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9466B1 -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9466B1
KR102009466B1 KR1020180030934A KR20180030934A KR102009466B1 KR 102009466 B1 KR102009466 B1 KR 102009466B1 KR 1020180030934 A KR1020180030934 A KR 1020180030934A KR 20180030934 A KR20180030934 A KR 20180030934A KR 102009466 B1 KR102009466 B1 KR 1020094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front hole
fronthaul
user terminal
remot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희정
Original Assignee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94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2Multi-user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베이스밴드 유닛과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SETTING FRONTHAUL BOUNDARY, APPARATUS AND SYSTEM FOR EXECUTING THE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지국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더욱 빠른 전송 속도, 더욱 넓은 서비스 영역, 더욱 향상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구로 소형 셀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신 사업자들은 수많은 소형 셀을 통한 무선 사이트 확장 및 소형 셀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존의 일체형 기지국에서 기지국의 베이스밴드 유닛(Base Band Unit : BBU)과 원격무선헤드(Remote Radio Head : RRH)를 분리하여 복잡한 기능은 중앙에 두고 실제 서비스 지역에 분산된 기지국에는 간단한 기능만 남겨두는 C-RAN(Cloud-RAN) 구조로 바꿔가고 있다.
C-RAN 구조에서는 BBU와 RRH 간의 표준화된 통신 인터페이스 즉, 프론트홀(Fronthaul) 규격이 필요하다. 4G 통신의 경우 BBU에 모든 디지털 베이스밴드(Digital Baseband) 블록을 배치하고, RRH에는 아날로그 알에프(Analog RF) 블록만 배치하는 형태로 구성하여 BBU와 RRH를 점대점으로 연결하는 구조의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가 프론트홀로 이용되었다.
그러나, 5G 통신에서는 사용자의 데이터 전송률로 신호의 대역폭 및 안테나 수가 증가하여 기존의 프론트홀 구조에서는 최대 수백 Gbps의 프론트홀 전송률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PRI를 개선한 eCPRI(enhanced CPRI)가 개발되었다. eCPRI에서는 BBU와 RRH의 경계를 디지털 베이스밴드(Digital Baseband)와 아날로그 알에프(Analog RF) 사이보다 좀 더 상위로 이동시켜서 프론트홀의 요구 전송률을 경감시켰다. 하지만, 프론트홀의 경계가 고정되게 되면, 다양한 전송 방식 및 통신 환경에서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6234호(2017.01.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송 방식 및 통신 환경에 따라 프론트홀의 경계를 변경할 수 있는 기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는,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기지국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및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협력 스케줄링 여부 및/또는 전송 방식 등에 따라 프론트홀의 경계를 변경함으로써, 프론트홀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프론트홀의 경계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프론트홀 경계 중 데이터 전송 시 협력 스케줄링 여부 및/또는 전송 방식 등에 따라 프론트홀의 전송률이 가장 낮은 프론트홀 경계를 선택함으로써, 프론트홀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의 프론트홀 경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하나의 원격무선헤드(RRH)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의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Cloud Radio Access Network : CRAN)에서 기지국의 전송 방식 및/또는 스케줄링 등에 따라 베이스밴드 유닛(Base Band Unit : BBU) 및 원격무선헤드(Remote Radio Head : RRH) 사이의 프론트홀의 경계를 변경하여 프론트홀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의 프론트홀 경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하향 링크에서의 프론트홀 경계를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의 하향 링크에서 기지국의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PHY)은 Coding 블록, Rate Matching 블록, Scrambling 블록, Modulation 블록, Layer Mapping 블록, Precoding TX Power 블록,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Beamforming Port Expansion 블록, iFFT블록, Cydic Prefix Insertion 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물리 계층의 각 기능 블록은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기존의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서는 물리 계층(PHY)과 RF 블록 사이를 프론트홀의 경계로 하였다. 즉, 기존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의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PHY)(디지털 신호 처리)까지를 베이스밴드 유닛(BBU)이 처리하고, RF 블록(RF 신호 처리)부터는 원격무선헤드(RRH)가 처리하는 것으로 하였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 사이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경계를 복수 개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각 프론트홀의 경계는 물리 계층의 기능 블록들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프론트홀 경계(FB1)는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론트홀 경계(FB2)는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기지국의 전송 방식 또는 협력 스케줄 및 대역 할당 등의 여부에 따라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 사이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또는 제2 프론트홀 경계(FB2)로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에서 이동통신단말로 데이터 전송 시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프론트홀의 전송률이 낮은 것을 프론트홀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하나의 원격무선헤드(RRH)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에서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하나의 원격무선헤드(RRH)가 연결되며, 하향 링크의 스루풋(MAC에서 PHY로 전달되는 스루풋)이 3Gbps이고, 전송 신호의 대역폭이 100 MHz(20 MHz 4G LTE의 5배로 가정하면 500개의 자원 블록) 이며, 자원 블록 당 OFDM 부반송파의 수가 12개이고, 하향 링크의 MIMO-layer의 수(MIMO 기술을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데이터 스트림 수)가 8이고, FEC 부호율이 0.8이며, 부반송파 간격이 15KHz이고, IQ 샘플의 비트 수가 30 비트인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의 프론트홀 경계가 제1 프론트홀 경계(FB1)인 경우, 프론트홀의 전송률(즉, BBU에서 RRH로 전송되는 전송률)은 하향 링크 스루풋인 3Gbps를 FEC 부호율인 0.8로 나누면 약 3.75 Gbps가 되고, 여기에 제어 정보를 포함하면 4 Gbps가 된다.
반면,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의 프론트홀 경계가 제2 프론트홀 경계(FB2)인 경우, 프론트홀의 전송률은 (자원 블록의 수) × (자원 블록 당 OFDM 부반송파의 수) × (IQ 샘플 비트 수) × (MIMO layer의 수) × (부반송파 간격) = 500 × 12 × 30 × 8 × 15K = 21.6 Gbps 되고, 여기서 OFDM의 보호 전치 구간과 같은 보호 구간 등을 제외하면 약 20 Gbps가 된다.
즉,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에서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하나의 원격무선헤드(RRH)가 연결되는 간단한 구조에서는, 제1 프론트홀 경계(FB1)가 제2 프론트홀 경계(FB2)에 비해 약 1/5배의 프론트홀 전송률이 요구된다. 따라서,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 사이의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로 설정하는 것이 프론트홀의 전송률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한편,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여러 개의 원격무선헤드(RRH)들이 연결되어 기지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협력 스케줄링 및 대역 할당 또는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모드인지의 여부에 따라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보다 제2 프론트홀 경계(FB2)를 선택하는 것이 프론트홀의 전송률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지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에서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2개의 원격무선헤드(RRH1, RRH2)가 연결되어 있고, 제1 원격무선헤드(RRH1)가 RB1 내지 RB4 채널 중 RB1과 RB3의 채널을 각각 제1 사용자 단말(UE1)과 제2 사용자 단말(UE2)에 할당하며, 제2 원격무선헤드(RRH2)가 RB1 내지 RB4 채널 중 RB2와 RB4의 채널을 각각 제1 사용자 단말(UE1)과 제2 사용자 단말(UE2)에 할당한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1, RRH2)의 프론트홀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로 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BBU)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UE1) 및 제2 사용자 단말(UE2)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1 원격무선헤드(RRH1) 및 제2 원격무선헤드(RRH2)로 각각 전송하여야 한다.
즉, 제1 원격무선헤드(RRH1)에서는 RB1과 RB3 채널이 각각 제1 사용자 단말(UE1)과 제2 사용자 단말(UE2)에 할당되어 있고, 제2 원격무선헤드(RRH2)에서는 RB2와 RB4 채널이 각각 제1 사용자 단말(UE1)과 제2 사용자 단말(UE2)에 할당되어 있으므로, 제1 사용자 단말(UE1) 및 제2 사용자 단말(UE2)로 전송할 데이터를 제1 원격무선헤드(RRH1) 및 제2 원격무선헤드(RRH2)로 각각 전송하여야 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경우(즉,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에 하나의 원격무선헤드(RRH)가 연결된 경우)에 비하여 프론트홀의 부담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5G에서는 광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원 블록의 개수(즉, 할당 가능한 대역의 개수)가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500개 정도로 늘어날 수 있으므로, 베이스밴드 유닛(BBU)에서 원격무선헤드(RRH1, RRH2)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에서 협력 스케줄링 및 대역 할당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제1 프론트홀 경계(FB1)보다 스케줄링 및 대역 할당에 무관하게 프론트홀 전송률이 결정되는 제2 프론트홀 경계(FB2)가 프론트홀의 전송률 관점에서 유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하나의 베이스밴드 유닛(BBU)이 2개의 원격무선헤드(RRH1, RRH2)와 결합되어 하향 링크 MU-MIMO 전송을 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원격무선헤드(RRH1) 및 제2 원격무선헤드(RRH2)에서의 전송 신호는 각각 하기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8026655467-pat00001
(수학식 2)
Figure 112018026655467-pat00002
Wij : 원격무선헤드(RRHi)에서 사용자 단말(UEj)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빔 포밍 계수
s1 : 사용자 단말(UE1)로 전송될 신호
s2 : 사용자 단말(UE2)로 전송될 신호
그리고, 기지국에서 상향 링크 신호를 갖고 알 수 있다고 가정하면, 빔 포밍 계수(Wij)는 하기의 수학식 3 및 수학식 4를 만족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8026655467-pat00003
(수학식 4)
Figure 112018026655467-pat00004
hij : 원격무선헤드(RRHi)에서 사용자 단말(UEj)로 가는 채널
또한, 채널(hij)을 통해 사용자 단말(UE1)과 사용자 단말(UE2)에서 수신하는 신호는 각각 하기의 수학식 5 및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8026655467-pat00005
(수학식 6)
Figure 112018026655467-pat00006
수학식 5 및 수학식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UE1)은 신호(s1)만 수신하게 되고, 사용자 단말(UE2)은 신호(s2)만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중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시에 여러 개의 사용자 단말로 각각 전달하고자 하는 신호만 전송하는 방식을 MU-MIMO 전송 방식이라고 한다.
MU-MIMO 전송 방식에서는 각 사용자 단말(UE1, UE2)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s1) 및 신호(s2)를 제1 원격무선헤드(RRH1) 및 제2 원격무선헤드(RRH2)로 각각 전달하여야 한다. 또한, 5G의 후보 기술로 거론되는 Massive MIMO에서는 많은 개수의 안테나를 통하여 많은 개수의 사용자 단말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로 하게 되면, 베이스밴드 유닛(BBU)에서 프론트홀로 각 사용자 단말(UE)의 데이터를 모두 각각의 원격무선헤드(RRH)로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프론트홀의 전송률이 사용자 단말(UE)의 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반면, 프로트홀의 경계를 제2 프론트홀 경계(FB2)로 하게 되면, 베이스밴드 유닛(BBU)에서 빔포밍(즉, Precoding)을 마친 상태에서 원격무선헤드(RRH)로 데이터를 넘겨주기 때문에, 프론트홀의 전송률 증가 없이 MU-MIMO를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기지국의 전송 방식이 MU-MIMO인 경우에는 베이스밴드 유닛(BBU)과 원격무선헤드(RRH) 사이의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2 프론트홀 경계(FB2)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무선 접속망의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100)은 베이스 밴드 유닛(102), 프론트홀(104), 및 원격무선헤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홀(104)은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밴드 유닛(102)은 패킷 처리부(111), 스위치부(113), 및 경계 판단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처리부(111)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데이터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패킷 처리부(111)는 경계 판단부(115)에 의해 정해지는 프론트홀의 경계에 따라 데이터 패킷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패킷 처리부(111)는 경계 판단부(115)에 의해 정해지는 프론트홀의 경계에 따라 Coding, Rate Matching, Scrambl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패킷 처리부(111)는 경계 판단부(115)에 의해 정해지는 프론트홀의 경계에 따라 Coding, Rate Matching, Scrambling, Modulation, Layer Mapping, Precoding TX Power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부(113)는 프론트홀(104)의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와 각각 연결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스위치부(113)는 경계 판단부(115)의 제어에 따라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미도시)로 전송 시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어느 것으로 선택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데이터 전송 시 베이스 밴드 유닛(102)에 연결되는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 간에 협력 스케줄링 여부와 데이터 전송 모드가 MU-MIMO인지 여부에 따라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어느 것으로 선택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경계 판단부(115)는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프론트홀의 경계를 결정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 밴드 유닛(102)에 연결된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에서 사용자 단말(미도시)까지의 채널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베이스밴드 유닛(102)과 연결된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에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 할당이 각각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협력 스케줄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데이터 전송 시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로 하는 경우의 프론트홀 전송률(이하, 제1 프론트홀 경계 전송률이라 지칭할 수 있음)과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2 프론트홀 경계(FB2)로 하는 경우의 프론트홀 전송률(이하, 제2 프론트홀 경계 전송률이라 지칭할 수 있음)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프론트홀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스위치부(113)가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전송 시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106)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경계 판단부(115)는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프론트홀 경계(FB2)를 프론트홀의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계 판단부(115)는 스위치부(113)가 제2 프론트홀 경계(FB2)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 경계 판단부(115)는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제1 프론트홀 경계(FB1)를 프론트홀의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경계 판단부(115)는 스위치부(113)가 제1 프론트홀 경계(FB1)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경계 판단부(115)는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경계 판단부(115)는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1 프론트홀 경계(FB1)로 하는 경우의 프론트홀 전송률(이하, 제1 프론트홀 경계 전송률이라 지칭할 수 있음)과 프론트홀의 경계를 제2 프론트홀 경계(FB2)로 하는 경우의 프론트홀 전송률(이하, 제2 프론트홀 경계 전송률이라 지칭할 수 있음)을 각각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프론트홀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스위치부(113)가 제1 프론트홀 경계(FB1) 및 제2 프론트홀 경계(FB2)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경계 판단부(115)는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경계 판단부(115)는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제2 프론트홀 경계(FB2)를 프론트홀의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경계 판단부(115)는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제1 프론트홀 경계(FB1)를 프론트홀의 경계로 설정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협력 스케줄링 여부 및/또는 전송 방식 등에 따라 프론트홀의 경계를 변경함으로써, 프론트홀의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프론트홀의 경계를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개의 프론트홀 경계 중 데이터 전송 시 협력 스케줄링 여부 및/또는 전송 방식 등에 따라 프론트홀의 전송률이 가장 낮은 프론트홀 경계를 선택함으로써, 프론트홀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기지국(예를 들어, 기지국(1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기지국
102 : 베이스밴드 유닛
104 : 프론트홀
106 : 원격무선헤드
111 : 패킷 처리부
113 : 스위치부
115 : 경계 판단부

Claims (22)

  1.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지국 장치.
  2. 삭제
  3.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지국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지국 장치.
  5.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지국 장치.
  6.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로서,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지국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와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지국 장치.
  8.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기지국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
  9. 삭제
  1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기지국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
  12.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기지국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
  13.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한 기지국 장치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는,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
  1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6. 삭제
  17.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를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과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19.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에 의한 프론트홀 전송률을 각각 산출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상기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을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메모리; 및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베이스밴드 유닛과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결정된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데이터 전송에 따른 전송 모드가 MU-MIMO(Multi 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및
    상기 전송 모드가 MU-MIMO인 경우,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Scrambling 블록과 Modulation 블록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하향 링크에서 물리 계층의 Precoding TX Power 블록과 Resource Element Mapping 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은,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고, 상기 MU-MIMO와 관련되는 사용자 단말의 개수가 기 설정된 임계 개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를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 간의 프론트홀 경계로 결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22. 베이스밴드 유닛, 하나 이상의 원격무선헤드, 및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과 상기 원격무선헤드를 연결하는 프론트홀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및
    상기 기지국 장치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밴드 유닛은,
    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프론트홀의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스위치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어느 하나를 프론트홀 경계로 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계 판단부; 및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는 프론트홀 경계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데이터 패킷을 처리하는 패킷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무선헤드는 복수 개를 포함하며,
    상기 경계 판단부는,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벤트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원격무선헤드 간에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협력 스케줄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제1 프론트홀 경계 및 상기 제2 프론트홀 경계 중 프론트홀 전송률이 낮은 것과 연결되도록 스위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스템.
KR1020180030934A 2018-03-16 2018-03-16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09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34A KR102009466B1 (ko) 2018-03-16 2018-03-16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934A KR102009466B1 (ko) 2018-03-16 2018-03-16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9466B1 true KR102009466B1 (ko) 2019-08-09

Family

ID=6761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934A KR102009466B1 (ko) 2018-03-16 2018-03-16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94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234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서비스 기지국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234A (ko) 2015-07-07 2017-01-17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서비스 기지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60109B1 (en) Bandwidth reduction with beamforming and data compression
US102983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resource allocation
EP3310123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remote radio unit (rru) and baseband unit (bbu)
CN110290533B (zh) 数据传输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EP2924908B1 (en) Pilot time slot allocation for a MIMO system
US9602182B2 (en) Baseband processing apparatus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WO2019136723A1 (zh) 上行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US1017801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ounding frame in an IEEE 802.11ax compliant network
US2016035332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US11128412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device
CN109315019B (zh) 中央汇聚装置与延伸装置之间的接口方法和无线网络控制系统
WO202020449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tition-based data transmission for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US10965357B2 (en) Method and device in first node and base station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641203A1 (en) Beam management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US978172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base station in a wireless radio network,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US20150282100A1 (en) Signal processing system,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the system
EP39284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etition-based data transmission for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KR102009466B1 (ko) 프론트홀 경계 설정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1057094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device
US20190190756A1 (en) Distributed Base Station with Frequency Domain Interface on Which Signal Subspace Varies According to Frequency Bin
US20230094010A1 (en) Control signaling for uplink frequency selective precoding
WO2023206209A1 (en) Srs enhancement to support more than 4 layer non-codebook based uplink transmission
KR2013012071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정렬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1108798A (zh) 一种被用于无线通信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