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566B1 -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566B1
KR102006566B1 KR1020180007559A KR20180007559A KR102006566B1 KR 102006566 B1 KR102006566 B1 KR 102006566B1 KR 1020180007559 A KR1020180007559 A KR 1020180007559A KR 20180007559 A KR20180007559 A KR 20180007559A KR 102006566 B1 KR102006566 B1 KR 102006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fuzzy
new imag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612A (ko
Inventor
이성주
사재원
김윤빈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12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6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 G06K7/1482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including quality enhancement steps using fuzzy logic or natural solvers, such as neural networks, genetic algorithms and simulated annea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1Substitution permutation network [SPN], i.e. cipher composed of a number of stages or rounds each involving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s, e.g. AES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16Key establishment, i.e. cryptographic processes or cryptographic protocols whereby a shared secret becomes available to two or more parties, for subsequent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방법은,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에 따라 획득된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하여 생성된 새로운 퍼지볼트 템플릿과 기 생성된 퍼지볼트 템플릿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AUTHENTICATION USING FUZZY VAULT BASED FOR PROTECTION OF THE COFFEE LATTE PRINT COPYRIGHT}
아래의 설명은 이미지 영상 인증을 위한 영상처리 및 정보보호 분야에 관한 것으로,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품 3D 프린팅을 활용한 고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커피 라떼 프린터기를 활용한 모델이 중국, 대만, 등을 중심으로 서비스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커피 라떼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사업화 모델이 개발 중이다. 한편, 프로슈머 서비스 모델은 산업 생태계에서 개인의 참여를 자유롭게 함으로써 시장의 형성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개인의 커피 라떼 프린팅 영상의 제작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하는 시스템은 필수적인 상황이며, 디지털 영상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는 "워터마크"를 이용하고, 정보보호 분야에서는 "암호학적 해쉬"기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워터마크의 경우 인식률이 존재하므로 실제 필드에서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암호학적 해쉬는 영상의 데이터가 1비트라도 어긋나면 인증이 되지 않는 불편함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식품 3D 프린팅을 활용한 커피 라떼 프린트는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에 대해 강인함을 갖는 기술이 제안될 필요가 있다.
참고자료: 한국공개특허 제 10-2012002041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0026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가 발생하여도 강인함을 갖는 커피 라떼 프린트용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영상 인증 방법은,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에 따라 획득된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하여 생성된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기 생성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인증 방법은,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템플릿 및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한 합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는, 상기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퍼지볼트 키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된 특징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는, 각각의 x 값, y 값 및 볼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 상기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상기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에 따라 획득된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하여 생성된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상기 등록된 컨텐츠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록부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템플릿 및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한 합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부는, 상기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퍼지볼트 키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커피 라떼 프린팅 프로슈머 서비스 모델의 산업 생태계에서 개인의 참여를 자유롭게 함으로써 시장의 형성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가 일어나도 강인함을 갖는 커피 라떼 프린트용 영상인증 기법을 통하여 커피 라떼 프린팅 영상의 제작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컨텐츠를 등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컨텐츠를 인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영상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가 발생하더라도 강인함을 갖는 비밀분산 기법을 활용한 퍼지볼트 기반의 커피 라떼 프린트용 영상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영상 인증 장치(100)는 입력부(110), 키 생성부(120), 템플릿 생성부(130), 등록부(140), 인증부(150) 및 프린트 수행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및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장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키 생성부(120)는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볼트 키를 생성할 수 있다. 키 생성부(120)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된 특징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템플릿 생성부(130)는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할 수 있다.
등록부(140)는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에 따라 획득된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등록부(140)는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템플릿 및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
인증부(150)는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새로운 영상에 대하여 생성된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기 생성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등록된 컨텐츠를 인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부(150)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새로운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한 합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인증부(150)는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퍼지볼트 키를 복원하고, 복원된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복원할 수 있다.
프린트 수행부(160)는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제1 정보 및 제2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예를 들면, 영상 인증 장치)에서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랜덤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랜덤 좌표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사전에, 퍼지볼트 기반의 영상과 서버의 비밀 분산을 이용하여 영상이 등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랜덤으로 생성된 좌표 정보를 통하여 n개의 특징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정보란, 서버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서버 비밀을 생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인증 장치는 영상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m개의 특징을 포함하는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영상은 퍼지볼트 기반의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정보란, 영상에서 특징을 추출하여 영상 비밀을 생성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200)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할 수 있다. 헤리스 코너 기법은 영상의 특징점을 찾는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작은 윈도우를 생성하여 매핑함으로써 특징점을 추출하는 방법이다.
영상 인증 장치는 랜덤으로 n(n은 자연수)개의 제1 정보와 m(m은 자연수) 개의 제2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영상 인증 장치는 생성된 n(n은 자연수)개의 제1 정보와 m(m은 자연수) 개의 제2 정보를 조합하여 하나의 퍼지볼트 키(310)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정보, 제2 정보 각각은 (x값, y값, 볼트(vault)값)의 세 개의 값을 갖는다. 여기서, x값, y값은 x 좌표 정보, y 좌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정보는 5개, 제2 정보는 5개, 6개의 볼트값을 이용하여 퍼지볼트 키를 생성할 경우, 서버의 제1 정보:
Figure 112018007141084-pat00001
, 영상의 제2 정보:
Figure 112018007141084-pat00002
,
Figure 112018007141084-pat00003
,
Figure 112018007141084-pat00004
를 갖는다. 이때, 다항식의 차수는 max(n, m)+1 이상의 차수, 즉, n 또는 m의 최대값에 1을 가산한 차수를 이용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영상 인증 장치는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Fuzzy Vault Template)(40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인증 장치는 추출된 특징인 서버의 제1 정보(n), 영상의 제2 정보(m)과 임의의 특징 정보(즉,
Figure 112018007141084-pat00005
)를 생성하여 퍼지볼트 템플릿(4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임의의 특징 정보는 거짓 특징점으로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하여 거짓 특징점이 입력될 수 있고, 랜덤으로 거짓 특징점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거짓 특징점이 생성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인증 장치에서 영상 인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영상 인증 장치는 컨텐츠 등록 과정(710) 및 컨텐츠 인증 과정(720)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가 일어나도 강인함을 갖는 비밀분산 기법을 활용한 퍼지볼트 기반 커피 라떼 프린트용 영상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를 등록하는 과정(710)을 도 5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저작자로부터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510). 영상 인증 장치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특징을 추출함에 따라 제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제1 정보와 제2 정보에 기반하여 퍼지볼트 키(520)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530)을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퍼지볼트 키(520)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준 암호화 기법인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퍼지볼트 키(520)를 이용하여 컨텐츠 저작 정보를 암호화한 암호화 값을 E[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키(key)]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할 수 있다(550). 이때, 영상 인증 장치는 추후의 검증을 위하여 컨텐츠 저작 정보, 제1 정보 및 퍼지볼트 템플릿을 함께 등록할 수 있다(540).
컨텐츠를 인증하는 과정(720)을 도 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컨텐츠를 인증하는 과정은 복호화 과정을 통하여 검증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개인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인증이 요청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에 따라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의 연산을 수행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시킬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함에 따라 획득된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퍼지볼트 키를 복원할 수 있다. 이때, 복호화된 복호화 값을 D[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키(key)]로 나타낼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복원하여 검증함으로써 인증 과정을 완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칭 결과(즉, m개+n개)가, max(m+n)+1이상일 경우,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여 암호화된 암호화 값을 복호화하여 컨텐츠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다항식의 차수는 max(n, m)+1 이상의 차수를 이용하여야 하며, 제1 정보와 제2 정보는 독립적으로 다항식을 풀어낼 수 있고, 제1 정보와 제2 정보의 합성과 퍼지볼트 템플릿의 매칭 결과(즉, m개+n개)가 max(n, m)+1이상일 경우,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여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730). 이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영상에 대하여 커피 라떼 프린팅될 수 있고, 커피 라떼 프린팅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영상 인증 장치는 새로운 영상을 컨텐츠로 등록된 영상에 기반하여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영상 인증 방법에 있어서,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에 따라 획득된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하여 생성된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등록된 컨텐츠에 포함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는,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상기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템플릿 및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한 합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퍼지볼트 키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복원하여 검증함으로써 인증 과정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증 방법은,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가 발생하더라도 비밀 분산을 활용한 퍼지볼트 기반 커피 라떼 프린트용 영상 인증을 수행하는
    영상 인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단계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출된 특징에 기반하여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제2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제2 정보는, 각각의 x 값, y 값 및 볼트 값을 포함하는, 영상 인증 방법.
  7. 영상 인증 장치에 있어서,
    등록하고자 하는 영상 및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랜덤으로 생성된 제1 정보와 상기 영상으로부터 생성된 제2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볼트 키를 생성하는 키 생성부;
    상기 제1 정보, 제2 정보 및 임의의 특징 정보에 기초하여 퍼지볼트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상기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에 따라 획득된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등록부;
    새로운 영상이 입력됨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하여 생성된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상기 등록된 컨텐츠에 포함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컨텐츠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컨텐츠의 인증이 완료됨에 따라 커피 라떼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팅 수행부
    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부는,
    상기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저작 정보에 상기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 퍼지볼트 템플릿 및 제1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랜덤으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으로부터 헤리스 코너를 이용하여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징에 기반하여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1 정보 및 상기 새로운 영상에 대한 제2 정보를 합성한 합성 정보에 기초하여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 매칭을 수행하고, 상기 합성 정보를 기 저장된 퍼지볼트 템플릿과의 매칭을 실시한 매칭 결과를 통하여 퍼지볼트 키를 복원하고, 상기 복원된 퍼지볼트 키를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 저작 정보를 복원하여 검증함으로써 인증 과정을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인증 장치는,
    영상의 부분적인 변조가 발생하더라도 비밀 분산을 활용한 퍼지볼트 기반 커피 라떼 프린트용 영상 인증을 수행하는
    영상 인증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07559A 2017-05-25 2018-01-22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0065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630 2017-05-25
KR20170064630 2017-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12A KR20180129612A (ko) 2018-12-05
KR102006566B1 true KR102006566B1 (ko) 2019-08-01

Family

ID=64744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559A KR102006566B1 (ko) 2017-05-25 2018-01-22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5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7998A (ja) * 2009-01-29 2010-08-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システム、ユーザ端末、ユーザ認証装置、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認証装置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632B1 (ko) * 2010-03-25 2011-11-2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지문 퍼지 볼트 시스템의 vlsi구조 및 그것에 의한 지문인증 정합방법
KR20120020419A (ko) * 2010-08-30 2012-03-08 (주)휴모션 라인 방식의 라떼아트 프린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7998A (ja) * 2009-01-29 2010-08-1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ユーザ認証方法、ユーザ認証システム、ユーザ端末、ユーザ認証装置、ユーザ端末用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認証装置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612A (ko) 201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8579B1 (ko) 워터마킹 방법, 워터마크 확인 방법, 워터마킹 장치 및워터마크 확인 장치
EP3198498B1 (en) A challenge-response method and associated computing device
US106073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locational copyrighted watermarking video
CN105468940B (zh) 软件保护方法及装置
CN111177666A (zh) 基于脆弱水印的司法文书防伪防篡改方法及系统
JP2014085674A (ja) 秘密鍵を用いて変更されたファンクションの適用による3dオブジェクトの暗号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903246B1 (ko) 얼굴 이미지로부터 암호 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67855B1 (ko) 2차원 바코드 블록 분할을 이용한 전자문서 보안 검증 방법 및 시스템
EP2286610B1 (en) Techniques for peforming symmetric cryptography
KR102438102B1 (ko) 영상 스테가노그래피를 이용한 정보 보안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6791263B2 (ja) 暗号文照合システム及び暗号文照合方法
CN110622232A (zh) 秘密篡改探测系统、秘密篡改探测装置、秘密篡改探测方法以及程序
CN115955308B (zh) 基于抗量子密钥的数字资产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006566B1 (ko) 커피 라떼 프린트 저작권 보호를 위한 퍼지볼트 기반 영상 인증 방법 및 장치
Patel et al. A survey of information hiding techniques
JP7024709B2 (ja) 暗号化情報照合装置、暗号化情報照合方法、及び、暗号化情報照合プログラム
JP2000184173A (ja) 画像処理方法、装置、画像配付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Abboud Multifactor authentication for software protection
Tang et al. Fragile watermarking based proofs of retrievability for archival cloud data
Wang et al. An ofb-based fragile watermarking scheme for 3D polygonal meshes
Quist-Aphetsi et al. Validating of digital forensic images using SHA-256
JP4748762B2 (ja) 署名生成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Yun et al. The biometric based convertible undeniable multi-signature scheme to ensure multi-author copyrights and profits
CN109981612B (zh) 防止密码机设备非法复制的方法和系统及密码机设备
Hachim et al. Cloud-based digital watermarking model for medical image integ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