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073B1 - 전자 바이브레이터 - Google Patents

전자 바이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073B1
KR102014073B1 KR1020180137419A KR20180137419A KR102014073B1 KR 102014073 B1 KR102014073 B1 KR 102014073B1 KR 1020180137419 A KR1020180137419 A KR 1020180137419A KR 20180137419 A KR20180137419 A KR 20180137419A KR 102014073 B1 KR102014073 B1 KR 10201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elastic member
vibrator
group
electronic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준
이동헌
Original Assignee
파스코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8079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01407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파스코이엔지(주) filed Critical 파스코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80137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 B65D88/64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 B65D88/66Larg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acilitating filling or emptying preventing bridge formation using vibrating or kn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Cap)을 포함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로서, 상기 본체에 사용되는 탄성 부재가 짝수개(n)의 변을 가지는 대칭구조를 가지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 배치되고, 진동 전달 그룹과 진동 분산 그룹으로 구별되어 배치되며, n = 4, 6, 8인 전자 바이브레이터 기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를 고정하는 장볼트를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하되 진동전달그룹과 진동분산그룹의 기능을 하는 탄성부재를 각각 배치하여 장볼트가 받는 힘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전자 바이브레이터 {ELECTRONIC VIBRATOR}
본 발명은 분체 이송공정에서 사용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나 사일로 등 이송설비 내부에서 이송되는 분체의 흡착이나 뭉침 현상에 의하여 분체의 유동성이 떨어져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에 있어서, 기기로부터 생성되는 진동수를 향상시키고 진동 전달력도 향상시키며 기기의 내구성과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등, 개량된 전자 바이브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생산 및 가공 시스템에 있어서 분말이나 입자상의 분체로 된 물질이 호퍼, 사일로 등의 이송설비를 통해 공급된다. 위와 같은 통상의 공급수단은 이송하는 분체가 습기 또는 정전기 등 자체 물성으로 인하여 서로 뭉쳐져 유동성이 저하되며, 이송설비 말단의 경사진 배출구 주위에 덩어리 상태로 뭉쳐진 분체가 몰입되어 배출구가 좁아지거나 심한 경우 배출구가 막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분체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여 분체의 공급에 차질을 주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이송설비에 설치되어 진동을 가하는 진동발생기가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진동발생기는 분체의 응집을 방지하고 응집된 분체를 파쇄분산시켜 분체가 배출구 내측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 설비의 유동성을 유지함으로써 이송설비에서 이송 라인으로 분체를 원활하게 이송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 전자 바이브레이터는 탄성 부재로 우레탄 소재를 사용하여 진동의 발생과 전달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케이블의 소재가 내구성과 내열성에 문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진동을 직접적으로 발생시키는 코어의 진동 전달 날개가 진동 중 움직임에 의해 장 볼트와 마찰이 발생하고, 마찰로 인한 손상되는 문제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그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특허문헌 : 한국등록특허 제10-152335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속적인 진동을 발생시키는 중에도 내구성과 내열성, 안정성을 확보하여 더 나은 품질을 갖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Cap)을 포함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로서, 상기 진동기 본체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짝수개(n)의 변을 가지는 대칭구조를 가지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고, 진동 전달 그룹과 진동 분산 그룹으로 구별되어 배치되며, n = 4, 6, 8인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진동 분산 그룹은 최소 2개 또는 n/2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가 n = 4, 6, 8인 대칭구조를 가지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n/2개로 배치되는 경우, 진동 분산 그룹이 배치된 꼭지점에 인접하는 꼭지점에는 진동 전달 그룹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기 본체의 탄성 부재는 대칭구조를 가지는 육각형으로 배치되고, 진동 분산 그룹이 대향하는 꼭지점 2개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진동 전달 그룹에 속하는 탄성 부재의 용수철 상수가 상기 진동 분산 그룹의 탄성 부재의 용수철 상수보다 2배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진동 전달 날개 상하로 탄성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부재가 금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핵심 코일에서 나오는 케이블이 우레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핵심 코일에서 나오는 케이블의 외부를 실리콘으로 감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밑판에 위치하고, 진동 전달 날개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장 볼트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용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밑판 부분 중 상기 뚜껑(Cap)과 접하는 부위에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코어를 고정하는 장볼트를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하되 진동 전달 그룹과 진동 분산 그룹의 기능을 하는 탄성부재를 각각 배치하여 장볼트가 받는 힘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탄성 부재를 진동 전달 날개 상하로 설치하여 진동을 더 많이 발생시키도록 하였으며, 본체의 밑판에 본체 내부의 진동 전달 날개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장 볼트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용 고정 핀을 채택하여 마모를 방지하였다. 한편, 핵심 코일에서 나오는 케이블을 우레탄 재질을 선택하여 내구성을 높이고, 그 케이블의 외부를 실리콘으로 감싸서 내열성을 확보하였으며, 뚜껑과 본체가 접하는 부위에 실링 부재를 포함하여 방수성과 방진성을 향상시켰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 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밑판 부재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 평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측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밑판 부재 평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분리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바이브레이터(1)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뚜껑(100), 탄성 부재(310), 장 볼트(330), 하우징(400), 이(E) 코어(410), 아이(I) 코어(420), 진동 전달 날개(440), 밑판 부재(500) 및 실링 부재(530)를 포함하고 있다.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뚜껑(100)은 밑판 부재(500)와 접하는 부분에 고무와 같은 실링 부재(530)를 포함하여 상기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뚜껑(100)과 상기 밑판 부재(500)가 밀실을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진동 발생 코어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코어의 진동 발생 날개(440)와 장 볼트(330)의 마찰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찰 방지용 고정 핀(520)이 상기 밑판 부재(500)에 위치한다.
탄성 부재(310)는 하우징(400)과 결합되어, 충격과 완충을 조절하며, 바람직하게는 금형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특히, 이 금형 스프링은 예를 들면 규격화된 제품으로 JIS Standard의 경소 하중용 스프링(노란색) 40mm x 40mm, 용수철상수 6.4kgf/mm규격, 중 하중용 스프링(빨간색) 40mm x 40mm, 용수철상수 25.0kgf/m규격 중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부재는(310) 상부와 하부로 나뉘며, 탄성 부재 고정용 너트(317)와 상기 진동 전달 날개(44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부 탄성 부재(311a,312a)와, 상기 진동 전달 날개(440)의 하면과 상기 밑판 부재(500)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탄성부재(311b,312b)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 탄성 부재(311a,312b) 및 하부 탄성 부재(311b,312b) 중 진동 전달 그룹 상부 탄성 부재(311a)와 진동 전달 그룹 하부 탄성 부재(311b)는 진동 전달 그룹(311)으로 분류되고, 상기 상부 탄성 부재(311a,312b) 및 하부 탄성 부재(311b,312b) 중 진동 분산 그룹 상부 탄성 부재(312a)와 진동 분산 그룹 하부 탄성 부재(312b)는 진동 분산 그룹(312)으로 분류된다.
상기 탄성 부재(310)는 짝수개(n)의 변을 가지는 대칭구조를 가지는 사각형, 대칭구조를 가지는 육각형, 대칭구조를 가지는 팔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고, 진동 전달 그룹(311)과 진동 분산 그룹(312)으로 구별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n = 홀수인 경우, 상기 진동 전달 그룹(311) 및 상기 진동 분산 그룹(312)은 대칭구조를 이루지 못하므로 진동력의 균일한 분산이 되지 않아서 진동이 편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진동 전달 날개(440)와 장볼트(330)의 마찰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분산 그룹(312)은 최소 2개 또는 n/2개로 배치되되, 2개가 배치되는 경우, 대칭구조를 가지는 다각형의 대향하는 꼭지점 2개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n = 4, 6, 8인 대칭구조를 가지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n/2개로 배치되는 경우, 진동 분산 그룹(312)이 배치된 꼭지점에 인접하는 꼭지점에는 진동 전달 그룹(311)만 배치되도록 하여, 진동 분산 그룹(312)과 진동 전달 그룹(311)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진동력이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배치한다.
한편, 진동 전달 그룹(311)에 속하는 탄성 부재(310)의 용수철 상수는 진동 분산 그룹(312)에 속하는 탄성 부재(310)의 용수철 상수보다 2배 내지 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5배를 넘어가면 전자 바이브레이터가 부착된 대상 설비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진동 전달 그룹(311)과 진동 분산 그룹(312)의 용수철 상수의 차이가 커져 진동 분산 그룹(312)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2배에 미치지 못하면 진동 전달 그룹(311)과 진동 분산 그룹(312)의 용수철 상수의 차이가 작아져 진동 분산 그룹(312)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는 탄성 부재(310)의 용수철 상수의 편차는 용수철 상수의 평균에서 5% 내지 10% 미만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10%를 넘어가면 탄성 부재(310) 각각의 용수철 상수의 편차가 커지게 되어 진동의 전달 및 분산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수철 상수의 편차는 용수철 상수의 평균에서 5%미만이 되도록 하였다.
하우징(400)은 상기 이(E) 코어(410), 아이(I) 코어(420)로 구성된 핵심 코어 및 권선부를 내장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 전달 날개(440)는 상기 하우징(40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된 구멍인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장볼트(330)는 고장력 볼트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밑판 부재(500)와 결합되는 것이다
이(E) 코어(410)는, 영문자 이(E)자 형상을 가지며, 강판 재질을 가지며, 여러 겹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E) 코어(410)는, 강력한 전자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규소 강판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이(I) 코어(420)는 영문자 아이(I)자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이(E) 코어(410)와 이격되어 위치되고, 강판 재질을 가지며, 여러 겹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다.
권선부는 상기 이(E) 코어(410)의 가운데 수평으로 돌출된 부위에 감기며, 교류 전류가 인가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권선부에는 브리지 회로부에서 제공되는 전류가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핵심 코어의 핵심 코일(430)에서 나오는 케이블의 피복을 우레탄 소재를 채택하여 내구성을 한층 강화하였고, 그 케이블의 외부는 실리콘 재질로 감싸서 100℃에서도 견디도록 하였다.
상기 밑판 부재(500)는, 상기 하우징(400)과 이격되어 위치되며, 수용홈을 가져서 상기 아이(I) 코어(420)를 수용하는 것이다.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진동 전달 그룹(311)과 진동 분산 그룹(312)으로 구성된 전자 바이브레이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이다. 실시예의 전자 바이브레이터A와 전자 바이브레이터B에 각각 경소 하중용 스프링(노란색) 40mm x 40mm, 용수철 상수 6.4kgf/mm를 규격으로 하는 탄성 부재(310) 4개와, 중 하중용 스프링(빨간색) 40mm x 40mm, 용수철 상수 25.0kgf/m를 규격으로 하는 탄성 부재(310) 8개를 장착한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작하여, 전자 바이브레이터A는 306,610사이클, 전자 바이브레이터B는 304,786 사이클 동안 작동한 내구성 테스트 결과이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 내구성 판정 결과, 전자 바이브레이터A 및 전자 바이브레이터B의 진동 분산 그룹(312)의 용수철 상수는 시험 전 7.83~8.20kgf/mm에서 시험 후 7.13~7.51kgf/mm으로 최소 번화율이 8.4% 최대 번화율이 8.9%로 평균 번화율은 8.7%였다. 또한, 전자 바이브레이터A 및 전자 바이브레이터B의 진동 전달 그룹(311)의 용수철 상수는 시험 전 28.57~30.44kgf/mm애서 시험 후 26.22~27.77kgf/mm으로 최소 번화율이 7.9% 최대 번화율이 10.3%로 평균 번화율은 9.2%로 변화율이 10%내외를 이루었다.
표 2는 비교예로서 종전의 진동 전달 그룹(311)으로만 구성된 전자 바이브레이터에 대한 테스트 결과이다. 비교의 전자 바이브레이터C 및 전자 바이브레이터D는 중 하중용 스프링(빨간색) 40mm x 40mm, 용수철 상수 25.0kgf/m를 규격으로 하는 탄성 부재(310) 12개를 장착한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제작하여, 전자 바이브레이터C는 305,156사이클, 전자 바이브레이터D는 302,061사이클 동안 작동한 내구성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이다. 비교예의 스프링 내구성 판정 결과, 전자 바이브레이터C 및 전자 바이브레이터D의 진동 전달 그룹(311)으로만 구성된 스프링의 용수철 상수의 최소 변화율은 15.2%, 최대 변화율은 19.7% 및 평균 변화율은 17.3%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진동 전달 그룹(311)과 진동 분산 그룹(312)으로 구성된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용수철 상수 보다 비교예의 진동 전달 그룹(312)만으로 구성된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용수철 상수가 크게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의 전자 바이브레이터는 진동 전달 그룹(311)과 진동 분산 그룹(312)으로 구성되어 약 30만 사이클 테스트 도중 장 볼트(330)의 파손이 없었다. 그러나, 진동 전달 그룹(311)으로만 구성된 전자 바이브레이터는 작동 도중 진동과 하중 등에 의한 움직임으로 진동 전달 날개(440)와 장 볼트(330)가 마찰이 발생하여, 장 볼트(330)가 파손되거나 진동 전달 날개(440)가 손상되어 전자 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중단시켜야 하는 상황이 5% 정도의 비율로 발생하였다.
진동 전달 그룹

진동 분산 그룹
전자 바이브레이터A 변화율
(%)
전자 바이브레이터B 변화율
(%)
2. 스프링 특성
(용수철 상수)
[kgf/mm]
진동
분산 그룹
#1 7.83 7.13 8.9 7.95 7.25 8.8
#4 8.20 7.51 8.4 7.87 7.20 8.5
진동
전달 그룹
#2 28.57 26.32 7.9 29.24 26.45 9.5
#3 30.04 27.19 9.5 29.12 26.22 10.0
#5 30.44 27.77 8.8 28.71 26.45 7.9
#6 30.04 26.93 10.3 29.40 26.49 9.9
진동 전달 그룹 전자 바이브레이터C 변화율
(%)
전자 바이브레이터D 변화율
(%)
2. 스프링 특성
(용수철 상수)
[kgf/mm]
#1 29.34 24.27 17.3 30.13. 25.26 16.2
#2 28.91 24.51 15.2 29.37 24.63 16.1
#3 28.97 23.89 17.5 30.14 24.72 18.0
#4 29.04 23.33 19.7 29.28 24.22 17.3
#5 29.41 24.10 18.0 29.91 25.10 16.1
#6 30.32 25.26 16.6 28.85 23.27 19.3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변형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 전자 바이브레이터 100 : 전자 바이브레이터 뚜껑(Cap)
110 : 손잡이 310 : 탄성 부재
311 : 진동 전달 그룹 311a : 진동 전달 그룹 상부 탄성 부재
311b : 진동 전달 그룹 하부 탄성 부재 312 : 진동 분산 그룹
312a : 진동 분산 그룹 상부 탄성 부재 312b : 진동 분산 그룹 하부 탄성 부재
317 : 탄성 부재 고정용 너트 330 : 장 볼트
335 : 장 볼트 고정용 너트 400 : 하우징
410 : 이(E) 코어 420 : 아이(I) 코어
430 : 핵심 코일 440 : 진동 전달 날개
500 : 밑판 부재 510 : 밑판 고정용 볼트
520 : 마찰 방지용 고정 핀 530 : 실링 부재
540 : 실리콘 패드 700 : 지그
710 : 지그 고정용 볼트

Claims (11)

  1. 핵심코어와 권선부, 상기 핵심코어 및 권선부를 내장하는 하우징 및 진동 전달 날개를 포함하는 진동기 본체;
    상기 진동기 본체를 덮는 뚜껑(Cap); 및
    상기 진동 전달 날개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된 탄성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부재는 짝수개(n)의 변을 가지는 대칭구조를 갖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배치되고, n = 6, 8이며;
    상기 탄성부재는 진동 전달 그룹과 진동 분산 그룹으로 구별되어 배치되되, 상기 진동 전달 그룹에 속하는 탄성부재의 용수철 상수는 진동 분산 그룹에 속하는 탄성 부재의 용수철 상수보다 큰 전자 바이브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는 상기 진동 분산 그룹은 최소 2개 또는 n/2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n = 6, 8인 대칭구조를 가지는 다각형의 꼭지점에 n/2개로 배치되는 경우, 진동 분산 그룹이 배치된 꼭지점에 인접하는 꼭지점에는 진동 전달 그룹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 본체의 탄성 부재는 대칭구조를 가지는 육각형으로 배치되고, 진동 분산 그룹이 대향하는 꼭지점 2개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5.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전달 그룹에 속하는 탄성 부재의 용수철 상수가 진동 분산 그룹의 탄성부재의 용수철 상수보다 2배 내지 5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진동 전달 날개 상하로 탄성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금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핵심 코일에서 나오는 케이블이 우레탄 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핵심 코일에서 나오는 케이블의 외부를 실리콘으로 감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밑판 부재에 위치하고, 진동 전달 날개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장 볼트와의 마찰을 방지하는 마찰 방지용 고정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밑판 부재 중 상기 뚜껑(Cap)과 접하는 부위에 실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바이브레이터.
KR1020180137419A 2018-11-09 2018-11-09 전자 바이브레이터 KR10201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19A KR102014073B1 (ko) 2018-11-09 2018-11-09 전자 바이브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419A KR102014073B1 (ko) 2018-11-09 2018-11-09 전자 바이브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073B1 true KR102014073B1 (ko) 2019-08-26

Family

ID=67807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419A KR102014073B1 (ko) 2018-11-09 2018-11-09 전자 바이브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08A (ko)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보템시스 진동발생 시스템
KR102577679B1 (ko) * 2023-01-30 2023-09-12 파스코이엔지(주) 과실수 낙과 유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52B1 (ko) 2014-10-29 2015-05-28 파스코이엔지(주) 전자 바이브레이터
KR101528327B1 (ko) * 2014-10-29 2015-06-12 파스코이엔지(주) 진동발생기
KR101849063B1 (ko) * 2018-01-24 2018-04-16 성진하이쿨(주) 세척기용 초음파 진동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3352B1 (ko) 2014-10-29 2015-05-28 파스코이엔지(주) 전자 바이브레이터
KR101528327B1 (ko) * 2014-10-29 2015-06-12 파스코이엔지(주) 진동발생기
KR101849063B1 (ko) * 2018-01-24 2018-04-16 성진하이쿨(주) 세척기용 초음파 진동발생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08A (ko) 2020-01-17 2021-07-27 주식회사 보템시스 진동발생 시스템
KR102357838B1 (ko) 2020-01-17 2022-02-03 주식회사 보템시스 진동발생 시스템
KR102577679B1 (ko) * 2023-01-30 2023-09-12 파스코이엔지(주) 과실수 낙과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073B1 (ko) 전자 바이브레이터
US7304105B2 (en) High-density composite material
US113185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and cores
US8822008B2 (en) Replaceable wear liner
EP3875407A1 (en) Raw material supply device, device for processing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part scraps, and method for processing electronic and electric device part scraps
KR101767767B1 (ko) 평량 및 이송 장치
CN105236111A (zh) 用于转载漏斗上的角度可调式迎料板
KR101528327B1 (ko) 진동발생기
CN209651208U (zh) 一种振动盘的底盘
CN206622344U (zh) 一种新型色选机
CN206466612U (zh) 一种新型电磁振动式上料机构
KR101462164B1 (ko) 원료 공급 장치
JP6396433B2 (ja) 粉粒体分散装置
US3583077A (en) Apparatus for the introduction and directional distribution of fluidizing gas into fluidization beds
CN211034470U (zh) 一种改性沥青sbs原料缓冲投料装置
CN210709727U (zh) 一种用于给煤机的节能型落煤装置
CN210899879U (zh) 一种smt生产用产品装载装置
CN217779925U (zh) 一种下料辅助装置
CN101955052A (zh) 水泥生产工艺中的土渣输送装置k-p振动给料机
CN213678953U (zh) 一种石英砂处理系统
CA2708325A1 (en) Replaceable wear liner
CN211914483U (zh) 一种石英砂二级筛分系统
CN107407592B (zh) 组合计量装置
KR20170005596A (ko) 도징 시스템의 도징 빈 최적 배치 방법
US20070267331A1 (en) Structural Arrangement for Vibrating Equip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60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00526

Effective date: 2021022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