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601B1 -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601B1
KR102016601B1 KR1020160160000A KR20160160000A KR102016601B1 KR 102016601 B1 KR102016601 B1 KR 102016601B1 KR 1020160160000 A KR1020160160000 A KR 1020160160000A KR 20160160000 A KR20160160000 A KR 20160160000A KR 102016601 B1 KR102016601 B1 KR 102016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rotocol
input data
search key
candid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0471A (ko
Inventor
김주윤
김민호
정김기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60160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01B1/ko
Priority to PCT/KR2017/013800 priority patent/WO2018101735A1/ko
Publication of KR2018006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2Query trans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장치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규약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규약에 의한 인덱스 테이블을 읽어 들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변환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되, 구조적으로 변환된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변환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 키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PPARATUS, COMPUTER PROGRAM FOR CONVERTING DATA}
본 발명은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입니다.
전자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로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휴대 단말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 및 삭제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 망에 직접 접속할 수 있어서 활용도가 높다. 휴대 단말은 가속도 센서, 근접 센서, 온도 센서 등의 센서를 구비하고, 사용자의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감지된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5-005630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판별 영역에 포함된 구획 및 구획들의 주소 정보를 활용하여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최적의 최종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방법은 데이터 변환 장치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규약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규약에 의한 인덱스 테이블을 읽어 들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변환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되, 구조적으로 변환된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후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변환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 키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색 키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규약과 연계된 판별 영역의 특정 영역에 접근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판별 데이터를 통해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방법은 상기 검색 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판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규약과 다른 규약으로 작성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변환 알고리즘은 상기 판별 영역이 차지하는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스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규약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표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종 데이터는 상기 제2 규약에 의해 해독되는 형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로 판독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1 규약에 의해 작성된 입력 데이터는 시각 또는 청각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2 규약으로 해독되는 최종 데이터는 촉각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규약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규약에 의한 인덱스 테이블을 읽어 들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되, 구조적으로 변환된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후보 데이터를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변환 알고리즘에 따라 검색 키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은 판별 영역에 포함된 구획 및 구획들의 주소 정보를 활용하여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최적의 최종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방법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보 데이터들 중에서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데이터 변환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을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회로"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에 의해 실행되는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하드와이어드 회로,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태 머신 회로, 및/또는 펌웨어를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호스트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한 회로와 같은 프로그램가능한 회로 상에서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인스트럭션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원의 임의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모듈은,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회로는 집적 회로 칩과 같은 집적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산출부(110), 판별 영역(120), 판단부(130),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수신된 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를 점자 데이터, 화상 데이터, 청각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 또는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소정의 규약으로 작성된 데이터를 해독하기 위한 인덱스 테이블 및/또는 판별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소정의 규약에 정의된 인덱스들, 인덱스들의 수, 각 인덱스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판별 영역으로 필요한 용량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판별 영역에 이진수로 작성된 데이터를 작성할 수 있다. 판별 영역에서는 하나의 비트에 하나의 이진수가 저장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판별 영역에 포함된 구획 및 구획들의 주소 정보를 활용하여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최적의 최종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활용할 뿐 아니라 메모리의 주소값을 하나의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종래의 메모리의 주소값은 메모리에 접근하기 위한 매개체에 불과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데이터 영역을 절약하기 위해서, 메모리의 주소값을 인덱스로 활용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으로 작성된 입력 데이터(input)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input)는 인터넷 망 또는 근거리 망 등의 다양한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input)는 제1 규약으로 작성된 것으로, 제1 규약을 이용하여 해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데이터(input)는 각 국가의 언어로 작성된 문자 데이터 일 수 있다.
산출부(110)는 입력 데이터(input)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input)를 판독한 결과를 기초로 제1 검색 키(key1)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입력 데이터(input)를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따라 제1 검색 키(key1)를 산출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산출부(110)는 입력 데이터(input)을 상기 입력 데이터(input)와 대응되는 제1 값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1 값을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입력할 수 있다. 판별 영역의 크기에 따라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은 복수의 스텝, 함수(func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산출부(110)는 입력 데이터(input)로부터 제1 검색 키(key1)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산출부(110)는 제1 규약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의 셋트를 고려하여 함수 또는 스텝을 생성하게 된다. 산출부(110)는 제1 규약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의 셋트에 포함되는 데이터들 사이에 구별되는 값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함수 또는 스텝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은 제1 규약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의 크기 또는 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산출부(110)는 제한된 크기의 판별 영역에 제1 규약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인코딩 알고리즘 및 디코딩하는 디코딩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판별 영역의 크기 및 제1 규약에 따라 정의되는 데이터의 셋트의 수에 대한 비례값에 따라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은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비례값이 작을수록 더 적은 용량으로 데이터를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인코딩을 위해서 수행되어야 하는 스텝 또는 함수의 수는 증가될 수 있다. 복수의 캐릭터로 구성된 데이터는 알고리즘을 통해 원래 데이터 보다 더 짧은 길이의 값이나 키로 변환하게 된다. 알고리즘은 해시 함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시로는 MD2, MD4, MD5, SHA 등이 있을 수 있다.
산출부(110)는 산출된 제1 검색 키(key1)와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된 값을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산출부(110)는 산출된 제1 검색 키(key1)를 이용하여 판별 영역(120)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제1 검색 키(key1)는 판별 영역(120)에 포함된 특정 영역, 특정 섹션을 가리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산출부(110)는 판별 영역(120)에 소정의 규칙으로 구획된 섹션들 중에서, 상기 제1 검색 키(key1)와 대응되는 섹션에 저장된 제1 결과 값(value)을 읽어 들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산출부(110)는 상기 제1 검색 키(key1)를 상기 판별 영역의 주소로 활용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상기 제1 검색 키(key1)와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값을 제1 결과 값(value)로서 읽을 수 있다. 산출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1 검색 키(key1)와 대응되는 판별 영역(120)의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판별 영역(120)의 일부, 지정 영역에 저장된 제1 결과 값(value)을 읽을 수 있다.
여기서, 판별 영역(120)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거나 시스템 영역에 저장된 압축 데이터를 부팅 시에 저장하는 휘발성 메모리 일 수 있다. 판별 영역(120)이 휘발성 메모리인 경우에는 판별 영역(120)은 데이터 변환 장치(100)이 전원이 켜진 소정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다. 판별 영역(120)은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운영 체제(OS) 또는 프로세서(processor)에 의해 접근될 수 있도록, 단위 데이터마다 정의된 주소와 매핑될 수 있다. 판별 영역(120)에 포함된 소정의 영역은 주소 값들의 집합과 대응될 수 있다.
산출부(110)에 의해 획득된 제1 검색 키(key1)는 판단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1 검색 키(key1)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1 검색 키(key1)가 기 설정된 소정의 유효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1 검색 키(key1)가 소정의 규칙에 따르거나, 소정의 함수에 의해 참(예를 들어, 1 또는 TRUE)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1 검색 키(key1)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생성부(140)는 판단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입력 데이터 또는 검색 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상기 최종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출력 신호는 외부의 출력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복수의 돌기 유닛들을 제어하는 출력 제어부로 전달되어 복수의 돌기 유닛들을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돌기 유닛들은 사용자의 피부 또는 신경에 접촉되어 촉감에 의한 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돌기 유닛들은 시각적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변환부(111), 산출부(110), 인덱스 테이블(121), 판별 영역(120), 판단부(130), 생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input)를 하나 이상의 후보 데이터로 변환하고 후보 데이터 중에서 하나의 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변환부(111)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input)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고 상기 판독 결과 및 제1 규약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부(111)는 입력 데이터(input)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게 되면, 입력 데이터에 속한 인덱스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인덱스는 각 규약에 따라서 정의되는 것으로, 입력 데이터의 길이 보다 더 적은 스트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활용될 수 있다. 약어 또는 축약어로도 볼 수 있으나, 약어 또는 축약어의 경우에는 원 입력 데이터의 의미를 알 수 있도록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인덱스는 원 입력 데이터와 무관하게 정의되게 된다. 또한, 입력 데이터를 이루는 음절, 코드, 글자, 텍스트 등을 간단히 결합한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또한, 변환부(111)는 인덱스 테이블을 활용한 방법으로 입력 데이터(input)에 포함된 인덱스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 데이터(input)와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변환부(111)는 제1 규약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먼저, 변환부(111)는 입력 데이터(input)가 작성된 제1 규약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을 불러온다. 변환부(111)는 스트링 단위의 판독을 통해 인덱스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 개의 인덱스들 중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input)에 포함된 제1 인덱스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인덱스와 대응되는 입력 데이터(input)의 일부를 상기 제1 인덱스로 대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변환부(111)는 제1 인덱스를 포함하는 후보 데이터(Pdata)를 출력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입력 데이터(input)에 대신에 상기 입력 데이터(input)와 대응되되, 구조적으로 변환된 후보 데이터(Pdata)와 대응되는 제2 검색 키(key2)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후보 데이터(Pdata)를 수신하고, 상기 후보 데이터(Pdata)를 판독한 결과를 기초로 제2 검색 키(key2)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후보 데이터(Pdata)를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입력하여 제2 검색 키(key2)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후보 데이터(Pdata)을 상기 후보 데이터(Pdata)와 대응되는 제2 값(key2)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 값(key2)을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함수에 입력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산출부(110)는 후보 데이터(Pdata)로부터 제2 검색 키(key2)를 획득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산출된 제2 검색 키(key2)와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된 값을 읽을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산출부(110)는 산출된 제2 검색 키(key2)를 이용하여 판별 영역(120)에 접근하게 된다. 이때, 제2 검색 키(key2)는 판별 영역(120)에 포함된 하나의 섹션을 가리킬 수 있다. 이런 경우, 산출부(110)는 판별 영역(120)에 소정의 규칙으로 구획된 섹션들 중에서, 상기 제2 검색 키(key2)와 대응되는 섹션에 저장된 제2 값(value)을 읽어 들인다. 다른 실시예에서, 산출부(110)는 상기 제2 검색 키(key2)를 상기 판별 영역의 주소로 활용하여, 제2 값(value)를 읽을 수 있다. 산출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제2 검색 키(key2)와 대응되는 판별 영역(120)의 일부를 결정하고, 상기 판별 영역(120)의 일부, 지정 영역에 저장된 제2 결과 값(value2)을 읽을 수 있다.
산출부(110)에 의해 획득된 제2 검색 키(key2)는 판단부(130)로 전송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2 검색 키(key2)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2 검색 키(key2)가 기 설정된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제2 검색 키(key2)가 소정의 규칙에 따르거나 소정의 함수에 의해 유효 값(예를 들어, 1 또는 TRUE)을 출력하는 경우, 상기 제2 검색 키(key2)가 유효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생성부(140)는 판단부(130)에 의한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후보 데이터 또는 제2 검색 키(key2)가 유효한 경우, 상기 후보 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산출부(110)는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규약과 연계된 판별 영역의 특정 영역에 접근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판별 데이터를 통해 상기 검색 키 또는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 변환 방법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 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100),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110),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S120),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S10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S11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인덱스를 기준으로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를 판독한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가 작성된 제1 규약을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을 검출하여 불러올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인덱스 테이블에 포함된 복수 개의 인덱스들 중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제1 인덱스를 검출하며, 상기 제1 인덱스와 대응되는 부분을 제1 인덱스로 대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인덱스를 포함하는 후보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입력 데이터가 포함하는 인덱스는 복수일 수 있는데, 복수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는 인덱스의 수에 따라 다양한 조합의 후보 데이터가 가능할 수 있다. 후보 데이터의 생성과 관련하여서는 도 5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S12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 중에서 입력 데이터와 매칭되는 최적의 후보 데이터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각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단순히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은 참 또는 거짓일 수 있으나, 소정의 점수, 등급일 수도 있다.
S13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판단 결과, 후보 데이터가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후보 데이터가 유효하다면 상기 후보 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으로 작성된 입력 데이터를 대응되는, 제2 규약으로 작성된 최종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140). 제1 규약 및 제2 규약은 상이하게 되며, 상이한 데이터 형식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규약은 청각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규약이며, 제2 규약은 촉각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규약일 수 있다. 또한 제1 규약은 시각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규약이며, 제2 규약은 촉각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규약일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2 규약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표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별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데이터 변환 방법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S210),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20), 검색 키를 산출하는 단계(S230), 검색 키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S240),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S260)를 포함할 수 있다.
S21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S210 단계 이후에 입력 데이터를 전처리 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기 설정된 정정 알고리즘에 따라서 입력 데이터를 정정할 수 있다. 이때,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에 포함된, 제1 규약에서 정의한 어법, 문법 등에 대응되지 않는 표현들을 삭제 또는 정정할 수 있다.
S22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수신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23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상기 후보 데이터와 대응되는 검색 키를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가 작성된 제1 규약에 따른 함수를 이용하여 검색 키를 산출할 수 있다.
S230의 단계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를 후보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3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값을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함수에 입력하여 검색 키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보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3 값은 제1 규약에 따라 정의된 코드, 규칙을 반영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값은 후보 데이터에 포함된 기호, 코드들의 합산으로 산정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3 값을 입력으로 검색 키를 산출할 수 있다.
S240에서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검색 키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검색 키와 대응되는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값을 이용하여 검색 키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검색 키와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접근하여, 해당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 값을 읽어 들이고, 해당 데이터 값이 소정의 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검색 키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S250 및 S260에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의 검색 키가 유효한 경우에는 상기 후보 데이터를 최종 데이터로 결정한다. 만약, 후보 데이터의 검색 키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상기 후보 데이터 외의 다른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로직에 따라 입력 데이터는 복수의 후보 데이터로 치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입력 데이터는 부분 데이터(51)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으로 정의된 단어, 조사에 따라 입력 데이터를 하나 이상의 부분 데이터(51)로 나눌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에 따른 인덱스 테이블을 이용하여 부분 데이터(51)에 포함된 4개의 인덱스들(52a, 52b, 52c, 52d)을 추출할 수 있다. 부분 데이터(51)에 포함된 코드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읽어들여 부분 데이터(51)에 포함된 인덱스를 추출할 수 있다. 4개의 인덱스들(52a, 52b, 52c, 52d) 중 적어도 2개의 인덱스들의 일부는 겹칠 수 있다. 4개의 인덱스들(52a, 52b, 52c, 52d)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이용하여, 후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후보 데이터 셋(53a), 2개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후보 데이터 셋(53b), 3개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후보 데이터 셋(53c), 4개의 인덱스를 포함하는 후보 데이터 셋(53d)를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전체 조합 들을 고려하며, 부분 데이터(51)와 대응하여, 15개의 후보 데이터들(54)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제1 규약으로 정의된 부분 데이터(51)과 대응하여, 제2 규약으로 정의되며 부분 데이터(51)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후보 데이터(54)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후보 데이터들 중에서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11개의 후보 데이터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후보 데이터들은 모두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2 규약에 따른 데이터는 하나일 수 있는데,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제2 규약에 따른 데이터를 알 수 있는 판별 영역을 별도로 가지게 된다. 각 후보 데이터는 판별 영역에서 일정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 데이터들을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주소값들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값들은 판별 영역의 특정 영역들과 대응되게 된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주소값들을 이용하여 후보 데이터들의 정당성과 대응되는 값들을 판별 영역의 소정의 영역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출력 값들을 최종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후보 데이터와 대응되는 주소 값을 이용하여 판별 영역의 특정 비트에 접근하게 되고, 특정 비트에 저장된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판별 영역(603)에서 해당 주소 값들과 대응되는 영역에 접근하여 출력 값들 중에서 참으로 출력된 후보 데이터를 최적의 후보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표현 면에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돌기들(10n)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에 현출되는 상기 돌기들(10n)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돌기들(10n)에 의해 타격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그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표현 면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돌기들(10n)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시계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시계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스마트 시계로 구현된 데이터 변환 장치(100) 내부에는 출력 제어부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돌기(101)의 직선운동에 의해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기기 일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10n)를 접촉하여 객체 정보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기(T1)와 돌기들(10n)을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중 하나로 구현되어 있고, 스마트 시계의 하부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의 돌기(1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b에 도시된 데이터 변환 장치(100)와 결합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기(T1)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신체의 일부분이 돌기(10n)의 직선운동을 감지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기(T1)와 돌기들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10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7c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유닛과 정보 출력 장치(100)의 돌기(1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7c에 도시된 정보 출력 장치(100)와 결합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기(T1)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301)를 접촉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으로써의 사용자 단말기(T1)와 돌기들(10n)을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10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데이터 변환 장치(100)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데이터 변환 장치
110: 산출부 111: 변환부
120: 판별 영역 121: 인덱스 테이블
130: 판단부
140: 생성부

Claims (13)

  1. 데이터 변환 장치가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입력 데이터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규약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규약에 의한 인덱스 테이블을 읽어 들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변환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되, 구조적으로 변환된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후보 데이터의 검색 키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규약과 연계된 판별 영역의 특정 영역에 접근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판별 데이터를 통해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변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판별 데이터를 고려하여 상기 제1 규약과 다른 제2 규약으로 작성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은
    상기 판별 영역이 차지하는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스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규약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의 셋트를 고려하여 복수의 스텝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2 규약을 이용하는데 필요한 표준 데이터를 기준으로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최종 데이터는
    상기 제2 규약에 의해 해독되는 형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로 판독되는 데이터인, 데이터 변환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약에 의해 작성된 입력 데이터는
    시각 또는 청각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된 데이터일 수 있는, 데이터 변환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규약으로 해독되는 최종 데이터는
    촉각으로 출력되도록 구현된 데이터일 수 있는, 데이터 변환 방법.
  9.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데이터를 스트링(string) 단위로 판독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에 해당하는 제1 규약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규약에 의한 인덱스 테이블을 읽어 들여 상기 입력 데이터를 변환하는 변환부;
    변환한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와 대응되되, 구조적으로 변환된 후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후보 데이터로부터 검색 키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상기 검색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1 규약과 연계된 판별 영역의 특정 영역에 접근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저장된 판별 데이터를 통해 상기 후보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키가 유효한 경우, 상기 판별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규약과 다른 제2 규약으로 작성된 상기 입력 데이터의 최종 데이터를 결정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규약에 따른 알고리즘은
    상기 판별 영역이 차지하는 정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스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규약에 의해 정의되는 데이터의 셋트를 고려한 복수의 스텝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변환 장치.
  13.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0160000A 2016-11-29 2016-11-29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6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000A KR102016601B1 (ko) 2016-11-29 2016-11-29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CT/KR2017/013800 WO2018101735A1 (ko) 2016-11-29 2017-11-29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000A KR102016601B1 (ko) 2016-11-29 2016-11-29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3987A Division KR20190102162A (ko) 2019-08-23 2019-08-23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471A KR20180060471A (ko) 2018-06-07
KR102016601B1 true KR102016601B1 (ko) 2019-08-30

Family

ID=62622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000A KR102016601B1 (ko) 2016-11-29 2016-11-29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0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870B1 (ko) * 2000-12-26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점자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597614B1 (ko) 2003-12-10 2006-07-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촉각자극기와 지피에스를 이용한 시각장애인용 보행 안내 장치
US8577891B2 (en) * 2010-10-27 2013-11-05 Apple Inc. Methods for indexing and searching based on language locale
WO2014087703A1 (ja) * 2012-12-06 2014-06-12 楽天株式会社 単語分割装置、単語分割方法、及び単語分割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471A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627B1 (ko) 통역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자동 통역 장치 및 방법
KR102589637B1 (ko) 기계 번역 방법 및 장치
US1102430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9430633B2 (en) Aural cuing pattern based mobile device security
CN105630763A (zh) 用于提及检测中的消歧的方法和系统
JP5558284B2 (ja) 音声認識システム、音声認識方法、および音声認識プログラム
WO2019101067A1 (zh) 用于数据可视化的信息的处理方法以及装置
JP7034027B2 (ja) 認識装置、認識方法及び認識プログラム
KR102016601B1 (ko)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4722796A (zh) 用于中文文本错误识别与校正的架构
KR20190102162A (ko) 제한된 영역을 활용한 데이터 변환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75973B1 (ko) 사례기반 추론엔진을 이용한 보안 서버 및 보안 기능의 설치를 위한 저장 매체
US9646608B2 (en) Voice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942934B2 (en)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encoded data searching method, and encoded data searching apparatus
KR101954865B1 (ko) 비트 테이블을 활용하여 입력 단어의 타당성 판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268452B (zh) 一种实体抽取的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69036A (ko) 알고리즘 생성 방법
KR101742523B1 (ko) 패스워드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JP7194759B2 (ja) 翻訳用データ生成システム
KR20210154396A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콘텐츠 흥행 등급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1645674B1 (ko) 자동완성 후보 단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90022604A (ko) 비트 테이블을 활용하여 입력 단어의 타당성 판단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640618B2 (ja) 言語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2008336B2 (en) Multimodal translatio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220092276A1 (en) Multimodal translation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