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237B1 -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237B1
KR102019237B1 KR1020170153932A KR20170153932A KR102019237B1 KR 102019237 B1 KR102019237 B1 KR 102019237B1 KR 1020170153932 A KR1020170153932 A KR 1020170153932A KR 20170153932 A KR20170153932 A KR 20170153932A KR 102019237 B1 KR102019237 B1 KR 102019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pecific content
validity
registration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6697A (ko
Inventor
장지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2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56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91Management of end-user data being end-user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함으로써, 가입자 니즈 기반의 컨텐츠 수급 방식을 통해 PPV(Pay Per View) 증가를 도모할 수 있는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APPARATUS FOR CONTENTS SER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 텔레비전 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를 그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IPTV 서비스는,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셋탑박스(Set-top Box)와 같은 수신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일컫는 것으로서, 가입자가 원하는 다채로운 컨텐츠를 손쉽게 검색하여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헌데, 이러한 IPTV 서비스에서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사전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에 한하며, 만약 가입자로부터 미 등록된 컨텐츠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검색 실패로 이어져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는,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와 유사 관계를 가지는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IPTV 서비스에서의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텐츠서비스장치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상기 특정 컨텐츠가 검색된 검색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각 주기마다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모두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검색횟수 변동 추이가 상승 추이를 가지며 마지막 주기에서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사 컨텐츠는, 상기 IPTV 서비스에 기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컨텐츠가 가지는 2 이상의 속성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일치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판단기간 동안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기 정의된 횟수 당 유효성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유사 컨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와 일치되는 속성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생횟수로부터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중 가장 큰 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은,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와 유사 관계를 가지는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IPTV 서비스에서의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상기 특정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검색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상기 특정 컨텐츠가 검색된 검색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각 주기마다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모두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검색횟수 변동 추이가 상승 추이를 가지며 마지막 주기에서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사 컨텐츠는, 상기 IPTV 서비스에 기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컨텐츠가 가지는 2 이상의 속성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일치하는 컨텐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생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판단기간 동안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기 정의된 횟수 당 유효성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유사 컨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와 일치되는 속성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생횟수로부터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중 가장 큰 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함으로써, 가입자 니즈 기반의 컨텐츠 수급 방식을 통해 PPV(Pay Per View) 증가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기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수신대상 판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기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기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셋탑박스(10), 및 컨텐츠서비스장치(2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셋탑박스(10)는 IPTV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특정 장소(예: 댁내)에 설치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공유기(도시 안됨)를 통해 컨텐츠서비스장치(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공유기(도시 안됨)는 셋탑박스(10)에 대한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셋탑박스(10)와는 유선 접속되며, 뿐만 아니라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이동통신단말에 대해서도 무선 접속 기반의 인터넷 접속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서비스장치(20)는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예컨대,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의 컨텐츠를 셋탑박스(10)에 제공하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를 일컫는다.
이러한, 컨텐츠서비스장치(20)는 예컨대 방송 서버(Broadcast Server), VoD 서버(VoD Server), 메타 데이터 서버(Metadata Server), 및 가입자 관리부(Subscriber Management Unit)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컨텐츠서비스장치(20)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http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전용 회선(private line), 인트라넷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일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게팅 광고 시스템 내 각 구성 간의 연결은, 데이터가 임의의 해커 또는 다른 제3자에 의한 공격을 받지 않도록 보안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TV 기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방송 컨텐츠, 인터넷 컨텐츠, VoD(Video on Demand) 서비스 컨텐츠 등의 다양한 컨텐츠를 IPTV 서비스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헌데, 이처럼 가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는 컨텐츠서비스장치(20)에 사전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에 한하며, 만약 가입자로부터 미 등록된 컨텐츠가 검색되는 경우에는 검색 실패로 이어져 가입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위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IPTV 서비스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는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21),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22), 및 신규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23)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컨텐츠서비스장치(2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컨텐츠서비스장치(2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셋탑박스(10)와의 실질적인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24)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24)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는 전술한 구성을 통해 셋탑박스(10)를 통해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컨텐츠서비스장치(2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결정부(21)는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21)는 셋탑박스(10)를 통한 가입자의 컨텐츠 검색 시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처럼,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신규컨텐츠 등록 과정에서 불필요한 리소스 소모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컨텐츠 중 등록유효성을 판단할 컨텐츠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이때, 결정부(21)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의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여기서, 검색이력정보는, 타 가입자로부터 해당 컨텐츠가 검색된 이력에 관한 정보로서, 기 설정된 각 주기(예: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에서의 해당 컨텐츠가 가입자들로부터 검색된 검색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결정부(21)는 이러한 검색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기 설정된 각 주기마다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모두 초과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검색횟수 변동 추이가 상승 추이를 가지며 마지막 주기에서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판단부(22)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22)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결정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판단부(220)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와 유사 관계를 가지는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여기서, 유사 컨텐츠는, IPTV 서비스에 기 등록된 컨텐츠 중,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가 가지는 2 이상의 속성정보(예: 장르, 배우, 감독)와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일치하는 컨텐츠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판단기간(예: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가 확인되는 기간) 동안 유사 컨텐츠가 가입자들로부터 재생된 재생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판단부(22)는 이러한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기 정의된 횟수 당 유효성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와의 속성정보(예: 장르, 배우, 감독)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서 유사 컨텐츠가 결정되는 경우, 속성정보의 일치 정보에 따라 2 이상의 유사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부(22)는 2 이상의 유사 컨텐츠 각각에 대해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와 일치되는 속성정보(예: 장르, 배우, 감독)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생횟수로부터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중 가장 큰 점수를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이처럼 속성정보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예컨대, 최근 인기 키워드(예: 장르, 배우, 감독)와 속성정보의 일치할수록 높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운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록부(23)는 신규컨텐츠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등록부(23)는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결과, 판단된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IPTV 서비스에서의 신규컨텐츠로 등록하여 이후 가입자가 셋탑박스(10)에서의 검색을 통해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여기서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의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이라는 것은, 해당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데 소요되는 리소스(예: 저작료) 대비 신규컨텐츠 등록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득(예: PPV, 서비스 만족도)이 더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구성에 따르면,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함으로써, 가입자 니즈 기반의 컨텐츠 수급 방식을 통해 PPV(Pay Per View) 증가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지로 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동작 바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른 순서도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결정부(21)는 셋탑박스(10)를 통한 가입자의 컨텐츠 검색 시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한다(S10-S20).
이처럼,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신규컨텐츠 등록 과정에서 불필요한 리소스 소모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컨텐츠 중 등록유효성을 판단할 컨텐츠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함이다.
이때, 결정부(21)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의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여기서, 검색이력정보는, 타 가입자로부터 해당 컨텐츠가 검색된 이력에 관한 정보로서, 기 설정된 각 주기(예: 일 단위, 주 단위, 월 단위)에서의 해당 컨텐츠가 가입자들로부터 검색된 검색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결정부(21)는 이러한 검색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기 설정된 각 주기마다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모두 초과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검색횟수 변동 추이가 상승 추이를 가지며 마지막 주기에서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S21-S24).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판단부(22)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결정되는 경우, 해당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한다(S30).
이때, 판단부(220)는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을 판단함에 있어서, 해당 컨텐츠와 유사 관계를 가지는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채택하게 된다.
여기서, 유사 컨텐츠는, IPTV 서비스에 기 등록된 컨텐츠 중,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가 가지는 2 이상의 속성정보(예: 장르, 배우, 감독)와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일치하는 컨텐츠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판단기간(예: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가 확인되는 기간) 동안 유사 컨텐츠가 가입자들로부터 재생된 재생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판단부(22)는 유사 컨텐츠를 결정하고, 결정된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를 활용하는 방식을 통해,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기 정의된 횟수 당 유효성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S31-S34).
한편, 이처럼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와의 속성정보(예: 장르, 배우, 감독)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을 통해서 유사 컨텐츠가 결정되는 경우, 속성정보의 일치 정보에 따라 2 이상의 유사 컨텐츠가 결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판단부(22)는 2 이상의 유사 컨텐츠 각각에 대해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와 일치되는 속성정보(예: 장르, 배우, 감독)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생횟수로부터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중 가장 큰 점수를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로, 이처럼 속성정보에 부여되는 가중치는, 예컨대, 최근 인기 키워드(예: 장르, 배우, 감독)와 속성정보의 일치할수록 높은 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운용자 설정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등록부(23)는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결과, 판단된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해당 컨텐츠를 IPTV 서비스에서의 신규컨텐츠로 등록하여 이후 가입자가 셋탑박스(10)에서의 검색을 통해서 해당 컨텐츠를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도록 한다(S40).
참고로, 여기서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의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이라는 것은, 해당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데 소요되는 리소스(예: 저작료) 대비 신규컨텐츠 등록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득(예: PPV, 서비스 만족도)이 더 크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2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한 등록유효성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함으로써, 가입자 니즈 기반의 컨텐츠 수급 방식을 통해 PPV(Pay Per View) 증가 및 서비스 만족도 제고를 도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제어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를 신규컨텐츠로 등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셋탑박스
20: 컨텐츠서비스장치
21: 특정부 22: 분류부
23: 선별부 24: 생성부
25: 제어부

Claims (12)

  1.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와 유사 관계를 가지는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IPTV 서비스에서의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등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검색된 검색횟수로부터 검색횟수 변동 추이가 상승 추이를 가지며 마지막 주기에서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서비스장치는,
    상기 특정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상기 특정 컨텐츠가 검색된 검색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기 설정된 각 주기마다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모두 초과하는 경우,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컨텐츠는,
    상기 IPTV 서비스에 기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컨텐츠가 가지는 2 이상의 속성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일치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판단기간 동안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기 정의된 횟수 당 유효성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유사 컨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와 일치되는 속성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생횟수로부터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중 가장 큰 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
  7. IPTV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입자로부터 검색 실패된 특정 컨텐츠에 대해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와 유사 관계를 가지는 유사 컨텐츠의 재생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등록유효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IPTV 서비스에서의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등록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상기 판단단계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가 검색된 검색횟수로부터 검색횟수 변동 추이가 상승 추이를 가지며 마지막 주기에서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초과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판단단계 이전에, 상기 특정 컨텐츠의 검색이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신규컨텐츠로 등록하는 것에 대한 상기 등록유효성을 판단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TV 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각 주기에서의 상기 특정 컨텐츠가 검색된 검색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결정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각 주기마다의 검색횟수가 기 설정된 제한횟수를 모두 초과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컨텐츠는,
    상기 IPTV 서비스에 기 등록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컨텐츠가 가지는 2 이상의 속성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속성정보가 일치하는 컨텐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이력정보는,
    기 설정된 판단기간 동안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재생된 재생횟수를 기 정의된 횟수 당 유효성점수로 환산하여,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유사 컨텐츠가 2 이상인 경우, 상기 2 이상의 유사 컨텐츠 각각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와 일치되는 속성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여 재생횟수로부터 환산된 총 유효성점수에 상기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중 가장 큰 점수를 상기 등록유효성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서비스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70153932A 2017-11-17 2017-11-17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9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932A KR102019237B1 (ko) 2017-11-17 2017-11-17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932A KR102019237B1 (ko) 2017-11-17 2017-11-17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97A KR20190056697A (ko) 2019-05-27
KR102019237B1 true KR102019237B1 (ko) 2019-09-06

Family

ID=66679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932A KR102019237B1 (ko) 2017-11-17 2017-11-17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92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7198B1 (ko) * 2022-08-31 2024-02-16 (주)지비유 데이터링크스 인공지능 모델 제작 플랫폼을 통한 인공지능 모델 공유, 대여 및 판매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888A (ja) * 2003-09-30 2005-04-21 Fujitsu Ltd 情報登録方法
JP2007067739A (ja) * 2005-08-30 2007-03-15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7888A (ja) * 2003-09-30 2005-04-21 Fujitsu Ltd 情報登録方法
JP2007067739A (ja) * 2005-08-30 2007-03-15 Sony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697A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1843B2 (en) Authenticated content discovery
US1156399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storing a portion of a media asset
US20220248095A1 (en) Real-Time Recommendations for Altering Content Output
US107621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for a media asset
US103679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user behavior using closed caption text
US2013017376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igning roles between user devices
US20140373036A1 (en) Hybrid video recognition system based on audio and subtitle data
CN104125229B (zh) 流媒体的播放方法与播放装置
US20130166590A1 (en) Content search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semantic network
US8966547B2 (en) Seamless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US9426500B2 (en) Optimal quality adaptive video delivery
US20100333162A1 (e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n Extensible Storefront
CN104394476A (zh) 一种时移播放方法及媒体播放器
US1105107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video content relevant to application content
US20120144427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US9232251B2 (en) Personalized content recommendation
US20120167153A1 (en)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KR102019237B1 (ko) 컨텐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160591A1 (en) Creating customized short-form content from long-form content
US20120296652A1 (en) Obtaining information on audio video program using voice recognition of soundtrack
US10455266B2 (en) Personalized smart-list video channels
JP2016524237A (ja) ユーザにメディアを推薦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6188190A1 (zh) 交互式网络电视播放节目的方法和系统
US10678854B1 (en) Approximate string matching in search queries to locate quotes
KR102052524B1 (ko) 미디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