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732B1 -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732B1
KR102007732B1 KR1020120040556A KR20120040556A KR102007732B1 KR 102007732 B1 KR102007732 B1 KR 102007732B1 KR 1020120040556 A KR1020120040556 A KR 1020120040556A KR 20120040556 A KR20120040556 A KR 20120040556A KR 102007732 B1 KR102007732 B1 KR 10200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icy
time
execution
traffic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0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6791A (ko
Inventor
김상완
이준경
강동원
이왕봉
박상길
윤상식
박종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40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732B1/ko
Priority to US13/645,090 priority patent/US9313101B2/en
Publication of KR2013012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6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3Assignment of logical groups to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03Access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 조건이 추가로 조합된 트래픽 제어 정책을 설정하고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네트워크의 어느 특정 단계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제공자는 시간기반 정책을 이용하여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traffic by time-based policy}
본 발명은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래픽을 제어하는 조건으로서 시간 조건이 추가된 트래픽 제어 정책을 설정하고, 설정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 후 실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트래픽이란 일반적으로 통신장치나 시스템에 걸리는 부하를 말하며,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을 말한다. 원활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합리적인 과금모델을 적용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는 트래픽 상황을 감시하고, 이를 제어한다. 이때 네트워크를 운영하기 위해 설정되는 것이 정책이며, 서버의 외부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의 전송이 요청되면 서비스 제공자는 설정된 정책에 따라 트래픽을 제어한다.
이러한 트래픽에는 5-튜플(tuple)(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7-튜플(source ip address, destination ip address,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protocol, input port number, signature) 등의 정보가 저장된 패킷이 포함되며, 일반적인 정책은, 트래픽의 패킷에 포함된 7-튜플과 같은 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정책서버에서 설정된 정책은 정책 실행 포인트(policy execution point, PEP)에서 실행되어,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종래에는 트래픽 안의 패킷에 포함된 정보만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정책을 설정했기 때문에, 정책 설정을 위한 조건 조합이 상기 정보에 국한되어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트래픽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는 트래픽을 제어하기 위한 정책 설정에 시간 조건을 추가하여 트래픽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어하고, 네트워크의 각 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트래픽을 제어하는 시간기반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설정 방법은, 트래픽을 제어하는 시간기반 정책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패킷에 포함된 튜플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시간 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추출된 패킷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플 정보와 설정된 시간 조건을 조합하여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정책서버단에서의 시간기반 정책 실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은, 정책이 설정된 정책서버가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계속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판단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한 경우,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은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정책실행장비와 연결된다.
상기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방법은, 상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정책관리시스템단에서의 시간기반 정책 실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은,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정책실행장비와 연결된 정책관리시스템이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는 단계, 시간기반 정책을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계속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한 경우, 시간기반 정책을 상기 정책실행장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은,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이 시간기반 정책을 상기 정책실행장비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은,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에 저장된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은 상기 시간기반 정책으로 동기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정책실행장비단에서의 시간기반 정책 실행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은,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정책실행장비가 상기 정책을 내려 받는 단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계속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한 경우,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간 조건이 트래픽을 제어하는 정책 설정에 반영됨으로써, 네트워크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정책이 더 세분화되고,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기반 단계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됨으로써, 실질적으로 트래픽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예를 들어, 정책실행장비)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시스템의 하드웨어 단계에서(예를 들어, 정책실행장비의 동작 단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됨으로써, 정책의 실행 포인트에서 실행 시점의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실행의 판단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지연되지 않고 신속하게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정책실행장비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정책관리시스템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정책서버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간 기반 정책을 통해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시간기반 정책은 정책서버(policy server, PS)(100)에서 설정되어, 정책관리서버(policy management server, PMS)(200)를 거쳐 정책실행포인트(policy execution point, PEP)(300)에서 실행될 수 있다.
최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정책관리툴(policy management tool)(110)에 접속한 후, 정책설정관리(policy rule management)(111) 모듈을 이용하여 시간기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정책은 패킷에 포함된 정보(5-튜플, 7-튜플 등) 및 트래픽 플로우의 형태 등과, 시간 조건을 조합하여 설정된다. 즉, 패킷에 포함된 튜플 데이터의 종류, 트래픽 패턴 등과 시간 조건을 조합하여 시간기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에 특정 아이피 어드레스의 트래픽을 허용하는 정책이 설정될 수 있고, 특정 기간 동안에는 특정 포트 또는 어드레스에서 사용하는 총 트래픽을 정하는 정책이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간 조건이 트래픽을 제어하는 정책 설정에 반영됨으로써, 정책이 더 세분화되고, 다양해질 수 있다.
정책설정관리(111) 모듈에서 설정된 상기 시간기반 정책은 정책결정포인트(policy decision point, PDP)(120)에서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되어 정책관리시스템(policy management system, PMS)(200)으로 전송된다.
정책관리시스템(200)은 트래픽을 제어하는 정책이 실행되는 하드웨어인 정책실행장비(300)와 연결되며, 네트워크의 소프트웨어적 단계이다.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의 변환은 정책결정포인트(120)의 연결 인터페이스(121)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정책관리시스템(200)에서는 전송 받은 시간기반 정책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실시간으로 동기화 할 수 있다.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전송 받은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실행장비(policy execution point, PEP)(300)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parsing)하고, 파싱된 시간기반 정책을 각 정책실행장비(300)에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정책실행장비(300)가 정책관리시스템(200)과 연결될 수 있고, 정책실행장비(300)는 네트워크의 해당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지점, 네트워크의 유형 또는 네트워크 제공 벤더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장비가 될 수 있다.
이후, 정책관리장비(300)에서 상기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됨으로써, 시간 조건이 트래픽 제어에 반영되어 관련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시간 조건이 반영된 시간기반 정책은 상기 시스템의 각 단에서 실행 시점이 판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각 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정책실행장비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정책실행장비(300)는 정책관리시스템(200)으로부터 파싱된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는다(S100).
상기 시간기반 정책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책 서버(100)에서 설정되어, 정책관리시스템(200) 전송구문으로 변환된 후, 정책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되고, 정책관리시스템(200)에서 각 정책실행장비(300)에 적합하도록 파싱될 수 있다. 이후, 정책실행장비(300)는 시간기반 정책을 분석하여,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다(S110).
아직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다면, 계속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다. 그러나,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 결과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했다면, 정책실행장비(300)는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한다(S120).
위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라 정책실행장비(300)가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책의 실행단에서 실행 시점의 판단이 이루어지므로 시간기반 정책의 판단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시간 없이 신속하게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정책실행장비(300)는 하드웨어이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이 구현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가 생산될 때부터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고 있거나,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통하여 추가로 해당 기능이 탑재되어야 한다. 또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더라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하드웨어자원이 소모되어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기능이 탑재되지 않은 범용의 정책실행장비(300)에서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될 필요가 있을 때 또는 하드웨어에 가용자원이 충분하지 않을 때 등에는, 시간기반 정책 실행 시스템의 정책실행장비(300) 보다 상위 단계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될 필요가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정책서버단 또는 정책관리시스템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정책관리시스템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시스템에서 정책실행장비(300)가 위치한 단보다 상위이며, 소프트웨어 기반인 단이다.
도 3에 따르면,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정책서버(100)로부터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된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는다(S200).
이때,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책의 설정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정책서버(100)의 정책관리툴(110)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정책관리시스템(200)으로의 전송은 정책결정포인트(120)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하는 것은 정책결정포인트(120)의 연결 인터페이스(121)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정책관리시스템(200)은 내려 받은 시간기반 정책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던 시간기반 정책을 동기화시킨다(S210).
다음,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다(S220).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 결과, 아직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다면, 계속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다.
그러나,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했다면,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시간기반 정책이 정책실행장비(300)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시간기반 정책을 각 정책실행장비(300)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한다(S230).
이때,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 판단단계(S220) 보다 시간기반 정책의 파싱이 먼저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싱된 시간기반 정책은 별도의 저장공간에 저장되었다가 정책의 실행 시점이 되면 정책실행장비(300)로 전송된다.
즉, 정책관리시스템이 시간기반 정책을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될 정책실행장비(300)에 적합한 구조로 먼저 파싱한 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할 수도 있다.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실행 시점이 도래한 파싱된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실행장비(300)로 전송한다(S240).
그 후, 정책실행장비(300)는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한다(S250).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정책관리시스템(200), 즉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단계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정책이 실행되는 지점보다 상위 단계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되기 때문에, 실행 시점으로부터 약간의 시간이 지연된 후에야 비로소 정책실행장비(300)에서 상기 정책이 실행될 수 있다.
하지만, 시간지연의 문제는 정책실행장비(300)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되는 시간 또는 파싱된 정책을 정책실행장비(300)로 전송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보다 조금 이른 시점을 실행 시점으로 판단하도록 환경설정 해둠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정책서버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정책서버(100)는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되는 시스템에서 하드웨어인 정책실행장비(300)가 위치한 단보다 상위이다.
도 4에 따르면, 최초,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와의 연결을 통해 정책서버(100)에 시간기반 정책이 설정된다(S300).
이후, 정책서버(100)는 설정된 시간기반 정책을 바탕으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다(S310).
아직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았다면, 계속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한다.
그러나,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했다면, 정책서버(100)는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한다(S320).
이때,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 판단단계(S310) 보다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하는 단계(S320)가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즉, 정책서버(100)가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먼저 변환하거나 또는 변환하면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할 수도 있다.
이후, 시간기반 정책이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되고,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면, 정책서버(100)는 시간기반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200)으로 전송한다(S330).
이후, 상기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은 정책관리시스템(200)은 상기 정책을 저장하고 동기화한 후(S340), 각 정책실행장비(300)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S350)하여 정책실행장비(300)로 전송한다(S360).
상기 파싱된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은 정책실행장비(300)는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한다(S370).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정책서버(100) 단계에서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된 후 약간의 시간이 지연된 후에 정책이 실행될 수 있지만, 정책실행장비(300)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되는 시간 등을 고려하여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함으로써 시간의 지연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시스템의 정책서버(100) 또는 정책관리시스템(200)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이 판단됨으로써, 하드웨어가 기반인 단(정책실행장비(300))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으로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조절하여, 과금 모델과 특정 기간 동안의 트래픽을 결합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시간 조건이 조합된 정책을 사용하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네트워크 사용자가 제한된 트래픽 이상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도록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휴대폰 사용자가 일정한 금액을 납부함으로써 한 달에 1Gbps의 데이터 트래픽을 사용하기로 계약한 후, 특정 시점부터 한 달이 되거나, 사용 데이터 트래픽이 1Gbps에 다다르면,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는 해당 휴대폰 사용자의 데이터 트래픽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시간대의 네트워크 사용을 차단하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학생이 학교에 있는 동안에는 긴급전화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문자메시지, 모바일 인터넷 등이 발생시키는 트래픽은 차단시키는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특정 시간대에 따라 다양한 Qo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사용자가 특정 시간대에 특정 응용 서비스를 사용한다면, 해당 사용자에게 네트워크 측면에서의 우선적인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래픽 제어를 위한 정책을 설정할 때, 시간 조건을 반영하여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정책을 제공하고, 상기 정책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시스템의 각 단에서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효율적이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시간기반 정책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정책 서버 200: 정책 관리 시스템
300: 정책 실행 장비

Claims (7)

  1. 삭제
  2. 트래픽을 제어하는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책이 설정된 정책서버가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계속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은 상기 정책을 실행하는 정책실행장비와 연결되고, 상기 시간기반 정책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트래픽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조건과, 상기 트래픽으로부터의 패킷에 포함된 튜플(tupl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튜플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
  3. 제2항에서,
    상기 정책서버에서 상기 정책을 정책관리시스템 전송구문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
  4. 트래픽을 제어하는 시간기반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책을 실행하는 정책실행장비와 연결된 정책관리시스템이 상기 정책을 내려 받는 단계,
    상기 정책을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계속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정책을 상기 정책실행장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기반 정책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트래픽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조건과, 상기 트래픽으로부터의 패킷에 포함된 튜플(tupl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튜플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정책을 정책실행장비로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이 상기 정책을 상기 정책실행장비에 적합한 구조로 파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정책관리시스템에 저장된 시간기반 정책을 내려 받은 상기 정책으로 동기화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
  7. 트래픽을 제어하는 시간기반 정책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책을 실행하는 정책실행장비가 상기 정책을 내려 받는 단계,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하지 않은 경우, 계속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정책의 실행 시점이 도래한 경우, 상기 정책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기반 정책은,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상기 트래픽의 허용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간 조건과, 상기 트래픽으로부터의 패킷에 포함된 튜플(tuple)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튜플 정보에 기반하여 설정되는, 시간기반 트래픽 제어 정책의 실행 방법.
KR1020120040556A 2012-04-18 2012-04-18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10200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56A KR102007732B1 (ko) 2012-04-18 2012-04-18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US13/645,090 US9313101B2 (en) 2012-04-18 2012-10-04 Method of controlling traffic by time-based poli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0556A KR102007732B1 (ko) 2012-04-18 2012-04-18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91A KR20130126791A (ko) 2013-11-21
KR102007732B1 true KR102007732B1 (ko) 2019-08-07

Family

ID=4938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0556A KR102007732B1 (ko) 2012-04-18 2012-04-18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313101B2 (ko)
KR (1) KR1020077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4825A1 (ja) 2019-09-04 2021-03-11 日本電気株式会社 設定システム及び制御システ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922A1 (en) * 2007-06-21 2008-12-25 Packeteer, Inc. Data and Control Plane Architecture Including Server-Side Triggered Flow Policy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955A (en) * 1998-06-15 2000-12-05 Intel Corporation Packet processing system including a policy engine having a classification unit
KR20030003593A (ko) 2001-07-03 2003-01-10 (주) 해커스랩 제한조건 동안 특정 보안정책을 적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보안장치 및 네트워크 보안방법
US7853678B2 (en) 2007-03-12 2010-12-14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figuring flow control of policy expressions
US8320381B2 (en) 2007-03-13 2012-11-27 Alcatel Lucent Application-aware policy enforcement
US9392010B2 (en) * 2011-11-07 2016-07-12 Netflow Logic Corporation Streaming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network metada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6922A1 (en) * 2007-06-21 2008-12-25 Packeteer, Inc. Data and Control Plane Architecture Including Server-Side Triggered Flow Policy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6791A (ko) 2013-11-21
US9313101B2 (en) 2016-04-12
US20130281075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52356B2 (ja) モバイルエッジコンピューティングノードの選択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0198363B (zh) 一种移动边缘计算节点的选择方法、装置及系统
JP6562570B2 (ja) ソフトウェアデファインドネットワークに基づいてコンテンツディストリビューションネットワークを実現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CN105577714B (zh) 基于软件定义网络实现内容分发网络的方法及系统
US10911327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naging service delivery telemetry
US886311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oduction upgrade of components within a multiprotocol gateway
US9178767B2 (en) Intelligent traffic quota management in split-architecture networks
US11483279B2 (en) Domain name system as an authoritative source for multipath mobility policy
US11502910B2 (en) Controlling parallel data processing for service function chains
KR20150130384A (ko) 적응 데이터 동기화
Karrakchou et al. Endn: An enhanced ndn architecture with a p4-programmabie data plane
CN105610883A (zh) 策略文件同步管理的方法及策略同步服务器和管理设备
CN104168212A (zh) 发送报文的方法和装置
JP2015510368A (ja) 無線ネットワーク負荷低減ポリシー分析方法及びシステムと記録媒体
CN110324265B (zh) 流量分发方法、路由方法、设备及网络系统
CN104508633A (zh) 虚拟化开放式无线服务软件体系结构
CN116896511B (zh) 一种专线入云的服务限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07732B1 (ko) 시간기반 정책을 통한 트래픽 제어 방법
KR20140011539A (ko)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의 가상화 방법 및 장치
Adalian et al. Load balancing in LTE core networks using SDN
Jansen et al. Middleware for coordinating a tactical router with SOA services
EP2930883B1 (en) Method for the implementation of 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s to subscribers,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ohler et al. InFEP—Lightweight virtualization of distributed control on white-box networking hardware
Kalan et al. vdane: Using virtualization for improving video quality with server and network assisted dash
Rakovic et al. ShapeShifter: Resolving the Hidden Latency Contention Problem in ME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