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565B1 - Frame Having Multi-Function - Google Patents

Frame Having Multi-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565B1
KR102009565B1 KR1020170116553A KR20170116553A KR102009565B1 KR 102009565 B1 KR102009565 B1 KR 102009565B1 KR 1020170116553 A KR1020170116553 A KR 1020170116553A KR 20170116553 A KR20170116553 A KR 20170116553A KR 102009565 B1 KR102009565 B1 KR 102009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light emitting
frame
olfactory
emitt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5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29922A (en
Inventor
허훈
김홍윤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29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9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0Applying plastic materials and superficially modelling the surface of thes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1/00Designs or pictures characterised by special or unusual light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3Sound producing mean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는, 추억 주제에 대한 시각적, 음향적, 촉각적, 후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억 주제가 태아인 경우, 태아 초음파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태아의 형상 및 心音(심장소리) 및 임신부를 안정시킬 수 있는 방향제로 구성될 수 있다.The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visual, acoustic, tactile, and olfactory information on a subject of memory. For example, when the subject of memory is the fetus, the fetus may be composed of a fetal shape and heart sound (heart sound) configured using ultrasound data, and a fragrance that can stabilize the pregnant woman.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Frame Having Multi-Function}Frame Having Multi-Function

본 발명은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와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cture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액자 틀과, 상기 액자 틀의 후방에 결합되는 뒷 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general, the picture frame may be composed of a frame frame having a space so as to fit a picture or a picture therein, and a back plate coupled to the rear of the frame frame.

이와 같은 종래의 액자는, 통상적으로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고,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벽에 걸어 장식 미를 갖게 한다.Such conventional picture frames are commonly used for interior decoration and are placed on a cabinet or the like to be hung on a wall to give a decorative beauty.

본 발명자는, 종래의 액자가 가지는 기본적인 기능을 넘어서는 보다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액자를 발명하게 되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vented a picture frame having more various functions beyond the basic functions of the conventional picture fram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복합기능을 가지는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On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각, 청각, 후각, 촉각적인 감각을 제공하는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that provides a visual, auditory, olfactory, tactile sens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향기를 보다 잘 배출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icture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to discharge the fragrance bett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는 그림판, 상기 그림판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그림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의 배면에 마련되어, 향기를 제공하는 후각 모듈 및 상기 그림판, 상기 발광 모듈 및 상기 후각 모듈 순서로 패키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그림판 뿐 아니라, 상기 후각 모듈을 향하여도 광을 조사하여, 상기 후각 모듈에서 향기가 나오도록 열을 제공할 수 있다.Picture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nt plate, a light emitting modul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paint plate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paint plate, provided on the back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the olfactory module to provide a fragrance and the paint plate And a housing for packaging in the order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olfactory module, wherein the light emitting module irradiates light toward the olfactory module as well as the paint plate to provide heat to emit fragrance from the olfactory module. hav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그림판은, 이차원 또는 삼차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aint plate may be formed in two or three dimension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장식 패턴 형성을 위한 장식 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에서 상기 발광 모듈의 배면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장식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장식 개구에 대응하는 장식 그림자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decorative opening for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and a part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passes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to correspond to the decorative opening. Can form decorative shadow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각 모듈에서 나오는 향기는 상기 장식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밖으로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ragrance from the olfactory module may be provided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모듈은,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마련된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nclude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발광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발광 유닛 및 상기 기판의 타 면에 마련되는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include a substrat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olar cel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receive power from the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 청각, 촉각, 후각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sual, auditory, tactile, and olfactor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gether.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의 소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module of a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contents ar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sufficiently delivered.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the singular encompasses the plural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ing"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elemen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configuration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the term "connection" is used herein to mean both in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and directly connecting.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100, 이하 액자로 호칭함)는, 하우징(180), 그림판(110), 발광 모듈(120), 후각 모듈(130) 및 소리 모듈(140)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a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80, a paint plate 110, a light emitting module 120, and an olfactory module 130. And the sound module 14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하우징(180)은 상기 하우징(180)의 내부에 그림판(110), 발광 모듈(120), 후각 모듈(130), 소리 모듈(140)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housing 180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paint plate 110,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the olfactory module 130, and the sound module 140 are seated in the housing 180.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80)은 전면 프레임(160)과 배면 프레임(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면 프레임(160)은 액자 틀로써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160)은 그림판(110)이 시인될 수 있도록 개구되거나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detail, the housing 180 may include a front frame 160 and a rear frame 170. The front frame 160 may function as a frame frame. To this end, the front frame 160 may be opened or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paint plate 110 may be visually recognized.

상기 배면 프레임(170)은 상기 전면 프레임(160)과 결합 및/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배면 프레임(170)은 상기 후각 모듈(130), 소리 모듈(140)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 프레임(170)은 상기 전면 프레임(160)과의 사이에 그림판(110)과 발광 모듈(120)을 위치시킬 수 있다.The rear frame 170 may be coupled to and / or separated from the front frame 160. The rear frame 170 may provide a space for the olfactory module 130 and the sound module 140 to be seated. In addition, the rear frame 170 may position the paint plate 110 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between the front frame 160.

상기 배면 프레임(170)은 후각 모듈(130) 배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면 프레임(170)의 일 측에는 장식 패턴 형성을 위한 장식 개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식 개구(172)를 통하여 상기 발광 모듈(120)에서 출사된 광이 통과함으로써, 상기 장식 개구(172)의 형상에 대응하는 장식 그림자가 제공될 수 있다.The rear frame 170 may be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lfactory module 130. One side of the rear frame 170 may be a decorative opening 172 for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A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passes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172, a decorative shadow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ecorative opening 172 may be provided.

상기 그림판(110)은 이차원 또는 삼차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그림판(110)이 삼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3D 프린터 예를 들어, 리소페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그림판(110)이 삼차원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촉각적인 감각을 제공할 수 있다.The paint plate 110 may be formed in two or three dimensions. When the paint plate 110 is formed in three dimensions, a 3D printer, for example, may be manufactured in a lysophane method. When the paint plate 110 is formed in three dimensions, it may provide a tactile sens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그림판(110)의 주제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림판(110)의 주제는 신혼 여행, 결혼식, 태아, 생일, 졸업, 입학, 영정(影幀) 등의 이벤트를 추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ubject matter of the paint plate 110 may vary. For example, the theme of the paint plate 110 may be configured to be able to remember events such as honeymoon, wedding, fetus, birthday, graduation, admission, life.

상기 발광 모듈(120)은 상기 그림판(110)의 배면에 위치하여 상기 그림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 모듈(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광판(122)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발광 유닛(1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발광 유닛(124)은 LED chip일 수 있다. 상기 발광 유닛(124)의 갯 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일 수 있으며, 당업자의 설계에 따라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20)은 상기 그림판(110)에 광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하여금 시각적인 풍미로움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20)은 하우징(180)의 일 측에 마련된 버튼(미도시)에 의하여 온/오프 제어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be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aint plate 110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paint plat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include a light guide plate 122 and a light emitting unit 12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124 may be an LED chip. The number of the light emitting units 124 may be at least one,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provide light to the user by providing light to the paint plate 110.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be controlled on / off by a button (not show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80.

상기 후각 모듈(130)은 발광 모듈(130)의 배면에 마련되어,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후각 모듈(130)은 온도에 반응하는 방향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후각 모듈(130)은 온도가 기준 값보다 낮은 경우, 향기를 배출하지 않고, 온도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 향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후각 모듈(130)은 상기 발광 모듈(130)로부터 제공되는 광에 의하여 온도가 제어되고 이에 따라 향기를 배출할 수 있다. 높은 열전달을 위하여 상기 후각 모듈(130)의 일 면과 상기 발광 모듈(120)의 일 면은 직접 접촉할 수 있다.The olfactory module 130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30 to provide a fragrance. The olfactory module 130 may be made of a fragrance reacting to temperature. In this case, the olfactory module 130 may emit aroma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reference value, and does not emit aroma when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olfactory module 130 may control the temperature by the light provid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130, and thus emit the fragrance. One surface of the olfactory module 130 and one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directly contact each other for high heat transfer.

상기 소리 모듈(140)은 상기 하우징(180)의 일 측에 마련되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소리 모듈(14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ound module 14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80 to output a sou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und module 14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는 배터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150)는 발광 모듈(120) 및 소리 모듈(140)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150. The battery 150 may provide power to at least one modul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and the sound module 140.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광 발전 모듈(1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자(100)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15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를 영정실에서 사용하는 경우, 배터리 탈착 또는 충전이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모듈(152)을 통하여 자체 충전함으로써, 배터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액자(100)를 자동차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 태양광 발전 모듈(152)에서 생산된 전력을 활용함으로써, 자동차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152 may further include. In this case, electricity required for driving the frame 100 may be provided from the photovoltaic module 152. If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children's room, the battery may be solved by self-charging through the solar power module 152 because the battery is difficult to detach or charge. have. For another example, when using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ar interior, by utilizing the power produced in the photovoltaic module 152,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ar battery consumption.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의 일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eature of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른 관점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1 to explain a method of operating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 모듈(120)은 도광판(122) 및 발광 유닛(124)으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발광 유닛(124)에서 생성된 광(L)은 상기 도광판(122)을 통하여 면 방향으로 출사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모듈(120)의 전면 방향(F 방향) 및 배면 방향(R 방향)으로 광을 출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122 and a light emitting unit 124, and the light L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unit 124 may face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122. Can be emitted. That is, light may be emitted in the front direction (F direction) and the rear direction (R direction)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상기 발광 모듈(120)의 전면을 향하여 출사된 광은 상기 그림판(110)을 통과할 수 있다. 이로써, 입체적인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Light emitted toward the front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pass through the paint plate 110. As a result, three-dimensional aesthetics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발광 모듈(120)의 배면을 향하여 출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후각 모듈(130)에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후각 모듈(130)은 가열될 수 있고, 상기 후각 모듈(130)이 가열됨으로써, 향기(F)를 발산할 수 있다. 발산된 향기는 상기 장식 개구(17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80) 밖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2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80) 내부가 가열된 상태인 경우, 확산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80) 내부의 향기가 상기 장식 개구(172) 밖으로 발산되기 때문에 향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퍼뜨릴 수 있다. 이로써, 후각적인 감각이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some of the light emitt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be provided to the olfactory module 130. As a result, the olfactory module 130 may be heated, and the olfactory module 130 may be heated to emit the fragrance F. The emitted scent may be provided out of the housing 180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172. When the inside of the housing 180 is heated by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the fragranc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80 is diffused out of the decorative opening 172 by diffusion, thereby spreading the fragrance more effectively. . In this way, an olfactory sense can be provided.

또한, 상기 발광 모듈(120)의 배면을 향하여 출사된 광 중 다른 일부는 상기 하우징(180)에 마련된 장식 개구(172)를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자(100) 벽 면에 상기 장식 개구(172)에 대응하는 장식 그림자(174)가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보다 입체적인 심미감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other portions of the light emitt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120 may pass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172 provided in the housing 180. Accordingly, a decorative shadow 174 corresponding to the decorative opening 172 may be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frame 100. In this way, a more three-dimensional aesthetic can be provided.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발광 모듈이 그림판이 위치하는 전면 뿐 아니라 후각 모듈이 위치하는 후면으로도 광을 제공하기 때문에 시각 및 후각적인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후각 모듈은 발광 모듈의 온/오프에 연동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후각 모듈에서 생성된 향기는 확산에 의하여 장식 개구 밖으로 제공되므로 향기가 보다 넓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장식 개구로 광이 출사되므로 액자 주변에 장식 그림자가 형성될 수 있어서 보다 시각적인 풍미로움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light emitting module provides light not only to the front surface where the paint plate is located but also to the rear surface where the olfactory module is located, visual and olfactor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gether. In addition, since the olfactory module is controlled in conjunction with the on / off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ease of use may be improved. In addition, the fragrance produced in the olfactory module is provided out of the decorative opening by diffusion, so that the fragrance may be provided more widely. In addition, since light is emitted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s, decorative shadows may be formed around the picture frame, thereby improving visual appearanc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모듈은 도광판과 도광판 일측의 발광 유닛으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발광 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발광 유닛 및 상기 기판의 타 면에 마련되는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발광 유닛은 상기 그림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고, 상기 제2 발광 유닛은 후각 모듈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consisting of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emitting unit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on the other hand,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a substrat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substrate It may include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In this case,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may irradiate light toward the paint plat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may irradiate light toward the olfactory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는 상기 장식 개구(172)를 개폐 할 수 있는 개폐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하우징(180) 내부의 온도가 낮아서 후각 모듈이 향기를 발산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장식 개구(172)를 닫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우징(180) 내부의 온도가 높아져서 후각 모듈이 향기를 발산하는 경우, 상기 장식 개구(172)를 열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후각 모듈을 보다 원활히 활성화시키는 수단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의 동작을 위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에 온도 센서가 더 마련되고, 상기 온도 센서의 온도 값에 따라 상기 개폐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not shown)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decorative opening 172.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close the decorative opening 172 when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f the housing 180 is low so that the olfactory module does not emit fragrance. On the contrary,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housing 180 is high and the olfactory module emits a fragrance, the decorative opening 172 may be opened. Thus,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may function as a means for more smoothly activating the olfactory module. A temperature sensor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for the oper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a driving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move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액자(100)는 발광 모듈에서 생성된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후각 모듈로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달 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달 패드의 일 단은 상기 발광 모듈의 전면(그림판 방향)에 접촉하고 상기 열전달 패드의 타 단은 상기 후각 모듈에 접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발광 모듈의 전면에서 발생한 열도 상기 열전달 패드를 통하여 상기 후각 모듈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transfer pad (not shown) so that heat generated in the light emitting module can be mor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olfactory module. One end of the heat transfer pad may contact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painting direc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 transfer pad may contact the olfactory module. As a result, heat generated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may be provided to the olfactory module through the heat transfer pad, thereby improving heat transfer efficiency.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소리 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Hereinafter, a sound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의 소리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ound module of a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소리 모듈(140)은 액자의 일 측에 마련된 버튼을 통하여 개시 신호가 입력되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ound module 140 may output a sound when a start signal is input through a button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이 때, 상기 소리 모듈(140)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소리가 저장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소리 모듈(140)은 블루투쓰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입력한 소리를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ound module 140 may store a desired soun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n example, the sound module 140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via Bluetooth to store a sound input by the user with the smartphone.

또한, 그림판(110)이 태아와 관련된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아의 심장박동 소리를 획득하고, 획득된 심장박동 소리가 상기 소리 모듈(14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태아의 그림 뿐 아니라 태아와 관련된 소리까지도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int plate 110 is associated with the fetus, as shown in FIG. 3, the heartbeat sound of the fetus may be obtained, and the obtained heartbeat sound may be stored in the sound module 140. As a result,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not only a picture of the fetus but also sounds related to the fetus.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억할 조형물(그림판)과 추억할 음원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발광 모듈이 구동되는 경우, 향기까지도 함께 제공되므로, 시각, 청각, 촉각, 후각을 전 방위적으로 자극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mory (memory) and a sound source to be remembered together. In addition, when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driven, the fragrance may also be provided, thereby stimulating the vision, hearing, touch, and smell in all directions.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산부인과 외 의료산업, 사진 분야, 전시 예술 분야, 사물 인터넷 분야, 가전기기 및 액세서리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edical industry, obstetrics and gynecology, photography, exhibition art, the Internet of Things, home appliances and accessories.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in detail using the preferable embodimen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mbodiment, Comprising: I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ttached Claim.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7)

그림판;
상기 그림판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그림판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는 발광 모듈;
상기 발광 모듈의 배면에 마련되어, 향기를 제공하는 후각 모듈; 및
상기 그림판, 상기 발광 모듈 및 상기 후각 모듈 순서로 패키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그림판 뿐 아니라, 상기 후각 모듈을 향하여도 광을 조사하여, 상기 후각 모듈에서 향기가 나오도록 열을 제공하되,
상기 하우징에는 장식 패턴 형성을 위한 장식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발광 모듈에서 상기 발광 모듈의 배면을 향하여 조사된 광 중 일부는 상기 장식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장식 개구에 대응하는 장식 그림자를 형성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Paint;
A light emitting modul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paint board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paint board;
An olfactory module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to provide a fragrance; And
It includes a housing for packaging in the order of the paint plate, the light emitting module and the olfactory module,
The light emitting module irradiates light toward the olfactory module as well as the paint plate, thereby providing heat so that the smell comes from the olfactory module.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decorative opening for forming a decorative pattern,
And a part of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light emitting modul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light emitting module passes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to form a decorative shadow corresponding to the decorative open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판은, 이차원 또는 삼차원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According to claim 1,
The paint board is a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consisting of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각 모듈에서 나오는 향기는 상기 장식 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밖으로 제공되는,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ragrance from the olfactory module is provided out of the housing through the decorative open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 측에 마련된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a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comprising a light guide plate and a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ight guide pl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기판, 상기 기판의 일 면에 마련되는 제1 발광 유닛 및 상기 기판의 타 면에 마련되는 제2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module includes a substrate, a first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frame having a complex function.
제1 항에 있어서,
태양광 발전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모듈은 상기 태양광 발전 모듈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includes a solar power module,
The light emitting module is a frame having a composite functio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photovoltaic module.
KR1020170116553A 2016-09-12 2017-09-12 Frame Having Multi-Function KR10200956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996 2016-09-12
KR20160116996 2016-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22A KR20180029922A (en) 2018-03-21
KR102009565B1 true KR102009565B1 (en) 2019-08-12

Family

ID=6190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553A KR102009565B1 (en) 2016-09-12 2017-09-12 Frame Having Multi-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5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428B1 (en) 2020-06-15 2021-10-18 전광표 Apparatus for sound map playing nature's sound
KR20220067096A (en) 2020-11-17 2022-05-24 반용태 Retractable picture fr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8601B (en) * 2019-07-20 2020-09-22 董官献 Non-material cultural heritage's show storage facilities
KR102361699B1 (en) * 2021-03-29 2022-02-15 주식회사 베이비파스텔 ultrasound picture frame using constell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36A (en) * 2003-03-19 2004-10-14 Sachiyo Kuboshima Firing prevention incense burner
KR200473864Y1 (en) 2013-07-29 2014-08-07 황석주 Emitting fr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7239A (en) * 2010-08-18 2012-02-28 이숙이 A picture frame of indirect lighting with decorative function
KR20170071937A (en) * 2015-12-16 2017-06-26 (주)아이투스 인터내셔날 3d picture fr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36A (en) * 2003-03-19 2004-10-14 Sachiyo Kuboshima Firing prevention incense burner
KR200473864Y1 (en) 2013-07-29 2014-08-07 황석주 Emitting fr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428B1 (en) 2020-06-15 2021-10-18 전광표 Apparatus for sound map playing nature's sound
KR20220067096A (en) 2020-11-17 2022-05-24 반용태 Retractable picture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922A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565B1 (en) Frame Having Multi-Function
USD590988S1 (en) Electronic cigarette power supply
USD887366S1 (en) Power supply housing
USD884611S1 (en) Power module
USD556361S1 (en) Pendant light
USD922356S1 (en) Frame for built-in home appliances
USD972782S1 (en) Power supply unit of electric nail drill
JP2013111474A (en) Cosmetic toy and cosmetic toy fitting body
USD857397S1 (en) Electric toothbrush appliance
USD766417S1 (en) Air freshener device
USD988491S1 (en) Air freshener device
JP6484365B1 (en) Jewelry box
USD501648S1 (en) Output panel for a computer power supply
USD533605S1 (en) Playhouse
KR102163148B1 (en) Portable resin products tool kits having resin hardening function
CN205265895U (en) Water dance sound box
KR20170100970A (en) Brush pillow
JP6499349B1 (en) Jewelry box
CN211125449U (en) Touch and key structure with decoration function
CN206805810U (en) A kind of arc for early learning machine goes out electro-optical device and teaches machine early
KR200477959Y1 (en) Bed
JP3136546U (en) An osteotomy device to place an urn
JP2007282958A (en) Case for personal ornament
KR101587440B1 (en) A case for tablet personal computer
JP3185707U (en) Light source module structure of nail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