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97B1 - Multi-directional switch - Google Patents

Multi-directional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97B1
KR102018097B1 KR1020180044148A KR20180044148A KR102018097B1 KR 102018097 B1 KR102018097 B1 KR 102018097B1 KR 1020180044148 A KR1020180044148 A KR 1020180044148A KR 20180044148 A KR20180044148 A KR 20180044148A KR 102018097 B1 KR102018097 B1 KR 102018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case
pressing
groov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41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 씨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 씨디
Priority to KR1020180044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0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directional switch. The multi-directional switch includes a base having a substrate and a plurality of switches positione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substrate to generate a drive signal; a case accommodating the base; a knob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ined to one side by the operation of a user; a plurality of rod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o connect the knob and the base and pressing at least one of the switches as the knob is inclined; and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knob and pressing the central part of the knob upw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uniform restoring force regardless of an operation direction,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inner members and implementing a mechanism having no malfunction due to aging.

Description

다방향 스위치{MULTI-DIRECTIONAL SWITCH}Multi-Directional Switches {MULTI-DIRECTIONAL SWITCH}

본 발명은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다른 부재와의 간섭을 최소화한 다방향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irectional switch which minimizes interference with other members to provide a uniform restoring force regardless of the operation direction.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류의 흐름을 막거나 단방향으로 계속 흐르게 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두 개 이상 연결하면 다양한 변위를 가질 수 있는 장치로 구성된다. 일 예로 X축 선상의 어느 한 점을 정확하게 도달하기 위해서는 정 방향과 역 방향을 제어하는 두 개의 스위치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에 올 수 있게 되며, 또 다른 Y축을 구현하는 두 개의 스위치가 추가된다면 즉 네 개의 스위치면 평면을 구현하고, 여섯 개일 경우 3차원 입체를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general, a switch is a device that prevents the flow of current or keeps flowing in one direction. When two or more of them are connected, they consist of a device that can have various displacements. For example, in order to reach exactly one point on the X-axis line, it can be brought to a desired position by two switches that control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nd if two switches that implement another Y-axis are added, that is, fou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switch plane, and six to implement a three-dimensional solid.

다 방향 스위치는 단일의 몸체에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의 특정 버튼 스위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특히 평면을 제어하는 종류는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또는 일반적인 가전제품들을 유무선으로 작동시키는 리모컨, 유무선전화기, 카메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며 주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것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것을 다방향 스위치라 칭하는데 다방향 스위치의 경우 내부의 접지를 위한 접지편이 탄성복원력을 가지고 있어 레버나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접지편이 하강하여 접지 단자와 접속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The multi-directional switch is a device that can selectively operate only a plurality of specific button switches in a single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particular, the type of plane control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 remote control, a wired / wireless telephone, and a camera for operating a wired or wireless TV, a video, or general household appliances, and is mainly used for selecting a menu desired by a user. One having such a structure is called a multidirectional switch. In the case of a multidirectional switch, the grounding piece for grounding inside has elastic restoring force, and when the lever or the switch is pressed, the grounding piece is lowered and connected to the grounding terminal.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5260호(다방향 버튼 스위치)와 같은 선행 문헌이 존재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는, 놉(1)을 기판(3)에 고정시키며, 스위치 누름부(12)를 원위치로 복원시키는 놉지지부(2)를 포함하고, 상기 놉지지부(2)는 기판(3)에 고정되는 홀더(21)와 놉(1)이 안착되는 놉 안착구(24)를 연결하는 탄성아암(2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아암(22)은 놉 안착구(24)로부터 복수의 홀더(21)로 연장되도록 복수로 구성되며, 복수의 탄성아암(2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한다. In this regard, prior art documents such as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065260 (multi-directional button switch) exist. Referring to FIG. 1, the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knob support part 2 which fixes the knob 1 to the substrate 3 and restores the switch press part 12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upport part 2 includes an elastic arm 22 connecting the holder 21 fixed to the substrate 3 and the knob seat 24 on which the knob 1 is seated. The elastic arm 22 is configured in plurality so as to extend from the knob seat 24 to the plurality of holders 21, the plurality of elastic arms 22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different directions.

이와 같은 종래 다방향 스위치는, 노후화 등에 따라 복수의 탄성아암의 탄성력이 균일하지 않게 변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문제는 비대칭적인 복원력을 제공하여, 놉이 일측으로 편심지게 배치되거나, 놉의 조작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Such a conventional multi-directional switch, the elastic force of the plurality of elastic arms may be unevenly modified due to aging, such a problem provides an asymmetric restoring force, the knob is arranged eccentrically to one side, or the operation feeling of the knob Falling problems can occur.

또한, 러버 등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다방향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 누름부 사이(틈)에 러버의 일부가 끼임이 발생하여, 오작동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방향 스위치가 차량용 시트에 적용된 경우에는 오작동으로 인해 탑승자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ulti-directional switch including an elastic member such as a rubber, a part of the rubber may be caught between the switch presses (gap),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malfunction. In particular, when the direction switch is applied to the vehicle seat, the attitude of the occupant may be changed due to a malfunction, thereby causing a safety problem.

(선행기술문헌)(Prior art document)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65260호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65260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의 재질의 변경으로 노후화에 따른 뷸균일한 동작이 개선될 수 있는 다 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directional switch that can improve the uniform operation of the aging due to the change of the material of the internal parts.

또한, 본 발명은 내부 부품의 구조 변경으로 비 대칭적인 복원력을 제거하는 다 방향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ulti-directional switch that eliminates asymmetric restoring force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an internal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접접에 위치되어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노브;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노브와 베이스를 연결하여, 상기 노브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다수의 스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다수의 로드; 및 상기 케이스와 상기 노브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노브의 중앙부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A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positioned at a contact of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A case accommodating the base; A knob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ined to one side by a user's manipulation; A plurality of rods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o connect the knob and the base to press at least one of the switches as the knob is inclined; And an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case and the knob and urging a central portion of the knob upward.

또한, 상기 노브는, 상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조작력이 작용되는 누름부; 하면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가 수용되는 수용홈; 하면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수용홈과 가압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상면과 선택적으로 걸림이 발생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knob, the press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o operate the operation force by the user's operation; A receiving groov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to accommodate the elastic portion; A pressing part provided at a lower edge to pressurize the rod; And a hook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receiving groove and the pressing portion to selectively engage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의 일측이 지지되는 함몰홀; 및 상기 함몰홀의 외측에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후크부가 삽입되어 걸림이 발생하는 삽입홀을 구비하는 내측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se may include a recessed hole provided at an upper surface thereof to support one side of the elastic part; And an inner side rib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n the outer side of the recessed hole and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hook portion is inserted to cause a latch.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내측리브의 외측에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리브의 하측 테두리부와의 선택적 간섭이 발생하는 외측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로드는 상기 외측리브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가압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rib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outside of the inner rib to generate selective interference with a lower edge of the rib, and the rod may include the outer rib and the outer rib. It may be selectively contacted with the pressing portion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또한, 사용자가의 조작력에 의해서 상기 노브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가압부가 상기 로드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위치를 가압하고, 상기 조작력이 제거되면, 상기 노브의 중앙부를 가압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노브가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knob is inclined to one side by a user's operating force, the pressing unit moves the rod downward to press the switch, and when the operating force is removed, the knob is pressed by an elastic force that presses the center portion of the knob.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uniform restoring force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은, 내부의 각 부재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노후화에 따른 오작동이 없는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therein and implementing a mechanism without malfunction due to aging.

도 1 은 종래기술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전방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하방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상방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가 비가압 상태일 때의 A-A'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가 가압 상태일 때의 A-A'의 단면도이다.
1 shows a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th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when the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non-pressurized state.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when the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members that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전방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의 하방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상방사시도이다.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kno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FIG. 5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10)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노브(100), 상기 노브(10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0), 상기 노브(100)가 설치되는 케이스(150) 및 상기 노브(100)의 조작에 따라서 전자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케이스(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베이스(200)를 포함한다.2 to 5, the multi-directional switch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nob 100 operated by a user, an elastic part 130 for providing a restoring force to the knob 100, The case 100 includes a case 150 in which the knob 100 is installed, and a base 200 that generates an electronic signal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knob 100 and is accommodated in the case 150.

상기 노브(100)는 대략 일정 두께를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노브(100)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면부(110)와 상기 상면부(110)의 하측에 구비되어 하부를 구성하는 하면부(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knob 100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knob 100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portion 110 constituting an upper portion and a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to form a lower portion. The unit 120 may be formed.

상기 상면부(110)에는 사용자에 의해서 가압되는 누름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누름부를 가압하여 상기 노브(100)를 조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노브(100)는 상기 누름부의 가압에 의해서 일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노브(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베이스(200)를 가압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may be provided with a pressing portion that is pressed by the user. The user may manipulate the knob 100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At this time, the knob 100 may be inclined to one side by pressing the pressing part. As the knob 100 is inclined, the base 200 is pressed.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누름부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다방향 스위치(10)의 입력 수에 대응되는 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전방향, 후방향, 좌방향, 우방향의 4개의 입력을 발생시키는 다방향 스위치(10)는 4개의 누름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부는 상기 상면부(110)의 전방측, 후방측, 좌측, 우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in plural, and may be configured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inputs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 10. For example, the multi-directional switch 10 generating four inputs in the front direction, the rear direction, the left direction, and the right direction may be provided with four pressing portions, and the pressing portion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It may be disposed at the rea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respectively.

상기 하면부(120)는,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130)가 배치되는 수용홈(121), 상기 수용홈(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체결홀(182)에 삽입되는 후크부(122), 테두리에 구비되어 후술할 로드(230)를 가압하는 가압부(123)를 포함한다.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receiving groove 121, the elastic portion 130 is disposed, the hook portion formed in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2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82 to be described later 122, the pressing portion 123 is provided on the rim to press the rod 23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후크부(122) 및 가압부(123)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122) 및 가압부(123)는 상기 하면부(120)의 중심을 이루는 수용홈(121)을 기준으로 점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ook portion 122 and the pressing portion 12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hook portion 122 and the pressing portion 123 are based on the receiving groove 121 forming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It can be arranged to achieve point symmetry.

이때. 상기 후크부(122) 및 가압부(123)의 수는 상기 다방향 스위치의 조작되는 입력의 수와 같을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다방향 스위치(10)가 전방향, 후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4방향 스위치인 경우에는, 후크부(122) 및 가압부(123)는 상기 수용홈(121)를 기준으로 전방향, 후방향,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hook portion 122 and the pressing portion 123 may be equal to the number of inputs operated by the multi-directional switch. For example, when the multi-directional switch 10 is a four-way switch that can be operated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hook portion 122 and the pressing portion 123 is the receiving groove ( 12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가압부(123)는 상기 누름부에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누름부의 하측에 가압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part 123 may be disposed to be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essing part. In other words, the pressing unit 123 may be disposed below the pressing unit.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수용홈(1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노브(100)를 상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상기 노브(100)는 상기 후크부(122)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15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130)에 의해서 상측으로 가압되어, 상기 케이스(150)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특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특정 위치를 '원 위치'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윈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지 않아, 조작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의 상기 노브(100)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elastic portion 13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1, and presses the knob 100 toward the upper side. The knob 100 is pressed upward by the elastic part 130 in a state in which it is fastened to the case 150 by the hook part 122, and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upward from the case 150. It can be placed in a specific location. The specific position may be defined as a 'original position', and the 'win position' may mean a position of the knob 100 in a state in which no manipulation force is applied because it is not operated by a user.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수용홈(121)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노브(100)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32)과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에 연결되는 가압피스(131)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130)는 상기 수용홈(121)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압피스(131)가 하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130)의 자세한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The elastic part 130 includes a coil spring 132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21 and having one end pressed against the knob 100 and a pressing piece 131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The elastic portion 130 is installed inside the receiving groove 121, so that the pressing piece 131 provides an elastic force to the lower side.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elastic unit 130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케이스(150)는 내부에 상기 베이스(200)가 수용되는 본체부(160), 상기 본체부(160)의 상면(16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외측리브(170) 및 내측리브(180) 및 상기 본체부(160)의 상면(161)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90)를 포함한다. The case 150 may include a main body 160 accommodating the base 200 therein, an outer rib 170 and an inner rib 180 protruding upward from an upper surface 161 of the main body 160. It includes a recessed portion 190 is formed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161 of the main body 160.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몰부(190)는 전체적으로 십자 형상의 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가압피스(131)의 피스말단(133)이 함몰부(190)의 홈으로 내삽되어 노브(1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시키게 된다. Preferably, as shown, the depression 190 is a cross-shaped groove as a whole, the piece end 133 of the pressing piece 13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depression 190 is inserted into the knob ( Tilt 10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구체적으로, 상기 함몰부(190)는 중심홈(191), 상기 중심홈(19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192) 및 상기 중심홈(191)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193)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함몰부(190) 형상으로 인하여 노브(1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시킬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recess 190 is a vertical groov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groove 191, the horizontal groove 192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groove 191 and the center groove 191. 193, the knob 100 may be tilted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due to the shape of the recess 190.

상기 외측리브(170) 및 내측리브(180)는 상기 함몰부(190)를 중심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리브(170) 및 내측리브(180)는 상기 함몰부(190)를 중심으로 하여 측벽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외측리브(170) 및 내측리브(180)는 상기 상면(16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90)에 인접하게 내측리브(180)가 배치되고, 상기 함몰부(19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외측리브(170)가 배치된다.The outer rib 170 and the inner rib 180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ecess 190, and the outer rib 170 and the inner rib 180 may be the recess 190. It may be arranged to form a side wall around the. The outer rib 170 and the inner rib 180 may be formed of ribs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61. The inner rib 18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cess 190, and the outer rib 170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recess 190.

상기 내측리브(180)는 상기 노브(100)의 하면부(120)가 지지되는 지지부(1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181)에는 상기 후크부(122)와 걸림이 발생하도록 상기 지지부(181)의 측면이 관통되는 체결홀(182)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홀(182)은, 상기 후크부(122)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에 비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nner rib 180 may include a support part 181 on which the lower part 120 of the knob 100 is supported, and the support part 181 may support the hook part 122 so that the hook part 122 may be engaged with the support part 181. A fastening hole 182 penetrates the side of 181 is provided. The fastening hole 182 may include an opening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hook portion 122 may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fastened state.

한편, 상기 체결홀(182)의 하측에는 상기 상면(161)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구(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홀(182)과 상기 개구(162)는 상기 후크부(122)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며, 상기 지지부(181)는 상기 후크부(122)와 걸림이 발생하여 상기 노브(100)를 지지한다. Meanwhile, an opening 162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161 may be provided below the fastening hole 182. The fastening hole 182 and the opening 162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ook portion 122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upport portion 181 is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122 so that Support knob 100.

상기 외측리브(170)는 상기 노브(100)의 하면부(120)와 간섭이 발생하는 스토퍼(17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171)의 일측에는 후술할 로드(230)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17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outer rib 170 may include a stopper 171 which interferes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of the knob 100, and a rod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171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 insertion hole 172 formed to penetrate through may be provided.

상기 삽입홀(172)의 내부에는 상기 로드(230)가 배치되며, 상기 삽입홀(172)은 상기 로드(23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The rod 230 is disposed inside the insertion hole 172, and the insertion hole 172 guides the movement of the rod 230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함몰부(190)는 상기 상면(161)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는 홈을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190)는 상기 가압피스(131)의 피스말단(133)이 접촉되며, 상기 함몰부(190)는 상기 탄성부(130)의 일단을 지지한다. 상기 함몰부(190)는 중심홈(191)으로 갈수록 함몰된 깊이가 서서히 깊어지게 되며, 상기 피스말단(133)이 상기 함몰부(190) 내부에서 상하좌우 틸팅시 피스말단(133)을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epression 190 includes a groove recessed to a certain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161. The recess 190 is in contact with the piece end 133 of the pressing piece 131, the recess 190 supports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130. The depression 190 is gradually deepened into the recessed depth toward the center groove 191, the piece end 133 is to support the piece end 133 when tilting up, down, left and right inside the depression 190 To help.

상기 베이스(200)는 기판(210), 상기 기판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전극을 가압하는 스위치(220) 및 상기 가압부(123)와 상기 스위치(220) 사이에 개입되는 로드(230)를 포함한다. The base 20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bstrate 210, the substrate, and a switch 220 for pressing an electrod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a rod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unit 123 and the switch 220. 230.

상기 로드(230)에 의해서 상기 전극이 가압됨에 따라 상기 스위치(220)에서 전기 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스위치(220) 및 로드(2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방향 스위치의 입력의 수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the electrode is pressed by the rod 230, an electrical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witch 220. The switch 220 and the rod 23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input of the multidirectional switch may be performed. It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가 비가압 상태일 때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다방향 스위치가 가압 상태일 때의 A-A'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when the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non-pressurized stat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A' when the multidirectional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a pressurized state.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노브(100)와 상기 케이스(150)는 상기 후크부(122)와 상기 지지부(181)의 결합에 의해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후크부(122)는 중력에 의해서 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나, 상기 함몰부(190)와 상기 노브(100)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130)가 상기 노브(100)에 대해서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상기 원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6 and 7, the knob 100 and the case 150 are fixed by the combination of the hook part 122 and the support part 181. At this time, the hook portion 122 may be moved downward by gravity, but the elastic portion 130 disposed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190 and the knob 100 is connected to the knob 100. Since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it can be maintained in the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로드(230)는 상기 케이스(15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5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베이스(200)와 케이스(150)의 상측에 배치되는 노브(100)를 연결한다. 이 때, 상기 노브(100)가 상기 원 위치를 유지하므로, 상기 로드(230)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220)가 가압되지 않는다. The rod 230 penetrates the case 150 to connect the base 200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50 and the knob 100 disposed above the case 150. At this time, since the knob 100 maintains the original position, the switch 220 is not pressed by the rod 230.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노브(100)가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되면, 상기 노브(100)의 일측은 하측으로 이동하여 노브(100)가 일측으로 기울여진다. 다시 말해, 상기 상면부(110)의 일측(도 7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누름부에 조작력(A)이 작용되면, 노브(100)의 일측은 하방으로 이동되지만, 타측은 상기 탄성부(130)의 탄성력(B)이 작용되므로,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knob 100 is operated by a user, one side of the knob 100 moves downward and the knob 100 is tilted to one side.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ng force A is applied to the pressing portion disposed on one side (right side of FIG. 7)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one side of the knob 100 is moved downward, but the other side is the elastic portion. Since the elastic force B of the 130 is applied, it does not move downward.

상기 조작력(A)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 가압부(123)는 상기 로드(230)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스위치(220)를 구동하며, 일측에 배치된 스위치(220)에서 조작신호를 발생시킨다. 반면, 타측에 배치되는 가압부(123)는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으므로, 타측에 배치된 스위치(220)에서는 조작신호가 발생되지 않는다. The pressing unit 123 moved downward by the operation force A moves the rod 230 downward to drive the switch 220, and generates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switch 220 disposed at one side. On the other hand, since the pressing unit 123 disposed on the other side does not move downward, the operation signal is not generated in the switch 220 disposed on the other side.

한편, 상기 노브(100)의 일측이 일정 범위 이상 하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하면부(120)와 상기 스토퍼(171) 간에 간섭이 발생하며, 상기 노브(100)가 일정 범위 이상으로 기울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one side of the knob 100 is moved to the lower side by a predetermined range or more,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and the stopper 171, and prevents the knob 100 from being inclined beyond the predetermined range. can do.

상기 누름부에 작용하던 조작력(A)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력(B)에 의해서 상기 노브(10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탄성부(130)가 상기 노브(100)의 중앙부를 가압하여 상기 노브(100)를 복귀시키므로, 방향을 불문하고 일정한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force A acting on the pressing part is removed, the knob 1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B. Since the elastic part 130 presses the center part of the knob 100 to return the knob 100, a constant restoring force may be provided regardless of the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 방향 스위치는, 조작 방향과 무관하게 균일한 복원력을 제공하고, 내부의 각 부재들 사이의 간섭을 최소화하며 노후화에 따른 오작동이 없는 메카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directional switch can provide a uniform restoring force irrespective of the operation direction,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members inside, and implement a mechanism without malfunction due to aging.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ut should be defined by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10 다방향 스위치 100 노브
110 상면부 120 하면부
121 수용홈 122 후크부
123 가압부 130 탄성부
150 케이스 160 본체부
170 외측리브 171 스토퍼
172 삽입홀 180 내측리브
181 지지부 182 체결홀
190 함몰부 200 입력부
210 기판 220 스위치
230 로드
10 multi-directional switch 100 knob
110 Upper part 120 Lower part
121 Receiving groove 122 Hook part
123 Pressing part 130 Elastic part
150 case 160 body
170 Outer Rib 171 Stopper
172 Insert Hole 180 Inner Rib
181 Support 182 Tightening Hole
190 depression 200 input
210 board 220 switch
230 load

Claims (5)

케이스(150);
상기 케이스(15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사용자 가압에 의하여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누름부를 가지는 상면부(110)와 상기 상면부(110)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면부(12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면부(120)는 중앙에 형성되어 탄성부(130)가 배치되는 수용홈(121), 상기 수용홈(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체결홀(182)에 삽입되는 후크부(122), 상기 하면부(120)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로드(230)를 가압하는 가압부(123)를 가지는 노브(100);
상기 케이스(150)와 상기 노브(10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노브(100)의 수용홈(121)에 삽입되어 일단이 상기 노브(100)를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32)과, 상기 코일 스프링(132)이 타단에 연결되는 가압피스(131)로 이루어진 탄성부(130);
상기 케이스(150)의 내부에 수용되는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배치되어 전극을 가압하는 다수개의 스위치(220)와, 상기 케이스(150)의 상면을 관통하되 상기 노브(100)의 가압부(123)와 상기 스위치(220) 사이에 개입되어 노브(100)의 기울어짐에 따라 스위치(220) 중 적어도 하나를 가압하는 로드(230)를 가지는 베이스(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150)는,
상기 케이스(15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130)의 일측이 지지되는 함몰부(190)와, 상기 함몰부(190)와 인접하게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 형상의 내측리브(180)와, 상기 내측리브(180)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 형상의 외측리브(170)를 가지며,
상기 함몰부(190)는 중심홈(191), 상기 중심홈(191)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가로홈(192) 및 상기 중심홈(191)을 기준으로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세로홈(19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부(130)의 가압피스(131)의 피스말단(133)이 상기 함몰부(190)의 홈으로 내삽되어 상기 중심홈(191), 가로홈(192) 및 세로홈(193)을 따라서 노브(100)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내측리브(180)는, 상기 노브(100)의 하면부(120)가 지지되는 지지부(181)와, 상기 지지부(181)의 측면에 형성되어 후크부(122)와의 걸림이 발생되는 체결홀(182)을 가지며,
상기 외측리브(170)는, 상기 노브(100)의 하면부(120)와의 간섭을 발생시키는 스토퍼(171)와, 상기 스토퍼(171)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드(230)가 내삽되어 로드(23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삽입홀(172)을 가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스위치.
Case 150;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50 is disposed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having a pressing portion inclined to one side by the user pressure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110 The hook portion 122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eceiving groove 121 and the receiving groove 121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130 is disposed and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82. A knob 100 provided at an edge of the lower surface part 120 and having a pressing part 123 for pressing the rod 230;
A coil spring 132 disposed between the case 150 and the knob 100 and inserted into a receiving groove 121 of the knob 100 to press one end of the knob 100 and the coil spring; Elastic portion 130 made of a pressing piece 13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132;
The knob 100 penetrates the substrate 210 accommodated in the case 150, a plurality of switches 220 disposed on the substrate 210 to pressurize an electrod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ase 150. A base (200) having a rod (230) interposed between the pressing unit (123) and the switch (220) to press at least one of the switches (220) as the knob (100) is incline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case 150,
The recessed portion 19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50 and the one side of the elastic portion 130 is supported, and the inner rib of the rib-shaped protruding upward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distance adjacent to the recessed portion 190 180 and a rib-shaped outer rib 170 projecting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ib 180,
The depression 190 has a center groove 191, a horizontal groove 192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groove 191 and a vertical groove 193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groove 191. The end of the piece 133 of the pressing piece 131 of the elastic por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recess 190 to the center groove 191, horizontal groove 192 and vertical groove ( 193, tilt the knob 10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ner rib 180 may include a support part 181 on which the lower surface part 120 of the knob 100 is supported, and a fastening hole formed at a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81 to cause a hook with the hook part 122. Has 182,
The outer rib 17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pper 171 and the stopper 171 that generates interference with the lower surface portion 120 of the knob 100, the rod 230 is interpolated to the rod ( Multi-directional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having an insertion hole 172 to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23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0044148A 2018-04-16 2018-04-16 Multi-directional switch KR1020180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48A KR102018097B1 (en) 2018-04-16 2018-04-16 Multi-directional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148A KR102018097B1 (en) 2018-04-16 2018-04-16 Multi-directional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097B1 true KR102018097B1 (en) 2019-10-21

Family

ID=684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148A KR102018097B1 (en) 2018-04-16 2018-04-16 Multi-directional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09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63U (en) * 2020-06-03 2021-12-10 정진화 Devices for communicating with pets
WO2023181080A1 (en) * 2022-03-25 2023-09-28 Uno Minda Limited A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764A (en) * 2005-10-04 2007-04-09 주식회사 디지탈싸이노스 Nob for multi-directed switch
KR20090092663A (en) * 2008-02-27 2009-09-0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Integrated switching device having switching unit with tilting switch
KR20110003423U (en) * 2009-09-29 2011-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 for Vehicle
KR101641598B1 (en)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switch
KR101655977B1 (en) *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switc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7764A (en) * 2005-10-04 2007-04-09 주식회사 디지탈싸이노스 Nob for multi-directed switch
KR20090092663A (en) * 2008-02-27 2009-09-0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Integrated switching device having switching unit with tilting switch
KR20110003423U (en) * 2009-09-29 2011-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Switch for Vehicle
KR101641598B1 (en) * 2016-05-25 2016-07-21 (주)파란전자 switch
KR101655977B1 (en) * 2016-06-30 2016-09-08 삼흥전자공업 주식회사 switch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763U (en) * 2020-06-03 2021-12-10 정진화 Devices for communicating with pets
KR200495658Y1 (en) 2020-06-03 2022-07-19 정진화 Devices for communicating with pets
WO2023181080A1 (en) * 2022-03-25 2023-09-28 Uno Minda Limited A switch assembly for a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3896A (en) Push button
CA2540480C (en) Switching apparatus
US6162999A (en) Multi-directional operating switch
KR102018097B1 (en) Multi-directional switch
US10109433B2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and operating element having an electric push-button switch
US5667061A (en) Linear cam-assisted plunger switch
US20190252808A1 (en) Terminal block
JP2001084873A (en) Switch device
US7102087B2 (en) Key top
JP7267853B2 (en) switch device
JP2020144994A (en) Switch member and push switch
US6388210B1 (en) Operating element for selectively producing electric contacts
WO2021085309A1 (en) Switch device
EP3736656B1 (en) Operation device
JPH07282689A (en) Multi-directional input switch
KR101902554B1 (en) Multi-directional slide switch
KR101070028B1 (en) Sliding button switch unit for a vehicle
JP2022043622A (en) Push switch
JP6729849B2 (en) Operation unit assembly structure
JP6460331B2 (en) Input device
CN111712895A (en) Switching device
JP6430333B2 (en) Press operation device
JP4247312B2 (en) Electronics
JP4159704B2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JP2018186027A (en) Switch mounting structure and switch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