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5790B1 -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 Google Patents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5790B1
KR102015790B1 KR1020170168445A KR20170168445A KR102015790B1 KR 102015790 B1 KR102015790 B1 KR 102015790B1 KR 1020170168445 A KR1020170168445 A KR 1020170168445A KR 20170168445 A KR20170168445 A KR 20170168445A KR 102015790 B1 KR102015790 B1 KR 10201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revention film
shape memory
breathing tube
sexually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568A (ko
Inventor
최현근
Original Assignee
최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근 filed Critical 최현근
Publication of KR20190047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2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males
    • A61F6/04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6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females
    • A61F6/065Condom-like devices worn by fema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6/00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 A61F6/02Contraceptive devices; Pessaries; Applicators therefor for use by males
    • A61F6/04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 A61F2006/041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combined with a protective garment, e.g. underpants or mask
    • A61F2006/042Condoms, sheaths or the like, e.g. combined with devices protecting against contagion combined with a protective garment, e.g. underpants or mask covering the mouth, e.g. oral cond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도구는 키스나 구강성교 등 구강을 통해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서로 간에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전염방지막, 형상기억와이어, 제 1 및 제 2 형상기억링 그리고 호흡튜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ORAL CAVITY TOOL FOR PREVENTING THE CONTAGION OF 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
본 발명은 키스나 구강성교 등 구강을 통해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서로 간에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
성병이라고도 일컬어지는 성매개감염병은 일차적으로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성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되는 질환을 말한다. 성매개감염병은 그 원인이 되는 균에 따라 세균성 성매개감염병, 바이러스성 성매개감염병 및 기생충성 성매개감염병으로 분류된다. 특히 성매개감염병의 대부분은 서로 간의 성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신을 피함과 더불어 성매개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임 도구가 사용된다. 예컨대 피임 도구의 한 종류인 콘돔(Condom)은 사용자의 음경 외피에 밀착되어 서로의 전염성 질병이 상대방의 성적인 접촉으로 인해 옮겨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피임 도구는 남성이나 여성의 성별에 따라 구분지어질 뿐, 서로의 성기, 즉 생식기관에 부착 혹은 착용되어진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사람들의 인식 또한, 성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남성의 생식기관에 콘돔 등의 피임 도구를 착용하면 된다는 생각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성매개감염병은 사람의 정액이나 질액뿐만 아니라 사람의 체액, 혈액 및 타액 등 신체에서 배출, 분비, 분출되는 액체가 구강을 통해 전달되어 전염될 우려가 있다. 일례로, 2015년 5월경, 미국의 한 초등학생이 운동장에 떨어진 콘돔을 입으로 불었다가 성병에 감염되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는 생식기관 이외의 성적인 접촉에 있어서 사람들의 성병 예방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보여주는 적절한 사례이다. 더욱이 완치가 불가능하다고 알려진 에이즈의 경우에는, 입 안의 상처로도 충분히 전염될 수 있다.
따라서, 성매개감염병을 전파하거나 이에 대한 치료를 거부 또는 회피하는 성매개감염병 전파자에게 법적인 잣대를 들이대는 공격적인 방법을 실시하기 전에, 생식기관뿐만 아니라 구강을 통한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에 대한 인식을 바로잡고, 성매개감염병의 전염 및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도구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1) KR 등록특허공보 제10-1648045호(공고일자 2016년08월12일) (2)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96317호(공고일자 2014년05월16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키스나 구강성교 등 구강을 통해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서로 간에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전염방지막, 형상기억와이어, 제 1 및 제 2 형상기억링을 포함한다. 전염방지막은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보호막의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사용자의 입술에 밀착되며, 밀폐된 타측이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한다. 형상기억와이어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개방된 일측 둘레 방향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입술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이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제 1 형상기억링은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구강 내부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가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면, 사용자의 치아 앞면 뿌리 부근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를 고정한다. 제 2 형상기억링은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구강 내부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가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면, 사용자의 치아 뒷면 뿌리 부근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를 고정한다.
상기 전염방지막은 개방부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개방부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입술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개방되어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으로 고정된다. 고정부는 상기 개방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개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가 사용자의 입술 부근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입술 부근에 위치한 상기 개방부를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으로 끌어당겨 고정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는 상기 형상기억와이어가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전염방지막은 한 쌍의 요홈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요홈부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의 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홈에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형상기억링을 끼움 고정시킨다.
상기 전염방지막은 치아밀착부를 포함한다. 치아밀착부는 한 쌍의 상기 요홈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형상기억링이 사용자의 치아 앞면과 뒷면 각각의 뿌리 부근에 위치하면, 해당 치아의 표면을 감싼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호흡튜브를 더 포함한다. 호흡튜브는 상기 형상기억와이어, 상기 제 1 및 제 2 형상기억링 내부에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에 감싸인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호흡튜브는 제 1 및 제 2 통기공을 포함한다. 제 1 통기공은 상기 호흡튜브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정 크기의 납작한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형상기억와이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호흡튜브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킨다. 제 2 통기공은 상기 호흡튜브의 타측에 위치하는 일정 크기의 납작한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형상기억링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통기공을 통해 상기 호흡튜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염방지막을 지나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호흡튜브는 제 1 및 제 2 절첩부를 포함한다. 제 1 절첩부는 상기 호흡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위치하고, 상기 호흡튜브의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절첩부는 상기 호흡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절첩부의 사이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호흡튜브의 내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절첩부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구강을 통해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당사자들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착용되어짐으로써, 사람의 정액이나 질액뿐만 아니라 사람의 체액, 혈액 및 타액 등 신체에서 배출, 분비, 분출되는 액체에 의해 성매개감염병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혀와의 접촉이 잦은 키스나 구강성교 시, 서로의 타액이나 땀 냄새 등이 구강으로 통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당사자들로 하여금 청결하고 상쾌한 성행위를 영위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사용자에게 착용 시에도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강을 통한 성적인 행위를 하더라도 사용자의 호흡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구강을 통한 성적인 접촉을 만족시켜주되, 그 원론적인 접촉을 최소화해줌으로써, 에이즈나 매독, 임질 등의 전염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치료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는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사람들에게 생식기관뿐만 아니라 구강을 통해 성병이 전염될 수 있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가 착용된 사용자의 구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게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벽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 상에 있어서 층과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 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 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작동, 구성요소, 부분품 및 이들이 조합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미리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를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구성요소들을 분해하여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10)는 구강을 통해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당사자들 중 적어도 한 명에게 착용되어짐으로써, 사람의 정액, 질액, 체액, 혈액 및 타액 등 신체에서 배출, 분비, 분출되는 액체에 의해 성매개감염병이 전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염방지막(100), 형상기억와이어(200), 제 1 형상기억링(300), 제 2 형상기억링(400) 및 호흡튜브(500)를 포함한다.
전염방지막(100)은 일측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보호막의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전염방지막(100)은 개방된 일측으로부터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으로 향하는 다른 모든 면이 밀폐되어, 일측을 통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사람의 정액, 질액, 체액 및 타액 등이 구강 표면에 침투하거나 구강을 통해 식도로 흘러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전염방지막(100)은 사용자의 입술에서부터 구강 내부로 이질감 없이 탄성 밀착되기 위해 라텍스(latex)나 폴리우레탄 섬유(polyurethane), 실리콘(silicon) 등의 소재뿐만 아니라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그래핀(Graphene) 및 폴리이소프렌(polyisoprene) 등의 신소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전염방지막(100)은 개방부(110), 고정부(120), 한 쌍의 요홈부(130), 치아밀착부(140) 및 혀접촉부(150)를 포함한다.
개방부(110)는 전염방지막(1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일정 크기, 예컨대 사용자의 입술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개방된다. 또한 개방부(110)는 전염방지막(10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사용자와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상대방의 혀, 성기 등의 신체 일부 또는 성행위 보조 도구가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개방부(110)의 둘레 방향으로 개방부(11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120)는 개방부(110)가 사용자의 입술 부근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으로 개방부(110)를 끌어당겨 개방부(110)가 사용자의 입술에 밀착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예를 들어, 개방부(110)가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말려들어가지 않되, 일정 탄성을 갖는 친피부적 재질의 실리콘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요홈부(130)는 전염방지막(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전염방지막(100)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한 쌍의 요홈부(13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전염방지막(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요홈부(130)는 후술할 제 1 형상기억링(300) 및 제 2 형상기억링(400)이 전염방지막(100)에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끼움 고정된 제 1 형상기억링(300) 및 제 2 형상기억링(400)이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일정 간격이란, 개방부(110)가 고정부(120)에 의해 입술에 밀착 고정되면, 한 쌍의 요홈부(130)가 사용자의 치아 앞면과 뒷면 각각의 뿌리 부근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아밀착부(140)는 한 쌍의 요홈부(130)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치아밀착부(140)는 한 쌍의 요홈부(130)가 사용자의 치아 뿌리 부근에 위치하면, 그 치아의 표면을 감싼다. 이때 치아밀착부(140)는 치아에 의해 찢기지 않도록 전염방지막(1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그 두께가 다소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혀접촉부(150)는 개방부(110)가 고정부(120)에 의해 입술에 밀착 고정되고, 치아밀착부(140)가 치아를 감싸게 되어 전염방지막(100)의 일측이 사용자의 구강 앞쪽을 향하면, 사용자의 구강 뒤쪽으로 향하여 사용자의 혀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염방지막(100)이 사용자의 입술, 치아 등 구강 일부를 둘러싸면, 혀접촉부(150)에 혀를 접촉하여 개방부(110)로부터 인입되는 상대방의 혀, 성기 등의 신체 일부 또는 성행위 보조 도구와 간접적으로 맞닿을 수 있다. 특히 혀접촉부(150)는 상대방의 신체 일부나 성행위 보조 도구의 질감이 최대한 많이 전해질 수 있또록 더욱 부드러운 라텍스나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형상기억와이어(200)는 전염방지막(100)의 개방된 일측 둘레 방향, 즉 개방부(110)의 둘레 방향에 위치하여 고정부(120) 내에 탄력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형상기억와이어(200)는 사용자의 입술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즉, 형상기억와이어(200)는 고정부(120)가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에 위치하면, 고정부(120)가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에 더욱 견고히 위치 고정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더욱이, 형상기억와이어(200)는 구강의 움직임이 잦은 키스나 구강성교 등 구강을 통한 성적인 접촉 행위 시에도 그 형태가 일정한 원 또는 타원 형태로 복원되기 위해 니티놀(nitinol) 등의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형상기억와이어(200)는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1 관통홀(210)에는 후술할 호흡튜브(500)가 위치할 수 있다.
제 1 형상기억링(300)은 전염방지막(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전염방지막(100)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 1 형상기억링(300)은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 1 형상기억링(300)은 전염방지막(100)과 분리형으로 구비될 경우, 한 쌍의 요홈부(130) 중 하나의 요홈부(130)에 끼움 고정되어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 1 형상기억링(300)은 치아밀착부(140)가 사용자의 치아 표면을 감싸면, 탄력적으로 사용자의 치아 앞면 뿌리 부근에 위치하여 치아밀착부(140)가 사용자의 치아 표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 형상기억링(300)은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310)이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 2 관통홀(310)에는 제 1 관통홀(210)을 지나는 호흡튜브(500)가 제 2 형상기억링(400)으로 연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제 2 형상기억링(400)은 전염방지막(100)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전염방지막(100)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한다. 또한 제 2 형상기억링(400)은 사용자의 구강 내부의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 2 형상기억링(400)은 전염방지막(100)과 분리형으로 구비될 경우, 한 쌍의 요홈부(130) 중 다른 하나의 요홈부(130)에 끼움 고정되어 제자리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제 2 형상기억링(400)은 치아밀착부(140)가 사용자의 치아 표면을 감싸면, 탄력적으로 사용자의 치아 뒷면 뿌리 부근에 위치하여 치아밀착부(140)가 사용자의 치아 표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2 형상기억링(400)은 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관통홀(410)이 형성된다. 제 3 관통홀(410)에는 제 1 관통홀(210)과 제 2 관통홀(310)을 지나는 호흡튜브(500)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3 관통홀(410)은 제 2 관통홀(310)과 일직선상의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통기공(520)이 사용자의 구강 내부와 통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및 도 2와 더불어, 도 3 내지 도 4를 더 참조하여 호흡튜브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평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호흡튜브(5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튜브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도구(10)를 착용한 사용자의 구강 내부가 전염방지막(10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더라도, 외부 공기가 사용자의 구강 내외부를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호흡튜브(500)는 제 1 관통홀(210), 제 2 관통홀(310) 및 제 3 관통홀(410)을 거쳐 외부와 사용자의 구강 내부 사이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제 1 통기공(510), 제 2 통기공(520), 제 1 절첩부(530) 및 제 2 절첩부(540)를 포함한다.
제 1 통기공(510)은 호흡튜브(5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정 크기의 납작한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통기공(510)은 제 1 관통홀(210)에 고정됨으로써, 호흡튜브(50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게끔 할 수 있다.
제 2 통기공(520)은 호흡튜브(5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일정 크기의 납작한 구멍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제 2 통기공(520)은 제 3 관통홀(410)에 고정됨으로써, 제 1 통기공(510)을 통해 호흡튜브(5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전염방지막(100)을 지나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흘러들어가게끔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통기공(520)은 혀접촉부(150)가 위치한 전염방지막(100)의 타측 방향을 향함으로써, 전염방지막(100)의 형상이 유지되되, 공기의 흐름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 1 절첩부(530)는 호흡튜브(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위치하고, 호흡튜브(500)의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제 2 절첩부(540)는 호흡튜브(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1 절첩부(530)의 사이사이에 위치하고, 호흡튜브(500)의 내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 2 절첩부(540)는 제 1 절첩부(530)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구성되어 호흡튜브(500)의 일측과 타측으로 제 1 통기공(510) 및 제 2 통기공(520)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1 절첩부(530)와 제 2 절첩부(540)는 전염방지막(100)이 사용자의 구강 내부 표면에 밀착되거나 상대방의 혀, 성기가 삽입되더라도 호흡튜브(500)의 내부 통로가 일그러지더라도, 호흡튜브(500)의 내외측으로 굴곡진 제 1 절첩부(530) 및 제 2 절첩부(54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킴으로써, 호흡튜브(500)의 내부 통로로 공기의 유입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가 착용된 사용자의 구강을 표현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10)는 전염방지막(100)의 일측에 위치한 개방부(110)가 고정부(120) 및 형상기억와이어(200)에 의해 사용자의 입술(20)에 밀착되면, 제 1 형상기억링(300)과 제 2 형상기억링(400)이 사용자의 치아(30) 앞면 및 뒷면의 뿌리 부근에 밀착되어 혀접촉부(150)를 사용자의 혀(40)에 근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구강 내부는 전염방지막(100)에 의해 밀폐 상태를 유지하되, 호흡튜브(5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일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도구(10)는 키스나 구강성교 등 구강을 통해 성적인 접촉 행위를 행하는 적어도 한 명의 사용자에게 착용되어짐으로써, 사용자와 상대방 서로 간에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100 : 전염방지막
110 : 개방부
120 : 고정부
130 : 요홈부
140 : 치아밀착부
150 : 혀접촉부
200 : 형상기억와이어
210 : 제 1 관통홀
300 : 제 1 형상기억링
310 : 제 2 관통홀
400 : 제 2 형상기억링
410 : 제 3 관통홀
500 : 호흡튜브
510 : 제 1 통기공
520 : 제 2 통기공
530 : 제 1 절첩부
540 : 제 2 절첩부
20 : 입술
30 : 치아
40 : 혀

Claims (7)

  1.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보호막의 형태로 형성되고, 개방된 일측이 사용자의 입술에 밀착되며, 밀폐된 타측이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전염방지막;
    상기 전염방지막의 개방된 일측 둘레 방향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입술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이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형상기억와이어;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구강 내부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가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면, 사용자의 치아 앞면 뿌리 부근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를 고정하는 제 1 형상기억링; 및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하고, 사용자의 구강 내부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원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가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면, 사용자의 치아 뒷면 뿌리 부근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치아를 감싸는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부를 고정하는 제 2 형상기억링; 및
    상기 형상기억와이어, 상기 제 1 및 제 2 형상기억링 내부에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연장되게 위치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주름진 튜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전염방지막에 감싸인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내부 통로를 형성하는 호흡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염방지막은,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에 위치하고, 사용자의 입술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개방되어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으로 고정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개방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가 사용자의 입술 부근에 위치하면, 사용자의 입술 부근에 위치한 상기 개방부를 사용자의 입술 바깥면 외측으로 끌어당겨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는 상기 형상기억와이어가 탄력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염방지막은,
    상기 전염방지막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으로 위치하고,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전염방지막의 둘레 방향을 따라 각각의 홈이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홈에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형상기억링을 끼움 고정시키는 한 쌍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염방지막은,
    한 쌍의 상기 요홈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및 상기 제 2 형상기억링이 사용자의 치아 앞면과 뒷면 각각의 뿌리 부근에 위치하면, 해당 치아의 표면을 감싸는 치아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튜브는,
    상기 호흡튜브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정 크기의 납작한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형상기억와이어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호흡튜브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제 1 통기공; 및
    상기 호흡튜브의 타측에 위치하는 일정 크기의 납작한 구멍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형상기억링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통기공을 통해 상기 호흡튜브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전염방지막을 지나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제 2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흡튜브는,
    상기 호흡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위치하고, 상기 호흡튜브의 외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 1 절첩부; 및
    상기 호흡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절첩부의 사이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호흡튜브의 내측으로 굴곡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절첩부와 연속적으로 이어지게 구성되는 제 2 절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KR1020170168445A 2017-10-27 2017-12-08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KR102015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1287 2017-10-27
KR20170141287 2017-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68A KR20190047568A (ko) 2019-05-08
KR102015790B1 true KR102015790B1 (ko) 2019-08-29

Family

ID=66580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445A KR102015790B1 (ko) 2017-10-27 2017-12-08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57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649A (en) 1989-10-10 1991-05-21 Johnson Joseph T Protective mask
US5318043A (en) * 1989-10-16 1994-06-07 Burr Lawrence S Condom for oral-genital use
JP2003093397A (ja) 2001-09-26 2003-04-02 Yutaka Teruya 衛生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069A (ja) * 1992-08-01 1994-02-22 Sogo Hatsujo Kk コンドーム
KR101396317B1 (ko) 2013-04-30 2014-05-16 오시훈 남성용 피임기구
KR101648045B1 (ko) 2016-04-29 2016-08-12 문현준 링내경 조절형 다중 돌기링 회음부 근육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6649A (en) 1989-10-10 1991-05-21 Johnson Joseph T Protective mask
US5318043A (en) * 1989-10-16 1994-06-07 Burr Lawrence S Condom for oral-genital use
JP2003093397A (ja) 2001-09-26 2003-04-02 Yutaka Teruya 衛生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568A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6789B2 (ja) 男性器用マッサージ具
AU651072B2 (en) Condom for oral-genital use
US7434581B1 (en) Condoms for reducing failure rate and extending pleasure
US9295579B1 (en) Cuff and cuff/condom combination for erection assistance
US7090664B2 (en) Ostomy tools, and systems and processes for their use
US5181527A (en) Prophylactic device
JP5508601B2 (ja) コンドーム
EP1539062B1 (en) Soft cling female condom
JP6431899B2 (ja) 接着性シールドを有する女性用コンド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015790B1 (ko) 성매개감염병의 전염을 방지하기 위한 구강용 도구
KR101396317B1 (ko) 남성용 피임기구
EP3005994B1 (en) Male sexual dysfunction sufferer-use negative pressure assistance device
US9351866B1 (en) Fluted condom
KR200145459Y1 (ko) 보조용 콘돔
US20070272253A1 (en) Full Coverage Condom
US20200054479A1 (en) Condoms
US20220023093A1 (en) Dual use interoral protection mask
US10548762B1 (en) Prophylactic device
US10130551B2 (en) Condom and clitoris stimulation apparatus
JP2005527263A (ja) 男性用コンドーム
US20190343676A1 (en) Prophylactic Device
JP3108569U (ja) 性感染症予防具
FR3125701A1 (fr) Dispositif pour protéger les femmes des maladies sexuellement transmissibles et aussi d’autres maladies contagieuses.
WO2023012394A1 (es) Profiláctico de lengua
WO2012143946A1 (en) An improved female condom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ing natural rubber late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