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586B1 -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 Google Patents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586B1
KR102019586B1 KR1020180002839A KR20180002839A KR102019586B1 KR 102019586 B1 KR102019586 B1 KR 102019586B1 KR 1020180002839 A KR1020180002839 A KR 1020180002839A KR 20180002839 A KR20180002839 A KR 20180002839A KR 102019586 B1 KR102019586 B1 KR 102019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upling
body portion
container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8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4735A (en
Inventor
최정동
Original Assignee
최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동 filed Critical 최정동
Priority to KR1020180002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586B1/en
Publication of KR20190084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5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0Portable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 H05B3/4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arranged within rods or tubes of insulating material
    • H02J2007/006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Landscapes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휴대용 전열스틱에 관한 것이다. 본 기술의 휴대용 전열스틱은 용기 내 액체와 열교환하는 휴대용 전열 스틱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홈의 내부 측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외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다. The present technology relates to a portable heat stick. In the portable heat transfer stick of the present technology, a heat transfer stick for exchanging heat with a liquid in a container, comprising: a body part including a receiving groove accommodating an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a terminal part for connection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heat generat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generating heat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wherein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ide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s formed on an outer side wall of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top opening of the container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a screwing manner.

Description

휴대용 전열스틱{PORTABLE ELECTRIC HEAT STICK}Portable electrothermal stick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본 발명은 휴대용 전열스틱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USB 전원 방식의 휴대용 전열스틱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heat sti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heat stick of the USB power supply.

여러 형태의 보온병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용기의 내외면 사이에 발열체를 내장하고, 이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커넥터를 구비하는 텀블러가 존재한다(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329296호, 발명명칭: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또한, 이중컵 안쪽에 열선을 형성시키고 텀블러 바닥부분과 착탈되는 USB 커넥터를 통해 음료를 보온시킬 수 있는 텀블러가 존재한다(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0476864호, 고안명칭: 냉온 기능을 갖는 텀블러 장치).There are several forms of thermos. For example, a tumbler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includes a tumbler having a connec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29296, Title: Insulation and Hand Warmer Function). Combines a portable tumbler). In addition, there is a tumbler that forms a heating wire inside the double cup and keeps the drink warm through a USB connector detachable from the bottom of the tumbler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864, Design Name: Tumbler device having a cold temperature function). ).

이러한 보온 텀블러들은 외부 전원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 및 가열할 수 있는 보온성을 가지지만, 보온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서 휴대성이 떨어진다. These thermal insulation tumblers have a thermal insulation that can be maintained and heated to a temperature set by a user by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but focuses only on the thermal insulation and thus lacks portability.

즉, 미리 보온을 위한 물을 용기에 넣어두어야 하고, 그러한 물은 이미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 있어야 비로소 보온이 되는 방식이어서, 휴대를 위해서는 고온의 물을 미리 채워야 하는 등의 사전 준비 작업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사전 준비 작업 동안에 외출 준비를 서두르는 경우 텀블러를 잊고 나오는 경우도 발생한다.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put the water for warming in the container in advance, and such water must be heated to a certain temperature or more before it can be insulated. do. If you are in a hurry to go out during this preliminary work, you may forget the tumbler.

또한, 텀블러 내에 장착되는 발열체는 주로 용기의 하부나, 용기의 내외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배치는 발열체가 직접 물과 닿지 못하여 가열에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급박한 상황에서 설정 온도까지 가열되기를 기다리는 것은 사용자의 인내를 요한다. In addition, the heating element mounted in the tumbler is mainly locat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or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container. This arrangement requires a long time for heating because the heating element does not directly contact water. In urgent situations, waiting to heat up to a set temperature requires patience.

한편, 위와 같은 종래의 텀블러를 사용하면서도, 미리 물을 넣어두지 않은 경우 현장에서 구입한 생수를 이용할 수 있으나, 생수를 보온 텀블러에 붓고서 텀블러 마개를 닫은 후 전원을 연결하여 스위치를 켜고 설정한 온도로 데워질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들은 사용자들에게 피로감을 누적시킨다. 이는 결국 제품의 활용도를 떨어뜨리고 시장에서 제품이 도태되는 원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while using the conventional tumbler as described above, if you do not put the water in advance, you can use the bottled water purchased on-site, but after pouring the bottled water in a warm tumbler, close the tumbler stopper, turn on the switch and turn on the temperature set The process of waiting for warming up accumulates fatigue for the user. This, in turn, reduces the product's availability and causes the product to be taken away from the market.

또한, 가열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보다 고출력의 발열체를 텀블러에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전력 소비가 늘어나 그만큼 제품이 무거워지고 이는 휴대성에 정면으로 반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In addition, a higher output heating element may be applied to the tumbler in order to reduce the heating standby time, but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so that the product becomes heavier, which may result in the frontal contradiction of portability.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long research and trial and error to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의 전열스틱을 제공한다.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transfer stick of excellent structure and easy to use.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other unspecifi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further considered within the range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은, 용기 내 액체와 열교환하는 휴대용 전열 스틱으로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홈의 내부 측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외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Heat transfer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able heat transfer stick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liquid in the container, the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body portion formed with a terminal portion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 heat generat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generating heat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wherein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side wall of the receiving groove and is formed on an outer side wall of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a screwing manner.

상기 발열부는, 상기 수용홈의 베이스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도관부재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관부재 내에서 연장하는 도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 generating part may include a conduit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e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conductiv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art and extending in the conduit member.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단자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수용홈의 반대쪽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The body part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in which the accommodating groove is formed and a second body part in which the terminal part is formed, and the first body par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pposite to the accommodating groove, and the second body is formed. Th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상기 결합홈의 내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결합부의 외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by a screw coupling method us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sidewall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sidewall of the coupling part.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 공간과 상기 결합홈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중공 구조의 중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body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ollow portion having a hollow structure connecting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groove.

상기 결합홈의 베이스면에는 제1 터미널이 노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베이스면과 마주하는 상기 결합부의 바닥면에는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1 터미널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제2 터미널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을 통하여 상기 도선부재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형성될 수 있다. A first terminal is expos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second terminal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facing the bas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to protrude downward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A current path from the terminal portion to the conductive member throug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may be formed.

상기 제1 터미널의 노출 표면은 상기 결합홈의 베이스면과 동일 평면을 가질 수 있다.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may have the same plane as the bas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본 기술은 휴대성이 우수하고 사용이 편리한 구조의 전열스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뜻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technology provides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using warm water anytime and anywhere by providing a heat transfer stick with a highly portable and easy-to-use structure.

또한 본 기술은 적은 전력으로도 신속히 원하는 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어서 휴대성을 증진시키고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chnology can quickly reach the desired temperature with less power, enhancing portability and providing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을 생수병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부의 평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부의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transfer sti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an electrothermal stick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bottle of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body par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bottom view of the second body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they are illustrated as a reference for understanding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hich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두께와 간격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표현된 것이며, 실제 물리적 두께에 비해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공지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following,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spacing are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may be exaggerated compared to the actual physical thicknes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ell-known structures irrelevant to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mitted.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10)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heat transfer sti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10)을 생수병(2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electrothermal sti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ottled water bottle 20.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10)은 용기(20)에 결합되어 용기 내 액체(22)와 열교환 하기 위해 바디부(100)와 발열부(200)를 포함한다. 1 and 2, the heat transfer sti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20 to heat exchange with the liquid 22 in the container 100 and the heat generating part 200. It includes.

용기(20)는 물통일 수 있고, 액체(21)는 물일 수 있다. The vessel 20 can be a bucket and the liquid 21 can be water.

용기(20)는 뚜껑이 제거된 500ml 생수통일 수 있다. 생수통은 통상적으로 그 용량에 무관하게 규격화된 크기의 상단 개구부(즉, 주둥이(spout))를 갖고 있고, 용량이 다르거나 제조회사가 다르더라도 뚜껑이 서로 호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용기(20)를 뚜껑이 제거된 상태의 500ml 생수통인 것으로 가정한다. The container 20 may be a 500 ml bottle of water with the lid removed. Bottles of water typically have a top opening (i.e., spout) of a standardized size regardless of their capacity, and the caps may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even at different capacities or manufacturer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the container 20 is 500ml bottled water with the lid rem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100)는 이러한 500ml 생수통(20)의 주둥이를 막기 위한 뚜껑의 형상을 갖는다. 도면에서는 단면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바디부(100)는 전체적으로 원 뚜껑 형상을 가질 수 있다. Body portion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hape of a lid for preventing the spout of the 500ml bottled water (20). Although only a cross section is shown in the figure, the body part 100 may have a circular lid shape as a whole.

바디부(100)는 주둥이(2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112)을 갖는다. Body portion 100 has a receiving groove 112 for receiving the spout (22).

500ml 생수통(20)의 주둥이(22)에는 원래의 뚜껑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3)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나사산은 주둥이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나사산(23)이 주둥이(22)의 외측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spout 22 of the 500 ml bottled water 20 is formed with a thread 23 for engaging with the original lid. Typically, the threa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ide of the spout, but the thread 23 is shown as being recess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spout 2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나사산(23)에 상응하여, 바디부의 수용홈(112)에 나사산(113)이 돌출 형성된다. 나사산(113)은 수용홈(112)의 내부 측벽을 따라 나선 방향으로 내부 측벽(W)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생수통의 나사산(23)과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바디부의 수용홈에 나사산(113)이 형성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나사산(113)이 내부 측벽(W)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함몰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의 나사산(23)과 수용홈의 나사산(113)은 상호간에 나사 결합을 위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Corresponding to the thread 23, the thread 113 is formed protruding in the receiving groove 112 of the body portion. The thread 113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idewall W in a hel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wall of the receiving groove 112. Thread 113 is formed in the receiving groov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screw 23 and the screw thread 23 of the bottle. Although the thread 113 is illustrated as being protruded from the inner sidewall W in the drawings, the thread 113 may be recessed. It is sufficient that the threads 23 of the container and the threads 113 of the receiving grooves have complementary shapes for screwing together.

따라서, 500ml 생수통(20)은 바디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마치 생수통이 그 원래의 뚜껑과 결합하는 것과 같이, 생수통(20)이 바디부(100)로 결합할 수 있다. Thus, 500ml bottled water 20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0). The bottled water bottle 20 can be combined with the body portion 100 as if the bottled water bottle is combined with its original lid.

계속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바디부(100)는 단자부(152)를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단면만이 도시되었지만, 단자부(152)는 직육면체의 빈 공간을 가질 수 있다. 단자부(152)는 USB(universal serial bus) 단자일 수 있다. 단자부(152)는 외부 전원(미도시)에 연결된 USB 케이블(3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USB 케이블의 플러그(32)의 카운터파트인 리셉터클 단자일 수 있다. 1 and 2,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terminal part 152. Although only a cross section is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portion 152 may have an empty spac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The terminal unit 152 may be a universal serial bus (USB) terminal. The terminal unit 152 may be a receptacle terminal that is a counter part of the plug 32 of the USB cable in order to receive power from the USB cable 3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외부 전원(미도시)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등 휴대용 전자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 배터리일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배터리는 DC 5V-1A의 입출력 전압/전류값을 가질 수 있다. The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may be, for example, an auxiliary battery used to charg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The auxiliary battery may have an input / output voltage / current value of DC 5V-1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부(152)가 z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자부(152)에 외부 전원(미도시)과 연결된 USB 케이블(30)이 z방향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자부는 다른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즉, USB 케이블의 플러그(3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되는 범위 내에서는 단자부가 x방향이나 y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USB 케이블 플러그도 x방향이나 y방향으로도 삽입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portion 152 may be formed to have an extension length in the z direction. In addition, the USB cable 30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erminal unit 152 in the z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rminal part may be formed in other directions. That is,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plug 32 of the USB cable is provided, the terminal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n extended length in the x direction or the y direction, and correspondingly, the USB cable plug may also be formed in the x direction or the y direction. It can also be inserted and coupled in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부(200)가 바디부(100)로부터 z방향으로 연장된다. The heating part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in the z direction from the body part 100.

발열부(200)는 외부 전원(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하는 역할을 한다. The heat generating unit 200 serves to generate heat using power supplied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이를 위해, 발열부(200)는 수용홈(112)의 베이스면(B)(도면에서 수용홈의 천장(ceiling)면에 해당한다)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도관부재(210)와, 단자부(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도관부재(210) 내에서 연장하는 도선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00 is a conduit member 210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e surface (B) of the receiving groove 112 (corresponding to the ceiling (ceiling)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in the drawing), and the terminal portion 152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 member 220 to extend in the conduit member 210.

도관부재(210)는 도선부재에서 발생하는 열을 받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해 높은 열전달계수를 갖는 튜브 형태의 전열판일 수 있다. 또한, 도관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실 수 있는 물(21)과 직접 닿게 되는 부분이므로 내식성을 갖고 수려한 미관을 가지며 세척이 용이한 재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관부재는 SUS재질일 수 있다. The conduit member 210 may be a tube-type heat transfer plate having a high heat transfer coefficient to receive heat generated from the conductor member and transfer it to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nduit member 210, as shown in Figure 2, because it is a par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drinkable water 21 may be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nd beautiful aesthetics and easy cleaning. For example, the conduit member may be made of SUS material.

도선부재(220)는 높은 저항을 갖는 전기저항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니크롬선일 수 있다. 도선부재는 나선형 또는 코일형으로 감겨져 도관부재(2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직선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나선형이나 코일형이 전열판과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입력 전원으로부터 필요한만큼의 발열량을 확보하는 데에 유리하다. The conductive member 220 may be an electrical resistance wire having a high resistance. For example, it may be nichrome wire. The wire member may be wound in a spiral or coil shape and provided in the conduit member 210. Although it may be provided in a straight line, the spiral or coil type is advantageou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heat transfer plate and to secure as much heat generation as necessary from a relatively small input power source.

전열스틱(10)을 이용하여 용기 내 물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바디부(100)를 잠글 때의 반대방향으로 돌려서(마치 생수통의 뚜껑을 열 때와 같이) 생수통(20)으로부터 분리한 후 데워진 물을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water in the container reaches the temperature desired by the user by using the heat stick 10, the user rotates the body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lock the bottle 100 (just as when opening the lid of the bottle). After separation from the heated water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10)은 작고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고, 미리 물을 준비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500ml 생수통에 바로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에게 언제 어디서든 쉽게 따뜻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한다. Heat transfer stick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and light, easy to carry, even when not prepared in advance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directly in the 500ml bottled water can be easily obtained from the surroundings, It offers the convenience of using warm water wherever you a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스틱(10)은 용기 내 물에 잠기는 형태의 발열부(200)를 가짐으로써 적은 전력으로도 신속히 원하는 온도까지 도달할 수 있다. 이는 스마트폰용 보조 배터리로도 전열스틱을 구동할 수 있어서 전열스틱의 휴대성을 크게 증진시키고, 사용자에게 물이 든 무거운 보온병을 들고 다니는 수고를 하지 않게 하는 편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heat-transfer stick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ch the desired temperature quickly with little power by having the heat generating portion 200 in the form of the water submerged in the container. This can drive the heating stick even with a secondary battery for smartphones, greatly improving the portability of the heating stick, and provides the user with the convenience of not carrying the heavy lifting of the water holding thermos.

한편, 사용환경에 따라 생수통으로부터 분리한 전열스틱(10)을 놓을 곳이 마땅치 않을 수 있다. 휴대용이라는 특성상 외부에서 사용하는 일이 많은데 생수통으로부터 갓 분리하여 물이 묻은 상태의 전열스틱을 놓아둘만한 곳을 찾기는 쉽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부는 자체 분리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바디부의 자체 분리형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it may not be a place to put the heat transfer stick 10 separated from the bottled water. Due to its portable nature, it is often used externally, but it is not easy to find a place to put the heat stick in the state where it is freshly separated from the bottle. According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ortion may have a self-removable structure. Hereinafter, the self-separating structure of the body par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부의 평면도를,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부의 저면도를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4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view showing a bottom view of a second body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는 제1 바디부(110)와 제1 바디부로 결합되는 제2 바디부(150)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110)에 상술한 수용홈(112)이 형성되고, 제2 바디부(150)에 상술한 단자부(152)가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3 to 5, the body part 100 includes a first body part 110 and a second body part 150 coupled to the first body part. The accommodation groove 112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terminal part 152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the second body part 150.

제1 바디부(110)의 하부에 상술한 수용홈(112)이 마련될 수 있고, 제2 바디부(150)의 가운데 부분에 상술한 단자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on groove 112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terminal part 152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body part 150.

그리고, 제1 바디부(110)에는 제2 바디부(15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114)이 수용홈(112)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결합홈(114)이 제1 바디부(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114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150 is formed at the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in the first body portion 110. Coupling groove 114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110).

제2 바디부(150)에는 결합홈(114)으로 결합되는 결합부(154)가 형성된다. The second body portion 150 has a coupling portion 154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4 is formed.

결합부(154)는 결합홈(114)에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홈에 상호보완적인 형상을 갖는다. 일례로, 결합홈(114)이 z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홈 형상인 경우, 결합부(154)는 z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 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Coupling portion 154 has a shape complementary to the coupling groove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4. For example, when the coupling groove 114 has a cylindrical groove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z direction, the coupling part 154 may have a cylindrical pillar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z direction.

이러한 결합부(154)의 가운데 부분에 상술한 단자부(152)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가 z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것은 단자부가 z방향으로의 연장 길이를 갖도록 형성하는 데에 적합하다. The terminal unit 152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unit 154. Having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length in the z direction for the engaging portion is suitable for forming the terminal portion to have an extended length in the z direction.

결합홈(114)에 결합부(154)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50)가 결합된다. The coupling part 154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4 to couple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50 to each other.

결합홈(114)과 결합부(154)는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홈(114)의 내부 측벽에 나사산(115)이 돌출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54)의 외부 측벽에 나사산(155)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의 형성 방향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나사산(115)이 함몰 형성되고 나사산(155)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둘 모두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나사산(115)과 나사산(155)은 상호간에 나사 결합을 위한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The coupling groove 114 and the coupling part 154 may be coupled in a screw coupling manner. To this end, the thread 115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idewall of the coupling groove 114, and the thread 155 may be recessed from the outer sidewall of the coupling portion 154. The direction in which the threads are form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hreads 115 may be recessed and the threads 155 may protrude, or both may protrude. It is sufficient that threads 115 and threads 155 have complementary shapes for screwing toge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디부(110)에는 수용홈(112)과 결합홈(114)을 연결하는 중공부(116)가 더 형성된다. 즉, 제1 바디부(110)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용홈(114)과 결합홈(114), 그리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중공부(116)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dy portion 110 is further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16 connecting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coupling groove 114. That is, the first body 110 includes a receiving groove 114 and the coupling groove 114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and a hollow portion 116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중공 구조의 중공부(116)는 수용홈(112)의 내부 빈 공간과 결합홈(114)의 내부 빈 공간을 서로 연결한다. 중공부(116)에 의해 수용홈(112)과 결합홈(114)이 서로 소통된다. 그래서 제2 바디부가 제1 바디부로 결합되었을 때, 제2 바디부의 결합부의 바닥면(P2)이 중공부(116)를 통해 용기(20)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The hollow part 116 of the hollow structure connects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accommodation groove 112 and the internal empty space of the coupling groove 114 with each other. The receiving groove 112 and the coupling groove 114 is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by the hollow portion 116. Thus,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the bottom surface P2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may be exposed into the container 20 through the hollow portion 116.

이러한 중공부(116)는 바디부(100)가 생수통(2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내부의 물(22)을 따라낼 수 있는 개방 공간을 제공한다. The hollow part 116 provides an open space that can pour water 22 therein even while the body part 100 is coupled to the bottled water bottle 20.

즉, 물이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바디부 전체를 제거하는 일 없이, 제2 바디부(150)만을 잡고 돌려서 제1 바디부(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예를 들어 한 손으로 제1 바디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제2 바디부를 잡고 돌려서 서로 분리할 수 있고), 따라서 중공부(116)를 통해 개방된 공간을 이용하여 생수통 내부의 물(22)을 따라낼 수 있다. That is, when the water reaches the desired temperature, the user can grasp only the second body portion 150 and rotate it to separate i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110 without removing the entire body portion (for example, with one hand). The first body part can be grasped, and the second body part can be grasped and rotated with the other hand to separate from each other), thus using the open space through the hollow part 116 to pour out the water 22 inside the bottle.

중공부(116)가 도면에서는 원기둥 형상의 중공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의 물을 따라내기 위한 다양한 구조, 예를 들어 사각이나 오각의 다각기둥이나 원추 사다리꼴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lthough the hollow part 116 is illustrated as having a cylindrical hollow structure in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hollow part 116 may have various structures for pouring out water therein, for example, a polygonal column or a conical trapezoid of a square or a pentagon. It may have a shape.

이와 같은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의 자체 분리형구조를 갖는 바디부에 따르면, 물을 따라내기 위해 물에 잠겨 있던 부분(예를 들어 발열부)을 생수통으로부터 분리할 일이 없다. 따라서, 외부 사용환경에서도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물이 묻어 있던 부분에는 이물질이 부착되기 쉬운데 발열부가 생수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외부 이물질에 노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such a body part having a separable structure of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here is no need to separate a portion (eg, a heat generating part) submerged in water to pour out the water from the bottle. Therefore, cleanliness can be maintained even in an external use environment. Foreign substances are easily attached to the part where the water has been buried, but the heating part is not separated from the bottled water bottle and is combined, so it is not exposed to external foreign substances.

제2 바디부에 소량의 물이 묻어 있는 부분(예를 들어 결합부의 바닥면(P2))이 존재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발열부에 묻은 물의 양에 비해 그 양이 매우 적고, 발열부처럼 뜨거운 부분이 아니므로 티슈 등을 이용해 손으로 쉽게 닦아낼 수 있다. 발열부는 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 큰 면적을 갖도록 설계되고 그만큼 물이 묻을 수 있는 넓은 면적을 갖게 되지만 제2 바디부에는 중공부를 통해 노출된 일부분만이 물에 묻으므로 쉽게 닦아 내고 가방 속과 같이 청결한 장소에 놓아두기 용이하다. There may be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portion in which a small amount of water is buried (for example, the bottom surface P2 of the coupling portion), but the amount i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amount of water in the heating portion, and the portion is hot like the heating portion. Because of this, it can be easily wiped by hand using tissue. The heating part is designed to have a large area to increase the heating efficiency and has a large area to which water can be buried, but the second body part is only exposed to the water through the hollow part, so it can be easily wiped out and cleaned in a bag. Easy to put on

바디부가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로 분리되는 자체 분리형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50)간 전기적 연결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As the body part has a self-removable structure in which the body part is separated into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there is a ne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50.

이를 위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와 제2 바디부(15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상호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T1, T2)이 형성된다. To this end, as shown in FIGS. 3 to 5, terminals T1 and T2 for electrical connection are formed on surfaces where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second body part 150 face each other.

제1 바디부(110)의 결합홈(114)의 베이스면(P1)에 제1 터미널(T1)이 노출 형성되고, 베이스면(P1)과 마주하는 제2 바디부(150)의 결합부(154)의 바닥면(P2)에 제1 터미널(T1)과 접촉하는 제2 터미널(T2)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T1 is formed on the base surface P1 of the coupling groove 114 of the first body part 110, and the coupling part of the second body part 150 facing the base surface P1 ( A second terminal T2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T1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P2 of 154.

제1 터미널(T1)의 노출 표면은 결합홈의 베이스면(P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터미널의 노출 표면과 결합홈의 베이스면은 서로 동일 평면을 가질 수 있다.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T1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base surface P1 of the coupling groove. That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bas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may have the same plane.

제2 터미널(T2)은 결합부의 바닥면(P2)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T2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P2 of the coupling portion.

따라서, 제2 바디부가 제1 바디부로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할 때, 결합부(154)가 결합홈(114) 내부로 진입함에 따라 베이스면(P1)과 바닥면(P2)이 서로 가까워지고, 베이스면(P1)과 바닥면(P2)이 더욱 가까워짐에 따라 제2 터미널(T2)이 제1 터미널(T1)에 접촉하기 시작하여, 나사 결합이 종료된 시점에서는 터미널들 상호간에 더욱 밀착하여 완전한 전기적 접촉을 이룰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is screw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the base portion P1 and the bottom surface P2 are closer to each other as the coupling portion 154 enters the coupling groove 114. As the base surface P1 and the bottom surface P2 get closer together, the second terminal T2 begins to contact the first terminal T1, and when the screwing is finished, the terminals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complete the process. Electrical contact can be mad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152)로부터 제1 터미널(T1)과 제2 터미널(T2)을 통하여 도선부재(220)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도면에 도시된 A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 current path from the terminal portion 152 to the conductive member 220 through the first terminal T1 and the second terminal T2 may be formed in the direction A shown in the drawing.

터미널들(T1, T2)간 접촉을 원활히 유도하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2 터미널(T2)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탄성 돌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터미널(T2)은 바닥면(P2) 안쪽으로 매립된 또는 설치된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제2 터미널은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가, 결합부가 결합홈으로 진입함에 따라 제1 터미널과 접촉하면서 상부로(바닥면(P2)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고, 이때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터미널과 제2 터미널과 일정 접촉력을 유지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터미널이 과도하게 진입하여 제1 터미널을 손상시키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In order to smoothly induce contact between the terminals T1 and T2 and prevent damage, the second terminal T2 may have an elastic protrusion structu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o this end, the second terminal T2 may have a leaf spring or a coil spring embedded in or installed into the bottom surface P2.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protrudes downward, and pushes upwards (inside the bottom surface P2) while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as the engaging portion enters the coupling groove, where the elasticity of the leaf spring or coil spring is obtained. The restoring force can maintain a constant contact force wit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and prevent the second terminal from excessively entering and damaging the first terminal.

터미널들간 안정적인 접촉 면적이 확보될 수 있도록, 제1 터미널(T1)이 배치되는 테라스 부위(P1)는 너무 좁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공부(116)는 테라스 부위(P1)를 삭제하는 요소에 해당하므로 중공부 형성에 의해 테라스 부위가 너무 좁아지지 않도록, 그리고, 테라스 부위 형성에 의해 중공부가 너무 작아지지 않도록, 중공부와 결합홈 및 결합부의 크기는 터미널 배치를 고려하여 설계될 수 있다. In order to ensure a stable contact area between the terminals, it is preferable that the terrace portion P1 on which the first terminal T1 is disposed is not too narrow.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ollow part 116 corresponds to the element for deleting the terrace part P1, the hollow part is combined with the hollow part so that the terrace part is not too narrowed by the hollow part formation and the hollow part is not too small by the terrace part formation. The size of the grooves and couplings can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terminal arrangement.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만으로 본다면, 500ml 생수통 주둥이를 수용하는 수용홈(112)의 내부 공간이 제일 크고, 그 다음으로 제2 바디부가 결합되는 결합홈(114)의 내부 공간, 물을 따라내기 위한 중공부(116) 순으로 작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쉽게 따라내기 위해서는 중공부(116)의 크기가 클수록 유리하지만,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간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T1, T2) 배치 면적 확보를 반영하여 결합홈과 중공부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when viewed only in size,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groove 112 for accommodating the 500 ml bottled water spout is the largest, and then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groove 114,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upled, along the water The hollow portion 116 to be smaller becomes in ord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asily pour water, the larger the size of the hollow part 116 is advantageous, but the coupling groove reflects the secured area of the terminals T1 and T2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부(150)는 상부에 위치하는 플랜지부(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part 1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156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플랜지부(1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10)의 외주면과 동일 외주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flange part 156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body part 110.

플랜지부(156)는 제2 바디부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The flange portion 156 provides a space for the user to hold by hand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body portion.

이때, 용기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3)과 제2 바디부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5)은 동일한 나선 진행 방향을 갖는다. 즉, 제1 바디부를 용기에 결합하기 위해 잠그는 방향과 제2 바디부를 제1 바디부에 결합하기 위해 잠그는 방향은 일치한다. 마찬가지로, 제1 바디부를 용기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여는 방향과 제2 바디부를 제1 바디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여는 방향은 일치한다. At this time, the thread 113 for coupling with the container and the thread 115 for coupling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have the same spiral propagation direction. That is, the locking direction for coupling the first body portion to the container and the locking direction for coupling the second body portion to the first body portion coincide. Likewise, the opening direction for separating the first body portion from the container and the opening direction for separ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from the first body portion coincide.

따라서, 최초 바디부를 용기에 결합시에는 한 손으로 제1 바디부와 제2 바디부를 한 방향으로 골고루 돌려줌으로써 한번에 바디부 전체를 용기에 결합할 수 있다. 이후 물이 원하는 온도로 데워지면, 한 손으로 제1 바디부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제2 바디부를 돌려줌으로써 제2 바디부만을 분리해낼 수 있다. 사용이 끝난 이후 보관시에는 제1 바디부를 돌려서 용기로부터 분리하고, 다시 제2 바디부를 제1 바디부에 결합하여 보관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first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tainer, the entire body portion can be coupled to the container at once by evenly rotating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in one direction with one hand. After the water is warmed to the desired temperature, only the second body portion can be separated by holding the first body portion with one hand and rotating the second body portion with the other hand. After storage after use, the first body part may be rotated to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and the second body part may be stored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body part.

제2 바디부의 결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가 도 6에 도시된다. A structure for facilitating engagement and detachment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shown in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디부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body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부(10)는 테이퍼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테이퍼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도 3에서 상술한 것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body portion 10 may further include a tapered portion 118. Except for the tapered portion, the same descrip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may be applied.

테이퍼부(118)는 제1 바디부의 상부에 마련된다. 위로 갈수록, 즉, 제2 바디부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줄어드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제2 바디부의 플랜지부(156)를 잡고서 돌릴 때 사용자의 손이 제1 바디부에는 미치지 않도록 하는 빈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 바디부를 제1 바디부로 결합하거나 제1 바디부로부터 분리할 때 보다 용이한 조작이 가능하다. The taper portion 118 is provided above the first body portion. The width of the upper body, that is, the closer to the second body portion, has a structure that decreases the width so that the user's hand does not touch the first body portion when the user grips and turns the flange portion 156 of the second body portion by hand. Provide an empty space. Therefore, when the second body portion is combined with or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ortion, easier manipul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록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record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휴대용 전열스틱
20 : 용기
30 : USB 케이블
100 : 바디부
110 : 제1 바디부
112 : 수용홈
114 : 결합홈
116 : 중공부
118 : 테이퍼부
150 : 제2 바디부
152 : 단자부
154 : 결합부
156 : 플랜지부
200 : 발열부
210 : 도관부재
220 : 도선부재
10: portable electric stick
20 container
30: USB cable
100: body part
110: first body part
112: receiving home
114: coupling groove
116: hollow part
118: taper
150: second body part
152: terminal portion
154: coupling part
156: flange
200: heating unit
210: conduit member
220: conductor member

Claims (6)

용기 내 액체와 열교환하는 휴대용 전열 스틱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단자부가 형성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이용하여 발열하는 발열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홈의 내부 측벽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의 외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수용홈이 형성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단자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바디부에는 상기 수용홈의 반대쪽에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바디부에는 상기 결합홈으로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1 바디부의 수용홈으로부터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휴대용 전열 스틱.
A portable heat transfer stick that exchanges heat with a liquid in a container,
A body part including an accommodating groove accommodating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nd a terminal part for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d a heating unit extending from the body unit and generating heat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Thread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wall of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in a threaded manner with the threads formed on the outer sidewall of the upper opening of the container,
The body portion,
A first body part in which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A second body part in which the terminal part is formed,
The first body portion has a coupling groov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The second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he heat generating part is a portable heat transfer stick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ceiving groove of the first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수용홈의 베이스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하는 도관부재와,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도관부재 내에서 연장하는 도선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열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ting unit,
A conduit memb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ase surf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a wire membe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portion and extending in the conduit memb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내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결합부의 외부 측벽에 형성된 나사산을 이용한 나사 결합 방식으로 상기 제2 바디부는 상기 제1 바디부에 결합하는 휴대용 전열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cond body portion coupled to the first body portion by a screw coupling method using a screw thread formed on an inner sidewall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thread thread formed on an outer sidewall of the coupl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는 상기 수용홈의 내부 공간과 상기 결합홈의 내부 공간을 연결하는 중공 구조의 중공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열 스틱.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body portion of the portable heat transfer stick further comprises a hollow portion of the hollow structure connecting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inner space of the coupl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의 베이스면에는 제1 터미널이 노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베이스면과 마주하는 상기 결합부의 바닥면에는 하부로 돌출하여 상기 제1 터미널과 전기적 접촉을 이루는 제2 터미널이 형성되며,
상기 단자부로부터 상기 제1 터미널과 상기 제2 터미널을 통하여 상기 도선부재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형성되는 휴대용 전열 스틱.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erminal is exposed on the bas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 second terminal protruding downward to make electrical contact with the first terminal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facing the base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current path from the terminal portion to the conductive member through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KR1020180002839A 2018-01-09 2018-01-09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KR1020195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39A KR102019586B1 (en) 2018-01-09 2018-01-09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39A KR102019586B1 (en) 2018-01-09 2018-01-09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35A KR20190084735A (en) 2019-07-17
KR102019586B1 true KR102019586B1 (en) 2019-09-06

Family

ID=67512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839A KR102019586B1 (en) 2018-01-09 2018-01-09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586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542B2 (en) * 1994-07-18 2000-08-28 デンセイ・ラムダ株式会社 Inverter system of carrier frequency modulation by high frequency transformer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542U (en) * 2001-03-23 2001-09-28 毓嵐 陳 Car and house dual use baby bottle heating structure
WO2013191477A1 (en) * 2012-06-21 2013-12-27 Hwang Yoontaek Yogurt fermenter for home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542B2 (en) * 1994-07-18 2000-08-28 デンセイ・ラムダ株式会社 Inverter system of carrier frequency modulation by high frequency transformer coup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35A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32641A (en) Portable heating device
US20210204746A1 (en) Electric kettle
CN101485544B (en) Direct drinking water machine as well as cold water pot and hot water pot
CN103269655A (en) Rinsing glass and charger combination for a power toothbrush
KR102019586B1 (en) Portable electric heat stick
JPH0621549U (en) Portable insulation container
TWM527290U (en) Thermos bottle having charging function
CN208755698U (en) A kind of electric water-heating cup
CN107019391B (en) A kind of hot and cold water vacuum cup to generate electricity
CN204970674U (en) Non -contact induction heating drinking cup based on non -contact energy transfer
CN209769438U (en) Double-layer heat-insulation bear backpack type water cup
CN204071553U (en) Multi-functional can heating cup
CN202681422U (en) Heating cup
CN205548212U (en) Chargeable hot type drinking cup that adds
KR101639475B1 (en) Fluid warming device
CN111195040A (en) Thermos cup with heating function
CN214325669U (en) Environment-friendly separable bottle
KR20120000185U (en) Keeping warmth cup for electric charge
TW200407522A (en) Water heater, with generation of heat by an external highconductivity electric winding, and the process for producing it
WO2023000431A1 (en) Portable heater
CN214317675U (en) Electric heating cup structure
CN207461941U (en) Electric water cup
CN204318266U (en) Water tumbler
CN213962838U (en) Effectual thermos cup keeps warm
CN210169630U (en) Constant-temperature charging tea tr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