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2500B1 -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 Google Patents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2500B1
KR102012500B1 KR1020190058642A KR20190058642A KR102012500B1 KR 102012500 B1 KR102012500 B1 KR 102012500B1 KR 1020190058642 A KR1020190058642 A KR 1020190058642A KR 20190058642 A KR20190058642 A KR 20190058642A KR 102012500 B1 KR102012500 B1 KR 10201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cooling
disposed
coils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동한
Original Assignee
(주)신우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전기 filed Critical (주)신우전기
Priority to KR102019005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25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085Cooling by ambient ai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5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coo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8Cooling; Ventilating
    • H01F27/10Liquid cooling
    • H01F27/18Liquid cooling by evaporat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7Encapsulating or impregnating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프레임(10)과; 하부 프레임(20)과; 3개의 코일(30a-30c)과; 상부 프레임(40)과; 4개의 보조 프레임(50a-50d)과;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45a,45b)와;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을 구비하고, 3개의 코일(30a-30c)로 에어를 안내하도록 3개의 코일(30a-30c)을 둘러싸는 가이드 조립체(60)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62)과 에어 공급원(68)을 구비하고, 3개의 코일(30a-30c)의 외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송풍장치(70)와; 상기 냉각실(22)로부터 배출된 냉기를 3개의 코일(30a-30c)의 내측과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각각 3개의 코일(30a-30c)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3개의 냉각덕트(80a-80c)와; 상기 하부 프레임(20)측에 배치된 냉각실(22)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배관(75)의 냉매유로(72)를 흐르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증발기(74)를 구비하는 냉각장치(90)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35)로부터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Mold transformer having cooling function}
본 발명은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 변압기나 외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켜 몰드 변압기의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몰드 변압기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코일을 에폭시 수지로 몰딩한 고체 절연방식의 변압기이다.
종래 몰드 변압기는 소형일 경우에는 자연 냉각으로도 과열을 방지할 수 있으나, 대형화될 경우 자연 냉각만으로는 냉각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송풍팬을 설치하여 강제 송풍을 통해 과열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송풍팬을 적용한 몰드변압기의 냉각장치의 일예로, 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1062호)이 공지되어 있고, 상기 특허문헌 1은 흡기구 및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함체; 상기 함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변압기의 철심을 고정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변압기의 권선 상부에 위치하여 덕트에 연결되어 있는 후드; 및 상기 변압기의 권선 상단면 또는 상부 외주면을 밀폐하며 후드와 결합되어 있는 절연격판을 포함하며, 상기 흡기구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변압기권선 내부를 통과하여 후드의 상면배기팬을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는 변압기권선 외부를 냉각하고 배기구의 측면배기팬을 통해 배기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1은 흡기구를 통해 유입된 냉각공기를 변압기 권선의 상측으로 분사하게 되지만, 냉각공기가 상부로 올라감에 따라 냉각공기의 온도가 떨어지게 되므로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은 송풍팬(상면 후드, 상면 배기팬 및 덕트 등)의 공간이 확보되어야만 설치가 가능하므로 대용량이면서 소형인 몰드 변압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10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에 의해 유지비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실로부터 배출된 냉각 공기를 냉각 덕트와 개별적으로 결합이나 해제할 수 있고, 아울러 송풍판과 냉각 덕트를 연결하여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동시에 동작시킴에 의해 냉각 공기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변압기를 냉각시키므로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3개의 코일과; 상기 코일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3개의 코일의 양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보조 프레임과; 상기 4개 보조 프레임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4개의 보조 프레임 중 코일의 양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보조 프레임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연결되는 한쌍의 엘엠레일과, 상기 한쌍의 엘엠레일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는 한쌍의 엘엠가이드와, 각각 상기 한쌍의 엘엠가이드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3개의 코일 수에 대응하여 반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요철부를 갖는 제1 및 제2 송풍판을 구비하고, 3개의 코일로 에어를 안내하도록 3개의 코일을 둘러싸는 가이드 조립체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과, 상기 노즐에 배치되고 노즐로 부터 나오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 압력 조절모듈과,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노즐 튜브와, 상기 노즐 튜브의 일측에 배치된 에어 조절 밸브와, 상기 노즐 튜브와 연결되는 에어 공급원을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코일의 외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냉각실로부터 배출된 냉기를 3개의 코일의 내측과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각각 3개의 코일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부에 제1 및 제2 송풍판의 요철부와 결합되는 요홈부가 배치되고, 하부에 냉각실의 3개 통로와 결합되는 3개의 통로가 배치되는 3개의 냉각덕트와; 상기 하부 프레임측에 배치된 냉각실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배관의 냉매유로를 흐르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와 간격을 두고 냉각실의 외부에 배치되고 증발기에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압축기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각해 응축하는 응축기와, 상기 증발기측으로 흐르는 냉매를 저압으로 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압축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 냉각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인 경우에는 송풍장치와 냉각장치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제1온도범위와 상기 제1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인 제2온도범위의 2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제어하며, 상기 제1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범위인 경우 송풍장치만을 동작시키고, 제2온도 범위인 경우 냉각장치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되어 송풍장치와 냉각장치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때, 우선적으로는 송풍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가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의 하부를 냉각덕트의 요홈부에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된 냉각실은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팬(21)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실의 상측에는 3개의 코일의 하부측에 대응되게 3개의 통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의 하부에는 냉각공기를 3개의 통로로 이송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봐와 같이,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는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에 의해 유지비용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 온도에 상응하여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냉각 효율의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는 냉각실과 냉각덕트를 나사 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결합 및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아울러, 송풍판과 냉각덕트 및 냉각실을 연결할 수 있게 구성되므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냉각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는 송풍장치와 냉각장치를 동시에 동작시킴에 의해 냉각 공기가 상부로 올라가면서 변압기를 냉각시키므로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와 냉각덕트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노즐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판과 송풍판 커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적용된 몰드 변압기(100)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몰드 변압기(100)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프레임(10)과, 하부 및 상부 프레임(20,40)과, 3개의 코일(30a-30c)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 변압기(100)는 3상 변압기인 경우 자기회로를 형성하는 코어(42)의 길이 방향으로 예를 들어, 3개의 코일(30a-30c)이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몰드 변압기(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시하지 않았지만 코일(30a-30c)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코일(30a-30c)은 예를 들어, 권선부분의 외주를 에폭시수지에 의해 몰딩된 완충부재(51a-51c)로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전면과 상면에는 코일에 대한 1차전압과 2차전압이 인가되는 1차측 및 2차측 단자와, 1차측 단자의 결선을 위한 상간리드, 탭절환단자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지면에 3개의 코일(30a-30c)이 설치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사각형 형태나 평행한 일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지면(G)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20)은 우선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40)은 3개의 코일(30a-30c)의 하부와 상부에 배치되며, 코어(42)를 양측에서 가압하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일(30a-30c)은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하부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40)의 사이에 배치되며, 여기서는 3개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나타낸다.
또한, 복수개의 코일(30a-30c)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와, 복수개의 코일(30a-30c)과 상부 프레임(40) 사이에는 복수개의 코일(30a-30c)의 절연거리를 유지하면서 구조물의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며 하부 및 상부 프레임(20,4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스페이서(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변압기의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추가로 4개의 보조 프레임(50a-50d)과, 측면 플레이트(45a,45b)와, 가이드 조립체(60)와, 송풍장치(70)와, 3개의 냉각덕트(80a-80c)와, 냉각장치(90)와, 송풍판 커버(110)와,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베이스 프레임(10)은 지면(G)에 3개의 코일(30a-30c)이 설치되는 부분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각형 형태나 평행한 일자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양측 하부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개의 고정판(11)과, 상기 고정판(11)에 결합된 샤프트(13)와, 상기 샤프트(13)에 삽설된 탄성부재(15)로 이루어진 내진 완충부(16)를 양단부에 포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은 기본적으로 상,하 방향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프레임(20)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내측에는 냉각실(22)이 배치된다. 상기 냉각실(22)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팬(21)이 배치되고, 상측에는 3개의 코일(30a-30c)의 하부측에 대응되게 3개의 통로(23)가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하부측에는 냉각공기를 이송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26)이 적어도 한 개 이상 배치된다.
상기 냉각실(22)에 배치된 공기 유입팬(21)의 일측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적어도 한개의 필터(25)가 배치된다. 또한, 상기 냉각실(22)의 3개의 통로(23)의 외측에는 각각 수나사(23a)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23a)는 후술하는 냉각덕트(80a-80c)의 통로(24)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24a)와 나사 결합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실(22)의 내,외측에 배치되는 냉각장치(90)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코일(30a-30c)은 하부 프레임(20)과 상부 프레임(40)의 사이에 적어도 한개 이상 배치되며, 여기서는 3개가 배치된 것을 일예로 나타낸다. 상기 3개의 코일(30a-30c)은 코어(42)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프레임(40)은 코일(30a-30c)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보조 프레임(50a-50d)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개의 코일(30a-30c)의 양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4개 보조 프레임(50a-50d)의 양측단에는 각각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45a,45b)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45a,45b)는 4개 보조 프레임(50a-50d)을 안정되게 지지하며, 각각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조립체를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조립체(60)는 상기 3개의 코일(30a-30c)의 양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보조 프레임(50a-50d)과 3개의 코일(30a-30c)에 대응하여 3개의 반원통이 상호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3개의 코일(30a-30c)을 양측에서 둘러싸도록 좌측 및 우측이 대칭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가이드 조립체(60)는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상부와 하부 보조 프레임(50a,50b; 50c,50d) 사이에 각각 양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엘엠레일(52)과, 상기 엘엠레일(52)에 각각 일단부가 설치되는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54)와, 상기 엘엠가이드(54)의 선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3개의 코일(30a-30c)을 양측에서 둘러싸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하부에는 냉각덕트(80a-80c)와의 결합을 위해 복수의 요철부(5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엘엠레일(52)은 한쌍의 보조 프레임(50a-50d)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엘엠가이드(54)는 각각 제1 및 제2 엘엠레일(5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엘엠레일(52)과 엘엠가이드(54)는 공지된 리니어 이동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엘엠가이드(54)에 연결되어 엘엠레일(5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3개 코일(30a-30c)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게 반원통 형태의 3개를 연결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도시되지 않은 연결부(반원통 형태 송풍판과 다른 반원통 형태 송풍판 연결시 사용되는 절첩부)를 이용하여 반원통 형태 1개씩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반원통 형태 3개를 일체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기부(1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122)는 후술하는 송풍판 커버(110)의 복수개의 끼움부(112)에 끼워지게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122)는 일측에 배치된 탄성부재(124)와 상기 탄성부재(124)에 끼워진 볼(126)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볼(126)은 도시되지 않은 홈에 끼워지고 내측에 배치된 탄성부재(12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구성된다.
상기 송풍장치(70)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개의 노즐(62)과, 상기 노즐(62)에 배치되고 노즐(62)로부터 나오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 압력 조절모듈(64)과,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62)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노즐 튜브(66)와, 상기 노즐 튜브(66)의 일측에 설치된 에어 조절 밸브(67)와, 상기 노즐 튜브(66)와 연결되는 에어 공급원(68)으로 구성된다. 에어 공급원(68)은 각종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노즐(6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노즐 헤드부(61)와 노즐 몸체(63)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나사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노즐 압력 조절모듈(64)은 노즐 몸체(63)의 중앙에 배치되는 체결부(162)와, 상기 체결부(162)의 내측에 설치된 누름부(164)와, 상기 체결부(162)의 양측에 배치된 패킹부재(166)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162)는 사용자가 체결부(162)를 좌,우로 회동시킴에 의해 누름부(164)가 에어 통로(도시되지 않음)의 일부(직경)를 줄이거나 늘리게 동작하게 되므로 노즐(62)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노즐몸체(63)는 노즐튜브(66)와 나사결합이나 체결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조절 밸브(67)는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함은 물론 공급 및 차단의 역할도 수행하는 밸브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냉각덕트(80a-80c)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실(22)로부터 배출된 냉기를 3개의 코일(30a-30c)의 내측과 외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코일(30a-30c)과 냉각실(22)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냉각덕트(80a-80c)는 상부에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요철부(53)과 결합되는 요홈부(55)를 구비하며 하부에 냉각실(22)의 통로(23)와 결합되는 통로(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55)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요철부(53)와 결합시켜 외부로 냉기가 빠지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므로 가능한 냉각덕트(80a-80c)와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외경은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냉각덕트(80a-80c)와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외경이 다를 경우 중공부를 배제한 원통형태의 두께를 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냉각덕트(80a-80c)와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외경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덕트(80a-80c)는 냉각실(22)과 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냉각덕트(80a-80c)의 하부에 배치된 통로(24)의 내측에는 암나사(24a)가 형성된다. 상기 통로(24)에 배치된 암나사(24a)는 냉각실(22)의 통로(23)의 외측에 배치된 수나사(23a)와 나사 결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덕트(80a-80c)는 개별적으로 냉각실(22)과 결합 및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아울러, 불량시 교체작업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냉각장치(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0)의 내측 및 외측에 배치되고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유로(7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냉각장치(90)는 하부 프레임(20)에 형성된 냉각실(22)에 배치되고 유입된 공기와 냉매유로(72)를 흐르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증발기(74)와, 상기 증발기(74)와 간격을 두고 냉각장치(90)의 케이싱(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배치되고 증발기(74)에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압축기(76)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고 압축기(7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78)와, 상기 압축기(76)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압축기(76)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각해 응축하는 응축기(82)와, 상기 증발기(74)측으로 흐르는 냉매를 저압으로 하는 팽창밸브(84)와, 상기 구동모터(78)를 제어하여 압축기(76)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6)을 포함하고 있다.
외부로부터 공기유입팬(21)을 거쳐서 냉각실(22)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74)에서 냉매와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배출팬(26)의 작동에 따라 냉각실(22)로부터 냉각덕트(80a-80c)를 거쳐서 코일(30a-30c)측으로 흐르게 된다. 즉, 냉각된 공기는 배출팬(26)의 작동에 의해 냉각실(22)의 3개의 통로(23)로부터 3개의 냉각덕트(80a-80c)로 이송되고 3개의 냉각덕트(80a-80c)에 배치된 3개의 코일(30a-30c)의 내측 및 외측으로 냉각된 공기가 전달되어 코일(30a-30c)을 냉각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유닛(86)은 상기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냉각장치(90)의 압축기(76)를 구동하는 구동모터(78)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1 온도센서(35)로부터 전송받은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메모리장치를 내장한 마이콤(micom)이나 별도의 메모리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프로그래밍 가능한 논리 소자나 어레이(programmable logic array), 마이크로컨트롤러, 신호 처리기,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메모리장치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포함하여 공기 유입팬(21), 배출팬(26), 가이드 조립체(60)의 엘엠가이드(54)와 엘엠레일(52) 등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시스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냉각장치(90)를 정밀하게 제어하도록 냉각실(22)의 일측에 제2 온도센서(85)를 설치하고 제2 온도센서(85)로부터 검출된 냉각실(22)의 온도에 따라 제어부(130)는 냉각장치(9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제2 온도센서(85)로부터 검출된 냉각실(22)의 온도에 따라 냉각장치(90)의 제어유닛(86)을 제어함에 의해 냉각실(2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이면 구동모터의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고,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구동모터의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이면 노말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어유닛(86)은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냉각실(2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일 때, 현재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값과의 차이값이 증감함에 따라 냉각장치(90)의 구동모터의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35)로부터 전송받은 검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인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어느 하나만, 우선적으로는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키고, 설정된 온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검출된 현재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모두 동작시키지 않는다. 이 경우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하부가 냉각덕트(80a-80c)의 요홈부(55)에 삽입되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로서 자연대류에 의해 코일(30a-30c)의 내/외부를 냉각하게 된다.
만약, 검출된 현재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인 경우, 제어부(130)는 현재온도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값과의 차이값이 증감함에 따라 송풍장치(70)의 풍량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검출된 현재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이고 외부온도가 이상고온인 경우, 제어부(130)는 송풍장치(70) 대신에 냉각장치(90)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온도센서(35)의 검출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송풍장치(70)나 냉각장치(90)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게 된다. 여기서, 설정된 온도 범위는 송풍장치(70)가 냉각장치(90)에 비하여 5℃ 내지 10℃ 낮게 책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30℃ 이상인 경우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키게 되고, 외부 온도가 36℃ 이상인 경우에는 송풍장치(7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냉각장치(90)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제1 온도센서(35)의 검출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외부 온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설정된 전체 온도 범위가 30℃ 내지 40℃ 범위이고, 제어부(130)는 30℃ 내지 35℃ 범위(즉, 제1온도 범위)인 경우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키고, 36℃ 내지 40℃ 범위(즉, 제2온도 범위)인 경우 냉각장치(90)를 동작시키며, 40℃를 초과하는 경우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설정된 온도 범위가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키는 제1온도 범위와 냉각장치(90)를 동작시키는 제2온도 범위로 나누어서 제어하거나, 설정된 온도 범위를 2개의 구간으로 나누지 않고 하나의 구간으로 관리하면서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판과 송풍판 커버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송풍판 커버(110)는 가이드 조립체(60)의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판 커버(110)의 외주연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배기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홀(114)은 슬라이드 부재(116)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실(22)의 일측에 배치된 공기 유입팬(21)을 구동시킴에 따라 외부공기가 냉각실(22)의 내부로 유입된다. 코일(30a-30c)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모두 작동시키지 않게 되고, 자연대류에 의해 코일(30a-30c)의 내외부를 냉각하게 된다.
이 상태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하부가 냉각덕트(80a-80c)의 요홈부(55)에 삽입되어 결합되지 않은 상태이다.
변압기 주변의 외부온도의 상승과 몰드 변압기(105)의 작동에 따라 코일(30a-30c)의 내부로부터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제1 송풍판(56a)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35)에 의해 검출된 온도도 상승하게 되며, 제어부(130)는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지 아니면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먼저, 설정된 전체 온도 범위를 제1온도범위와 제2온도범위의 2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제어하는 경우는 제1 온도센서(35)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전체 온도 범위 중 제1온도 범위인 경우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키고, 제2온도 범위인 경우 냉각장치(90)만을 동작시키며, 전체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동작시킬 수 있다.
설정된 온도 범위를 하나의 구간으로 관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30)는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며, 우선적으로는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러나,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이고 이상 고온 또는 계절에 따라 제어부(130)는 송풍장치(70) 대신에 냉각장치(90)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키면서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하부를 냉각덕트(80a-80c)의 요홈부(55)에 삽입시켜 결합하도록 제어한다.
가이드 조립체(60)의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과 각각 연결된 엘엠가이드(54)를 엘엠레일(52)을 따라 이동시켜 몰드 변압기(105)의 복수개의 코일(30a-30c)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3개의 반원통 형태로 구성되고 양측에 각각 배치되므로 3개의 코일(30a-30c)의 측면을 커버하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을 다시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요철부(53)를 냉각덕트(80a-80c)의 요홈부(55)에 삽입시켜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송풍장치(70)의 에어 공급원(68)은 노즐튜브(66)를 거쳐서 복수개의 노즐(62)로부터 에어를 3개의 코일(30a-30c)측으로 분사하여 코일(30a-30c)을 냉각시킨다.
그러나, 복수개의 노즐(62)에 의해 3개의 코일(30a-30c)측으로 에어를 분사함에도 제1 온도센서(35)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을 경우에는 추가로 노즐(62)의 노즐 몸체(62)에 배치된 체결부(162)를 회전시켜 누름부(164)가 에어 통로(도시되지 않음)를 줄여서 에어의 압력을 높게 하여 고압 에어를 분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에어 조절 밸브(67)를 이용하여 추가로 에어 공급원(68)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여 에어의 압력을 더 높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송풍장치(70)를 작동시켜도 코일(30a-30c)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을 경우(제1 송풍판(56a)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35)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30)는 송풍장치(7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낮은 온도의 에어를 코일(30a-30c)로 공급하도록 냉각장치(9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검출된 현재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 이내에서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송풍장치(70)의 풍량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수행할 수 도 있다.
또한,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되거나 설정된 전체 온도 범위를 제1온도범위와 제2온도범위의 2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제어할 때, 검출된 온도가 제2온도 범위인 경우, 또한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냉각장치(90)를 동작시킨다.
이제, 냉각장치(90)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냉각실(22) 외부에 배치된 케이싱(실외기)에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냉각장치(9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유닛(86)을 포함하고 있다.
구동모터(78)의 작동에 따라 압축기(76)는 증발기(74)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증발기(74)로부터 오는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냉매로 바꾸어 응축기(82)로 보낸다.
응축기(82)는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중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바꾸며, 엔탈피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응축기(8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84)를 통과하면서 속도는 증가하고, 압력은 떨어지게 되며, 압력 하강에 의해 온도도 같이 떨어지게 된다. 즉, 저온, 저압이 된다.
저온, 저압의 냉매는 냉각실(22) 내부에 배치된 증발기(74)를 통과하면서 냉각실(22)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차가워지고 냉매는 엔탈피가 높아지면서 기체 상태로 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냉각실(22)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증발기(74)에서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후, 냉각된 차가운 공기(냉각 공기)는 배출팬(26)에 의해 냉각실(22)의 3개의 통로(23)를 거쳐서 3개의 냉각덕트(80a-80c)로 안내된다. 이 경우, 상기 3개의 냉각덕트(80a-80c)의 내측에는 몰드 변압기(105)의 3개의 코일(30a-30c)의 하부 부분이 대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냉각덕트(80a-80c) 내부로 공급된 차가운 공기(냉각 공기)는 코일(30a-30c)의 내측 및 외측으로 유입되면서 코일(30a-30c)을 냉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냉각장치(90)는 증발기(74)만이 냉각실(22)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요소들은 모두 상기 냉각실(22) 외부의 케이싱(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외부의 케이싱에는 압축기(76)의 구동모터(78)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6)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유닛(86)은 제어부(130)의 제어를 받아서 압축기(76)의 회전속도를 제어함에 의해 증발기(74)의 열교환 수행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74)의 열교환 수행능력은 증발기의 온도 함수와 관련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130)는 제2 온도센서(85)로부터 검출된 냉각실(22)의 온도에 따라 냉각장치(90)의 제어유닛(86)을 제어함에 의해 냉각실(2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의 하한값 미만이면 구동모터의 속도를 저속으로 유지하고,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면 구동모터의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며, 설정된 온도 범위 내이면 노말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장치(90)는 송풍장치(70)에 의해 몰드 변압기(105)의 3개의 코일(30a-30c)을 에어로 코일(30a-30c)의 외부만을 냉각시키는 것에 비하여 3개의 코일(30a-30c)의 내측 및 외측을 냉각하게 되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코일의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는 다양한 종류의 전력용 고압변압기 분야는 물론 전자제품 분야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0: 베이스 프레임 11: 고정판
13: 샤프트 15: 탄성부재
16: 내진 완충부 20: 하부 프레임
21: 공기 유입팬 22: 냉각실
23,24: 통로 25: 필터
26: 배출팬 30a-30c: 코일
40: 상부 프레임 42: 코어
45a,45b: 측면 플레이트 50a-50d: 보조 프레임
52: 엘엠레일 53: 요철부
54: 엘엠가이드 55: 요홈부
56a,56b: 송풍판 60: 가이드 조립체
61: 노즐 헤드부 62: 노즐
63: 노즐 몸체 64: 노즐 압력 조절모듈
66: 노즐 튜브 68: 에어공급원
70: 송풍장치 72: 냉매유로
74: 증발기 75: 배관
76: 압축기 78: 구동모터
80a-80c: 냉각덕트 82: 응축기
84: 팽창밸브 85: 제2온도센서
86: 제어유닛 35: 제1온도센서
90: 냉각장치 100: 몰드 변압기
110: 송풍판 커버 112: 끼움부
114: 배기홀 122: 돌기부
130: 제어부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 프레임(20)과;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상부에 배치되는 3개의 코일(30a-30c)과;
    상기 코일(30a-30c)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프레임(20)과 간격을 두고 일렬로 배치되는 상부 프레임(40)과;
    상기 3개의 코일(30a-30c)의 양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4개의 보조 프레임(50a-50d)과;
    상기 4개의 보조 프레임(50a-50d)의 양측단에 각각 연결되며 각각의 하단부는 하부 프레임(2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좌측 및 우측 측면 플레이트(45a,45b)와;
    상기 4개의 보조 프레임(50a-50d) 중 코일(30a-30c)의 양측 상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보조 프레임(50a,50b; 50c,50d)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연결하도록 양단부가 연결되는 한쌍의 엘엠레일(52)과, 상기 한쌍의 엘엠레일(52)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되는 한쌍의 엘엠가이드(54)와, 각각 상기 한쌍의 엘엠가이드(54)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3개의 코일 수에 대응하여 반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하부에 요철부(53)를 갖는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을 구비하고, 3개의 코일(30a-30c)로 에어를 안내하도록 3개의 코일(30a-30c)을 둘러싸는 가이드 조립체(60)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내측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62)과, 상기 노즐(62)에 배치되고 노즐(62)로부터 나오는 에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노즐 압력 조절모듈(64)과,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노즐(62)에 에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노즐 튜브(66)와, 상기 노즐 튜브(66)의 일측에 배치된 에어 조절 밸브(67)와, 상기 노즐 튜브(66)와 연결되는 에어 공급원(68)을 구비하고, 상기 3개의 코일(30a-30c)의 외부로 에어를 분사하는 송풍장치(70)와;
    상기 하부 프레임(20)측에 배치된 냉각실(22)로부터 배출된 냉기를 3개의 코일(30a-30c)의 내측과 외측으로 안내하도록 각각 3개의 코일(30a-30c)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부에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요철부(53)와 결합되는 요홈부(55)가 배치되고, 하부에 냉각실(22)의 3개 통로(23)와 결합되는 3개의 통로(24)가 배치되는 3개의 냉각덕트(80a-80c)와;
    상기 하부 프레임(20)측에 배치된 냉각실(22)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배관(75)의 냉매유로(72)를 흐르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하는 증발기(74)와, 상기 증발기(74)와 간격을 두고 냉각실(22)의 외부에 배치되고 증발기(74)에서 온도가 상승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76)와, 상기 압축기(76)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78)와, 상기 압축기(76)에서 압축된 냉매를 냉각해 응축하는 응축기(82)와, 상기 증발기(74)측으로 흐르는 냉매를 저압으로 하는 팽창밸브(84)와, 상기 압축기(76)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유닛(86)을 구비한 냉각장치(90)와;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일측에 배치된 제1 온도센서(35)로부터 검출된 온도에 기초하여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제어하는 제어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제1 온도센서(35)로부터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인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동작시키고,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온도 범위를 제1온도범위와 상기 제1온도범위보다 높은 온도인 제2온도범위의 2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서 제어하며,
    상기 제1 온도센서(35)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상기 제1온도 범위인 경우 송풍장치(70)만을 동작시키고, 제2온도 범위인 경우 냉각장치(90)만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검출된 온도가 설정된 온도 범위에 해당되어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때, 우선적으로는 송풍장치(70)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가 송풍장치(70)와 냉각장치(90) 중 적어도 하나를 동작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하부를 냉각덕트(80a-80c)의 요홈부(55)에 삽입시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20)의 내측에 배치된 냉각실(22)은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입팬(21)이 설치되고, 상기 냉각실(22)의 상측에는 3개의 코일(30a-30c)의 하부측에 대응되게 3개의 통로(23)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상기 냉각실(22)의 하부에는 냉각공기를 3개의 통로(23)로 이송시켜 배출하기 위한 배출팬(26)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조립체(60)의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의 상부에 배치되어 송풍판(54)의 상부를 커버하는 송풍판 커버(1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조립체(60)의 제1 및 제2 송풍판(56a,56b)은 상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돌기부(122)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돌기부(122)는 송풍판 커버(110)의 복수개의 끼움부(112)에 끼워지며,
    상기 송풍판 커버(110)의 외주연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배기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홀(114)은 슬라이드 부재(116)에 의해 개폐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7. 삭제
  8. 삭제
KR1020190058642A 2019-05-20 2019-05-20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KR102012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42A KR102012500B1 (ko) 2019-05-20 2019-05-20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642A KR102012500B1 (ko) 2019-05-20 2019-05-20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2500B1 true KR102012500B1 (ko) 2019-08-20

Family

ID=6780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642A KR102012500B1 (ko) 2019-05-20 2019-05-20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2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013A (ko) *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변압기 냉각 장치, 냉각 시스템, 냉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냉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601817B1 (ko) * 2023-06-08 2023-11-13 오혜미 변압기 개별 냉각이 가능한 몰드 변압기
CN117766265A (zh) * 2024-02-21 2024-03-26 山东中鸿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变压器散热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56B1 (ko) * 2011-12-02 2013-02-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변압기의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4149B1 (ko) * 2014-06-26 2015-09-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몰드 변압기용 냉각 시스템
KR101793102B1 (ko) * 2017-07-13 2017-11-02 주식회사 남양기가테크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KR101931062B1 (ko) 2018-08-20 2018-12-19 한국전력공사 몰드변압기 냉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6456B1 (ko) * 2011-12-02 2013-02-25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변압기의 냉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554149B1 (ko) * 2014-06-26 2015-09-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몰드 변압기용 냉각 시스템
KR101793102B1 (ko) * 2017-07-13 2017-11-02 주식회사 남양기가테크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KR101931062B1 (ko) 2018-08-20 2018-12-19 한국전력공사 몰드변압기 냉각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4013A (ko) * 2020-06-11 2021-12-20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변압기 냉각 장치, 냉각 시스템, 냉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냉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389732B1 (ko) * 2020-06-11 2022-04-25 한국전력공사 전력용 변압기 냉각 장치, 냉각 시스템, 냉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냉각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601817B1 (ko) * 2023-06-08 2023-11-13 오혜미 변압기 개별 냉각이 가능한 몰드 변압기
CN117766265A (zh) * 2024-02-21 2024-03-26 山东中鸿云计算技术有限公司 一种变压器散热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500B1 (ko)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KR101793102B1 (ko) 냉각 기능을 갖는 몰드 변압기
KR102108241B1 (ko) 이중 헬륨 압축기
JP5412161B2 (ja) 空気調和機
KR102108239B1 (ko) 이중 애프터쿨러를 구비하는 헬륨 압축기
US10551095B2 (en) Magneto-caloric thermal diode assembly
JPH02213624A (ja) 空調装置の熱交換ユニット
CN104633873A (zh) 空调机组
CN203633039U (zh) 空调机组
KR10248569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20160047560A1 (en) Easy maintenance access system for insulated cooler unit
CN201488380U (zh) 用于制冷设备中的恒压衡功制冷系统装置
CN110350411A (zh) 高低压配电柜内置温度调控散热排插及其方法
EP1802928A2 (en) Gas cooler configuration integrated into heat pump chassis
TW201943960A (zh) 噴油螺桿壓縮機裝置
CN115551318A (zh) 一种节能通讯机柜和节能通讯机房
CN213360422U (zh) 高效节能式双级螺杆空压机系统
CN115523687A (zh) 变频空调器及其制冷系统
CN209134715U (zh) 一种微型数据中心
EP3754268A1 (en) Water chiller
CN205717817U (zh) 低噪音机柜空调器
CN210980411U (zh) 一种冷水机
CN110147149A (zh) 一种计算机硬件快速散热和检修组件及其降温方法
CN219040577U (zh) 一种分体式电池热管理系统
KR102389732B1 (ko) 전력용 변압기 냉각 장치, 냉각 시스템, 냉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냉각 시스템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