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422B1 -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422B1
KR102019422B1 KR1020190054439A KR20190054439A KR102019422B1 KR 102019422 B1 KR102019422 B1 KR 102019422B1 KR 1020190054439 A KR1020190054439 A KR 1020190054439A KR 20190054439 A KR20190054439 A KR 20190054439A KR 102019422 B1 KR102019422 B1 KR 102019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supply pipe
water supply
storage tan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4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동엽
Original Assignee
강동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엽 filed Critical 강동엽
Priority to KR10201900544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provided with a drainage plate capable of easy distribution of raw water. The raw water supplied to a tank is evenly distributed and then drained in multiple stages. The drained raw water has a large contact area with air so that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ssolved oxygen is increased and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a user.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ank can be drained at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drained evenly without stagnation.

Description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본 발명은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고르게 분산한 후 다단으로 낙수시켜 낙수되는 원수가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원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분리됨과 동시에 용존산소량을 높여 정화된 원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며, 탱크 내 저장된 정수는 중앙부분에서 배수시켜 정수가 정체되지 않고 고루배수 될 수 있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op plate that is easy to disperse raw water, and evenly distributes the raw water supplied to the tank and then falls into multiple stages so that the raw water falling down becomes wider in contact with air and thus contains harmful substances in the raw water. This water is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ssolved oxygen is increased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user, and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ank is drained from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distributed evenly without stagnation. will be.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소독을 위해 적은 양의 염소가 사용되며, 이때 수돗물에 잔류 된 염소는 물속 유기물과 반응하여 트리할로메탄이나 클로로포름과 같은 유해물질이 생성된다.In general, tap water uses a small amount of chlorine for disinfection, and chlorine remaining in the tap water reacts with organic matter in the water to produce harmful substances such as trihalmethane and chloroform.

이때 수돗물에는 잔류염소 4.0mg/L, 트리할로메탄 0.1mg/L, 클로로포름 0.08mg/L와 같은 수질기준을 정하여 각 가정으로 수돗물을 공급하지만, 간혹 가정에 공급된 수돗물에서 수질기준을 넘는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일이 있으며, 이 수질기준의 유해물질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사람들이 있어, 수돗물 원수를 정화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At this time, tap water is supplied to each household by setting water quality standards such as residual chlorine 4.0mg / L, trihalomethane 0.1mg / L, and chloroform 0.08mg / L, but sometimes the water supply to households exceeds the water quality standards. Substances may be detected, and some people are sensitive to harmful substances in this water quality standard, and a system for purifying tap wate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이를 위해 종래에 제시된 기술로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가 제시된 바 있다.For this purpose, a "functional water tank with a water treatment system" has been proposed as a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

종래기술은 원수의 수압을 격벽으로 지탱하여 챔버의 내부에 상수도 정수처리용기계실을 형성하고 있어서, 시스템 설치와 운영 및 유지 보수 관리가 매우 편리한 상수도 정수처리 시스템을 구비한 기능성 물탱크 및 그의 정수처리방법을 제공하고 있다.The prior art forms a mechanical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chamber inside the chamber by supporting the hydraulic pressure of raw water with a partition wall, and has a water treatment system and a water treatment system equipped with a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system that is very convenient to install, operate, and maintain the system. It provides a way.

하지만 종래기술은, 격벽으로 지탱하여 챔버의 내부에 상수도 정수처리용 기계실을 형성한 후 기계실에 출입문을 설치하여 시스템 설치하여 운영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도록 이루어지나, 원수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원수를 정화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machine room for water purification treatment is formed inside the chamber by supporting the partition wall, and then the door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to install the system for convenient operation and maintenance. I'm using the way.

따라서 기계실을 통해 원수에 공급되는 응집제 및 시스템을 항시 관리해야 하며, 관리하기 위해선 전문가가 필요한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 coagulant and the system supplied to the raw water through the machine room must be managed all the tim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n expert to manage the coagulant.

또한,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한 초기 투자비용이 크게 투자되어야 하며, 설치 이후 유지관리 비용 항상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initial investment cost for configuring the system should be invested significant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always occurs after installation.

그리고 간편한 구성을 통해 원수를 정화할 수 있도록 종래에 "다단낙수판이 구성된 정수 시스템"을 제시된 바 있다.And it has been proposed in the prior art "water purification system consisting of a multi-stage fall plate" to purify the raw water through a simple configuration.

이러한 종래기술은 유입된 원수를 낙수시켜 잔류염소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한 정수가 저장된다.In this prior art, the purified water is stored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such as residual chlorine by draining the introduced raw water.

하지만,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유입관이 비스듬이 형성되면 원수가 한쪽으로 흐르게 되어 고르게 분산시킬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여, 설치시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However, when the raw water inlet pipe for supplying raw water is obliquely formed, the raw water flows to one side and thus cannot be evenly distributed, causing a lot of difficulties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during installation.

또한 원수유입관을 수직으로 설치하여도 장기간 사용시 지각변동 등의 다양한 환경변화에 의해 원수유입관의 수직상태가 변화되어 한쪽으로 원수가 공급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aw water inlet pipe is installed vertically, the vertical state of the raw water inlet pipe is changed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rustal change during long-term use, which causes raw water supply to one side.

한국등록특허 제10-0512026호(2005.08.25.)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12026 (2005.08.25.) 한국등록특허 제10-1442964호(2014.09.15.)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42964 (2014.09.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약품을 통해 소독된 수돗물 등의 원수를 낙차시켜 원수에 존재하는 잔류염소, 트리할로메탄 및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유해물질은 분리하여 공기중으로 배출하며, 공기와 접촉시켜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ropping the raw water, such as tap water sterilized through chemicals, harmful substances such as residual chlorine, trihalomethane and chloroform present in the raw water It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ip plate that is easy to disperse raw water that can be separated and discharged into the air, and in contact with the air to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of the raw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낙차를 통해 원수를 정화시킨 정수를 저장하여 용도에 따라 공급할 수 있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op plate that facilitates raw water dispersion, which can store and purify purified water from raw water through a drop.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장기간 사용 시 기각변동 등의 환경적, 인위적인 요소에 의해 수직상태가 변경된 기울어진 상태에서 사방으로 고르게 원수를 공급할 수 있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ger equipped with an easy falling-water fall plate capable of supplying raw water evenly in all directions in an inclined state in which the vertical state is changed due to environmental and artificial factors such as a change in dismantling during installation and long-term use. To provide a system.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울어져 한곳으로 많은 양의 원수가 공급되거나, 원수의 공급량이 많아져도 낙차 시 고르게 분산시켜 공기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여 정수가 이루어지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op plate that facilitates the dispersion of raw water, in which a large amount of raw water is supplied at an inclined position, or even when the supply amount of raw water is increased, it is evenly distributed during falling and facilitates contact with air, thereby purifying water. To provide an integrated integer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향방향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 상기 원수공급관에 결합되며,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장탱크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단;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배출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수단은, 상기 원수공급관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공급되는 원수를 하향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배출하는 원수분산부와, 상기 원수공급관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수공급관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뿔구조가 다단으로 층층이 구성되어 분산된 원수가 낙수되는 낙수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orage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A raw water supply pipe disposed vertically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torage tank and supplying raw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A purifying means coupl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purifying the supplied raw water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tank; Comprising a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the purifying means is coupled through a fixing member so as to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to distribute the raw water evenly distributed downward in all directions toward the discharge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is coupl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so as to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the horn structure that extends toward the lower end is composed of a multi-tiered layer consisting of a dripping plate for falling raw wate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원수공급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공급관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직조절부가 더 포함되되, 상기 수직조절부는, 상기 원수분산부의 중앙부분에서 하향방향으로 돌출되며, 중단에 구형상의 연결부재가 형성되고 하단에 무게추가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원수공급관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360°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member is disposed inside the raw water supply pipe, and further includes a vertical control unit for maintaining a horizontal level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the vertical control unit,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the spherical shape in the midd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and formed with a guide bar having a weight added at the lower end, and a support part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to support the connecting member to be rotated 360 °.

상기 원수분산부의 하단면은 함몰되어 상기 원수공급관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유도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surface of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is preferably recessed to form an induction surface for dispersing the raw water flowing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in all directions.

상기 원수분산부는, 상기 원수공급관의 상측끝단을 감싸 배출된 원수를 수용하는 공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는 저장된 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discharged raw water wrapp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wherein the space is formed in a conical shap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end and the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tored raw water is formed at the end; desirable.

상기 낙수판은, 원판 형상의 수평판과 원통 형상의 수직관이 계단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은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원수가 이동하도록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주름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pping plate, the horizontal plate of the disk-shaped and the vertical tube of the cylindrical shape is continuously arranged in a step shape, the horizontal plate is that the wrinkles are formed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the raw water mov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desirable.

본 발명에 따른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에 따르면, 약품을 통해 소독된 수돗물 등의 원수를 낙차시켜 원수에 존재하는 잔류염소, 트리할로메탄 및 클로로포름 등과 같은 유해물질은 분리하여 공기중으로 배출하며, 공기와 접촉시켜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op plate easy to disperse ra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ropping the raw water, such as tap water sterilized through chemicals, harmful substances such as residual chlorine, trihalomethane, chloroform, etc. present in the raw water are separated and separated. It is discharged into the air, and in contact with the air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ssolved oxygen of the raw water.

본 발명에 따르면, 낙차를 통해 원수를 정화시킨 정수를 저장하여 필요한 용도에 따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정화시 발생한 유해성분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storing the purified water purified through the free fall can be smoothly supplied according to the required u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harmful components generated during purific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공급관의 설치 및 장기간 사용에 의해 기각변동, 노후 등의 환경적, 인위적인 요소에 의해 원수공급관의 수직상태가 변경되어 기울어진 상태에서 한쪽으로 배출되는 원수를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installation and long-term us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the vertical stat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is changed by environmental and artificial factors such as dismissal change and aging, so that the raw water discharged to one side in an inclined state is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There is an advantage to supply.

본 발명에 따르면, 원수공급관이 기울어진 상태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가이드하여 분산시키는 원수분산부가 무게에 의해 수직상태를 유지하여 고르게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고, 일정 수위를 저장하여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이 가능하며, 배출되는 원수에 와류를 발생시켜 사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for guiding and dispersing the raw water discharged in the inclined stat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can be distributed evenly by maintaining the vertical state by weight, and can be evenly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by storing a certain level. As a result, vortices can be generated in the discharged raw water and dispersed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수분산부 또는 낙수판의 기울어진 상태에서 한곳으로 많은 양의 원수가 공급되어도 주름부에 의해 일정량의 원수가 유동되며, 많은 양의 원수는 유동 및 낙차 시 고르게 분산시켜 공기와의 접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large amount of raw water is supplied to one place in the inclined state of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or the downfall plate, a certain amount of raw water flows by the pleated portion, a large amount of raw water is evenly distributed during the flow and fall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facilitate the contact with the ai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절부와 원수분산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유도면을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수의 정화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fall plate easy to disperse ra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adjustment unit and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various types of induction pl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l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purification state of ra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op plate easy to disperse ra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조절부와 원수분산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유도면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낙수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수의 정화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op plate easy to disperse ra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vertical adjustmen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aw water dispersing por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guide surface of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all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raw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purification state of.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탱크로 공급되는 원수를 고르게 분산한 후 다단으로 낙수시켜 낙수되는 원수가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원수에 포함된 유해물질이 분리됨과 동시에 용존산소량을 높여 정화된 원수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며, 탱크 내 저장된 정수는 중앙부분에서 배수시켜 정수가 정체되지 않고 고루배수될 수 있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to 6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drip plate that is easy to disperse raw water, evenly distributed raw water supplied to the tank and then falling in multiple stages contact with air As the area is widene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water are separ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dissolved oxygen is increased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user.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ank is drained from the central part, so that the purified water can be distributed evenly without stagnation. A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n easy fall plat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되는 원수를 정화시킨 정수를 저장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0), 원수공급관(20), 정화수단(30) 및 정수배출관(40)으로 구성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tank 10,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purification means 30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to store and store purified water purified raw water.

상기 저장탱크(10)는 정수를 저장한다.The storage tank 10 stores an integer.

상기 원수공급관(20)은 상기 저장탱크(10)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향방향으로 원수를 공급한다.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vertically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to supply raw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정화수단(30)은 상기 원수공급관(20)에 결합되며,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정수를 공급한다.The purifying means 30 is coupl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purifies the supplied raw water and supplies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tank (10).

상기 정수배출관(40)은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한다.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discharges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따라서, 상기 원수공급관(20)을 통해 상향방향으로 원수를 공급하며,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정화수단(30)을 통해 정화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정수를 저장한다.Therefore, the raw water is supplied upwar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and the supplied raw water is purified through the purification means 30 to store purified water in the storage tank 10.

이때,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정수배출관(40)을 통해 필요한 곳에 공급하여 정수를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can be used to supply purified water through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where necessary.

이를 위해 상기 저장탱크(10), 상기 원수공급관(20), 상기 정화수단(30) 및 상기 정수배출관(4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To this end, the storage tank 10,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purification means 30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저장탱크(10)는 공급된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통상적인 탱크로 이루어진다.The storage tank 10 is composed of a conventional tank that can store the supplied purified water.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단에는 출입구(11)와 환기구(12)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청소용배출관(13)과 월류관(14)이 형성된다.Here, the entrance 11 and the ventilation opening 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the cleaning discharge pipe 13 and the overflow pipe 14 is formed at the lower end.

따라서 상기 출입구(11)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정화수단을 삽입하고 내부 청소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사람이 출입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entrance 1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is made so that a person can enter and exit to insert the purifying means and to clean and manage the inside.

이러한 상기 출입구(11)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 전체를 탈거할 수 있거나, 일부분에 형성된다.The entrance 11 may remove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or may be formed at a portion thereof.

그리고 상기 환기구(12)는 상기 저장탱크(10) 내에 공기를 순환시키며, 원수 정화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단에 돌출형성된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hole 12 circulates air in the storage tank 10, and protrudes at an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so as to discharge harmful substances generated during raw water purification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청소용배출관(13)은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cleaning discharge pipe 13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is made so that the user can selectively operate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마지막으로, 상기 월류관(14)은 상기 저장탱크(10)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원수의 수위가 상기 정화수단(30)에 다다르지 않도록 유입된 물을 배출한다.Finally, the overflow pipe 14 is coupled in a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torage tank 10, the incoming water so that the water level of the raw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does not reach the purification means (30). Discharge.

즉, 상기 월류관(14)은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낙수판(32)의 하단 부분의 위치보다 낮은 수위를 유지하여 상기 정화수단(30)이 정수에 잠기지 않도록 일정 수위 이상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at is, the overflow pipe 14 is a predetermined level or more so that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is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rop plate 32 so that the purification means 30 is not submerged in the purified water. It is made to drain water.

상기 원수공급관(20)은 원수를 상기 저장탱크(10)에 공급한다.The raw water supply pipe 20 supplies raw water to the storage tank 10.

이러한 상기 원수공급관(20)은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단면의 중앙부분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tank 10 is protru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를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20)은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단으로 노출되어 외부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단에서 원수를 배출하여 상향방향으로 원수가 이동한다.Through this,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exposed to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receives raw water from the outside to discharge the raw water from the upp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to move the raw water upwards.

상기 정화수단(30)은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배출되는 원수를 낙차를 통해 정화하여 정수를 공급한다.The purifying means 30 purifies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rough a free fall to supply purified water.

이러한 상기 정화수단(30)은 원수분산부(31)와 낙수판(32)으로 구성된다.The purifying means 30 is composed of a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and a downfall plate (32).

상기 원수분산부(31)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고정부재(34)를 통해 결합되며, 공급되는 원수를 하향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배출한다.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is coupl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4 so as to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and discharges the supplied raw water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in the downward direction.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4)는, 상기 원수공급과(20) 또는 상기 낙수판(3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원수분산부(31)를 고정한다.Here, the fixing member 34 is coupled to any one of the raw water supply unit 20 and the dripping plate 32 to fix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상기 낙수판(32)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수공급관(20)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뿔구조가 다단으로 층층이 구성되어 분산된 원수가 낙수된다.The dripping plate 32 is coupl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o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horn structure that extends toward the lower end is composed of a multi-layer layer is the raw water dispersed.

이를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상향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원수분산부(31)에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킨 후 하향방향으로 방향을 전환시켜 낙하된 후 상기 낙수판(32)을 따라 흐르면서 원수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분리하여 정화된 정수를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한다.Through this, the raw water supplied upwar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to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and then is turned down in a downward direction, and then falls along the dripping plate 32 to the raw water. Purified purified water is separated and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상기 정수배출관(40)은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한다.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discharges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and supplies it to the user.

이러한 상기 정수배출관(40)은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단 중앙에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저장탱크(10)와 연결된 중앙에 상기 원수공급관(20)이 관통되어 결합된다.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bottom center of the storage tank 10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to the outside, the raw water supply pipe in the center connected to the storage tank 10 20 is penetrated and coupled.

여기서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선택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밸브를 구비하며, 정수가 이동하는 호스 및 관 등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valve is provided to selectively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hose and pipe to which the purified water moves.

따라서 상기 정수배출관(40)은 상기 저장탱크(10) 하단 중앙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위(41)와 상기 수직부위(41)의 하부 끝단에 상기 저장탱크(10) 하단과 수평을 유지하도록 연결되는 수평부위(42)로 구성되는 절곡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ortion 41 vert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center of the storage tank 10 an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41 to be horizontal with the lower end of the storage tank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t tube consisting of a horizontal portion 42 to be made.

이때, 상기 정수배출관(40)의 수직부위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이 삽입되는 연결홀(43)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connection hole 43 into which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그리고 상기 수직부위(41)의 내경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외경의 두배 이상의 직경으로 형성하여 상기 원수공급관(20)이 중앙에 설치되어서 용이하게 정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한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portion 41 is formed to a diameter more than twice the outer diameter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so that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stalled in the center to easily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그리고 상기 정화수단(30)은 상기 원수공급관(20)이 기울어져도 공급되는 원수를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And the purifying means 30 is made as follows to evenly distribute the discharged raw water in all directions even i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clined.

즉, 상기 저장탱크(10)에서 수직으로 배치된 상기 원수공급관(20)은 장기간 사용시 지각변동 및 노후되어 수직상태가 변화하여도 원수를 사방으로 분산시킬 수 있도록 수직조절부(50) 및 상기 원수분산부(31)가 구성된다.That is,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disposed vertically in the storage tank 10 has a vertical control unit 50 and the raw water so that the raw water can be dispersed in all directions even if the vertical state changes due to the crustal fluctuation and deterioration during long-term use. The dispersion part 31 is comprised.

먼저, 상기 수직조절부(50)는 상기 고정부재(34)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공급관(31)의 수평을 유지한다.First,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50 is the fixing member 34 is disposed inside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and maintains the horizontal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31).

이러한 상기 수직조절부(5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분산부(31)의 중앙부분에서 하향방향으로 돌출되며, 중단에 구형상의 연결부재(51a)가 형성되고 하단에 무게추(51b)가 형성된 가이드바(51)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51a)를 360°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52)로 이루어진다.The vertical adjustment unit 50 is projec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as shown in Figure 3 (a), the spherical connecting member 51a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lower end A guide bar 51 having a weight 51b formed thereon, and a support 52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o support the connecting member 51a rotatably 360 °.

그리고 상기 원수공급관(20)의 내측 상단부분에 상기 지지부(52)가 형성된다.And the support portion 52 is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이러한 상기 지지부(52)는 중앙부분에 상기 연결부재(51a)가 안착되도록 반구형상을 가지며, 반구형상은 다수개의 바에 의해 상기 원수공급관의 내측면에 결합된다.The support portion 52 has a hemispherical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51a is seated in the center portion, and the hemispherical shape is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by a plurality of bars.

따라서 상기 지지부(52)는 상기 가이드바(5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원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Therefore, the support part 52 rotatably supports the guide bar 51 and is made to move raw water.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51)는 상기 연결부재(51a)가 상기 지지부(52)의 반구형상에 안착되어 상기 원수분산부(31)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상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한다.In addition, the guide bar 51 has the connection member 51a seated on the hemispherical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52 so that the raw water dispersing portion 31 is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이때, 상기 가이드바(51)의 하단에는 상기 무게추(51b)를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수직상태가 변화하여도 상기 연결부재(51a)가 무게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원수분산부(31)가 수직상태를 유지한다.At this time, even if the vertical stat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changed through the weight weight 51b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bar 51, the connection member 51a is moved by the weight so that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Keeps vertical.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분산부(31)는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배출된 원수를 상기 공간부(31d)에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31c)를 통해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한다.And as shown in (b) of FIG. 3,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is everywher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c) in the state of storing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n the space (31d). Discharge evenly.

여기서 상기 배출구(31c)의 크기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유입량 및 수압에 따라 상기 공간부(31d)에 일정량의 원수를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ize of the outlet 31c is preferably made of a size capable of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aw water in the space portion 31d according to the inflow amount 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raw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즉, 원수의 유입량이 적고 수압이 약한 경우, 상기 원수분산부(31) 내의 유도면(31a)을 타고 흘러 상기 배출구(31c)를 따라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되며, 유입량이 많고 수압이 강할 경우, 상기 공간부(31d)에 일정수위의 원수를 저장되어 상기 배출구(31c)를 통해 사방에서 고르게 배출된다.That is, when the inflow of raw water is low and the water pressure is weak, flows through the guide surface 31a in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and is evenly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along the discharge port 31c, and when the inflow is large and the water pressure is strong, Raw water of a predetermined level is stored in the space portion 31d and is evenly discharged from all directions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c.

그리고 상기 원수분산부(31)의 수직을 유지하거나, 유입된 원수를 일정량 저장한 후 배출하며, 배출되는 원수는 상기 돌출부(6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이 가능하다.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is vertically maintained or discharged afte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raw water, and the discharged raw water can be evenly discharged in all directions as the vortex is generated by the protrusion 60.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수분산부(31)의 하단면은 함몰되어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유도면(31a)이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is recessed to form an induction surface 31a for dispersing the raw water flowing in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n all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원수분산부(31)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중앙부분에 상기 고정부재(34)를 배치하여 고정한다.Here,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is fixed by placing the fixing member 34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이러한 상기 유도면(31a)은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상향방향으로 유입되는 원수를 하향방향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induction surface 31a is formed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to supply the raw water flowing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n the downward direction.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면(31a)은 중앙부분에 역방향의 원뿔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함몰된다.Therefore, as shown in (a) of FIG. 4, the guide surface 31a is recessed to form a conical protrusion of the reverse direction in the center portion.

즉, 상기 유도면(31a)은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상향방향으로 유입된 원수는 원뿔형상의 돌기를 따라 사방으로 확장되어 이동한 후 상기 유도면(31a)의 함돌된 내측상면에 충돌한 후 내측벽(31b)을 따라 하향방향으로 공급한다.That is, the induction surface 31a moves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o expand and move in all directions along the conical projection and then collide with the concave inner upper surface of the induction surface 31a. Supply in the downward direction along the inner wall 31b.

이때, 내측상면과 내측벽(31b)의 만나는 지점은 원수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meeting point between the inner upper surface and the inner wall 31b is preferably rounded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raw water can be easily changed.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면(31a)은 상기 가이드바(51)를 중심으로 양측이 반호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함돌되며, 외측 부분의 반호형상은 내측부분의 반호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4, the guide surface 31a is impregnated so that both sides have a half arc-shaped cross section around the guide bar 51, and the half arc shape of the outer portion is I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half lake.

따라서, 상기 유도면(31a)을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상향방향으로 유입된 원수는 반호형상의 곡면을 따라 원수를 유도하여 하향방향으로 공급한다.Therefore, the raw water introduced in the upward direction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rough the induction surface 31a guides the raw water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half arc and supplies the downward direction.

그리고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상기 유도면(31a)은 상기 수직조절부(50)에 의해 각도를 변경하여도 상기 원수분산부(31)가 상기 원수공급관(20)과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확장 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duction surface 31a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is extended to prevent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from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even when the angle is changed by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5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done.

또한,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상단 또는 유도면(31a)의 내측면의 양측 또는 어느 한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배출된 원수를 회전시켜 와류를 발생하는 돌출부(60)가 더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ojection 60 is formed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or the inner surface of the induction surface 31a to rotate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o generate a vortex Is further formed.

이러한 돌출부(60)는 다수개의 돌출돌기(61)를 구비하여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배출된 원수를 하향방향 배출시 상기 돌출돌기(61)에 의해 유도되어 와류를 형성한다.The protrusion 60 includes a plurality of protrusions 61 to guide vortices by being guided by the protrusions 61 when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discharged downward.

이를 통해 배출되는 원수는 와류에 의해 사방으로 이동하면서 고르게 배출할 수 있다.Raw water discharged through this can be discharged evenly while moving in all directions by the vortex.

그리고 상기 낙수판(32)은 낙하된 원수를 정화하며 사방으로 고르게 이동할 수 이 있도록 이루어진다.And the fall plate 32 is made to be able to move evenly in all directions to purify the falling water.

따라서 상기 낙수판(32)은 원판 형상의 수평판과 원통 형상의 수직관(32b)이 계단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32a)은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원수가 이동하도록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주름부(33)가 형성된다. Accordingly, the downfall plate 32 is a horizontal plate in the shape of a plate and a vertical tube 32b in a cylindrical shape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step shape, and the horizontal plate 32a is a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such that the raw water mov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circumference. Along the radial portion wrinkles 33 are formed.

이를 통해 상기 원수분산부(31)를 통해 하향방향으로 유도된 원수는 상기 주름부(33)에 의해 유도되어 사방으로 흘러 낙수된다.Through this, the raw water gui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is guided by the wrinkle part 33 and flows in all directions to fall.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저장탱크(10) 내에 상기 원수공급관(20), 상기 정화수단(30) 및 상기 정수배출관(40)을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결합한다.First,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purifying means 30 and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in the storage tank 10 is combined as described above.

이때, 상기 원수공급관(20)은 상기 저장탱크(10)를 지지하는 지면 또는 받침대 등과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stalled to maintain a vertical state such as the ground or the support for supporting the storage tank (10).

그리고 상기 원수공급관(20)을 통해 외부에서 원수를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한 상향방향으로 공급한다.The raw wat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n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 storage tank 10 toward the upper side.

이렇게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서 배출되며, 배출된 때 상기 원수분산부(31)를 통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후 하향방향으로 유도하여 상기 낙수판(32)을 흘러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한다.The raw water thus supplied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and when discharged, the raw water is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raw water dispersing portion 31 and then directed downward to flow the dripping plate 32 to the storage. Store in the tank (10).

여기서 상기 낙수판(32)을 따라 흐르는 원수는 수차례 낙수되어 수돗물 원수에 포함된 잔류염소나 트리할로메탄 및 클로로포름과 같은 유해물질을 분리하며, 분리된 유해물질은 상기 저장탱크(10)의 상기 환기구(1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Here, the raw water flowing along the dripping plate 32 may fall several times to separate toxic substances such as residual chlorine or trihalomethane and chloroform contained in the tap water, and the separated toxic substances may be separated from the storage tank 10. Discharge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 hole 12.

아울러 상기 환기구(12)는 유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구조 또는 환기수단 등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hole 12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 structure or a ventilation means or the like that can easily discharge the harmful substances.

또한, 상기 환기구(12)를 통해 유해물질을 배출하며, 유입된 공기는 낙수되는 원수와 접촉하여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증가되어 정화된다.In addition, the ventilator 12 discharges harmful substances, and the introduced air is purged by increasing the dissolved oxygen amount of the raw water by contacting the raw water falling down.

이렇게 상기 정화수단(30)을 통해 정화된 정수는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하여 사용자가 필요할 때 공급한다.The purified water thus purified through the purifying means 30 is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and supplied when the user needs it.

아울러, 상기 저장탱크(10)에는 상기 월류관(14)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가 일정수위를 초과할 경우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정화수단(30)이 정수에 잠기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tank 10 is provided with the overflow pipe 14 to discharge to the outside when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exceeds a predetermined level to prevent the purification means 30 is submerged in the purified water. do.

이와 같이 공급되는 원수는 낙수를 통해 잔류염소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며, 공기를 공급하여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The raw water supplied in this way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removing harmful substances such as residual chlorine through the falling water, and can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of the raw water by supplying air.

그리고 상기 저수탱크(10)를 장기간 사용시 상기 저수탱크(10)가 설치된 지면의 지각변동, 노후 등의 다양한 요건 및 환경변화에 의해 흔들려 상기 저수탱크(10) 또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수직상태가 변화하게 된다.When the water storage tank 10 is used for a long time, the water storage tank 10 is shaken due to various requirements such as the earth's crustal change, aging,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vertical state of the water storage tank 10 or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Will change.

이때, 상기 저장탱크(10) 또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이 기울어져도 상기 원수분산부(31)에 의해 사방으로 고르게 원수를 분산시킨다.At this time, even if the storage tank 10 or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clined,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distributes the raw water evenly in all directions.

즉, 상기 원수분산부(31)는 상기 수직조절부(50)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를 지지하는 지면과 수직을 유지하여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유입된 원수를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한다.That is,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is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to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by maintaining the vertical to the ground supporting the storage tank 10 through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50). .

따라서 상기 수직조절부(50)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상기 지지부(52)에 상기 연결부재(51a)가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무게추(51b)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원수분산부(31)의 수직상태를 유지한다.Therefore,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50 is the raw water by the load generated from the weight (51b) in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ng member 51a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portion 52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dispersion part 31 is maintained in a vertical state.

이를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20)이 기울어져도 상기 무게추(51b)에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상기 원수공급관(20)이 수직상태를 유지하며, 배출되는 원수를 사방으로 분산시킨다.Through this, even when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clined,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maintains the vertical state by the load generated by the weight 51b, and distributes the discharged raw water in all directions.

여기서 상기 원수분산부(31)는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상기 유도면(31a)을 통해 원수를 자연스럽게 유도하며, 기울어진 각도에 의해 일정부분의 원수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Here,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naturally guides raw water through the guide surface 31a of various forms therein, and prevents a portion of raw water from being blocked by an inclined angle.

또한,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배출되는 원수는 상기 돌출부(60)에 의해 형성된 와류에 의해 회전하여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by rotating by the vortex formed by the protrusion (60).

그리고 상기 원수분산부(31)는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배출된 원수를 상기 공간부(31d)에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31c)를 통해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한다.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evenly discharges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n all directions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c while storing the raw water discharg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이에 따라 상기 원수분산부(31)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거나, 유입된 원수를 일정량 저장한 후 배출할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구성을 선택가능하며, 추가적으로 배출되는 원수는 상기 돌출부(60)에 의해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이 가능하다.Accordingly, any one configuration may be selected to maintain the vertical state of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or to discharge and store the raw water introduced therein, and additionally discharged raw water is vortexed by the protrusion 60. As it occurs, it can be discharged evenly in all directions.

또한, 상기 낙수판(32)은 상기 주름부(33)를 통해 상부에서 유입된 원수가 이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많은 량의 원수를 분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pping plate 32 may form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corrugation part 33 may move, and at the same time, disperse a large amount of raw water.

즉, 상기 원수분산부(31)에서 사방으로 분산시켜 유입되는 원수는 상기 주름부(33)를 따라 이동되어 낙수를 통해 정화가 이루어진다.That is, the raw water flowing in by scattering in all directions from the raw water dispersing unit 31 is moved along the wrinkles 33 to purify through the falling water.

여기서 한쪽부분으로 많은양의 원수가 공급되어도, 상기 주름부(33)의 크기, 폭 등에 의해 일정양의 원수가 이동하고 이외의 원수는 옆으로 분산되어 상기 주름부(33)를 타고 이동한다.Here, even when a large amount of raw water is supplied to one portion, a certain amount of raw water is moved by the size, width, etc. of the wrinkle part 33, and other raw water is dispersed sideways to move along the wrinkle part 33.

또한, 계단형식의 상기 낙수판(32)에서 원수가 다수번 낙수되어 균일한 양으로 분산시킨 후 상기 저장탱크(10)로 이동한다.In addition, the raw water in the staircase type dripping plate 32 is dropped many times and is dispersed in a uniform amount and then moves to the storage tank 10.

이를 통해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설치 또는 장기간 사용시 지면침하, 노후 등의 다양한 환경적, 인위적인 변화에 의해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수직상태가 변화하여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원수가 과다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며, 원수를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공급한다.In this way,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excessively supplied in an inclined direction even when the vertical stat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changed by various environmental and artificial changes such as ground subsidence and aging when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installed or used for a long time. It prevents and distributes raw water evenly in all directions.

그리고 상기 낙수판(32)의 상기 주름부(33)에 의해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유입된 원수를 유도하여 낙차 중 한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원수에 혼합된 잔류염소 등의 유해물질을 정화하고, 낙차 시 공기의 접촉을 향상시켜 원수의 용존산소량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troducing the raw water introduced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by the pleats 33 of the dripping plate 32 to prevent movement to one of the free fall, harmful substances such as residual chlorine mixed in the raw water are prevented. Purification and improved contact with air during free fall can increase the dissolved oxygen content of raw wat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As described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ar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described in the claim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 evident.

10: 저장탱크 11: 출입구 12: 환기구
13: 청소용배출관 14: 월류관
20: 원수공급관
30: 정화수단 31: 원수분산부 31a: 유도면
32b: 내측벽 31c: 배출구
31d: 공간부
32: 낙수판 32a: 수평판
32:b 수직관
33: 주름부 34: 고정부재
40: 정수배출관 41: 수직부위 42: 수평부위
43: 연결홀
50: 수직조절부 51: 가이드바 51a: 연결부재
52b: 무게추
52: 지지부
60: 돌출부 61: 돌출돌기
10: storage tank 11: the entrance 12: the ventilation opening
13: Cleaning pipe 14: Overflow pipe
20: raw water supply pipe
30: purification means 31: raw water dispersion unit 31a: induction surface
32b: inner wall 31c: outlet
31d: space
32: Dripping plate 32a: Horizontal plate
32: b vertical tube
33: wrinkle portion 34: fixing member
40: water discharge pipe 41: vertical part 42: horizontal part
43: connecting hole
50: vertical adjustment unit 51: guide bar 51a: connecting member
52b: weight
52: support
60: protrusion 61: protrusion

Claims (5)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10);
상기 저장탱크(10)의 중앙부분에서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향방향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관(20);
상기 원수공급관(20)에 결합되며, 공급된 원수를 정화하여 상기 저장탱크(10)에 정수를 공급하는 정화수단(30);
상기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배출하는 정수배출관(4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정화수단(30)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상단에 배치되도록 고정부재(34)를 통해 결합되며, 공급되는 원수를 하향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배출하는 원수분산부(31)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원수공급관(20)에 결합되며, 하단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뿔구조가 다단으로 층층이 구성되어 분산된 원수가 낙수되는 낙수판(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4)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원수공급관의 수평을 유지하는 수직조절부(5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수직조절부(50)는,
상기 원수분산부(31)의 중앙부분에서 하향방향으로 돌출되며, 중단에 구형상의 연결부재(51a)가 형성되고 하단에 무게추(51b)가 형성된 가이드바(51)와,
상기 원수공급관(20)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51a)를 360°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5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
A storage tank 10 for storing purified water;
A raw water supply pipe 20 disposed vertically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torage tank 10 to supply raw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A purifying means (30) coupl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and purifying the supplied raw water to supply purified water to the storage tank (10);
Consists of the purified water discharge pipe 40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10,
The purifying means 30,
Combined through the fixing member 34 so as to be disposed on the top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for distributing the raw water evenly distributed in all directions in the downward direction;
It is coupled to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o be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horn structure that extends toward the lower end is composed of a multi-stage layer consisting of a falling down plate 32, the raw water dispersed is falling,
The fixing member 34 is disposed inside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and further includes a vertical adjustment unit 50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50,
A guide bar 51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raw water dispersing part 31 and having a spherical connecting member 51a formed at the middle and a weight 51b formed at the lower end thereof;
Water purification system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s provided with a support 52 for supporting the connecting member (51a) rotatable 360 ° rotatable, characterized in that easy to disperse raw water dispersion pla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산부(31)의 하단면은 함몰되어 상기 원수공급관(20)에서 유입되는 원수를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유도면(31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ottom surface of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is recessed and provided with an inlet surface 31a for dispersing the raw water flowing from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in all directions is provided with an easy drip plate with easy dispersion of raw water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분산부(31)는,
상기 원수공급관(20)의 상측끝단을 감싸 배출된 원수를 수용하는 공간부(31d)를 구비하며, 상기 공간부(31d)는 하단으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끝단에는 저장된 원수를 배출하는 배출구(31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raw water dispersion unit 31,
It has a space 31d for accommodating the discharged raw water wrapp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20, the space 31d is made of a conical shape gradually narrowed toward the lower end and discharged raw water at the end Discharge port (31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equipped with a fall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판(32)은,
원판 형상의 수평판(32a)과 원통 형상의 수직관(32b)이 계단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수평판(32a)은 중심에서 외주면을 향해 원수가 이동하도록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주름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수분산이 용이한 낙수판이 구비된 정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pping plate 32,
The horizontal plate 32a in the shape of a disk and the vertical tube 32b in the shape of a cylinder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step shape, and the horizontal plate 32a is radially corruga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raw water mov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ater purification system provided with a drop plate easy to disperse raw wa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33 is formed.
KR1020190054439A 2019-05-09 2019-05-09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KR1020194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39A KR102019422B1 (en) 2019-05-09 2019-05-09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39A KR102019422B1 (en) 2019-05-09 2019-05-09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9422B1 true KR102019422B1 (en) 2019-09-06

Family

ID=6794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39A KR102019422B1 (en) 2019-05-09 2019-05-09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80B1 (en) * 2020-07-15 2021-03-11 (주)태광물탱크 Rainwater storage tank with increased dissolved oxyg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26B1 (en) 2003-12-08 2005-09-05 강동열 Functional water tank hav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109083A (en) * 2013-03-05 2014-09-15 강동엽 multi-stage waterfall wit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026B1 (en) 2003-12-08 2005-09-05 강동열 Functional water tank having 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109083A (en) * 2013-03-05 2014-09-15 강동엽 multi-stage waterfall wit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1442964B1 (en) 2013-03-05 2014-09-22 강동엽 multi-stage waterfall wit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880B1 (en) * 2020-07-15 2021-03-11 (주)태광물탱크 Rainwater storage tank with increased dissolved oxyg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4120A (en) Wastewater treatment mechanism
US5384102A (en) Chemical feeder
US6915811B2 (en) Chemical feeder
US5549822A (en) Shower filter apparatus
WO1992006926A1 (en) Chemical feed apparatus
US20110094949A1 (en) Dechlorinator and method of dechlorination
KR102019422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with drop plate easy to distribute raw water
US6511054B1 (en) Porous air diffuser for treatment of liquids
KR101628712B1 (en) Bed smell removal apparatus
US6974536B2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dosing and recirculation chambers within a single tank
US8216456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daptible to natural water environment
KR100885969B1 (en) Disinfectant effusion apparatus of service reservoir
US8961782B2 (en) Water filtering system
JP3543305B2 (en) Canister for sewage septic tank
JP7411006B2 (en) Trickling filter device and how to operate the trickling filter device
US7662277B1 (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080002041U (en) Equipment for oxygen dissolution
KR102380447B1 (en) Water filter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RU2298429C2 (en) Feeding mechanism gear for introduction of the chemical substances
KR102556218B1 (en) Water Tank Ceiling Plate Cleaning Device
KR102519206B1 (en) storage tank with flow path
CN220223828U (en) Anti-blocking device for oxidation ditch reconstruction fluidized bed process and sewage treatment system
KR200215048Y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
KR101442964B1 (en) multi-stage waterfall with the water purification system
CA3230061A1 (en) Wastewater trea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