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217B1 -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217B1
KR102011217B1 KR1020180078648A KR20180078648A KR102011217B1 KR 102011217 B1 KR102011217 B1 KR 102011217B1 KR 1020180078648 A KR1020180078648 A KR 1020180078648A KR 20180078648 A KR20180078648 A KR 20180078648A KR 102011217 B1 KR102011217 B1 KR 10201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detergent
support body
wat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102018007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2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2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 A47L15/3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movement of the crockery baskets by other means by rotating only

Landscapes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급수 밸브와 소정의 액체세제가 수용된 세제통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물 또는 액체세제가 이동하는 제1 유로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몸체와,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지지몸체를 통과한 물 또는 세제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상기 제1 유로부에 대응하는 제2 유로부가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모터와,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의 타단 일측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회전몸체를 통과한 물과 세제가 수직 하방으로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하방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물과 세제를 이용해 식기류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수세미를 이용한 설거지 작업 시 필요한 노동력을 크게 절감시키므로 설거지를 더욱 손쉽고 안전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APPARATUS FOR WASHING THE DISHES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대의 개수대에 인접한 벽면에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수세미를 이용하여 설거지 작업을 더욱 손쉽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식기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사 노동에 있어서 많은 발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설거지는 과거와 변함없이 가사에 많은 부담을 주는 과제로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에서 식기를 세척할 땐 싱크대 앞에 허리를 구부리고 서서 한쪽 손은 그릇을 잡고 다른 한쪽 손은 수세미에 세제를 묻혀 그릇에 대고 문지른 다음 물로 헹궈 세척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수세미와 식기를 각각 잡고 인력으로 닦아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됨과 더불어 허리에 부담을 주고 습진 등의 피부 손상을 유발시키므로 설거지를 자동으로 해결해주는 식기세척기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고 있다.
종래의 식기류를 자동으로 세척하는 식기세척기는 분사노즐을 통한 고압 분사 또는 초음파를 이용한 전자동 방식으로서, 박스형 세척기의 내부 선반에 식기를 적재하면 아랫부분의 회전 노즐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고 가열하여 건조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그 장치가 매우 복잡하게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나 물, 시간의 낭비가 따르므로 소가족의 경우 아파트에 설비가 되어있어도 사용치 않는 가정이 대부분이며 소량의 식기를 세척하기에는 이를 사용하기가 더 번거로워 아예 고무장갑을 끼고 설거지하게 되는 경우가 더 많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설거지가 힘든 이유는 식기세척기가 접시 세척에서는 편리하나 밥그릇을 씻기 어려운 형태로 발명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밥그릇은 오목하며 밥이 눌러 붙어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도와 힘에 있어서 식기 세척기로는 어려운 점이 많으며, 냄비 등 큰 세척물은 식기세척기에 넣기가 불편하면서 기름기 등이 제거가 잘 안 되는 단점이 있다.
KR 20-2012-0000510 U KR 20-0333018 Y1 KR 10-0183373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기류에 세제를 묻혀 수세미로 문지르는 설거지 작업을 모터의 동력을 이용해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식기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는, 급수 밸브와 소정의 액체세제가 수용된 세제통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물 또는 액체세제가 이동하는 제1 유로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몸체와,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지지몸체를 통과한 물 또는 세제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상기 제1 유로부에 대응하는 제2 유로부가 형성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모터와,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의 타단 일측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회전몸체를 통과한 물과 세제가 수직 하방으로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의 하방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물과 세제를 이용해 식기류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부는,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대칭되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수세미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에 따른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는 암나사와 수나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외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되, 일면에 상기 제1 체결구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구가 형성되는 부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될 때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몸체는,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몸체와, 일단의 내측면이 상기 제1 몸체의 타단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몸체와, 일단의 외측면이 상기 제2 몸체의 타단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 몸체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부는 상기 제1 몸체,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제3 몸체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서로 접하는 지점과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가 서로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 평행선상에 나란히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 위치와 관계없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수세미를 회전 운동시킴과 동시에 물과 세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수세미를 이용한 설거지 작업 시 필요한 노동력을 크게 절감시키므로 설거지를 더욱 손쉽고 안전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만약 단순히 수세미가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면 세척할 식기의 외면이 골고루 수세미에 접하도록 식기를 이리저리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데 반해, 본 발명의 경우, 수세미의 편심 회전으로 인해 회전 중인 수세미 바로 밑에 세척할 그릇을 갖다 대는 것으로도 식기의 외면을 전후좌우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가 고정되는 부착판과 연결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착판의 저면도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한 종단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세미가 고정되는 부착판과 연결바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부착판의 저면도이다.
이하, 전술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는 크게 지지몸체(100), 회전몸체(200), 모터(300), 배출부(400), 세척부(500) 및 고정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몸체(100)는 소정 크기의 케이스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부 일측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몰 형성되는 힌지홈(120)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힌지홈(120)의 내면 일측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제1 유로부(110)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유로부(110)는 상수도 급수 라인과 연결되는 급수 밸브와 소정의 액체세제가 수용된 세제통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유로부(110)를 통해 물 또는 액체세제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세제통은 지지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상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지지몸체(100)의 일측면에는 세제통을 넣었다 뺐다 할 수 있도록 도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세제통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상태라면, 상기 세제통의 세제 분출구와 연결된 별도의 세제배출호스(미도시)가 지지몸체(100)의 제1 유로부(110)의 세제 공급 유로(111)에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급수밸브는 싱크대 개수대의 상수도 급수 라인과 연결되어 싱크대 개수대의 수도꼭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제1 유로부(11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홈(120)은 회전몸체(200)의 일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회전몸체(200)의 두께에 대응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지지몸체(100)는 'ㄷ'자형의 힌지홈(120)에 삽입되는 회전몸체(200)의 전면과 상단 및 하단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회전몸체(200)와 힌지 결합하게 된다.
고정부(600)는 지지몸체(100)의 일측면을 싱크대의 개수대에 인접한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고정부(600)는 지지몸체(100)의 측단부 형태에 대응하는 판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면은 싱크대의 개수대의 상측에 대응되는 벽면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고정하고, 타면에 지지몸체(100)의 일측면을 접하도록 밀착시켜 나사 체결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대한 도면상에는 고정부(600)가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지지몸체(100)를 벽면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부착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긴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100)를 벽면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역할을 만족하기만 한다면, 고정부(600)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지지몸체(100)를 벽면에 설치하는 방법 또한 벽면에 고정하기만 한다면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한 설치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회전몸체(200)는 일단이 지지몸체(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지지몸체(100)를 통과한 물 또는 세제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제1 유로부(110)에 대응하는 제2 유로부(21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회전몸체(200)는, 일단이 지지몸체(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몸체(201)와, 일단의 내측면이 제1 몸체(201)의 타단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몸체(202)와, 일단의 외측면이 제2 몸체(202)의 타단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몸체(203)와, 제1 몸체(201)의 타단과 제3 몸체(203)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23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몸체(2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201)의 내측 일단부에 고정 설치되되 일측의 일부 영역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원통형의 내부몸체(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내부몸체(220)의 외측면에는 소정의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원호 형상의 회전홈(240)이 형성되고, 제1 몸체(201)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유로부(210)는 회전홈(240)을 통과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내부몸체(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유로부(210)의 일단부는 고정몸체(100)의 단부와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나, 내부몸체(220)의 내부에 형성된 제2 유로부(210)의 타단부는 회전홈(240)을 통과함에 따라, 제1 몸체(201)가 좌우로 회동 운동을 수행할 때 제2 유로부(210)가 회전홈(240)을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므로, 회전몸체(200)가 좌우로 회동하더라도 제1 유로부(110)와 제2 유로부(210)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유로부(210)는 제1 몸체(201), 제2 몸체(202) 및 제3 몸체(203) 각각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몸체(201)와 제2 몸체(202)가 맞닿는 지점과 제2 몸체(202)와 제3 몸체(203)가 맞닿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 평행선상에 나란히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 위치와 관계없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몸체(200)는 일단부 외측면이 지지몸체(100)의 힌지홈(120)에 둘러싸이도록 삽입된 후 회전몸체(200)와 지지몸체(100)를 관통하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지지몸체(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유로부(210)의 단부는 힌지 결합된 회전몸체(200)가 힌지홈(120)에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제1 유로부(110)의 단부와 평행하게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유로부(210)는 회전몸체(200)의 일단이 지지몸체(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될 때 제1 유로부(110)와 제2 유로부(21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로부(210)는 제1 유로부(110)와 마찬가지로 상수도 급수 라인과 연결되는 급수 밸브와 소정의 액체세제가 수용된 세제통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몸체(200)를 구성하는 제1 몸체(201), 제2 몸체(202) 및 제3 몸체(203) 각각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제 공급 유로(211a, 211b, 211c)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급수 유로(212a, 212b, 212c)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회전몸체(200)의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경우, 작업자의 신체적 조건에 따라 제3 몸체(203)를 슬라이드 이동으로 인출입하여 작업 시 원근 거리를 조정할 수 있고, 작업이 종료되면 제1 몸체(201)가 가능한 벽 쪽으로 쏠리도록 좌우로 회전시켜 싱크대를 이용한 다른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모터(300)는 세척부(5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몸체(200)의 내부에 구비된다.
배출부(400)는 지지몸체(100)와 회전몸체(200)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물과 세제를 수직 낙하시켜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이 회전몸체(200)의 타단 일측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배출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는 일정 폭을 유지하되 하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부(500)는 배출부(400)의 하방에 설치되되 모터(3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출부(400)로부터 배출된 물과 세제를 이용해 식기류의 표면을 세척한다.
구체적으로, 세척부(500)는, 일단이 모터(300)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배출부(40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바(510)와, 연결바(510)의 타단에 설치되는 부착판(530)과, 부착판(530)의 저면에 설치되어 식기류의 표면을 세척하는 수세미(520)를 포함한다.
연결바(510)는 모터(30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해 축 회전하되 모터(3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편심 구동하도록, 모터(300)의 회전축 중심에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소정의 링크부재(L)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링크부재(L)는 양단에 각각 모터(300)의 회전축과 연결바(510)가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되고 양측 축공의 축심간의 거리에 따라 편심길이가 결정되게 된다.
즉, 연결바(510)는 모터(300)의 회전축과 동일 축 선상에 놓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모터(300)의 구동 시 연결바(510)는 축회전하여 회전축의 회전반경에 기초한 원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움직이게 된다.
여기서, 배출부(400)의 하단에는 연결바(510)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에 따른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통공(40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만약 단순히 수세미가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면 세척할 식기의 외면이 골고루 수세미에 접하도록 식기를 이리저리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데 반해, 본 발명의 경우, 수세미의 편심 회전으로 인해 회전 중인 수세미 바로 밑에 세척할 그릇을 갖다 대는 것으로도 식기의 외면을 전후좌우 골고루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수세미(520)는 연질우레탄과 합성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대칭되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이다.
예컨대, 수세미(5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제1 거리 이내의 영역에서는 급격한 제1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거리 이상인 영역에서는 상기 제1 기울기보다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세미(520)는 정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50mm 이내의 영역에 해당하는 중앙 부분은 60mm의 두께를 가지고, 그외의 영역에 해당하는 바깥 부분은 40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형상의 수세미를 이용할 경우, 수세미의 바깥 부분보다 중앙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하향 돌출되어 식기 내면의 깊은 곳까지 닿을 수 있으므로, 식기 세척 시 회전하는 수세미가 식기에 닿는 면적이 늘어나게 된다.
부착판(530)은 유연성이 우수한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된 복수의 절개부(534)가 형성된다.
여기서, 부착판(530)의 일면은 연결바(510)의 타단에 고정되고, 부착판(530)의 타면에는 수세미(520)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바(510)의 타단에는 암나사와 수나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체결구(512)가 형성되고, 부착판(530)의 일면에는 제1 체결구(512)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구(53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착판(530)은 지름이 160mm 내지 200mm인 원형으로 마련되고, 절개부(532)의 깊이는 40mm 내지 60mm일 수 있다.
이때, 수세미(520)의 상방에 해당하는 연결바(5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수세미(520)의 회전으로 인해 배출부(400)로부터 배출된 물과 세제가 사방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막이용 커튼(미도시)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물막이용 커튼(미도시)은 수세미(520)의 상부 전체와 하부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뒤집어진 U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C)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세제펌프(P)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세제펌프(P)는 세제통에 수용된 액체세제가 세제 공급 유로(111,211)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유로부(210)의 세제 공급 유로(211)상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C)는 세제펌프(P)의 동작과 모터(300)의 구동 여부를 조작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제펌프(P) 및 모터(30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몸체(200)의 일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어부(C)를 이용하여 설거지 작업 시 사용할 물 또는 세제의 주입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수세미를 회전 운동시킴과 동시에 물과 세제가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수세미를 이용한 설거지 작업 시 필요한 노동력을 크게 절감시키므로 설거지를 더욱 손쉽고 안전하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만약 단순히 수세미가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게 되면 세척할 식기의 외면이 골고루 수세미에 접하도록 식기를 이리저리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데 반해, 본 발명의 경우, 수세미의 편심 회전으로 인해 회전 중인 수세미 바로 밑에 세척할 그릇을 갖다 대는 것으로도 식기의 외면을 전후좌우 골고루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강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으므로,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써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벽 100: 지지몸체
110: 제1 유로부 111: 세제 공급 유로
112: 급수 유로 120: 힌지홈
200: 회전몸체 201: 제1 몸체
202: 제2 몸체 203: 제3 몸체
210: 제2 유로부 211: 세제 공급 유로
212: 급수 유로 220: 내부몸체
230: 슬라이딩레일 240: 회전홈
300: 모터 400: 배출부
401: 통공 500: 세척부
510: 연결바 512: 제1 체결구
520: 수세미 530: 부착판
532: 제2 체결구 534: 절개부
600: 고정부

Claims (5)

  1. 급수 밸브와 소정의 액체세제가 수용된 세제통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어 물 또는 액체세제가 이동하는 제1 유로부가 내부에 형성되는 지지몸체;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지지몸체를 통과한 물 또는 세제가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상기 제1 유로부에 대응하는 제2 유로부가 형성되는 회전몸체;
    상기 회전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소정의 모터;
    일단이 상기 회전몸체의 타단 일측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되되, 상기 지지몸체와 상기 회전몸체를 통과한 물과 세제가 수직 하방으로 낙하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 및
    상기 배출부의 하방에 설치되되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된 물과 세제를 이용해 식기류의 표면을 세척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일단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설치되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호 대칭되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수세미와, 상기 연결바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을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연결하도록 양단에 각각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연결바가 결합되는 축공이 형성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부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바를 중심으로 편심 회전에 따른 회전 반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는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몸체와, 일단의 내측면이 상기 제1 몸체의 타단 외측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2 몸체와, 일단의 외측면이 상기 제2 몸체의 타단 내측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타단과 상기 제3 몸체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유로부는
    상기 제1 몸체, 상기 제2 몸체 및 상기 제3 몸체 각각의 내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서로 접하는 지점과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제3 몸체가 서로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각각 동일 평행선상에 나란히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 위치와 관계없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몸체의 일단이 삽입되어 힌지 결합되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일단이 상기 지지몸체의 상부에 힌지 결합될 때 상기 제1 유로부와 상기 제2 유로부가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는 암나사와 수나사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제1 체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세척부는,
    외주연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일정 폭과 깊이로 절개된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되, 일면에 상기 제1 체결구와 나사 결합하기 위한 제2 체결구가 형성되는 부착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KR1020180078648A 2018-07-06 2018-07-06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KR10201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48A KR102011217B1 (ko) 2018-07-06 2018-07-06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48A KR102011217B1 (ko) 2018-07-06 2018-07-06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217B1 true KR102011217B1 (ko) 2019-08-14

Family

ID=67621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48A KR102011217B1 (ko) 2018-07-06 2018-07-06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2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959Y1 (ko) * 1994-09-13 1996-08-16 박홍길 식기 세척기
KR200333018Y1 (ko) 2003-08-13 2003-11-12 배윤정 자동세척기
KR20100042621A (ko) * 2010-04-06 2010-04-26 이원태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KR20120000510U (ko) 2010-07-12 2012-01-18 이영재 휘는 회전 수세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959Y1 (ko) * 1994-09-13 1996-08-16 박홍길 식기 세척기
KR200333018Y1 (ko) 2003-08-13 2003-11-12 배윤정 자동세척기
KR20100042621A (ko) * 2010-04-06 2010-04-26 이원태 식기형상에 적응하는 회전 수세미
KR20120000510U (ko) 2010-07-12 2012-01-18 이영재 휘는 회전 수세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92935A (en) Dishwasher with rotary rack and spray tube
US9326657B2 (en) Dual direction, double tier spray arm assembly for a dishwashing appliance
US10292564B2 (en) Spray arm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US20160198928A1 (en) Spray arm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KR101764293B1 (ko) 식기 세척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US20180110395A1 (en) Spray assemblies for dishwasher appliances
KR101570844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 세척기
US11464390B2 (en) Fan-shaped spray detergent nozzle
US20180177377A1 (en) Hand washing and dry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359482B1 (ko) 초음파 식기 세척기
KR101069136B1 (ko) 싱크대 일체형 식기세척장치
RU257858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вращающимся распылительным коромыслом
KR20120126598A (ko) 식기세척기
KR102011217B1 (ko) 싱크대용 식기 세척 장치
KR20080011995A (ko) 수저 전용 세척기
KR101281449B1 (ko) 원통형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2160603B1 (ko) 자동식기세척기겸용 싱크대
US10123678B1 (en) Rack assembly for a dishwasher appliance
US20120284938A1 (en) Brush Based Dishwasher
US10512387B2 (en)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for an appliance
KR101625020B1 (ko) 식기세척기
US4069533A (en) Washing machine for cleaning cooking pots or similar articles
CN220713859U (zh) 清洗组件及洗碗机
KR20100007001U (ko) 세척제를 겸비한 수동형태의 야채,과일 및 식기세척기.
CN110537886A (zh) 刷洗式自动洗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