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735B1 -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735B1
KR102014735B1 KR1020170166619A KR20170166619A KR102014735B1 KR 102014735 B1 KR102014735 B1 KR 102014735B1 KR 1020170166619 A KR1020170166619 A KR 1020170166619A KR 20170166619 A KR20170166619 A KR 20170166619A KR 102014735 B1 KR102014735 B1 KR 10201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way
subway station
supply system
generator
energ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829A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우전
Priority to KR102017016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73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02S10/12Hybrid wind-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30Wind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에 장착되는 태양광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 발생부와,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가 제공되는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역사의 필연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전력 발생부를 장착하고, 이를 통해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하고, 지하철 역사의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에 풍력 발전기를 장착하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축전부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통해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ENERGY SUPPLY SYSTEM FOR SUBWAYSTATION BUILDING}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지하철 역사의 필연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전력 발생부를 장착하고, 전력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전력을 지하철 역사의 전기기기에 활용하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지역의 에너지 자립화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설치비용이 저렴하면서 효율이 좋은 소형풍력발전 및 태양광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이 적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시스템은 연료원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소규모 주민이 거주하는 도서지역에는 유용한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활용가치가 크다.
또한, 도서지역에서는 지역에 따라 산, 바람, 지하수 등이 달리 분포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소형풍력, 태양광 및 양수발전을 통해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하다. 즉, 도서지역 자립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에너지 및 물자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친환경에너지 생산은 기본적으로 소형풍력과 태양광을 이용하고, 부분적으로 양수발전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에너지 생산시설 중 태양광 발전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편, 도시의 교통발달과 함께 지하철 역사가 많이 발생되고 있으며, 지하철 역사에는 다양한 전자기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하철 역사의 구조물들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으며, 에너지를 전부 외부에서 공급받고 있어, 전력의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 이에 따른 대처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관점은 지하철 역사의 필연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전력 발생부를 장착하고, 이를 통해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한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지하철 역사의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에 풍력 발전기를 장착하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을 전력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축전부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통해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은 지하철 역사에 장착되는 태양광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 발생부와,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가 제공되는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기 발생부의 작동과 지하철 역사 전기장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관측하고 통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축전부에 저장된 전기를 상기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는 지하도 입구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는 지하도 입구 구조체의 천청부에 장착되고,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상기 지하도 입구 구조물의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는 지하도 입구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는 지하도 입구 구조체의 천청부에 장착되고,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지하도 입구 구조물의 내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기는 지하철 환풍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지하철 환풍 구조물은 지면에 시공되어 구조물인 지지구조체와, 상기 지지구조물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는 유리패널과, 지지구조체에 형성된 환풍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는 태양광 발전기가 장착되고, 태양광 발전기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발전기과 상기 기둥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팬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는 지하철 승강장 터널에 장착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지하철의 운행에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통해 회전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는 비상유도 조명장치, 비상경보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공기정화 환기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승강장 터널의 내측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상유도 조명장치는 지하철 역사의 바닥면에 장착된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와 측벽에 장착되는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1.5m 내지 1.7m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하철 역사의 필연적으로 설치되는 구조물에 전력 발생부를 장착하고, 이를 통해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함에 따라 에너지 자립화가 가능하고, 지하철 역사의 공기가 유동되는 영역에 풍력 발전기를 장착하여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 발생부를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를 축전부에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통해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6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유도 조명장치 및 경보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매회수, 정제 및 공급장치와 그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또한 후술할 구성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경우 동일한 도면부호와 명칭을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1000)은 전력 발생부(1100), 제어부(1200) 및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 발생부(1100)는 신재생에너지 전기 발전장치로서, 태양광 발전기(1110) 및 풍력 발전기(1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기 발생부(1100)에서 발전된 전기는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에 제공된다.
또한,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는 비상유도 조명장치(1310), 비상경보장치(1320), 디스플레이장치(1330) 및 공기정화 환기장치(1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200)는 전기 발생부(1100) 및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와 연결되고, 전기 발생부(1100) 과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는 전기 발생부(1100)의 작동 및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의 작동시키고, 관측하고 통제하는 중앙시스템이다.
또한,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1000)은 축전부(1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기 발생부(1100)를 통해 생성된 전기는 축전부(1400)에 저장되었다가 선택적으로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1300)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 환기장치(1340)는 지하철 역사 내부에 유입되는 공기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미세먼지 제거장치로 구현된다.
또한, 전기 발생부(1100)를 통해 생성된 전기는 지하철 역사 인근 전자기기 예를 들어 신호등, 보행안내등 등에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력 발생부 및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서술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발생부로서 태양광 발전기(1110) 및 풍력 발전기(1120)은 지하도 역사의 내부로 통하는 지하도 입구 구조물(100)에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하도 입구(100)는 경사방향으로 하향된 계단(미도시)이 형성되고, 계단에 대응되는 경사면 구조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경사면 구조체의 천정부에 태양광 발전기(1110)가 장착되고, 태양광 발전기(1110)는 태양광 패널(1111)을 포함한다.
또한, 지하도 입구(100)의 내측에는 풍력 발전기(1120)이 장착된다. 이는 지하도 내부와 외부와의 기압차를 통해 외부공기는 지하도 입구로 유동되는 공기를 통해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풍력 발전기(1120)는 팬(1121)을 포함하고, 팬(1121)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별도의 구조물을 제작할 필요없이, 지하도 입구(100)에 전력 발생부를 장착함에 따라 비용이 절감되고 공간활용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기(1110)와 풍력 발전기(1120)를 통해 원활한 전력량을 얻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에는 전력 발생부로서 태양광 발전기(1110)가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은 지지구조체(210), 기둥부(220) 및 유리패널(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구조체(210)는 지면에 시공되어 구조물이고, 기둥부(220)는 지지구조체(210)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유리패널(230)은 기둥부(220)에 결합된다. 또한, 지지구조체(210)에는 환풍출구(240)가 형성된다.
또한, 기둥부(220)에는 태양광 발전기(1110)가 장착되고, 태양광 발전기(1110)는 태양광 패널(1111)을 포함한다.
또한, 유리패널(230)은 약 2m 내지 3m의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것이다.
그리고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의 개방된 상부를 태양광 발전기(1110)가 커버함에 따라 낙옆등의 이물질이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의 내부로 유입이 차단된다.
결국,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은 안전성과 청결성을 만족하면서 전력발생부가 결합되어 공간활용도가 최대화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3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4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5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 발생부의 제3,4,5 실시예는 도 3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와 비교하여 풍력 발전기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발전기(1110)과 기둥부(220)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공간부에 풍력 발전기(1120)가 장착된다.
그리고 풍력 발전기(1120)는 환풍출구(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풍력 발전기(1120)는 팬(1121)을 포함하고, 팬(1121)의 회전력에 의해 전기가 발생된다. 그리고 팬과 연결되어 전력을 발생하는 풍력 발전기의 세부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이에 따른 세부구성은 공지기술인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4는 풍력 발전기(1120)가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의 양측부에 장착된 일례이고, 도 5는 풍력 발전기(1120)가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의 전방 및 후방부에 장착된 일례이고, 도 6은 풍력 발전기(1120)가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의 양측부, 전방 및 후방의 사방에 장착된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환풍출구(2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얻을 있고, 태양광 발전기에 더하여 추가 전력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풍출구(240)에는 필터(미도시)가 장착되어 지하철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된 상태로 공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하철 환풍 구조물(200)의 상부는 태양광 발전기(1110)가 장착되어 외부의 오염물질이 환풍출구(240)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전력 발생부의 제6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 터널(300)에는 풍력 발전기(1120)가 장착된다. 그리고 풍력 발전기(1120)는 팬(1121)을 포함하고, 팬(1121)은 지하철의 운행에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통해 회전된다.
또한, 상기 풍력발전기(1120)는 지하철 승강장 터널(300)의 입구측 양측에 설치될 수 있고, 터널의 내부에 복수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발생부는 지하철이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운행될 경우,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이용하여 지속적인 전기발생이 가능하게 되고, 복수개가 장착되어 원하는 량의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승강장 터널(300)의 내측 벽면에는 디스플레이장치(1330)가 장착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장치(1330)는 태양광 발전기(1110) 및 풍력 발전기(1120)을 통해 발생된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330)에는 다양한 풍경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는 지하철을 장시간 운행하는 기장의 주위를 환기시켜 근무환경을 개선시키고, 심신을 안정시켜 우울증 등의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1330)에는 광고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하철이 정차된 경우뿐만 아니라, 지하철 운행중에도 지하철 탑승자에게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비상유도 조명장치 및 경보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지하철 역사 내에는 비상유도 조명장치(1310) 및 비상경보장치(1320)가 장착된다.
또한, 비상유도 조명장치(1310) 및 비상경보장치(1320)는 전력 발생부(1100)에 의해 전력이 공급받고, 이에 의해 작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상유도 조명장치(1310)는 지하철 역사의 바닥면에 장착된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1311)와 측벽에 장착되는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1312)를 적어도 하나이상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1311)는 바닥면에 비상 유도등을 장착하여 안전한 장소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1312)는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1.5m 내지 1.7m 높은 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연기 바닥면에 가득차거나 대피하는 사람들로 인해 바닥면의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1311)를 보지 못할 경우에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1312)를 통해 안전한 장소로 사람들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비상경보장치(1320)는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1312) 보다 높은 벽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피하는 사람들은 비상경보장치(1320),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1311) 및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1312)를 통해 보다 확실하게 안전한 장소로 안내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지하도 입구 200: 지하철 환풍 구조물
210: 지지구조체 220: 기둥부
230: 유리패널 240: 환풍출구
300: 지하철 승강장 터널
1000: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1100: 발생부 1110: 태양광 발전기
1111: 태양광 패널 1120: 풍력 발전기
1121: 팬 1200: 제어부
1300: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 1310: 비상유도 조명장치
1311: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 1312: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
1320: 비상경보장치 1330: 디스플레이장치
1340: 공기정화 환기장치 1400: 축전부

Claims (11)

  1. 지하철 역사에 장착되는 태양광 발전기 및 풍력 발전기를 포함하는 전력 발생부;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가 제공되는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풍력 발전기는 지하도 입구 구조물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는 지하도 입구 구조체의 천청부에 장착되고,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지하도 입구 구조물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는 지하철 환풍 구조물에 더 장착되고,
    상기 지하철 환풍 구조물은 지면에 시공되어 구조물인 지지구조체와, 상기 지지구조체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된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 결합되는 유리패널과, 상기 지지구조체에 형성되고 상기 지하철 역사의 내부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공기를 정화된 상태로 공기중으로 배출하는 환풍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의 상단에는 태양광 발전기가 장착되고, 태양광 발전기는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기와 상기 기둥부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에 팬을 포함하는 풍력 발전기가 더 장착되고, 상기 팬은 상기 환풍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통해 회전되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생부의 작동과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작동상태를 관측하고 통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발생부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축전부에 저장된 전기를 상기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에 제공하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 발전기는 지하철 승강장 터널에 더 장착되고, 상기 풍력 발전기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팬은 지하철의 운행에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통해 회전되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철 역사 전기장치는
    비상유도 조명장치, 비상경보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공기정화 환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는 승강장 터널의 내측 벽면에 장착된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유도 조명장치는
    지하철 역사의 바닥면에 장착된 제1 비상유도 조명장치와 측벽에 장착되는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상유도 조명장치는 바닥면으로부터 1.5m 내지 1.7m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20170166619A 2017-12-06 2017-12-06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201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19A KR102014735B1 (ko) 2017-12-06 2017-12-06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619A KR102014735B1 (ko) 2017-12-06 2017-12-06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78A Division KR20190095205A (ko) 2019-07-31 2019-07-31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29A KR20190066829A (ko) 2019-06-14
KR102014735B1 true KR102014735B1 (ko) 2019-08-27

Family

ID=66846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619A KR102014735B1 (ko) 2017-12-06 2017-12-06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72616B (zh) * 2020-10-23 2024-05-03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超级电容有轨电车车站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718A (ja) * 2003-08-06 2005-03-03 Fujita Corp 駅舎における給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9A (ja) * 1995-06-22 1997-01-07 Toshiyuki Ougizuka 自然エネルギーの太陽光発電等の電力で走行させる電車
KR101559569B1 (ko) * 2011-01-31 2015-10-15 주식회사 그린우전 비상 피난 유도용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4718A (ja) * 2003-08-06 2005-03-03 Fujita Corp 駅舎における給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829A (ko) 2019-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49242B (zh) 一种双层玻璃幕墙智能控制方法
KR20110011954A (ko) 고층 건물 고속 엘리베이터의 연돌 효과를 이용한 풍력 발전 시스템 및 방법
US20040183309A1 (en) Air filtering chimney to clean pollution from a city and generate electric power
KR101348869B1 (ko)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물 분사 파고라
CN107605526A (zh) 公路隧道分段重点排烟系统以及排烟方法
KR20220105274A (ko)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KR102014735B1 (ko)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CN103968320A (zh) 以光伏发电为供电源用于收集空气中细颗粒物的路灯装置
KR20190095205A (ko) 지하철 역사 에너지 공급 시스템
US20060284004A1 (en) Method of scavenging atmospheric energy, causing rainfall, and for dissipating severe weather formations using an electrostatic dirigible
KR20140145806A (ko) 태양열 난방장치
CN103981826A (zh) 一种以光伏发电为供电源用于收集空气中细颗粒物的护栏
KR101079858B1 (ko) 환풍기에서 배출되는 폐 바람을 이용한 발전장치
CN209362235U (zh) 一种地下工程安全防护装置
ITMI20150030U1 (it) Disposizione di filtro
JP2006348871A (ja) 風力発電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ハイブリッド発電システム、およびハイブリッド発電街路灯、およびハイブリッド発電ユニット
KR102197726B1 (ko) 태양광발전 쿨링 포그 시스템
KR20210030097A (ko) 방음터널의 친환경 공기정화시스템
CN207485461U (zh) 公路隧道分段重点排烟系统
CN108757016A (zh) 一种轨道交通疏散平台
CN203700980U (zh) 灯柱框架式路面风力挡雪屏
CN204676752U (zh) 太阳能气流发电阳光大棚的安装结构
KR102508247B1 (ko) 외부 조도 인식 센서를 활용한 도로조명 설비 복합 전력 공급 시스템
CN204676753U (zh) 太阳能气流发电阳光大棚的支撑结构
CN203867225U (zh) 一种以风力发电为供电源可净化空气的公交站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