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411B1 -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411B1
KR102011411B1 KR1020170132781A KR20170132781A KR102011411B1 KR 102011411 B1 KR102011411 B1 KR 102011411B1 KR 1020170132781 A KR1020170132781 A KR 1020170132781A KR 20170132781 A KR20170132781 A KR 20170132781A KR 102011411 B1 KR102011411 B1 KR 102011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signal
image
display
recei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332A (ko
Inventor
전성찬
오주영
조승원
박세홍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3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4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4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8Generation of voltages supplied to electrode drivers in a matrix display other than LC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RGB 패널을 구동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밴드 갭 상의 에너지 증폭 또는 감쇠가 가능한 컨버젼부; 및 상기 컨버젼부를 커버하는 커버글래스;가 적층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Display System by Using Wireless Signal}
본 발명은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에 이미지나 영상을 표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극선관(CRT), 플라즈마 TV,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압을 인가하여 빛을 발광시키는 원리를 가진다.
이 중에서 CRT는 스크린 화면이 커질수록 케이싱을 비롯하여 전체 부피가 증가하는 큰 단점을 지니는 바, 근래에 TV로서의 경쟁력은 매우 떨어진다.
플라즈마 TV는 전류에 의해 발광하는 픽셀을 사용하고, 펄스부호변조(Pulse code modulation) 기술을 통해 밝기를 조절하는데, 이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화면의 심한 떨림현상으로 인해 시청자로 하여금 눈의 피로감을 야기하고, 제품의 제조비용이 많이든다는 단점이 있다.
LCD는 플라즈마 TV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제공되는 이미지의 안정성으로 인해 눈에 피로감을 덜 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온도 상승이 크지 않는 장점이 있다. LCD는 백라이트유닛(BLU)과 두 개의 편광판(POL) 그리고 두 개의 편광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백라이트유닛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두 개의 편광판과 액정을 통과하도록 하는 방식을 취한다.
한편, OLED는 상기 CRT, LCD 등에 비해 경량화 및 박형화가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소비전력이 적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기존의 OLE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각의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픽셀은 적색(Red), 녹색(Green), 청색(Blue) 세가지의 형광 자체발광소자(유기발광소자)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압의 인가를 통해 유기물 내에서 정공과 전자의 운동을 발생시켜 스스로 빛을 발하는 전계발광현상을 유도한다. 이들 삼색 OLED 각각으로 부터의 빛을 합함으로써 다양한 색상을 얻을 수 있다. OLED는 일반적으로 투명 기판 상에 양극, 전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및 전자 수송층 등을 포함하고, 마지막으로 음극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외부로부터 광이 OLED 패널에 입사되면, OLED 패널의 내부에 있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극부에 의해 광이 반사되는 원리를 취한다.
산업계에서는 원가 절감과 함께 더욱 경량화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요구에 따라 상기 LCD와 OLED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보다 더 얇고 효율적인 디스플레이를 만들고자 하는데 기술적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편, 특정 물질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대역에서 효율적인 photon energy를 얻을 수 있는 공정기술, 특정 물질을 이용한 Red, Blue, Green 색상의 photo luminescence 기술, photo luminescence emission control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포톤 업컨버젼(Photon up-conversion)과 다운컨버젼(down-conversion) 기술을 이용해 적외선, RF, microwave, UV 등의 다양한 파장 대역의 무선신호를 가시광으로 상향 변환 및 하향 변환시키고, 빛을 방출시켜 무선신호로 디스플레이를 시킬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91815호
Chemical. Mater. vol. 16, 1244-1251
본 발명에서는 포톤 업컨버젼과 다운컨버젼 기술을 이용해 적외선, 자외선, RF, microwave 등의 다양한 파장 대역의 무선신호를 가시광으로 상향 변환 및 하향 변환시키고, 변환된 가시광을 재방출시키는 원리를 취함으로써,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밴드 갭 상의 에너지 증폭 또는 감쇠가 가능한 컨버젼부; 및 상기 컨버젼부를 커버하는 커버글래스;가 적층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버젼부 하부에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표시를 위한 무선신호와 별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Power On/Off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신호송신부는 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 송신부가 송신하는 무선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송신부가 송신하는 무선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버젼부는 컨버젼물질로서 NaYF4, 란탄계 이온 Yb, 또는 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송신부는 자외선, 적외선, RF, microwav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영역이 포함된 파장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송신부는 가시광선 영역을 제외한 파장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신호송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LCD와 OLED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구현을 위해 픽셀마다 전압을 인가하였던 것과 달리, 이러한 전압인가 없이도 디스플레이 구동을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정보 송신장치 간의 직접적인 연결 없이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LCD의 구성품인 배향막, 액정층, 백라이트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무선신호를 사용하고 그 신호를 Up-conversion을 이용해 증폭시켜 energy gap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OLED의 구성품인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같은 전압 인가 장치가 필요 없다.
박막 트랜지스터(TFT) 구성이 없어서 전압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각 픽셀 당 RGB 색상을 제어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무선신호에서 계속적으로 송신(조사)하는 이미지 및 영상 정보의 주파수에 따라, 무선신호가 수신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픽셀 당 할당된 Up/Down conversion 물질을 통과할 때 에너지를 증폭하는 양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해 유기물이 발광하는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 영역대 파장의 빛을 송출하여 화면에 사진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 기기와 달리, 무선신호송신부와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무선신호에서 송신되는 영상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p/Down Conversion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송신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밴드 갭 상의 에너지 증폭(amplification) 또는 감쇠(attenuation)가 가능한 컨버젼부(220); 및 상기 컨버젼부(220)를 커버하는 커버글래스(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버젼물질 하부에 반사판(2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반사판(210), 컨버젼부(220) 및 커버글래스(230)를 포함하여 하나의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할 수 있는데, 앞서 본 발명의 효과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여기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같은 전압 인가장치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란 영상 표시를 위한 신호로서 영상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는 무선신호 송신부(100)의 구성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여기서 영상정보란 이미지와 같은 정적 시각 정보와 동영상과 같은 동적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개념임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영상정보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특정 파장(또는 주파수)을 갖으며 송출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신호 송신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의 관계는 외관상으로는 레이저 포인터와 레이저가 지시하는 지점에 위치한 통상의 디스플레이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레이저 포인터는 육안으로 녹색, 청색, 적색을 가지는 것처럼 보이는 가시광선 영역의 파장의 레이저만을 송신하여 화면상에 표시되는 슬라이드나 영상의 특정점을 지시하는 역할을 하는 반면, 본 발명의 무선신호 송신부(100)는 디스플레이부(200)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신호 송신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는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 등 각종 영상 기기들의 신호를 입력받아서 렌즈를 통해 확대한 영상을 스크린 상에 나타내는 빔 프로젝터와도 구분된다.
비록 이미지 및 영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무선신호를 무선신호 송신부(100)가 디스플레이부(200)로 지속적이고, 연속적으로 송신한다는 점에선 빔 프로젝터와 일견 유사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빔프로젝터가 TV, VCR, DVD Player, PC, 캠코더 등과 같은 각종 영상 기기들의 자료를 슬라이드나 동영상 이미지로 재생하고, 재생한 영상 자체를 스크린에 단순히 투영하는 것에 그치는 반면, 본 발명은 자료를 재생한 상태에서 스크린에 단순히 투영하는 것이 아니라 송신부(100)에서 송출된 특정 파장을 가진 영상 정보를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컨버젼시켜 가시광선영역대로 변환시킨다는 점에서 현저한 차이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디스플레이부(200)는 영상 표시를 위한 무선신호와 별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200)를 구동하는 Power On/Off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ower On/Off 전원부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의 기판(20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부의 역할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200)에 설치된 각종 전자 소자(LED, 시계, 채널정보 표시기 등)의 전원을 On/Off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무선신호 송신부(100)가 디스플레이부(200)를 향해 어떠한 영상정보를 송출하더라도 디스플레이부(200)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디스플레이부(200)의 디스플레잉 기능 자체를 On/Off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부(1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무선신호송신부(100)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무선신호 송신부(100)는 두 가지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담고 있는 신호이고, 다른 한 가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송신하는 신호이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조작명령이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Power)을 On/Off 하는 명령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선신호 송신부(100)가 송신하는 무선신호는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신호 송신부(100)에서 송출되는 신호는 대체로 직진성이 강하지만 무선신호 송신부(100)와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양자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위치하더라도 본 발명의 무선신호 송신부(100)는 대체로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운 위치에서 운영되고, 무선신호 자체가 회절성을 가지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표시하는 데에는 지장이 없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반사판(210)은 디스플레이부의 기저를 이루고, 상기 컨버젼부(220)에서 발광되는 가시광선을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을 향해 다시 반사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이다. 컨버젼부(220)에서 발광되는 가시광선을 디스플레이부(200)의 전면을 향해 모아주므로 보다 선명한 이미지,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과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컨버젼부(220)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p/Down Conversion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컨버젼부(220)는 적외선, 자외선, RF, Microwav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영역이 포함된 파장대역의 무선신호가 여기되어 가시광을 발광할 수 있는 업컨버젼 및/또는 다운컨버젼 특성을 가진다.
컨버젼부(220)에 포함되는 컨버젼 물질의 예시로 나노물질(nano-material)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란탄족 원소인 이터븀(Yb)와 어븀(Er)이 도핑된 나노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나노물질은 예컨대 50nm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매우 얇게 형성되므로 일정 크기의 구조물을 가짐으로써 유발되는 불균일에 의한 휘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물질은 란탄족 원소가 도핑된 발광 나노입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입자 크기가 변하여도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 위치가 변하지 않는다.
물질 NaYF4는 업컨버젼을 나타내는 가장 효율이 좋은 나노물질의 모체로 알려져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나노물질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근적외선을 이터븀(Yb)이 흡수하여 어븀(Er)으로의 에너지 전달(amplification)을 통해 업컨버젼 현상이 나타난다. 만약 자외선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반대로 어븀(Er)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이터븀(Yb)으로의 에너지 전달(attenuation)을 통해 다운컨버젼 현상이 나타난다.
무선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에 사용되는 가시광선 이하 대역의 무선신호의 낮은 에너지를 업컨버젼을 통해 증폭시켜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또는 가시광선 이상 대역의 무선신호를 사용한다면 다운컨버젼을 통해 에너지를 감쇠시켜 가시광선으로 전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적외선, 자외선, RF, Microwave 등 다양한 파장 대역의 무선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사되어 본 발명의 컨버젼 물질을 만나게 되면, 본 발명의 컨버젼 물질의 조성에 따라 업/다운 컨버젼되어 가시광을 발하게 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복수 개의 픽셀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픽셀에 형성된 컨버젼 물질이 RGB에 색을 모두 발현하게 할 수 있다. 무선신호에 따라 하나의 픽셀에 Red, Green, Blue에 대응하는 색을 각각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버젼 물질이 구비되면, 무선신호송신부(100)에서 송출하는 영상정보에 대응하는 색을 발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종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하나의 픽셀 내부에 R,G,B를 발현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서로 다른 발광물질을 배치함으로써 원하는 색을 발현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된 1개 발광물질과 동일한 크기의 1개 컨버젼 물질만으로도 R,G,B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알려진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한 해상도를 얻기 위해 필요한 픽셀개수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에서는 1/3 이하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달리 표현하면, 픽셀 당 화질 선명도가 3배 이상 증가할 수 있다.
만약, 무선신호 송신부(100)에서 송출하는 영상정보가 나노세컨드 단위로 디스플레이부(200)에 수신되면, 영상정보의 파장 변화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00)에서 발현하는 색도 변화하여 동적 영상의 표시가 쉽게 구현 가능하다. 예를들어, 10nm/sec의 속도로 빨간색이 발현될 수 있는 무선신호와, 5nm/sec의 속도로 파란색이 발현될 수 있는 무선신호가 서로 번갈아 수신되면 디스플레이부(200) 상에는 보라색이 발현될 수 있다. 이처럼, 시간 변화에 따라 원하는 색을 발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컨버젼 물질이 형성된 디스플레이부(200)를 이용하면, 종래 LCD에서 액정(Liquidd Crystal)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 전극에 일정 전압을 가하여 R,G,B를 구현하였던 것과 달리, 또 종래 OLED에서 유기발광소자 하부에 위치한 전극에 일정 전압을 가하여 R,G,B를 구현하였던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컨버젼 물질(230)을 이용해 에너지 밴드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극을 구비하지 않고도 R,G,B 구현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신호 송신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무선신호 수신부에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여야 한다.
영상 정보가 담겨진 무선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하여야만 무선신호 수신부가 이를 수신받아 실시간 재생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상에 끊김없이 계속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컨버젼 물질(230)로서 NaYF4와 Yb, Er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 Yb3, Er을 제외한 다양한 란탄계 이온도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 구현을 위해 적용 및 응용될 수 있다.
그 예시로서, 도 3과 도 4에는 Tm3 +, Ho3 +의 컨버젼 물질 특성이 도시된다. 도 3의 우측 하단의 도면을 참조하면, 주파수(또는 파장)에 따라 다양한 색의 가시광이 발광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도 5와 도 6을 참조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시예에 따른 무선신호송신부의 측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무선신호송신부를 이용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원리를 보다 구체적인 설명하기 위해 마련된 도면으로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2의 적층된 구성요소들이 디스플레이부(200)의 기판(201) 상에 각각 복수 개 마련되고, 각각의 적층된 구성요소들마다 무선신호가 입사되는 것이 도시된다.
각각의 적층된 구성요소들은 디스플레이부에서 하나의 픽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픽셀들은 적생광, 녹색광 및 청색광을 방출하여야 하는데, 서로 인접한 픽셀마다 다른 광을 방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적층된 구성요소들에는 개별적인 무선신호가 입력되어야 하므로, 무선신호송신부는 무선신호를 부호화한 상태로 송신하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으며, 또한, 이들 개별적인 무선신호가 각각의 픽셀에 구분되어 입력될 수 있도록 부호화된 무선신호를 식별하고 복호화하여 영상정보로 받아들이는 과정이 요구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무선신호송신부(100)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하고자 할 때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신호송신부(100)에서, 자외선, 적외선, RF, microwav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영역이 포함된 다양한 파장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00)에 마련된 각 픽셀당 컨버젼 물질의 정보를 알고 있으면, 디스플레이부(2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픽셀마다, 어떠한 파장을 가진 무선신호가 입력이 될 때 원하는 영상이 표시될지를 미리 알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무선신호송신부(100)는 가시광선 영역을 제외한 파장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신호송신부(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에 장애물(ex, 손)이 위치하더라도 그림자가 디스플레이부(200)에 맺히지 않게 된다.
빔 프로젝터의 경우 가시광선을 송출하기 때문에 장애물이 위치하면 스크린 상에 그림자가 맺히게 되나, 본원 발명의 경우는 그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사람이 가시광선을 바라보게 되었을 때 눈부심도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상기 무선신호송신부(10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00) 사이의 거리에 따라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에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무선신호 송신부(100)가 송출하는 신호가 최대한 직진성을 가지도록 하여 디스플레이부(200)의 원하는 영역에 영상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점은 빔 프로젝터에서 프로젝터의 위치와 스크린 사이의 거리에 따른 상맺힘 특성과 유사하다.
상기 내용을 정리하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통해 종래 LCD와 OLED 기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구현을 위해 픽셀마다 전압을 인가하였던 것과 달리, 이러한 전압인가 없이도 디스플레이 구동을 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와 영상정보 송신장치 간의 직접적인 연결 없이도 디스플레이 장치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스스로 발광할 수 있는 유기물을 사용하기 때문에 LCD의 구성품인 배향막, 액정층, 백라이트가 필요 없게 된다.
또한, 무선신호를 사용하고 그 신호를 Up/down conversion을 이용해 증폭시거나 감쇠시켜 energy gap을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OLED의 구성품인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같은 전압 인가 장치가 필요 없다.
박막 트랜지스터(TFT) 구성이 없어서 전압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각 픽셀 당 RGB 색상을 제어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무선신호에서 계속적으로 송신(조사)하는 이미지 및 영상 정보의 주파수에 따라, 무선신호가 수신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픽셀 당 할당된 Up/Down conversion 물질을 통과할 때 에너지를 증폭하는 양이 달라지는 원리를 이용해 유기물이 발광하는 색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연결"이란 일 부재와 타 부재의 직접적인 연결, 간접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접착, 부착, 체결, 접합, 결합 등 모든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적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표현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이 부가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무선신호 송신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10 : 반사판
220 : 컨버젼부
230 : 커버글래스

Claims (9)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상기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무선신호송신부; 및
    상기 무선신호송신부가 송신한 무선신호의 에너지 밴드 갭 상의 에너지를 증폭 또는 감쇠하여 가시광선영역대로 변환하는 컨버젼부와 상기 컨버젼부를 커버하는 커버글래스가 적층된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가시광선영역대로 변환한 무선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복수 개의 픽셀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기 복수 개 픽셀 각각은 상기 컨버젼부와 커버글래스가 적층되어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무선신호는,
    가시광선 영역을 제외한 파장대역의 무선 신호이며,
    영상 표시를 위한 영상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정적 시각 정보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동적 시각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젼부 하부에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를 위한 무선신호와 별개의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하는 Power On/Off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부가 송신하는 무선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영상이 표시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젼부는 컨버젼물질로서 NaYF4, 란탄계 이온 Yb, 또는 Er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부는 자외선, 적외선, RF, microwave가 포함된 파장대역의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송신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의 거리에 따라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70132781A 2017-10-12 2017-10-12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1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81A KR102011411B1 (ko) 2017-10-12 2017-10-12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81A KR102011411B1 (ko) 2017-10-12 2017-10-12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32A KR20190041332A (ko) 2019-04-22
KR102011411B1 true KR102011411B1 (ko) 2019-08-16

Family

ID=66283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781A KR102011411B1 (ko) 2017-10-12 2017-10-12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4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1807A1 (en) * 2016-03-11 2017-09-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olarizer shee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polarizer shee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79B1 (ko) * 2009-08-31 2016-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린 리모컨 및 공간 리모컨에 의해 컨트롤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그리고 그 제어 방법
KR101691815B1 (ko) 2015-07-10 2017-01-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2차원 나노시트를 이용한 신경작용제 감지 가스 센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261807A1 (en) * 2016-03-11 2017-09-14 Boe Technology Group Co., Ltd. Polarizer shee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polarizer 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32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7115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CN107316885B (zh) 一种有机发光二极管oled显示屏及一种电子设备
US7863813B2 (en) In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quantum dots
US10068949B2 (en) Display panel
CN1878439B (zh) 显示装置
WO2013021941A1 (ja) 蛍光体基板、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0553653B2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70268205A1 (en) Multiprimary color display
JP4720865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電子機器
MX2007010909A (es) Dispositivo de pantalla bloqueadora de luz del tipo de excitacion de campo electrico.
US8228465B2 (en) White phosphor, light emission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light emission device as backlight unit
US10475867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US20200006450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40043566A1 (en) Display device with increased optical efficiency
US20130229598A1 (en) Light-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CN101233751A (zh) 显示设备
US9508275B2 (en) Display device
CN102354700A (zh) 显示装置
JP2011203314A (ja) 画像表示部温度分布推定方法、画像表示部温度分布推定装置、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8610359B2 (en) Display device
JP2002006776A (ja) 画像表示装置
EP2081078B1 (en) Display device
KR20150078396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2011411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TWI241435B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