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783B1 -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 Google Patents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783B1
KR102011783B1 KR1020170184376A KR20170184376A KR102011783B1 KR 102011783 B1 KR102011783 B1 KR 102011783B1 KR 1020170184376 A KR1020170184376 A KR 1020170184376A KR 20170184376 A KR20170184376 A KR 20170184376A KR 102011783 B1 KR102011783 B1 KR 102011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llen
collecting
drawer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1668A (ko
Inventor
임윤규
김건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84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7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집된 화분이 우천 시 비로 인한 상품성 훼손을 방지하고 대기 중에 존재하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에 관한 것으로, 하부 양측에 받침다리를 구비한 꿀벌통의 일측에 형성된 소문을 통하여 꿀벌이 드나들면서 꿀벌로부터 이탈되는 화분을 포집하기 위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로서, 상기 소문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상면과 측면이 형성된 채분판틀과; 상기 채분판틀의 내부 중앙 영역에 직립되게 배치되며 꿀벌이 상기 소문을 통하여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채분판과; 일부 영역이 상기 채분판틀의 하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이 상기 꿀벌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채분판에서 낙하되는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포집용기가 사육상 바닥, 즉 사육상의 양 다리 사이 공간에 서랍형태로 위치하도록 하여 채집된 화분의 우천 시 비로 인한 상품성 훼손을 방지하고 대기 중 존재하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Drawer type pollen collector for all weather beekeeping}
본 발명은 꿀벌이 꽃에서 채집한 화분을 수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채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채집된 화분의 우천 시 비로 인한 상품성 훼손을 방지하고 대기 중 존재하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포집용기가 사육상 바닥, 즉 사육상의 양 다리 사이 공간에 서랍형태로 위치하도록 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양봉산물인 화분(꽃가루)이 양봉농가에 있어 벌꿀에 못지않게 양봉농가 수익 증대에 기여하고 있다.
사육상의 하단부가 고정되지 않은 구조를 가지고 있는 서양식 사육상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사육상 하단부를 자유롭게 개조나 교체가 가능하여 하단부에 서랍식 채분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우천 시 비에 의해서 화분이 녹아 상품성이 훼손되거나 대기 중 먼지 및 오염물질에 의한 화분의 오염의 우려가 적다.
그러나, 국내에서 주로 유통되어 사용하고 있는 사육상의 경우 사육상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구조적인 한계로 현재 농가에서 이용하고 있는 착륙판형 채분기의 경우 채집된 화분이 사육상 외부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으며 서양에서 사용하는 서랍식 채분기의 적용 또한 어렵다.
또한, 저장할 수 있는 화분의 용량이 적기 때문에 화분이 저장되는 포집용기를 분리하여 벌통 전면하단에 쟁반 따위의 물체를 놓아 화분을 수집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 또한 화분이 외부에 노출되어 꿀벌과 개미들이 모여드는 문제와 비바람으로 인한 화분의 훼손, 오염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이유로 농가에서는 채분시 양봉장에 상주하며 우천이나 기상변화에 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양봉산업의 경우 부업이나 취미로 산업을 경영하는 경우가 타 산업에 비해 높은 편이므로 취미농가에서 화분을 채집하는 경우 양봉장에 상주하여야 하는 문제는 양봉장에 상주하는 시간이 부족한 부업, 취미 농가에 있어서 큰 불편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집용기가 사육상 바닥, 즉 사육상의 양 다리 사이 공간에 서랍형태로 위치하도록 하여 채집된 화분의 우천 시 비로 인한 상품성 훼손을 방지하고 대기 중 존재하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는, 하부 양측에 받침다리를 구비한 꿀벌통의 일측에 형성된 소문을 통하여 꿀벌이 드나들면서 꿀벌로부터 이탈되는 화분을 포집하기 위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로서, 상기 소문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상면과 측면이 형성된 채분판틀과; 상기 채분판틀의 내부 중앙 영역에 직립되게 배치되며 꿀벌이 상기 소문을 통하여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가 형성된 채분판과; 일부 영역이 상기 채분판틀의 하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이 상기 꿀벌통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채분판에서 낙하되는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채분판과 상기 포집용기 사이에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판면에 망이 설치된 망판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용기의 상면에는 상기 망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받침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채분판틀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채분판을 상기 채분판틀에 직립되게 배치시에 상기 채분판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채분판틀의 높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채분판의 하측에 배치되는 포집용기의 내부에는 포집되는 화분이 상기 포집용기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꿀벌통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포집용기의 나머지 영역은 포집용기틀의 내부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용기틀은 상기 꿀벌통의 하면 양측에 설치된 상기 받침다리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는, 포집용기가 사육상 바닥, 즉 사육상의 양 다리 사이 공간에 서랍형태로 위치하도록 하여 채집된 화분의 우천 시 비로 인한 상품성 훼손을 방지하고 대기 중 존재하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는 우천이 예상되는 상황에서도 우천에 의한 피해를 걱정하지 않고 채분기의 설치를 유지하여 채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집된 화분이 저장되는 화분수집부의 면적을 크게 증가시켜 채분 시간을 증대할 수 있고, 화분을 회수하기 위해 양봉장을 방문 및 점검하는 횟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100)는, 하부 양측에 받침다리(1)를 구비한 꿀벌통(2)의 일측에 형성된 소문(3)을 통하여 꿀벌이 드나들면서 꿀벌로부터 이탈되는 화분을 포집하기 위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100)로서, 상기 소문(3)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상면과 측면이 형성된 채분판틀(10)과; 상기 채분판틀(10)의 내부 중앙 영역에 직립되게 배치되며 꿀벌이 상기 소문(3)을 통하여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24)가 형성된 채분판(20)과; 일부 영역이 상기 채분판틀(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이 상기 꿀벌통(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채분판(20)에서 낙하되는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꿀벌통(2)에 형성된 소문(2)의 전방에 설치되어 벌들이 채집한 꿀과 함께 유충의 성장과 발육, 대사를 위한 단백질원 역할을 하는 중요한 꿀벌의 식량 중의 하나이면서 인간 또한 건강식품으로 이용하는 화분을 채집하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100)를 제공한다.
우선, 채분판틀(10)은 꿀벌통(2)의 일측면에 형성된 소문(3)의 전방에 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부재로서, 상면과 양측면은 폐쇄되고 하면과 전, 후면은 개방 형성되어 꿀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채분판틀(10)의 양측 내면에는 채분판(20)을 채분판틀(10)에 직립되게 배치시에 채분판(20)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채분판틀(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함몰 형성되어 있다.
채분판(20)이 채분판틀(1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된 결합홈(1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채분판(20)이 직립되게 배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채분판틀(10)의 중앙 영역에는 높이 방향을 따라 직립되게 채분판(20)이 설치되어 꿀벌들이 출입시 벌들의 다리에 모아 덩어리도 만든 화분이 통과시 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채분판(20)의 위치는 기존 발명의 경우 채분판틀(10) 최외곽에 위치하나 본 발명의 경우 채집된 화분의 보호에 큰 의의를 두기 때문에 채분판(20)이 채분판틀(10) 중앙 영역에 위치하도록 한다.
채분판틀(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채분판틀(10)의 중앙 영역에 직립되게 배치되된 채분판(20)의 내부에는 꿀벌이 드나드는 통로가 되는 출입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채분판(20)은 벌들이 통과하면서 화분이 탈리되도록 하며, 출입구(24)는 꿀벌이 통과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채분판(20)으로부터 탈리된 화분이 포집되는 포집용기(40)가 채분판(20)의 하측에 배치되며, 포집용기(40)와 채분판(20) 사이에는 채집된 화분이 낙하하면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망판(30)이 결합되어 있다.
망판(30)은 포집용기(40)의 상측에 위치하며 화분이 화분 포집공간으로 떨어지고 다른 이물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걸러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포집용기(40)의 상면에는 망판(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받침턱(42)이 설치되는데, 받침턱(42)은 'ㄴ'자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망판(30)의 하부 전면이 망판(30)의 전면과 접촉되도록 하여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턱(42)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하여 채분판(20)과 포집용기(40) 사이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채분판(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포집용기(40)는 포집용기틀(50)에 서랍형태로 슬라이드 결합 되도록 하여 화분의 수거가 용이하며 기존 특허에서 적용된 착륙판 형태의 포집용기에 비해 그 용량이 2배 이상 증가하도록 하며, 또한, 포집된 화분이 외부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채분판(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포집용기(40)의 내부에는 포집되는 화분이 포집용기(4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45)이 형성되어 포집된 화분이 낙하에너지에 의하여 포집용기(4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특정한 위치에 화분이 국부적으로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꿀벌통(2)의 하부에 배치되는 포집용기(40)의 나머지 영역은 포집용기틀(50)의 내부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포집용기틀(50)은 꿀벌통(2)의 하면 양측에 설치된 상기 받침다리(1) 사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나 우천시에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채분판(20)이 채분판틀(10) 중앙에 위치하여 채분판(20)에 존재하는 출입구(24)를 꿀벌이 통과하면서 꿀벌의 뒷다리에서 이탈된 화분이 출입구(24) 바깥에서 포집용기(40)로 낙하하여 포집용기(40)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비에 젖지 않도록 하였다.
화분이 채집되어 저장되는 포집용기(40) 또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서랍형태로 고안하여 안전하게 보호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며, 국내에서 가장 흔하게 보급되어 이용하고 있는 벌통에 쉽게 적용, 호환되도록 화분이 수집되어 저장되는 포집용기(40)를 서랍의 형태로 제작하여 꿀벌통(2)의 받침다리(1) 사이 여백의 공간에 위치하도록 하여 채집되는 화분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차단되도록 제품을 설계하였다.
아울러, 채집된 화분이 상단에 쌓여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채집된 화분이 저장되는 포집용기(40)의 내부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채집된 화분이 빗면을 통해 내부로 이동하도록 구성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는 포집용기가 사육상 바닥, 즉 사육상의 양 다리 사이 공간에 서랍형태로 위치하도록 하여 채집된 화분의 우천 시 비로 인한 상품성 훼손을 방지하고 대기 중 존재하는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화분채집기 10 : 채분판틀
11 : 결합홈 20 : 채분판
24 : 출입구 30 : 망판
40 : 포집용기 45 : 경사면
50 : 포집용기틀

Claims (7)

  1. 하부 양측에 받침다리(1)를 구비한 꿀벌통(2)의 일측에 형성된 소문(3)을 통하여 꿀벌이 드나들면서 꿀벌로부터 이탈되는 화분을 포집하기 위한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로서,
    상기 소문(3)의 전방에 설치되며 수분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상면과 측면이 형성된 채분판틀(10)과;
    상기 채분판틀(10)의 내부 중앙 영역에 직립되게 배치되며 꿀벌이 상기 소문(3)을 통하여 드나들 수 있는 출입구(24)가 형성된 채분판(20)과;
    일부 영역이 상기 채분판틀(10)의 하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영역이 상기 꿀벌통(2)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채분판(20)에서 낙하되는 화분이 포집되도록 하는 포집용기(40)를; 포함하고,
    상기 꿀벌통(2)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포집용기(40)의 나머지 영역은 포집용기틀(50)의 내부에 인입출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포집용기틀(50)은 상기 꿀벌통(2)의 하면 양측에 설치된 상기 받침다리(1)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분판(20)과 상기 포집용기(40) 사이에는 이물질을 여과시키도록 판면에 망이 설치된 망판(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용기(40)의 상면에는 상기 망판(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받침턱(42)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분판틀(10)의 양측 내면에는 상기 채분판(20)을 상기 채분판틀(10)에 직립되게 배치시에 상기 채분판(20)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채분판틀(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11)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분판(20)의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포집용기(40)의 내부에는 포집되는 화분이 상기 포집용기(40)의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천우 서랍식 화분채집기.
  6. 삭제
  7. 삭제
KR1020170184376A 2017-12-29 2017-12-29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KR102011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76A KR102011783B1 (ko) 2017-12-29 2017-12-29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76A KR102011783B1 (ko) 2017-12-29 2017-12-29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68A KR20190081668A (ko) 2019-07-09
KR102011783B1 true KR102011783B1 (ko) 2019-08-19

Family

ID=6726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376A KR102011783B1 (ko) 2017-12-29 2017-12-29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7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8605A (ko) * 2004-09-25 2006-03-30 (주)야생양봉원 양봉용 채분기
KR200486718Y1 (ko) * 2015-11-23 2018-06-25 최황규 벌통용 소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68A (ko)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brol et al. Impact of insect pollinators on yield and fruit quality of strawberry
US20080280528A1 (en) Varroa mites control entrance (VMCE)
Abad-Moyano et al. Efficacy of Neoseiulus californicus and Phytoseiulus persimilis in suppression of Tetranychus urticae in young clementine plants
JP2011139676A (ja) ミツバチの巣箱
KR102178345B1 (ko) 개량벌통용 토종꿀 생산 전용 벌집
Stelfox et al. Transport of Sclerotinia sclerotiorum ascospores by rapeseed pollen in Alberta
Kasina et al. Diversity and activity density of bees visiting crop flowers in Kakamega, Western Kenya
US20120295514A1 (en) Bumblebee nest box
KR102011783B1 (ko) 전천후 서랍식 꿀벌 화분채집기
US98013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eld incubation of bees
Singh Traditional meliponiculture by Naga tribes in Nagaland, India
Kumar et al. Impact of pollination by European honey bee, Apis mellifera L. on the yield and quality of litchi (Litchi chinensis Sonn.) fruits in India
KR101758637B1 (ko) 양봉용 화분채취기
de Castro et al. Damage in fruits of mahogany caused by Hypsipyla grandella (Zeller)(Lepidoptera: Pyralidae) in Brasília, Brazil
KR20190091619A (ko) 화분채취기가 내장된 벌통
KR200477213Y1 (ko) 양봉 상자용 화분채취기
Jay Nectar and pollen collection by honeybees from coconut flowers
JP2009195130A (ja) ビニールハウス内でキャベツを採取してハチミツを採取する養蜂方法
RO128080B1 (ro) Stup multifuncţional cu protecţie împotriva varozei
Hajam et al. A study o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effect on honey bee species in Western Himalayan region
Tavares et al. Contribution of insect pollination to macadamia integrifolia production in Hawaii
Dimou et al. Collection of wax scale (Ceroplastes sp.) by the honey bee Apis mellifera
KR20200107412A (ko) 한봉과 양봉이 가능한 벌통
GB2506641A (en) Beehive with slotted base
WO2022245314A1 (en) A pollen tray that can be used together with a dra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