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511B1 -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511B1
KR102011511B1 KR1020120103097A KR20120103097A KR102011511B1 KR 102011511 B1 KR102011511 B1 KR 102011511B1 KR 1020120103097 A KR1020120103097 A KR 1020120103097A KR 20120103097 A KR20120103097 A KR 20120103097A KR 102011511 B1 KR102011511 B1 KR 102011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harging
circui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3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6694A (ko
Inventor
김원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511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발명은 상용전력망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상용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한 제1 입출력부; 제1 입출력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배터리의 직류전력을 제1 입출력부로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부; 및 외부로부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용전력망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입출력부를 제어하여 상용전력망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제1 입출력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 충전모드를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배터리에 연결하여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고, 제1 입출력부를 제어하여 충방전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상용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하는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상용전력망의 운용에 기여할 수 있고, 비상시 외부전력장치에 직접 사용 가능한 독립 상용전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POWE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 외부의 상용전원망(grid, smart grid)을 이용하여 차량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그리드(smart grid)는 기존의 전력망에 IT기술을 융합하여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지능형 전력망이다. 이러한 스마트그리드의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송배전망의 지능화, 소비자 중심의 에너지 효율화 달성 및 그린에너지 자원활용 등이 활성화 되어야 하고, 효율적인 전기 수요와 공급에 중요한 완충 역할을 해주는 전기 운송수단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전기 운송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장치 중 하나가 전기자동차이다. 이것은 전기자동차에 장착되는 대용량 배터리가 전기자동차의 구동 전력공급원인 동시에 스마트그리드를 위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존의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 외부의 스마트그리드(상용전원망)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차량에 장착된 대용량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대용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스마트그리드로 공급하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아, 전기차량을 스마트그리드의 전기 운송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전력을 스마트그리드의 방향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전기차량이 스마트그리드의 전기 운송수단으로서 이용되도록 기여할 수 있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는, 상용전력망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상용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입출력부; 상기 제1 입출력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력을 상기 제1 입출력부로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부; 및 외부로부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상용전력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입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상용전력망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입출력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 충전모드를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연결하여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고, 상기 제1 입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방전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상용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하는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는 차량에 내장되어 독립적인 발전이 가능한 내장(built-in)발전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내장발전기로부터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방전부로 공급하기 위한 독립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배터리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내장발전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독립전력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장발전기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독립전력공급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배터리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내장발전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내장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병렬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충전모드 및 상기 제2 충전모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상용전력망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입출력포트와, 차량 외부의 외부전력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입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전력의 공급대상이 상용전력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경우 상기 제1 입출력포트가 상기 상용전력망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력망으로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는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외부전력장치로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입출력포트가 상기 외부전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력장치로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는 제2 발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차량내부의 전력회로와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외부전력장치와의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제1 절연회로; 상기 제1 절연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를 통해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외부전력장치로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고조파 성분 및 전력제어를 위한 필터회로; 및 상기 필터회로와 상기 충방전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인버터로 동작하여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필터회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로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정류기로 동작하여 상기 필터회로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방전부로 공급하는 제1 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제1 입출력부 및 독립전력공급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치로 이루어진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 상기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직류전력의 안정화를 위한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력을 강제로 방전하기 위한 제2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된 제2 스위치로 이루어진 직류안정화회로; 및 상기 직류안정화회로와 상기 배터리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승압하여 상기 직류안정화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직류안정화회로를 통해 전달된 전력을 강압하여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는 제2 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회로와, 상기 제2 변환회로와 상기 제1 연결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회로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독립전력공급부는 상기 내장발전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회로와, 상기 제2 연결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회로에 의해 상기 내장발전기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와, 상기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와 상기 충방전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를 통해 전달된 직류전력을 승압하여 상기 충방전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3 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충전모드 및 제2 충전모드를 운용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공급원의 다변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발전모드 및 제2 발전모드를 운용함으로써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상용전력망의 운용에 기여할 수 있고, 비상시 외부전력장치에 직접 사용 가능한 독립 상용전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의 충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절차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의 발전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저전압 직류전원변환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는 차량 외부와의 전력교환을 위한 제1 입출력부(100),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로 전력을 충전하거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부(200), 차량 내부의 전력발전원으로부터 전력 획득을 위한 독립전력공급부(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출력부(100)는 제1 입출력포트(110), 제2 입출력포트(120), 제1 절연회로(130), 필터회로(140), 제1 변환회로(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입출력포트(110)는 상용전력망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S2)를 구비하고, 제2 입출력포트(120)는 차량 외부의 외부전력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S1)구비할 수 있다. 스위치(S1, S2)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된다.
또한 제1 입출력부(100)는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110, 120))에 연결되어 차량내부의 전력회로와 상용전력망 및 외부전력장치와의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제1 절연회로(130)와, 제1 절연회로(130)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110, 120)를 통해 상용전력망 및 외부전력장치로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고조파 성분 및 전력제어를 위한 필터회로(140)와, 필터회로(140)와 충방전부(200)를 서로 연결하고 제어부(400)로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인버터로 동작하고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정류기로 동작하는 제1 변환회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변환회로(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전력반도체 스위치소자(Q1~Q4)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변환회로(150)는 제어부(400)가 제1 충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전력반도체 스위치소자(Q1~Q4)가 개방되어 필터회로(140)를 통해 전달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충방전부(200)로 공급한다.
제1 변환회로(150)는 제어부(400)가 발전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전력반도체 스위치소자(Q1~Q4)가 개방 또는 연결되어 충방전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필터회로(140)로 공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방전부(200)는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와, 직류안정화회로(220)와, 제2 변환회로(230)),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 제2 연결회로(310)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는 제1 입출력부(100) 및 독립전력공급부(300)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R1)과 제1 저항(R1)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치(S4)를 구비하고, 직류안정화회로(220)는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에 병렬로 연결되고 직류전력의 안정화를 위한 제1 커패시터(C1)와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제1 커패시터(C1)에 충전된 전력을 강제로 방전하기 위한 제2 저항(R2)과 제2 저항(R2)에 직렬로 연결된 제2 스위치(S5)로 구비한다.
제2 변환회로(230))는 직류안정화회로(220)와 배터리를 서로 연결하고, 제어부(400)로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배터리의 전력을 승압하여 직류안정화회로(22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로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직류안정화회로(220)를 통해 전달된 전력을 강압하여 배터리로 전달한다.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는 제2 변환회로(230))와 제1 연결회로(250)의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연결회로(250)에 의해 배터리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가 제2 변환회로(230))로 유입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연결회로(25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의해 스위칭되며, 배터리와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치소자(S7, S8)를 구비할 수 있다.
독립전력공급부(300)는 차량에 내장되어 독립적인 발전이 가능한 내장(built-in)발전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선택적으로 연결된 내장발전기로부터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충방전부(200)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전력공급부(300)는 제2 연결회로(310)와,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320)와, 제3 변환회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회로(310) 내장발전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어부(400)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치소자(S9, S10)을 포함하고,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320)는 제2 연결회로(310)에 연결되고 제2 연결회로(310)에 의해 내장발전기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3 변환회로(330)는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320)와 충방전부(200)의 사이를 연결하고 제어부(400)로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320)를 통해 전달된 직류전력을 승압하여 충방전부로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3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의 충전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충전동작을 위해 상용전력망을 이용한 제1 충전모드 및 차량의 내부에 설치된 내장발전기를 이용한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고, 제1 충전모드 및 제2 충전모드를 병렬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용전력망(Grid)으로 판단된 경우(S210) 제1 입출력부(100) 및 충방전부(200)를 제어하여 제1 충전모드를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400)는 제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여 즉 스위치소자(S2, S3)를 연결함으로써 제1 입출력포트(110)를 상용전력망에 연결한다(S230).
다음, 제어부(400)는 상용전력망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기 위해, 제1 변환회로(150)의 전력반도체 스위치소자(Q1~Q4)를 오프(OFF)하여 정류기로 동작시킨다(S232). 이와 같이 제1 변환회로(150)에 의해 정류된 전력은 충방전부(200)로 공급된다.
다음, 제어부(400)는 충방전부(200)를 제어하여 제1 입출력부(10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한다. 제어부(400)는 S234, S240, S245, S310 내지 S340단계를 통해 제1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의 제1 스위치(S4)를 제어하여 제1 입출력부(100)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에 포함된 돌입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시작한다(S234). 그리고 제어부(400)는 직류안정화회로(220)를 제어하여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사전에 정해진 설정전압까지 상승시킨다(S240, S245).
그리고, 제어부(400)는 S234단계에서 시작된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의 동작을 종료시키고(S310), S240 및 S245단계에 의해 상승된 전력이 강압되도록 제2 변환회로(230))를 제어한다(S315).
다음, 제어부(400)는 제1 연결회로(250)에 의해 배터리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도록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의 동작을 시작한다(S320).
다음, 제어부(400)는 제1 연결회로(250)의 스위치소자(S7, S8)를 스위칭하여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와 배터리를 연결하고(S325), 이 경우 S320단계에서 시작된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의 동작을 종료한다(S330).
다음, 제어부(400)는 배터리의 전류 및 전압을 검출함으로써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 하면서(S335), 제1 연결회로(250)를 통해 전달되는 전력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한다(S340).
한편, S210단계에서 외부로부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내장발전기로 판단된 경우(S210), 독립전력공급부(300) 및 충방전부(200)를 제어하여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한다.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배터리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내장발전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독립전력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장발전기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독립전력공급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제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여 즉 스위치소자(S1, S2)를 연결함으로써 제1 입출력포트(110)를 상용전력망에 연결한다(S230).
먼저, 제어부(400)는 독립전력공급부(300)를 제어하여 즉 스위치소자(S9, S10)를 스위칭함으로써 제2 연결회로(310)를 내장발전기에 연결한다(S220).
다음, 제어부(400)는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320) 및 제3 변환회로(330)를 제어하여 제2 연결회로(310)에 의해 내장발전기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면서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320)를 통해 전달된 직류전력을 승압하여 충방전부(200)로 공급한다(S222)
다음, 제어부(400)는 충방전부(200)를 제어하여 독립전력공급부(30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한다. 제어부(400)는 S224, S240, S245, S310 내지 S340단계를 통해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S224, S240, S245, S310 내지 S340단계는 위에서 설명한 제1 충전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S234, S240, S245, S310 내지 S340단계와 동일하다.
즉 S224단계는 S234단계와 같이, 제어부(400)는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로 입력된 직류전력에 포함된 돌입전류를 제한하는 기능을 시작한다(S224).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는 제1 충전모드 및 제2 충전모드를 운용함으로써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원공급원의 다변화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400)의 발전동작을 설명한다. 제어부(400)는, 상용전력망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발전모드 및 차량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전력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발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전력의 공급대상이 상용전력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용전력망(Grid)으로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입출력부(100) 및 충방전부(200)를 제어하여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400)는 제1 연결회로(250)의 스위치소자(S7, S8)를 스위칭하여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와 배터리를 연결하고(S410), 제1 연결회로(250)에 의해 배터리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도록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의 동작을 시작한다(S420).
다음, 제어부(400)는 제2 변환회로(230)) 및 직류안정화회로(220)를 제어하여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240)로부터 입력된 전력을 변환하여 직류안정화회로(220)의 전압을 설정치 까지 승압시킨다(S430, S440).
다음, 제어부(400)는 S430단계 및 S440단계에 의해 승압된 전력을 제1 입출력부(100)로 전달하기 위해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210)의 제1 스위치소자(S4)를 연결한다(S450).
다음, 제어부(400)는 제1 입출력부(100)를 제어하여 충방전부(20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한다. 제어부(400)는 S510, S520, S530, S540 및 S545단계를 통해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변환회로(150)를 인버터로 동작시켜, 충방전부(200)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한다(S510). 즉 제1 변환회로(150)의 전력반도체 스위치소자(Q1~Q4)를 스위칭하여 인버터로 동작시킨다.
다음 제어부(400)는, 상용전력망과의 연계동작을 수행하는 지 판단하고(S520),상용전력망과의 연계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용전력망에 대한 정보검출을 완료한다(S530).
다음, 제어부(400)는 스위치소자(S2, S3)를 연결하여 제1 입출력포트(110)를 상용전력망에 연결하고(S540), 제1 변환회로(150)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력을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한다(S545).
한편, 제어부(400)는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전력의 공급대상이 외부전력장치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외부전력장치로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제1 입출력부(100) 및 충방전부(200)를 제어하여 제2 발전모드를 수행한다.
제2 발전모드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400)는 S410 내지 S450단계 및 S510단계를 수행하며, 이들 단계들은 제1 발전모드의 단계들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편의상 이들 단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S520단계로부터 설명한다.
S520단계의 판단결과 상용전력망과의 연계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400)는 스위치소자(S1, S3)를 연결하여 제2 입출력포트(120)를 외부전력장치로 연결하고(S550), 제1 변환회로(150)에 의해 변환된 교류전력을 외부전력장치로 공급한다(S555).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는 제1 발전모드 및 제2 발전모드를 운용함으로써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상용전력망의 운용에 기여할 수 있고, 비상시 외부전력장치에 직접 사용 가능한 상용전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100: 제1 입출력부
110: 제1 입출력포트
120: 제2 입출력포트
130: 제1 절연회로
140: 필터회로
150: 제1 변환회로
200: 충방전부
210: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
220: 직류안정화회로
230: 제2 변환회로
240: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
250: 제1 연결회로
300: 독립전력공급부
310: 제2 연결회로
320: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
330: 제3 변환회로
400: 제어부

Claims (8)

  1. 상용전력망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상용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 입출력부;
    상기 제1 입출력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이용하여 차량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상기 배터리의 직류전력을 상기 제1 입출력부로 공급하기 위한 충방전부; 및
    외부로부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상용전력망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입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상용전력망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입출력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1 충전모드를 수행하고,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터리에 연결하여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변환하고, 상기 제1 입출력부를 제어하여 상기 충방전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상용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된 상용전력망으로 공급하는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차량에 내장되어 독립적인 발전이 가능한 내장(built-in)발전기에 선택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선택적으로 연결된 내장발전기로부터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방전부로 공급하기 위한 독립전력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배터리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내장발전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독립전력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내장발전기에 연결하여 교류전력을 공급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여 상기 독립전력공급부에 의해 변환된 직류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 충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배터리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충전을 위한 전력원이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내장발전기로 판단된 경우,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내장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병렬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상기 제1 충전모드 및 상기 제2 충전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상용전력망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입출력포트와, 차량 외부의 외부전력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입출력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전력의 공급대상이 상용전력망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 입출력포트가 상기 상용전력망에 연결되어 상기 상용전력망으로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는 제1 발전모드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외부전력장치로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동작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2 입출력포트가 상기 외부전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전력장치로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상기 충방전부를 제어하는 제2 발전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출력부는,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에 연결되어 차량내부의 전력회로와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외부전력장치와의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제1 절연회로;
    상기 제1 절연회로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입출력포트를 통해 상기 상용전력망 및 상기 외부전력장치로 각각 공급되는 전력의 고조파 성분 및 전력제어를 위한 필터회로; 및
    상기 필터회로와 상기 충방전부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인버터로 동작하여 상기 충방전부로부터 공급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필터회로로 공급하고, 상기 제어부로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정류기로 동작하여 상기 필터회로를 통해 공급된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충방전부로 공급하는 제1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제1 입출력부 및 상기 독립전력공급부에 직렬로 연결된 제1 저항과 상기 제1 저항에 병렬로 연결된 제1 스위치로 이루어진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
    상기 제1 돌입전류방지회로에 병렬로 연결되고 직류전력의 안정화를 위한 제1 커패시터와 상기 제1 커패시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력을 강제로 방전하기 위한 제2 저항과 상기 제2 저항에 직렬로 연결된 제2 스위치로 이루어진 직류안정화회로; 및
    상기 직류안정화회로와 상기 배터리의 사이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 발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배터리의 전력을 승압하여 상기 직류안정화회로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로 상기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직류안정화회로를 통해 전달된 전력을 강압하여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는 제2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부는 상기 배터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회로와, 상기 제2 변환회로와 상기 제1 연결회로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연결회로에 의해 상기 배터리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2 돌입전류방지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전력공급부는 상기 내장발전기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회로와, 상기 제2 연결회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결회로에 의해 상기 내장발전기의 연결 시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제한하기 위한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와, 상기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와 상기 충방전부의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제어부로 충전제어신호가 인가된 경우 상기 제3 돌입전류방지회로를 통해 전달된 직류전력을 승압하여 상기 충방전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3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20120103097A 2012-09-18 2012-09-18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102011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97A KR102011511B1 (ko) 2012-09-18 2012-09-18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3097A KR102011511B1 (ko) 2012-09-18 2012-09-18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4A KR20140036694A (ko) 2014-03-26
KR102011511B1 true KR102011511B1 (ko) 2019-08-16

Family

ID=50645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3097A KR102011511B1 (ko) 2012-09-18 2012-09-18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5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27004B (zh) * 2016-05-11 2019-03-26 北京充电安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充电桩
CN106685040B (zh) * 2016-12-21 2019-05-24 北京华商三优新能源科技有限公司 充电机及其充电方法和装置及电动汽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279A (ja) * 2008-07-25 2010-02-12 Toyota Motor Corp 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2010154637A (ja) * 2008-12-25 2010-07-08 Honda Motor Co Ltd 車両と家屋間の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0259274A (ja) * 2009-04-28 2010-11-11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充電パック
JP2012175833A (ja) * 2011-02-22 2012-09-10 Minebea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279A (ja) * 2008-07-25 2010-02-12 Toyota Motor Corp 電源システムおよび電動車両
JP2010154637A (ja) * 2008-12-25 2010-07-08 Honda Motor Co Ltd 車両と家屋間の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0259274A (ja) * 2009-04-28 2010-11-11 Toyota Motor Corp 蓄電装置充電パック
JP2012175833A (ja) * 2011-02-22 2012-09-10 Minebea Co Ltd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694A (ko) 201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80096B2 (ja) 電力制御システム、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5379045B (zh) 用于ups系统的lps体系结构
US10250054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n energy storage system
KR101256077B1 (ko) 전력 제어 시스템 및 전력 제어 방법
US20150138843A1 (en) Electric-power conversion device
WO2012144358A1 (ja) 電力供給装置、電力供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直流給電システム
RU2014118749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для возобновляемых источников энергии
JP5297127B2 (ja) 直流給電システム及び蓄電装置
KR20150011301A (ko) 선박용 전력관리장치
JP6574696B2 (ja)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20160072333A1 (en) Electrical energy buffering system
JP2015122866A (ja) 電動車両の充放電システム
JP6660617B2 (ja) 電力変換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装置
KR102011511B1 (ko) 전기차량용 전력제어장치
KR20130131602A (ko) 스마트 그리드 전기자동차와 이를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JP2014027857A (ja) 充放電装置
JP2001177995A (ja) ハイブリッド電源システム
US10320327B1 (en) Power storage power conditioner
KR102176096B1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 시스템
KR20180099279A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JP6410567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起動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02602928B1 (ko) 차량용 전력 변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3346532A (zh) 一种功率变换器和光储发电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6025797A (ja) 電力制御装置及び蓄電装置
KR101244939B1 (ko) 부하평준화 기능을 가진 급속충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