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21B1 -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 Google Patents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21B1
KR102018021B1 KR1020187030656A KR20187030656A KR102018021B1 KR 102018021 B1 KR102018021 B1 KR 102018021B1 KR 1020187030656 A KR1020187030656 A KR 1020187030656A KR 20187030656 A KR20187030656 A KR 20187030656A KR 102018021 B1 KR102018021 B1 KR 102018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arrier layer
sole structure
form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257A (ko
Inventor
스캇 씨. 홀트
에릭 에스. 쉰들러
트래비스 케이. 에른스트
로버트 더블유. 돌란
리사 엠. 호베이
타미무 에이. 쉴론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80118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9/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of the individual parts
    • A43B9/04Welted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outsole or external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43B13/188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23Profiled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5/00Welts for footwea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다. 밑창 구조체는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블레더(bladder)의 안쪽 측부에서 바깥쪽 측부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챔버를 포함한다. 챔버의 아래쪽 표면은, 안쪽 측부에서 바깥쪽 측부 방향으로 챔버의 하나의 측부 에지로부터 다른 측부 에지까지 챔버의 아래쪽 표면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는, 하나의 서브챔버를 인접한 서브챔버로부터 분리시키는, 아래쪽 표면의 오목부(indentation)와 협력할 수 있다. 서브챔버들의 직경은 블레더의 힐 구역으로부터 챔버의 발 앞쪽(forefoot) 구역으로의 방향에서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본 발명은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물품들은 일반적으로 2개의 주 요소, 즉 갑피와 밑창 구조체를 포함한다. 갑피는 흔히, 발을 편안하고 안전하게 수용하기 위한 공동(void)을 신발 내에 형성하도록 함께 봉합되거나 접착식으로 접합되는, 복수의 재료 요소들(예컨대, 직물, 폴리머 시트층, 폴리머 발포체층, 천연 가죽, 합성 가죽)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갑피는 발의 발등 및 토(toe) 영역 위로, 발의 안쪽 측부 및 바깥쪽 측부를 따라, 그리고 발의 힐(heel) 영역 둘레로 연장되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갑피는 또한, 신발의 맞음새(fit)를 조절할 뿐만 아니라, 갑피 내의 공동에 대한 발의 진입 및 빠짐을 허용하는, 끈 시스템(lacing system)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갑피는 신발의 조절성 및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끈 시스템 아래에서 연장되는 혀 부분(tongue)을 포함할 수 있고, 갑피는 발의 힐 영역을 안정화시키는 힐 카운터(heel counter)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 구조체는 갑피의 아래쪽 부분에 고정되고, 발과 지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예컨대, 운동화에서, 밑창 구조체는 흔히 중창(midsole)과 바닥창(outsole)을 포함한다. 중창은 흔히 걷기, 달리기, 및 기타 보행 활동 중에 지면 반력을 감쇠시키는(즉, 완충을 제공하는) 폴리머 발포체로 형성될 수 있다. 중창은 또한 예컨대 반력을 더 감쇠시키거나, 안정성을 강화시키거나,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는 유체 충전 챔버, 플레이트, 완화기(moderators), 또는 다른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구성에서, 중창은 주로 유체 충전 챔버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바닥창은 신발의 지면 접촉 요소를 형성하고, 일반적으로 트랙션(traction)을 부여하기 위한 조직(texturing)을 포함하는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고무 재료로 제작된다. 밑창 구조체는 또한 신발의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갑피의 공동 내에 그리고 발의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하게 되는 깔창(sockliner)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발포체 중창의 중량을 감소시키고 반복적인 압축에 뒤따르는 나는 열화(deterioration)의 영향을 감소시키는 하나의 방식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는 Rudy 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183,156호에 개시되며, 이 특허에서는 지면 반력의 감쇠가 엘라스토머 재료들로 형성되는 유체 충전 블레더(bladder)에 의해 제공된다. 블레더는 밑창 구조체의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튜브형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들은 서로 유체 연통 상태에 놓이고, 함께 신발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블레더는,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되는 Rudy 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219,94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머 발포체 내에 봉입될 수 있다. 블레더와 봉입용 폴리머 발포체의 조합이 중창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갑피는 폴리머 발포체의 위쪽 표면에 부착되고, 바닥창 또는 접지면(tread) 부재가 아래쪽 표면에 고정된다. 전술한 타입의 블레더들은 일반적으로 엘라스토머 재료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챔버를 그들 사이에서 둘러싸는, 위쪽 부분와 아래쪽 부분를 갖도록 구성된다. 챔버들은, 유체 압력원에 연결된 노즐 또는 니들(needle)을 블레더 내에 형성된 충전 입구에 삽입함으로써, 대기압 이상으로 가압된다. 챔버들의 가압에 이어서, 충전 입구가 밀봉되고 노즐이 제거된다.
신발류 적용들에 적합한 유체 충전 블레더들은, 2-필름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 기법에서 2개의 별개의 폴리머 시트가 블레더의 주연부(periphery)를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접합되고, 시트들은 또한 블레더에 원하는 형태를 제공하기 위해 예정된 내부 영역들에서 함께 접합된다. 즉, 내부 접합부들은 예정된 형상과 크기를 갖는 챔버들을 구비하는 블레더를 제공한다. 열성형으로 흔히 지칭되는 다른 방법에서, 2개의 별개의 폴리머 시트가 가열되고, 예정된 형상으로 성형되며, 블레더의 주연부 및 내부 접합부들을 형성하기 위해 함께 접합된다. 그러한 블레더들은 또한, 블로우 성형 기법에 의해 제조되어 왔으며, 튜브 형상의 용융된 또는 그렇지 않으면 연화된 엘라스토머 재료가, 블레더의 원하는 전체적인 형상 및 형태를 갖는, 몰드 내에 위치하게 된다. 몰드는, 가압 공기가 그를 통해 제공되는, 개구를 하나의 지점에 구비한다. 가압 공기는, 액화된 엘라스토머 재료를 몰드의 내측 표면들의 형상에 부합하도록 유도한다. 이어서, 엘라스토머 재료는 냉각되고, 그로 인해 원하는 형상과 형태를 갖는 블레더를 형성한다.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다. 밑창 구조체는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측벽 표면을 갖는다. 제1 표면은 갑피를 마주하도록 향하고, 제2 표면은 제1 표면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갑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며, 측벽 표면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서 그리고 챔버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연장된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은 신발의 바깥쪽 측부 및 신발의 대향하는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세장형 서브챔버를 획정한다. 제1 표면과 제2 표면은,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는 접합부를 형성하도록, 서브챔버들 중 적어도 2개의 서브챔버들 사이에서 서로 결합된다. 접합부의 단부 영역들은 측벽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제2 표면은 접합부에서 오목부(indentation)를 획정하고, 오목부는 접합부의 단부 영역들을 지나서 연장됨으로써, 오목부가 챔버를 전체적으로 가로질러 그리고 신발의 바깥쪽 측부 상에 배치되는 측벽 표면의 일부로부터 신발의 안쪽 측부 상에 배치되는 측벽 표면의 일부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다. 밑창 구조체는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대향하는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튜브를 포함한다. 튜브의 직경은 챔버의 힐 구역으로부터 블레더의 발 앞쪽 구역으로의 방향에서 감소한다.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다. 밑창 구조체는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대향하는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챔버들을 포함한다. 챔버의 아래쪽 표면은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를 포함한다. 접합부는, 하나의 서브챔버를 인접한 서브챔버로부터 분리시키는, 오목부를 아래쪽 표면에 형성한다. 바닥창은, 복수의 외향으로 돌출하는 지면 맞물림 부재를 형성하는, 지면 맞물림 표면을 획정하고, 바닥창은 오목부 내로 연장된다. 바닥창은 지면 맞물림 부재들을 포함하는 제1 영역 및, 바닥창이 오목부 내로 연장되는 곳에 배치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지면 맞물림 부재들은 제2 영역에는 없다.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신발류 물품은 갑피와,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다. 밑창 구조체는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포함한다. 챔버는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대향하는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서브챔버를 포함한다. 서브챔버들의 단면 크기는 챔버의 힐 구역으로부터 챔버의 발 앞쪽 구역으로의 방향에서 감소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을 특징짓는 신규성의 이점들 및 특징들은 특히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다. 그러나, 신규성의 이점들 및 특징들에 대한 개선된 이해을 얻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되는 다양한 구성 및 개념을 설명하고 예시하는 뒤따르는 설명과 첨부 도면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개요 및 뒤따르는 상세한 설명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신발류 물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신발류 물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신발류 물품으로부터의 유체 충전 챔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유체 충전 챔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유체 충전 챔버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유체 충전 챔버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선 7-7에 의해 획정된 바와 같은 유체 충전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유체 충전 챔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a는 도 3의 단면선 9-9에 의해 획정된 바와 같은 챔버가 몰딩된 이후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9b는 유체에 의해 팽창된 이후의 도 9a의 챔버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유체 충전 챔버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몰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b는 삽입물을 포함하는 유체 충전 챔버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몰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c는 장벽층들(barrier layers)을 포함하는 유체 충전 챔버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몰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d는, 장치가 폐쇄된 이후의, 유체 충전 챔버를 제조하기 위한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몰딩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e는 몰딩 장치의 제품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유체 충전 챔버의 다른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유체 충전 챔버의 다른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유체 충전 챔버의 다른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유체 충전 챔버의 다른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유체 충전 챔버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신발류 물품의 측면도이다.
아래의 논의 및 첨부 도면들은 신발류 물품의 다양한 형태를 개시한다. 비록 신발류 물품은 달리기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개시되지만, 신발류와 관련된 개념들은 예컨대, 농구화, 크로스 트레이닝화, 풋볼화, 골프화, 하이킹화와 부츠, 스키 및 스노우보드 부츠, 축구화, 테니스화, 및 보행화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운동용 신발 스타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신발류와 관련된 개념들은 또한, 드레스화, 간편화(loafers), 및 샌들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비 운동용인 것으로 간주되는 신발 스타일들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개념은 다양한 신발 스타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신발 구조
갑피(110)와 밑창 구조체(120)를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100)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다. 갑피(110)는 착용자의 발을 위한 편안하고 안전한 덮개를 제공한다. 따라서, 발은 신발(100) 내에 발을 효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갑피(110) 내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밑창 구조체(120)는 갑피(110)의 아래쪽 영역에 고정되고 갑피(110)와 지면 사이에서 연장된다. 발이 갑피(110) 내부에 위치하게 될 때, 밑창 구조체(120)는, 예컨대 지면의 반력을 감쇠시키고(즉, 발을 완충시키고), 트랙션을 제공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발의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 발 아래에서 연장된다.
갑피(110)는, 밑창 구조체(120)에 대해 발을 수용 및 고정시키는 구조체를 제공하기 위해, 함께 봉합되거나, 접합되거나, 달리 결합되는, 다양한 요소들(예컨대, 직물, 폴리머 시트층, 폴리머 발포체층, 천연 가죽, 합성 가죽)으로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전통적인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갑피(110)의 다양한 요소들은, 발의 형상을 갖는 신발(100)의 대체로 중공 영역이자 발을 수용하도록 의도되는, 공동(102)을 획정한다. 따라서, 갑피(110)는 발의 바깥쪽 측부(104)를 따라, 발의 안쪽 측부(106)를 따라, 발 위에서, 발의 힐 둘레에서, 그리고 발 아래에서 연장된다. 공동(102)으로의 접근은, 적어도 신발(100)의 힐에 배치되는 발목 개구(103)에 의해 제공된다. 끈(105)이 여러 끈 구멍(107)을 통해 연장되어, 발의 크기에 맞추기 위해 착용자가 갑피(110)의 치수를 수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끈(105)은 착용자가 발 둘레의 갑피(110)를 조이는 것을 허용하고, 끈(105)은, 공동(102)으로의 그리고 공동으로부터의 (즉, 발목 개구(103)를 통해) 발의 진입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착용자가 갑피(110)를 느슨하게 하는 것을 허용한다. 끈 구멍들(107)에 대한 대안으로서, 갑피(110)는, 고리들(loops), 아일릿(eyelet), 후크, 및 D-자형 링과 같은, 다른 끈 수용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갑피(110)는, 신발(100)의 편안함과 조절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동(102)과 끈(105) 사이에서 연장되는 혀 부분(108)을 포함한다. 몇몇 형태에서, 갑피(110)는, 보강 부재들, 심미적 특징부들, 신발의 힐에서 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힐 카운터, 신발의 발 앞쪽에 배치되는 내마모성 토 가드, 또는 제조업자를 식별하는 표시(예컨대, 상표)와 같은 다른 요소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110)는, 발을 수용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체를 형성하는, 다양한 요소로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밑창 구조체(120)의 주요 요소들은, 중창(122)과 바닥창(124)이다. 중창(122)은 예컨대, 아래에서 논의될, 가압 또는 비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밀봉된 유체 충전 챔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창(122)은 또한 예컨대, 챔버(200)의 위 및/또는 아래에 배치되는, 폴리우레탄 또는 에틸비닐아세테이트와 같은 폴리머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충전 챔버(200) 및 폴리머 발포체에 더하여, 중창(122)은, 예컨대 플레이트들, 완화기들, 내구 요소들(lasting elements), 또는 움직임 제어 부재들을 포함하는, 신발(100)의 편안함, 성능, 또는 지면 반력 감쇠 특성들을 향상시키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신발 요소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형태에서는 없지만, 바닥창(124)은 중창(122)의 아래쪽 표면에 고정되고, 지면과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표면을 제공하는 고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창(122)은 신발(100)과 지면 사이에 트랙션(즉, 마찰)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직으로 이루어진다. 밑창 구조체(120)는, 공동(102) 내에 그리고 발의 바닥면 근처에 배치되어 신발(100)의 편안함을 향상시키는, 압축성 부재인 깔창(도시 생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 형태
도 3은 챔버(200)의 예시적인 형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신발(100)에 통합될 때에, 챔버(200)는, 중창(122)의 주연부 내에 끼워지는 형상을 갖고, 발 앞쪽 구역으로부터 힐 구역으로 그리고 또한 바깥쪽 측부(104)로부터 안쪽 측부(106)로 실질적으로 연장됨으로써, 발의 대체적인 윤곽에 대응할 수 있다. 발이 갑피(110) 내에 배치될 때, 챔버(200)는 실질적으로 발의 전체 아래에서 연장되어, 밑창 조립체(120)가 달리기와 걷기 등의 다양한 보행 활동 중에 발과 지면 사이에서 압축될 때에 발생되는 지면 반력을 감쇠시킨다. 다른 형태에서, 챔버(200)는 오직 발의 일부분 아래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는 밑창 조립체(120)의 노출된 측면의 대부분을 형성한다. 그러나, 다른 형태에서, 중창(122)의 폴리머 발포체가 챔버(200) 둘레에서 전체적으로 연장되어 중창(122)의 노출된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아래의 논의에서 참조를 위해, 챔버(200)는 3개의 일반적인 구역, 즉 발 앞쪽 구역(206), 발 중간 구역(204), 및 힐 구역(202)으로 분할될 수 있다. 발 앞쪽 구역(206)은 일반적으로 토에 대응하는 챔버(200)의 부분과, 중족골(metatarsal)을 지골(phalange)과 연결시키는 관절들(joints)을 포함한다. 발 중간 구역(204)은 일반적으로 발의 아치 영역에 대응하는 챔버(200)의 부분을 포함한다. 힐 구역(202)은 일반적으로 종골(calcaneus bone)을 비롯하여 발의 뒤쪽 부분에 대응한다. 챔버(200)는, 구역들(202, 204, 206) 또는 각각의 구역을 통해 연장되고, 챔버(200)의 대향하는 측부들에 대응하는, 안쪽 측부(208) 및 대향하는 바깥쪽 측부(210)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깥쪽 측부(210)는 발의 외측 영역(즉, 다른 발의 반대쪽을 향하는 표면)에 대응하고, 안쪽 측부(208)는 발의 내측 영역(즉, 다른 발을 향하는 표면)에 대응한다. 구역들(202, 204, 206)과 측부들(208, 210)은 챔버(200)의 정확한 영역을 획정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오히려, 구역들(202, 204, 206)과 측부들(208, 210)은 아래의 논의에 도움을 주도록 챔버(200)의 대략적인 영역을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챔버(200)는, 챔버(200)에 의해 수용되는 가압 유체에 대해 실질적으로 불투과성인 위쪽 장벽층(292)과 아래쪽 장벽층(294)을 포함한다. 위쪽 장벽층(292)은 챔버(200)의 제1 표면 또는 위쪽 표면을 형성하는 반면, 아래쪽 장벽층(294)은 챔버(200)의 제2 표면 또는 아래쪽 표면을 형성한다. 또한, 위쪽 장벽층(292)은 챔버(200)의 측면 또는 측벽(295)을 형성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된다. 측벽(295)은, 예컨대 밑창 구조체(120)의 노출된 측벽을 형성한다. 더욱이, 위쪽 장벽층(292)과 아래쪽 장벽층(294)은 그들의 개별적인 주연부들 둘레에서 함께 접합되어,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에 인접한 주연 접합부(296)를 형성한다. 아래쪽 장벽층(294)이 측벽(295)을 형성하는 형태에서, 주연 접합부(296)는 챔버(200)의 위쪽 표면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주연 접합부(296)는, 챔버(200)의 주연부 둘레에서 장벽층들(292, 294)을 결합시켜, 가압 유체가 위치하게 되는 내부 공동 또는 캐비티를 갖는 밀봉된 구조체를 형성한다. 챔버(200)에 의해 수용되는 가압 유체는, 장벽층들(292, 294)을 분리시키거나 그렇지 않으면 장벽층들 상에서 외측을 향해 압박하는 경향이 있는 외향력을 장벽층들(292, 294) 상에 유도하며, 그로 인해 장벽층들(292, 294)을 팽창시킬 수 있다. 가압 유체의 외향력으로 인한 장벽층들(292, 294)의 외향 팽윤(즉, 팽창)의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복수의 내부 접합부(230)가 장벽층들(292, 294) 사이에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논의된다.
광범위한 폴리머 재료들이, 챔버(200), 구체적으로 장벽층들(292, 294)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챔버(200)를 위한 재료를 선택할 때, 재료의 공학적 특성(예컨대, 인장 강도, 신장 특성, 피로 특성, 동탄성 계수, 및 손실 탄젠트) 뿐만 아니라 챔버(200)에 의해 수용되는 유체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재료의 능력이 고려될 수 있다. 예컨대, 열가소성 우레탄으로 형성될 때, 챔버(200)는 대략 1.0 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지만, 두께는 예컨대 0.2mm 내지 4.0 mm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열가소성 우레탄에 더하여, 챔버(200)에 적합할 수 있는 폴리머 재료의 예들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챔버(200)는 또한, Mitch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713,141호 및 제5,952,0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과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의 교호적인 층들을 포함하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에 관한 변형이 또한 이용될 수 있는데, 이 때에 층들은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분쇄 재생 재료를 포함한다. 챔버(200)를 위한 다른 적절한 재료로는, 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082,025호와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가스 장벽 재료와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호적인 층들을 포함하는 가요성 미소층 멤브레인이 있다. 부가적인 적절한 재료들이, Rudy 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183,156호와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적절한 재료들은, Rudy 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36,029호와 제5,042,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결정질 재료 및, 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챔버(200) 내부의 유체는 0 내지 350 KPa(즉, 대략 제곱 인치 당 51 파운드) 사이에서 또는 그 이상으로 가압될 수 있다. 공기 및 질소에 부가하여, 유체는 옥타플루오라프로판을 포함하거나, 또는 헥사플루우로에탄 및 육플루오르화황(sulfur hexafluoride)과 같은, Rudy 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4,340,626호에 개시된 임의의 가스일 수 있다. 몇몇 형태에서, 챔버(200)는, 착용자가 유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또는 다른 구조체를 일체형으로 포함할 수 있다.
챔버(200)는, 복수의 세장형 서브챔버(220), 주변 서브챔버(224), 및 여러 내부 접합부들(230)을 포함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포함한다. 주변 서브챔버(224)는 챔버(200)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장되어 밑창 구조체(120)의 측벽을 형성하는 반면, 서브챔버들(220)은 챔버(200)를 가로질러 연장되어 주변 서브챔버(224)의 대향 측부들에 결합된다. 바꿔 말해서, 서브챔버들(220)은 주변 서브챔버(224) 사이에서 연장되고 주변 서브챔버(224)와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더욱이, 내부 접합부들(230)은 서브챔버들(220) 사이에서 연장되어 인접한 서브챔버들(220)에서 서로로부터 유체를 분리한다. 챔버(200)는 또한 밀봉된 도관(250)을 포함할 수 있고,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 도관을 통해, 챔버(200) 내부에 둘러싸이는 유체가 공급된다.
챔버(200)는 하나 이상의 내부 접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접합부(230)들은 챔버(200)의 전체적인 구조를 형성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접합부들이 없는 경우, 챔버(200) 내부의 가압 유체에 의해 유도되는 외향력은, 특히 위쪽 표면 또는 위쪽 장벽(292) 그리고 아래쪽 표면 또는 아래쪽 장벽(294)과 대응하는 영역들에서, 챔버(200)에 둥근 형태 또는 그렇지 않으면 불룩 튀어나온 형태를 부여하게 된다. 그러한 내부 접합부들(230)은, 주연 접합부(296)가 배치되는 곳 등에서, 측벽(295) 내측으로 떨어져 있을 수 있고, 챔버(200) 전체에 걸쳐 분포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접합부들은, 장벽층들(292, 294)의 외향 팽윤 또는 팽창 정도를 제한하고, 장벽층들(292, 294)에 의해 제공되는 위쪽 표면 및 아래쪽 표면의 의도된 윤곽을 유지할 수 있다.
내부 접합부들(230)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를 보일 수 있다. 힐 구역(202)에서, 내부 접합부들(230)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들은 힐 구역(202)에서의 챔버(200)의 전체 두께 증가로 인해 발 앞쪽 구역(206)에서보다 큰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힐 구역(202)에서의 각 내부 접합부(230)의 면적은 발 앞쪽 구역(206)에서의 각 내부 접합부(230)의 면적보다 대체로 크다. 위쪽 장벽층(292)과 아래쪽 장벽층(294)에 의해 제공되는 표면들에 대한 내부 접합부들(230)의 위치 또한 변동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접합부들(230)은 위쪽 장벽층(292)에 의해 제공되는 위쪽 표면에 더 가깝게 되도록, 장벽층들(292, 294)에 의해 제공되는 위쪽 표면과 아래쪽 표면 사이의 중간에 있도록, 또는 아래쪽 장벽층(294)에 의해 제공되는 아래쪽 표면에 더 가까운 위치에 있도록,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내부 접합부(230)들은 장벽층들(292, 294) 사이에 형성되어, 챔버(200)의 유체를 둘러싸고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챔버들(220)을 분리시킨다. 서브챔버들(220)은, 착용자의 발에 대응하고 발을 완충하고 지지하는 형상을 제공하는, 챔버(200)의 가압 유체에 의해 충전된 영역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는 구역들(202, 204, 206) 중 임의의 구역에 서브챔버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챔버들(220)은 챔버(200)를 가로지르고 대체로 주변 서브챔버(224)의 대향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고, 그로 인해 대체로 챔버(200)의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서브챔버들(220)은 또한 도 3의 예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힐 구역(202),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수의 서브챔버들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들(220)은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축을 갖는 세장형 형상을 갖는다. 다른 형태에서, 형상들 및 기하학적 형태는 서브챔버들 간에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222)이 서브챔버(220)들을 함께 연결시킬 수 있으며, 연결 부분(222)은 서브챔버들(220)과 마찬가지로, 가압 유체를 둘러싸도록 밀봉된다. 연결 부분(222)은 챔버(200)의 다른 서브챔버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연결 부분(222)이 챔버(200)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내부 접합부들(230)은, 횡방향으로 [즉, 측부들(208, 210)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챔버(200)의 힐에서 발 앞쪽으로의 방향에서 서브챔버들(220)을 서로 분리시킨다. 상이한 형태의 챔버(200)에서, 내부 접합부들(230)은 크기, 형상 또는 개수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접합부(231)와 내부 접합부(232)가, 예컨대 연결 부분(222)이 제공될 때와 같이, 서브챔버(220)의 부분들을 인접한 서브챔버(220)의 부분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내부 접합부(231)와 내부 접합부(232)는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연결 부분(222)의 측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비록 챔버(200)가 위에서 논의된 다양한 서브챔버들(220)을 포함하지만, 챔버(200)는 또한 다양한 다른 팽창 구조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챔버(200)는, 발 앞쪽 구역(206)에 완충 및 지지를 제공하기 위한, 대체로 다각형 형상 또는 다른 원하는 형상을 갖는 팽창 부분(226)을 발 앞쪽 구역(206)에 포함할 수 있다. 팽창 부분(226)을 제공하기 위해, 접합부(233)가 챔버(2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서브챔버(224)는 발 앞쪽 구역(206)의 토 부분에 중단부를 갖도록 챔버(200)의 주연부 둘레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주변 서브챔버(224)는 중단부 없이 챔버(200)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주변 서브챔버(224)는, 힐 구역(202),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에서 서브챔버들(220) 둘레에서 연장되고 서브챔버들(220)에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한 구조체는 예컨대,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의 거리의 단지 일부분만 연장되어, 내부 접합부들(230)이 안쪽 측부(208)의 에지로부터 바깥쪽 측부(210)의 에지까지 완전히 연장되지 않도록 하는, 내부 접합부들(230)을 제공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서브챔버들(220)과 유사하게, 주변 서브챔버(224)는 착용자의 발을 완충하고 지지하는 가압 유체의 밀봉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형태에서, 주변 서브챔버(224)는 서브챔버들(220)보다 더 큰 정도까지 신발(100)의 갑피(110)를 향해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및/또는 착용자의 발에 합치되는 형상을 제공하기 위해 챔버(200)의 중앙 부분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비록 챔버(200)의 형태가 상당히 변경될 수 있지만, 챔버(200)는 가압 유체의 구역들이 존재하지 않는 다른 특징부 또는 접합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는 접합 영역(2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접합 영역들은, 착용자의 발을 위한 원하는 형상 및/또는 완충량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할 수 있는 임의의 개수로 제공될 수 있고, 도 5의 예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형상들로 그리고 챔버(200)의 상이한 위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챔버(200)는 어떠한 접합 영역(203)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챔버(200)의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접합부들(230)은 챔버(200)의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의 방향에서 챔버(200)의 폭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접합부들(230)은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 상에서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의 방향에서 챔버(200)의 폭의 단지 일부분만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들 내부 접합부들(230)에 의해 분리되는 서브챔버들(220)은, 내부 접합부들이 챔버(200)의 폭의 단지 일부분만을 가로질러 연장되기 때문에, 그들의 단부들에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챔버(200)의 안쪽 측부(210)의 서브챔버들(220)의 단부들은 결합 부분(228)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가운데, 챔버(200)의 안쪽 측부(208) 상의 서브챔버들(220)의 단부들은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 상의 결합 부분(229)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결합 부분들(228, 229)은 서브챔버들(220)과 유체 소통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결합 부분들(227, 229)은, 착용자의 발에 대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지만, 또한 내부 접합부들에 의해 제공되는 가요성을 챔버(200)에 대해 제한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결합 부분들(227, 229)은, 예컨대 결합 부분들(227, 229)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는 내부 접합부들(230)처럼 쉽게 굽혀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챔버(200)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120)의 가요성은, 신발(100)이 착용되는 동안에, 신발(100)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한 통상적인 설계 고려사항이다. 예컨대, 달리기나 걷기 도중에, 밑창 구조체(120)는, 특히 챔버(200)의 발 앞쪽 구역(206)에서, 발의 자연적인 휨을 수용하도록 일반적으로 휘거나 그렇지 않으면 굽혀진다. 챔버에 제공되는 접합부들은, 서브챔버들과 같은 팽창 구역들에 형상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챔버에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접합부들(230)은 서브챔버들(220)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갖는 영역들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내부 접합부들(230)은, 위쪽 및 아래쪽 장벽층(292, 294)을 함께 결합하는 것으로 인한 감소된 두께를 갖는 챔버(200)의 영역들을 제공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여러 오목부들(240)이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한 배열은 챔버의 아래쪽 표면에 증가된 가요성을 제공할 수 있다. 오목부들(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측부(208)를 향한 그리고 바깥쪽 측부(210)를 향한 방향으로, 내부 접합부들(230)의 끝단 부분 또는 영역(235)으로부터 챔버(200)의 측벽(295) 또는 다른 측부 에지들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오목부(240)는 안쪽 측부(208)에 가장 가까운 내부 접합부(230)의 단부 영역(235)을 지나서 연장되고 안쪽 측부(208) 상의 챔버(200)의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유사하게, 오목부(240)는 바깥쪽 측부(210)에 가장 가까운 내부 접합부(230)의 단부 영역(235)을 지나서 연장되고 바깥쪽 측부(210) 상의 챔버(200)의 에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오목부들(240)은, 주변 서브챔버(224)가 오목부들(240)이 위치하게 되는 곳에서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주변 서브챔버(224)의 아래쪽 표면의 오목부들로서 챔버(2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내부 접합부 구조는, 예컨대 위쪽 장벽층과 아래쪽 장벽층의 결합된 표면들로 인해 그리고 챔버의 아래쪽 표면의 오목부들로 인해 감소된 챔버 두께의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챔버의 아래쪽 표면 상에 증가된 가요성을 부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물체를 굽히기 위해 필요한 힘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물체의 두께에 의존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내부 접합부들의 영역들에서의 챔버(200)의 감소된 두께는, 그의 밑창 구조체(120)에 챔버(200)를 포함하는 신발(100)의 착용자의 움직임 도중에, 휨을 용이하게 한다.
오목부들(240)은 서브챔버들(220)이 쌍들로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내부 접합부들(230)은 오목부들(240)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오목부들과 연결되고, 다른 내부 접합부들(230)은 오목부들(240)에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고 오목부들에 연결되지 않는다. 오목부들(240)에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오목부들에 연결되는 내부 접합부들(230)은, 오목부들(240)에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거나 오목부들에 연결되지 않는 다른 내부 접합부들(230)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오목부들(240)과 오목부들(240)이 없는 접합부들(230)의 그러한 교대 배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 상에서 힐에서 토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 결과, 내부 접합부들(230)과 오목부들(240)은, 서브챔버들(220)을 서로 분리시키는데 협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브챔버들(220)이 서브챔버 쌍들(260)을 형성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 쌍들(260)은, 안쪽 측부(208) 및 바깥쪽 측부(210)를 향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접합부(230)와 오목부들(240)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바꿔 말해서, 내부 접합부(230) 및 내부 접합부(230)의 각 단부에 있는 오목부(240)는, 바깥쪽 측부(210)로부터 안쪽 측부(208)로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의 폭을 전체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리세스를 형성하도록 협력할 수 있다. 내부 접합부들(230)과 오목부들(240)은 또한, 예컨데 측벽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함에 의해, 신발의 바깥쪽 측부(210) 상에 위치하게 되는 챔버(200)의 측벽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신발의 안쪽 측부(208) 상에 위치하게 되는 측벽 표면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들과 함께 내부 접합부들에 의해 분리되는 서브챔버 쌍들의 그러한 배열은 유리하게, 서브챔버 쌍들과 같은, 착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완충시키는 영역들을 갖는 챔버 구조체를 제공하는 한편, 예컨대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들과 함께 내부 접합부들이 위치하게 되는 서브챔버 쌍들 사이에서, 챔버에 증가된 가요성 및 움직임을 제공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서브챔버들(220) 사이의 내부 접합부들(230)은, 내부 접합부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비록 도 5는 내부 접합부들(230) 및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들(240)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지만, 대신에 내부 접합부들(230)과 오목부들(240)은,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브챔버들(220), 내부 접합부들(230), 및 오목부들(240)의 크기 및 형상은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내부 접합부들(230)과 대조적으로,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 상의 오목부들(240)에서 챔버(200)의 위쪽 장벽층(292) 및 아래쪽 장벽층(294)은 결합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들(240)은 아래쪽 장벽층(294)에 의해 제공되는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에 위치하게 되고, 이는 챔버(200)가 우선적으로 굽혀지는 영역들을 제공함으로써 챔버(200)의 가요성을 증가시킨다. 오목부들(240)은, 예컨대 챔버(200)의 두께의 일부인 깊이(9)를 가질 수 있다. 챔버의 두께는 깊이(9)와 동일한 방향을 따라, 즉 갑피(110)를 향하는 챔버(200)의 위쪽 표면과 바닥창(140)을 향하는 아래쪽 표면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오목부들(240)의 깊이(9)는, 예컨대 챔버(200)의 두께의 10 내지 90%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오목부들(240)의 깊이(9)는 챔버(200)의 두께의 대략 50%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오목부들(240)의 깊이(9)는 챔버(200)의 두께의 대략 50 내지 90%일 수 있다. 챔버(200)의 두께의 대략 50% 또는 그 이상의 깊이(9)를 갖는 오목부들(240)을 제공하는 것은 유리하게 챔버(200)의 가요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오목부들(240)은 위쪽 장벽층(292)을, 오목부들(240)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200)의 아래쪽 장벽층(294)에 결합시키지 않는다. 그 결과, 아래쪽 장벽층(294)과 위쪽 장벽층(292)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오목부(240) 위에 배치되는 유체 충전 부분들(242)이 존재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들(240)과 위쪽 장벽층(292) 사이에 챔버(200)의 유체 충전 부분들(242)이 존재하도록 한다. 따라서, 챔버(200)는 휨을 수용하는 동시에 지면 반력의 감쇠를 제공한다.
오목부들(240)과 위쪽 장벽층(292) 사이에 제공되는 유체 충전 부분들(242)은 주변 챔버(224)에 의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비록 오목부들(2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 상에 주변 챔버(224)를 위한 중단부들을 제공할 수 있지만, 주변 챔버(224)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의 측면을 따라 그리고 위쪽 표면을 따라 유체 충전 부분들(242)을 연결하도록 오목부들(240) 위에서 연장될 수 있다.
챔버(200)의 서브챔버들(220)은, 서브챔버들 간에 형상 및/또는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서브챔버들(220)의 크기 또는 직경은, 서브챔버(200)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방향(7)이기도 한,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과 위쪽 표면 사이에서 측정될 수 있다. 예컨대, 힐 구역(202)에 있는 최후방 서브챔버(220)는 챔버(200)의 두께 방향을 따라 크기(5)를 가질 수 있고, 발 앞쪽 구역(206)의 가장 먼쪽 끝의 챔버는 크기(6)를 가질 수 있다.
서브챔버들(220)의 크기는 방향(8)을 따라 힐 구역(202)에서 발 앞쪽 구역(206)까지 변할 수 있고, 크기(5)는 크기(6)보다 크다. 그러한 서브챔버(220)의 크기 변경은, 대체로 힐로부터 발 앞쪽으로 좁아지고 대체로 발의 형상에 합치하는 두께(7)를 챔버(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힐 구역(202)의 서브챔버들(220)은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의 서브챔버들(220)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서브챔버들(220)은 하나의 서브챔버로부터 다음의 인접한 서브챔버로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도 7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챔버의 중심으로부터 인접한 서브챔버의 중심까지의 거리, 예컨대 서브챔버(220)의 중심으로부터 서브챔버(220)의 중심까지의 거리(1), 서브챔버(220)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서브챔버의 중심까지의 거리(2), 서브챔버(220)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서브챔버의 중심까지의 거리(3), 및 서브챔버(220)의 중심으로부터 다른 서브챔버의 중심까지의 거리(4)가, 측정될 수 있다.
서브챔버들(220)은 발 중간 구역(204)으로부터 발 앞쪽 구역(206)까지 크기 또는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접한 서브챔버들 사이의 거리는, 거리(1)가 거리(2)보다 크고, 거리(2)가 거리(3)보다 크며, 거리(3)가 거리(4)보다 큰 것과 같이, 토를 향한 방향에서 감소할 수 있다.
챔버(200)와 같은 챔버는, 챔버에 부가적인 강도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 부재는 챔버의 위쪽 장벽층 및 아래쪽 장벽층과 같은, 챔버의 나머지 부분과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국 특허 제7,665,230호는 보강 부재를 기술하고 있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합체된다. 도 8, 도 9a 및 도 9b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는, 챔버(200)에 접합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는 별개의 부재로서, 보강 부재(27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보강 부재(270)는 챔버(200)의 일부분 및 주연부 둘레에서 대체로 연장된다. 보강 부재(270)를 형성하는 재료는 챔버(200)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큰 탄성 계수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보강 부재(270)의 형태 및 재료 특성은 챔버(200)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120)에 보강을 부여할 수 있다.
보강 부재(270)의 위쪽 부분(272)은, 챔버(200)의 안쪽 측부(208) 및 바깥쪽 측부(210) 모두를 따라 연장되고, 신발(100)의 제조 도중에 갑피(110)를 밑창 구조체(120)에 고정시키 위한 한정된 지속적인 여유(defined lasting margin)를 제공한다. 일부 밑창 구조체에서의 한가지 문제점은, 갑피가 밑창 구조체에 고정되어야 하는 정확도 범위가 밑창 구조체의 형태로부터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다. 챔버(200)가 몰딩된 이후 이지만 유체에 의해 팽창하기 이전인, 챔버(200)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 9a의 단면을 참조하면, 보강 구조체(270)는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부 및 바깥쪽 측부 모두에 릿지(274: ridge)를 형성한다. 릿지(274)는 지속적인 표면을 한정하는 인식 가능한 라인이며, 그로 인해 갑피(110)가 고정되어야 하는 밑창 구조체(120)의 부분들을 한정한다. 따라서, 예컨대 접착제가, 갑피(110)를 밑창 구조체(120)의 지속적인 표면에 적절하게 고정시키도록 하기 위해,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상에 위치하게 되는 릿지(274)의 부분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구조체(270)는 모따기된 표면(2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따기된 표면(276)은, 일단 챔버가 팽창되면, 챔버(200)와 보강 구조체(270) 사이에 부드럽게 전이되는 표면을 제공하도록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를 향해 외측을 바라볼 수 있다. 일단 성형이 완료되면, 챔버(200)는 유체에 의해 팽창될 수 있다. 도 9b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의 측벽들은, 챔버(200)가 팽창될 때,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를 향해 외측으로 불룩해질 수 있다. 그러나, 보강 구조체(270)의 모따기된 표면(276)의 곡률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200)의 측부들과 보강 구조체(270) 사이에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전이부를 제공할 수 있다.
제조 프로세스
도 10a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챔버(200)를 제조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 절반부(420)와 아래쪽 절반부(410)를 포함하는, 몰드(400)가 제공될 수 있다. 위쪽 절반부(420)와 아래쪽 절반부(410)는, 챔버(200)에 대응하는 대략적인 형상을 갖는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기 위해 조합된다. 챔버(200)를 형성하는 초기 단계로서, 보강 부재(270)가 몰드(400) 내에 배치되어, 성형 프로세스의 이후 단계들 도중에, 보강 부재(270)가 챔버(200)에 몰딩되거나, 접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고정되도록 한다. 도 10b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부재(270)는 위쪽 절반부(420)와 같은 몰드 절반부들 중 하나의 절반부 내에 그리고 챔버(200)에서 보강 부재(270)의 위치에 대응하는 캐비티의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시트(500)와 제2 시트(510)가 몰드(4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시트(500)와 제2 시트(510)는, 챔버를 위한 아래쪽 장벽층 및 위쪽 장벽층으로서 제공될 수 있고, 장벽층들을 위한 전술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트들(500, 510)은 개별적으로 챔버(200)의 장벽층들(292, 294)을 형성한다.
아래쪽 절반부(410)는 돌출부들(412)을 포함할 수 있고, 위쪽 절반부(420)는 돌출부들(412)에 대응하는 오목부들(42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들(412)와 오목부들(422)은 챔버(200)의 오목부(240)에 대응한다. 그 결과, 위쪽 몰드(420)와 아래쪽 몰드(410)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폐쇄될 때에, 제1 시트(500)와 제2 시트(510)는 가열되고 위쪽 몰드(420) 및 아래쪽 몰드(410)의 표면들의 형상에 합치하게 되어, 제1 시트(500) 및 제2 시트(510)가, 챔버(200)의 내부 접합부들(230) 및 오목부들(240)과 같은 챔버(200)의 구조들을 형성하기 위해, 오목부들(422) 및 돌출부들(412)의 영역들에서 접합된다. 다른 돌출부들 및 오목부들이, 전술한 내부 접합부들과 같은, 챔버의 다른 접합 영역들을 제공하기 위해 포함될 수 있다.
도 10e는 전술한 것과 유사한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되는 예시적인 몰딩된 제품(600)을 도시한다. 몰딩된 제품(600)은, 몰드 절반부들 사이에서 압착되고 접합되는 제1 시트(500)와 제2 시트(510)에 의해 생성된, 외부 접합 부분(602)을 포함할 수 있다. 몰딩된 제품(600)의 중앙부는 챔버(200)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몰딩된 제품(600)은, 힐, 발 중간, 및 발 앞쪽 구역에, 주변 서브챔버(624) 및 서브챔버(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관(610)이 몰딩된 제품(600)에 제공되어, 몰딩된 제품(600)을 팽창시키기 위해 몰딩 프로세스 도중에 가압 유체가 도입될 수 있도록 하며, 이 도관(610)은 후속적으로 밀봉된 도관(250)을 제공하고 몰딩된 제품(600)의 비접합 영역들 내부의 유체를 밀봉하기 위해 폐쇄된다. 몰딩된 제품(600)은 전술한 오목부들(240)을 형성하기 위한, 몰딩된 제품(600)의 접합 부분(602)을 통해 중앙 영역 내로 연장되는 오목부들(650)을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들(650)은, 전술한 몰드 절반부들(410, 420)의 오목부들(422) 및 돌출부들(412)에 대응하고, 이들 오목부들 및 돌출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몰드 절반부들(410, 420)이 함께 폐쇄될 때, 오목부들(240)은 오목부들(422)과 돌출부들(412) 사이에 형성된다.
다른 형태들
도 11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서브챔버를 포함하지 않는 챔버(700)가 제공될 수 있다. 챔버(700)는 팽창 영역들(720)과 접합 영역들(702)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영역들(702)은 팽창 영역들(720)을 서로 분리시킬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측부(740)로부터 바깥쪽 측부(742)로 챔버(700)를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접합 영역들(70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쪽 측부(740)와 바깥쪽 측부(742)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팽창 영역들(720)은 튜브들의 형태 또는 다른 형상들으로 제공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 논의된 바와 같이, 개수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챔버는 분리된 팽창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800)는, 접합 영역(850)에 의해 분리되는 제1 팽창 구역(810)과 제2 팽창 구역(812)을 포함할 수 있다. 접합 영역(850)은 챔버(800)의 위쪽 장벽층 및 아래쪽 장벽층들을 완전히 밀봉시켜 제1 팽창 구역(810)과 제2 팽창 구역(812)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제1 팽창 구역(810)과 제2 팽창 구역(812)이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팽창 구역(810)과 제2 팽창 구역(812)은 각각, 주변 챔버(824)와 서브챔버들(820) 그리고 내부 접합부들(830)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형태에서, 챔버의 단지 일부분만이 팽창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900)의 제1 구역은 가압 유체를 둘러싸고 내부 접합부들(930)를 갖는 서브챔버들(920)을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제2 구역은 접합 영역(910)으로 제공된다. 챔버(900)의 제1 구역은 발 중간 구역(932) 및/또는 발 앞쪽 구역(930)에 제공될 수 있고, 접합 영역(920)은 힐 구역(934)에 제공될 수 있고 또한 발 중간 구역(932)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형태에서, 챔버(100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 중간 구역(1032)으로 또한 연장될 수 있는, 발 앞쪽 구역(1030)에 접합 구역(1010)을 포함할 수 있는 가운데, 힐 구역(1034)은 내부 접합부들(1030)과 서브챔버들(1020)을 갖는 팽창 부분을 포함한다. 다른 예에 따르면, 힐 구역(1034)의 팽창 부분은 또한 도 14에서 발 중간 구역(1032)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의 아래쪽 표면 상에 서브챔버들을 쌍으로 제공하는 대신에, 서브챔버들는, 하나의 에지에서 다른 에지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들에 의해, 아래쪽 표면 상에서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챔버의 저면도를 도시하는 도 15를 참조하면, 서브챔버들(1120)과 내부 접합부들(1130) 그리고 접합 영역(1110)은 전술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챔버들(1120)은 안쪽 측부(1140) 상의 에지와 바깥쪽 측부(1142) 상의 에지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들(1130)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5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부들(1130)은 안쪽 측부(1140)에서 바깥쪽 측부(1142)까지 실질적으로 균일하거나 연속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접합부들(1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들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비록 힐 구역의 서브챔버들(1120)이 도 15에서 접합부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지만, 힐 구역의 서브 챔버들(1120) 또한 접합부들(1130)에 의해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형태들 중 임의의 형태에 따른 특징부를 포함하는, 갑피(1210)와 중창(1220)을 포함하는 신발류(1200)의 물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중창(1220)은, 챔버(200)의 오목부들(240)에 대응할 수 있는, 굴곡 오목부들(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1200)은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오목부들(1222) 내로 연장되는 바닥창(1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굴곡 오목부들(1222) 둘레에서 휨을 또한 용이하게 하는 더 강건하고 덜 압축성인 영역들을 형성한다. 바닥창(1230)은 또한 러그들(1232: lugs)과 같은 지면 맞물림 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들(1232)은 굴곡 오목부(1222)에 대해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러그들(1232)이 굴곡 오목부들(1222) 내부에 배치되지 않도록 한다. 그 결과, 러그들(1232)의 위치가 굴곡 오목부들(1222)에서 중창(1220)과 바닥창(1230)의 굽힘에 최소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챔버를 위한 다른 대안적인 배열들 및 형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비록 도 3은 챔버(200)가, 힐 구역(202),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의 서브챔버들(220)을 갖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서브챔버들(220) 및 대응하는 내부 접합부들(230)은 이들 구역들 중 하나에만, 2개에 또는 이들 구역들에, 또는 이들 구역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챔버(200)의 나머지 부분이 더 큰 접합 영역 또는 가압 가스를 포함하는 더 큰 영역을 포함하는 가운데, 서브챔버들(220)은 힐 구역(202),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 중 하나에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챔버(200)의 나머지 부분이 큰 접합 영역 또는 가압 가스를 포함하는 더 큰 영역을 포함하는 가운데, 힐 구역(202),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 중 2개의 구역이 서브챔버들(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챔버들(220)은 개수가 변경될 수 있고 형상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내부 접합부들(230) 또한 개수, 형상,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챔버(200)는 챔버(200)의 발 앞쪽 구역(206)에, 챔버의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에서 연장되지 않는, 서브챔버(225) 및 서브챔버(227)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접합부들(230)은 서브챔버(225)를 서브챔버(227)로부터 분리시킨다. 도 4의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챔버들(225, 227)은 발 중간 구역(204) 및 발 앞쪽 구역(206) 내의 다른 서브챔버들(220)보다 작을 수 있고, 서브챔버들(225, 227)은 서브챔버들(220)보다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의 방향에서 더 작은 크기로 연장된다.
비록 도 5의 예는 4개의 서브챔버 쌍(260)을 포함하는 것으로 챔버(200)를 도시하고 있지만, 임의의 수의 서브챔버 쌍(260)이, 예컨대 (a) 다수의 챔버(200)가 착용자의 발의 크기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제공될 때 및 (b) 상이한 지지 또는 힘 감쇠 정도가 요망될 때, 챔버(200)에서 활용될 수 있다. 서브챔버 쌍들은 또한 형상 및/또는 크기가 변경될 수 있고, 안쪽 측부와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챔버의 폭을 단지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것과 상이한 방향들로 연장될 수도 있다.
비록 내부 접합부들과 오목부들(240)은, 달리기 및 다양한 다른 운동 활동을 위해 구성된 신발에 적합할 수 있는, 챔버(200)의 아래쪽 표면을 가로질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즉, 안쪽 측부(208)와 바깥쪽 측부(210)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지만, 내부 접합부들과 오목부들(240)은, 농구, 테니스, 또는 크로스 트레이닝과 같은 운동 활동을 위해 구성된 신발에서 대체로 종방향으로[즉, 발 앞쪽 구역(206)과 힐 구역(202) 사이에서] 연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내부 접합부들과 오목부들(240)은 밑창 구조체(120)에 정해진 굴곡 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면들은 내부 접합부들(230)과 오목부들(240)을, 챔버(200)를 전체적으로 가로질러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몇몇 형태에서, 내부 접합부들(230)과 오목부들(240)은 챔버(200)의 일부분을 가로질러 부분적으로만 연장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내부 접합부들(230)과 오목부들(240)은 도 5의 예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위치들에 제공될 수 있다. 오목부들(240)의 위치는, 예컨대 발의 중족골과 근위 지골 사이의 관절들의 평균 위치을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챔버(200)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120)의 특정 형태 및 의도된 용도에 의존하여, 오목부들(240)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오목부들(240)은, 위쪽 장벽층(292)을 아래쪽 장벽층(294)에 결합시키지 않는 도 6과 대조적으로, 챔버(200)의 위쪽 장벽층(292)을 아래쪽 장벽층(294)에 결합시킨다.
서브챔버들은, 챔버(200) 내부에서 유체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중공 내부공간을 갖는, 임의의 대체로 세장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비록 서브챔버들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구조를 제공하는 원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서브챔버들은 또한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불규칙적인 형상, 또는 다양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챔버들은 챔버의 힐과 토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으로 크기 및 직경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서브챔버들의 중심들 사이의 거리는 또한 서브챔버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내부 접합부들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그리고 첨부 도면들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에 의해 제공되는 목적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 관한 다양한 특징들 및 개념들의 예를 제공하는 것이다. 당업자라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이, 많은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전술한 형태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Claims (34)

  1.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장벽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장벽층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장벽층은 상기 제1 장벽층에 연결되어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챔버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인 제2 장벽층을 제공하는 단계,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부와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 사이의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장벽층의 제1 표면 및 상기 제2 장벽층의 제2 표면을 연결시키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접합부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합부들은, 각각 상기 안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바깥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1 접합부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장벽층이 상기 제1 장벽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2 장벽층에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각각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는 것인,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벽층이 상기 제1 장벽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2 장벽층에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각각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증가하는 것인,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를 상기 측벽까지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을 이용하여 밑창 구조체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목부와 상기 제2 오목부를 밑창 구조체의 아래쪽 표면에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벽층의 제2 표면을 상기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서 상기 제1 장벽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부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 사이의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장벽층의 제1 표면과 상기 제2 장벽층의 제2 표면을 연결시키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접합부들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접합부들은 각각 상기 안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바깥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2 접합부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들의 각각을 상기 챔버의 힐 구역과 상기 챔버의 발 앞쪽 구역 사이에서 상기 챔버의 길이를 따라 제2 접합부들의 각각과 교대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상기 안쪽 측부 및 밑창 구조체의 상기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세장형 서브 챔버를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서브 챔버는 상기 제1 접합부들 중 하나 및 상기 제2 접합부들 중 하나에 의해 구획되는 것인, 복수의 세장형 서브 챔버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챔버의 크기를 밑창 구조체의 힐 구역으로부터 밑창 구조체의 발 앞쪽 구역으로의 방향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함께 밑창 구조체의 상기 안쪽 측부로부터 상기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1. 신발류 물품을 위한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표면을 포함하는 제1 장벽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제2 표면을 포함하는 제2 장벽층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장벽층은 상기 제1 장벽층에 연결되어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챔버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며, 밑창 구조체의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것인 제2 장벽층을 제공하는 단계,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부와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 사이의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장벽층의 제1 표면 및 상기 제2 장벽층의 제2 표면을 연결시키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접합부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접합부들은, 각각 상기 안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바깥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1 접합부들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장벽층이 상기 제1 장벽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2 장벽층에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각각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까지 연장되는 것인,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장벽층이 상기 제1 장벽층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으로써 제2 장벽층에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각각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까지 연장되는 것인,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단부로부터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오목부의 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제2 단부로부터 측벽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오목부의 폭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벽층의 상기 제2 표면에 대향하는 측에서 바닥창을 상기 제2 장벽층에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을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장벽층의 제2 표면을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에서 상기 제1 장벽층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안쪽 측부 및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 사이의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장벽층의 제1 표면과 상기 제2 장벽층의 제2 표면을 연결시키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접합부들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접합부들은 각각 상기 안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바깥쪽 측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제2 접합부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의 각각을 상기 챔버의 힐 구역과 상기 챔버의 발 앞쪽 구역 사이에서 상기 챔버의 길이를 따라 제2 접합부의 각각과 교대로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밑창 구조체의 상기 안쪽 측부 및 밑창 구조체의 상기 바깥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세장형 서브 챔버를 형성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서브 챔버는 상기 제1 접합부들 중 하나 및 상기 제2 접합부들 중 하나에 의해 구획되는 것인, 복수의 세장형 서브 챔버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 제1 오목부 및 제2 오목부가 함께 밑창 구조체의 상기 안쪽 측부로부터 상기 밑창 구조체의 바깥쪽 측부로 연속적으로 연장하는 리세스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밑창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21. 갑피와, 상기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챔버는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측벽 표면을 갖는 것인,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i)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갑피를 향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갑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며, 상기 측벽 표면은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 사이에서 그리고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분의 둘레에서 연장되고,
    (ii)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신발의 바깥쪽 측부 및 신발의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향하는, 복수의 세장형 서브챔버를 획정하며, 상기 안쪽 측부는 상기 바깥쪽 측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며,
    (iii)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서로 접합되어 서로 평행하는 제1 접합부들 및 서로 평행하는 제2 접합부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접합부들과 제2 접합부들은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안쪽 측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접합부들은 각각 측벽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제1 단부와 측벽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제1 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제2 단부를 포함하고,
    (iv) 상기 제2 표면은 제1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챔버가 제1 오목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감소된 두께를 갖게 하며,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 표면까지 연장되고,
    (v) 상기 제2 표면은 제2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챔버가 제2 오목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감소된 두께를 갖게 하며,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 각각의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측벽 표면까지 연장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챔버 쌍을 가지는 상기 제2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브챔버 쌍은 서로 유체 연통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서브챔버를 포함하는 것인 제2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챔버 쌍을 가지는 상기 챔버의 상기 제2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서브챔버 쌍들 중 하나는 상기 제1 접합부 중의 하나에 의해 인접한 서브챔버 쌍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인 제2 표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챔버들의 크기를 상기 챔버의 힐 구역으로부터 상기 챔버의 발 앞쪽 구역으로의 방향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5. 제21항에 있어서,
    주변 서브챔버를 가지는 상기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서브챔버를 상기 챔버의 주연부 둘레에서 연속되게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에 연결되는 보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합부들을 상기 챔버의 힐 구역과 상기 챔버의 발 앞쪽 구역 사이에서 상기 챔버의 길이를 따라 제2 접합부와 교대로 배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는 방법.
  29. 갑피 및 상기 갑피에 고정되는 밑창 구조체를 갖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가압 유체를 둘러싸는 제1 시트 및 제2 시트로부터 형성되는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챔버는, 챔버의 모양을 구획하는 주변 에지, 그리고 제1 시트와 제2 시트를 접합하여 신발의 바깥쪽 측부와 신발의 대향하는 안쪽 측부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서브챔버를 구획하는 제1 접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합부는 상기 챔버의 주변 에지로부터 떨어진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를 포함하는 것인,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챔버가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상기 제2 시트에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제1 말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에지까지 연장되는 것인, 제1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챔버가 감소된 두께를 갖도록 상기 제2 시트에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접합부의 제2 말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에지까지 연장되는 것인, 제2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주변 튜브를 포함하는 상기 챔버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튜브를 상기 챔버의 주연부 둘레에 연속적으로 연장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상부 표면에 상기 챔버에 연결되는 보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챔버의 안쪽 측부 및 바깥쪽 측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챔버와 상기 보강 부재 사이에 매끄럽게 전이되는 표면을 제공하는 모따기된 표면을 포함하는 것인 보강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와 상기 제2 시트를 연결하고, 상기 챔버의 주변 에지로부터 이격된 제1 말단부와 제2 말단부를 포함하는 제2 접합부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접합부는 상기 챔버의 길이를 따라 상기 제1 접합부와 교대로 배치되는 것인 제2 접합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챔버들의 중심 사이의 거리를 상기 챔버의 힐 구역으로부터 상기 챔버의 발 앞쪽 구역으로의 방향으로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발류 물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0656A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180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428,756 US9609912B2 (en) 2012-03-23 2012-03-23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US13/428,756 2012-03-23
PCT/US2013/033231 WO2013142651A2 (en) 2012-03-23 2013-03-21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1001A Division KR101912904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150A Division KR102209940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257A KR20180118257A (ko) 2018-10-30
KR102018021B1 true KR102018021B1 (ko) 2019-09-03

Family

ID=4843091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150A KR102209940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177021001A KR101912904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187030656A KR102018021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147029549A KR101764331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150A KR102209940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KR1020177021001A KR101912904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9549A KR101764331B1 (ko) 2012-03-23 2013-03-21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9609912B2 (ko)
EP (3) EP3689172B1 (ko)
JP (1) JP6105713B2 (ko)
KR (4) KR102209940B1 (ko)
CN (2) CN104203029B (ko)
AU (1) AU2013235066B2 (ko)
MX (1) MX353325B (ko)
WO (1) WO20131426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39662B2 (en) 2009-12-03 2021-06-22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 with multiple tether configurations
US9894959B2 (en) 2009-12-03 2018-02-20 Nike, Inc. Tethered fluid-filled chamber with multiple tether configurations
US9687042B2 (en) * 2013-08-07 2017-06-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midsole structure
US9427043B2 (en) * 2013-10-31 2016-08-30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stitched tensile member
US10314367B2 (en) 2014-02-07 2019-06-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nded plate
US10463106B2 (en) * 2014-02-13 2019-11-05 Nike, Inc. Sole assembly with textile sh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D748386S1 (en) 2014-05-13 2016-02-02 Cole Haan Llc Shoe sole
USD731769S1 (en) * 2014-10-23 2015-06-16 Skechers U.S.A., Inc. Ii Shoe outsole periphery and bottom
CN107072349B (zh) * 2014-10-31 2020-06-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包含周界囊状元件的鞋类物品、用于其的制造方法
WO2016103212A1 (en) * 2014-12-23 2016-06-30 Alberto Del Biondi S.P.A. A sole for footwear
USD744211S1 (en) * 2015-02-11 2015-12-01 Nike, Inc. Shoe outsole
EP3250073B1 (en) 2015-03-09 2020-12-02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outsole bonded to cushioning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WO2016172169A1 (en) 2015-04-21 2016-10-27 Nike Innovate C.V. Bladder element formed from three sheet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US10306726B2 (en) 2015-06-19 2019-05-28 Nike, Inc. Method of illuminating an article
EP4032426A1 (en) 2015-09-24 2022-07-27 Nike Innovate C.V. Particulate foam with other cushioning
USD768969S1 (en) 2015-10-13 2016-10-18 Cole Haan Llc Shoe midsole
USD756620S1 (en) * 2015-10-13 2016-05-24 Cole Haan Llc Shoe sole
USD790169S1 (en) * 2015-10-27 2017-06-27 Nike, Inc. Shoe midsole
WO2017079255A1 (en) 2015-11-03 2017-05-11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laterally-extending tub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e structure
EP3370557B1 (en) * 2015-11-03 2022-05-04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a bladder element having a cushioning component with a single central open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10159307B2 (en) * 2016-03-15 2018-12-25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MX2018011116A (es) * 2016-03-15 2018-11-09 Nike Innovate Cv Estructura de suela para articulo de calzado.
US10327511B2 (en) 2016-07-08 2019-06-25 Cole Haan Llc Shoe having knit wingtip upper
US10524538B2 (en) * 2016-09-08 2020-01-07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with tensile member
EP3544461B1 (en) * 2016-11-22 2021-04-14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n article of footwear with extended plate
EP3595478B1 (en) * 2017-03-16 2022-01-12 Nike Innovate C.V.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JP2020519343A (ja) 2017-05-18 2020-07-02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引張コンポーネントを用いたクッション製品およびクッション製品の製造方法
CN114983090A (zh) 2017-05-18 2022-09-02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带有拉伸部件的铰接缓冲垫及制造缓冲垫的方法
CN114668221A (zh) 2017-05-23 2022-06-2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阶段压缩刚度的圆顶状鞋底夹层
KR102258452B1 (ko) 2017-05-23 2021-06-0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등급화된 응답을 갖는 중창
CN113598471B (zh) * 2017-05-23 2022-08-09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分级响应的鞋底夹层系统
TWI715893B (zh) * 2017-12-14 2021-01-11 荷蘭商耐基創新公司 用於鞋類物品之鞋底結構(一)
US10149513B1 (en) 2018-01-31 2018-12-1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452334B2 (en) 2018-01-31 2022-09-27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0524540B1 (en) * 2018-07-17 2020-01-07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US11026476B2 (en) 2018-07-17 2021-06-08 Nike, Inc. Airbag for article of footwear
EP3883422A1 (en) 2018-11-20 2021-09-29 NIKE Innovate C.V. Footwear bladder system
TWI757652B (zh) 2018-11-20 2022-03-11 荷蘭商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用於一鞋件製品之鞋底結構
US20200305551A1 (en) * 2019-03-28 2020-10-01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WO2020243385A1 (en) * 2019-05-30 2020-12-03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744321B2 (en) 2019-07-25 2023-09-05 Nike, Inc. Cushioning memb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CN114206150A (zh) 2019-07-25 2022-03-18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类物品
WO2021016166A1 (en) 2019-07-25 2021-01-28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US11700909B2 (en) * 2019-09-24 2023-07-18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638463B2 (en) * 2019-11-19 2023-05-02 Nike, Inc.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11666118B2 (en) * 2019-11-19 2023-06-06 Nike, Inc. Bladder and sole structure for article of footwear
USD929093S1 (en) * 2020-02-11 2021-08-31 Nike, Inc. Shoe
USD993597S1 (en) * 2020-06-10 2023-08-01 Ijh A/S Outsole for footwear
EP3928970A1 (en) * 2020-06-26 2021-12-29 Ecco Sko A/S An article of footwear
WO2022015620A1 (en) * 2020-07-13 2022-01-20 Nike Innovate C.V. Sole structure with midsole protrusions and arced profile for forward momentu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968A1 (en) * 2003-12-23 2005-06-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20070169379A1 (en) * 2006-01-24 2007-07-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Family Cites Families (9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385A (en) 1893-06-27 William hall
US2155166A (en) 1936-04-01 1939-04-18 Gen Tire & Rubber Co Tread surface for footwear
US2188168A (en) 1938-09-03 1940-01-23 Winkel Mabel Shoe
US2224590A (en) 1938-12-02 1940-12-10 Joseph E Tetreault Shoe filler
US3087261A (en) 1960-10-31 1963-04-30 Forward Slant Sole Company Slant cell shoe sole
FR2049264A5 (ko) 1969-06-05 1971-03-26 Pennel & Flipo Ets
BE766530A (fr) * 1970-05-05 1971-09-16 Dall Ava Yvan A Semelle interieure a coussin d'air
FR2374863A1 (fr) * 1976-07-29 1978-07-21 Adidas Chaussures Semelle pour chaussures de sport et de loisir
US4059910A (en) 1976-12-23 1977-11-29 Kenneth Bryden Footwear apparatus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7705A (en) 1977-03-04 1980-08-19 Donzis Byron A Self-contained fluid pressure foot support device
GB2035780A (en) 1977-10-14 1980-06-25 American Pneumatics Co Self contained fluid pressure foot support device
US4287250A (en) 1977-10-20 1981-09-01 Robert C. Bogert Elastomeric cushioning devices for products and objects
US4340626A (en) 1978-05-05 1982-07-20 Rudy Marion F Diffusion pumping apparatus self-inflating device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US4241524A (en) 1979-05-07 1980-12-30 Sink Jeffrey A Athletic shoe with flexible sole
US4265032A (en) 1979-06-14 1981-05-05 Betherb, Inc. Expandable article of footwear
US4309831A (en) 1980-01-24 1982-01-12 Pritt Donald S Flexible athletic shoe
US4309832A (en) 1980-03-27 1982-01-12 Hunt Helen M Articulated shoe sole
US4302892A (en) 1980-04-21 1981-12-01 Sunstar Incorporated Athletic shoe and sole therefor
US4547978A (en) * 1982-02-05 1985-10-22 Clarks Limited Footwear
USD288027S (en) 1984-11-23 1987-02-03 Kangaroos U.S.A., Inc. Flexible sole for athletic shoe
US4638577A (en) 1985-05-20 1987-01-27 Riggs Donnie E Shoe with angular slotted midsole
IT1188618B (it) * 1986-03-24 1988-01-20 Antonino Ammendolea Plantare per calzatura ad impatto elastico ammortizzante
USD294653S (en) 1986-10-22 1988-03-15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USD294537S (en) 1986-12-08 1988-03-08 Reebok International Ltd. Shoe sole
US5083361A (en) 1988-02-05 1992-01-28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US4906502A (en) 1988-02-05 1990-03-06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US4908964A (en) 1988-08-15 1990-03-20 Interco Incorporated California type shoe with contoured midsole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DE69031835T2 (de) 1989-08-30 1998-05-14 Iii Frampton E Ellis Schuhsohlenkonstruktion mit anwendung einer theoretischen idealen stabilitätsebene
WO1991005491A1 (en) 1989-10-20 1991-05-02 Ellis Frampton E Iii Shoe sole structures which are siped to provide natural deformation paralleling the foot
DE69132537T2 (de) 1990-01-10 2001-06-07 Anatomic Res Inc Schuhsohlenaufbau
WO1991011924A1 (en) 1990-02-08 1991-08-22 Ellis Frampton E Iii Shoe sole structures with deformation sipes
AU8057891A (en) 1990-06-18 1992-01-07 Frampton E.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AU8932491A (en) 1990-11-05 1992-05-26 Frampton E. Ellis Iii Shoe sole structures
EP0526892A3 (en) * 1991-08-07 1993-07-21 Reebok International Ltd. Midsole stabilizer
US5572804A (en) 1991-09-26 1996-11-12 Retama Technology Corp. Shoe sole component and shoe sole component construction method
DE69229504T3 (de) 1991-09-26 2006-03-02 Skydex Technologies, Inc., San Antonio Schuhsohleelement
TW214511B (ko) * 1991-11-01 1993-10-11 Nike International Ltd
US5313717A (en) * 1991-12-20 1994-05-24 Converse Inc. Reactive energy fluid filled apparatus providing cushioning, support, stability and a custom fit in a shoe
WO1994003080A1 (en) 1992-08-10 1994-02-17 Ellis Frampton E Iii Shoe sole structures
US5784808A (en) 1993-03-01 1998-07-28 Hockerson; Stan Independent impact suspension athletic shoe
US5625964A (en) 1993-03-29 1997-05-06 Nike, Inc.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5425184A (en) 1993-03-29 1995-06-20 Nike, Inc. Athletic shoe with rearfoot strike zone
US6178663B1 (en) 1993-04-15 2001-01-30 Henning R. Schoesler Fluid filled insole with metatarsal pad
USD351056S (en) * 1993-09-17 1994-10-04 Nike, Inc. Bladder for a shoe sole
US6065230A (en) 1994-06-10 2000-05-23 Brocks Sports, Inc. Shoe having cushioning means localized in high impact zones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USD378239S (en) 1995-05-31 1997-03-04 Vibram S.P.A. Combined tread surface and periphery of a shoe sole
US5686167A (en) * 1995-06-05 1997-11-11 Robert C. Bogert Fatigue resistant fluid containing cushioning device for articles of footwear
EP0884960B1 (en) 1995-06-07 2004-08-18 Nike International Ltd Inflated closed containers made of polyesterurethane based membrane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D374761S (en) * 1995-08-25 1996-10-22 Nike, Inc. Bladder for a shoe sole
US5794359A (en) * 1996-07-15 1998-08-18 Energaire Corporation Sole and heel structure with peripheral fluid filled pockets
US5915820A (en) 1996-08-20 1999-06-29 Adidas A G Shoe having an internal chassis
US6725573B2 (en) * 1997-06-03 2004-04-27 Harold S. Doyle Pneumatic inflating device contained entirely within shoe sole
IT1292147B1 (it) 1997-06-12 1999-01-25 Global Sports Tech Inc Calzatura sportiva incorporante una pluralita' di inserti aventi differenti risposte elastiche alla sollecitazione del piede
US6079126A (en) 1997-08-29 2000-06-27 Olszewski; Jan S. Shoe construction
US6029962A (en) 1997-10-24 2000-02-29 Retama Technology Corporation Shock absorbing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US5993585A (en) 1998-01-09 1999-11-30 Nike, Inc. Resilient bladder for use in footwear and method of making the bladder
USD396342S (en) 1998-01-09 1998-07-28 Nike, Inc. Portion of a bladder for a shoe sole
US20020121031A1 (en) 1998-01-30 2002-09-05 Steven Smith 2a improvements
US6009637A (en) * 1998-03-02 2000-01-04 Pavone; Luigi Alessio Helium footwear sole
GB9817712D0 (en) 1998-08-14 1998-10-14 Barrow Nicholas F Shoe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D421832S (en) 1998-12-02 2000-03-28 Wolverine World Wide, Inc. Sole for a boot or shoe
KR19990084144A (ko) 1999-09-17 1999-12-06 박범용 충격흡수용의 지지핀구조를 갖는 에어쿠션, 그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US6571490B2 (en) 2000-03-16 2003-06-03 Nike, Inc. Bladder with multi-stage regionalized cushioning
GB2363016A (en) 2000-05-31 2001-12-05 Roke Manor Research Automotive radar
US20030097767A1 (en) 2001-11-28 2003-05-29 Perkinson Jermaine Derelle 4-E.V.A system
US7168190B1 (en) 2002-07-18 2007-01-30 Reebok International Ltd. Collapsible shoe
US6990755B2 (en) 2003-10-09 2006-01-3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stretchable upper and an articulated sole structure
US7076891B2 (en) 2003-11-12 2006-07-18 Nike, Inc. Flexible fluid-filled bladde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7562469B2 (en) * 2003-12-23 2009-07-21 Nike, Inc. Footwear with fluid-filled bladder and a reinforcing structure
US7556846B2 (en) * 2003-12-23 2009-07-07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JP4413927B2 (ja) 2003-12-23 2010-02-10 ナイキ・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補強構造を有し、流体で充填された袋状部材
US7448150B1 (en) * 2004-02-26 2008-11-11 Reebok International Ltd. Insert with variable cushioning and support and article of footwear containing same
USD512818S1 (en) 2004-05-27 2005-12-20 Asics Corp. Pair of shoe outsoles
US7917981B1 (en) * 2005-11-30 2011-04-05 Nikola Lakic Methods of making adjustable air cushion insoles and resulting products
US8863408B2 (en) * 2007-12-17 2014-10-2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uid-filled chamber
US8241450B2 (en) * 2007-12-17 2012-08-14 Nike, Inc. Method for inflating a fluid-filled chamber
US8572867B2 (en) * 2008-01-16 2013-11-05 Nike, Inc. Fluid-filled chamber with a reinforcing element
US8013340B2 (en) 2008-09-30 2011-09-06 Infineon Technologies Ag Semiconductor device with semiconductor body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emiconductor device
US8782924B2 (en) * 2010-05-11 2014-07-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US8919015B2 (en) * 2012-03-08 2014-12-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lexible groove
EP3747299B1 (en) * 2014-02-12 2023-10-11 New Balance Athletics, Inc. Sole for footwear, and methods for designing and manufacturing same
DE102015212099B4 (de) * 2015-06-29 2022-01-27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3968A1 (en) * 2003-12-23 2005-06-23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US20070169379A1 (en) * 2006-01-24 2007-07-2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uid-filled chamber with flexion z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18068A1 (en) 2022-07-14
AU2013235066A1 (en) 2014-10-02
JP2015510836A (ja) 2015-04-13
US20130247422A1 (en) 2013-09-26
CN106974359B (zh) 2020-05-26
KR20170090518A (ko) 2017-08-07
EP3689172A1 (en) 2020-08-05
EP2827732B1 (en) 2017-10-11
EP3292780A1 (en) 2018-03-14
CN106974359A (zh) 2017-07-25
CN104203029A (zh) 2014-12-10
KR101764331B1 (ko) 2017-08-03
KR20180118257A (ko) 2018-10-30
WO2013142651A2 (en) 2013-09-26
MX2014010842A (es) 2015-08-10
JP6105713B2 (ja) 2017-03-29
US20170172250A1 (en) 2017-06-22
KR20190103478A (ko) 2019-09-04
WO2013142651A3 (en) 2014-01-16
EP3689172B1 (en) 2024-02-14
US9609912B2 (en) 2017-04-04
AU2013235066B2 (en) 2015-12-24
MX353325B (es) 2018-01-08
KR20140137448A (ko) 2014-12-02
EP3292780B1 (en) 2020-04-22
CN104203029B (zh) 2017-04-05
EP2827732A2 (en) 2015-01-28
KR102209940B1 (ko) 2021-02-01
KR101912904B1 (ko) 2018-10-30
US11297898B2 (en) 202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021B1 (ko) 유체 충전 챔버를 갖는 밑창 구조체를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US11490688B2 (en) Footwear with sole structure incorporating lobed fluid-filled chamber with protruding end wall portions
US11399595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flexible fluid-filled chamber
EP3597067B1 (en) Sole structure with bladder for article of footwea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066556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ole structure with a framework-chamber arrangement
KR102061710B1 (ko) 챔버 시스템을 구비하는 신발류 물품 및 챔버 시스템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