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42B1 -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 Google Patents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42B1
KR102019242B1 KR1020180007727A KR20180007727A KR102019242B1 KR 102019242 B1 KR102019242 B1 KR 102019242B1 KR 1020180007727 A KR1020180007727 A KR 1020180007727A KR 20180007727 A KR20180007727 A KR 20180007727A KR 102019242 B1 KR102019242 B1 KR 10201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voltage
amplification
mod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7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89352A (en
Inventor
이윤명
이현지
장은상
하싼 사이프
김민선
이용민
무하마드 빌라월 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42B1/en
Publication of KR20190089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3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05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using switched capacitors, e.g. dynamic amplifiers; using switched capacitors as resistors in 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0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 H03F1/0205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 H03F1/0211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aise the efficiency, e.g. gliding Class A stages, use of an auxiliary oscillation in transistor amplifiers with control of the supply voltage or current

Abstract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피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하를 충전하는 제 1 전압원,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압원을 포함하는 전압 증폭 모듈이 개시된다. A first voltage source that charges at least one of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switch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including a second voltage sour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Description

전압 증폭 모듈과 전압 증폭 장치 및 방법{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본 발명은 전압 증폭 모듈과 전압 증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 전원을 통하여 추가적인 전하를 공급함으로서 증폭 효율을 개선한 전압 증폭 모듈과 전압 증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nd a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nd a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mplification efficiency by supplying additional charge through an external power source.

모든 전자기기는 해당 시스템 특성에 적합한 전원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 관리 장치를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전력 관리 장치는 높은 정확도와 고효율 동작이 요구된다. 특히, 요즘 여러 가지 기능을 갖는 시스템을 집적화함으로써 각각 다른 입력 전압 및 출력 전압을 갖는 모듈(Module)이 한 칩 안에 설계(System on Chip; SoC)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모듈의 전력공급에 있어서 최소한의 PMIC(Power Management IC)로 여러 시스템의 전원 전압 및 부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력 공급 장치의 사용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또한, 배터리나 태양광 발전기의 출력을 전력 공급 장치 전원으로 사용할 경우, 변화되는 입력 전압에 대해서도 일정한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변환기가 필요하다.All electronic devices require power management devices that can supply the supply voltage appropriate for their system characteristics. Such power management devices require high accuracy and high efficiency operation. In particular, by integrating systems having various functions, modules having different input voltages and output voltages are being designed in one chip (System on Chip; SoC).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maximizing power consumption by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by supplying power voltages and load currents of various systems with a minimum power management IC (PMIC) in power supply of each module. . In addition, when using the output of a battery or a solar generator as a power supply power supply, a converter that can output a constant voltage even for a changing input voltage is required.

직류 전원 공급 장치로는 크게, 인덕터를 사용한 스위칭 컨버터(Inductor-based Switching Converter; Buck, Boost...)와, 스위치드 캐패시터 컨버터(Switched Capacitor Converter; SCC)가 있다. 넓은 출력 부하 범위를 가지며 고효율의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인덕터를 이용한 스위칭 컨버터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인덕터의 사용으로 인해 PCB 면적과 비용이 증가하며, 낮은 부하에서 효율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마그네틱 소자의 사용으로 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문제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DC power suppli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inductor-based switching converters (Buck, Boost ...) and switched capacitor converters (SCC). In order to supply high efficiency and stable power with a wide output load range, switching converters using inductors are used the most. However, the use of an inductor increases the PCB area and cost, and reduces the efficiency at low loads. In addition, the use of magnetic devices may caus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blems.

이러한 문제로 인하여 스위치드 캐패시터 DC-DC 변환기의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다. 스위치드 캐패시터 기반의 DC-DC 변환기는 높은 변환 비율을 위해서 직렬로 연결하여야 하며, 연결된 개수에 비례하여 전도적인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변환 비율을 원하는만큼 증가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These problems are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switched capacitor DC-DC converters. Switched capacitor-based DC-DC converters must be connected in series for high conversion rates, resulting in conductive los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onnections. Thus, there was a limit to increasing the conversion ratio as desire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는 입력 전원과 추가 전원을 이용하여 전도적인 손실을 감소시켜 원하는 변환 비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압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that can achieve the desired conversion ratio by reducing the conductive loss by using the input power and the additional pow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 (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 (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모듈은,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피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하를 충전하는 제 1 전압원;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압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A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first voltage source charging electric charge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 second voltage sour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상기 스위치부는, 충전 모드 및 제 1 증폭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 2 증폭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The switch unit may connect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parallel in the charging mode and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connect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전압원과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턴-온 될 수 있다.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first switch disposed between the first voltage source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first switch may be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2 전압원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1 증폭 모드 및 상기 제 2 증폭 충전 모드에서 턴-온 될 수 있다.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second switch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oltage source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second switch may be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ed charging mode. have.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스위치,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스위치 및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5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스위치는, 상기 제 1 증폭 모드에서 턴-온되며, 상기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4 스위치는, 상기 충전 모드 및 상기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 될 수 있다.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third switch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 fourth switch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first capacitor. And a fifth switch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wherein the fifth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third switch and the fourth switch are configured to be charged. Mode and may be turned on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방법은,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일단에 제 1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압 증폭 모듈의 증폭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증폭 모드가 제 1 증폭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타단에 상기 제 2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oltage amplifying method, wherein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a charging mode,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allel. Applying a first voltage to one end; Checking an amplification mode of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nd when the identified amplification mode is a first amplification mode,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and applying the second voltag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상기 확인된 증폭 모드가 제 2 증폭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키패시터의 타단에 상기 제 2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When the identified amplification mode is a second amplification mode, the method may include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parallel and applying the second voltag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는,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전압을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전압 증폭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된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간의 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증폭 모듈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전압 증폭 모듈은,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피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하를 충전하는 제 1 전압원;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압원을 포함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oltage amplifying apparatus comprising: an amplifier having a plurality of voltage amplifying modules connected in series to amplify and output an input voltag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 mod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mplification modules according to a ratio between an input voltage and an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cation unit, wherein each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comprises: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A first voltage source charging electric charge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a second voltage sour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상기 모드 결정부는, N번째 전압 증폭 모듈의 입력과 출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N-1번째 전압 증폭 모듈의 출력 전압과 N+1번째 전압 증폭 모듈의 입력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압 증폭 모듈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The mode determining unit compares the output voltage of the N-1 th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with the input voltage of the N + 1 th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and output of the N th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re blocked, and thus the plurality of voltage amplification modules. Each operation mode can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모듈은 추가적인 입력 단자로부터 전하를 공급하여 전도적인 손실을 보상함으로서, 작은 변환 비율 뿐만 아니라 큰 변환 비율까지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chieve a large conversion ratio as well as a small conversion ratio by compensating for a conductive loss by supplying charge from an additional input terminal.

또한, 인덕터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원하는 목표 변환 비율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실리콘 공정 만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설계 비용을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desired target conversion ratio without using an inductor, so it can be manufactured using only a silicon process, and the design cost can be reduced.

또한, 증폭 비율이 상이한 복수의 동작 모드를 제공하고, 임의의 입력과 출력 전압에 대해 최적의 변환 비율을 자동적으로 검색하여 증폭 모듈들의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넓은 출력 전압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it provides multiple operating modes with different amplification ratios, and automatically searches for the optimal conversion ratio for any input and output voltage to determine the operating mode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resulting in high efficiency over a wide output voltage range. Can b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부(110)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모드에서 증폭 모듈(1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증폭 모드에서 증폭 모듈(1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증폭 모드에서 증폭 모듈(1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100)에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111~115)의 동작 모드에 따른 세번째 증폭 모듈(113)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간의 관계를 시뮬레이션 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ampl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the amplifi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amplifying module 111 in the charg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111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111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in the voltage ampl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im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amplification module 113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111 to 1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tage a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similar elements.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100)에 관한 블록도를 나타낸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voltage ampl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100)는 증폭부(110) 및 모드 결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voltage amplifi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mplifier 110 and a mode determiner 120.

증폭부(110)는 복수의 증폭 모듈(111~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증폭 모듈은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전압을 소정의 비율로 승압(또는 감압)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111~115)의 동작 모드는 i)충전 모드, ii)제 1 증폭 모드, iii)제 2 증폭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모드에서는 증폭 모듈(111~115)에 포함된 캐패시터를 충전시키고, 제 1 증폭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는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이용하여 전압을 승압 또는 감압한다. 이 때, 제 1 증폭 모드와 제 2 증폭 모드의 증폭비(또는 감압비)는 상이하다. The amplifying unit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mplifying modules 111 to 115, and each amplifying module boosts (or decompresses) an input voltag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outputs the amplifying module. Operation modes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111 to 1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 a charging mode, ii) a first amplification mode, iii) a second amplification mode. In the charging mode, the capacitors included in the amplification modules 111 to 115 are charged, and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the voltage is boosted or reduced by using the charge charged in the capacitor. 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ratio (or decompression ratio) of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is different.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111)의 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amplifying modul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111)에 관한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of an amplification modul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111)는 제 1 캐패시터(210), 제 2 캐패시터(220), 제 1 전압원(230), 제 2 전압원(240) 및 스위치부(251~257)를 포함한다. Amplification module 1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capacitor 210, the second capacitor 220,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and the switch unit (251 ~ 257) Include.

제 1 전압원(230)은 VIN으로 표시되며, 충전 모드에서 제 1 캐패시터(210) 및 제 2 캐패시터(220) 중 적어도 하나를 충전한다. 제 1 전압원(230)은 이전 증폭 모듈의 출력에 해당하거나, 증폭 모듈의 외부에 위치하는 전압원 일 수 있다.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is denoted by V IN , and charges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in the charging mode.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may correspond to the output of the previous amplification module or may be a voltage source located outside the amplification module.

제 2 전압원(240)은 VHRV로 표시되며, 증폭 모드에서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에 연결된다.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is denoted by V HRV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in the amplification mode.

스위치부(251~257)는 복수의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동작 모드에 따라 각각의 스위치가 턴-온 되거나 턴-오프 된다. 스위치부(251~257)는 동작 모드에 따라 제 1 캐패시터(210)와 제 2 캐패시터(220)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며, 제 1 전압원(230) 및 제 2 전압원(240)을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한다. The switch units 251 to 257 may be configured of a plurality of switches, and each switch is turned on or off depending on the operation mode. The switch units 251 to 257 connect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selectively connect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and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to the capacitor. Connect with

제 1 스위치(251)는 제 1 전압원(230)과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모드에서 턴-온 되고 제 1 증폭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first switch 251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and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is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and turned off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do.

제 2 스위치(252)는 제 2 전압원(240)과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증폭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 되고 충전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second switch 252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and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is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nd turned off in the charging mode. do.

제 3 스위치(253)는 제 1 캐피시터(210)의 일단(M1)과 제 2 캐패시터(220)의 타단(M2)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되고 제 1 증폭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third switch 253 is disposed between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other end M2 of the second capacitor 220, and is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nd is the first amplification. Turn off in mode.

제 4 스위치(254)는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과 제 2 캐패시터(220)의 타단(M4)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되고 제 1 증폭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fourth switch 254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other end M4 of the second capacitor 220 and is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and the second amplifying mode and is the first amplification. Turn off in mode.

제 5스위치(255)는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과 제 2 캐패시터(220)의 타단(M4)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증폭 모드에서 턴-온 되고 충전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fifth switch 255 is disposed between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other end M4 of the second capacitor 220. The fifth switch 255 is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is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Turn off in mode.

제 6 스위치(256)는 제 1 캐피시터(210)의 타단(M3)와 접지 사이에 배치되며, 충전 모드에서 턴-온 되고, 제 1 증폭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sixth switch 256 is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ground, and is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and is turned off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제 7 스위치(257)는 제 2 캐패시터(220)의 일단(M2)과 출력 단자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증폭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 되고, 충전 모드에서 턴-오프 된다. The seventh switch 257 is disposed between one end M2 of the second capacitor 220 and the output terminal, and is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nd is turned off in the charging mode.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모드 결정부(120)는 증폭부(11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율에 기초하여 각각의 증폭 모듈(111~114)의 동작 모드를 결정한다. 모드 결정부(120)는 증폭 모듈(111~114)의 동작 모드를 i)충전 모드, ii)제 1 증폭 모드, iii)제 2 증폭 모드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충전 모드에서는 제 1 캐패시터(210) 및 제 2 캐패시터(220) 중 적어도 하나가 충전되고, 제 1 증폭 모드와 제 2 증폭 모드에서는 입력 전압이 소정의 비율로 증폭된다. 이 때, 제 1 증폭 모드와 제 2 증폭 모드에서의 전압 증폭비가 상이하다. 1, the mode determiner 120 determines an operation mode of each amplification module 111 to 114 based on the ratio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er 110. The mode determiner 120 may determine an operation mode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111 to 114 as one of i) a charging mode, ii) a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iii) a second amplification mod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is charged in the charging mode, and the input voltage is amplified at a predetermined ratio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t this time, the voltage amplification ratios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re differen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을 참고하여 동작 모드에 따른 증폭 모듈의 동작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 모드에서 증폭 모듈(1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실선은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온 된 경우이고, 점선은 대응하는 스위치가 턴-오프 된 경우이다. 3A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the amplifying module 111 in the charging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solid line indicates when the corresponding switch is turned on,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when the corresponding switch is turned off.

충전 모드에서, 제 1 스위치(251)가 턴-온 되어 제 1 전압원(230)와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이 연결된다. In the charging mode, the first switch 251 is turned on so that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is connected to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제 2 스위치(252)는 턴-오프 되어 제 2 전압원(240)과 제 1 캐피시터(210)의 타단(M3)간의 연결은 차단된다. 또한, 제 6 스위치(256)는 턴-온되어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과 접지를 연결한다. The second switch 252 is turned off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and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is cut off. In addition, the sixth switch 256 is turned on to connect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to ground.

제 3 스위치(253)와 제 4 스위치(254)는 턴-온되고, 제 5 스위치(255)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과 제 2 캐패시터(220)의 일단(M2)은 제 1 전압원(230)에 연결되고,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과 제 2 캐패시터(220)의 타단(M4)은 접지에 연결된다. The third switch 253 and the fourth switch 254 are turned on, and the fifth switch 255 is turned off. Accordingly,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one end M2 of the second capacitor 220 are connected to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and the other end M3 and the second end of the first capacitor 210. The other end M4 of the capacitor 220 is connected to the ground.

결과적으로, 제 1 캐패시터(210)와 제 2 캐패시터(220)는 병렬로 연결되어 제 1 전압원(230)에 의하여 충전되고, 제 2 캐패시터(220)의 일단(M2)의 전압은 입력 전압 Vin이 된다. As a result,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charged by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and the voltage at one end M2 of the second capacitor 220 is equal to the input voltage Vin. do.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증폭 모드에서 증폭 모듈(1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B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111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증폭 모드에서, 제 1 스위치(251)이 턴-오프되어 제 1 전압원(230)과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의 연결이 차단된다.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the first switch 251 is turned off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of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and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제 2 스위치(252)는 턴-온 되어 제 2 전압원(240)과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이 연결되며, 제 6 스위치(256)는 턴-오프 되어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과 접지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The second switch 252 is turned on so that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and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are connected, and the sixth switch 256 is turned off so that the first capacitor 210 is turned on. Break the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M3) and ground.

제 3 스위치(253)와 제 4 스위치(254)는 턴-오프되고, 제 5 스위치(255)는 턴-온된다. 따라서,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과 제 2 캐패시터(220)의 타단(M4)이 연결되어, 제 1 캐패시터(210)와 제 2 캐패시터(220)는 직렬로 연결된다. The third switch 253 and the fourth switch 254 are turned off, and the fifth switch 255 is turned on. Accordingly,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other end M4 of the second capacitor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are connected in series.

제 7 스위치(257)는 턴-온 되어, 제 2 캐패시터(220)의 일단(M2)이 출력단으로 연결된다. The seventh switch 257 is turned on so that one end M2 of the second capacitor 2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이 경우,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제 1 캐패시터(210)와 제 2 캐패시터(220)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의 전압이 제 2 전압원(240)에 의하여 VHRV로 결정된다. 따라서, 출력단의 전압 Vout은 다음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In this cas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is kept the same by the law of charge conservation, and the voltage at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is equal to the first. The voltage source 240 determines the V HRV . Therefore, the voltage Vout of the output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Vout = 2VIN + VHRV Vout = 2V IN + V HRV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증폭 모드에서 증폭 모듈(11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C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amplification module 111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증폭 모드에서, 제 1 스위치(241)이 턴-오프되어 제 1 전압원(230)과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의 연결이 차단된다.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the first switch 241 is turned off to disconnect the connection of the first voltage source 230 and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제 2 스위치(242)는 턴-온 되어 제 2 전압원(240)과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7)이 연결되며, 제 6 스위치(246)는 턴-오프 되어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7)과 접지간의 연결을 차단한다. The second switch 242 is turned on so that the second voltage source 240 and the other end M7 of the first capacitor 210 are connected, and the sixth switch 246 is turned off to the first capacitor 210. Break the connection between the other end of (M7) and ground.

제 3 스위치(243)와 제 4 스위치(244)는 턴-온되고, 제 5 스위치(245)는 턴-오프된다. 따라서, 제 1 캐패시터(210)의 일단(M1)는 제 2 캐패시터(220)의 일단(M1)과 연결되고,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은 제 2 캐패시터(220)의 타단(M4)와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제 1 캐패시터(210)와 제 2 캐패시터(220)는 병렬로 연결된다. The third switch 243 and the fourth switch 244 are turned on, and the fifth switch 245 is turned off. Accordingly, one end M1 of the first capacitor 210 is connected to one end M1 of the second capacitor 220, and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220. Connected to M4). As a result,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are connected in parallel.

제 7 스위치(247)는 턴-온 되어, 제 2 캐패시터(220)의 일단(M2)이 출력단으로 연결된다. The seventh switch 247 is turned on so that one end M2 of the second capacitor 220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이 경우, 전하량 보존 법칙에 의하여 제 1 캐패시터(210)와 제 2 캐패시터(220)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동일하게 유지되며, 제 1 캐패시터(210)의 타단(M3)의 전압이 제 2 전압원(240)에 의하여 VHRV로 결정된다. 따라서, 출력단의 전압 Vout은 다음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결정된다. In this case,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first capacitor 210 and the second capacitor 220 is kept the same by the law of charge conservation, and the voltage at the other end M3 of the first capacitor 210 is equal to the first. The voltage source 240 determines the V HRV . Therefore, the voltage Vout of the output terminal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수학식 2][Equation 2]

Vout = VIN + VHRV Vout = V IN + V HRV

각각의 전압 모듈(111~114)의 증폭 모드는 증폭부(110)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의 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를 들어,전압 모듈이 5개일 때 증폭 비율에 따른 동작 모드는 다음의 표 1과 같이 결정된다. The amplification mode of each of the voltage modules 111 to 114 is determined by the ratio of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er 110. For example, when there are five voltage modules, an operation mode according to an amplification ratio is determined as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18007373553-pat00001
Figure 112018007373553-pat00001

표 1에서 각각의 비트는 증폭 모듈에 대응되며, 비트 값은 대응하는 증폭 모듈의 증폭 모드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증폭 비율이 '11'인 경우 첫번째 비트는 '0'이므로 가장 앞 쪽에 위치하는 증폭 모듈은 제 2 증폭 모드로 동작한다. 유사하게, 다섯 번째 비트는 '1'이므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하는 증폭 모듈은 제 1 증폭 모드로 동작한다. Each bit in Table 1 corresponds to an amplification module, and the bit value corresponds to an amplification mode of a corresponding amplification module. For example, when the amplification ratio is '11', since the first bit is '0', the first amplification module operates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Similarly, since the fifth bit is '1', the last amplification module operates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모듈은 추가적인 입력 단자(VHRV)에서 전하를 공급받음으로서 각각의 스테이지에서 발생하는 전도적인 손실을 보상하여 높은 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동작 모드를 변경하여 다양한 증폭 비율을 달성할 수 있다. As such,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high efficiency by compensating for the conductive loss occurring in each stage by receiving charge from an additional input terminal V HRV , and changing an operation mode. To achieve various amplification ratio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장치(100)에서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in the voltage amplify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는 5개의 증폭 모듈을 직렬로 연결하여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고자 한다. In FIG. 4, five amplification modules are connected in series to obtain a desired output voltage.

모드 결정부(120)는 N번째 증폭 모듈의 입력과 출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N-1번째 증폭 모듈의 출력 전압과 N+1번째 증폭 모듈의 입력 전압을 비교한다. The mode determiner 120 compares the output voltage of the N-1th amplification module with the input voltage of the N + 1th amplification module while blocking the input and output of the Nth amplification module.

도 4에서는 3번째 증폭 모듈(113)의 입력과 출력을 차단하였다고 가정하자. 따라서, 모드 결정부(120)는 각각의 증폭 모듈(111, 112, 114, 115)의 동작 모드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면서, 두번째 증폭 모듈(112)의 출력 전압과 네번째 증폭 모듈(114)의 입력 전압을 비교하고, 두 번째 증폭 모듈(112)의 출력 전압이 네 번째 증폭 모듈(114)의 입력 전압보다 커지는 순간의 동작 모드(S1, 2, 4, 5)를 찾는다. 이 후, S1를 첫번째 증폭 모듈(112), S2를 두번째 증폭 모듈(112), S4를 세번째 증폭 모듈(113), S5를 네번째 증폭 모듈(114)의 동작 모드로 결정하고, 마지막 증폭 모듈(115)의 동작 모드는 제 1 증폭 모드로 고정한다. In FIG. 4, it is assumed that the input and output of the third amplification module 113 are blocked. Accordingly, the mode determiner 120 sequentially changes the operation modes of the respective amplification modules 111, 112, 114, and 115, while outputt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amplification module 112 and the input voltage of the fourth amplification module 114. Are compared, and the operating modes S1, 2, 4, and 5 are found at the moment when the output voltage of the second amplification module 112 is greater than the input voltage of the fourth amplification module 114. Thereafter, S1 is determined as the operation mode of the first amplification module 112, S2 is the second amplification module 112, S4 is the third amplification module 113, S5 is the fourth amplification module 114, and the last amplification module 115 is determined. Operation mode is fixed to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경우에 따라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를 이용하여 생성된 전압이 전압 증폭 장치(100)에 입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생성된 전압은 Vsrc라고 가정해보자.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에서 생성된 전력이 전압 증폭 장치(100)를 통하여 최대로 증폭되기 위해서는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출력 임피던스와 전압 증폭 장치(100)의 입력 임피던스가 매칭되어야 하며, 이 경우 전압 증폭 장치(100)로 인가되는 전압은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의 생성 전압인 Vsrc/2가 된다. 이 경우, 두번째 증폭 모듈(122)의 출력 전압(Vout2)와 네번째 증폭 모듈(124)의 입력 전압(VIN4)는 증폭 모듈의 동작 모드에 따라 다음의 표 2의 값을 갖는다. In some cases, the voltage generated using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voltage amplifying device 100 as an input. In this case, assume that the voltage generated by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is Vsrc. In order for the power generated by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to be amplified to the maximum through the voltage amplifying device 100, the output impedance of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and the input impedance of the voltage amplifying device 100 must match, and in this case, the voltage amplifying device ( The voltage applied to 100 becomes Vsrc / 2, which is the generated voltage of the energy harvesting device. In this case, the output voltage Vout2 of the second amplifying module 122 and the input voltage VIN4 of the fourth amplifying module 124 have the values shown in Table 2 bel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mplifying module.

[표 2]TABLE 2

Figure 112018007373553-pat00002
Figure 112018007373553-pat00002

예를 들어, VSRC = 100mV, VBAT = 1.8V인 경우를 가정해보자. 임피던스가 매칭되었다면 첫번째 증폭 모듈(111)로 입력되는 전압 VHRV = VSRC/2 = 50mV가 될 것이다. 이 경우,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간의 증폭 비율(CR) = 1.8V/50mv + 1로 결정된다. 따라서, 증폭 비율(CR) = 39가 된다. For example, suppose V SRC = 100 mV and V BAT = 1.8 V. If the impedance is matched, the voltage V HRV = V SRC / 2 = 50mV input to the first amplification module 111 will be obtained. In this case, the amplification ratio CR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is determined to be 1.8V / 50mv + 1. Therefore, the amplification ratio CR = 39.

[표 2]를 참고하면, 증폭 비율(CR) = 39일 때 Vout2>VIN4가 되는 시점은 S1=1, S2=0, S4=1, S5=1인 시점이다. 따라서, 증폭 비율(CR) = 39일 때 각각의 증폭 모듈의 동작 모드는 '10111'로 결정된다. Referring to [Table 2], when the amplification ratio (CR) = 39, the time point when Vout2> V IN 4 is S1 = 1, S2 = 0, S4 = 1, S5 = 1. Therefore, when the amplification ratio CR = 39, the operation mode of each amplification module is determined as '10111'.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모드 결정부(120)가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그래프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operation mode by the mode determination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폭 모듈(111~115)의 동작 모드에 따른 세번째 증폭 모듈(113)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간의 관계를 시뮬레이션 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sim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voltage and the output voltage of the third amplification module 113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mplification modules 111 to 11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고하면, 증폭 비율(CR)이 '39'일 때 첫번째 증폭 모듈(111)은 제 1 증폭 모드로 동작하고, 두번째 증폭 모듈(112)은 제 2 증폭 모드로 동작하며, 네번째 증폭 모듈(114)과 다섯번째 증폭 모듈(115)는 제 1 증폭 모드로 동작하는 시점에서 Vout>Vin4를 만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증폭 비율(CR) = 39일 때 Vout2>VIN4가 되는 시점은 S1=1, S2=0, S4=1, S5=1인 경우이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amplification ratio CR is '39', the first amplification module 111 operates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the second amplification module 112 operates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and the fourth amplification module. 114 and the fifth amplification module 115 may be satisfied that Vout> Vin4 is satisfied at the time of operating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Therefore, when amplification ratio CR = 39, the time point at which Vout2> VIN4 becomes S1 = 1, S2 = 0, S4 = 1, S5 = 1 is the cas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증폭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oltage ampl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 s610에서, 충전 모드에서 제 1 캐패시터와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에 제 1 전압을 인가한다. In operation S610,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charging mode, and a first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단계 s620에서, 전압 증폭 모듈의 동작 모드를 확인한다. 전압 증폭 모듈이 제 1 증폭 모드인 경우 단계 s622를 수행하고, 제 1 증폭 모드인 경우 단계 s624를 수행한다. In operation S620, the operation mode of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is checked. When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is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step S622 is performed. When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is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step S624 is performed.

단계 s622에서, 제 1 캐패시터와 제 2 캐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제 1 캐패시터의 일단에 제 2 전압을 인가한다. In operation S622,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단계 s624에서, 제 1 캐패시터와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 1 키패시터의 일단에 제 2 전압을 인가한다. In operation S624,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a second voltage is applied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 or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erson hav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below, but also by the equivalents of the claim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hich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hereof will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압 증폭 장치
110: 증폭부
120: 모드 결정부
111~115:제 1 증폭 모듈 ~ 제 5 증폭 모듈
100: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110: amplifier
120: mode determination unit
111-115: 1st amplification module-5th amplification module

Claims (10)

전압 증폭 모듈에 있어서,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하를 충전하는 제 1 전압원;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압원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충전 모드 및 제 1 증폭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모듈.
In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A first voltage source charging electric charge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 second voltage sour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switch unit,
And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charge mode and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제 2 증폭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모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witch unit,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in a second amplification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전압원과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스위치는, 상기 충전 모드에서 턴-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 unit includes a first switch disposed between the first voltage source and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first switch is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2 전압원과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위치는, 상기 제 1 증폭 모드 및 상기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모듈.
The method of claim 2,
The switch unit includes a second switch disposed between the second voltage source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전압 증폭 모듈에 있어서,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하를 충전하는 제 1 전압원;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압원을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3 스위치,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4 스위치 및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 5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5 스위치는, 제 1 증폭 모드에서 턴-온되며,
상기 제 3 스위치 및 상기 제 4 스위치는, 충전 모드 및 제 2 증폭 모드에서 턴-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모듈.
In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A first voltage source charging electric charge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 second voltage sour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The switch unit may include a third switch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 fourth switch dispos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first capacitor. A fifth switch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apacitor,
The fifth switch is turned on in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third switch and the fourth switch are turned on in the charging mode and the second amplifying mode.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와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가 포함된 전압 증폭 모듈에서 전압을 증폭하는 방법에 있어서,
충전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 2 캐패시터의 일단에 제 1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압 증폭 모듈의 증폭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증폭 모드가 제 1 증폭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타단에 제 2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압 증폭 방법.
A method for amplifying a voltage in a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includ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with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parallel in a charging mode, and applying a first voltage to one end of the first capacitor and one end of the second capacitor;
Checking an amplification mode of the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nd
If the identified amplification mode is a first amplification mode,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and applying a second voltag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증폭 모드가 제 2 증폭 모드인 경우,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 1 캐패시터의 타단에 상기 제 2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방법.
The method of claim 6,
If the identified amplification mode is a second amplification mode,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parallel, and applying the second voltage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apacitor. Voltage amplification method.
동작 모드에 따라 입력 전압을 소정 비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복수의 전압 증폭 모듈들이 직렬로 연결된 증폭부; 및
상기 증폭부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 간의 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증폭 모듈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전압 증폭 모듈은,
제 1 캐패시터 및 제 2 캐패시터;
상기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에 전하를 충전하는 제 1 전압원;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캐패시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압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장치.
An amplifier having a plurality of voltage amplification modules connected in series to amplify and output the input voltage at a predetermined ratio according to an operation mode; And
A mode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mplification modules according to a ratio between an input voltage and an output voltage of the amplifier;
Each voltage amplification module,
A first capacitor and a second capacitor;
A first voltage source charging electric charge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 switch unit connecting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in series or in parallel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And
And a second voltage sour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apacitor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결정부는,
N번째 전압 증폭 모듈의 입력과 출력을 차단한 상태에서, N-1번째 전압 증폭 모듈의 출력 전압과 N+1번째 전압 증폭 모듈의 입력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전압 증폭 모듈들 각각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ode determination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input and output of the N-th voltage amplifier module are cut off,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voltage amplifier modules is compared by comparing the output voltage of the N-1 voltage amplifier module with the input voltage of the N + 1 voltage amplifier module. Voltage amplif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rmining.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충전 모드 및 제 1 증폭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고, 제 2 증폭 모드에서 상기 제 1 캐패시터와 상기 제 2 캐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압 증폭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switch unit,
And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parallel in the charge mode and the first amplification mode, and the first capacitor and the second capacitor are connected in series in the second amplification mode.
KR1020180007727A 2018-01-22 2018-01-22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KR1020192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27A KR102019242B1 (en) 2018-01-22 2018-01-22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727A KR102019242B1 (en) 2018-01-22 2018-01-22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52A KR20190089352A (en) 2019-07-31
KR102019242B1 true KR102019242B1 (en) 2019-11-04

Family

ID=6747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727A KR102019242B1 (en) 2018-01-22 2018-01-22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42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Biswas 외, "A 28 nm FDSOI Integrated Reconfigurable Switched-Capacitor Based Step-Up DC-DC Converter With 88% Peak Efficiency," IEEE JSSC, vol. 50, no. 7, pp. 1540-1549, 2015. 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352A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1700B2 (en) Voltage regulation circuit of single inductor and multiple outputs and control method
US10727747B2 (en) Hybrid buck-boost converter
US11418117B2 (en) Single inductor multi-output buck-boost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684320B2 (en) DC-DC conver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power supply of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DC-DC converter
US10305308B2 (en) Power supply module and power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US10910947B2 (en) Single inductor multiple output regulator with hybrid negative and positive rail generation
CN105824385B (en) Test method and system
US20240079956A1 (en) Hybrid power converter
KR20230161969A (en) Current-based transitions between buck converter mode and charge pump mode in an adaptive combination power supply circuit.
US20220337078A1 (en) Battery management circuit for a mobile device
US10277124B2 (en) DC-DC converter, boosting unit, electric vehicle and battery backup system
KR101677705B1 (en) Multiple output switched capacitor dc-dc converter
KR102019242B1 (en) Module of voltage amplifi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amplifying voltage
Subasinghage et al. Design of an efficiency improved dual-output DC-DC converter utilizing a supercapacitor circulation technique
TW201806300A (en) DC-DC power conver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voltage using the same
US11658567B2 (en) Switching capacitor power conversion circuit and conversion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71496A1 (en) Satellite-borne quasi-two-stage pulse load power source supply circuit
CN106655766B (en) Compensation circuit, integrated circuit and multi-loop DC-DC converter
KR101080742B1 (en) Power Supply
KR102246854B1 (en) Matrix switch and power converter using the same
CN220207790U (en) Power rail switching device and circuit testing system
KR102108478B1 (en) Module of voltage attenuation and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attenuating voltage
US20230025078A1 (en) Power converter with asymmetric switch levels
CN116937968A (en) Power converter without inductor
US10270352B2 (en) Electrical energy conver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