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59B1 - Intraoral sensor - Google Patents

Intraoral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59B1
KR102019259B1 KR1020190014477A KR20190014477A KR102019259B1 KR 102019259 B1 KR102019259 B1 KR 102019259B1 KR 1020190014477 A KR1020190014477 A KR 1020190014477A KR 20190014477 A KR20190014477 A KR 20190014477A KR 102019259 B1 KR102019259 B1 KR 102019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sensor panel
control member
bending
elastic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4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5457A (en
Inventor
전진표
김태우
임형근
허성근
Original Assignee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 레이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텍이우홀딩스, 주식회사 레이언스 filed Critical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to KR1020190014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59B1/en
Publication of KR2019001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B6/5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e.g.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4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 A61B6/145Applications or adaptations for dentistry by intraor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휘어짐 가능한 센서패널과;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휘어짐 가능한 탄성조절부재와;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패널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회로와;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센서패널, 상기 탄성조절부재, 상기 무선통신회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실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상기 센서패널,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구강 내에서 상기 구강 구조에 따라 휘어지는 구강 내 센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panel capable of bending and generating electrical signals by detecting X-rays; An elastic adjustment membe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capable of ben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panel to the outsi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battery modul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supplying power; And a housing for mounting the sensor panel, the elastic control memb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the battery module. The housing, the sensor panel, and the elastic control member include an intraoral sensor that is bent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structure. to provide.

Figure 112019012888113-pat00001
Figure 112019012888113-pat00001

Description

구강내 센서{Intraoral sensor}Intraoral sensor {Intraoral sensor}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강내 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raoral 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raoral sensor configured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의료나 공업용 X선 촬영에서 기존에는 필름을 이용한 방식이 사용되었다.In medical or industrial X-ray imaging, film-based methods have been used.

그런데, 필름 방식의 경우 촬영된 필름의 현상 및 보관상의 문제 등에 기인하여 비용 및 시간 측면에서 비효율적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방식의 이미지센서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However, the film method was inefficient in terms of cost and time due to development and storage problems of the photographed film. To improve this, digital image sensors are now widely used.

한편, 이와 같은 디지털 센서는 구강내 센서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구강내 센서는 일반적으로 유선케이블과 연결되는 형태를 갖게 되어, 유선케이블을 통해 데이터 통신 및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such a digital sensor is widely applied to the intraoral sensor. Currently used intraoral sensors are generally connected to a wired cable, so that data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are made through the wired cable.

그런데, 유선케이블 연결 방식의 구강내 센서는 사용시 여러 가지 불편함을 유발하게 된다. However, the intraoral sensor of the wired cable connection method causes various inconveniences when used.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센서를 사용한 X선 촬영시, 유선케이블은 구강내에서 외부로 인출되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유선케이블은 수진자의 치아나 입 주변 등에 접촉하게 되어 수진자는 상당한 불편함과 심리적 부담을 갖게 된다.In this regard, when X-ray imaging using the intraoral sensor, the wired cable is drawn out from the oral cavity, the wired cable is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teeth or around the mouth, so the patient has a significant inconvenience and psychological burden Will have

또한, 사용 및 보관 중 케이블 걸림 등으로 인해 X선 촬영의 불량이 유발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cable jam during use and storage may cause poor X-ray imaging.

또한, 유선케이블은 수미터 정도의 긴 길이를 갖게 되므로, 이를 보관하거나 설치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d cable has a length of about several meter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store or install it.

이처럼, 유선케이블 방식의 구강내 센서는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As such, the intraoral sensor of the wired cable type has many problems in terms of ease of use.

본 발명은 구강내 센서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에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to provide a method for improving the ease of use of the intraoral sensor.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휘어짐 가능한 센서패널과;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휘어짐 가능한 탄성조절부재와;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패널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회로와;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센서패널, 상기 탄성조절부재, 상기 무선통신회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실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상기 센서패널,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구강 내에서 상기 구강 구조에 따라 휘어지는 구강 내 센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nsor panel capable of bending and generating electrical signals by detecting X-rays; An elastic adjustment membe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capable of ben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panel to the outsid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A battery modul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supplying power; And a housing for mounting the sensor panel, the elastic control memb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the battery module. The housing, the sensor panel, and the elastic control member include an intraoral sensor that is bent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structure. to provide.

여기서,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휘어짐 정도는 상기 센서패널의 휘어짐 정도 보다 작고,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센서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휘어짐 정도 이하로 제한하도록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을 덮는 시트 형상일 수 있다.Here, the bending degree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is smaller than the bending degree of the sensor panel, the elastic control member, covering the rear of the sensor panel to limit the bending degree of the sensor panel to less than the bending degree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It may be sheet-shaped.

상기 탄성조절부재 후방에 위치하고 휘어짐 가능하며 상기 무선통신회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capable of bending and mount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박막 형태일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may have a thin film form.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센서패널의 전방을 보호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강 내에서 상기 구강 구조에 따라 휘어지는 제 1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ase that protects the front of the sensor panel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nsor panel is bent in the oral cavity according to the oral cavity structure.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을 배치되는 그립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회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그립홀더에 대응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grip holder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 hold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상기 센서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두께는 30um~70um일 수 있다.The sensor panel may include a substrate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ormed on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30 μm to about 70 μm.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내 센서에 무선통신회로와 배터리모듈을 내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강내 센서는 데이터 통신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별도의 유선케이블과 연결될 필요 없이 독립적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a battery module are embedded in the intraoral sensor. Accordingly, the intraoral sensor can be used in an independent form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separate wired cable for data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따라서, 종래의 유선케이블 사용에 따른 환자 불편감, 사용 및 보관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강내 센서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atient discomfort, use and storag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conventional wired cable can be solved, and the ease of use of the intraoral sensor can be maximized.

또한, 구강내 센서에 제한된 범위내에서 휨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불편감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art bending characteristics to the intraoral sensor within a limited ran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lleviate user discomfort while minimizing image dist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ensor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강내 센서를 무선 방식으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유선 방식의 구강내 센서 사용에 따른 사용 편의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강내 센서에 대해 휘는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영상 왜곡을 완화하고 환자 불편감을 개선할 수 있다. 여기서, 휘는 특성은 플렉서블(flexible)이나 벤더블(bendable) 특성에 상응하는 의미를 갖는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intraoral sensor in a wireless mann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ase of us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conventional intraoral sensor of the wired method. Furtherm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iving the bending characteristic to the intraoral sensor, it is possible to alleviate image distortion and improve patient discomfort. Here, the bending characteristic has a meaning corresponding to the flexible or bendable characteristic.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기구적 구성은 생략하였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for the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is omitt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100)는 센서패널(110)과, 구동회로모듈(130)과, 배터리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nsor panel 110, a driving circuit module 130, and a battery module 170.

구동회로모듈(130)은 센서패널(110)에 입/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하는 신처처리회로(131)와, 외부 시스템인 콘솔(console: 400)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회로(133)를 구비할 수 있다.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may include a location processing circuit 131 for processing an electrical signal input / output to the sensor panel 11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nsole 400 that is an external system. 133 may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강내 센서(100) 내에 신호처리회로(131)과 무선통신회로(133)를 구성함으로써, 구강내 센서(100)를 무선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signal processing circuit 131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in the intraoral sensor 100, the intraoral sensor 100 can be configured in a wireless manner.

한편, 무선 방식으로 구강내 센서(100)를 구성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별도의 구동 전원을 인가받을 수 없게 되므로, 구강내 센서(100)에 전원으로서 배터리모듈(170)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모듈(170)은 박막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On the other hand, as the intraoral sensor 100 is configured in a wireless manner, since a separate driving power cannot be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intraoral sensor 100 is provided with a battery module 170 as a power source. The battery module 17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thin film for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의 구강내 센서(1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패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raoral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2, Figure 4 is a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nel,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3을 참조하여 구강내 센서(100)의 구조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구강내 센서(100)는 X선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센서패널(110)과, 탄성조절부재(120)와, 구동회로모듈(130)과, 박막 형태의 배터리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structur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with reference to Figures 2 and 3, the intraoral sensor 100 is a sensor panel 110, an elastic control member 120, dispos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X-ray,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and a thin film battery module 170 may be included.

한편, 박막 형태의 배터리모듈(170)은, 탄성조절부재(120)와 구동회로모듈(1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module 170 in the form of a thin film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and the drive circuit module 130.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와 같이 구강내 센서(100)의 내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코어모듈(101)이라 한다.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terior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s described above is referred to as a core module 101.

또한, 구강내 센서(101)는, 전술한 코어모듈(101)을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한 기구적 구성들로서, 코어모듈(101)의 전방을 보호하는 제1케이스(210)와, 코어모듈(101) 후방을 지지하는 그립홀더(220)와, 제1케이스(210)와 그립홀더(220)를 결합하는 제2케이스(230)와, 제2케이스(230)를 덮어 감싸는 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raoral sensor 101 is a mechanical configuration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the above-described core module 101, the first case 210 and the core module 101 to protect the front of the core module 101 ) Includes a grip holder 220 supporting the rear, a second case 230 coupling the first case 210 and the grip holder 220, and a housing 240 covering the second case 230. can do.

센서패널(110)에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유효영역, 즉 액티브 영역에 횡방향과 열방향을 따라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다. 각 화소에는 포토다이오드와 같은 광전변환소자와 스위칭 소자가 구성되어, 입사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및 전송하게 된다. 스위칭 소자는 CMOS 트랜지스터 또는 TFT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sensor panel 110, a plurality of pixels are arranged in a matrix form in an effective area, ie, an active area, for acquiring an image,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lumn direction. Each pixel includes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such as a photodiode and a switching element to convert and transmit incident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witching element can be implemented with a CMOS transistor or a TFT.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센서패널(110)의 일측에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패드들이 구성되어 있다.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pads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re configured at on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구강내 센서(100)의 벤더블 특성 구현에 있어, 센서패널(110) 또한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센서패널(110)은 반도체, 세라믹, 유리 등의 취성 기판을 사용한 것을 전제로 기판의 두께가 100um 이하, 일례로 30um~70u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두께로 센서패널(110)의 기판을 형성하게 되면, 센서패널(110)의 벤딩 강도(bending strength)가 최적화될 수 있다.In the implementation of the wobble characteristic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the sensor panel 110 is also configured to have a wobble characteristic. To this end, the sensor panel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thickness of 100um or less, for example 30um ~ 70um assuming that a brittle substrate such as a semiconductor, ceramic, glass, or the like is used. When the substrate of the sensor panel 110 is formed in such a thickness, the bending strength of the sensor panel 110 may be optimized.

위 두께의 기판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기판의 배면 측을 일정 두께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광전변환소자가 형성된 면과 반대되는 배면에 대해, 기계적 그라인딩(grinding), 화학적 연마, 플라즈마 에칭 등의 공정을 진행하여 기판의 두께를 전술한 바와 같은 정도로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form a substrate of the above thickness, for example, a method of removing a certain thickness of the back side of the substrate may be used. That is,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can be formed as thin as described above by performing a process such as mechanical grinding, chemical polishing, plasma etching, etc. on the back surface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is formed.

한편, 센서패널(110)은 입사된 X선을 전기적 신호로 직접 변환하는 직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나, 입사된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nsor panel 110 is a sensor panel of the direct conversion method that directly converts the incident X-rays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an indirect conversion sensor panel that converts the incident X-rays into visible light and converts it into electrical signals Can be used.

여기서, 간접 변환 방식의 센서패널(110)이 사용되는 경우에,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패널(110)은 기판(111)의 일면, 즉 광전변환소자 상에 X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scintillator)층(140)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indirect conversion sensor panel 110 is used, as shown in FIG. 4, the sensor panel 110 may display X-rays as visible light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that is, the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A phosphor layer 140 for converting may be provided.

도 4에서는, 센서패널(110)에 있어 X선 입사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와 다른 예로서 X선 입사면의 반대면에 형광체층(140)이 구성될 수 있다.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hosphor layer 140 is formed on the X-ray incide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110, but as another example, the phosphor layer 140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X-ray incident surface. .

형광체층(140)은, 예를 들면, 접착제(145)를 통해 기판(111)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형광체층(140) 상에는, 형광체층(140)을 보호하기 위한 방사선 투과성의 보호막(150)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145)는 광투과도가 높은 연성의 접착제, 일례로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이 사용될 수 있고, 보호막(150)은 방사성 투과성과 습기 차단성이 높은 수지재질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접착제(145)는 기판의 취성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10~50um, 바람직하게는 OCA 필름을 전제로 15~40um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The phosphor layer 140 may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111 through, for example, an adhesive 145. On the phosphor layer 140, a radiation protective film 150 for protecting the phosphor layer 140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adhesive 145 may be a soft adhesive having a high light transmittance, for example, an 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and the protective film 150 may be a resin film having high radioactive transmittance and moisture barrier property. For reference, the adhesive 145 may have a thickness of 10 μm to 50 μm, preferably 15 μm to 40 μm, on the premise of an OCA film to serve as a role of alleviating the brittleness of the substrate.

한편, 형광체층(140)을 구성하는 형광체로서는, 예를 들면, CsI를 사용한 형광체나, 개독스(Gadox: Gd2O2:Tb)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phosphor constituting the phosphor layer 140, for example, a phosphor using CsI or a phosphor using Gadox (Gadox: Gd 2 O 2 : Tb) can be used.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100)가 벤더블 특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주상 결정 구조의 CsI 형광체 보다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독스 형광체는 미립자 구조를 갖게 되므로, 구강내 센서(110)가 휘게 되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은 매우 낮아 결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제조가 보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Here,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have a wobbleable property, it is preferable to use a phosphor using dogdogs rather than a CsI phosphor having a columnar crystal structure. Since the dogdogs phosphor has a particulate structure, even if the intraoral sensor 110 is bent, the possibility of breakage is very low and defects do not occur. Moreover, the phosphor layer 140 using dogdogs has an advantage of easier manufacturing.

참고로, 개독스를 사용한 형광체층(140)은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 250~500um, 바람직하게는 300~450um 의 두께를 나타낼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phosphor layer 140 using dogdogs may have a thickness of 250 μm to 500 μm, preferably 300 μm to 450 μm,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amount of light.

또한, 형광체층(140)이 형성된 기판(111)의 반대면에는 플렉서블층(155)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플렉서블층(155)은 유연성을 지닌 수지재질,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olyimide: PI)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렉서블층(155)은 이미지센서의 휘어짐에 대해 기판(111)의 취성을 완화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두께를 나타낼 수 있고, 예를 들면 50~150u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a flexible layer 155 may be formed on an opposite surface of the substrate 111 on which the phosphor layer 140 is formed. The flexible layer 155 may be formed of a flexible resin material, for example, polyimide (polyimide). PI). In this case, the flexible layer 155 may exhibit a sufficient thickness to prevent breakage by preventing brittleness of the substrate 111 against bending of the image sensor, and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0 to 150 μm, for example.

구동회로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를 사용하여 판 형태로 제작되어 센서패널(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회로모듈(130)은, 센서패널(11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센서패널(110)에서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콘솔(400)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또한 콘솔(400)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송받게 된다.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may be manufactured in a plate shape 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disposed behind the sensor panel 110.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to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panel 110 and wirelessly transmit it to the external console 400, and also to the console 400. You will receive a signal from.

이와 같은 신호 전송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를 위해 구동회로모듈(130)에는 무선통신회로(133)가 구비될 수 있다. Such a signal transmission is perform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무선통신회로(133)는 송신기(transmitter)와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무선 형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rough which a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in a wireless form.

한편, 다른 예로서, 무선통신회로(133)는 구동회로모듈(130)의 외부에 구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면 무선통신회로(133)를 소형으로 제작하여 그립홀더(22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구동회로모듈(130)과 무선통신회로(133)는 전송배선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Meanwhile, as anothe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may be configured outside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may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installed in the grip holder 220. . In this case,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transmission wiring.

더욱이, 구동회로모듈(130)을 소형으로 제작하고 이를 그립홀더(220) 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구동회로모듈(130)에 설치된 무선통신회로(133)가 그립홀더(2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may be manufactured in a small size and installed in the grip holder 220. According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installed in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may be located in the grip holder 220. have.

이처럼, 구동회로모듈(130)이나 무선통신회로(133)를 그립홀더(220) 내에 위치시키게 되면, 구강내 센서(100)의 두께나 크기를 보다 더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when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33 is positioned in the grip holder 220, the thickness or size of the intraoral sensor 100 may be further reduced.

한편, 기판 형태의 구동회로모듈(130)에 있어, 구강내 센서(100)의 벤더블 특성 구현을 위해, 플렉서블(flexible) 재질로 이루어진 플렉서블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in the form of a substrate, a flexible substrat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may be used to implement the wobble characteristic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한편, 구강내 센서(100)의 휘는 특성 구현에 있어, 구동회로모듈(130)의 두께는 150~350um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센서패널(110) 이하의 탄성도면 충분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bending characteristic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the thickness of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may be 150 ~ 350um, but is not limited to this, the elastic degree of the sensor panel 110 or less is sufficient.

탄성조절부재(120)는 일례로 센서패널(110)과 구동회로모듈(130) 사이에 위치하고, 센서패널(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서 센서패널(110) 후방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elastic adjustment member 12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and may be formed to cover the entire rear of the sensor panel 110 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nsor panel 110.

탄성조절부재(120)는 센서패널(110) 또는 구동회로모듈(130) 이상의 탄성도를 나타내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다. Elastic control member 12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howing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or the drive circuit module 130 or more.

이를 통해, 탄성조절부재(120)는 센서패널(110)과 구동회로모듈(130)의 휘어짐 정도 즉, 센서패널(110)과 구동회로모듈(130)의 탄성도를 자신의 휘어짐 정도 이하 즉,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도 이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is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drive circuit module 130, that is, the degree of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drive circuit module 130 is less than the degree of their bending, Elasticity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can be adjusted to more than.

이에 따라,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도 내 외력의 크기에 따라 구강내 센서(100)의 휘어짐 정도가 가변되면서 벤더블 특성과 복원력을 갖도록 하는 동시에, 구강내 센서(100)의 휘어짐에 대해 센서패널(110)의 취성을 완화시켜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s vari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external force within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to have a wobbleable characteristic and a restoring force, and also to the bending of the intraoral sensor 100. The sensor panel 110 may function to alleviate and protect brittleness.

즉, 사이즈나 두께 등에 따라 각각의 탄성도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임의로 센서패널(110)의 탄성도를 제 1 탄성도, 구동회로모듈(130)의 탄성도를 제 2 탄성도라 가정하면, 제 1 탄성도는 통상 제 2 탄성도 이상이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제 1 탄성도 이상의 제 3 탄성도를 나타내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바, 센서패널(110)과 인쇄회로기판(130)의 탄성도를 제 3 탄성도 이상으로 조절하여 이미지센서(100)가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계 내에서 휘어짐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도에 의해 탄성조절부재(120)의 탄성한계 내에서 구강내 센서(100)가 휘어진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래 형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That is, each elasticity may vary depending on size or thickness, but if the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is arbitrarily assumed as the first elasticity and the elasticity of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is the second elasticity, The first elasticity is usually more than the second elasticity. And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is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showing a third elasticity of more than the first elasticity bar, by adjusting the elasticity of the sensor panel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to a third elasticity or more The image sensor 100 enables the bending within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while the intraoral sensor 100 within the elastic limit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 After bending,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이를 위해 탄성조절부재(120)는 수지재질, 특히 2종류 이상의 소재가 조합된 복합재료의 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강화재와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수지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may be a resin material, in particular, a resin material of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two or more kinds of materials are combined, and preferably, a composite resin material including a reinforcing material and a resin.

더 나아가 탄성조절부재(120)는 평면적으로 볼 때 제1방향의 휨 특성과 이와 수직한 제2방향의 휨 특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urthermore, the elastic adjustment member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such that the bending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bending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plan view.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센서(100)가 평면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의 길이가 이와 수직한 y축 방향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 형태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 때, 탄성조절부재(120)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구강내 센서(100)가 실질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도, x축과 y축 방향의 휨 특성이 서로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length of the x-axis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y-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has a long axis direc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mprised so that the bending characteristic of the x-axis direction of phosphorus may be larger than the bending characteristic of the y-axis direction which is a short axis direction. On the other hand, even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bending characteristics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은 휨 특성에 따라, 구강내 센서(100)는 단축 방향에 비해 장축 방향으로 더욱 잘 휘게 되어, 구강내 센서(100)를 사용한 구강 내 촬영 시 환자의 불편감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such bending characteristics, the intraoral sensor 100 is more bent in the long axis direction than the short axis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lleviate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during the intraoral imaging using the intraoral sensor 100.

이와 관련하여, 구강내 촬영 시에는, 구강내 센서(100)의 모서리 부분에 의해 환자의 불편감이 유발되며, 특히 장축 방향의 끝단 부분이 환자의 불편감 유발에 매우 큰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바, 구강내 센서(100)에 휨 특성, 특히 장축 방향에 보다 큰 휨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불편감을 상당한 정도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is regard, at the time of intraoral imaging,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is caused by the corner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in particular, the end portion of the long axis direction plays a very large role in causing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As such, by providing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greater the flexural characteristics in the long axis direction, to the intraoral sensor 100, the discomfort felt by the patient can be allevi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또한, 탄성조절부재(120)는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므로 비틀림 응력을 x, y축 방향의 응력으로 분산시키되 그 대부분을 x축 방향의 응력으로 전환시켜, 센서패널(110), 특히 기판(1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bending property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larger than the bending property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short axis direction, the torsional stress is dispersed in the stresses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but most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By switching to the stress of, the damage to the sensor panel 110, in particular the substrate 111 can be prevented.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는, 복합재료의 수지재질로서 예를 들면, 섬유강화재를 포함하는 FRP(fiber reinforced polym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FRP는 불포화 폴리에스터, 에폭시, 페놀, 폴리이미드 등의 열경화성 수지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ABS, PBT, PP, SAN 등의 열가소성 수지 기재에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붕소 섬유 등의 무기계 섬유 또는 아라미드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케블라(Keblar) 섬유 등의 유기계 섬유가 강화재로 포함된 물질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having different bend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lanar direction may be made of a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including, for example, a fiber reinforced material as the resin material of the composite material. FRP is an inorganic fiber or aramid such as glass fiber, carbon fiber, boron fiber or the like on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unsaturated polyester, epoxy, phenol, polyimide, or thermoplastic resin substrate such as polyamide, polycarbonate, ABS, PBT, PP, SAN, etc. Organic-based fibers such as fibers, polyester fibers, and Keblar fibers are included in the reinforcing material.

여기서, 탄성조절부재(120)에 대해 장축 방향인 x축 방향의 휨 특성이 단축 방향인 y축 방향의 휨 특성 보다 크도록 구성하는 경우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 a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FIG. 5 with respect to a case in which the bending property of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is greater than the bending property of the y axis direction of the short axis direction.

도 5를 참조하면, 탄성조절부재(120)에는 제1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제1원사(FT1)가 배열된 제1원사층(121)과, 제2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제2원사(FT2)가 배열된 제2원사층(122)이 각각 수지기재에 함침된 상태로 두께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전술한 섬유를 결집하여 일방향으로 엮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includes a first yarn layer 121 in which a first yarn FT1 is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that is, in the x direction, and a second yarn,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in the y direction. The second yarn layer 122 in which the two yarns FT2 are arranged is alternately arrang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in the state of being impregnated in the resin base material, respectively. Here,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may be formed by gathering the aforementioned fibers and weaving them in one direction.

특히, x축 즉 장축 방향으로 제1원사(FT1)가 배열된 제1원사층(121)의 수가, y축 즉 단축 방향으로 제2원사(FT2)가 배열된 제2원사층(122)의 수에 비해 적게 형성되는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원사층(121)은 1개, 제2원사층(122)은 2개가 배치된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리고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카본재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조절부재(120)는 CF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particular, the number of the first yarn layer 121 in which the first yarn FT1 is arranged in the x-axis or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yarn layer 122 in which the second yarn FT2 is arranged in the y-axis or short axis direction. Although less than the number is formed, in FIG. 5,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one first yarn layer 121 and two second yarn layers 122 are disposed is taken as an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are made of carbon, and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ses CFRP.

이와 같이, 장축 방향의 제1원사층(121)이 단축 방향의 제2원사층(122)에 비해 적은 수로 형성됨으로써, 장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도 즉 높은 휨 특성을 갖게 되고 단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도 즉 낮은 휨 특성을 갖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yarn layer 121 in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in a smaller number than the second yarn layer 122 in the minor axis direction, the major axis direction has a relatively low elasticity, that is, a high bending characteristic, and the minor axis direction is relatively This results in high elasticity, that is, low bending characteristics.

여기서, 장축 방향의 탄성도와 단축 방향의 탄성도의 비는 대략 1:1.5~1:6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대략 200~400u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조절부재(120)가 300um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 장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000~30000MPa, 단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500~180000Mpa를 나타내도록 탄성조절부재(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휨강도는 200~400um의 두께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ratio of the elasticit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elasticity in the minor axis direction may be about 1: 1.5 to about 1: 6. And, the elastic adjustment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200 ~ 400um. At this time, when the elasticity control member 120 has a thickness of 300um, the elasticity of the long axis direction is the bending strength 1000 ~ 30000MPa, the elasticity of the short axis direction is to form the elasticity control member 120 to show the bending strength 1500 ~ 180000Mpa It is preferable that such flexural strength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thickness of 200 ~ 400um.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원사 배열 방향이 서로 교차하는 원사층(121, 122)의 적층수를 달리함으로써,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에 비해 높은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By varying the number of stacked layers of yarn layers 121 and 122 in which the yarn arrangement directions cross each other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having a long axis direction having a higher bending characteristic than the short axis direction can be realized. .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탄성조절부재(120)의 다른 예에 대해 도 6을 참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t can refer to Figure 6 for another example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방향, 즉 x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1원사(FT1)와 제2방향, 즉 y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제2원사(FT2)가 교차된 상태로 수지기재에 함침되어 있고, 특히 x축 즉 장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원사(FT1)의 밀도(즉, 이격 간격)가 y축 즉 단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2원사(FT2)의 밀도(즉, 이격 간격)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및 제2원사(FT1, FT2)는 카본재질로서 CFRP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yarn FT1 arranged along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x direction, and the second yarn FT2 arranged along the second direction, that is, the y direction, are impregnated in the resin material. In particular, the density (ie, the spacing) of the first yarn FT1 arranged in the x-axis, that is, the major axis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density (ie, the spacing) of the second yarn FT2, arranged in the y-axis, or uniaxial direction. It is formed low.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use CFRP as the carbon material for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이와 같이, 장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1원사(FT1)의 밀도가 단축 방향으로 배열된 제2원사(FT2)의 밀도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장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탄성도 즉 높은 휨 특성을 갖게 되고 단축 방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도 즉 낮은 휨 특성을 갖게 된다.As such, since the density of the first yarn FT1 arranged in the long axis direction is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second yarn FT2 arranged in the short axis direction, the long axis direction has relatively low elasticity, that is, high bending characteristics. The short axis direction has a relatively high elasticity, that is, low bending characteristics.

여기서, 앞서와 마찬가지로 장축 방향의 탄성도와 단축 방향의 탄성도의 비는 대략 1:1.5~1:6 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조절부재(120)는 대략 200~400um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탄성조절부재(120)가 300um의 두께를 갖는 경우에, 장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000~30000MPa, 단축 방향의 탄성도는 휨강도 1500~180000Mpa를 나타내도록 탄성조절부재(12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휨강도는 200~400um의 두께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Here, as before, the ratio of the elasticity in the major axis direction and the elasticity in the minor axis direction may be about 1: 1.5 to about 1: 6. And, the elastic adjustment member 120 is preferably formed to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200 ~ 400um. At this time, when the elasticity control member 120 has a thickness of 300um, the elasticity of the long axis direction is the bending strength 1000 ~ 30000MPa, the elasticity of the short axis direction is to form the elasticity control member 120 to show the bending strength 1500 ~ 180000Mpa It is preferable that such flexural strength can be applied even when the thickness of 200 ~ 400um.

전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서로 교차하는 제 1 및 제 2 원사(FT1, FT2)의 밀도를 달리하여 장축 방향이 단축 방향에 비해 높은 휨 특성을 갖는 탄성조절부재(120)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By varying the densities of the first and second yarns FT1 and FT2 intersecting each other in the form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having a long axis direction is higher than the short axis direction.

한편, 재차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구강내 센서(100)에는 박막 형태의 배터리모듈(170)이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referring again to Figures 2 and 3, the intraoral sensor 100 is disposed in the battery module 170 of the thin film for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강내 센서(100)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신호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바, 별도의 전원인 배터리모듈(170)이 구강내 센서(100)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회로모듈(130)과 센서패널(1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erform a signal transmiss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battery module 170 as a separate power source in the intraoral sensor 100. It is installed to supply power to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and the sensor panel 110.

배터리모듈(170)은, 구강내 센서(100)의 두께를 고려하여, 박막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모듈(170)이 구강내 센서(100)에 내장되더라도, 구강내 센서(100)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The battery module 170 may be manufactured in a thin film form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ly, even when the battery module 170 is embedded in the intraoral sensor 100, the thickness of the intraoral sensor 100 does not increase substantially.

더욱이, 구강내 센서(100)가 휘는 특성을 갖는 경우에, 배터리모듈(170) 또한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has a bending characteristic, the battery module 170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flexible characteristic.

한편, 구강내 센서(100)가 휘는 특성을 갖는 경우에, 실질적으로 휨 특성이 없는 비플렉서블(non-flexible) 특성의 배터리모듈(170)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배터리모듈(170)은, 구강내 센서(100)에서 휨 특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앙부로서 그립홀더(220)에 지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내 센서(100)가 휘는 경우에도, 이에 따라 배터리모듈(170)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has a bending characteristic, a non-flexible (non-flexible) battery module 170 may be used substantially. In this case, the battery module 170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portion supported by the grip holder 220 as a central portion having a relatively low bending characteristic in the intraoral sensor 100. Accordingly, even when the intraoral sensor 100 is bent, a problem such as damage to the battery module 170 may be prevented.

여기서, 배터리모듈(170)은 유선 방식이나 무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다. 유선 방식으로 충전되는 경우에 충전용 케이블이 연결되기 위한 커넥터가 구강내 센서(100)에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그립홀더(220) 부분에 충전용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battery module 170 may be charged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In the case of charging in a wired manner, a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harging cable is provided in the intraoral sensor 100, for example, the charging connector 220 may be provided in the charging connector.

전술한 구성들로서, 센서패널(110)과 탄성조절부재(120)와 구동회로모듈(130)과 배터리모듈(140)들은 서로 결합되어 코어모듈(101)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들의 결합을 위해, 이웃하는 구성들은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접착제로서는 연성이 우수한 OCA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sensor panel 110, the elastic control member 120, the driving circuit module 130, and the battery module 14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core module 101. At this time, for the bonding thereof, neighboring components may be bonded through an adhesive, and an OCA having excellent ductility may be used as the adhesi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재차 도 2 및 3을 참조하면, 구강내 센서(100)의 기구적 구성으로서, 윈도우커버(window cover)라고도 칭하여 지는 제1케이스(210)는 센서패널(110)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1케이스(210)는 센서패널(110)을 포함한 코어모듈(101)을 내부에 수납하는 형태로서, 후방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Meanwhile, referring again to FIGS. 2 and 3, as a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a first case 210, also referred to as a window cover, is located in front of the sensor panel 110. The first case 210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core module 101 including the sensor panel 110 therein, and may have a box shape having an open rear side.

*즉, 제1케이스(210)는 센서패널(110)의 전방면이 밀착되며 X-선 소스를 향하는 기저부(211)와, 기저부(211)의 가장자리 측변에서 후방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돌출된 형태의 측벽(213)을 포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case 210 has a shap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sensor panel 1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se 211 facing the X-ray source and vertically bent backward from the edge side of the base 211. May comprise sidewalls 213.

그립홀더(220)는 센서패널(110)의 후방 측에 위치하고, 구강내 X선 촬영시 구강내 센서(10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거나 기구물에 연결된다. The grip holder 220 is located at the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110 and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finger or connected to the apparatus to support the intraoral sensor 100 during intraoral X-ray imaging.

그립홀더(220)는 몸체(221)와, 몸체(221)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221)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연장된 판 형상의 밀착단(2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그립홀더(220)는 몰딩(moling) 방법에 의해 형성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grip holder 220 may include a body 221 and a close contact end 223 having a plate shape connected to the body 221 and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dy 221. The grip holder 220 may be formed by a molding method and integrally configu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밀착단(223)은 센서패널(110)의 중심 부분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밀착단(223)의 전면은 코어모듈(101)의 배면으로서, 예를 들면, 배터리모듈(170)의 배면에 밀착되어 코어모듈(101)의 후방을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밀착단(223)에 의해 지지되는 코어모듈(101) 중심 부분의 휨 정도가 밀착단(223)에 의해 제한될 수 있게 된다.The close end 223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nsor panel 110. The front surface of the close end 223 is the back surface of the core module 101,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battery module 170, for example, to support the rear of the core module 101. Accordingly,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re module 101 supported by the close end 223 may be limited by the close end 223.

즉, 밀착단(223)에 대응되는 구강내 센서(100)의 중심 부분은 덜 휘어지고 그 주변 부분은 상대적으로 더 휘는 특성을 갖게 되어, 환자의 불편감이 완화되고 영상 왜곡 또한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traoral sensor 100 corresponding to the close end 223 is less curved and its peripheral portion is relatively more curved, so that the discomfort of the patient can be alleviated and image distortion can also be minimized. do.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로서, 코어모듈(101)과 그 전방의 제1케이스(210) 그리고 후방의 그립홀더(220)는 서로 결합되어 모듈화된다. 이들 구성들의 결합을 보다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제2케이스(230)가 사용될 수 있다. 제2케이스(230)는 몰드 케이스일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re module 101, the first case 210 in front thereof, and the grip holder 220 in the rear thereof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modularized. To make the combination of these configurations even more robust, the second case 230 can be used. The second case 230 may be a mold case.

제2케이스(230)는 제1케이스(210)의 전면 및 외측면과, 코어모듈(101)의 배면과, 밀착단(223)의 배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case 230 may be formed to cover the front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case 210, the back surface of the core module 101,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lose end 223.

제2케이스(230)는, 예를 들면, UV에 의해 경화되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제한된 범위에서 휘어지는 특성을 고려하여, 제2케이스(230)를 구성하는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D 10~2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second case 230 is preferably made of, for example, a resin material that is cured by UV,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particular,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 of bending in a limited range, it is preferable that a material having a shore hardness of approximately D 10 to 20 is used as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case 23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제2케이스(230)가 적용된 구강내 센서(100)에 대해 몰딩 방법을 적용하여, 하우징(240)으로 덮여진 구강내 센서(100)가 제작될 수 있다. 이때, 그립홀더(220)의 일부는 하우징(240)에 의해 덮혀지지 않은 상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As such, by applying a molding method to the intraoral sensor 100 to which the second case 230 is applied, the intraoral sensor 100 covered with the housing 240 may be manufactured. In this case, a part of the grip holder 220 may be manufactured without being covered by the housing 240.

여기서, 하우징(240)은 연질 특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면, 실리콘이나 우레탄(urethan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하우징(240)을 구성하는 연질 재질로서 쇼어 경도(shore hardness)가 대략 A 30~50인 물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housing 24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soft properties, for example, silicon or urethane. In particular, a material having a Shore hardness of approximately 30 to 50 is preferably used as the soft material constituting the housing 24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연질 특성을 갖는 하우징(240)을 사용하게 되면, 구강내 촬영시 환자가 느끼는 고통이 상당한 정도로 완화될 수 있다.By using the housing 240 having the soft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the pain felt by the patient during intraoral imaging can be alleviated to a considerable extent.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내 센서에 무선통신회로와 배터리모듈을 내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구강내 센서는 데이터 통신 및 전력 공급을 위한 별도의 유선케이블과 연결될 필요 없이 독립적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raoral sensor has a built-in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a battery module. Accordingly, the intraoral sensor can be used in an independent form without being connected to a separate wired cable for data communication and power supply.

따라서, 종래의 유선케이블 사용에 따른 환자 불편감, 사용 및 보관 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구강내 센서의 사용 편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atient discomfort, use and storage problems caused by the use of the conventional wired cable can be solved, and the ease of use of the intraoral sensor can be maximized.

또한, 구강내 센서에 제한된 범위내에서 휨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 내에서 구강 내 구조물의 배치관계에 따라 휘어짐이 가능하게 되어, 영상 왜곡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불편감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art bending characteristics to the intraoral sensor within a limited ran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bend in accordance with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the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in the oral cavity, thereby minimizing image distortion can be alleviated user discomfort.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로운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등가되는 범위 내에서의 본 발명의 변형을 포함한다.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freely within the scop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invention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구강내 센서 110: 센서패널
120: 탄성조절부재 130: 구동회로모듈
131: 신호처리회로 133: 무선통신회로
170: 배터리모듈 210: 제1케이스
220: 그립홀더 230: 제2케이스
240: 하우징
100: intraoral sensor 110: sensor panel
120: elastic control member 130: drive circuit module
131: signal processing circuit 133: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170: battery module 210: first case
220: grip holder 230: second case
240: housing

Claims (8)

X선을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고 휘어짐 가능한 센서패널과;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며 휘어짐 가능한 탄성조절부재와;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후방에 위치하고 휘어짐 가능하며 상기 센서패널에서 생성된 전기적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으로 외부로 전송하고,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회로가 장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후방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
상기 센서패널, 상기 탄성조절부재, 상기 무선통신회로, 상기 배터리 모듈을 실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상기 센서패널,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구강 내에서 구강 구조에 따라 휘어지는 구강 내 센서.
A sensor panel capable of detecting an X-ray and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and bending;
An elastic adjustment member positioned at a rear side of the sensor panel and capable of bending;
A printed circuit board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capable of bending and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panel to the outside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having a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the externally transmitted signal;
A battery modul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and supplying power;
And a housing for mounting the sensor panel, the elastic control memb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and the battery module.
The housing, the sensor panel, the elastic control member is an intraoral sensor that is bent in accordance with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휘어짐 정도는 상기 센서패널의 휘어짐 정도 보다 작고,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센서패널의 휘어짐 정도를 상기 탄성조절부재의 휘어짐 정도 이하로 제한하도록 상기 센서패널의 후방을 덮는 시트 형상인 구강 내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ding degree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is smaller than the bending degree of the sensor panel,
The elastic control member is an intraoral sensor having a sheet shape covering the rear of the sensor panel to limit the bending degree of the sensor panel to the bending degree or less of the elastic control membe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은 박막 형태인 구강 내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battery module is an intraoral sensor in the form of a thin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센서패널의 전방을 보호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강 내에서 구강 구조에 따라 휘어지는 제 1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구강 내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Intra-oral sensor further comprises a first case for protecting the front of the sensor panel in the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housing is curved in accordance with the oral structure in the oral cavit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방에 배치되는 그립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통신회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그립홀더에 대응된 위치에 장착되는 구강 내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rip holder disposed at the rea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 is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ip holder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광전변환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두께는 30um~70um인
구강내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sensor panel includes a substrate and a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ormed on the substrate,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is 30um ~ 70um
Intraoral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후방에 배치되는 그립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모듈은 상기 구강 내 센서에서 상기 그립홀더에 지지되는 부분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구강내 센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grip holder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attery module,
The battery module is an intraoral sensor disposed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the sensor in the oral cavity supported by the grip holder.
KR1020190014477A 2019-02-07 2019-02-07 Intraoral sensor KR1020192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77A KR102019259B1 (en) 2019-02-07 2019-02-07 Intraoral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477A KR102019259B1 (en) 2019-02-07 2019-02-07 Intraoral sens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678A Division KR101963121B1 (en) 2014-12-02 2014-12-02 Intraoral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57A KR20190015457A (en) 2019-02-13
KR102019259B1 true KR102019259B1 (en) 2019-11-04

Family

ID=6536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477A KR102019259B1 (en) 2019-02-07 2019-02-07 Intraoral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5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1130A (en) * 2003-03-24 2006-09-21 カルテンバッハ ウント ホイ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Intraoral sensor
US20060262461A1 (en) * 2005-03-03 2006-11-23 E2V Technologies (Uk) Limited Non-planar x-ray sensor
JP2011120925A (en) * 2002-10-03 2011-06-23 Schick Technologies Inc Intraoral image sensor
US20130334427A1 (en) 2011-02-21 2013-12-19 Fujifilm Corporation Radiological image detection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0925A (en) * 2002-10-03 2011-06-23 Schick Technologies Inc Intraoral image sensor
JP2006521130A (en) * 2003-03-24 2006-09-21 カルテンバッハ ウント ホイク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カンパニー カーゲー Intraoral sensor
US20060262461A1 (en) * 2005-03-03 2006-11-23 E2V Technologies (Uk) Limited Non-planar x-ray sensor
US20130334427A1 (en) 2011-02-21 2013-12-19 Fujifilm Corporation Radiological image detection apparatus and radiation imag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457A (en)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3121B1 (en) Intraoral sensor
US9636071B2 (en) Intraoral sensor
CN106793995B (en) Intraoral sensor
KR102336211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2339606B1 (en) Intraoral sensor
KR102301941B1 (en) Image sensor and intraoral sensor device using the same
KR102019259B1 (en) Intraoral sensor
KR102305125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2294934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2517677B1 (en) Intraoral sensor apparatus
KR101748280B1 (en) Intraoral sensor
KR102361124B1 (en) X-ray image sensor device
KR20170045562A (en) X-ray detector
US20180310896A1 (en) X-ray detector and system for sensing bending of same
JP7167322B2 (en) Radiation detector and radiographic imaging device
KR20170045563A (en) X-ray detector and system of detecting bending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