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687B1 -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687B1
KR102011687B1 KR1020170030030A KR20170030030A KR102011687B1 KR 102011687 B1 KR102011687 B1 KR 102011687B1 KR 1020170030030 A KR1020170030030 A KR 1020170030030A KR 20170030030 A KR20170030030 A KR 20170030030A KR 102011687 B1 KR102011687 B1 KR 102011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ste
sample
concentration
present
sal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97A (ko
Inventor
윤주헌
김창훈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0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6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for evaluating the sensory system
    • A61B5/4017Evaluating sense of tas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각 검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미각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검사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하고, 미각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미각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진단함에 있어 다른 방법에 비하여 한국인에서 현저하게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미각 장애의 조기 발견은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 또는 노인 관련성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DEVICE AND SYSTEM FOR TEST OF GUSTATORY FUNCTION}
본 발명은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미각 기능(gustatory function)은 영양적인 측면, 식품의 기호, 또한 식욕이라는 쾌락과도 연관이 되어있으며, 신진 대사의 효율성 측면, 더 나아가 삶의 질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일본에서는 매년 약 24만명의 인구가 미각기능이상을 주소로 병원에 방문한다는 보고가 있다. (Acta Otolaryngol. 2005 Nov; 125(11):1203-10.).
한편, 노령 인구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여 인구의 많은 비율을 차지함에 따라 많은 비율의 사람들이 연령과 관련된 후각 또는 미각 기능 상실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Rhinology. 2011 Aug; 49(3):324-30.). 최근에는 후각 기능 상실의 경우 치매를 비롯한 신경 퇴행성 질환에서 조기 진단을 위한 표지자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나이와 관련된 감각 이상에 대한 평가가 특히 노인의 퇴행성 질환에서 주목받을 수 있다(Mov Disord. 2008 Oct 30; 23(14):1984-90.). 사실, 후각 기능의 이상을 호소하는 많은 수에서 미각 기능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나, 보고된 미각 기능 검사의 방법이 각각 다르고 정상의 기준 역시 일정하지 않으며, 아직까지 한국을 대상으로 한 표준화된 미각기능검사는 존재하고 있지 않다.
전기 미각 검사법(Electrogustometry)의 경우 미뢰의 신경 분포에 약한 전류를 가하여 맛을 측정하는 방법이나, 장비가 매우 고가에 해당하고, 실제 맛과는 다른 금속 맛이 느껴지기 때문에 검사의 신뢰도가 낮다.
한국 등록 특허 KR10-1083248에는 쓴맛, 단맛, 신맛 및 짠맛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미각 검사용 필름 및 상기 필름을 2개 이상 포함하는 미각 검사용 키트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미각 검사 방법은 피 시험자의 혀에 액체가 아닌 필름을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피시험자가 특히 노인에서 유병률이 높은 구강 건조증에 해당하는 경우 적절하게 적용할 수 없고, 필름에 맛을 스며들게 하기 위해 높은 농도의 맛 용액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감칠맛을 포함하는 미각 기능을 검사할 수 있도록 5가지 미각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표준화 되고, 정량적인 장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미각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각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인지 표시부; 상기 인지 표시부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및 상기 응답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각 시료의 농도와 무관하게 난수로 표시하는 시료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 개의 판정 시료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 시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는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플럭토즈(fruct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팔라티노스(palatinos), 에리스리톨(erythritol) 및 만니톨(mannito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쓴맛 시료는 퀴닌 또는 카페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짠맛 시료는 염화나트륨(NaC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맛 시료는 아세트산(acetic acid), 말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및 구연산(Citric a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감칠맛 시료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의 농도는 0.0048g/ml 내지 0.1563g/ml; 상기 쓴맛 시료의 농도는 0.00005g/ml 내지 0.0016g/ml; 상기 짠맛 시료의 농도는 0.00006g/ml 내지 0.0192g/ml; 상기 신맛 시료의 농도는 0.0002425g/ml 내지 0.00781g/ml; 및 상기 감칠맛 시료의 농도는 0.002g/ml 내지 0.064g/ml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설명어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감칠맛 시료 및 모르겠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은 상기 응답 입력부에 입력하는 시료 농도 범위 내의 값에 의해 하기 표 1a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 1a]
Figure 112017023616864-pat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변환부에서 인지 농도로부터 변환된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합산 값이 0 내지 16점인 경우 미각 장애로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장애는 미각 저하증(hypogeusia) 또는 무미각증(ageusia)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 및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을 입력하는 단계로부터 전송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각 시료의 농도와 무관하게 난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 개의 판정 시료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 시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는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플럭토즈(fruct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팔라티노스(palatinos), 에리스리톨(erythritol) 및 만니톨(mannitol)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쓴맛 시료는 퀴닌 또는 카페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짠맛 시료는 염화나트륨(NaCl)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맛 시료는 아세트산(acetic acid), 말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및 구연산(Citric aci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감칠맛 시료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의 농도는 0.0048g/ml 내지 0.1563g/ml; 상기 쓴맛 시료의 농도는 0.00005g/ml 내지 0.0016g/ml; 상기 짠맛 시료의 농도는 0.00006g/ml 내지 0.0192g/ml; 상기 신맛 시료의 농도는 0.0002425g/ml 내지 0.00781g/ml; 및 상기 감칠맛 시료의 농도는 0.002g/ml 내지 0.064g/ml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의 상기 설명어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감칠맛 시료 및 모르겠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은 상기 응답을 입력하는 단계에 입력하는 시료 농도 범위 내의 값에 의해 상기 표 1a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표 1a]
Figure 112017023616864-pat00002
본 발명에서, 상기 변환하는 단계에서 인지 농도로부터 변환된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을 합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부의 합산 값이 0 내지 16점인 경우 미각 장애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장애는 미각 저하증(hypogeusia) 또는 무미각증(ageusia)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각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검사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미각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는 경우 미각 장애와 관련된 질환을 진단함에 있어 다른 방법에 비하여 한국인에서 현저하게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미각 장애의 조기 발견은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 또는 노인 관련성 질환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인지 표시부; 상기 인지 표시부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및 상기 응답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 장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인지 표시부: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상기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의 설명어는 피시험자가 느낀 미각에 대한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낱말을 기재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감칠맛 시료 및 모르겠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다수 개의 판정 시료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umami) 시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umami) 시료 모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umami) 시료 모두에 대한 시료로 검사하는 경우에는 미각 검사의 정확도 및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 개의 판정 시료는 액상의 시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가 액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구강 내 침이 부족하여 필름 형태의 검사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조작 시간이 불필요하여 검사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는, 단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플럭토즈(fruct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팔라티노스(palatinos), 에리스리톨(erythritol) 및 만니톨(mannit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즈(Sucros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쓴맛 시료는,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퀴닌 또는 카페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짠맛 시료는, 짠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맛 시료는, 신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아세트산(acetic acid), 말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및 구연산(Citric ac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감칠맛(umami)"은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음식의 풍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감칠맛의 기능은 특히 나이 든 사람들에게서 건강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Eur J Clin Nutr. 2000 Jun;54 Suppl 3:S54-63).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의 농도는 0.0048g/ml 내지 0.1563g/ml; 상기 쓴맛 시료의 농도는 0.00005g/ml 내지 0.0016g/ml; 상기 짠맛 시료의 농도는 0.00006g/ml 내지 0.0192g/ml; 상기 신맛 시료의 농도는 0.0002425g/ml 내지 0.00781g/ml; 및 상기 감칠맛 시료의 농도는 0.002g/ml 내지 0.064g/ml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 맛별 시료의 농도가 가장 낮은 농도 미만인 경우에는 농도가 너무 미약하여 피시험자가 느낄 수 없고, 가장 높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시험자가 느낄 수 있는 농도의 상한선에 해당하므로 미각 검사를 위한 의미를 상실할 수 있다.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를 위한 상기 인지 표시부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인지 농도의 값”이란, 피검사자가 상기 시료의 맛에 대한 설명어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농도의 값으로, 미각 인지 역치값에 해당할 수 있다. 인지 농도의 값, 즉 미각 인지 역치값이 높은 농도일수록 민감한 미각을 의미한다.
변환부: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의 상기 응답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5가지 맛에 대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으로 변환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이란,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에 입력된, 상기 인지 농도의 값에 대하여 하기 표 1a를 기준으로 0 내지 6으로 점수화 한 것으로, 0점은 응답하지 못한 경우를 뜻하며, 1점에서 6점으로 갈수록 보다 낮은 인지 농도의 값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a]
Figure 112017023616864-pat00003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표시부;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및 변환부로 구성된 미각 검사 장치에,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각 시료의 농도와 무관하게 난수로 표시하는 시료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시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검출 농도의 값을 추가로 측정할 수 있어 미각 검사 장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 농도의 값”이란, 피검사자가 맛을 감지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농도의 값으로, 미각 감지 역치값에 해당하며, 감지 농도의 값, 즉 미각 감지 역치값이 높은 농도일수록 민감한 미각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인지 표시부;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및 변환부로 구성된 미각 검사 장치에, 상기 변환부에서 인지 농도로부터 변환된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을 합산하는 합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합산부의 합산 값이 0 내지 16점인 경우 미각 장애로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산 값이 0 내지 12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장애”란, 신경의 말초나 중추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기능의 장애를 일으켜 미각 과민, 감퇴 또는 결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장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미각 장애는 미각 저하증(hypogeusia) 또는 무미각증(ageusi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장애로 표시하기 위한 상기 합산 값의 범위는 인지 농도 값과 질병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검증된 범위에 해당한다(Physiol Behav. 1984 Mar, 32 (3) : 489-502).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 및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을 입력하는 단계로부터 전송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 개의 판정 시료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 시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umami) 시료 모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및 감칠맛(umami) 시료 모두에 대한 시료로 검사하는 경우에는 미각 검사의 정확도 및 민감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감칠맛의 기능은 특히 나이 든 사람들에게서 건강상태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와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Eur J Clin Nutr. 2000 Jun;54 Suppl 3:S54-63).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 개의 판정 시료는 액상의 시료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료가 액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구강 내 침이 부족하여 필름 형태의 검사 방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별도의 조작 시간이 불필요하여 검사 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는, 단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플럭토즈(fruct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팔라티노스(palatinos), 에리스리톨(erythritol) 및 만니톨(mannitol)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수크로즈(Sucros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쓴맛 시료는, 쓴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퀴닌 또는 카페인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짠맛 시료는, 짠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염화나트륨(NaC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신맛 시료는, 신맛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아세트산(acetic acid), 말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및 구연산(Citric ac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서 감칠맛(umami) 시료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일 수 있으나, 음식의 풍미를 증대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단맛 시료의 농도는 0.0048g/ml 내지 0.1563g/ml; 상기 쓴맛 시료의 농도는 0.00005g/ml 내지 0.0016g/ml; 상기 짠맛 시료의 농도는 0.00006g/ml 내지 0.0192g/ml; 상기 신맛 시료의 농도는 0.0002425g/ml 내지 0.00781g/ml; 및 상기 감칠맛 시료의 농도는 0.002g/ml 내지 0.064g/ml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 맛별 시료의 농도가 가장 낮은 농도 미만인 경우에는 농도가 너무 미약하여 피시험자가 느낄 수 없고, 가장 높은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시험자가 느낄 수 있는 농도의 상한선에 해당하므로 미각 검사를 위한 의미를 상실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의 설명어는 피시험자가 느낀 미각에 대한 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낱말을 기재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감칠맛 시료 및 모르겠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종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이란,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에 입력된, 상기 인지 농도의 값에 대하여 하기 표 1a를 기준으로 0 내지 6으로 점수화한 것으로, 0점은 응답하지 못한 경우를 뜻하며, 1점에서 6점으로 갈수록 보다 낮은 인지 농도의 값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표 1a]
Figure 112017023616864-pat0000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 및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을 입력하는 단계로부터 전송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 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 시스템에,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각 시료의 농도와 무관하게 난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난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우에는 감지 농도의 값을 추가로 측정할 수 있어 미각 검사 장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감지 농도의 값”이란, 피검사자가 맛을 감지 하여 응답할 수 있는 가장 낮은 농도의 값으로, 미각 감지 역치값에 해당하며, 감지 농도의 값, 즉 미각 감지 역치값이 높은 농도일수록 민감한 미각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 및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을 입력하는 단계로부터 전송된 값을 맛 점수(taste score) 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 시스템에, 상기 변환하는 단계에서 인지 농도의 값로부터 변환된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을 합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 값이 0 내지 16점인 경우 미각 장애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합산 값이 0 내지 12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장애”란, 신경의 말초나 중추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 기능의 장애를 일으켜 미각 과민, 감퇴 또는 결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장애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미각 장애는 미각 저하증(hypogeusia) 또는 무미각증(ageusi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미각 장애로 표시하기 위한 상기 합산 값의 범위는 인지 농도 값과 질병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검증된 범위에 해당한다(Physiol Behav. 1984 Mar, 32 (3): 489-502).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준비예 1] 미각 기능 테스트 실험군 선별
본 발명에 따른 미각 판단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한 미각 테스트를 위하여, 2016년 1월부터 2016년 8월까지 세브란스 병원(Severance Hospital, Seoul, Korea)에서 비중격 성형 또는 코 성형 수술을 받은 환자의 의학 기록을 통해 검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상기 선정 기준은 i) 8세 내지 90세의 연령, ⅱ) 후각과 미각 기능 이상을 호소하지 않는 자, ⅲ) 후각 또는 미각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이 및 부비동염, 두경부 악성 종양, 이전의 중이 및 / 또는 비강 수술의 병력이 있는 경우 제외, ⅳ) 미각 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을 복용한 경우 제외하였다.
상기 기준에 적합한, 297 명의 환자 (남자 190 명, 여자 107 명, 평균 연령 44.96 ± 19.73 세, 연령 범위 9 내지 89 세)를 선정하였다. 피시험자들은 시험 전 적어도 1 시간 동안 물을 제외한 음료를 마시고, 음식을 먹거나, 이를 닦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였다.
[ 준비예 2] 미각 기능 테스트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미각 판단 장치에 포함되는 각각의 미각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증류수를 이용하여 액상 상태로 하기 표 1과 같이 준비하였다.
맛 점수(taste score) 기준
물질 6 5 4 3 2 1
단맛 설탕
(Sucrose)
0.0048 0.0097 0.0195 0.039 0.0781 0.1563
쓴맛 퀴닌
(Quinine)
0.00005 0.0001 0.0002 0.0004 0.0008 0.0016
짠맛 소금
(Sodium chloride)
0.0006 0.0012 0.0024 0.0048 0.0096 0.0192
신맛 구연산
(Citric acid)
0.0002425 0.000485 0.00097 0.00195 0.00391 0.00781
감칠맛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
(monosodium glutamate)
0.002 0.004 0.008 0.016 0.032 0.064
[실시예 1] 미각 감지 역치값(taste detection threshold)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미각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미각을 느낄 수 있는 가장 낮은 농도에 해당하는, 미각 감지 역치값(taste detection threshold)을 측정하였다.
상기 준비예 1에서 선정된 실험군의 입을 수돗물로 씻어낸 후, 상기 준비예 2의 액상 형태의 조성물 중 하나를 혀의 앞에서 약 1/3 부위에 20㎕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는 피시험자가 2회 연속 맛을 검출할 때까지, 가장 낮은 농도로 시작하여 무작위 순서로 수행하였다.
환자가 미각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하고, 해당 맛에 대하여 검출된 농도에 해당하는 표 1의 맛 점수 기준에 의해 점수를 부여한 뒤, 각각의 점수를 모두 합산한 맛 점수(taste score)를 계산 하였다. 상기와 같이, 감지 역치값을 반복 측정하여, SPSS 20.0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 맛 점수
(taste score)
남자(n=190) 4.62
± 1.10
4.96
± 1.09
4.77
± 1.20
4.51
± 1.19
5.16
± 1.28
25.28
± 4.10
여자(n=107) 4.83
± 1.00
5.43
± 0.74
4.93
± 1.26
4.82
± 1.10
5.32
± 0.99
26.50
± 3.07
P value 0.09 < 0.001 0.26 0.03 0.51 0.09
전체(n=297) 4.69
± 1.07
5.13
± 1.00
4.83
± 1.22
4.62
± 1.17
5.22
± 1.17
25.74
± 3.78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인의 미각 감지 역치값의 경우 남자 및 여자 모두에서 단맛은 약 4.7, 쓴맛은 약 5.1, 짠맛은 4.8, 신맛은 4.6 및 감칠맛은 5.2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 미각 인지 역치값(taste recognition threshold)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미각 판단 장치를 이용하여, 미각 인지 역치값(taste recognition threshold)을 측정하였다.
상기 미각 인지 역치값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었다. 단, 환자에게 상기 준비예 2의 미각 테스트 조성물에 관련된 설명어(예를 들면, “달콤한”, “쓴 맛”, “짠 맛”, “신 맛”, “감칠맛” 또는 “모르겠음”)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여, 피시험자가 지속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시험 용액의 최저 농도에 해당하는 상기 표 1의 맛 점수 기준으로 점수를 부여하고, 환자가 미각을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0점을 부여하였다. 또한, 각각의 맛 점수 기준을 모두 합산한 맛 점수(taste score)를 계산하였다. 상기와 같이, 감지 역치값을 반복 측정하여, SPSS 20.0을 통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 맛 점수
(taste score)
남자(n=190) 3.77 ± 1.28 3.73 ± 1.41 3.16 ±1.41 2.65 ± 1.44 2.94 ± 1.87 18.36 ± 5.12
여자(n=107) 3.82 ± 1.28 4.47 ± 1.15 3.21 ± 1.48 2.93 ± 1.46 3.13 ± 1.95 18.74 ± 5.12
P value 0.72 < 0.001 0.77 0.11 0.62 0.72
전체(n=297) 3.79 ± 1.26 3.99 ± 1.37 3.18 ± 1.43 2.75 ± 1.45 3.01 ± 1.89 18.50 ± 5.10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국인의 미각 인지 역치값의 경우 남자 및 여자 모두에서 단맛은 약 3.7, 쓴맛은 약 3.9, 짠맛은 3.1, 신맛은 2.7 및 감칠맛은 3.0의 값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미각 검출 및 인지 역치값 검증
본 발명에 따른 미각 판단 장치의 역치값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하여, SPSS 20.0을 통해 연령, 성별 등의 파라미터(parameter)로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은 통계는 평균 ± 표준 오차로 표현되며, 소그룹 점수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은 Student t-test 또는 분산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또한, 상관 분석은 피어슨 통계를 통해 수행하였다. 재현성과 일관성은 내부 클래스 상관 계수와 Cronbach의 알파 계수를 통해 평가하였고, 상기 Cronbach의 알파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는 도 7 내지 9에 나타내었다.
도 7내지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나이가 10대에서 90대로 증가됨에 따라 맛 점수(taste score) 값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미각 인지 역치값에서는 나이가 증가됨에 따라 맛 점수 값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하지만, 미각 감지 역치값은 나이와의 상관성은 다소 낮았다.
상기 결과를 통해, 미각 인지 역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각각의 미각 기능을 대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는 검사 방법의 일부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보고된 미각 테스트에 대한 보고된 논문과 일치하는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통해 상기 대표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J Neurol. 2009 Feb;256(2):242-8, Acta Otolaryngol. 2007 Jun;127(6):658-61,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0 Dec;267(12):1911-7,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6 Oct;273(10):3407-11).
[실시예 4] 미각 저하증 판단
본 발명에 따른 미각 판단 장치를 통해 입맛이 저하되는 증상인 미각 저하증을 진단하기 위하여, 후각 기능 검사(University of Pennsylvania Smell Identification Test; USIT)에서의 정의를 기준으로 하여, 맛 점수(taste score)의 하위 10%를 컷오프로 설정하여,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 정상 미각과 비교하여 미각의 기능이 저하되어 있음을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 실제 정상 및 미각 저하증 피시험자의 미각 인지 역치값의 맛 점수를 계산하여 그 결과를 도 10 및 11에 나타내었다.
도 10 및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상 미각을 갖는 피시험자에서는 맛 점수가 25점으로 10% 이상에 해당하였다. 또한, 미각 저하증을 갖는 피시험자의 맛 점수는 8점에 해당하여 12점 이하로 10% 미만에 해당하였다.
퍼센트 단맛 쓴맛 짠맛 신맛 감칠맛 맛 점수
10th 2.0 2.0 1.0 1.3 1.5 12.0
25th 3.0 3.0 2.0 1.0 1.0 16.0
50th 4.0 4.0 3.0 3.5 3.0 18.0
90th 5.5 5.0 5.0 5.0 6.0 25.0
* 각 맛 점수의 최고점은 6점이고, 총점은 30점으로 계산됨.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미각 판단 장치를 통하여 측정된 맛 점수(taste score)가 컷오프 값 10%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미각 저하증에 해당할 수 있음을 유의성 있게 진단할 수 있다.
[실시예 5] 미각 검출 및 인지 역치값 및 흡연 여부와의 관계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측정된 미각 감지 역치값 및 미각 인지 역치값과, 흡연 여부와의 상관관계 분석를 분석하였다. 피시험자의 현재 또는 과거의 흡연 경력을 '예' 또는 '아니오'로 정보를 기입하도록 한 뒤, 상기 미각 감지 역치값 및 미각 인지 역치값과 상관관계 분석을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그 결과를 도 12 및 13에 나타내었다.
도 12 및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각 감지 역치값은 담배를 현재 또는 과거에 피운 경력이 존재(smoker)하는 피시험자가 비흡연 피시험자(non-smoker)의 값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맛 점수(taste score)가 낮았다.
또한, 미각 인지 역치값 역시 담배를 현재 또는 과거에 피운 경력이 존재(smoker)하는 피시험자가 비흡연 피시험자(non-smoker)의 값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맛 점수(taste score)가 낮았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흡연을 한 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맛 점수(taste score)가 낮고, 이로 인하여 미각 저하증과 같은 질환과 관련성이 높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 인지 표시부
200 :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300 : 변환부
400 : 시료 표시부
500 : 합산부
600 : 결과 표시부

Claims (21)

  1. 미각 검사를 위한 액상의 시료로 구성된 단맛, 쓴맛, 짠맛, 신맛 및 감칠맛 판정 시료에 대하여,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인지 표시부;
    상기 인지 표시부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부 및 입력 종료부;
    상기 응답 입력부로부터 전송된 값을 하기 [표 1a]에 따라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으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에서 인지 농도 값으로부터 변환된 맛 점수 기준을 합산하는 합산부; 및
    상기 합산부의 합산 값이 0 내지 16점인 경우 미각 장애로 표시하는 결과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정 시료는 각각 하기의 농도를 포함하는 것인, 미각 검사 장치:
    [표 1a]
    Figure 112018130781654-pat00020

    상기 단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48g/ml 내지 0.1563g/ml;
    상기 쓴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005g/ml 내지 0.0016g/ml;
    상기 짠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006g/ml 내지 0.0192g/ml;
    상기 신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02425g/ml 내지 0.00781g/ml; 및
    상기 감칠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2g/ml 내지 0.064g/ml.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각 시료의 농도와 무관하게 난수로 표시하는 시료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미각 검사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맛 판정 시료는 수크로즈(Sucrose), 글루코즈(glucose), 플럭토즈(fructose),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팔라티노스(palatinos), 에리스리톨(erythritol) 및 만니톨(mannitol)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쓴맛 판정 시료는 퀴닌 또는 카페인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짠맛 판정 시료는 염화나트륨(NaCl)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맛 판정 시료는 아세트산(acetic acid), 말산(malic acid), 주석산(Tartaric acid) 및 구연산(Citric acid)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칠맛 판정 시료는 모노소디움 글루타메이트(monosodium glutamate)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설명어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감칠맛 시료 및 모르겠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각 장애는 미각 저하증(hypogeusia) 또는 무미각증(ageusia) 인 것인, 미각 검사 장치.
  14. 미각 검사를 위한 액상의 시료로 구성된 단맛, 쓴맛, 짠맛, 신맛 및 감칠맛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미각 검사를 위한 시료에서 인지될 수 있는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로부터 인지 농도의 값을 입력하는 응답 입력 및 입력을 종료하는 단계;
    상기 응답을 입력하는 단계로부터 전송된 값을 하기 [표 1a]에 따라 맛 점수(taste score) 기준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화하는 단계에서 인지 농도로부터 변환된 맛 점수 기준을 합산하는 단계; 및
    상기 합산 값이 0 내지 16점인 경우 미각 장애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개의 판정 시료는 각각 하기의 농도를 포함하는 것인 미각 검사 시스템:
    [표 1a]
    Figure 112018130781654-pat00021

    상기 단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48g/ml 내지 0.1563g/ml;
    상기 쓴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005g/ml 내지 0.0016g/ml;
    상기 짠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006g/ml 내지 0.0192g/ml;
    상기 신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02425g/ml 내지 0.00781g/ml; 및
    상기 감칠맛 판정 시료의 농도는 0.002g/ml 내지 0.064g/ml.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각의 설명어를 표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미각 검사를 위한 다수 개의 판정 시료에 대하여 각 시료의 농도와 무관하게 난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각 검사 시스템.
  16. 삭제
  17. 삭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의 상기 설명어는 단맛 시료, 쓴맛 시료, 짠맛 시료, 신맛 시료, 감칠맛 시료 및 모르겠음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인, 미각 검사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미각 장애는 미각 저하증(hypogeusia) 또는 무미각증(ageusia) 인 것인, 미각 검사 시스템.
KR1020170030030A 2017-03-09 2017-03-09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102011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30A KR102011687B1 (ko) 2017-03-09 2017-03-09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30A KR102011687B1 (ko) 2017-03-09 2017-03-09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97A KR20180103297A (ko) 2018-09-19
KR102011687B1 true KR102011687B1 (ko) 2019-08-19

Family

ID=6371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30A KR102011687B1 (ko) 2017-03-09 2017-03-09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1431A1 (en) * 2017-07-12 2019-01-17 Protz Daniel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AROMA
CN111475936B (zh) * 2020-04-03 2024-05-17 东北电力大学 一种基于味觉感知模型的味觉识别方法
EP4360539A1 (en) * 2022-06-09 2024-05-01 Univerzita Pardubice Taste tester, test kit comprising the tester, method for evaluating data collection from the test kit application, and system for data collection
KR102627298B1 (ko) * 2023-01-18 2024-01-19 주식회사 래빗 사용자의 입맛 특성에 기초한 식음료 추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10B1 (ko) * 2007-11-15 2010-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짠맛 미각 판정 도구
KR101083248B1 (ko) * 2009-05-28 2011-11-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각 검사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용 필름 및 미각 검사용 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610B1 (ko) * 2007-11-15 2010-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짠맛 미각 판정 도구
KR101083248B1 (ko) * 2009-05-28 2011-11-1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미각 검사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미각 검사용 필름 및 미각 검사용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97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687B1 (ko) 미각 기능 검사 장치 및 시스템
Liu et al. Retronasal olfac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smell loss but subjectively normal flavor perception
Ahne et al. Assessment of gustatory function by means of tasting tablets
Pereira et al. New reference values for forced spirometry in white adults in Brazil
Cock et al. Maximum upper esophageal sphincter (UES) admittance: a non‐specific marker of UES dysfunction
Nakazato et al. Influence of aging on electrogustometry thresholds
Simmen et al. Olfaction in rhinology-methods of assessing the sense of smell
Cirillo et al. Exhaled nitric oxide may predict bronchial hyperreactivity in patients with allergic rhinitis
Aoyama et al. Saliva pH affects the sweetness sense
Glynn et al. Effects of biochemical validation of self-reported cigarette smoking on treatment success and on misreporting abstinence.
Nagai et al. Evaluation of taste acuity by the filter-paper disc in Japanese young women: the relationship with micronutrients status
Kang et al. Relationships between gustatory function tests
Wolf et al. A self‐administered test of taste function using “Taste Strips”
Thiadens et al. Value of measuring diurnal peak flow variability in the recognition of asthma: a study in general practice
Tsuji et al. Clinical implications of taste thresholds in patients with odontogenic maxillary sinusitis
Clough et al. Association between lower respiratory tract symptoms and falls in peak expiratory flow in children
Koskinen et al. Correspondence between three olfactory tests and suprathreshold odor intensity ratings
Lin et al. Survey of the frequency of olfactory dysfunction in Taiwan
Besser et al. Testing gustatory function using either a forced-choice or a non-forced-choice paradigm—Does it make a difference
Ike et al. Analysis of agreement between peak expiratory flow meters and comparison of reference values
Karaer Cakmak et al. Stress and recurrent aphthous stomatitis
Burney Interpretation of epidemiological surveys of asthma
Ellegård et al. Is electrogustometry useful for screening abnormalities of taste?
Coqueiro et al. Anthropometric indicators of obesity and hyperglycaemia in Brazilian older people
Kasahara et al. Newly designed gustatory test based on the number of chewing strokes required for recognition of the t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