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862B1 -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862B1
KR102008862B1 KR1020120084051A KR20120084051A KR102008862B1 KR 102008862 B1 KR102008862 B1 KR 102008862B1 KR 1020120084051 A KR1020120084051 A KR 1020120084051A KR 20120084051 A KR20120084051 A KR 20120084051A KR 102008862 B1 KR102008862 B1 KR 10200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protection function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283A (ko
Inventor
노해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4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862B1/ko
Priority to US14/241,310 priority patent/US20140223572A1/en
Priority to CN201380040991.XA priority patent/CN104509145B/zh
Priority to PCT/KR2013/006318 priority patent/WO2014021567A1/ko
Publication of KR20140017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2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e.g. protecting personally identifiable information [PI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선택적 메시지 보호가 가능한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고, 보호 기능이 설정된 상기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로부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비밀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호 기능을 해제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Method for protection of message,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same}
본 발명은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선택적 메시지 보호가 가능한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들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기본적인 음성 통신 기능에서 더 나아가 최근에는 데이터 통신, 카메라를 이용한 사진이나 동영상 촬영, 음악 또는 동영상 파일 재생, 게임, 방송 시청 등 다양한 기능들이 복합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단말에서 실행될 수 있는 기능의 증대를 위한 기술 개발은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하드웨어 개량 기술은 물론 소프트웨어 개량 기술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단말을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는 물론, 통신망에 접속한 후 다른 사용자와 대화를 진행하고자 하는 메신저 프로그램의 사용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문자 메시지 서비스 또는 메신저 프로그램은 단순히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그대로 출력함으로써, 혼잡한 외부 환경에 노출된 사용자의 경우, 자신의 사생활과 관련된 정보가 그대로 노출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특허문헌: KR 10-0931723 B1, 2009년 12월 04일 등록 (명칭: 보안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메시지에 사용자 설정에 따른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설정된 규칙 정보에 따라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함께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 기 설정된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따라 차등하여 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는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고,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로부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보호 기능을 해제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 기능이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는 수신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어절, 음절에 보호 기능을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추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의 음영, 색상, 명도 또는 화면 밝기를 조절하거나, 추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문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는 단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고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어부는 비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확인하고, 규칙 정보에 해당하는 부분 전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은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수신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비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규칙 정보에 해당하는 부분 전체를 추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은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 장치가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의 순으로 이뤄질 수 있다.
여기서,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 단말 장치가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비밀 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비밀 번호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가 보호 기능을 해제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적어도 한 항에 기재된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만 보호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메시지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설정에 따른 비밀 정보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칙을 모두 고려하여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보호 기능을 차등하여 설정함으로써, 메시지의 보호 정보를 사용자가 유기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단말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으며, 통신망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단말 장치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제2 단말 장치는 상대방 단말 장치로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단말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의 역할을 수행하고, 제1 단말 장치가 상대방 단말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100)은 다수의 단말 장치(10),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 및 통신망(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100)은 제1 단말 장치(10a)와 제2 단말 장치(10b) 사이에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의 비밀 정보라 계좌번호, 전화번호, 주소 등의 화면 상에 출력될 수 있는 개인적인 정보 또는 "사랑", "여보" 등과 같은 사용자 설정에 따른 특정 키워드 정보가 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 장치(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상대방으로 송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로,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의 사용자로부터 메시지가 입력되면, 입력된 메시지를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하게 되면, 제1 단말 장치(10a)의 표시부를 통해 보호 기능이 설정된 상태로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가 비밀 번호를 입력하면, 제1 단말 장치(10a)는 기 설정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 지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보호 기능을 해제한 후 메시지를 표시할 수도 있다.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를 지원하는 장치로, 특히, 사용자 단말 장치,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기 설정된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기 설정된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수신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한 후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 단말 장치, 예컨대 제2 단말 장치(10b)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 장치(10) 및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단말 장치(10) 및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는 통신망(3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3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가 단말 장치(10) 간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는 통신부(11), 제어부(12), 입력부(13), 저장부(14), 표시부(15) 및 음원 출력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통신부(11)는 통신망(30)을 통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것으로, 예컨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를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로 전송하고,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상대방 단말 장치와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도 있으며, 정보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는 단말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에 전원 공급 및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 예컨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어부(12)는 메시지 정보 보호 기능을 지원하게 되는 데, 다시 말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해당되는 부분에만 보호 기능이 설정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2)는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적용한 후 후술할 표시부(15)를 통해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
보호 기능은 메시지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사용자 설정에 따라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의 음영을 조절하거나, 색상을 조절하거나 명도 또는 화면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추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문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때, 보호 기능의 적용 기준을 사용자 설정에 차등하여 지정할 수 있는 데, 예컨대, 상기와 같은 보호 기능을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할 지의 범위를 지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로,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즉 "사랑하는 여보야 오늘은 뭐 먹을까"에 기 설정된 비밀 정보(예컨대, "사랑" 키워드)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 보호 기능(음영)을 적용한 후 표시한 것을 예시한 사용자 단말 장치(10)의 모습이다.
이 중에서, 도 3a에 도시된 것은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이 라인 단위로 설정된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이 라인 단위로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사랑" 키워드가 존재하는 전체 라인("사랑하는 여보야")에 보호 기능을 적용하게 된다.
만일, 어절 단위로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랑" 키워드가 존재하는 해당 어절("사랑하는")에만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음절 단위로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랑"에 해당하는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후,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2)는 입력된 비밀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보호 기능을 해제하여 전체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비밀 번호는 메시지 정보 보호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단말 장치(10) 내 기 설정된 비밀 번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입력부(13)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 장치(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2)로 전달한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3)는 상대방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비밀 번호 입력을 지원하게 된다. 이 외에도 메시지 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의 입력을 지원하게 된다.
이러한 입력부(13)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3)는 후술할 표시부(15)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는 키보드나 키패드와 같은 키 입력 수단, 터치센서나 터치 패드와 같은 터치 입력 수단,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와 근접 센서, 그리고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스처 입력 수단 또는 음성 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현재 개발 중이거나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그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저장부(14)는 메시지 송수신을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및 상대방 단말 장치, 예컨대 제2 단말 장치(10b)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 정보 및 보호 기능 설정 기준이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 장치(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와 같은 단말(10) 구동을 위한 관련된 정보들을 저장하며, 데이터 영역은 단말 장치(10)의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및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디스크(hard disk),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multimedia card micro) 타입의 메모리(예컨대,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ROM) 등의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는 단말 장치(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컨대, 메시지 입력을 위한 각종 메뉴를 비롯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메시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 등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5)는 보호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5)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음원 출력부(16)는 전기적인 신호인 음원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것으로, 메시지 표시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기능 설정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 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 번호와 다를 경우, 이에 대한 알람 음원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단말 장치(10)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메시지 또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을 추출하여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가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고, 비밀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비밀 번호 입력을 지원하는 등의 역할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는 서비스 통신부(21), 서비스 제어부(22) 및 서비스 저장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 제어부(22)는 비밀 정보 추출 모듈(22a), 보호 기능 설정 모듈(22b)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서비스 통신부(21)는 통신망(30)을 통해 단말 장치(10)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하는 하는 것으로,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제2 단말 장치(10b)로 송신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어부(22)는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 장치,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고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 예컨대 제2 단말 장치(10b)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먼저, 사용자 설정에 따른 비밀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제1 단말 장치(10a)의 식별 정보를 함께 수신하고, 식별 정보에 대응하여 수신된 비밀 정보를 매칭하여 후술할 서비스 저장부(23)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비밀 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비밀 정보로, 계좌번호, 주소, 전화번호 등의 정보 또는 "사랑"과 같은 특정 키워드 등이 비밀 정보로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제1 단말 장치(10a)의 식별 정보(예컨대, 전화 번호)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비밀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로,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내 계좌는 한국은행 123456-12-78910이야")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어부(22)는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내 계좌는 한국은행 123456-12-78910이야"라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먼저, 제1 단말 장치(10a)에 의해 기 설정된 비밀 정보인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키워드(계좌)를 추출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기 설정된 비밀 정보가 계좌번호인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며, 이때의 비밀 정보는 제1 단말 장치(10a)에 의해 설정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제어부(22)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이후, 서비스 제어부(22)는 기 설정된 비밀 정보인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규칙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다시 말해, 계좌번호는 단순히 숫자의 나열이 아니라 은행명, 계좌번호, 예금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게 되는 데, 여기서, 은행명, 계좌번호, 예금주에 대한 정보가 규칙정보를 의미하게 된다.
서비스 제어부(22)는 이러한 메시지에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규칙정보를 함께 추출하게 되는데,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은행명 규칙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게 된다.
은행명의 경우 존재하는 은행의 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기 설정된 은행명 정보, 즉, "한국은행"을 추출하게 된다. 이후 한국은행에 대응하는 계좌번호 생성 규칙을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한국은행의 계좌번호 생성 규칙은 000000-00-00000이라면,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 메시지에서 상기의 계좌번호 생성 규칙에 대응하는 숫자 부분만 검출하고 그렇지 않은 숫자는 검출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예금주에 대한 정보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름에 해당하는 문자가 존재할 경우, 해당되는 부분도 추출하여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단말 장치(10a)에 의해 기 설정된 비밀 정보가 전화번호이고,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수신된 메시지가 "김특허 123-1234-1234"일 경우, 서비스 제어부(22)는 상기와 같은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 설정된 비밀 정보인 전화번호를 확인하고,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규칙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예컨대,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규칙정보는 이름, 전화번호가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전화번호는 연속하는 숫자의 개수, 즉 "000 또는 0000 - 0000 - 0000"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규칙정보에 따라 수신된 메시지를 검토하여 상기의 규칙을 만족하는 연속하는 숫자인 123-1234-1234를 추출하고, 추출된 숫자 인근의 이름을 추출하게 된다.
여기서도, 이름은 성-이름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먼저 성을 검출하고 성 다음에 나타나는 2, 3글자를 이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이 추출되면,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한 후 상대방 단말 장치인 제2 단말 장치(10b)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서비스 제어부(22)는 제1 단말 장치(10a)에 의해 설정된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대한 정보만을 제2 단말 장치(10b)로 전송하면, 제2 단말 장치(10b)가 수신된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따라 보호 기능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른 비밀 정보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칙을 모두 고려하여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어부(22)는 설정된 규칙에 따라 비밀 정보를 추출하는 비밀 정보 추출 모듈(22a),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따라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보호 기능 설정 모듈(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저장부(23)는 단말 장치(10) 간 송수신되는 메시지에 보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전반적인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저장부(23)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비밀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규칙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보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설정된 비밀 정보에 따라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가 해당 비밀 정보를 추출한 후 보호 기능을 설정하여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시지를 받을 상대방 단말 장치에 의해 설정된 비밀 정보에 따라 해당 비밀 정보를 추출하고, 보호 기능을 설정하여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1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와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이상으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단말 장치(10) 및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 요소가 모두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 각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가 사용자 단말 장치,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S101),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지 판단하게 된다(S103).
판단 결과,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S105),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한 후(S107), 메시지를 수신할 상대방 단말 장치, 예컨대 제2 단말 장치(10b)로 전송하게 된다(S109).
여기서,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S105)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의한 비밀 정보가 "사랑"과 같은 비 규칙성의 키워드 정보이면, 수신된 메시지에서 "사랑"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추출하게 되며, 계좌번호, 전화번호, 주소 정보와 같은 규칙성의 정보이면,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규칙정보를 모두 고려하여 추출하게 된다.
예컨대, 비밀 정보가 계좌번호이면,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기 설정된 규칙정보 은행, 계좌번호, 예금주 모두를 고려하여 추출하게 되는 데, 먼저 은행의 경우 존재하는 은행의 수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기 저장된 은행 정보를 기초로 은행에 대한 정보를 먼저 추출하게 된다.
이후, 추출된 은행 정보가 한국은행이면, 한국은행이 사용하고 있는 계좌번호의 형식을 확인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은행별로 계좌번호의 표시 형식이 서로 상이하므로, 한국은행이 사용하고 있는 계좌번호 형식에 따라 계좌번호에 해당하는 숫자 부분을 추출하게 된다.
예금주의 경우 이름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규칙정보에 따라, 예컨대, 성을 먼저 추출하고, 성 이후에 존재하는 일정 범위 내(2~3자)의 문자열을 이름으로 판단하고, 해당 문자열을 추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계좌번호에 대응하는 은행, 계좌번호, 예금주에 해당하는 부분 모두를 추출한 후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S107 단계에서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는 추출된 부분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에 따른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대한 정보만을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 장치, 예컨대 제1 단말 장치(10a)가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 또는 상대방 단말 장치, 예컨대 제2 단말 장치(10b) 중 어느 하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S201),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한다(S203).
이후,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게 된다(S205).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과정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후, 기 설정된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을 확인한다(S207).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은 보호 기능을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어떠한 보호 기능을 적용할 지에 대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컨대, 비밀 정보가 "사랑" 키워드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사랑" 키워드에 대응하는 문자열을 추출한 후, 보호 기능 적용 기준을 확인하여, 보호 기능이 라인 단위로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사랑" 키워드가 존재하는 전체 라인 모두에 해당되는 보호 기능(음영, 색상, 명도 또는 화면 밝기 조절, 문자 크기 조절)을 적용하게 된다.
만일, 어절 단위로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사랑" 키워드가 존재하는 해당 어절에만 상기의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음절 단위로 적용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해당 음절에만 상기의 보호 기능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후 보호 기능 적용 기준에 따라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적용하고(S209), 보호 기능이 적용된 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S211).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만 보호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선택적 메시지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른 비밀 정보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칙을 모두 고려하여 보호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보호 기능을 차등하여 설정함으로써, 사생활과 관련된 정보의 노출 정도를 사용자가 유기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 및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20)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 예컨대, 메시지 정보 보호 기능 설정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한 주제, 즉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의 특정 일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가 가능한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방으로부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만 보호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선택적으로 메시지 보호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 장치 10a: 제1 단말 장치 10b: 제2 단말 장치
11; 통신부 12: 제어부 13: 입력부
14: 저장부 15: 표시부 16: 음원 출력부
20: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 21: 서비스 통신부
22: 서비스 제어부 22a: 비밀정보 추출모듈 22b: 보호기능 설정모듈
23: 서비스 저장부 30: 통신망
100: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

Claims (11)

  1.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수신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설정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되, 상기 보호 기능이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어절, 음절에 보호 기능을 설정하고, 보호 기능이 설정된 상기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 및
    사용자 설정에 따른 키워드를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로부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비밀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보호 기능을 해제하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말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시스템.
  2.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메시지에 사전 설정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메시지에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되,
    상기 보호 기능이 키워드가 포함된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어절, 음절에 보호 기능을 적용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영역의 음영, 색상, 명도 또는 화면 밝기를 조절하거나, 상기 추출된 부분에 대응하는 문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단말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서비스 통신부; 및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보호 기능을 적용할 키워드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키워드에 해당하는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여,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에만 상기 보호 기능을 설정하되, 상기 보호 기능이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어절, 음절에 보호 기능을 설정하고, 보호 기능이 설정된 상기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어하는 서비스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어부는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규칙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규칙 정보에 해당하는 부분 전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서비스 장치.
  7.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상기 메시지를 수신할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사전 수신하여 저장한 키워드에 해당하는 비밀 정보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상기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되, 상기 보호 기능이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어절, 음절에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정보 보호 장치가 상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8. 삭제
  9. 상대방 단말 장치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된 상기 메시지에 사전 설정된 키워드에 해당하는 비밀 정보가 포함되는 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비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수신된 상기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추출된 부분에만 보호 기능을 설정하되, 상기 보호 기능이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라인 단위, 어절 단위, 음절 단위 중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적용되도록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서 상기 비밀 정보에 대응하는 부분을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부분을 포함하는 라인, 어절, 음절에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기능을 설정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보호 기능이 설정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비밀 번호 입력창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 번호 입력창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비밀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비밀 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가 상기 보호 기능을 해제하여 상기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11. 삭제
KR1020120084051A 2012-07-31 2012-07-31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0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051A KR102008862B1 (ko) 2012-07-31 2012-07-31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4/241,310 US20140223572A1 (en) 2012-07-31 2013-07-15 Message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therefor
CN201380040991.XA CN104509145B (zh) 2012-07-31 2013-07-15 消息服务提供方法及用于该消息服务提供方法的装置和系统
PCT/KR2013/006318 WO2014021567A1 (ko) 2012-07-31 2013-07-15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4051A KR102008862B1 (ko) 2012-07-31 2012-07-31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283A KR20140017283A (ko) 2014-02-11
KR102008862B1 true KR102008862B1 (ko) 2019-08-08

Family

ID=5026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4051A KR102008862B1 (ko) 2012-07-31 2012-07-31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8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553A1 (en) * 2007-07-10 2009-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gging private sections in text, audio, and video media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723B1 (ko) 2003-02-05 2009-12-14 주식회사 케이티 보안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9553A1 (en) * 2007-07-10 2009-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gging private sections in text, audio, and video medi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283A (ko) 201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3055B2 (en) Selective screen sharing
US20150319173A1 (en) Co-verification method, two dimensional code generation method, and device and system therefor
US10187359B2 (en) Secure 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US20140160316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6133826A (zh) 用于语言模型自定义的灵活模式
CN105378624A (zh) 在交互出现于白板上时显示交互
KR20130005174A (ko) 휴대 전자기기 및 이의 제어방법
EP2897323B1 (en) Screen synchroniz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a screen using same
US10552132B2 (en) Binary merg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60301530A1 (en) Sensitive operation verif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20140007115A1 (en) Multi-modal behavior awareness for human natural command control
KR20150108096A (ko) 메신저 프로그램과 어플리케이션 연동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07736A (ko) 음성 메시지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9805181B1 (en) Messaging channel for web pages and web applications
KR20150106481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정보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1282045B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verifying digital tickets at a client
US10101897B1 (en) Electronic stylus for storing credentials
KR102131752B1 (ko) 메신저 프로그램에서의 정보 백업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40123154A (ko) 메시지 서비스에서의 메시지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1363866B1 (ko) 음성 메시지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102008862B1 (ko) 메시지 정보 보호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106180A (ko) 메시지 기반 키워드 추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3942313B (zh) 网站页面的展示方法、装置及终端
KR102111574B1 (ko) 어플리케이션 기반 식별 정보 생성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US10482151B2 (en)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ive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