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404B1 -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404B1
KR102019404B1 KR1020170114580A KR20170114580A KR102019404B1 KR 102019404 B1 KR102019404 B1 KR 102019404B1 KR 1020170114580 A KR1020170114580 A KR 1020170114580A KR 20170114580 A KR20170114580 A KR 20170114580A KR 102019404 B1 KR102019404 B1 KR 10201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worker
protective equipment
wearing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7599A (ko
Inventor
이상봉
김창환
조철규
박종우
이소라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14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404B1/ko
Publication of KR2019002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16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은, 전기 설비에 장착되며, 작업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작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장치 및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호구에 장착되고,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TECTING ARC FLASH,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크 플래시 보호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의 산업 현장에서는 생산성 확보와 전력 설비의 안정성 유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정전 작업보다는 활선 상태에서의 무정전 작업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활선 상태에서 점검 및 진단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전기 설비 충전부 주변의 절연이 파괴되어 공기를 통해 아크 플래시(Arc Flash)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가 고열과 고압의 충격파에 노출되어 화상과 실명, 심지어는 사망에 이르는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한다.
아크 플래시에 의한 인명 사고를 최소화 하기 위해 보호구 착용 및 안전 거리 유지 등의 기준을 두고 있지만, 실제 활선 작업 현장에서 보호구 착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제 활선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귀찮다는 이유로 보호구를 제대로 착용하고 있지 않으며, 심지어 작은 규모의 사업장에서는 작업자에게 보호구가 지급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3840호(2013.09.04)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로 하여금 보호구의 착용을 강제시켜 아크 플래시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은, 전기 설비에 장착되며, 작업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장치; 및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를 포함한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 도달할 때마다 해당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해당 구역에 존재하는 RFID 태그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제2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작업자가 제3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제4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의 순서대로 상기 전기 설비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1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1 RFID 태그;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2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2 RFID 태그;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3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3 RFID 태그; 및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4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4 RFID 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구역이 상기 전기 설비에 가까울수록 높은 레벨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전기 설비에 접근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이 바닥면에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한 거리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설비는, 아크 플래시가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설비로서, 작업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자 감지 센서; 및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부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 도달할 때마다 해당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해당 구역에 존재하는 RFID 태그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부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호구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부는, 상기 작업자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제2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작업자가 제3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제4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의 순서대로 상기 전기 설비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기 설비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부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구역이 상기 전기 설비에 가까울수록 높은 레벨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기 설비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전기 설비에 접근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아크 플래시가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에 작업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와 상기 전기 설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호구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가 도달하는 거리 내에 위치하는 RFID 태그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구역마다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제2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제3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작업자가 제4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및 제4 구역의 순서대로 상기 전기 설비에서 멀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구역이 상기 전기 설비에 가까울수록 높은 레벨의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전기 설비에 접근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구 착용 확인부는 작업자와의 거리에 따라 전달 거리가 상이한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의 전달 거리에 존재하는 RFID 태그들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작업자가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구 착용 확인부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내지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각 RFID 태그가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내지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중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작업자가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부터 접근 금지 구역까지 이동하는 동안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설비까지 접근하는 동안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하고 있어야 전기 설비의 도어가 잠금 해제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보호구의 착용을 강제화 시킬 수 있어 아크 플래시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에서 작업자가 감지되는 경우,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에 따라 작업 제한 거리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작업자에게 사고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한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100)은 제한 거리 표시 장치(102), 전기 설비(104), 및 RFID 태그(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 거리 표시 장치(102)는 전기 설비(104)가 설치된 영역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제한 거리 표시 장치(102)는 전기 설비(104)가 설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제한 거리를 표시할 수 있다. 제한 거리 표시 장치(102)는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 제2 제한 거리 표시부(102-2), 제3 제한 거리 표시부(102-3), 및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는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Arc Flash Protection Boundaries)을 표시할 수 있다.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은 전기 설비(104)가 설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1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는 제1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1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한 거리 표시부(102-2)는 접근 제한 구역(Limited Approach)을 표시할 수 있다. 접근 제한 구역은 전기 설비(104)가 설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2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제한 거리는 제1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2 제한 거리 표시부(102-2)는 제2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2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한 거리 표시부(102-3)는 접근 한계 구역(Restricted Approach)을 표시할 수 있다. 접근 한계 구역은 전기 설비(104)가 설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3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3 제한 거리는 제2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3 제한 거리 표시부(102-3)는 제3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는 접근 금지 구역(Prohibited Approach)을 표시할 수 있다. 접근 금지 구역은 전기 설비(104)가 설치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제4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을 연결하며 형성될 수 있다. 제4 제한 거리는 제3 제한 거리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는 제4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바닥면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4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한 거리, 제2 제한 거리, 제3 제한 거리, 및 제4 제한 거리의 순서로 전기 설비(104)에 보다 인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한 거리, 제2 제한 거리, 제3 제한 거리, 및 제4 제한 거리는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제한 거리에서 제4 제한 거리로 갈수록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가 클 수 있다. 또한, 제1 발광 소자 내지 제4 발광 소자는 서로 다른 색상의 광을 방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 내지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가 바닥면에 설치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닥면으로 경고선을 송출하는 레이저 포인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 설비(104)는 배전반, 분전반 등과 같이 아크 플래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전기 설비일 수 있다. 전기 설비(104)는 전기 설비(104)로 접근하는 작업자를 아크 플래시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설비(104)는 작업자 감지 센서(111),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 경보부(115), 및 잠금 해제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 감지 센서(111)는 전기 설비(104)로 접근하는 작업자(50)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작업자 감지 센서(111)는 레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작업자 감지 센서(111)는 레이더 이외의 다른 센싱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작업자 감지 센서(111)는 전기 설비(104)가 설치된 영역에서 작업자(5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전기 설비(104)가 설치된 영역에서 작업자(50)가 감지되는 경우,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 내지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가 동작되어 제1 제한 거리 내지 제4 제한 거리를 바닥면에 표시할 수 있다.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에 따라 작업 제한 거리를 표시하여 줌으로써, 작업자(50)에게 사고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 일으켜 안전한 작업을 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 내지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가 동시에 동작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에 따라 제1 제한 거리 표시부(102-1)부터 제4 제한 거리 표시부(102-4)까지 순차적으로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작업자 감지 센서(111)는 작업자(50)가 감지되는 경우,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작업자 감지 센서(111)는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에 따라 제1 접근 신호 내지 제4 접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근 신호는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가 제1 제한 거리 이내이면서 제2 제한 거리보다는 먼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Arc Flash Protection Boundaries)에 있는 경우 제1 접근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접근 신호는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가 제2 제한 거리 이내이면서 제3 제한 거리보다는 먼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접근 제한 구역(Limited Approach)에 있는 경우 제2 접근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제3 접근 신호는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가 제3 제한 거리 이내이면서 제4 제한 거리보다는 먼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접근 한계 구역(Restricted Approach)에 있는 경우 제3 접근 신호가 발생할 수 있다. 제4 접근 신호는 전기 설비(104)와 작업자(50) 간의 거리가 제4 제한 거리 이내인 경우, 즉 작업자가 접근 금지 구역(Prohibited Approach)에 있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작업자 감지 센서(111)에서 발생되는 제1 접근 신호 내지 제4 접근 신호에 따라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방출하여 작업자(50)가 해당 구역 내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1 접근 신호 내지 제4 접근 신호에 따라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의 송출 전력 세기 등을 조절하여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가 해당 구역까지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1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통해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해당 RFID 태그(106)에 고유한 키 값(예를 들어, 식별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 확인하여 작업자(50)가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2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접근 제한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통해 접근 제한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해당 RFID 태그(106)에 고유한 키 값(예를 들어, 식별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접근 제한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 확인하여 작업자(50)가 접근 제한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3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접근 한계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통해 접근 한계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해당 RFID 태그(106)에 고유한 키 값(예를 들어, 식별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접근 한계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 확인하여 작업자(50)가 접근 한계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4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접근 금지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통해 접근 금지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해당 RFID 태그(106)에 고유한 키 값(예를 들어, 식별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접근 금지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 확인하여 작업자(50)가 접근 금지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106)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해당 RFID 태그(106)의 고유 키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1 접근 신호 내지 제4 접근 신호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1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서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50)가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2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서 접근 제한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50)가 접근 제한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3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서 접근 한계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50)가 접근 한계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4 접근 신호가 발생한 경우,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방출할 수 있다.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는 제4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서 접근 금지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신호일 수 있다.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작업자(50)가 접근 금지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에 장착되는 제1 RFID 태그(106-1)는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마련되며,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응답 신호(예를 들어, 제1 RFID 태그(106-1)의 고유 키 값을 포함)를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근 제한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에 장착되는 제2 RFID 태그(106-2)는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마련되며,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응답 신호(예를 들어, 제2 RFID 태그(106-2)의 고유 키 값을 포함)를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근 한계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에 장착되는 제3 RFID 태그(106-3)는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마련되며,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응답 신호(예를 들어, 제3 RFID 태그(106-3)의 고유 키 값을 포함)를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근 금지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에 장착되는 제4 RFID 태그(106-4)는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도록 마련되며,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응답 신호(예를 들어, 제4 RFID 태그(106-4)의 고유 키 값을 포함)를 송신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내지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방출하고 그에 대한 응답 신호를 각각 수신하기 위해, 4개의 RFID 리더기를 구비할 수 있다.
경보부(115)는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할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경보부(115)는 경보음 및 경보등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잠금 해제부(117)는 전기 설비(104)의 도어에 장착될 수 있다. 전기 설비(104)의 도어는 잠금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잠금 해제부(117)는 작업자(50)가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서 접근 금지 구역까지 오는 동안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것으로 확인된 경우, 전기 설비(104)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의 잠금 해제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통해 도어가 자동으로 오픈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의 잠금 해제를 통해 도어가 수동으로 오픈 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RFID 태그(106)는 작업자(50)의 각 보호구에 장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RFID 태그(106)는 제1 RFID 태그(106-1), 제2 RFID 태그(106-2), 제3 RFID 태그(106-3), 및 제4 RFID 태그(10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RFID 태그(106-1)는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예를 들어, 모자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RFID 태그(106-1)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1 RFID 태그(106-1)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 및 제1 응답 신호는 제1 RFID 태그(106-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RFID 태그(106-2)는 접근 제한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예를 들어, 장갑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RFID 태그(106-2)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RFID 태그(106-2)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 및 제2 응답 신호는 제2 RFID 태그(106-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RFID 태그(106-3)는 접근 한계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예를 들어, 상의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제3 RFID 태그(106-3)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3 RFID 태그(106-3)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 및 제3 응답 신호는 제3 RFID 태그(106-3)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RFID 태그(106-4)는 접근 금지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예를 들어, 하의 등)에 장착될 수 있다. 제4 RFID 태그(106-4)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제4 RFID 태그(106-4)는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응답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응답 신호 및 제4 응답 신호는 제4 RFID 태그(106-4)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제1 RFID 태그(106-1)가 모자에 장착되고, 제2 RFID 태그(106-2)가 장갑에 장착되며, 제3 RFID 태그(106-3)가 상의에 장착되고, 제4 RFID 태그(106-4)가 하의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 태그(106)들은 기 설정된 규정에 따라 해당 구역에서 장착해야 하는 각 보호구에 장착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는 작업자(50)와의 거리에 따라 전달 거리가 상이한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의 전달 거리에 존재하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여, 작업자(50)가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보호구 착용 확인부(113)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내지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각 RFID 태그(106-1 ~ 106-4)가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내지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 중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작업자(50)가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부터 접근 금지 구역까지 이동하는 동안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순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기 설비(104)까지 접근하는 동안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하고 있어야 전기 설비(104)의 도어가 잠금 해제되므로, 작업자(50)로 하여금 보호구의 착용을 강제화 시킬 수 있어 아크 플래시로부터 작업자(5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 설비(102)는 전기 설비(102)가 설치된 영역에 작업자(50)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1). 단계 S 101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감지되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제한 거리 표시 장치(102)로 제한 거리 표시 신호를 발생시킨다(S 103). 그러면, 제한 거리 표시 장치(102)는 전기 설비(102)를 기준으로 제1 제한 거리 내지 제4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에 제한 거리 표시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1 구역(즉, 제1 제한 거리 이내 이면서 제2 제한 거리 보다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5). 단계 S 105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1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한다(S 107). 즉, 전기 설비(102)는 송출 전력 등을 조절하여 제1 구역(즉,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1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9). 구체적으로, 전기 설비(102)는 제1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제1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를 통해 작업자(50)가 제1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09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1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전기 설비(102)는 제1 경보를 발생한다(S 111).
단계 S 109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1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2 구역(즉, 제2 제한 거리 이내 이면서 제3 제한 거리 보다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3). 단계 S 113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2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한다(S 115). 즉, 전기 설비(102)는 송출 전력 등을 조절하여 제2 구역(즉, 접근 제한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2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17). 구체적으로, 전기 설비(102)는 제2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제2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를 통해 작업자(50)가 제2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17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2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전기 설비(102)는 제2 경보를 발생한다(S 119). 여기서, 제2 경보는 제1 경보 보다 경보 레벨이 높은 경보일 수 있다.
단계 S 117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2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3 구역(즉, 제3 제한 거리 이내 이면서 제4 제한 거리 보다는 먼 거리)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21). 단계 S 121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3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한다(S 123). 즉, 전기 설비(102)는 송출 전력 등을 조절하여 제3 구역(즉, 접근 한계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3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25). 구체적으로, 전기 설비(102)는 제3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제3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를 통해 작업자(50)가 제3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25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3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전기 설비(102)는 제3 경보를 발생한다(S 127). 여기서, 제3 경보는 제2 경보 보다 경보 레벨이 높은 경보일 수 있다.
단계 S 125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3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4 구역(즉, 제4 제한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29). 단계 S 129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4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한다(S 131). 즉, 전기 설비(102)는 송출 전력 등을 조절하여 제4 구역(즉, 접근 금지 구역)까지 도달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 설비(102)는 작업자(50)가 제4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33). 구체적으로, 전기 설비(102)는 제4 구역 내에 있는 RFID 태그(106)들로부터 고유 키 값을 포함하는 응답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한 RFID 태그(106)의 키 값 중 제4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와 대응하는 키 값이 있는지를 통해 작업자(50)가 제4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33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4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 전기 설비(102)는 제4 경보를 발생한다(S 135). 여기서, 제4 경보는 제3 경보 보다 경보 레벨이 높은 경보일 수 있다.
단계 S 133의 확인 결과, 작업자(50)가 제4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고 있는 경우, 전기 설비(102)는 전기 설비(102)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한다(S 137).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는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전기 설비(예를 들어, 전기 설비(104))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102 : 제한 거리 표시 장치
102-1 : 제1 제한 거리 표시부
102-2 : 제2 제한 거리 표시부
102-3 : 제3 제한 거리 표시부
102-4 : 제4 제한 거리 표시부
104 : 전기 설비
106 : RFID 태그
106-1 : 제1 RFID 태그
106-2 : 제2 RFID 태그
106-3 : 제3 RFID 태그
106-4 : 제4 RFID 태그
111 : 작업자 감지 센서
113 : 보호구 착용 확인부
115 : 경보부
117 : 잠금 해제부

Claims (23)

  1. 전기 설비에 장착되며, 작업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장치; 및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제1 제한 거리 이내의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 제2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제한 구역, 제3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한계 구역, 및 제4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금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 거리에서 상기 제4 제한 거리로 갈수록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가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전기 설비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접근 제한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제한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작업자가 접근 한계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한계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접근 금지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금지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각 보호구에 장착된 RFID 태그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1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1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1 RFID 태그;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2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2 RFID 태그;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3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3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3 RFID 태그; 및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제4 보호구에 장착되고, 상기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제4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제4 RFID 태그를 포함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구역이 상기 전기 설비에 가까울수록 높은 레벨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마련되는,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확인 장치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전기 설비에 접근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복수 개의 제한 거리에 해당하는 지점이 바닥면에 표시되도록 마련되는 제한 거리 표시 장치를 더 포함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시스템.
  10. 아크 플래시가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설비로서,
    작업자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기 작업자와의 거리를 측정하며,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작업자 감지 센서; 및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보호구 착용 확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제1 제한 거리 이내의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 제2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제한 구역, 제3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한계 구역, 및 제4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금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 거리에서 상기 제4 제한 거리로 갈수록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가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부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접근 제한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제한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작업자가 접근 한계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한계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접근 금지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금지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각 보호구에 장착된 RFID 태그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전기 설비.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전기 설비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설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경보부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구역이 상기 전기 설비에 가까울수록 높은 레벨의 경보가 발생되도록 마련되는, 전기 설비.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전기 설비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전기 설비에 접근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설비.
  1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아크 플래시가 발생할 수 있는 전기 설비가 설치된 영역의 기 설정된 구역에 작업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와 상기 전기 설비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기 설정된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
    상기 작업자가 착용하는 보호구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RFID 태그로부터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제1 제한 거리 이내의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 제2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제한 구역, 제3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한계 구역, 및 제4 제한 거리 이내의 접근 금지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한 거리에서 상기 제4 제한 거리로 갈수록 아크 플래시에 의한 사고 에너지가 크도록 설정되며,
    상기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아크 플래시 보호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제1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접근 제한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제한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제2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작업자가 접근 한계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한계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3 주파수 대역의 제3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작업자가 접근 금지 구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금지 구역까지 도달할 수 있는 제4 주파수 대역의 제4 보호구 착용 확인 신호를 송출하여 각 보호구에 장착된 RFID 태그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경보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업자가 해당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은 구역이 상기 전기 설비에 가까울수록 높은 레벨의 경보를 발생시키는,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
  23.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구역은, 상기 전기 설비를 기준으로 상기 전기 설비와의 거리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구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작업자가 상기 전기 설비에 접근하는 동안 상기 복수 개의 각 구역에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를 모두 착용한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
KR1020170114580A 2017-09-07 2017-09-07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1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80A KR102019404B1 (ko) 2017-09-07 2017-09-07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4580A KR102019404B1 (ko) 2017-09-07 2017-09-07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99A KR20190027599A (ko) 2019-03-15
KR102019404B1 true KR102019404B1 (ko) 2019-09-06

Family

ID=65762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580A KR102019404B1 (ko) 2017-09-07 2017-09-07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4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301A (ja) * 2006-12-08 2008-06-26 Systec:Kk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KR101357444B1 (ko) * 2012-12-27 2014-02-0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안전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3840B1 (ko) 2013-07-10 2013-09-04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아크 플래시 감지 및 차단을 위한 아크플래시 에너지 산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6301A (ja) * 2006-12-08 2008-06-26 Systec:Kk 保護具着用検知システム及びid−tag付き保護具
KR101357444B1 (ko) * 2012-12-27 2014-02-05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발전소 안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599A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80866B2 (en) Line connector having a link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9836941B2 (en) Heavy equipment proximity alert system
US8922431B2 (en) Apparatus, a system and a method for collission avoidance
KR20180037209A (ko) 개인 안전을 제공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 및 프로세스
JP2018531443A6 (ja) 個人の安全を確保するためのシステムとプロセスの自動化
CN104007715A (zh) 具有位置和导数决定参考的基于识别的工业自动化控制
CA2796846C (en) Object proximity warning system and method
CN108885820B (zh) 气体检测器设备及更新其上的位置信息的方法
CN102877888B (zh) 接近预警系统
KR20120075033A (ko) 송전선로 모바일 감시시스템
CN109502439A (zh) 受限进入区域安全系统
CN104102186A (zh) 具有冗余系统输入支持的基于识别的工业自动化控制
JP2019144040A (ja) センサを用いた物体監視装置
KR102019404B1 (ko) 아크 플래시 보호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JP6960299B2 (ja) 吊荷警報システム
KR101939099B1 (ko) 스마트 지게차 연동형 물류관리장치
JP6434295B2 (ja) 重機周りの安全管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102570651B1 (ko) 안전모 착용 및 위치 정보를 통한 작업자의 동선 확인 시스템
KR102010886B1 (ko) 사물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가스용기 출납 모니터링시스템
KR20200086400A (ko) 듀얼 ap와 비콘 간 통신 커버리지를 활용한 건설장비 접근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71650B1 (ko) 송전선 접근경보장치
DuCarme Developing effective proximity detection systems for underground coal mines
US9668321B2 (en) Safety checking apparatus, beam irradiation system, and safety checking method
KR102150802B1 (ko) 건설현장의 개구부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115508B1 (ko) 근접센서를 가지는 안전벨트용 사물인터넷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