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145B1 -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145B1
KR102013145B1 KR1020190040201A KR20190040201A KR102013145B1 KR 102013145 B1 KR102013145 B1 KR 102013145B1 KR 1020190040201 A KR1020190040201 A KR 1020190040201A KR 20190040201 A KR20190040201 A KR 20190040201A KR 102013145 B1 KR102013145 B1 KR 10201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
site
information
terminal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희
김미송
조시범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4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B64C2201/1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3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imaging, photography or vide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larm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드론,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 및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포함한 민간인력정보를 위치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민간인력정보를 권역별로 분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을 구성하고, 드론긴급운용팀을 관리하는 비행단장의 현장 지휘소 단말을 지역별로 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현장 지휘소 단말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 및 스트리밍된 촬영영상을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도에 매핑하여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GATHERING AND SHARING SERVICE USING DRONE AT DIASTER-AFFECTED SITE BASED ON COOPERATION OF CITIZEN AND GOVERNMENT}
본 발명은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발생시 현장정보를 드론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실시간으로 상황보고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한국은 지리적, 기후적 특성으로 인하여 자연재난이 매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는 국가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연재난발생은 예측이 곤란하며, 재난발생시 대규모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공공 또는 민간 등 어느 한 부문만의 노력으로 피해를 예방하거나 극복하기 어렵다. 이에, 정부는 자연재난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댐 및 저수지 건설, 제방 구축, 홍수로 개설 등의 구조적 대책과 홍수 예보, 경보 및 대피 체계의 구축, 토지 이용 및 개발 규제 등을 통한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때, 재난관리체계는 재난을 예방하고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사전 단계와 재난 시 신속한 대응 활동을 통해 재난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사후 단계로 구분된다.
이때, 재난시 신속한 대응을 위하여 드론이 투입되어 상황을 보고하는 기술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692781호(2017년01월04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5-0045771호(2015년04월29일 공개)에는, 지역으로 드론을 출동시켜 드론의 촬영영상을 제공받고, 드론의 촬영영상과 복수의 모니터링 센서의 촬영영상 및 측정 데이터를 취합하여 검증하는 구성과, 재난과 관련된 기상 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급경사지취약도, 고조위험예측, 침수예상도, 빅데이터, 현장조사 데이터를 통합하여 하나의 지도 화면에 표출하여 재난의 전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한국의 재난사후 단계의 대응은 공공부문에서 서비스를 담당해왔는데, 관리에 필요한 자원을 광범위하게 가지고 물리적 강제력과 법적 권한의 보유로 재난관리에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이지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현대사회의 특성상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등 공공부문의 노력만으로는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한계가 존재하며, 공공부문의 효과적이지 못한 대응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화의 한계를 보정하기 위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민간부문의 재난대응 필요성 및 효용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민간부문과 공공부문 간의 재난대응체계의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민간부문의 민간 전문가의 인력풀(Pool) 및 민관공조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재난 초기에 현장에 거주하는 민간전문가를 고용하여 현장상황과 피해상황을 긴급 촬영하고, 그 영상정보를 신속하게 제보받을 수 있고, 현장의 상황을 빠르게 보고받아 현장상황의 중계 및 대응전략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제시할 수 있으며, 초동대응단계에서 상황판단 지원을 위한 분석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정부 주도하의 통일적 및 체계적인 명령의 한계를 벗어나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협력에 기반하여 종합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전략적 접근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 및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포함한 민간인력정보를 위치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민간인력정보를 권역별로 분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을 구성하고, 드론긴급운용팀을 관리하는 비행단장의 현장 지휘소 단말을 지역별로 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현장 지휘소 단말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 및 스트리밍된 촬영영상을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도에 매핑하여 업로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민간부문의 민간 전문가의 인력풀(Pool) 및 민관공조의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재난 초기에 현장에 거주하는 민간전문가를 고용하여 현장상황과 피해상황을 긴급 촬영하고, 그 영상정보를 신속하게 제보받을 수 있고, 현장의 상황을 빠르게 보고받아 현장상황의 중계 및 대응전략을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제시할 수 있으며, 초동대응단계에서 상황판단 지원을 위한 분석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정부 주도하의 통일적 및 체계적인 명령의 한계를 벗어나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의 상호협력에 기반하여 종합적이면서도 효율적인 전략적 접근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가 구현되기 위하여 민관공조 체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가 구현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에 의해 현장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 및 현장 관제소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 및 현장 관제소 서버(6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을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직접 전송하거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을 경유하여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각 지역별로 인력풀에 등록되는 비행전문가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현장 지휘소 단말(400)과 그룹채팅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 및 촬영영상을 공유하는 단말일 수 있고,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부터 현장출동명령, 촬영개시여부, 비행시간, 비행장소, 비행고도 등의 명령을 메신저 또는 MMS 등을 통하여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긴급운용단말(100)을 비행전문가의 정보 및 지역 등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각 지역의 비행전문가를 그룹핑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을 구성하고, 각 드론긴급운용팀을 관리하는 비행단장을 선정하여 드론긴급운용팀과 매핑하여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로부터 재난안전정보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재난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피해지역 및 현황정보를 수집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현장 관제소 서버(600)로부터 재난상황이 발생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현장출동이 필요하다는 메세지가 전송된 경우, 각 권역별 비행단장의 단말인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부터 드론긴급운용팀의 팀원 중 출동이 가능한 멤버를 보고받고, 메신저 내의 그룹채팅방이 생성되면 이 채널로 공유된 촬영영상을 스트리밍 또는 수신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황관리 페이지에 업로드하고, 지도에 매핑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비행단장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비행단장은, 비행전문가를 통솔하고 명령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람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민관공조 중 민에 해당하여 현장 관제소 서버(600)인 관으로부터 명령을 전달받고, 상황을 보고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부터 공유 또는 수신된 촬영영상을 중 선택된 촬영영상을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는,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재난현장상황보고 및 자료공유 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라고 기재는 하였지만, 상술한 자료를 제공하는 서버라면 공공기관이 아니라도 무방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고,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부터 드론긴급운용팀의 상황보고 및 팀 멤버나 드론이 촬영하고 있는 지역이나 영역 등을 보고받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기 설정된 포맷 또는 길이로 촬영영상이 스트리밍될 수 있도록, 현장 지휘소 단말(400) 또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촬영영상을 수신할 때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를 동기화하여 수신함으로써, 이후 매핑주제도에 썸네일을 표시할 때,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시키고, 각 위치별로 해당 영역에서 촬영된 촬영영상이 플레이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또는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배정부(320), 결정부(330), 전송부(340), 스트리밍부(350), 업로드부(360) 및 공문전송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 및 현장 관제소 서버(600)로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 및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 및 현장 관제소 서버(6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및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포함한 민간인력정보를 위치와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드론 민간 전문가는 비행 전문가와 동일한 의미로 정의한다. 여기서, 비행 전문가는 자신의 스마트 단말인 긴급운용단말(100)과 연동되는 드론을 운전할 수 있는 실력 등을 갖춘 전문가일 수 있다. 이때, 자격 요건은, 비행 경력자로 민간전문가격증으로 검증하거나, 조작능력 테스트를 받은 후 통과하거나, 전문지식이 있는지를 테스트 받은 후 이를 통과하는 등의 다양한 조건이 존재할 수 있으나, 이는 상황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국모형항공협회 민간전문자격증 구분에 따라, 연습조종자, 일반조종자, 지도조종자가 존재하는데, 일반조종자 이상인 사람만을 인력풀(Pool)에 넣을 수 있도록 정할 수도 있고, 다양한 기준과 요건이 설정, 변경, 삭제나 추가될 수 있음도 물론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저장부(310)는, 비행 전문가의 거주지역 등을 함께 매핑하여 저장하는데, 재난이 발생되었을 경우 어느 지역에서 어느 비행 전문가를 선택할지와 드론긴급운용팀을 꾸릴 때 지역을 기준으로 인력풀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물론, 거주지역 이외에도 다양한 조건이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목적은 재난 초기에 현장에 파견된(혹은 거주하는)지역 민간전문가를 활용하여 현장상황과 피해현황을 긴급 촬영하고 그 영상정보를 신속하게 제보받기 위함이다. 수급된 영상정보는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이나 지자체 재난안전상황실에 전달·공유됨으로써 현장상황과 피해현황을 신속하게 파악 및 상황대응에 활용될 수 있다.
배정부(320)는, 민간인력정보를 권역별로 분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을 구성하고, 드론긴급운용팀을 관리하는 비행단장의 현장 지휘소 단말(400)을 지역별로 배정할 수 있다. 이때, 비행단장(민(民))은, 복수의 비행 전문가로 이루어진 드론긴급운용팀을 지휘하고 통솔하는 민간인일 수 있다. 그리고, 비행단장은, 현장 관제소(관(官))의 명령을 받고 복수의 비행 전문가에게 명령을 전달하고, 현장 상황 보고를 받아 관(官)인 현장 관제소로 전달하는 사람일 수 있다. 정리하면,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 민(民))-현장 지휘소 단말(400, 민(民))-현장 관제소 서버(600, 관(官))의 체계를 이루면서, 민관공조를 이뤄낼 수 있다.
결정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운영여부는, 현장 관제소 서버(600)로부터 전달된 사항, 즉 사람이 결정한 결과일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알고리즘 등을 통하여 자동으로 결정된 결과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결정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할 때, 현장 관제소 서버(600)로 재난상황정보를 전송하고, 현장 관제소 서버(600)로부터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한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받으며, 결정된 피드백에 대응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전송부(340)는,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현장출동명령에는 적어도 하나의 비행 전문가의 연락처, 성명, 거주위치, 보유한 기술 또는 실력 등이 포함될 수 있고, 해당 비행 전문가가 현장출동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응답하라는 명령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민간인들은 현장출동을 업으로 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 한국에 없을 수도 있고, 다른 지역에서 다른 일을 하느라고 못 올 수도 있고, 또는 안전 문제 때문에 가기를 꺼려하는 등 다양한 변수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출동명령이 떨어졌다고 할지라도 해당 인력풀 리스트에 존재하는 인원의 참석여부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전송부(340)는, 명령에 피드백 요청을 넣음으로써 어떠한 기술을 가진 어느 사람이 어떠한 현장의 어느 위치에 투입되었는지를 확실히 파악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현장출동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지역별로 구성된 드론긴급운용팀 중 현장에 투입가능한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스트리밍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스트리밍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에 저장된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도록 제어하고, 분할된 촬영영상을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에서 공유된 촬영영상 중 현장 지휘소 단말(400)에서 선택된 촬영영상을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이때, 촬영영상은, MMS 또는 메신저 채널을 통하여 스트리밍될 수 있지만, 전송채널은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스트리밍부(350)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을 때,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100)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가 동기화되도록 촬영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비행전문가의 촬영위치인 긴급운용단말(100)의 위치와, 드론이 실제로 촬영한 위치는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이를 모두 수집함으로써 그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기 설정된 시간 단위는 1 분 내지 5 분일 수 있는데, 이는 스트리밍부(350) 및 긴급운용단말(100)의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에 따라 서로 달라질 수 있다. 즉, 시간 단위로 분할하여 촬영영상을 받는 이유는, 촬영영상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화소의 수가 높아질수록 스트리밍하는 도중 끊기거나 지연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정도로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이 뒤따라준다면 상술한 한정은 언제든지 변경가능할 수 있다.
업로드부(360)는, 스트리밍된 촬영영상을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도에 매핑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업로드된 촬영영상은 상황관리 페이지에 출력될 수 있고, 상황관리 페이지는 재난상황 데이터가 매핑되는 주제도를 출력하는 페이지이고, 업로드된 촬영영상의 썸네일은 촬영영상이 촬영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주제도 상에 오버레이될 수 있다. 이때, 도 5a를 참조하면, 지도에서 태풍의 경로나 정보를 출력하면서, 피해 전 및 피해 후 상황을 촬영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보여줌으로써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상황이 진행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공문 전송부(370)는, 전송부(340)에서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현장 지휘소 단말(400)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한 후, 현장출동명령이 내려진 지역의 지역 관할 서버(미도시)로 기 저장된 긴급 비행 및 촬영 허가 요청 공문을 전송할 수 있다. 즉, 비행 허가 요청이 되지 않아 협조가 되지 않는 경우, 자칫하면 추격 및 추락의 위험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공문 전송부(370)는 기 저장된 포맷의 공문에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재난자료를 자동삽입 및 변환 등을 수행하여 자동으로 공문이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수동으로 전송을 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5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민관공조기반 영상수급체계는, 드론 민간전문가 인력풀을 구성하고, 비상연락과 현장출동 및 지휘체계를 구축하며, 영상 촬영 및 전달방법을 설정하고, 원내 시스템 연계 및 표출 프로세스 구축한 후, 재난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연락체계를 가동하여 현장의 영상을 촬영하고, 영상전송 수급이 이루어지면 시스템에 표출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민관공조체계 구축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하고, 각 비행 전문가의 자격요건을 설정함으로써, 이후에는 시스템상에서 자동으로 자격검증 및 재난발생시 자동으로 연락 및 팀이 구성되어 비행단장이 존재하지 않을지라도 시스템상으로 팀 구축 및 영상수급의 플로우가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인력풀이 구축되면 이는 각 권역별로 (b) 매핑되어 저장되고, 이후에 재난이 발생된 지역을 중심으로, 이러한 비행 전문가를 컨택할 수 있는 기본 데이터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c)와 같이 민관 공조협의체가 구축될 수 있으며, 드론 전문 업체나 통신 업체 등 산업기관과의 구축도 가능할 수 있다.
이때, (d)와 같이 현장 관제소-현장 지휘소- 비행 전문가의 체계가 구축될 수 있는데, 각각의 역할을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드론긴급운용팀은 민관 공조협의체에서 광역적 범위의 재난 발생 시 신속한현장영상 촬영·수급 및 지도기반 표출을 위해 긴급 구성된 관(官)과 민(民)의 합동지원팀을 의미하지만, 본 발명의 명세서 내에서는 복수의 비행 전문가와 이를 담당하는 비행 단장의 그룹을 의미하며, 현장 관제소는 별도로 정의하여 구분하도록 한다.
이때, 현장관제소는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현장지휘소는 재난 발생지역의 비행단장(민관 공조협의체 구성원으로 지도조종사급 이상 전문성 보유자)이 현장지휘 책임을 맡고, 현장관제소에서는 재난 시 관련 상황정보 수집과 긴급드론운용팀 운영 필요 여부 판단, 현장지휘소와의 유기적인 공조체계 유지 및 운용관련 협의, 비행 및 촬영허가 등 드론 운용관련 제반문제 해결, 그리고 수급된 영상정보의 표출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현장지휘소에서 비행단장은 현장 지휘권을 갖고 발생재난과 지역특성을 고려하여 드론 비행 및 영상촬영 계획을 세우고 팀원을 통솔하여 영상촬영 및 검증 후 현장관제소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정리하면, 이하 표 1과 같다.
현장관제소 역할 현장지휘소 역할
○드론긴급운용팀 운영 총괄
○ 재난지역 및 피해현황 관련 정보 수집
○ 드론긴급운용팀 운영 필요여부 판단 및 의사결정
○ 재난지역 중심으로 민관 공조협의체 지역별 비상연락망 가동
○ 재난지역 가용 가능한 드론 민간전문가 인력 확인(민관 공조협의체)
○ 드론긴급운용팀 편성 후 현장지휘소 비행단장에게 재난상황정보 공유
○ 드론긴급운용팀 현장지휘소와의 유기적인 공조체계 유지
○ 비행·촬영허가 등 드론 운용관련 제반문제 해결
○ 촬영영상 수급 및 원내 상황관리시스템 전송·표출 방안 마련
○ 필요시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및 지자체 재난안전상황실에 수급정보 제공
○ 비행단장은 비행팀원 통솔, 비행·촬영 업무분장 등 현장지휘 총괄
○ 현장지휘소 내 현장통제·운용지원 인력(官)과의 공조체계 유지
○ 드론긴급운용팀 현장관제소와의 유기적인 공조체계 유지
○ 비행단장 주도 하 활동 가능한 비행팀원 구성 및 현장출동 준비
○ 현장지휘소 설치거점 선정 및 비행팀원 현장출동
○ 피해현황 및 지역특성 고려한 비행·촬영계획 수립 및 정보공유
○ 촬영영상 확인 및 현장관제소에 전송
그리고, 드론긴급운용팀의 현장운영 단계별 조치사항은 이하 표 2와 같다.
구분 조치사항
상황발생 현장
관제소
· 재난상황 예의주시, 피해지역 및 현황정보 수집
· 드론긴급운용팀 운영여부 판단
· 민관 공조협의체 비상연락망 가동
· [필요시] 현장통제·운용지원 인력 파견
비상연락망 가동
및 상황정보 공유
현장
관제소
· 피해·인근지역 비행단장에게 비상연락 및 상황전달
· 긴급 비행/촬영 승인 허가 등 행정처리
현장
지휘소
· 지역별 비행단장은 비상연락망 가동 비행팀원 편성
· 장비점검 등 현장출동 준비
· 비행단장은 드론긴급운용팀 멤버편성 및 준비상황을 현장관제소에 전달·정보공유
현장출동 및 지휘 현장
관제소
· 현장지휘소 멤버편성 및 준비상황 파악
· 재난상황 및 피해지역 범위 등 관련정보 전달·공유
· [필요시] 특정 피해지역 영상촬영 요청
현장
지휘소
· 현장출동 및 현장지휘소 거점 마련
· 안전성 확보를 최우선으로 활동 개시(비행단장 총괄지휘)
· 거시적 영상촬영으로 현황파악 및 정보 전달·공유
· 비행·촬영지역 내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안전한 비행·영상촬영 계획 마련
· 비행팀원 상황정보 공유 및 업무분담
현장영상 촬영 및 확인 현장
관제소
· [수시] 전송된 영상정보 확인 작업
· [필요시] 추가 영상촬영 요청
현장
지휘소
· 영상촬영 및 촬영된 영상 확인(비행단장 재량)
· [수시] 영상정보 현장관제소 전송
영상전송 및 시스템 표출 현장
관제소
· 원내 상황관리시스템 전송·표출 및 확인
· [필요시]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및 해당 지자체 상황실에 촬영영상 제공
<상황발생>
우선,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재난상황정보 수집하고 드론긴급운용팀 운영여부 결정하고, 재난상황이 발생 시에는,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우선적으로 재난상황 지역범위 및 피해현황 관련 정보를 수집 및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한다.
<비상연락망 가동 및 상황정보 공유>
그리고 나서,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비행연락망 가동하는데, 드론긴급운용팀 운영이 결정되면,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민관 공조협의체 지역 비행단장과 협회 사무국에 비상연락망을 가동하고 현장 관제소 -현장 지휘소 간의 긴밀한 연락체계를 유지한다.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비행팀원 구성 및 출동준비를 하게 되는데, 현장 지휘소 책임 비행단장은 지역 내 소속 비행팀원 비상연락망을 가동하여 활동 가능한 인원을 구성하고 필요 시 기기점검 등 현장출동 준비를 지시한다. 현장 지휘소 비행단장은 현장 관제소에 가용가능한 팀원 구성 및 출동 준비상황, 현장상황을 공유한다. 그리고,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현장지휘소에 상황정보 공유하게 되는데,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수집된 공간적 재난피해범위 및 피해현황 관련 기본 정보와 필요시 현장지도를 작성하여 현장 지휘소 비행단장(현장 지휘소 단말(400))에게 공유한다. 또한 현장 지휘소 비행단장과 상의하여 필요시 현장통제 및 운용지원 인력의 현장파견 여부를 결정한다.
<현장출동 및 지휘>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비행 및 촬영 허가 등 행정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신속하고 안전하게 드론긴급운용팀이 활동할 수 있도록 긴급 비행/촬영허가, 필요시 협회 협조공문, 재난현장에 파견된 유관기관에 알림·협조요청 등 행정적 제반업무를 담당한다.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현장출동 및 비행준비를 하게 되고, 비행단장과 비행팀원은 현장에 출동하여 적절한 위치에 현장지휘 거점을 마련하고, 기체 이상 유무, 배터리, GPS 수신 상태 등 비행준비를 한다. 비행단장은 기상여건과 주변의 위험요소를 확인하여 드론운용 및 영상촬영 계획(안)을 비행팀원들과 공유한다.
<현장영상 촬영 및 확인>
현장 지휘소 단말(400)은 현장영상 촬영 및 확인을 하게 되는데, 현장지휘소 비행단장은 현장상황과 관련정보, 현장지도를 종합 및 검토하여 영상촬영계획(안)을 수립하고 비행팀원에게 임무를 부여하고, 비행팀원은 비행단장의 통솔 및 지휘 하에 드론영상을 촬영하고 비행단장은 촬영된 영상을 최종 확인하여 현장 관제소에 전송한다. 이때,
<영상전송 및 지도기반 시스템 표출>
여기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시스템에 표출하고,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에 이를 공유하게 된다. 이때, 현장 관제소 서버(600)는,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현장 관제소 서버(600)의 역할은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상술한 단계 중 현장출동 및 지휘와, 현장영상 촬영 및 확인 단계에서 현장 지휘소 측의 체크사항 및 수행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이때, 비행단장 및 비행 전문가들은 현장에 도착하여 환경을 점검하고, 기체조립 및 비행준비를 한 후, 드론을 비행시키면서 촬영된 영상을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각 단계를 도시한다. 이때, 전송방법은 전용 송신 인터페이스나, 범용 메신저 공유 인터페이스 등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공유 및 전송이 가능함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5는 이렇게 촬영된 영상이 매핑주제도 등의 지도상에 표출이 되는 화면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태풍이 지나가는 상황을 데이터로 출력하는 것 뿐만 아니라, 시간에 따라 태풍의 경로와, 태풍이 지나가기 전과 후의 변이를 촬영영상 및 프레임 등으로 도시함으로써, 재난에 대처해야 할 방법 등을 신속정확하게 모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드론,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 및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포함한 민간인력정보를 위치와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6100).
그리고,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는, 민간인력정보를 권역별로 분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을 구성하고, 드론긴급운용팀을 관리하는 비행단장의 현장 지휘소 단말을 지역별로 배정하고(S6200),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한다(S6300).
또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는,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현장 지휘소 단말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고(S6400),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다(S6500).
마지막으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는, 스트리밍된 촬영영상을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도에 매핑하여 업로드한다(S6600).
이와 같은 도 6의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드론으로 재난현장의 정보를 수집하는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드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과 연동되는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 및 기 설정된 드론조종자격을 충족한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포함한 민간인력정보를 위치와 매핑되도록 저장하되, 상기 민간인력정보 및 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민간인력정보를 권역별로 분류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을 구성하고, 상기 드론긴급운용팀을 관리하는 비행단장의 현장 지휘소 단말을 지역별로 배정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현장 지휘소 단말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
    상기 스트리밍된 촬영영상을 위치에 대응되도록 지도에 매핑하여 업로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된 촬영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이미지는 시계열순으로 정렬되어 상기 지도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에 저장된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분할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분할된 촬영영상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영상은, MMS 또는 메신저 채널을 통하여 스트리밍되는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에서 공유된 촬영영상 중 상기 현장 지휘소 단말에서 선택된 촬영영상을 상기 현장 지휘소 단말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현장 관제소 서버로 상기 재난상황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현장 관제소 서버로부터 재난상황정보에 기반한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받는 단계;
    상기 결정된 피드백에 대응하여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실행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지휘소 단말은,
    상기 현장출동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지역별로 구성된 드론긴급운용팀 중 현장에 투입가능한 드론 민간 전문가의 정보를 상기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촬영영상을 기 설정된 시간 단위로 나누어 스트리밍받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긴급운용단말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드론의 위치 정보 및 시간 정보가 동기화되도록 상기 촬영영상을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단위는 1 분 내지 5 분인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된 촬영영상은 상황관리 페이지에 출력되고,
    상기 상황관리 페이지는 재난상황 데이터가 매핑되는 주제도를 출력하는 페이지이고,
    상기 업로드된 촬영영상의 썸네일은 상기 촬영영상이 촬영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주제도 상에 오버레이되는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긴급운용팀의 운영여부가 결정되는 경우, 상기 현장 지휘소 단말로 현장출동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현장출동명령이 내려진 지역의 지역 관할 서버로 기 저장된 긴급 비행 및 촬영 허가 요청 공문 파일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9. 삭제
  10.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40201A 2019-04-05 2019-04-05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01A KR102013145B1 (ko) 2019-04-05 2019-04-05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01A KR102013145B1 (ko) 2019-04-05 2019-04-05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45B1 true KR102013145B1 (ko) 2019-08-27

Family

ID=6780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01A KR102013145B1 (ko) 2019-04-05 2019-04-05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4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58B1 (ko) * 2020-10-07 2021-03-19 대한민국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CN112758324A (zh) * 2021-01-25 2021-05-07 国网甘肃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无人机人工智能巡检的数据信息传输及智能诊断系统
KR102315971B1 (ko) * 2020-10-12 2021-10-21 대한민국 드론 긴급 운용팀 운영지원 사용자 및 재난 정보 전송 표출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231B1 (ko)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드론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KR20220120076A (ko) 2021-02-23 2022-08-30 (주)메타파스 무인 항공기의 실시간 의사결정 시스템 및 방법
DE102021212347A1 (de) 2021-11-02 2023-05-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Unterstützung in einer Notfallsitua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94A (ko) *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70095505A (ko) * 2016-02-15 2017-08-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으로 수집한 영상을 이용한 구조 정보 생성 방법
KR20180018154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승우 임무용 드론을 신속히 출동시킬 수 있는 장거리 드론 서비스 시스템
KR20180056326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승우 비행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2694A (ko) * 2015-08-21 2017-03-02 주식회사 제이비티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70095505A (ko) * 2016-02-15 2017-08-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론으로 수집한 영상을 이용한 구조 정보 생성 방법
KR20180018154A (ko) * 2016-08-12 2018-02-21 주식회사 승우 임무용 드론을 신속히 출동시킬 수 있는 장거리 드론 서비스 시스템
KR20180056326A (ko) * 2016-11-18 2018-05-28 주식회사 승우 비행체를 이용한 통신서비스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58B1 (ko) * 2020-10-07 2021-03-19 대한민국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KR102315971B1 (ko) * 2020-10-12 2021-10-21 대한민국 드론 긴급 운용팀 운영지원 사용자 및 재난 정보 전송 표출판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231B1 (ko) * 2020-12-10 2021-11-08 대한민국 드론 및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재난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CN112758324A (zh) * 2021-01-25 2021-05-07 国网甘肃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无人机人工智能巡检的数据信息传输及智能诊断系统
KR20220120076A (ko) 2021-02-23 2022-08-30 (주)메타파스 무인 항공기의 실시간 의사결정 시스템 및 방법
DE102021212347A1 (de) 2021-11-02 2023-05-0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r Unterstützung in einer Notfallsit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145B1 (ko)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US10178537B2 (en) Emergency messaging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emergency
US20180025458A1 (en) Self-customizing, multi-tenanted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gathering and disseminating real-time visual intelligence on utility asset damage enabling automated priority analysis and enhanced utility outage response
US7720458B2 (en) Rapidly deployable emergency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Meissner et al. Design challenges for an integrated disaster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US20020188522A1 (en) Collecting, analyzing, consolidating, delivering and utilizing data relating to a current event
CA3016562C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athering information
JP5172227B2 (ja) 非常時情報通信システム、非常時情報通信方法及び非常時情報通信プログラム
CN103812052A (zh) 一种用于无人机输电线路巡检的集中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3823449A (zh) 用于无人机输电线路巡检的集中监控子系统及监控方法
CN104951874A (zh) 一种自动警员调度系统及用其进行报警、接处警的方法
ZA200409642B (en) System for managing real estate properties
KR20110099905A (ko) 표준작전절차 시나리오 기반의 재난 및 위기관리시스템과 그 방법
US9824315B2 (en) Response planning and execution aiding system and method
CN106027969A (zh) 移动视频监控平台
JP2023089295A (ja) 監視制御装置、監視方法および監視プログラム
KR20140120247A (ko) 통합 관제 시스템
CN112615689B (zh) 一种事故灾难应急广播系统及方法
US20150186896A1 (en) System and method of relatime inpsection of remote facility
Başdere et al. Acute incident rapid response at a mass-gathering event through comprehensive planning systems: a case report from the 2013 Shamrock Shuffle
US20220022020A1 (en) Report processing apparatus, report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Inoguchi et al. Establishment of work-flow for roof damage detection utilizing drones, human and AI based on human-in-the-loop framework
CN111739346A (zh) 空地协同调度指挥方法和平台系统
CN108012253A (zh) 一种高效安全的应急指挥系统
US20230360151A1 (en) Self-customizing, multi-tenanted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gathering and disseminating real-time visual intelligence on utility asset damage enabling automated priority analysis and enhanced utility outage respon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