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277B1 -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277B1
KR102018277B1 KR1020170183138A KR20170183138A KR102018277B1 KR 102018277 B1 KR102018277 B1 KR 102018277B1 KR 1020170183138 A KR1020170183138 A KR 1020170183138A KR 20170183138 A KR20170183138 A KR 20170183138A KR 102018277 B1 KR102018277 B1 KR 10201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hopping mall
certificate
blockchain
online sho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592A (ko
Inventor
한재형
김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봄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봄에스
Priority to KR1020170183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2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7Use of message hash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 인증키 관리 서버, 및 증권계좌 관리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상기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증권계좌 개설 과정; 사용자 단말기와 SNS 플랫폼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SNS 플랫폼상에 온라인 쇼핑몰을 입점시키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되는 블록체인 인증 이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System for SNS finetech using authentication based blockchai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SNS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으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하여 SNS 핀테크를 구현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협동조합, 영세기업, 자영업자, 벤처기업, 일반 판매사업자 등의 소상공인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정부는, 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 중소기업 1만개 실태조사결과를 토대로 마련한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을 위한 12개 분야 종합 정책,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동반 성장 분위기 조성 및 실질적 협력 증대 방안, 영세 자영업자 종합대책, 벤처기업 활성화 보완대책, 중소기업 정책 금융 개편방안 및 금융 선진화 방안, 중소기업 개발 기술 및 소프트웨어 공공구매 확대 방안 등의 다양한 소상공인 육성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별도의 소상공인연합회를 구성하여 소상공인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각적인 소상공인 지원 대책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로 인하여 소상공인의 사업이 침체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소상공인간에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수단을 활성화하여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소상공인의 상품 판매에 따른 계좌이체나 카드결제시에 공인인증서가 사용되고 있다. 공인인증서란 다양한 산업분야의 서비스를 이용 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고, 문서의 위조와 변조 또는 거래 사실 부인 방지 등을 목적으로 공인인증기관(CA)이 발행하는 전자적 정보로서, 일종의 사이버 거래용 인감증명서를 나타낸다. 이러한 공인인증서에는 인증서 버전, 인증서 일련번호, 인증서 유효기간, 발급기관, 사용자의 전자서명 검증정보, 사용자 이름, 신원 확인정보, 전자서명 방식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공인인증서는 보안 표준 방식인 공개키 기반 구조(PKI, Public Key Infrastructure)에서 사용된다. 공개키 기반 구조는 암호화와 복호화 키로 구성된 공개키를 이용하여 송수신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인터넷 사용자가 보유한 암호를 이용하여 거래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식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을 말한다.
그런데 소상공인끼리 거래하는 경우, 거래에 따른 인증 수수료가 큰 부담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거래에 따른 결제를 위해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인증 절차가 필요한데, 이러한 인증 절차를 외부의 인증기관을 통해 진행하기 때문에 인증 수수료 등이 큰 부담이 된다.
또한 공개키 기반 구조 하에서는, 암호화된 공개키를 복호화시키는 키로 이용되는 개인키가 사용자 개인이 아닌 외부에 해당하는 공인인증기관(CA)에서 생성된 후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때문에 해킹의 위험성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소프트 토큰 기반 저장방식으로 인해 표준화된 저장 위치에 사용자의 개인키가 파일 형태로 존재함에 따라, 개인키의 파일 복제와 자동화 수집이 용이하여 개인키 유출에 따른 금융 피해 및 사용자 정보 도용이 야기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소상공인들간에 거래시에, 해킹 위험도 없으며, 동시에 소상공인들에게 인증 수수료 부담을 없애줄 수 있는 새로운 인증 수단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0411448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소상공인들간에 수수료 부담없이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인증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소상공인간에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사용자 단말기, 인증키 관리 서버, 및 증권계좌 관리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상기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증권계좌 개설 과정; 사용자 단말기와 SNS 플랫폼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SNS 플랫폼상에 온라인 쇼핑몰을 입점시키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 및 상기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되는 블록체인 인증 이체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권계좌 개설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개인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생성된 개인키와 공개키를 인증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키 생성 과정;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가,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기반으로 하는 증권계좌 개설을 증권계좌 관리 서버에 사용자의 공개키 전송과 함께 요청하는 증권계좌 개설 요청 과정; 및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가, 상기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증권계좌 신규 생성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하는 사용자 로그인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에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을 하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 과정;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는 쇼핑몰 입점 요건 판단 과정;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 확인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승인하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증권계좌 개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NS 플랫폼 서버는,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 및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을 SNS 상에 제공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이 있은 후, 사용자와 동일 업종에 할당된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에 사용자를 가입 승인시키고, 사용자와 동일 지역에 할당된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에 사용자를 가입 승인시키는 커뮤니티 승인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상기 공개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 요청 및 이체 요청을 인증키 관리 서버로 하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을 SNS 플랫폼 서버를 통해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 요청 또는 이체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개키를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증권계좌 개설을 요청하는 인증키 관리 서버; 상기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인증이 성공되는 경우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하거나 또는 증권계좌간 이체를 수행하는 증권계좌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개설 요청한 온라인 쇼핑몰 입점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온라인 쇼핑몰 입점 여부를 결정하는 SNS 플랫폼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NS 플랫폼 서버는,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지와,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이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승인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하여 SNS 핀테크를 구현함으로써, 소상공인들간에 수수료 부담없이 거래할 수 있다. 또한 소상공인간에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블록체인을 설명을 위해 도시한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핀테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계좌를 이용한 거래대금 이체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인증서의 발급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NS 플랫폼 서버의 커뮤니티 모듈 및 온라인 쇼핑몰 모듈을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 계좌 개설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자금융 상에서 블록체인을 설명을 위해 도시한 그림이다.
블록체인은, 중앙집중기관 없이 신뢰 기반의 당사자간의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즉,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 전자 금융 거래는, 중앙 집중형 구조로서 중앙 서버가 거래 공증 및 관리를 하여, 중앙 집중 기관의 장부의 기록을 통해 관리한다.
이에 반해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 금융 거래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산형 구조로서 거래내역이 모든 네트워크 참여자에게 공유되며, 모든 거래 참여자가 컨센서스를 통해 데이터의 공증 및 관리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NS 핀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계좌를 이용한 거래대금 이체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인증서의 발급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SNS 플랫폼 서버의 커뮤니티 모듈 및 온라인 쇼핑몰 모듈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개인사용자(사업자)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기존 공인인증서 대체, 증권사 공동인증서비스)로 서비스플랫폼에 접속하고, B2B/O2O 쇼핑몰 운영 시 증권거래계좌(현금이체, 가상화폐 간편결제 및 송금 등)를 거래에 활용, 신용카드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 Smart contract로 경제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100), 사용자 단말기(200), 인증키 관리 서버(400),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 및 SNS 플랫폼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100)은, 사용자 단말기(200), 인증키 관리 서버(400),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 및 SNS 플랫폼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1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개인키는 개인 사진 등의 개인 정보에 의하여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키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인증키 관리 서버(400)로 증권계좌 개설 요청 및 이체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는 인증키의 일부인 공개키를 인증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여 증권계좌 개설 요청을 수행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SNS 플랫폼 서버(300)에 요청한다.
인증키 관리 서버(400)는, 공개키를 이용하여 증권계좌를 생성하는 서버로서,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서버이다. 인증키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 관리하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개키를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로 전송하여 증권계좌 개설을 요청한다. 나아가 이체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키 관리 서버(4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NS 플랫폼 서버(300)가 관리하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거래가 발생할 시에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증권계좌를 통한 거래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로 요청한다.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될 수 있다. 참고로 각각의 인증키 관리 서버(400)는, 가입된 회원들에 대한 증권계좌의 개설, 삭제를 수행하며, 다른 인증키 관리 서버(400)에 가입된 회원들에 대한 증권계좌간 이체도 가능하도록 한다.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는, 인증키 관리 서버(400)로부터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요청을 받으면,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을 위한 블록체인 공동인증 관리를 수행하여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하거나 또는 증권계좌간 이체를 수행한다. 여기서 거래 대금 이체는, 현금, 포인트, 전자상품권, 코인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전자화폐를 이용한 이체가 해당될 수 있다.
증권계좌 관리 서버는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을 위한 블록체인 공동인증 관리를 수행한다. 블록체인 공동인증 관리는 공지된 다양한 블록체인 인증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는, 각 인증키 관리 서버(400)로부터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 요청을 받으면, 인증서 발급에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하여,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인증키 관리 서버(400)는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로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게 되고, 이러한 인증서 발급 요청을 받은 제1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2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3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4증권계좌 관리 서버는, 서로 검증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여, 인증 성공시에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규 블록을 생성하거나 추가하고, 인증서 등록/폐기 등의 블록체인 내역을 기록한 후,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해준다.
SNS 플랫폼 서버(300)는, 페이스북, 카카오톡, 트위터 등과 같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이다. SNS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개설 요청한 온라인 쇼핑몰 입점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온라인 쇼핑몰 입점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SNS 플랫폼 서버(300)는,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지와,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이 확인되는 경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승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B2B(Business to Business;기업간 거래), B2C(Business to Customer;기업과 개인간 거래), 02O( Online to Offline;온라인-오프라인 거래), O2O(Offline to Onine;오프라인-온라인 거래) 등에 이용되는 온라인 쇼핑몰을 SNS 플랫폼에 입점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SNS 플랫폼 서버(3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상공인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 및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을 SNS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SNS 플랫폼은, 소상공인들을 위한 금융투자 컨소시엄, 커뮤니티, 온라인 쇼핑몰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방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증권 계좌 개설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방법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권계좌 개설 과정(S610),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S620), 및 블록체인 인증 이체 과정(S630)을 포함할 수 있다.
증권계좌 개설 과정(S610)은, 사용자 단말기(200), 인증키 관리 서버(400), 및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간에 서로 통신하여, 공개키를 이용한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증권계좌를 개설한다.
블록체인 인증 이체 과정(S630)은, SNS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되도록 요청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권계좌 간에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거래 대금 이체가 가능해진다.
한편, 증권계좌 개설 과정(S610)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키 생성 과정(S6110), 증권계좌 개설 요청 과정(S6120), 및 증권계좌 신규 생성 과정(S6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인증키 생성 과정(S6110)은,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 요청(S6111)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200)는 본인 신원 확인(S6112)을 한다. 이러한 본인 신원 확인은 지문, 로그인 정보, 홍채 인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본인 신원 확인이 성공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개인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S6113)하여 저장하며, 생성된 개인키와 공개키를 인증키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개인키는 개인의 식별 정보와 함께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저장될 수 있다.
증권계좌 개설 요청 과정(S6120)은, 인증키 관리 서버(400)가,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기반으로 하는 증권계좌 개설을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에 사용자의 공개키 전송과 함께 요청하는 과정이다.
증권계좌 신규 생성 과정(S6130)은,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가, 인증서 발급에 필요한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를 생성하고 이에 대한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이다.
즉, 신규블록 생성 및 검증(S6131)하고, 신규블록 추가 및 블록체인에 기록(S6132)하여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S6133)받으며, 블록체인 인증서가 발급되는 경우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S6134)한다.
즉, 도 4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하여,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인증키 관리 서버(400)는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로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게 되고, 이러한 인증서 발급 요청을 받은 제1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2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3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4증권계좌 관리 서버는, 서로 검증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여, 인증 성공시에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규 블록을 생성하거나 추가하고, 인증서 등록/폐기 등의 블록체인 내역을 기록한 후,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해주며,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한다.
한편,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S620)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SNS 플랫폼 서버(300)간에 서로 통신하여, SNS 플랫폼상에 온라인 쇼핑몰을 입점시키는 과정이다. 이러한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S62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로그인 과정(S6210),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 과정(S6220), 쇼핑몰 입점 요건 판단 과정(S6230),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 확인 과정(S6240), 및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S6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커뮤니티 승인 과정(S6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로그인 과정(S621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SNS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S6211)하여 사용자 로그인하여 접속하는 과정이다. 사용자 단말기(200)가,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SNS 플랫폼 서버(300)에 접속한다. 이 과정에서, SNS 플랫폼 서버(300)는, 블록체인 인증서를 확인(S6212)하여 사용자의 블록체인 인증서가 없다면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을 요청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 과정(S6220)은, 사용자 단말기(200)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300)에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을 하는 과정이다.
쇼핑몰 입점 요건 판단 과정(S6230)은, SNS 플랫폼 서버(300)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 확인 과정(S6240)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쇼핑몰 거래계좌 개설 요청(S6241)이 있는 경우 SNS 플랫폼 서버(300)가,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S6242)하는 과정이다.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6242)은, SNS 플랫폼 서버(300)가, 증권계좌 관리 서버(500)로 사용자의 로그인 아이디, 공개키 등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증권계좌 개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S6250)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이 확인되는 경우, SNS 플랫폼 서버(300)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승인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SNS 플랫폼을 이용하여 B2B 쇼핑몰, B2C 쇼핑몰, 02O 쇼핑몰 등을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SNS 플랫폼 서버(300)는,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 및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을 SNS 상에 제공할 수 있는데, 따라서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S6250)이 있은 후, 사용자와 동일 업종에 할당된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에 사용자를 가입 승인시키고, 사용자와 동일 지역에 할당된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에 사용자를 가입 승인시키는 커뮤니티 승인 과정(S6260)을 가질 수 있다.
커뮤니티 승인이 허가될 경우, SNS 상의 소상공인 소셜 커뮤니티,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 및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커뮤니티에서 소상공인간에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유무선 통신망
200:사용자 단말기
300:SNS 플랫폼 서버
400:인증키 관리 서버
500:증권계좌 관리 서버

Claims (6)

  1. 사용자 단말기, 인증키 관리 서버, 및 증권계좌 관리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이용한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증권계좌 개설 과정;
    사용자 단말기와 SNS 플랫폼 서버간에 서로 통신하여, SNS 플랫폼상에 온라인 쇼핑몰을 입점시키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 및
    상기 SNS 플랫폼 서버는,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되도록 요청하는 블록체인 인증 이체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증권계좌 개설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개인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생성된 개인키와 공개키를 인증키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인증키 생성 과정;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가,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를 기반으로 하는 증권계좌 개설을 증권계좌 관리 서버에 사용자의 공개키 전송과 함께 요청하는 증권계좌 개설 요청 과정; 및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가,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을 위한 블록체인 공동인증 관리를 수행하여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하는 증권계좌 신규 생성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공동 인증관리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하여,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가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게 되고, 인증서 발급 요청을 받은 제1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2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3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4증권계좌 관리 서버가 서로 검증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여, 인증 성공시에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규 블록을 생성하거나 추가하고, 인증서 등록,폐기의 블록체인 내역을 기록한 후,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입점 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하는 사용자 로그인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에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을 하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 과정;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는 쇼핑몰 입점 요건 판단 과정;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 확인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승인하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증권계좌 개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SNS 플랫폼 서버는,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 및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 게시판을 SNS 상에 제공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이 있은 후, 사용자와 동일 업종에 할당된 업종별 소셜 커뮤니티에 사용자를 가입 승인시키고, 사용자와 동일 지역에 할당된 지역기반 소셜 커뮤니티에 사용자를 가입 승인시키는 커뮤니티 승인 과정;을 더 포함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방법.
  4. 개인키와 공개키를 포함하는 인증키를 생성하여 저장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인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 요청 및 이체 요청을 인증키 관리 서버로 하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을 SNS 플랫폼 서버를 통해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
    사용자의 개인키와 공개키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의 증권계좌 개설 요청 또는 이체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개키를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증권계좌 개설을 요청하는 인증키 관리 서버;
    블록체인 인증서 발급을 위한 블록체인 공동인증 관리를 수행하여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받아 사용자의 증권계좌를 개설하거나 또는 증권계좌간 이체를 수행하는 증권계좌 관리 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이 있는 경우, 사용자가 개설 요청한 온라인 쇼핑몰 입점의 승인 여부를 판단하여, 온라인 쇼핑몰 입점 여부를 결정하는 SNS 플랫폼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체인 공동 인증관리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개인키/공개키를 생성하여,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상기 인증키 관리 서버가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게 되고, 인증서 발급 요청을 받은 제1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2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3증권계좌 관리 서버, 제4증권계좌 관리 서버가 서로 검증 요청 정보를 송수신하여, 인증 성공시에 블록체인에 기반한 신규 블록을 생성하거나 추가하고, 인증서 등록,폐기의 블록체인 내역을 기록한 후, 블록체인 인증서를 발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온라인 쇼핑몰 입점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로그인하는 사용자 로그인 과정;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SNS 플랫폼 서버에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을 하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청 과정;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지를 판단하는 쇼핑몰 입점 요건 판단 과정;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 확인 과정; 및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 요건이 충족되고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사용자의 온라인 쇼핑몰 입점을 승인하는 온라인 쇼핑몰 입점 승인 과정;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쇼핑몰 거래계좌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SNS 플랫폼 서버가, 상기 증권계좌 관리 서버로 사용자의 식별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증권계좌 개설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시스템.
  5. 삭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거래가 발생한 경우, 상기 블록체인 인증서 기반으로 하는 인증을 거친 후 사용자의 증권계좌와 판매자의 증권계좌간의 거래 대금 이체가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SNS 핀테크 시스템.
KR1020170183138A 2017-12-28 2017-12-2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10201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38A KR102018277B1 (ko) 2017-12-28 2017-12-2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138A KR102018277B1 (ko) 2017-12-28 2017-12-2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92A KR20190080592A (ko) 2019-07-08
KR102018277B1 true KR102018277B1 (ko) 2019-09-05

Family

ID=6725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138A KR102018277B1 (ko) 2017-12-28 2017-12-28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863B1 (ko) * 2019-11-11 2021-11-09 주식회사 레몬헬스케어 블록체인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및 의료 정보 처리 방법
CN113724078B (zh) * 2021-07-14 2023-06-16 成都金控征信有限公司 一种基于zk-snark的区块链积分用户鉴权认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6615A (ja) * 2015-01-06 2016-07-11 楽天銀行株式会社 口座情報登録装置、店舗管理装置、口座情報登録方法、店舗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における振込決済の設定方法
KR101661933B1 (ko) * 2015-12-16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JP6218979B1 (ja) 2017-02-24 2017-10-25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ブロックチェーンを利用した金融取引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9413A (ko) * 2000-02-25 2000-08-05 김장우 인터넷 홈페이지타운 구축방법
KR20010008063A (ko) 2000-11-06 2001-02-05 황보열 컴팩트 디스크를 이용한 공개키 기반구조의 인증서, 인증서의 발급과 이용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6615A (ja) * 2015-01-06 2016-07-11 楽天銀行株式会社 口座情報登録装置、店舗管理装置、口座情報登録方法、店舗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における振込決済の設定方法
KR101661933B1 (ko) * 2015-12-16 2016-10-05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인증방법
JP6218979B1 (ja) 2017-02-24 2017-10-25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ブロックチェーンを利用した金融取引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92A (ko) 201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0815B2 (en) Device enrollment system and method
US20200336315A1 (en) Validation cryptogram for transaction
US20210383377A1 (en) Decentralized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s
CN108292330B (zh) 安全令牌分发
US70034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rming electronic transactions
US20180349894A1 (en) System of hardware and software to prevent disclosure of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reserve anonymity and perform settlement of transactions between parties using created and stored secure credentials
CN104838399A (zh) 使用移动设备认证远程交易
CN113545000B (zh) 交付时交互的分散式处理
US20220368678A1 (en) Secure and trusted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9716373B (zh) 密码认证和令牌化的交易
KR102131206B1 (ko) 법인 관련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비스 서버 및 인증 서버
WO2020086668A1 (en) Validation service for account verification
CN103116842A (zh) 多因子多信道id认证和交易控制及多选项支付系统及方法
KR101941625B1 (ko) 선택적 인증을 통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TWM589842U (zh) 以實名制手機實現的行動交易櫃檯
KR102018277B1 (ko) 블록체인 기반의 개인인증서를 이용한 에스앤에스 핀테크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N112074835A (zh) 执行安全操作的技术
KR20130095363A (ko) 해쉬함수 또는 전자서명을 이용하는 디지털 코드 기반 송금 방법
CN112970234B (zh) 账户断言
Thawre et al. Use cases of authentication protocols in the context of digital payment system
CN117716377A (zh) 用于用户账户关联支付和账单、合并数字记账者支付钱包的方法、装置和系统
US11812260B2 (en) Secure offline mobile interactions
KR20140119450A (ko) 보안전자결제 시스템 및 방법
TW202117625A (zh) 以實名制手機實現的行動交易櫃檯及其交易方法
KR20080003303A (ko) 공인 인증 정보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