the search query generated in step S120 to query the search DB 130 that provides electronic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130) (S130).

상기 S100 단계를 수행하면,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은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S200)하는 과정을 수행한다.After performing step S100,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extracts field information available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100 and analyzes data for each search field (S200). Perform.

상기 S200 단계에서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은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예를 들면, 분야, 제목, 작성일자, 작성주체 등 검색 필드 정보로 사용 가능한 다양한 필드 정보를 분석하여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S210)한다.In step S200,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analyzes various field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search field information such as field, title, creation date, creation subject, etc., for example,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100. Field information available as a search field is extracted (S210).

이때, 검색 DB(130)에서 제공되지 않는 필드가 있으면,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은 자연어 처리를 통해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특정 필드 정보를 직접 추출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re is a field not provided in the search DB 130,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may perform a process of directly extracting specific field information from the search result data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또한,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은 상기 S210 단계에서 추출된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필드별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검색 필드별로 관련 데이터를 분류하며, 상기 분류된 데이터들을 통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과정을 수행(S220)한다.In addition,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classifies the search field by using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ed in the step S210, classifies relevant data for each of the divided search fields, and performs data processing for statistically classifying the classified data. Perform the process (S220).

상기 S220 단계에서 분류 및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는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이 상기 분류 및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정보 시각화 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포맷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S230)한다.The search field data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in step S220 may be converted into data of a predetermined format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to transmit the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search field data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Output (S230).

상기 S200를 수행하면, 정보 시각화 모듈(300)이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를 임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하여 출력(S300)한다.When performing the S200,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may receive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and operation information about the search field from the user 600 in an arbitrary display format. Visualize according to the output (S300).

상기 S300 단계에서, 정보 시각화 모듈(300)은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시각화시켜 표현되도록 특정 형상의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표현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S310).In the step S300,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converts the data of each search field provid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into a graph form of a specific shape so as to visualize and display the expression display (S310).

또한, 상기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포 그래픽을 이용한 다차원 다색상의 그래프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may be configured and displayed as a multi-dimensional multicolor graph using at least one infographic.

또한,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은 필드 정보가 그래프 등의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600)의 입력 조작을 통한 정보 시각화 모듈(300)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어를 시각화 표현에 덧씌워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600)로부터의 데이터 입력과 상기 데이터 입력에 따른 출력 변경이 반영되도록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행(S320)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may allow the user 600 to interact with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through an input manipulation of the user 600 on a screen in which field information is visually represented and displayed on a graph. Outputs a layer for detecting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from the user's data by overlaying the layer on the visualization representation, and performs an interface for interaction such that data input from the user 600 and output change according to the data input are reflected (S320). .

또한,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은 상기 S320 단계를 통해 사용자(600)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변경 및 대응 정보를 반응한 그래프 형태 및 표현이 디스플레이되도록 상호작용을 수행(S330)한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receives the search field oper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600 through the step S320 and interacts so that a graph form and expression in response to the change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on the input information are displayed. Perform (S330).

상기 S330 단계에서는 표시되는 각 그래프가 시각적으로 하이라이트 되도록 활성화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하는 초기단계(S331)와, 사용자(600)의 입력에 따라 비활성화된 그래프의 하이라이트 상태는 활성화되도록 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토글단계(S332)를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600)가 일정 시간이상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S330 단계의 S331 단계 및 S332 단계의 동작을 중단하는 종료단계(S333)를 수행한다.In step S330, the initial step (S331) of activating each graph to be visually highlighted or deactivating not to be highlighted, and the highlight state of the deactivated graph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600 is activated or activated. Toggle the step S332 to be deactivated, and if the user 600 does not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 termination step S333 of stopping operations of steps S331 and S332 of step S330 are performed.

상기 S330 단계의 수행을 통해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은 상기 입력된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 필드의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S340)하고, 그 산출된 값은 검색 정렬 모듈(400)로 제공한다.When the search field is manipulated by the user 600 by performing the step S330,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calculates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of the corresponding search field by using the input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S340). The calculated value is provided to the search sorting module 400.

상기 S300 단계를 수행한 다음 검색 정렬 모듈(400)은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 변경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과정을 수행(S400)한다.After performing step S300, the search sorting module 400 performs a display process of rearranging and outputting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search module 100 using search field setting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S400).

도 11은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2015년의 민사재판을 설정하고, 검색 결과는 2015년 민사재판에 해당하는 2건의 결과를 출력하는 시각화 기반의 필드 설정 UI의 예시도이다.FIG. 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More specifically, the user sets a civil trial in 2015, and the search result is based on a visualization that outputs two results corresponding to the 2015 civil trial. An example of the field setting UI.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보 시각화 단계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은 여러 필드 정보의 상호 연관성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고, 기간 설정 필드에서 2016년에 형사사건 1건, 2015년에 형사사건 1건 및 민사사건 2건 등을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display screen visually represented through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step can intuitively show the user the correlation of various field information, and in the period setting field, one criminal case in 2016 and one criminal in 2015 One case and two civil cases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또한, 사용자와 상호작용은 그래프 상의 정보영역(500)을 클릭하는 동작을 통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클릭 동작을 통해 쉽게 결과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teraction with the user may be easily performed by clicking on the information area 500 on the graph, and the result may be easily sorted through the click operation.

또한, 시각화 표현 수단으로 그래프를 선택하는 경우, 그래프를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래프간 상호 변경도 가능하여 텍스트 기반의 필드 설정보다 더욱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graph is selected as the visualization representation means, it is possible to dynamically change the graph, and mutual change between the graphs is possible, thereby providing more accurate information than the text-based field setting.

도 12는 도 11에 따른 검색 결과에 대한 필드 종류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의 데이터 처리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각 검색 결과에 대한 필드 종류를 추출하고, 추출된 필드에 대한 데이터 분류 등이 나타나도록 구성하였고, 상호 관계 추출, 각 필드별 통계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류할 수 있으며, 날짜별 통계(1999, 2010, 2011), 법원의 종류(대법원, 고등법원), 재판의 종류(민사, 형상), 관련법 분야(행정, 군사) 등 검색 DB(130)에서 제공되지 않는 필드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데이터로부터 특정 필드 정보를 직접 추출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extracting a field type for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FIG. 11 and processing data of the extracted field, and extracting a field type for each search result, and classifying data for the extracted field. It can be classified using methods such as mutual relation extraction, statistics of each field, statistics by date (1999, 2010, 2011), types of courts (supreme court, higher court), types of trials (civil, Fields that are not provided in the search DB 130, such as shape) and related law fields (administration, military), may be configured by directly extracting specific field information from data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도 13은 도 11에 따른 검색 결과에서 데이터 처리된 필드 정보를 그래프로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3(a)와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처리된 필드 정보를 그래프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상기 그래프는 다차원 그래프 및 다컬러 그래프로 다양한 인포그래픽 기술을 이용하여 날짜별 통계(1999, 2010, 2011), 법원의 종류(대법원, 고등법원), 재판의 종류(민사, 형상) 등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FIG. 1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graphs of field information processed in a search result according to FIG. 11. As shown in FIGS. 13A and 13B, the processed field information is processed in a graph form. The graph is a multi-dimensional graph and a multi-color graph, which are implemented using various infographic techniques, such as date statistics (1999, 2010, 2011), types of courts (supreme court, high court), types of trials (civil, shape), etc. To be possible.

도 14는 도 11에 따른 검색 결과에서 관련 정보를 하이라이트 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드 선택 창이 구성되고, 사용자가 그래프에서 예를 들면, '1999', '민사'를 클릭하면, 필드 선택창은 하이라이트 영역(510)을 통해 관련정보가 활성화된 것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검색 정렬 모듈(400)에는 선택 필드(검색 필드 설정값)는 '민사', '1999', '대법원', '행정' 등의 검색 필드 설정 변경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검색 필드 설정 변경정보에 따른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FIG. 1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user by highlighting relevant information in the search result according to FIG. 11. As shown in FIGS. 14A and 14B, a field selection window is configured, and the user is shown in the graph. For example, when the user clicks on '1999' and 'civil', the field selection window displays that the relevant information is activated through the highlight area 510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selection field. The search field setting value) is provided with search field setting change information such as 'civil', '1999', 'supreme court', and 'administration' so as to rearrange and display search result data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setting change information.

또한, 상기한 시각적 UI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을 통해 광디스크 저장매체, 메모리 저장매체, 온라인상의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되고, 상기 기록매체는 저장된 프로그램이 디지털 정보 처리장치에서 실행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isual UI providing method is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such as optical disk storage media, memory storage media, online storage media through a program, the recording medium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tored program is executed in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따라서 다양한 검색 필드를 여러번 설정하는 작업없이 시각적으로 표현된 그래프를 클릭함으로써, 적은 수의 클릭으로 검색 필드를 쉽게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여 설정된 필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by clicking the graph that is visually represented without setting various search fields many times, the search field can be easily set with a few clicks, and the set field can be easily confirmed by providing the user visually.

또한, 본 발명은 기록매체로서,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정보 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ording medium, a program for performing a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the search field is stored, the program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ording medium to be executed in the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our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above terms are consid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terms defined herein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interpreta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100 : 데이터 검색 모듈 110 : 입력부
120 : 쿼리 추출부 130 : 검색 DB
200 : 필드 정보 추출 모듈 210 : 정보 추출부
220 : 데이터 처리부 230 : 정보 반환부
300 : 정보 시각화 모듈 310 : 시각화부
320 : 인터페이스부 330 : 상호 작용부
340 : 설정값 산출부 400 : 검색 정렬 모듈
500 : 정보 영역 510 : 하이라이트 영역
600 : 사용자
100: data search module 110: input unit
120: query extractor 130: search DB
200: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10: information extraction unit
220: data processing unit 230: information return unit
300: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10: visualization unit
320: interface unit 330: interaction unit
340: set value calculator 400: search sort module
500: information area 510: highlight area
600: user

Claims (11)

사용자(600)가 입력한 질의로부터 검색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여 임의의 전자정보를 제공하는 검색 DB(130)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검색 모듈(100);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의 상호 연관성, 상호 관계 추출 및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 처리를 수행하는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라 변경되거나 또는 추출된 필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설정된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검색 필드 설정값과,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반영하여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시켜 출력하는 정보 시각화 모듈(300); 및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 설정값을 기초로 정렬 범위를 조정하고,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검색 정렬 모듈(400)을 포함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A data search module 100 for generating at least one search query for searching from a query input by the user 600 and extracting search result data from a search DB 130 providing arbitrary electronic information;
A field for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100, and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extraction of correlation information, and data for each search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search field from the user 600, calculating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changed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operation or set according to the type of extracted field information, and calculating the calculated search field setting value and the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reflecting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to visualize and output the data according to the display format; And
A search sorting module 400 for adjusting a sorting range based on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provided b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and rearranging and outputting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from the data search module 100. Visual UI provisioning system for setting up search fiel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은 사용자(600)로부터 질의를 입력받는 입력부(110); 및
상기 입력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임의의 검색 DB(130)에 질의하며, 상기 검색 DB(130)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쿼리 추출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ata retrieval module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for receiving a query from a user 600; And
The query extractor 120 analyzes the input query to generate a search query, queries an arbitrary search DB 130 using the generated search query, and receives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130. System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the search fiel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은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210);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필드별로 분류하고 통계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220); 및
상기 분류,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정보 시각화 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정보 반환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200 may include: an information extracting unit 210 extracting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by analyzing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ing module 100;
A data processor 220 for classifying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each search field by using the extracted field information; And
And a information return unit (230) for converting the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search field data into data for delivery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은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시각화부(310);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600)로부터 입력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어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320);
상기 인터페이스부(320)를 통해 사용자(600)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에 대한 반응을 상기 시각화부(3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동작하는 상호 작용부(330); 및
상기 사용자(600)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 필드의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설정값 산출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includes: a visualization unit 310 for converting the search field data provid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into an arbitrary graph and displaying the converted data;
An interface unit 320 providing a layer for detecti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600 on the displayed screen;
An interaction unit 330 that receives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6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320 and displays a response to the input through the visualization unit 310; And
And a setting value calculating unit (340) for calculating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of a corresponding search field by using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6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화부(310)는 상기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인포 그래픽을 이용한 다차원 다색상의 그래프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visualizing unit 310 is a visual UI providing system for setting a search field, characterized in that for displaying the data for each of the search field to form a multi-dimensional multi-color graph using at least one infographic.
a) 데이터 검색 모듈(100)이 사용자(600)가 입력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Query)를 생성하고, 상기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검색 DB(130)에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검색단계;
b)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이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로부터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의 상호 연관성, 상호 관계 추출 및 각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분석하여 통계 처리를 수행하는 필드 정보 추출단계;
c) 정보 시각화 모듈(300)이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분석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와, 상기 사용자(600)로부터 검색 필드에 대한 조작정보를 입력받아 산출한 변경된 검색 필드 설정값을 반영하여 임의의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시각화시켜 출력하는 정보 시각화단계; 및
d) 검색 정렬 모듈(400)이 상기 검색 필드 조작에 따른 검색 필드 설정 변경정보를 반영하여 정렬 범위를 조정하고,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에서 추출된 검색 결과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출력하는 검색 정렬단계를 포함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방법.
a) a data retrieval step in which the data retrieval module 100 analyzes a query input by the user 600 to generate a search query and extracts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130 using the search query ;
b)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ng module 200 extracts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from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100, thereby extracting the correl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racted field information and each search field.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step of analyzing data and performing statistical processing;
c)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reflects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analyzed by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and the changed search field setting values calculated by receiving operation information on the search field from the user 600.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step of visualizing and outputting the image according to an arbitrary display format; And
d) a search sorting step in which the search sorting module 400 adjusts the sorting range by reflecting the search field setting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earch field manipulation, and rearranges and outputs the search result data extracted by the data search module 100.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the search field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데이터 검색 모듈(100)이 사용자(600)로부터 질의문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이 입력된 질의를 분석하여 검색 쿼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이 생성된 검색 쿼리를 이용하여 임의의 검색 DB(130)에 질의하고, 상기 검색 DB(130)로부터 검색 결과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Step a) is a step in which the data retrieval module 100 receives a query from the user 600;
Generating a search query by analyzing the input query by the data search module (100); And
The search field setting comprises the step of querying the arbitrary search DB 130 by using the generated search query, and extracting the search result data from the search DB 130. To provide a visual UI for user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이 상기 데이터 검색 모듈(100)의 검색 결과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색 필드로 사용 가능한 필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이 상기 추출된 필드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 필드별로 분류하고 통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이 분류, 통계 처리된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정보 시각화 모듈(300)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B)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analyzes the search result data of the data search module 100 to extract field information usable as a search field;
Classifying and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for each search field by using the extracted field information; And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converts the classifi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search field data into data for delivery to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정보 시각화 모듈(300)이 상기 필드 정보 추출 모듈(200)에서 제공되는 검색 필드별 데이터를 임의의 그래프 형태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 사용자(600)로부터 입력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레이어를 제공하여 상호작용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단계;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이 상기 레이어를 통해 사용자(600)가 입력하는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입력에 대한 반응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표현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시각화 모듈(300)이 상기 입력된 검색 필드 조작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검색 필드의 검색 필드 설정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c) includes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converting the search field-specific data provided from the field information extraction module 200 into an arbitrary graph form for display;
Implementing an interface for interaction by providing a layer for detecti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600 on a screen on which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is displayed;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receiving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600 through the layer and expressing a response to the input to be displayed on a screen; And
And calculating, by the information visualization module (300), a search field setting value of a corresponding search field by using the input search field manipulation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에 대한 반응을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표현하는 단계는 표시된 각 그래프가 시각적으로 하이라이트 되도록 활성화하거나 또는 하이라이트 되지 않도록 비활성화하는 초기단계;
상기 사용자(600)의 입력에 따라 비활성화된 상기 그래프의 하이라이트 상태를 활성화하거나 또는 활성화된 상태가 비활성화되도록 하는 토글단계; 및
상기 사용자(600)가 일정 시간이상 입력하지 않으면, 상기 표현단계의 동작을 중단하는 종료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step of expressing the response to the input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may include an initial step of activating each displayed graph to be visually highlighted or deactivating not to be highlighted;
A toggle step of activating a highlight state of the graph deactivated according to an input of the user 600 or deactivating the activated state; And
If the user 600 does not input for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the visual UI providing method for setting a search fiel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ermination step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presentation step.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UI 제공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정보 처리장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색 필드 설정을 위한 시각적 UI 제공 방법이 저장된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storing a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I for setting a search field, wherein a program for performing the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10 is stored, and the program is executed in a digital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20170136129A 2017-10-19 2017-10-1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KR102020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29A KR102020117B1 (en) 2017-10-19 2017-10-1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129A KR102020117B1 (en) 2017-10-19 2017-10-1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65A KR20190043965A (en) 2019-04-29
KR102020117B1 true KR102020117B1 (en) 2019-09-10

Family

ID=66282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129A KR102020117B1 (en) 2017-10-19 2017-10-19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1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980B1 (en) * 2020-01-29 2020-05-27 주식회사 이글루시큐리티 Method and system to run data from various control servers based on various kinds of database on dashboard
CN112540762B (en) * 2020-12-08 2024-05-28 杭州讯酷科技有限公司 UI (user interface) quick making method based on table and field optimized sorting
CN114138988A (en) * 2021-11-10 2022-03-04 山东寻声网络科技有限公司 Hadoop-based big data quick retrieval system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206A (en) 1999-04-30 2000-11-14 Fujitsu Lt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based on combination of retrieval conditions
KR101773781B1 (en) * 2016-05-31 2017-09-01 주식회사 뉴스젤리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oriented data visualzation based on the web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940960A1 (en) * 2008-12-02 2010-06-10 Ab Initio Technology Llc Visualizing relationships between data elements and graphical representations of data element attributes
EP2406739A2 (en) * 2009-03-13 2012-01-18 Invention Machin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knowledge research
KR101223984B1 (en) 2010-08-31 2013-01-24 대한민국 Multi-layered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through a law information si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5206A (en) 1999-04-30 2000-11-14 Fujitsu Lt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based on combination of retrieval conditions
KR101773781B1 (en) * 2016-05-31 2017-09-01 주식회사 뉴스젤리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oriented data visualzation based on the w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965A (en) 2019-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93075B (en) Attribute value retrieval based on identified entities
KR10172787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anced search result page content
KR1017238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lassifying and analyzing documents including text
US10891700B2 (en) Methods and computer-program products for searching patent-related documents using search term variants
US20120221553A1 (en) Methods for electronic document searching and graphically representing electronic document searches
US8930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handwriting recognition in web queries
CN101458703A (en) Resizing tag representations or tag group representations to control relative importance
KR1020201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sual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arch field and storage means
JPH0991314A (en) Information search device
CN110543484A (en) prompt word recommendation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GB2592884A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a search platform to users
JP4084647B2 (en) Information search system, information search method, and information search program
US20130031123A1 (en) Locating ambiguities in data
KR10185085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arch using big data
KR100616152B1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sending to other web site news automatically classified on internet
US20120191725A1 (en) Document ranking system with user-defined continuous term weighting
Antón Community Interpreting–oriented Terminology Management Tools.
JP2017173953A (en) Document retrieva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20150046437A1 (en) Search Method
JP6860659B2 (en) Visualized navigation-based leg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KR100718745B1 (en) Patent retrieve system and method by using text mining
KR20190043961A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electronic information using visualization of related terms with user interaction and storage means
KR101441529B1 (en) method of providing adaptive ontology information, apparatus for providing adaptive ontology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a program providing adaptive ontology information
JP2014191550A (en) Content search server, content search device, and content search method
JP2746198B2 (en) Database search method for full 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