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770B1 -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770B1
KR102014770B1 KR1020190009426A KR20190009426A KR102014770B1 KR 102014770 B1 KR102014770 B1 KR 102014770B1 KR 1020190009426 A KR1020190009426 A KR 1020190009426A KR 20190009426 A KR20190009426 A KR 20190009426A KR 102014770 B1 KR102014770 B1 KR 10201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ensor
main
main modu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9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자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자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자랩
Priority to KR102019000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7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includes: a cylindrical base module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including a vent formed on a lateral side;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e modul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a cylindrical main module stacked on the uppermost one of the sensor modules; and a cover stacked on the main module and covering the top of the main module. Each of the sensor modules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to sense at least one type of harmful gas or fine dust. The main module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or fine dust by receiving a sensing signal from the sensor of each of the sensor modules. The base module, the sensor modules, the main module and the cover are removably combined.

Description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감지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각 센서를 쉽게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etecting and monitoring various types of harmful gases or fine dust and easily attaching and detaching each sensor. .

일반적으로 실내 환경에서 공기의 오염은 흡연 및 연소가스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등의 오염가스가 생활 중에 발생한다. 또한 건축자재 및 합성수지 등에서 발생하는 라돈가스,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기성분, 환경호르몬 등이 대표적으로 실내 오염가스에 해당한다. 실내 공기오염의 원인으로는 산업의 발달로 발생되는 오염물질과 단열화, 밀폐화에 따른 환기부족, 실내흡연, 연소기구의 사용, 벽재와 바닥재 등의 내장재 사용, 오염된 외부공기의 실내 유입 등이 가장 대표적인 원인에 해당되며, 최근 건강에 관한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실내 공기질에 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In general, the pollution of the air in the indoor environment is a generation of polluting gases such as nitrogen dioxide, carbon monoxide, carbon dioxide, etc. generated from smoking and combustion gases. In addition, radon gas,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nents, and environmental hormones generated from building materials and synthetic resins are typical indoor pollutant gases. The causes of indoor air pollution include pollutants and heat insulation due to industrial development, lack of ventilation due to airtightness, indoor smoking, use of combustion equipment, use of interior materials such as wall and floor materials, and indoor air inflow of polluted external air. This is the most representative cause, and as the awareness of health increases recently, interest in indoor air quality also increases.

실내 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물질로는 CO, CO2, NO2, SO2, 오존, 미세먼지, 중금속, 석면, 라돈,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병원성 세균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유해물질을 측정하는 다양한 가스 센서나 계측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열거한 여러 유해물질을 모두 측정하려면 장치의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측정장치의 크기도 커지게 되어 실내에 설치 및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다양한 유해물질을 측정할 수 있되 장치의 설치 장소나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센서를 다양하게 조합하여 유해물질을 측정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Hazardous substances affecting indoor air quality include CO, CO2, NO2, SO2, ozone, fine dust, heavy metals, asbestos, radon, volatile organic compounds, formaldehyde and pathogenic bacteria. Various gas sensors and measuring equipment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n order to measure all of the above-mentioned harmful substances, it is not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indoors because the cost of the device is excessive and the size of the measuring device becomes larg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measuring a variety of harmful substances, but can be measured and monitored by combining various sensor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evice or the needs of the user.

특허문헌1: 한국 등록특허 제10-1695596호 (2017년 1월 11일 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95596 (January 11, 201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that can detect and monitor various harmful substances with on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의 설치 장소나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주요 감지 대상이 달라지는 것에 대응하여 센서 모듈을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의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a sensor module in response to the main sensing target change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evice or the needs of the us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해물질 감지 및 모니터링 장치를 세로의 스탠드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실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뿐만 아니라 장치의 높이를 조절하여 높이에 따라 다양한 유해물질을 적절히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또한 장치 외부의 환기설비, 배출설비 및/또는 공기정화설비를 유무선으로 제어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hazardous substance detection and monitoring device in the form of a vertical stand, not only reduces the area occupied in the room, but also adjusts the height of the device to properly detect various harmful substances according to the height. 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apable of purifying indoor air by controlling wired or wireless ventilation equipment, exhaust equipment and / or air purification equipment outside the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베이스 모듈; 베이스 모듈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각각 통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센서 모듈; 복수개의 센서 모듈 중 최상단의 센서 모듈 위에 적층되는 통형상의 메인 모듈; 및 메인 모듈 위에 적층되며 메인 모듈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모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메인 모듈은 각 센서 모듈의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출하며, 상기 베이스 모듈, 복수개의 센서 모듈, 메인 모듈, 및 커버의 각각이 서로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 모듈, 메인 모듈, 및 커버의 각각에는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모듈의 통풍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커버의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ular base module is formed in the upper opening and the vent hole on the side;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e module and each having a tubular shape; A cylindrical main module stacked on the uppermost sensor module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nd a cover stacked on the main module and covering the top of the main module, wherein each sensor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kind of harmful gas or fine dust, and the main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of the module to calculate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fine dust, each of the base module,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the main module, and the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Each of the main module and the cover has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the center,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vent of the base modul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ver. Provide a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특히 장치를 세로의 스탠드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실내에서 차지하는 면적을 줄일 뿐만 아니라 장치의 높이도 다양하게 조절하여 높이에 따라 다양한 유해물질을 적절히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device can detect and monitor various harmful substances, and in particular, by configuring the device in a vertical stand type, not only reduces the area occupied in the room but also variously adjusts the height of the device. According to have the advantage that can properly detect a variety of harmful subst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센서 모듈을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설치 장소나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주요 감지 대상인 유해물질이 달라지는 것에 대응하여 적절한 조합의 센서 모듈을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센서 모듈이나 메인 모듈의 수리나 업데이트, 필터 모듈의 필터 교체 등도 편리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various types of sensor modules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n appropriate combination of sensor modules can be installed in response to changes in hazardous substances, which are the main sensing targets,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device or the needs of the user. In addition, repair or update of the main module, filter replacement of the filter module, etc. also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convenient and easy to per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모듈을 센서 모듈의 상부나 하부에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공기 정화 전의 실내 공기나 공기 정화 후의 실내 공기를 선택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또한 장치 외부의 환기설비, 배출설비 및/또는 공기정화설비와 유무선으로 통신하고 이들 설비를 제어함으로써 실내공기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lter module can be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odule, the indoor air before the air purification or the indoor air after the air purification can be selectively measured as necessary. Integrated control of indoor air can be achieved by communicating wired and wirelessly with the ventilation, exhaust and / or air purification facilities and controlling them.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단면도,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 케이스의 사시도,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모듈 케이스의 단면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위치 확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unit module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module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5 is a block diagram of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ule position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ndoor air monitor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read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may be made thorough and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의 도면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길이, 두께, 넓이 등의 수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length, thickness, width,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the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words 'comprise' and / 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explain and understand the invention more specifically. However,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of the invention which are commonly known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which are not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는 아래쪽에서부터 차례로 베이스 모듈(10), 하나 이상의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메인 모듈(40), 및 커버(50)로 구성될 수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schematically shows a cross-sectional view.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rom the bottom to the base module 10, one or more sensor modules 20, filter module 30, the main module 40, and the cover 50 Can be configured.

베이스 모듈(10)은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가장 하부에 배치되며 통 형상의 가진다. 베이스 모듈(10)의 상부면은 개방되고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통풍구(12)가 형성되어 있어 외부의 공기가 통풍구(12)를 통해 장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The base module 1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nd has a cylindrical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module 10 is open and at least one vent 12 is formed at a side thereof so that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apparatus through the vent 12.

베이스 모듈(10) 위에는 복수개의 센서 모듈(20)과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이 차례로 적층되어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한다. 센서 모듈(20)은 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하나 이상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센서를 구비한다. 하나의 모니터링 장치에 여러 개의 센서 모듈(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센서 모듈(20)을 도시하였지만, 예컨대 3개, 4개, 또는 그 이상의 센서 모듈(20)을 적층하여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e module 10 to form a monitoring device. The sensor module 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a sensor for measuring at least one harmful gas or fine dust therein. Several sensor modules 20 may be installed in one monitoring device. Although two sensor modules 20 are illustrated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for example, three, four, or more sensor modules 20 may be stacked to configure a monitoring device.

필터 모듈(30)은 통 형상을 가지며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를 하나 이상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30)은 생략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3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ncludes one or more filters for filtering harmful gas or fine dust. In one embodiment, the filter module 30 may be omitted.

메인 모듈(40)은 통 형상을 가지며 각 센서 모듈(20)의 센서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출한다. 메인 모듈(40)의 외관에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440)와 버튼(450)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버튼(450)을 통해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온/오프 및 동작 제어를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440)는 온도, 습도 등의 정보 및 유해가스나 미세먼지 등의 측정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해 공기 청정기 등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이 때 메인 모듈(40)이 외부의 공기 청정기 등 외부 장치를 원격 제어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The main module 4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of a sensor of each sensor module 20 to calculate a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fine dust. The exterior of the main module 40 includes one or more displays 440 and buttons 450. The user may control the on / off and operation of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through the button 450. The display 440 may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measurement information such as harmful gas or fine dust. In one embodiment,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air purifier through a network, and at this time, the main module 40 may be driven by remotely controll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external air purifier.

커버(50)는 적층된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 중 가장 위층에 배치된 모듈의 상부면을 덮는 부재이다. The cover 50 is a memb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tacked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odule dispos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main module 40.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의 적층 순서는 특정 순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0)이 복수개인 경우 센서 모듈(20) 간의 순서는 임의의 순서대로 적층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메인 모듈(40)이 가장 위층에 배치되지만 대안적으로 메인 모듈(40)이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모듈(30)과 메인 모듈(40)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The stacking order of the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order. For example,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the order between the sensor modules 20 may be stacked in any order.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main module 40 is disposed on the top layer, but alternatively, the main module 40 may be disposed at any position. For example, the order of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may be changed.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메인 모듈(40), 및 커버(50)의 각각에는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2에 도시하였듯이 각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메인 모듈(40), 및 커버(50)의 각각에 관통구(25,35,45,55)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베이스 모듈(10)의 통풍구(12)로 유입된 공기가 이 중심부의 관통구(25,35,45,55)를 통해 상승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Each of the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the main module 40, and the cover 50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the center. That is, as shown in FIG. 2, through holes 25, 35, 45, and 55 are formed in each of the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the main module 40, and the cover 50. Air introduced into the vent hole 12 of the base module 10 may rise through the through holes 25, 35, 45, and 55 of the center portion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술한 베이스 모듈(10), 복수개의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메인 모듈(40), 및 커버(50)의 각각은 서로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공지의 임의의 탈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모듈(10,20,30,40,50)의 상단 외주면의 일부와 하단 내주면의 일부에 각각 서로 맞물리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부 모듈과 하부 모듈을 끼우고 소정 각도 돌려서 두 모듈을 결합할 수 있고, 그 외에 대안적 실시예에서 나사, 볼트-너트, 버클 등의 결합 방식을 공지의 체결 방식을 이용하여 모듈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each of the above-described base module 10,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the filter module 30, the main module 40, and the cover 50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ny known manner of desorption can be appli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a thread is formed to engage each other on a part of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art of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module 10, 20, 30, 40, 50 so that the two modules can be inserted by turning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and turning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in alternative embodiments, a screw, bolt-nut, buckle, or the lik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module using a known fastening method.

베이스 모듈(10), 복수개의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의 각각의 외형은 동일한 통 형상을 가진다.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각 모듈(10,20,30,40)은 동일 직경의 원통 형상의 외관을 가지며, 따라서 적층 순서를 변경하여도 변경 전과 동일한 형상의 장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각 모듈(10,20,30,40)이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각 모듈(10,20,30,40)이 사각형, 오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각 모듈(10,20,30,40)의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The outer shapes of the base module 10,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each have the same tubular shape. 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each module 10, 20, 30, 40 has a cylindrical appearance of the same diameter, and therefore, even if the stacking order is changed, it may have a device appearance of the same shape as before the change. While the drawings show that each module 10, 20, 30, 40 has a cylindrical shape,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each module 10, 20, 30, 40 has a rectangular, pentagonal, or rounded corner.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quadrangular and pentagonal. In addition, the heights of the modules 10, 20, 30, and 40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의 케이스는 동일 또는 유사한 내부 및 외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센서 모듈(20)의 케이스에 대해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case of the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may have the same or similar internal and external configurations. Hereinafter, a case of the sensor module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3은 예시적인 센서 모듈(20)의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4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센서 모듈(20)은 외측벽(21), 내측벽(22), 및 지지판(23)으로 구성된 케이스를 가진다. 내측벽(22)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며 중앙의 관통구(25)를 정의한다. 외측벽(21)은 센서 모듈(20)의 외관의 측면에 해당하는 부재로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내측벽(22)을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외측벽(21)와 내측벽(22)은 원통 형상이며 동일 중심점을 갖도록 정렬되어 있다. 그러나 각 벽(21,22)의 형상이 사각형이나 오각형 통 형상 등으로 달라질 수 있으며 두 벽(21,22)의 중심점이 반드시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se of an exemplary sensor module 20 and FIG. 4 is a sectional view.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ensor module 20 has a case composed of an outer wall 21, an inner wall 22, and a support plate 23. The inner wall 22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top and bottom open, and defines a central through hole 25. The outer wall 21 is a member corresponding to the side of the exterior of the sensor module 2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hereof are opened and surround the inner wall 2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uter wall 21 and the inner wall 22 are cylindrical and aligned to have the same center point. However, the shape of each wall (21, 22) may vary in the shape of a square or pentagonal cylinder, and the center point of the two walls (21, 22)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지지판(23)은 외측벽(21)과 내측벽(22) 사이에 개재되어 두 벽(21,22)을 연결하는 수평 판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외측벽(21), 내측벽(22), 및 지지판(23)에 의해 센서 모듈(2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 센서 등의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다. The support plate 23 is composed of a horizontal plate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wall 21 and the inner wall 22 to connect the two walls 21 and 22, and thus the outer wall 21, the inner wall 22, and the support plate ( 23) a space is formed inside the sensor module 20, and can accommodate components such as a sensor in the space.

일 실시예에서 외측벽(21)과 내측벽(22)은 동일 높이를 가질 수 있으나 대안적 실시예에서 내측벽(22)의 높이가 외측벽(21) 보다 낮을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에서 내측벽(22)은 내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24)를 구비한다. 따라서 센서 모듈(20) 중심부의 상하 방향의 관통구(25)를 통해 상승하는 공기 중 일부가 통풍구(24)를 통해 센서 모듈(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outer wall 21 and the inner wall 22 may have the same height, but in alternative embodiments the height of the inner wall 22 may be lower than the outer wall 21. Also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ner wall 22 has at least one vent 24 penetrating the inner wall. Therefore, some of the air ri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5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sensor module 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ensor module 2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24.

도4에 도시한 것처럼 센서 모듈(20)의 내부 공간에는 하나 이상의 전자소자모듈(20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자소자 모듈(200)은 한 종류 이상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센서의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 모듈(40)로 전달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소자 모듈(200)은 센서 모듈(20)의 상부 및 하부에 부착되는 다른 모듈(10,20,30,40)과 통신하기 위한 소켓(29)을 포함한다. 소켓(29)은 센서 모듈(20)의 아래쪽에 부착되는 다른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하부 소켓(29a) 및 위쪽에 부착되는 다른 모듈과 통신하기 위한 상부 소켓(29b)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켓(29a,29b)은 예컨대 커넥터(60)를 통해 상부 및 하부 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 modules 200 may be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sensor module 20.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200 may include a sensor that detects one or more kinds of harmful gas or fine dust, and a control circuit that receives a measurement signal of the sensor and transmits the measured signal to the main module 40.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200 also includes a socket 29 for communicating with other modules 10, 20, 30, 40 attached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sensor module 20. The socket 29 may include a lower socket 29a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module attached below the sensor module 20 and an upper socket 29b for communicating with another module attached above. Each socket 29a, 29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modules, for example via connector 60.

커넥터(60)는 예컨대 데이터신호, 제어신호, 및 전원을 각각 상부 또는 하부 모듈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라인, 제어 라인, 및 전원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하나 데이터 라인, 제어 라인, 및 전원 라인 중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커넥터(60)와 소켓(29)의 물리적 연결구조는 예를 들어 RS232, RJ45, USB 등 공지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nector 60 may include, for example, a data line, a control line, and a power line for transferring data signals, control signals, and power to the upper or lower modules, respectively. One or more of,, and power lines may be omitted. The physical connection structure of the connector 60 and the socket 29 may be implemented in a known manner, for example RS232, RJ45, USB.

한편 필터 모듈(30)과 메인 모듈(40)은 상술한 센서 모듈(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진다. 도2를 참조하면, 필터 모듈(30)은 내부에 내측벽(32) 및 지지판(33)을 구비하며, 내측벽(32) 안쪽으로 상하 방향의 관통구(35)가 형성된다. 필터 모듈(30)은 관통구(35)를 커버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정화 필터(37)를 구비한다. 필터(37)는 예컨대 부직포, 활성탄, 흡착포 등으로 구성되어 라돈 등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흡착하거나 필터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30)의 지지판(33)에 하나 이상의 전자소자 모듈(300)이 실장될 수 있고, 전자소자 모듈(300)은 커넥터(60)를 통해 상부 및 하부의 모듈과 연결된다. Meanwhile,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have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s the sensor module 20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2, the filter module 30 includes an inner wall 32 and a support plate 33 therein, and a through hole 35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32. The filter module 30 has one or more air purification filters 37 installed to cover the through holes 35. The filter 37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activated carbon, and an adsorption cloth, and can adsorb or filter harmful gases such as radon or fine dust. In one embodiment,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 modules 30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33 of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300 is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modules through the connector 60. .

메인 모듈(40)은 내부에 내측벽(42) 및 지지판(43)을 구비하며, 내측벽 안쪽으로 상하 방향의 관통구(45)가 형성된다. 지지판(43)에는 하나 이상의 전자소자 모듈(400)이 실장되며, 커넥터(60)를 통해 아래쪽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The main module 40 includes an inner wall 42 and a support plate 43 therein, and a through hole 45 in an up and down direction is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One or more electronic device modules 40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43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module through the connector 60.

한편 베이스 모듈(10)은 측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풍구(12)가 형성되고 있으며, 내부에 구동팬(15) 및 전자소자 모듈(100)을 구비할 수 있다. 전자소자 모듈(100)은 구동팬(15)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부측 모듈과 통신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부측 모듈로 전달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se module 10 is formed with a vent 12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may have a driving fan 15 and an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therein.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fan 15, communicate with the upper module, and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and transfer the power to the upper module.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베이스 모듈(10),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을 블록도로 나타내었다.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base module 10, a sensor module 20, a filter module 30, and a main module 40 of an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면을 참조하면, 베이스 모듈(10)은 구동팬(15), 모터(17), 및 전자소자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소자 모듈(100)은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마이컴)으로 구현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10)는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과 통신할 수 있고 모터(17)를 제어하여 팬(15)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모듈(10)은 커넥터(60)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켓(19)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ase module 10 may include a driving fan 15, a motor 17, and an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controller 110 implemented as a microcontroller (microcom), and the controller 110 may include a sensor module 20, a filter module 30, and a main module 40. It can communicate and control the motor 17 to drive the fan 15. The base module 10 also has at least one socket 19 coupled with the connector 60.

복수개의 센서 모듈(20)의 각각은 제어부(210)와 하나 이상의 센서(220)가 실장된 전자소자 모듈(200) 및 하부 모듈과 상부 모듈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하부 소켓(29a)과 상부 소켓(29b)을 포함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module 200 in which the controller 210 and one or more sensors 220 are mounted, and a lower socket 29a and an upper socket for connecting the lower module and the upper module, respectively. 29b).

센서(220)는 적어도 한 종류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는 예를 들어 오존(O3) 센서, 일산화탄소(CO) 센서, 산화질소(NOx) 센서, 암모니아(NH3) 센서, 화재경보 센서, 액화석유가스(LPG) 센서, 액화천연가스(LNG)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 및 라돈 센서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센서는 이들 중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유해가스를 검출할 수 있다. The sensor 220 may detect at least one kind of harmful gas or fine dust. In one embodiment, the sensor for detecting noxious gas is for example an ozone (O3) sensor, a carbon monoxide (CO) sensor, a nitrogen oxide (NOx) sensor, an ammonia (NH3) sensor, a fire alarm sensor, a liquefied petroleum gas (LPG) sensor It may include one of a liquefied natural gas (LNG) sensor, a volatile organic compound (VOC) sensor, and a radon sensor, each sensor can detect at least one or more of these harmful gases.

본 발명의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에 복수개의 센서 모듈(20)을 적층할 경우,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20)을 위쪽에 배치하고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20)을 아래쪽에 배치한다. 예를 들어 라돈 센서, 오존(O3) 센서, 액화석유가스(LPG) 센서, 및 VOC 중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20)은 가능한 한 아래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stacking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in the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20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at least one of the lighter than the air is disposed above and at least among the heavier than air The sensor module 20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one is disposed below. For example, the sensor module 20 having a radon sensor, an ozone (O3) sensor, a liquefied petroleum gas (LPG) sensor, and a sensor for detecting a gas that is heavier than air in the VOC is preferably disposed as low as possible.

이와 같이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에 복수개의 센서 모듈(20)이 장착되는 경우 센서 모듈간의 바람직한 적층 순서가 존재할 수 있는데 일반 사용자는 적층 순서를 알기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켰을 때 메인 모듈(40)이 전체 적층된 모듈의 위치(순서)를 파악하고 이 순서를 기저장된 기준 순서와 비교하여 센서 모듈이 적절히 적층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As such, when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are mounted in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there may be a preferable stacking order between the sensor modules, but it is not easy for a general user to know the stacking order. Therefor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is turned on, the main module 40 grasps the position (order) of the entire stacked modules and compares the order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modules are properly stacked. It can be informed whether the us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일 실시예에서, 공기보다 가벼운 유해가스의 정확하고 신속한 측정을 위해 본 발명의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모듈(10) 위에 하나 이상의 더미 모듈(도시 생략)을 추가로 삽입하고 그 위에 센서 모듈(20)을 장착할 수 있다. 더미 모듈은 예를 들어 도3과 도4에 도시한 센서 모듈(20) 케이스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갖되 센서나 전자회로 소자를 구비하지 않는 모듈이다. 이러한 더미 모듈을 사용함으로써,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되는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장치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감지하고자 하는 유해가스의 종류에 따라 더미 모듈의 아래쪽이나 위쪽에 각각 적절한 센서 모듈을 장착하여 유해가스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curate and rapid measurement of harmful gases lighter than air. For example, one or more dummy modules (not shown) may be further inserted over the base module 10 and the sensor module 20 may be mounted thereon. The dummy module is, for example, a module having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case of the sensor module 20 shown in FIGS. 3 and 4 but without a sensor or an electronic circuit element. By using such a dummy module, the overall height of the devic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where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is installed or the user's needs, and appropriate sensor modules are placed at the bottom or top of the dummy module according to the type of harmful gas to be detected. By mounting the harmful gas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 and quickly.

각 센서(220)가 유해가스를 감지하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10)로 전달하고, 제어부(210)는 감지신호에 대한 필터링, 증폭 등의 전처리를 수행한 후 이 신호를 상부 소켓(29b)과 커넥터(60)를 통해 메인 모듈(40)로 전달한다. 제어부(210)는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마이컴)로 구현될 수 있다. When each sensor 220 detects a noxious gas, the sensor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and transmit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210. The control unit 210 performs preprocessing such as filtering and amplification on the detection signal, and then transfers the signal to the upper socket 29b. And transfers to the main module 40 through the connector 60. The controller 21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microcontroller (microcomputer).

전치리된 감지신호가 위층의 하나 이상의 모듈(20,30)을 거쳐 메인 모듈(40)로 전달되며, 이를 위해, 각 센서 모듈(20)이나 필터 모듈(30)의 제어부(210,310)는 하부 소켓(29a,39a)을 통해 자신 보다 아래쪽의 모듈에서 올라오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위쪽으로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The pre-detected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ain module 40 via one or more modules 20 and 30 of the upper layer.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unit 210 or 310 of each sensor module 20 or the filter module 30 is connected to a lower socket. Whe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coming from the module lower than itself through the (29a, 39a) can be configured to deliver it upwards.

필터 모듈(30)은 하나 이상의 필터(37), 베이스 모듈(10), 센서 모듈(20), 및 메인 모듈(40)과 통신하는 제어부(310)를 구비한 전자소자모듈(300), 및 하부 모듈과 상부 모듈과 각각 연결하기 위한 하부 소켓(39a)과 상부 소켓(39b)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위쪽 모듈과 아래쪽 모듈 사이의 데이터를 중계하고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하부 소켓(39a)을 통해 아래쪽 모듈에서 데이터(감지신호)가 올라오면 이를 위쪽의 메인 모듈(40)측으로 전달하고, 상부 소켓(39b)을 통해 메인 모듈(40)에서 제어신호가 내려오면 이를 아래쪽 모듈로 전달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30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module 300 having one or more filters 37, a base module 10, a sensor module 20, and a controller 310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module 40, and a lower portion. And a lower socket 39a and an upper socket 39b for connecting with the module and the upper module, respectively.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310 relays data between the upper module and the lower module and transmits power. For example, when data (detection signal) comes up from the lower module through the lower socket 39a, it is transmitted to the upper main module 40 side, and when the control signal comes down from the main module 40 through the upper socket 39b, You can pass it to the bottom module.

메인 모듈(40)은 제어부(410) 등이 실장된 전자소자 모듈(400), 디스플레이(440), 사용자 입력부(450), 및 스피커(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소자 모듈(400)은 제어부(410), 온도 및/또는 습도 센서(420), 및 통신부(430)를 구비한다. The main module 40 may include an electronic device module 400 on which the controller 410, etc. are mounted, a display 440, a user input unit 450, and a speaker 460. In an embodiment,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400 includes a control unit 410, a temperature and / or humidity sensor 420, and a communication unit 430.

제어부(410)는 복수개의 센서 모듈(20)의 각각에 설치된 각 센서들의 동작 제어하고, 각 센서로부터 수신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센서가 감지한 유해가스나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농도를 디스플레이(440)로 표시하고, 산출된 농도가 소정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베이스 모듈(10)의 팬(15)을 구동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통신부(430)를 통해 장치 외부의 환기설비, 배출설비 및/또는 공기정화설비와 통신하고 이들을 제어하여 실내 공기를 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10)는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메모리, 저장장치 등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로 구현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410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sensor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fine dust detected by the senso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received from each sensor, and calculates The displayed concentr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and when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oncentration, the fan 15 of the base module 10 is driven to purify the air, and the ventilation unit outside the apparatus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430, It may b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d control the exhaust and / or air purification equipment to purify the indoor air.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41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and / or software such as a processor, a memory, a storage device, or the like for performing such a function, for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 a microcontroller.

통신부(430)는 본 발명의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와 외부의 컴퓨팅 장치(예컨대 스마트폰 등) 및/또는 환기설비, 공기 배출설비, 및 공기 정화설비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예를 들어 WiFi,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선 통신망을 사용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430 is a func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xternal computing device (for example, a smartphone, etc.) and / or a ventilation facility, an air exhaust facility, and an air purification facility, for example, WiFi,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ZigBee, Bluetooth, and infrared communication may be used. Alternatively,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sed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device.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 위치 확인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각 모듈의 위치 확인을 위해, 본 발명의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 즉 베이스 모듈(10), 각각의 센서 모듈(20), 필터 모듈(30), 및 메인 모듈(40)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 식별번호(ID)가 각 모듈에 부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odule position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order to confirm the location of each module, each of the modules constituting the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base module 10, each of the sensor module 20,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main module 40, respectively Assume that a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ID) for identifying an ID is assigned to each module.

도면을 참조하면, 우선 단계(S110)에서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메인 모듈(40)의 제어부(410)가 위치확인신호를 베이스 모듈(10)로 전달한다. 이 때 위치확인신호는 필터 모듈(30), 센서 모듈(20)을 순차적으로 거쳐 전달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first, when the power of the indoor air monitoring apparatus is turned on in step S110, the control unit 410 of the main module 40 transmits a positioning signal to the base module 10. In this case, the positioning signal may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hrough the filter module 30 and the sensor module 20.

베이스 모듈(10)의 제어부(110)가 위치확인신호를 수신하면, 단계(S120)에서, 제어부(110)는 베이스 모듈(10)의 모듈 ID를 포함하는 위치 데이터를 상부의 모듈로 전달한다. 이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상부의 모듈은 수신한 위치 데이터에 자신의 모듈 ID를 부가한다. 예를 들어 각 모듈은 수신한 위치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의 제일 뒤쪽에 자신의 모듈 ID를 부가하여 새로운 위치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모듈은 이 위치 데이터를 자신의 위쪽의 모듈로 다시 전달하며(단계 S130), 이 동작은 메인 모듈(40)이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반복된다(단계 S135). When the control unit 110 of the base module 10 receives the positioning signal, in step S120, the control unit 110 transmits the position data including the module ID of the base module 10 to the upper module. The upper module receiving this position data adds its own module ID to the received position data. For example, each module can create new location data by adding its module ID to the end of the data packet of the received location data. The module passes this position data back to the module above it (step S130), and this operation is repeated until the main module 40 receives the position data (step S135).

메인 모듈(40)이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면(단계 S140), 메인 모듈(40)은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센서 모듈과 필터 모듈의 적층 위치를 판단한다(단계 S150). 예를 들어 각 모듈이 위치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의 뒤쪽에 자신의 모듈 ID를 붙여서 전달하기로 구성된 경우, 메인 모듈(140)은 위치 데이터의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모듈 ID의 순서에 기초하여 각 모듈(10,20,30)의 적층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후 메인 모듈(40)은 적층 순서가 기저장된 기준 적층 순서와 맞는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른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4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When the main module 40 receives the position data (step S140), when the main module 40 receives the position data, the main module 40 determines the stacking position of each sensor module and the filter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data (step S150). For example, if each module is configured to attach its own module ID to the back of the data packet of location data, then the main module 140 is based on the order of the module IDs included in the data packet of the location data. The stacking order of 10, 20 and 30 can be understood. Thereafter, the main module 40 may compare whether the stacking order matches the pre-stored reference stacking order and output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n the display 440.

기준 적층 순서는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시적인 기준 적층 순서로서, 예컨대 공기 정화 전의 실내 공기 측정이 목적인 경우 필터 모듈(30)이 모든 센서 모듈(20) 보다 위층에 설치되어야 하는 기준을 포함할 수 있다. 반대로, 공기 정화 후의 실내 공기 측정이 목적인 경우 필터 모듈(30)이 모든 센서 모듈(20) 보다 아래쪽에 설치되는 것이 기준 적층 순서에 포함될 수 있다. The reference stacking order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embodiment, and as an exemplary reference stacking order, for example, if the purpose is to measure indoor air before air purification, the filter module 30 should be installed at a higher level than all the sensor modules 20. It may include. Conversely, if the purpose is to measure indoor air after air purification, it may be included in the reference stacking order that the filter module 30 is installed below all the sensor modules 20.

또한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 연기, 및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을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 보다 위층에 적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준 적층 순서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라돈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은 항상 베이스 모듈(10)의 바로 위층에 설치되도록 기준 적층 순서를 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stacking a sensor module having a sensor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light gas, smoke, and fine dust lighter than air is stacked above the sensor module having a sensor that detects at least one of gas heavier than air. Can be included in order. For example, a sensor module having a radon sensor may define a reference stacking order so that it is always installed directly above the base module 1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도6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절한 모듈간 적층 순서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 모듈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를 구성할 경우에도 각 유해가스를 가장 최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적층 순서로 장치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user of the stacking order of the appropriate modules according to FIG. 6. It allows the device to be configured in the most optimally detectable stacking order.

이제 도7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내공기 모니터링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An exemplary indoor air monitoring opera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면을 참조하면, 단계(S210)에서, 각 센서 모듈(20)의 센서가 각자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공기를 센싱하여 측정 신호를 메인 모듈(40)로 전송한다. 이 때 일 실시예에서 각 센서 모듈(20)은 자신의 모듈 ID와 측정 신호를 포함한 센싱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센싱 데이터를 메인 모듈(40)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in step S210, the sensor of each sensor module 20 periodically senses air according to a set cycle and transmits a measurement signal to the main module 40. At this time, in one embodiment, each sensor module 20 generates sensing data including its module ID and a measurement signal and transmits the sensing data to the main module 40.

메인 모듈(40)은 수신한 센싱 데이터의 모듈 ID로부터 해당 측정 신호가 어느 유해가스를 측정한 신호인지를 파악하고 이 유해가스에 대한 농도산출 알고리즘에 따라 측정 신호로부터 해당 유해가스의 농도를 산출하고(단계 S220), 산출된 농도를 기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고(단계 S230), 필요에 따라 비교 결과를 디스플레이(440)에 표시할 수 있다(단계 S240). The main module 40 determines which harmful gas is measured from the module ID of the received sensing data and calculates the concentration of the harmful gas from the measured signal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calculation algorithm for the harmful gas. (Step S220),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may be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step S230), and if necessary, the comparison result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440 (step S240).

일 실시예에서, 만일 측정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공기 정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S250) 기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구동팬(15)을 동작시켜 공기 정화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260). 대안적으로, 측정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메인 모듈(40)의 제어부(410)가 장치 외부의 환기설비, 공기 배출설비 및/또는 공기정화설비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제어하여 환기, 공기배출, 및/또는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if the measured concentr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ir purification is necessary (S250), and the air purification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driving fan 15 for a predetermined time (step S260). Alternatively, when the measured concentration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410 of the main module 40 controls the ventilation equipment, the air exhaust equipment and / or the air purification equipment outside the apparatu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ventilate and discharge the air. And / or perform an air purification operation.

소정 시간 동안의 환기, 공기 배출, 및/또는 공기 정화 동작이 완료되거나 이러한 동작이 필요 없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S270)로 진행하여 소정 시간 동안 저전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전력 모드는 상대적으로 대전력이 필요한 동작(예컨대 구동팬(15)의 동작 및/또는 디스플레이(440) 표시 등)을 중단하고 각 센서(220)가 소정 주기에 따라 센싱 동작을 하는 모드일 수 있다.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ventilation, air discharge, and / or air purification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is completed or that such an operation is not necessary, the process may proceed to step S270 to operate in a low power mod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one embodiment, the low power mode interrupts relatively high power operation (eg, operation of the driving fan 15 and / or display of the display 440) and the sensing operation of each sensor 22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May be a mod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description of this specifica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10: 베이스 모듈 20: 센서 모듈
30: 필터 모듈 40: 메인 모듈
50: 커버 60: 커넥터
10: base module 20: sensor module
30: filter module 40: main module
50: cover 60: connector

Claims (10)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측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통형상의 베이스 모듈(10);
베이스 모듈(10)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며 각각 통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센서 모듈(20);
복수개의 센서 모듈 중 최상단의 센서 모듈 위에 적층되는 통형상의 메인 모듈(40); 및
메인 모듈 위에 적층되며 메인 모듈의 상부를 덮는 커버(50);를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모듈은 적어도 한 종류의 유해가스나 미세먼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하고, 상기 메인 모듈은 각 센서 모듈의 센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를 산출하며,
상기 베이스 모듈, 복수개의 센서 모듈, 메인 모듈, 및 커버의 각각이 서로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센서 모듈, 메인 모듈, 및 커버의 각각에는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모듈의 통풍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커버의 관통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모듈은, 상기 센서 모듈 및 메인 모듈과 통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소자모듈(100) 및 베이스 모듈의 상부에 결합된 센서 모듈과 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한 상부 소켓(19)을 포함하고,
각각의 센서 모듈은,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베이스 모듈, 다른 센서 모듈, 및 메인 모듈과 통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소자모듈(200), 이 센서 모듈의 하부에 결합된 베이스 모듈 또는 다른 센서 모듈과 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한 하부 소켓(29a), 및 이 센서 모듈의 상부에 결합된 메인 모듈 또는 다른 센서 모듈과 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한 상부 소켓(29b)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 및 센서 모듈과 통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소자모듈(400) 및 메인 모듈의 하부에 결합된 센서 모듈과 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한 하부 소켓(49)을 포함하며,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의 전원이 켜지면, 상기 메인 모듈의 제어부가,
메인 모듈의 아래쪽에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모듈의 적층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적층 순서와 기설정된 기준 적층 순서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른 알림 정보를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As an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A cylindrical base module 10 having an upper opening and a vent formed at a side thereof;
A plurality of sensor modules 20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e module 10 and each having a tubular shape;
A cylindrical main module 40 stacked on the topmost sensor module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nd
And a cover 50 stacked on the main module and covering the top of the main module.
Each sensor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t least one kind of harmful gas or fine dust, and the main module receives a detection signal of a sensor of each sensor module to calculate a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fine dust. ,
Each of the base module,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the main module, and the cover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Each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the main module, and the cover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the center, so that air introduced into the vent of the base module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over. ,
The base module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module 100 having 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ensor module and the main module, and an upper socket 19 for connecting with a sensor module and a connector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module.
Each sensor module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module 200 having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a sensing signal of a sensor and communicating with a base module, another sensor module, and a main module, a base module or another sensor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sensor module. A lower socket 29a for connecting to a module and a connector, and an upper socket 29b for connecting to a connector with a main module or another sensor module coupled to the top of the sensor module,
The main module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module 400 having 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base module and a sensor module, and a lower socket 49 for connecting to a sensor module and a connector coupled to a lower part of the main module.
When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is powered on, the control unit of the main module,
Confirming the stacking order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in module, comparing the checked stacking order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stacking order, and outputting no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by a display or voic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perfor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모듈 및 메인 모듈의 각각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관통구를 둘러싸는 통형상의 내측벽(22);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내측벽을 둘러싸는 통형상의 외측벽(21); 및
상기 내측벽과 외측벽을 연결하는 지지판(23);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에는 내측벽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sensor module and the main module,
A cylindrical inner wall 22 having a top and a bottom open and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A cylindrical outer wall (21) having upper and lower openings surrounding the inner wall; And
And a support plate 23 connecting the inner wall and the outer wall.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wall is formed with at least one vent hole penetrating the inner wall.
삭제delet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아래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형상의 필터 모듈(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 모듈은 중심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 및 이 관통구를 커버하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공기정화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cylindrical filter module 30 detachably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in module,
The filter module includes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 and down the center and at least one air purification filter installed to cover the through ho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베이스 모듈, 센서 모듈, 및 메인 모듈과 통신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전자소자모듈(300), 이 필터 모듈의 하부에 결합된 센서 모듈과 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한 하부 소켓(39a), 및 이 필터 모듈의 상부에 결합된 메인 모듈과 커넥터로 연결하기 위한 상부 소켓(39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module includes an electronic device module 300 having a control unit communicating with the base module, the sensor module, and the main module, and a lower socket 39a for connecting the sensor module and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lter module. And an upper socket (39b) for connecting with a main module and a connector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modul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의 적층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가, 메인 모듈의 아래쪽에 결합된 복수개의 센서 모듈과 필터 모듈의 적층 순서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5,
Checking the stacking order of the modul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firming the stacking order of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and filter modules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main modu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 복수개의 센서 모듈, 필터 모듈, 및 메인 모듈의 각각을 식별하기 위한 모듈 식별번호(ID)가 각 모듈에 부여되고,
상기 모듈의 적층 순서를 확인하는 단계가,
메인 모듈의 제어부가 베이스 모듈의 제어부로 위치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확인 신호를 수신한 베이스 모듈의 제어부가 자신의 모듈 ID를 포함한 위치 데이터를 상부에 적층된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메인 모듈이 위치 데이터를 수신할 때까지,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모듈이 자신의 모듈 ID를 위치 데이터에 추가하여 자신의 상부의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 메인 모듈이 이 수신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센서 모듈과 필터 모듈의 적층 위치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 module identification number (ID) for identifying each of the base module, the plurality of sensor modules, the filter module, and the main module is assigned to each module,
Confirming the stacking order of the module,
Transmitting, by the controller of the main module, a positioning signal to the controller of the base module;
A control unit of the base module receiving the positioning signal transmits the position data including its module ID to a module stacked on top;
Until the main module receives the position data, the module receiving the position data adds its module ID to the position data and transmits it to the upper module thereof; And
And determining, by the main module that has received the position data, a stacking position of each sensor module and the filter module based on the received dat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적층 순서는,
필터 모듈을 모든 센서 모듈보다 위층에 적층하는 제1 기준; 및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 연기, 및 미세먼지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을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한 센서 모듈 보다 위층에 적층하는 제2 기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reference stacking order,
A first reference for laminating the filter module above all the sensor modules; And
And a second criterion for stacking a sensor module having a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of gas, smoke, and fine dust lighter than air, above the sensor module having a sensor that senses at least one of gas that is heavier than air.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모듈이,
베이스 모듈의 통풍구로 유입된 공기를 커버의 관통구측으로 유도하는 팬(15); 및
상기 팬을 구동하는 구동모터(17);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모듈은,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산출한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여 팬을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e module,
A fan 15 for guiding air introduced into the ventilation hole of the base module toward the through hole of the cover; And
It further comprises a drive motor 17 for driving the fan,
The main module, the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rive the fan by controlling the drive motor when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fine dust calculated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모듈의 전자소자모듈(400)은 외부의 환기설비, 공기배출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모듈은, 센서의 감지 신호로부터 산출한 유해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농도가 기준 농도보다 높으면, 상기 환기설비, 공기배출설비, 및 공기정화설비 중 상기 하나의 설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여 상기 설비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모니터링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nic device module 400 of the main module further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t least one of an external ventilation facility, an air discharge facility, and an air purification facility by wire or wirelessly.
The main module, when the concentration of harmful gas or fine dust calculated from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concentration, the communication unit to control the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one of the facilities of the ventilation facility, air discharge facility, and air purification facility Indoor air monitor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drive the facility by transmitting through.
KR1020190009426A 2019-01-24 2019-01-24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KR102014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26A KR102014770B1 (en) 2019-01-24 2019-01-24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9426A KR102014770B1 (en) 2019-01-24 2019-01-24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770B1 true KR102014770B1 (en) 2019-08-27

Family

ID=6780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9426A KR102014770B1 (en) 2019-01-24 2019-01-24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77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131A (en) * 2019-11-27 2021-06-11 주식회사 미로 Sensor assembly
KR102273731B1 (en) * 2020-11-03 2021-07-06 주식회사 리그린텍 Modula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KR102335002B1 (en) * 2021-02-15 2021-12-03 (주)보티 Modular embedde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KR20220108941A (en) * 2021-01-28 2022-08-04 김수빈 fine dust measuring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9879A (en) * 2011-01-14 2012-08-09 Akos R&D Ltd 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CN204629813U (en) * 2015-04-29 2015-09-09 大连龙福电子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air purifier
KR101640065B1 (en) * 2014-10-23 2016-07-25 (주) 이레아이에스 Smart air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695596B1 (en) 2016-06-16 2017-01-11 정상권 Noxious gas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1912624B1 (en)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49879A (en) * 2011-01-14 2012-08-09 Akos R&D Ltd Air treatmen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640065B1 (en) * 2014-10-23 2016-07-25 (주) 이레아이에스 Smart air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4629813U (en) * 2015-04-29 2015-09-09 大连龙福电子科技发展有限公司 A kind of Intelligent air purifier
KR101695596B1 (en) 2016-06-16 2017-01-11 정상권 Noxious gas monitor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KR101912624B1 (en) * 2018-05-18 2018-10-29 케이웨더(주) Outdoor Air Quality Measuring Equip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9131A (en) * 2019-11-27 2021-06-11 주식회사 미로 Sensor assembly
KR102276088B1 (en) * 2019-11-27 2021-07-13 주식회사 미로 Sensor assembly
KR102273731B1 (en) * 2020-11-03 2021-07-06 주식회사 리그린텍 Modular Air Quality Measuring Device
KR20220108941A (en) * 2021-01-28 2022-08-04 김수빈 fine dust measuring device
KR102479685B1 (en) 2021-01-28 2022-12-20 김수빈 fine dust measuring device
KR102335002B1 (en) * 2021-02-15 2021-12-03 (주)보티 Modular embedde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770B1 (en) Room air monitoring apparatus
KR101333823B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with changing sensor module
TWI511096B (en) Flue-gas analysis safety apparatus
KR100743251B1 (en) Gas detecting apparatus and air purification system
US20170130981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door air quality
KR100813679B1 (en) Air qaulity sensing and control system for school
GB2544916A (en) Air quality notifying device connecting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and air quality notifying method therefor
JP2017528788A (en) Air quality alarm system and method
KR101625133B1 (en) Monitoring system of Indoor air quality
US20070261558A1 (en) Building ventilator response system
KR102287675B1 (en) System for simultaneous air cleaning at multi points
US20200056793A1 (en) Hvac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11473794B2 (en) Gas accumulation and combustion control device
KR100684294B1 (en) A measuring device of co2 gas for remote communication control in order to room air quality management and contron method thereof
KR102173716B1 (en) Real-time monitoring device for atmosphere environment
CN105371384A (en) Air purifying equipment and air purifying equipment monitoring system
CN108489010B (en) Air purification controller
KR20160048241A (en) Smart air car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70272083A1 (en) Filter saturation control system
IT201800001992U1 (en) Smart device for monitoring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KR20130085174A (en) Harmfulness gas transmitting apparatus
KR100551967B1 (en) Ventilation system
JP2006292209A (en) Ventilation device and network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system using ventilation device
KR101669031B1 (en) Stand-alone air quality sensor for transmitting alarm signal by wireless and system including same
CN208335422U (en) A kind of smog, combustable gas concentration and the three-in-one indoor inductor of tempera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