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7878B1 -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7878B1
KR102017878B1 KR1020150013779A KR20150013779A KR102017878B1 KR 102017878 B1 KR102017878 B1 KR 102017878B1 KR 1020150013779 A KR1020150013779 A KR 1020150013779A KR 20150013779 A KR20150013779 A KR 20150013779A KR 102017878 B1 KR102017878 B1 KR 102017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it
sampling
compress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857A (ko
Inventor
김승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13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7878B1/ko
Priority to US15/007,763 priority patent/US9698817B2/en
Publication of KR20160092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7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7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59Digital compression and data reduction techniques where the origin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subset or similar information, e.g. lossy compression
    • H03M7/3062Compressive sampling or sens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3059Digital compression and data reduction techniques where the original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subset or similar information, e.g. lossy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50Conversion to or from non-linear codes, e.g. compa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는 입력신호를 업-다운 샘플링하여 제1 압축신호를 생성하는 제1 압축부와, 제1 압축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비트를 제거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제2 압축신호를 생성하는 제2 압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The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compression and reconstruction technique that is using digital base-band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네트워크 전송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저대역 전송기술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통신사업자에 있어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분리형 기지국이 필요하다. 이때 사용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인 공공무선인터페이스(Common Public Radio Interface: CPRI, 이하 CPRI라 칭함)의 경우 표준으로 제정된 규격이 최대 10Gbps급으로 수십 Gbps 이상의 대역 처리가 필요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처하기 위하여 CPRI IQ 데이터 압축기술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시스템 적용 방안이 발표되고 있다. 향후 이동통신 기술이 소형화 기지국을 보다 많이 필요로 하게 될 것이고, 이를 수용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요구는 더욱 늘어날 것이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압축분야의 신기술이 더욱더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 KDDI 및 미국 ALU는 분리형 기지국용 전송규격인 CPRI에 압축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있는데, KDDI 및 ALU의 IQ 압축 기법 중에 IQ 데이터 성분을 대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의미 있는 데이터를 보다 적은 대역에 압축하기 위한 업-다운 샘플링(Up-Down sampling, Decimation 방식으로 통용)이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비선형 양자화(Nonlinear Quantization, KDDI 제시) 처리 및 블록 스케일링(Block-Scaling, ALU 제시) 처리가 이루어지면 데이터 압축 및 복원 효과가 상승된다.
전술한 압축 및 복원 기술은 데이터 오류 벡터치 손실(Error Vector Magnitude Loss)을 줄일 수 있고, 압축 및 복원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연시간을 일정시간, 예를 들어 20usec 이내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압축률의 한계성을 가진다.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 대역 사용 효율을 높이기 위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는, 입력신호를 업-다운 샘플링하여 제1 압축신호를 생성하는 제1 압축부와, 제1 압축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비트를 제거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제2 압축신호를 생성하는 제2 압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압축부와 제2 압축부에 의한 데이터 총 압축률은 업-다운 샘플링 압축률 × (유효 전송 비트 열(n) / 총 전송 비트 열 (m)) × 100 (m>n인 정수)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압축부는 업 샘플링 및 다운 샘플링을 통한 데이터 압축률이 2/3 이상이 되도록 압축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는 제1 압축신호를 이진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압축부에 전송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원장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하위 비트가 제거된 압축신호를 복원하여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복원부와, 제1 복원신호를 다운-업 샘플링하여 원 입력신호인 제2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복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복원부는 부분 비트 샘플링 시 제거된 하위 비트열을 채워넣어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복원부는 0과 1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개수 차가 1이 되도록 하위 비트열을 채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원장치는 제1 복원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제2 복원부에 전송하는 역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은, 입력신호를 업-다운 샘플링하여 제1 압축신호를 생성하고, 제1 압축신호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위 비트를 제거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제2 압축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장치와, 송신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2 압축신호를 복원하여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하고 제1 복원신호를 다운-업 샘플링하여 원 입력신호인 제2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수신 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는 부분 비트 샘플링 시 제거된 하위 비트열을 채워넣어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업-다운 샘플링 및 부분 비트 샘플링 기법을 이용하여 기저대역 데이터를 최대로 압축함에 따라, 무선 트래픽의 폭증으로 야기된 네트워크 추가 투자로 인한 각종 설비투자비(CAPEX) 및 운용비(OPEX)를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을 DU(Digital Unit)-RU(Radio Unit) 분리형 기지국 시장에서나, 향후 개발 가능한 차세대 이동통신 시장, 특히 디지털 인터페이스가 국사 및 개인단말 간이나, 기지국 및 개인단말 간의 연결로 이루어질 경우 통신 사업자의 설비투자비 및 운용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통신사업체, 장비 제조 기업,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 기업, 소비자 등이 상생할 수 있는 기술로의 발전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본 발명은 향후 광전송 및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 속도에 비추어 보았을 때, 현재 사용되는 64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서 256 QAM 이상의 방식으로 올라갈 가능성을 고려할 때 현재 15비트 전후의 디지털 양자화 수치가 그 이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클 것이고, 이때 본 발명의 부분 비트 샘플링의 효과는 더 극대화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IQ 데이터 전송 시 업-다운 샘플링의 예를 도시한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원장치의 세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과 원 데이터 복원 시의 비트 처리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 및 복원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KDDI 및 KDDI와 유사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ALU는 공통적으로 업-다운(Up-Down) 샘플링 방식과 데이터 비트 압축과 복원에 알고리즘을 적용한 기술이다. 지연시간적인 측면에서 일정한 추가시간이 고려되어야 하고, 압축률의 상한이 최대 50% 정도로 한정적이다. 특히, 표준화에서 제시되고 있는 지연시간보다 훨씬 적은 지연시간을 요구하는 일부 통신 사업자에는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은 업-다운(Up-Down) 샘플링 방식과 부분 비트 샘플링(Partial-bit Sampling) 방식을 동시에 사용하여 높은 압축률과 적은 지연시간을 달성한다. 모든 디지털 기반 기저대역 통신은 일정한 수준의 오류 벡터치(Error Vector Magnitude: EVM, 이하 EVM이라 칭함)를 허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64QAM/ 20MHz 대역에서는 8%까지 EVM이 허용된다. 본 발명은 데이터 전송시 일부의 하위 비트를 제거하여 송신하더라도 수신시 허용치 이내에서 복원이 가능하다는 원리에 기반한다. 이하, 전술한 특징을 갖는 데이터 압축 및 복원 기술에 대해 후술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1)에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인터페이스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를 포함한다. 송신장치는 데이터 압축장치(10)와 동등한 개념이거나 데이터 압축장치(1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수신장치는 데이터 복원장치(12)와 동등한 개념이거나 데이터 복원장치(12)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는 동일한 형태의 대칭형 구조일 수 있다.
데이터 압축장치(10)는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압축한다. 입력신호는 데이터 압축 이전의 원 신호(original signal)이다. 예를 들어, 입력신호는 기저대역(base-band)의 IQ 데이터일 수 있다. IQ 데이터는 동상(In-Phase:I) 성분 및 쿼드러처(Quadrature:Q) 성분으로 구성된 데이터로서, 정수 데이터 또는 이진(binary) 데이터로 표현될 수 있다. 입력신호는 다양한 전송 분야에서 정의된 전송 프레임 전체를 의미할 수 있고, 전송 프레임 내 특정 필드 값만을 의미할 수도 있다. 데이터 압축장치(1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데이터 복원장치(12)는 수신된 압축 데이터를 복원하여 원 신호를 재생한다. 데이터 복원장치(12)를 통해 복원된 신호는 원 신호의 특성을 재생할 수 있는 수준의 신호로써, 주어진 허용 가능한 EVM 손실(Loss) 이내로 수신되는 경우 복원이 가능한 신호로 볼 수 있다. 데이터 복원장치(12)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후술한다.
데이터 압축장치(10)와 데이터 복원장치(12) 사이에는 유무선 매체(14)가 형성된다. 유무선 매체(14)는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1)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유선의 경우 광케이블, 동축 케이블 등을 포함하고, 무선의 경우 기지국 간 또는 기지국과 국사 간, 기지국과 단말 간, 국사와 단말 간까지의 모든 인터페이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압축장치(10)는 제1 압축부(100), 변환부(102) 및 제2 압축부(104)를 포함한다.
제1 압축부(100)는 유효 데이터를 검출하여 압축하는 블록으로서, 업-다운 샘플링(Up-down Sampling) 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제1 압축부(100)는 IQ 기반의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업 샘플링한 후 다운 샘플링하여, 수용 가능한 EVM 손실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성분들을 제거한다.
변환부(102)는 정수 형태의 IQ 데이터를 m 비트의 이진 신호(binary signal) 형태로 변환한다. m은 LTE의 경우 15 전후의 값이 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압축부(104)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압축하는 블록으로서, m 비트로 입력된 데이터 열에 대하여 하위 n 비트를 제거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LTE IQ 데이터 전송 시 업-다운 샘플링의 예를 도시한 참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압축부(100)는 IQ 기반의 아날로그 입력신호를 업 샘플링 및 다운 샘플링하여, 수용 가능한 EVM 손실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성분들을 제거한다. 예를 들어, LTE 서비스의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MHz의 LTE 신호는 CPRI 표준화에 의해 30.72MHz로 상향 샘플링된 후, 20.48MHz로 다시 하향 샘플링을 수행함으로써, 30.72MHz 대역폭 대비 약 2/3의 대역으로 압축 후 전송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복원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복원장치(12)는 제1 복원부(120), 역변환부(122) 및 제2 복원부(124)를 포함한다.
제1 복원부(120)는 데이터 압축장치를 통해 압축된 신호가 유무선 매체를 통해 전송된 압축 데이터를 입력신호로 입력받는다. 이때, 유무선 데이터 전송 시 전송채널 상에서 발생하는 잡음 및 왜곡으로 인해 크기가 변화된 데이터를 등화(equlization)한 후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압축된 데이터를 복원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복원부(120)는 전송 시 제거된 하위 비트열을 복원하여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한다. 제거된 하위 비트 열은 통상 ‘0’이나 ‘1’신호 중 아무거나 매핑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인 신호의 특성 상 가우시안 분포를 고려하여 ‘0’과 ‘1’을 절반에 가깝게 넣어 줄 때 최종 오류 벡터치 손실이 최소화된다. 즉, 6비트를 채워야 하는 경우 “101010”등의 값을, 5비트를 채워야 하는 경우 “01010” 혹은 “10101”을 이용하면 된다.
역변환부(122)는 이진 형태의 제1 복원신호로부터 정수 형태의 아날로그 신호로 역변환한다.
제2 복원부(124)는 도 2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데이터 압축장치(10)의 제1 압축부(100)의 역변환을 수행하는 블록으로서, 다운 샘플링 및 업 샘플링을 차례로 수행하여 제2 복원신호를 생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과 원 데이터 복원 시의 비트 처리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압축장치는 제거 가능한 하위 비트 열을 가진 데이터(500)를 대상으로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압축하여 압축 데이터(510)를 생성한다. 압축 데이터(510)는 데이터(500)의 하위 비트 열(502)이 제거되어, 데이터(500)보다 매우 적은 데이터 양을 가진다. 압축률은 수식 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LTE의 경우, 업-다운 샘플링 압축률을 2/3으로 가정하고,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을 통해 총 16 비트열 중 10 비트열만 전송하는 경우의 총 압축률은 41.7%가 되며, 이는 총 데이터 중 41.7%의 데이터만으로 압축복원 전송과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압축률(%) = 업-다운 샘플링 압축률 × (유효 전송 비트 열(n) / 총 전송 비트 열 (m)) × 100 (m>n) ... (수식 1)
41. 7(%) = 0. 667 × (10/16) × 100 ... (수식 2)
수식 2에 있어서, 업-다운 샘플링 압축률은 2/3이고, m은 16이고, n은 10이다.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률은 총 압축률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다운 샘플링 압축률이 2/3이고, 총 압축률을 50%로 맞춘다고 가정하면,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률은 3/4이 될 수 있다. 이때,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률이 3/4이 되도록 16 비트열 중 4 비트열을 제거하고 12 비트열만 전송하는 경우, 총 압축률은 50%가 된다. 그러나 전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 예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복원 데이터(520)는 데이터 복원장치에 의해 복원된 데이터로서, 하위 비트열(522)이 0 또는 1로 채워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 및 복원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 압축장치는 입력신호를 업 샘플링 및 다운 샘플링하여 제1 압축신호를 생성한다(600). 이어서, 제1 압축신호에서 하위 비트를 제거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제2 압축신호를 생성한다(602). 그리고 생성된 압축신호를 데이터 복원장치에 전송한다.
데이터 복원장치는 데이터 압축장치로부터 압축된 신호를 수신하여 부분 비트 샘플링 압축 시 제거된 비트 열을 채워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한다(610). 그리고 제1 복원신호를 대상으로 다운 샘플링 및 업 샘플링 복원을 통해 원 데이터를 복원한다(612).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배경이나 실시 적용 예로서 분리형 무선기지국 장치 간 전송 규격 내 IQ 필드에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분리형 무선 기지국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네트워크 통신 분야로서 액세스 네트워크나 백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전송 매체로서 유선, 무선, 동축 케이블, 유무선 혼용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장치의 다중화 시스템으로서 시분할, 주파수 분할, 파장분할, 코드 분할,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등을 적용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장치 엔티티로서 라우터, 스위치, 단말, 또는 위성통신, 고정형 무선 통신, 무선 이동 통신,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 압축 및 복원 기능이 필요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도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10: 데이터 압축장치 12: 데이터 복원장치
100: 제1 압축부 102: 변환부
104: 제2 압축부 120: 제1 복원부
122: 역변환부 124: 제2 복원부

Claims (15)

  1. 아날로그 형태의 입력신호를 업-다운 샘플링하여 제1 압축신호를 생성하는 제1 압축부;
    상기 제1 압축신호를 m 비트의 이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목표 압축률에 따라 상기 m 비트의 이진 신호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을 결정하여 제거하고, 상기 n 개의 연속하는 하위 비트들이 제거된 상기 m 비트의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들이 m-n 비트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들에 대응되도록 할당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하여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m-n 비트의 이진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압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압축부;
    를 포함하고,
    상기 m>n이고, m과 n은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는
    업 샘플링 및 다운 샘플링을 통한 데이터 압축률이 2/3 이상이 되도록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4. 삭제
  5. 데이터 압축장치로부터 원 입력 신호에 대한 업 다운 샘플링 및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압축함으로써 생성된 압축 신호인 m-n 비트의 이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m-n 비트의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들을 m 비트의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들에 대응되도록 할당하고, 상기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제거된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하는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을 복원하여 상기 m 비트의 이진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복원부;
    상기 생성된 제1 복원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1 복원신호를 다운-업 샘플링하여 상기 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복원부
    를 포함하고,
    상기 m>n이고, m과 n은 정수이며,
    상기 제1 복원부는
    최종 오류 벡터의 크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m 비트의 이진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원된 최하위 비트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에 0 또는 1을 채워 넣되,
    상기 0과 1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개수 차가 1이 되도록 상기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아날로그 형태의 입력신호를 업-다운 샘플링하여 제1 압축신호를 생성하는 제1 압축부, 상기 제1 압축신호를 m 비트의 제1 이진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목표 압축률에 따라 상기 m 비트의 제1 이진 신호의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을 결정하여 제거하고, 상기 n 개의 연속하는 하위 비트들이 제거된 상기 m 비트의 제1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들이 m-n 비트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들에 대응되도록 할당하는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하여 압축률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m-n 비트의 이진 신호에 대응하는 제2 압축 신호를 생성하는 제2 압축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압축장치; 및
    상기 데이터 압축장치로부터 원 입력 신호에 대한 업 다운 샘플링 및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압축함으로써 생성된 압축 신호인 상기 m-n 비트의 이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m-n 비트의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들을 m 비트의 제2 이진 신호의 최상위 비트(Most Significant Bit, MSB)들에 대응되도록 할당하고, 상기 부분 비트 샘플링을 통해 제거된 최하위 비트(Least Significant Bit, LSB)를 포함하는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을 복원하여 상기 m 비트의 제2 이진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제1 복원부, 상기 생성된 제1 복원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역변환부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제1 복원신호를 다운-업 샘플링하여 상기 원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제2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제2 복원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복원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m>n이고, m과 n은 정수이며,
    상기 데이터 복원장치는
    최종 오류 벡터의 크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m 비트의 제2 이진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복원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복원된 최하위 비트를 포함하여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에 0 또는 1을 채워 넣되,
    상기 0과 1의 개수가 동일하거나 개수 차가 1이 되도록 상기 연속하는 n 개의 하위 비트들을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업 샘플링한 뒤 다운 샘플링하여 수용 가능한 EVM(Error Vector Magnitude) 손실 범위 내에서 불필요한 데이터 성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는,
    동상(In-Phase: I) 성분 및 쿼드러처(Quadrature: Q) 성분으로 구성된 IQ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와 제2 압축부에 의한 데이터 총 압축률은 업-다운 샘플링 압축률 Х (n / m) Х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축부는
    업 샘플링 및 다운 샘플링을 통한 데이터 압축률이 2/3 이상이 되도록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
KR1020150013779A 2015-01-28 2015-01-28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KR102017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779A KR102017878B1 (ko) 2015-01-28 2015-01-28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US15/007,763 US9698817B2 (en) 2015-01-28 2016-01-27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ata compression and for data recovery in digital baseband transmiss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779A KR102017878B1 (ko) 2015-01-28 2015-01-28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857A KR20160092857A (ko) 2016-08-05
KR102017878B1 true KR102017878B1 (ko) 2019-09-03

Family

ID=5643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779A KR102017878B1 (ko) 2015-01-28 2015-01-28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98817B2 (ko)
KR (1) KR102017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4233B2 (en) * 2017-06-08 2019-11-1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mplementing provider edge with hybrid packet processing appliance
KR102395669B1 (ko) 2017-12-05 2022-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류 벡터 크기 계산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압축 및 복원 장치와 그 방법
CN109769255B (zh) * 2018-12-21 2020-11-06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数据压缩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3006A1 (en) * 2007-09-17 2009-03-19 Samplify Systems, Inc. Enhanced control fo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sampled signal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87433A1 (en) * 2001-07-26 2005-08-25 Given Imaging Ltd. In-vivo imaging device providing constant bit rate transmission
JP4689545B2 (ja) 2006-07-05 2011-05-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ータ圧縮装置およびデータ圧縮プログラム
TW200943271A (en) * 2008-04-02 2009-10-16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Memory-saving display device
US8005152B2 (en) 2008-05-21 2011-08-23 Samplify Systems, Inc. Compression of baseband signals in base transceiver systems
US20110026593A1 (en) * 2009-02-10 2011-02-03 New Wei Le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KR101410249B1 (ko) 2013-05-09 2014-06-20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Cran에서 du와 ru간 i/q 데이터 압축 및 그 해제 방법
US20140376605A1 (en) 2013-06-25 2014-12-2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data
KR20150000820A (ko) 2013-06-25 2015-01-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압축/복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73006A1 (en) * 2007-09-17 2009-03-19 Samplify Systems, Inc. Enhanced control for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of sampled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698817B2 (en) 2017-07-04
KR20160092857A (ko) 2016-08-05
US20160218738A1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8231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data compression and nonuniform quantizers
US1013595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 unified compression framework of baseband signals
KR101553226B1 (ko) 신호 압축 및 압축 해제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8989088B2 (en) OFDM signal processing in a base transceiver system
US9059778B2 (en) Frequency domain compression in a base transceiver system
JP5764237B2 (ja) Cranでduとru間のi/qデータ圧縮及びその解除方法
US89892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ar-zero jitter real-time compress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283539B2 (en) Methods, encoder and decoder for handling a data stream for transmission between a remote unit and a base unit of a base station system
US20150382237A1 (en) Network apparatus based on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ofdm) and data compression and data recovery method thereof using compressed sensing
KR102017878B1 (ko) 디지털 기저대역 전송 시스템의 데이터 압축 및 복원장치와 그 방법
WO2014136193A1 (ja) 基地局装置、基地局システムおよびiqデータの圧縮方法
US11563445B1 (en) System and methods for data compression and nonuniform quantizers
US201403766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data
Lee et al. A simple and efficient IQ data compression method based on latency, EVM, and compression ratio analysis
EP15739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igital information using time-and-frequency-bounded base functions
You Near-lossless compression/decompression algorithms for digital data transmitted over fronthaul in C-RAN
KR20170083819A (ko) 데이터 압축 복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216575B2 (ja) 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Oh et al. Adaptive bit truncation and restoration for baseband signal compression
KR20150000820A (ko) 데이터 압축/복원 장치 및 방법
KR20200025755A (ko)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
Oh et al. Low latency block scaling for baseband signal compression
JP6087256B2 (ja) ベースバンド信号の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