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337B1 - 비활성 통신 모드 - Google Patents

비활성 통신 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337B1
KR102006337B1 KR1020177018112A KR20177018112A KR102006337B1 KR 102006337 B1 KR102006337 B1 KR 102006337B1 KR 1020177018112 A KR1020177018112 A KR 1020177018112A KR 20177018112 A KR20177018112 A KR 20177018112A KR 102006337 B1 KR102006337 B1 KR 102006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mode
terminal equipment
network equipment
plan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1704A (ko
Inventor
데바키 찬드라모울리
잉고 비에링
프랭크 프레드릭센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filed Critical 노키아 솔루션스 앤드 네트웍스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70091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1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15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 H04W28/022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user or device properties, e.g. MTC-capable devices power availability o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16Hand-off preparation specially adapted for end-to-end data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비활성 통신 모드, 즉,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을 위한 비활성 모드를 인에이블/실현하기 위한 조치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예시적으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의 동작,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의 트랜지션, 및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의 동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비활성 통신 모드{INACTIVE COMMUNICATION MODE}
본 발명은 비활성 통신 모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에 대한 비활성 모드를 인에이블/실현하기 위한 조치들(measures)(방법들, 장치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을 포함함)에 관한 것이다.
UMTS, LTE, LTE-A 등과 같은 2세대로부터 시작하는 3GPP 통신 시스템들(2G, 3G, 4G, 및 그 이후의 것들)을 포함하는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가능성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적 협력은 전형적으로, 사전 정의된 모드들 또는 상태들을 참조하여 정의된다.
본 설명의 목적에 있어서, "모드" 및 "상태"라는 용어들은 기본적으로 서로 동등한 것으로 가정된다. 특히, 임의의 장비가 특정 모드 또는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동작의) 대응하는 모드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가정된다. 이것은, UE(user equipment) 또는 이동국과 같은 단말 장비와, eNB 또는 임의의 다른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그것의 제어기와 같은 RAN(radio access network) 내의 임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 또는 게이트웨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등과 같은 CN(core network) 내의 임의의 네트워크 엘리먼트와 같은 네트워크 장비 둘 다에 대해 가정된다.
현재 모바일 통신 시스템들에서, (동작의) 주로 2개의 상이한 모드들, 즉, 연결(또는 활성) 모드 및 유휴 모드가 특정된다. LTE/LTE-A에서, 연결(또는 활성) 모드는 ECM-CONNECTED 및 RRC-CONNECTED를 포함하고, 유휴 모드는, 예컨대, ECM-IDLE 및 RRC-IDLE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또는 활성) 모드와 유휴 모드 사이에서의 상태 트랜지션들이 특정된다.
셀룰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연결(또는 활성) 모드 및 유휴 모드에서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이 간단히 요약될 수 있다.
연결(또는 활성) 모드에서, UE는 라디오 자원들을 소비하고, 사용자 플레인 연결을 사용하여 (RRC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활성으로 송신하는 것으로 예상되며, (거의) 순간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라디오 조건들의 변경이 존재하는 경우, UE는 셀 재선택을 수행하고, RAN에 모든 각각의 이러한 셀 변경이 통지된다. 대응하는 핸드오버는 RAN에 저장된 UE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라디오 링크 장애(failure)가 존재하지 않는 한) 대부분 네트워크-제어된다. 연결(또는 활성) 모드에서의 이러한 네트워크-제어된 핸드오버는 UE 측 및 RAN 측 둘 다 상에서 과도한 시그널링을 발생시킨다. 또한, UE는 일반적으로 연결(또는 활성) 모드에서 상당한 전력을 소비한다.
유휴 모드에서, UE는 임의의 라디오 자원들을 소비하지 않지만, 특정 시간 인스턴트들에서 네트워크로부터 페이징을 리스닝한다. 따라서, UE는 연결(또는 활성) 모드에서보다 적은 전력을 소비한다. UE는 그것이 셀 재선택을 수행할 때마다 RAN에 통보하지 않고, UE 컨텍스트는 RAN에 저장되지 않는다. 네트워크가 (MT 트랜잭션(transaction)을 개시하기 위하여) UE에 도달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는 UE를 페이징하여야 하고, UE는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으로 페이징에 응답한다. 또한, UE가 MO 트랜잭션을 개시하기 위하여, UE는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은 RRC 연결의 설정을 트리거링하는 반면, (RRC 연결을 통해) 시그널링 및 사용자 플레인 연결들 둘 다를 설정하는 것은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며, 또한 UE 측 및 RAN 측 둘 다 상에서의 광범위한 시그널링을 야기한다.
유휴 모드는, 특히 전력 소비를 고려하여, 연장된 기간들의 시간 동안 네트워크 자원들, 즉, 사용자 플레인 연결들을 위한 라디오 자원들을 요구하지 않는 단말 장비에 특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단말 장비 사이에서, 빈번한 송신 패턴(예컨대, 스마트 폰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전송 및 수신되는 킵 얼라이브(keep alive) 패킷들)을 가지는 UE(들)가 존재한다. 이러한 단말 장비는 긴 기간의 시간 동안 유휴 모드 및 연결(활성) 모드 중 임의의 하나에 머무르지 않으며, 따라서, 유휴 모드와 연결(또는 활성) 모드 사이에서 상당히 빈번히 트랜지션한다. 위에서 개략된 바와 같이, 이것은 연결 설정, 컨텍스트 전달 등을 위하여 매번 과도한 시그널링을 초래한다. 게다가, UE가 유휴 모드에 있는 경우 UE 도달가능성을 위하여 페이징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페이징 영역에 따라, 이러한 페이징이 또한 라디오 자원들을 소비한다.
따라서, 특히 배타적이지는 않게, 빈번한 송신 패턴을 가지는 이러한 단말 장비에 대해, 특정된 2개의 상이한 (동작) 모드들은, 예컨대, 전력 소비 및 발생된 시그널링 로드 둘 다에 관해,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효율적 동작가능성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적 협력을 보장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잠재적 접근법은, 이러한 단말 장비에 대해, 유휴 모드의 사용이 완전히 제거되고 연결(또는 활성) 모드가 항상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 또한 효율적이지 않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단말 장비가 필요한 것보다 오랫동안 연결(또는 활성) 모드로 유지되는 것이 요구될 것이기 때문인데, 이는 단말 장비에 대해 더 많은 전력 소비를 야기할 것이며, 또한 연결(또는 활성) 모드에서 핸드오버들을 수행할 필요성으로 인해, 특히 높은 성능의(highly)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대해, 더 높은 시그널링 로드를 초래할 수 있다. 높은 수/밀도의 RAN 엘리먼트들 및/또는 디바이스들을 이용하는 시나리오들에서, 이를테면, 스타디움, 콘서트, 축구 게임, 또는 공항/역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디바이스가 그것이 새로운 셀의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때마다 각각의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통보하는 것은 과잉일 것이고, 각각의 셀 변경 시 네트워크로의 통보는 단순히 네트워크를 오버로딩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예컨대, 전력 소비 및 발생된 시그널링 로드 둘 다에 관해,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효율적 동작가능성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적 협력을 인에이블/실현하기 위한 수요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은 위의 이슈들 및/또는 문제들 및 단점들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고,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단계, 및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 및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프로세서는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고,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 및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기 위한 수단, 및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고,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기 위한 수단, 및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양상에 따라,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제공되고,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또는 동작)되거나 또는 프로그램이 컴퓨터(예컨대, 본 발명의 전술된 장치-관련 예시적 양상들 중 임의의 양상에 따른 장치의 컴퓨터) 상에서 동작되는 경우, 컴퓨터로 하여금 본 발명의 전술된 방법-관련 예시적 양상들 중 임의의 양상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유형의/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등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그 상에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고, 그리고/또는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내부 메모리 또는 그것의 프로세서로 직접 로딩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술된 예시적 양상들의 추가 전개들 및/또는 수정들은 다음의 설명에서 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로서,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에 대한 비활성 모드가 인에이블/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는 기능적 또는 동작적 관점에서, 종래에 특정된 모드들, 즉, 유휴 모드와 연결(활성) 모드 사이에 (논리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서, 예컨대, 전력 소비 및 발생된 시그널링 로드 둘 다에 관해,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효율적 동작가능성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적 협력이 인에이블/실현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비-제한적 예들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연결(또는 활성) 모드 및 유휴 모드의 종래의 상태들 및 상태 트랜지션들을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또는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의 상태들 및 상태 트랜지션들의 일반적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또는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에 의한 동작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또는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의 상태들 및 상태 트랜지션들의 특정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서 프로시저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서 프로시저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의 구조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의 구조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비-제한적 예들 및 현재 본 발명의 구상가능한 실시예들인 것으로 고려되는 것을 참조하여 본원에서 설명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결코 이 예들 및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의 다음의 설명이 주로, 특정한 예시적 네트워크 구성들 및 시스템 전개들에 대한 비-제한적 예들로서 사용되는 사양들을 지칭한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즉, 본 발명 및 그 실시예들은 주로, 비-제한적 예들로서 사용되는 3GPP 사양들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이로써, 본원에서 주어지는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은 구체적으로, 그것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용어를 지칭한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제시되는 비-제한적 예들 및 실시예들의 맥락에서만 사용되며, 당연히 본 발명을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하지 않는다. 오히려, 임의의 다른 시스템 구성 또는 전개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것을 따르는 한 동등하게 활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실시예들은 그것에 적용가능하다.
이하, 몇몇 변형들 및/또는 대안들을 사용하여 본 발명 및 그 양상들의 다양한 예시적 실시예들 및 구현들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특정 필요성들 및 제약들에 따라, 모든 설명되는 변형들 및/또는 대안들이 단독으로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구상가능한 조합(다양한 변형들 및/또는 대안들의 개별 특징들의 조합들을 또한 포함함)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본 설명에서, "포함하는" 및 "구비하는"이라는 단어들은 설명되는 예시적 실시예들 및 구현들을 단지 언급된 그러한 특징들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이러한 예시적 실시예들 및 구현들이 또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았던 특징들, 구조들, 유닛들,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 개별 블록들 또는 엔티티들을 상호연결하는 라인들/화살표들이 일반적으로 개별 블록들 또는 엔티티들 사이의 동작적 커플링을 예시하도록 의도되고, 이는 한편으로는 (예컨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현-독립적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되지 않은 임의의 수의 중간 기능 블록들 또는 엔티티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는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 커플링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명료함 및 명쾌함을 위하여, 간략화된 방식으로 모든 예시적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들 및 구조들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일반적인 표현들로,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에 대한 비활성 모드를 인에이블/실현하기 위한 조치들 및 메커니즘들이 제공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종래에 특정되는 모드들이 연결 모드 및 유휴 모드로서 표시되는 반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는 주로, 비활성 모드/반-연결 모드로서 표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의 이러한 명칭(denomination)이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적이거나 또는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종래에 특정된 모드들, 즉, 기능적 또는 동작적 관점에서 종래에 특정된 모드들 사이에서의 그것의(논리적) 분류에 대해 그것의 기본적 특성들을 반영하도록 의도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모드는 비활성 모드, 비활성 연결 모드, 반-연결 모드, 반-연결 유휴 모드 등으로서 동등하게 표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또는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의 상태들 및 상태 트랜지션들의 일반적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특정된다. 기본적으로, 임의의 네트워크 장비는 이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에서 동작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E(user equipment) 또는 이동국과 같은 단말 장비, 및/또는 eNB 또는 임의의 다른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 또는 그것의 제어기와 같은 RAN(radio access network) 내의 네트워크 장비는 이 모드들 중 임의의 모드에서 각각 동작가능할 수 있다.
연결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고, 단말 장비 컨텍스트가 네트워크 장비에서 설정된다. 비활성/반-연결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단말 장비 컨텍스트가 네트워크 장비에서 유지된다. 추가로, 비활성 모드에서, 통신을 위하여 연결 모드에서보다 더 적은 라디오 자원들이 배정될 수 있다. 즉, 제한된 라디오 자원들이 비활성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을 위하여 배정될 수 있다. 유휴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단말 장비 컨텍스트가 네트워크 장비에서 제거된다.
개별 모드들 사이에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반-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인에이블되고, 비활성/반-연결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인에이블되고, 비활성/반-연결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인에이블되고, 유휴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인에이블된다.
즉, 단말 장비 및/또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구현/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예컨대,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사용자 연결의 설정 이후의, 연결 모드에서의 동작, 예컨대,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반-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에서의 동작을 포함한다. 추가로,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실제 또는 유망한(prospective) 데이터 플레인 활성 시, 비활성/반-연결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 및 연결 모드에서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제어 플레인 비활성 시, 비활성/반-연결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의 트랜지션, 및 유휴 모드에서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활성 시, 유휴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 및 연결 모드에서의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의 트랜지션들은 비활성/반-연결 모드를 통과한다. 비활성/반-연결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를 통과하지 않고 연결 모드로 직접 리턴하는 것이 가능하다. 유휴 모드로부터, 비활성/반-연결 모드를 통과하지 않고 연결 모드로 직접 리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의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단말 및/또는 네트워크 장비가 연결 모드를 벗어나는 경우, 그것은 (유휴 모드보다는) 비활성/반-연결 모드에 진입하고, 여기서, (예컨대, 단말 장비 컨텍스트의 유지로 인해) 신속한 도달가능성 및 연결 재설정/설정 능력을 보장하면서 (예컨대, 더 적은 라디오 자원의 배정/소비로 인해) 연결 모드에서보다 더 적은 전력이 소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또는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에 의한 동작의 방법을 예시하는 플로우차트를 도시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시되는 방법은 단말 장비 및/또는 네트워크 장비에서 구현/실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예컨대,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사용자 연결의 설정 이후에,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능(S310)을 포함한다. 추가로,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수행될 수 있는,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반-연결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기능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능(S330)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활성을 검출하는 기능(S320)을 포함하고, 여기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상에서의 데이터 플레인 트래픽의 어떠한 통신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이 검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 플레인 비활성 시 수행될 수 있는, 비활성/반-연결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기능, 및 유휴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능(S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제어 플레인 비활성/활성을 검출하는 기능(S34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제어 플레인 연결 상에서의 제어 플레인 트래픽의 어떠한 통신도 제어 플레인 비활성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어 플레인 비활성이 검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활성 시 수행될 수 있는, 유휴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 트랜지션하고, 따라서,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기능(S310)으로 리턴하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러한 방법은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활성을 검출하는 기능(S360)을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의 재설정이 (단말 장비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개시되거나 또는 요청되는 경우, 또는 데이터 플레인 연결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 플레인 트래픽이 (단말 장비에서) 펜딩 상태인 경우,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활성이 검출된다.
일반적으로, 연결 모드, 비활성/반-연결 모드 및 유휴 모드에서의 각각의 동작들은 각각,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통신을 프로세싱하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각각의 모드가 동작/실현될 수 있다.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엘리먼트로서 동작하는 단말 장비에서 각각의 모드가 동작/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프로세싱은 주로 연결 모드 및 유휴 모드에서의 특정된 동작가능성 및 동작적 협력에 기초하는 반면, 비활성/반-연결 모드에서의 예시적 동작가능성 및 동작적 협력의 세부사항들은 아래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개략된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가능성 및 동작적 협력의 다양한 예들이 주어지고, 여기서, LTE/LTE-A (4G) 또는 5G 통신 시스템이 비-제한적 기반(underling) 시스템 전개로서 채택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장비는 UE(user equipment)로서 예시되고, 네트워크 장비는 LTE/LTE-A 또는 5G AP에서의 eNB와 같은 RAN 엘리먼트에 의해 예시되며, 연결 모드는 ECM-CONNECTED/RRC-CONNECTED로서 예시되고, 유휴 모드는 ECM-IDLE /RRC-IDLE로서 예시된다. 추가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은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사용자 플레인 연결, 특히, 사용자 플레인 베어러들로서 예시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은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RRC 연결(및 잠재적으로, 또한, GW 또는 MME와 같은 CN 엘리먼트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S1 연결)을 적어도 포함하는 시그널링 연결로서 예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또는 활성) 모드, 유휴 모드 및 비활성/반-연결 모드의 상태들 및 상태 트랜지션들의 특정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연결 모드에서, UP 베어러들 및 (ECM/RRC) 시그널링 연결이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에서 설정되고, 라디오 자원들이 설정/소비되어서, 통신이 활성된다. 또한, 연결 모드에서 (S1) 시그널링 연결이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즉, MME/GW) 사이에서 설정된다. 어떠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도 UP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1)(즉,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UE 및/또는 RAN 엘리먼트에서 비활성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야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UP 베어러들은 릴리스되는 반면,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ECM/RRC) 시그널링 연결(또는, 적어도, RAN 엘리먼트로부터의 시그널링 연결성 또는 UE 도달가능성)은 유지된다. 추가로, 예컨대, 사용자/제어 플레인 연결의 설정 시, 연결 모드에서 설정된 RAN 엘리먼트에서의 UE 컨텍스트가 RAN 엘리먼트에서 유지된다. 비활성 연결 모드에서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즉, MME/GW) 사이의 (S1) 시그널링 연결이 유지 또는 릴리스될 수 있다.
비활성 연결 모드에서, 어떠한 시그널링 활성도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2)(즉, 제어 플레인 비활성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는 경우, UE 및/또는 RAN 엘리먼트에서 유휴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야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ECM/RRC) 시그널링 연결이 릴리스되고,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의 (S1) 시그널링 연결이 또한 릴리스된다. 추가로, 예컨대, 사용자/제어 플레인 연결의 설정 시, 연결 모드에서 설정된 RAN 엘리먼트에서의 UE 컨텍스트가 제거된다.
비활성 연결 모드에서, 실제 또는 유망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이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2)(즉, 제어 플레인 비활성 기간) 내에서 검출되는 경우, UE 및/또는 RAN 엘리먼트에서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야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UP 베어러들이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에서 유지되는 (ECM/RRC) 시그널링 연결(또는, 적어도, 시그널링 연결성 또는 UE 도달가능성) 및 RAN 엘리먼트에서 유지되는 UE 컨텍스트를 사용하여 재설정된다.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ECM/RRC) 시그널링 연결(또는, 적어도, 시그널링 연결성 또는 UE 도달가능성)이 유지되고, RAN 엘리먼트에서 UE 컨텍스트가 유지될 때, 비활성 연결 모드에서 단지 UP 베어러들의 재설정만이 요구되고, 이는 어떠한 시그널링 로드도 발생시키지 않거나 또는 단지 약간의 시그널링 로드만 발생시키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비활성 연결 모드에서, 실제 또는 유망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은, UP 베어러들의 재설정이 UE 또는 RAN 엘리먼트에 의해 개시 또는 요청되는 경우, 또는 UP 베어러들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이 UE에서 펜딩 상태(pending)인 경우,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방향으로 통신될 임의의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E에서의 펜딩 상태의 MO 트랜잭션(즉,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및/또는 RAN 엘리먼트에서의 펜딩 상태의 MT 트랜잭션(즉,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이 실제 또는 유망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또는 유망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은 DRB 설정에 대한 UE 요청 또는 DRB 설정의 네트워크 개시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RAN 엘리먼트에서 UE 컨텍스트가 유지될 때,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에서의 도달가능성을 위하여 어떠한 페이징,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도 요구되지 않는다.
유휴 모드에서,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활성이 검출되는 경우, UE 및/또는 RAN 엘리먼트에서 연결 모드로의 트랜지션이 야기된다. 이와 관련하여,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UP 베어러들이 재설정된다.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ECM/RRC) 시그널링 연결(또는, 적어도, 시그널링 연결성 또는 UE 도달가능성)이 유지되지 않고(그리고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의 (S1) 시그널링 연결이 유지되지 않음) RAN 엘리먼트에서 어떠한 UE 컨텍스트도 유지되지 않을 때, 시그널링 연결의 재설정뿐만 아니라 UP 베어러들의 재설정이 유휴 모드에서 요구되고, 이는 더 높은 시그널링 로드를 발생시키며, 비활성 연결 모드로부터의 UP 베어러 재설정보다 긴 시간이 걸린다.
유휴 모드에서, 실제 또는 유망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은, UP 베어러들의 재설정이 UE 또는 RAN 엘리먼트에 의해 개시 또는 요청되는 경우, 또는 UP 베어러들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이 UE에서 펜딩 상태(pending)인 경우,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방향으로 통신될 임의의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UE에서의 펜딩 상태의 MO 트랜잭션(즉,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 및/또는 RAN 엘리먼트에서의 펜딩 상태의 MT 트랜잭션(즉,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이 실제 또는 유망한 사용자 플레인 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네트워크가 (MT 트랜잭션(transaction)을 개시하기 위하여) UE에 도달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는 UE를 페이징하여야 하고, UE는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으로 페이징에 응답한다. 또한, UE가 MO 트랜잭션을 개시하기 위하여, UE는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을 개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은 UE와 RAN 엘리먼트 사이의 RRC 연결의 설정을 트리거링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UP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1)(즉,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기간) 및/또는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2)(즉, 제어 플레인 비활성 기간)은, 예컨대, UE의 송신 및/또는 거동 패턴(즉, 트래픽 및/또는 이동성 패턴)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에 의해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예컨대, 초기 연결 설정 동안, UE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협상될 수 있다. UP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1)(즉,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기간) 및/또는 시그널링 비활성 타이머로서/에서 세팅되는 사전 결정된 시간 기간(t2)(즉, 제어 플레인 비활성 기간)은, 빈번한 송신 패턴을 가지는 디바이스들과 같은, 특정 종류들의 단말 장비가 2개의 후속하는 송신들(예컨대, 매 60초 내지 90초 정도마다 킵 얼라이브 패킷들의 주기적 전송) 사이에서 비활성 연결 모드로 트랜지션하고 이 비활성 연결 모드에서 유지(그리고 유휴 모드로 트랜지션하지 않음)되도록 구체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서 프로시저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의 시스템 구성에서, 2개의 RAN 엘리먼트들, 즉, eNB/5G AP #1 및 eNB/5G AP #2가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점선 블록으로 표시됨)에 속한다고 가정되고, 여기서, (단시간에 어떠한 시그널링 로드도 없이 또는 단지 약간의 시그널링 로드만 가지고) UE가 여전히 네트워크로의 효율적 재연결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면서 비활성 모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의 프로시저에서, RRC 연결이 UE와 제 1 RAN 엘리먼트(즉, eNB/5G AP #1) 사이에서 설정되고, 연결(적어도 S1 연결을 포함함)이 제 1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즉, MME/GW) 사이에서 설정된다. 즉, UE 및 제 1 RAN 엘리먼트가 연결 모드에 있지만, 이후에,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한다. 따라서, RRC 연결(즉, 데이터/사용자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된다(점선의 쌍촉 화살표로 표시됨). 비활성 모드에서, UE는 비활성 모드로 유지되는 동안, 예컨대, 이동성 또는 변경되는 라디오 조건들로 인해, 제 1 RAN 엘리먼트로부터 동일한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 내의 제 2 RAN 엘리먼트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다. UE 컨텍스트가 여전히 제 1 RAN 엘리먼트에서 유지되고, UE 컨텍스트는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의 트랜지션 시 유지된다.
제 2 RAN 엘리먼트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의 수행 시, UE는 그 다음, 그에 따라, 제 1 RAN 엘리먼트에 통보한다. 즉, UE는 UE의 위치 및 서빙 RAN 엘리먼트, 즉, 제 2 RAN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위치 정보"로 표시됨)를 동일한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 내의 이전 RAN 엘리먼트, 즉, 제 1 RAN 엘리먼트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일한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 내의 이전 RAN 엘리먼트, 즉, 제 1 RAN 엘리먼트(여전히 UE 컨텍스트를 유지함)는 UE의 "위치 정보", 즉, 위치 및 서빙 RAN 엘리먼트, 즉, 제 2 RAN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가 셀 또는 서빙 RAN 엘리먼트를 변경할 때마다 네트워크에 통지되므로, 페이징은 네트워크가 UE에 도달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도 5의 프로시저에서, 비활성 모드에서, 서빙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의 연결이 유지(또는 활성으로 유지)된다고 가정되고, 이는 선행하는 연결 모드 동안 설정된 데이터/사용자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E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 시, 유지되는 연결은 제 1 RAN 엘리먼트로부터 제 2 RAN 엘리먼트로(그리고, 상이한 CN 엘리먼트가 제 2 RAN 엘리먼트에 대해 할당되는 경우에는, 또한 새로운 CN 엘리먼트로) 스위칭될 수 있다.
즉, S1 연결이 유지(또는 활성으로 유지)되는 경우, S1 경로 스위치가 (제 1 RAN 엘리먼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UE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UE를 페이징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어떠한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재연결 시간이 더 빨라질 것이다. 예컨대, 5G 시스템들에서와 같이,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의 다수의 연결들(다수의 데이터/사용자 플레인 연결들(이를테면, UP 베어러들) 및/또는 다수의 제어 플레인 연결들(이를테면, S1 연결들)을 포함함)이 설정되는 경우, 모든 이러한 다수의 연결들은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의 경우 스위칭 및 핸들링될 수 있다.
따라서, 비활성 모드에 있는 동안, RRC 연결이 UE와 제 2 RAN 엘리먼트 사이에서 설정되고, S1 연결이 제 2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에서 설정된다(실선 쌍촉 화살표들로 표시됨).
다른 한편으로는, 비활성 모드에서, 서빙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의 연결이 릴리스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고, 이는 선행하는 연결 모드 동안 설정된 데이터/사용자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UE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 시, 새로운 연결이 제 2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 사이에서(그리고, 상이한 CN 엘리먼트가 제 2 RAN 엘리먼트에 대해 할당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CN 엘리먼트에 대해) 설정된다.
즉, S1 연결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S1 경로 스위치가 (제 1 RAN 엘리먼트에 의해)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네트워크가 다운링크 데이터를 UE에 송신할 필요가 있는 경우, 네트워크는 UE를 페이징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이 필요하므로) 재연결 시간이 더 느려질 것이다. 이러한 경우, UE 컨텍스트는 이미,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 동안 새로운 RAN 엘리먼트로 전달/시프트되었어야 하고, 따라서, 새로운 RAN 엘리먼트에서 비활성 모드로 유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서 프로시저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6의 시스템 구성에서, 2개의 RAN 엘리먼트들, 즉, eNB/5G AP #1 및 eNB/5G AP #2가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점선 블록으로 표시됨)에 속하는 반면 ― 여기서, (단시간에 어떠한 시그널링 로드도 없이 또는 단지 약간의 시그널링 로드만 가지고) UE가 여전히 네트워크로의 효율적 재연결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면서 비활성 모드로 유지되는 것이 가능함 ―, 또 다른 RAN 엘리먼트, 즉, eNB/5G AP #3이 동일한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도 6의 프로시저에서, RRC 연결이 UE와 제 1 RAN 엘리먼트(즉, eNB/5G AP #1) 사이에서 설정되고, 연결(적어도 S1 연결을 포함함)이 제 1 RAN 엘리먼트와 CN 엘리먼트(즉, MME/GW) 사이에서 설정된다. 즉, UE 및 제 1 RAN 엘리먼트가 연결 모드에 있지만, 이후에,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한다. 따라서, RRC 연결(즉, 데이터/사용자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된다(점선의 쌍촉 화살표로 표시됨). 비활성 모드에서, UE는 비활성 모드로 유지되는 동안, 예컨대, 이동성 또는 변경되는 라디오 조건들로 인해, 제 1 RAN 엘리먼트로부터 동일한 클러스터 또는 클러스터 영역 내에 있지 않은 제 3 RAN 엘리먼트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한다.
제 2 RAN 엘리먼트로의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의 수행 시, UE는 그 다음, 그에 따라, 제 1 RAN 엘리먼트에 통보하고, 따라서, 제 1 RAN 엘리먼트는 위의 도 5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UE를 추적한다.
그 다음, UE 컨텍스트가 제 1 RAN 엘리먼트로부터 제 3 RAN 엘리먼트로 전달/시프트되어야 하고, UE 컨텍스트는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의 트랜지션 시 유지된다.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 시, 즉, 이미 UE의 서빙 RAN 엘리먼트가 변경된 경우, 또는 단지 UE와 최근 제 3 RAN 엘리먼트 사이의 새로운 사용자/데이터 플레인 연결(즉, UP 베어러들)의 설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UE 컨텍스트의 이러한 전달/시프트가 수행될 수 있다.
RAN 엘리먼트/엘리먼트들과 CN 엘리먼트/엘리먼트들 사이의 연결의 핸들링은 도 5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하고, 따라서, 위의 설명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UE는 (그들의 실제 사용에 관계없이) 배정되는 일부 제한된 라디오 자원들을 이용하여 비활성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이것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에 적용될 수 있다. 만약 그렇다면, UE는 2개의 링크 방향들에 대해 사용하기 위하여 일부 "비컨 채널들" 등을 가질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비활성 모드의 UE가 RAN에 (또는 RAN 제어기(의 도메인)에) 계속 로케이팅되어 있으면서 또 다른 셀(즉, 기지국, 액세스 포인트, 송신 포인트 등)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네트워크는 UE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추적 가능성들은, UE가 주어진 UE들의 기지국 추적을 위하여 가끔의(occasional) 비컨 신호들을 송신하는 것, 또는 UE가 UE에 대한 더 양호한 커버리지를 가지는 새로운 기지국을 향해 단순한 핑(ping) 등을 송신하도록 지시/구성되는 것에 기초할 수 있다. 이 둘 모두의 접근법들은 유휴 모드에서의 전통적 추적 영역 업데이트들과 비교하여 더 적은 시그널링 로드를 가진다.
RAN이 이동 중인 UE를 핸들링할 수 있는 방식은 컨텍스트 포인터들에 기초할 수 있고, 여기서, 마지막으로 사용되는 RAN 엘리먼트는 그것이 실제로 또 다른 RAN 엘리먼트에 의해 필요해질 때까지 UE 컨텍스트를 유지한다. UE가 자신의 위치를 새로운 RAN 엘리먼트로 업데이트하는 중이면, 잠재적 타겟 RAN 엘리먼트가 존재한다는 것이 (UE 또는 새로운 RAN 엘리먼트에 의해) 이전 RAN 엘리먼트에 통지될 수 있고, 단지 UE가 활성 연결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UE 컨텍스트가 새로운 타겟 RAN 엘리먼트로 시프트된다. 그에 의해, 더 큰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UE가 네트워크에 느슨하게 연결되게 하는 이점들 중 적어도 일부를 획득하면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내에서 UE 컨텍스트를 전달/시프트하기 위하여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5 및 도 6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단말 장비가 자율적 방식으로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핸드오버 또는 (셀) 재선택의 실제 프로세스에서 네트워크에 관여하기보다는 네트워크에 (간략하게) 통지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므로, 수반되는 라디오 자원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의해, 위의 내용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에 대한 비활성 모드가 인에이블/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는 기능적 또는 동작적 관점에서, 종래에 특정된 모드들, 즉, 유휴 모드와 연결(활성) 모드 사이에서 (논리적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는 단말 장비 및/또는 네트워크 장비의 상태와 같은 단일 장비의 동작 모드, 또는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 모드(개별 장비들이 전형적으로 각각, 동일한 상태에 있음)로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에 있어서, 단말 장비는 유휴 모드로 직접 트랜지션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휴 모드로 그리고 유휴 모드로부터의 트랜지션들(이들은 전형적으로 다소 비효율적임)의 수 및 빈도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비와 단말 장비의 재연결이 신속하게(예컨대, 10 밀리초 이내에) 그리고 임의의/많은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요구하지 않고 달성될 수 있다. 이것은 본질적으로, 비활성 모드의 단말 장비가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도달가능하게 유지되고, 따라서, 재연결에 대한 서비스 요청 또는 확장된 서비스 요청의 페이징 및/또는 개시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페이징 메시지들의 수 및 이에 따른 페이징 자원들의 사용이 감소될 수 있고, 그에 의해, 유휴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의 빈번한 트랜지션들로 인해 걸리는 시간 및 발생되는 시그널링이 감소된다.
추가로, 단말 장비가 비활성 모드를 유지하는 경우, 단말 장비의 컨텍스트 정보는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이러한 컨텍스트 정보를 리트리브할 필요성이 없도록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유지된다. 컨텍스트 정보는 일반적으로, 특정 단말 장비와 연관되는 정보를 지칭하고, 이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홀딩되며, 활성 단말 장비를 향하는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서비스들을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정보, 이를테면, 상태 정보, 보안 정보, 능력 정보 및 단말-연관된 논리적(S1) 연결/연결들의 아이덴티티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는, 통신 시스템에서, 예컨대, 전력 소비 및 발생된 시그널링 로드 둘 다에 관해,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의 효율적 동작가능성뿐만 아니라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동작적 협력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비활성 모드는, 단말 장비 및 네트워크 장비가 종래에 특정된 유휴 모드 및 연결(활성) 모드들을 포함하는 사전 정의된 모드들 또는 상태들을 기반으로 동작가능하고 협력하는 임의의 시스템 구성에 적용가능하다. 임의의 특정 기술 또는 네트워크 사양에 대해서도 또는 임의의 특정 단말 또는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서도 적용가능성이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프로시저들 및 기능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능적 엘리먼트들, 엔티티들, 모듈들, 유닛들, 프로세서들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앞서 말한 예시적 실시예들은 주로 방법들, 프로시저들, 및 기능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대응하는 예시적 실시예들은 또한, 각각의 장치들, 엔티티들, 모듈들, 유닛들, 네트워크 노드들 및/또는 시스템들(이들의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 둘 다를 포함함)을 커버한다.
본 발명의 각각의 예시적 실시예들은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되지만, 간결함을 위하여, 도 2 내지 도 6에 따라 각각의 대응하는 구성들/셋업들, 방식들, 방법들 및 기능성, 원리들 및 동작들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된다.
도 7 및 도 8에서, 블록들은 기본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각각의 방법들, 프로시저들 및/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전체 블록들은 기본적으로, 각각,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들, 프로시저들 및/또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개별 블록들은, 각각의 기능, 프로세스 또는 프로시저를 구현하는 각각의 기능 블록들을 각각 예시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구현-독립적인데, 즉, 임의의 종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각각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도 7 및 도 8에서, 위에서 설명된 방법들, 프로시저들 및/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과 관련되는 단지 그러한 기능 블록들이 예시된다. 당업자는, 예컨대, 파워 서플라이, 중앙 프로세싱 유닛, 각각의 메모리들 등과 같은 각각의 구조적 어레인지먼트들의 동작을 위하여 요구되는 임의의 다른 종래의 기능 블록들의 존재를 인정할 것이다. 그 중에서도, 예시적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개별 기능 엔티티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어 또는 인에이블하기 위한 프로그램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을 저장하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메모리들이 제공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의 구조의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 및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12)(및 가능하게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커뮤니케이터(communicator)(1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예컨대, 버스(14) 등에 의해 동작적으로 각각 연결 또는 커플링될 수 있다.
장치(10)의 프로세서(11) 및/또는 커뮤니케이터(13)는 또한, (하드와이어 또는 무선) 링크 상에서의 통신을 각각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의 커뮤니케이터(13)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안테나들, 안테나 유닛들, 이를테면, 각각, 링크된, 커플링된 또는 연결된 디바이스(들)와의 (하드와이어 또는 무선) 통신들을 위한 안테나 어레이들 또는 통신 설비들 또는 수단들에 연결 또는 커플링된 적합한 송신기, 수신기 또는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10)의 커뮤니케이터(13)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 디바이스, 노드 또는 엔티티(특히, 이들의 커뮤니케이터)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0)의 메모리(12)는 (비-일시적/유형의) 저장 매체를 표현하고 각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프로그램 제품들, 매크로들 또는 애플릿들 등, 또는 이들의 부분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각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각각의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동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 명령들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추가로, 장치(10)의 메모리(12)는 장치의 동작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데이터,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표현들로, 각각의 장치들(및/또는 이들의 부분들)은 각각의 동작들을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기능성들을 나타내기 위한 수단들을 나타낼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디바이스들(및/또는 이들의 부분들)은 각각의 동작들을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기능성들을 나타내기 위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위의 내용을 고려하여,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시되는 장치(10)는 본원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실시예들을 실시하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후속하는 설명에서, 프로세서(또는 일부 다른 수단)가 일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고 서술되는 경우, 이것은, 잠재적으로 각각의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용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협력하여(메모리가 또한 외부 메모리이거나 또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에 의해 제공/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야 함), (즉,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회로가, 장치로 하여금, 적어도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언급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서술하는 설명과 동등한 것으로 해석될 것이다.
한편,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시되는 장치(10)는 단말 장비(단말 장비의 부분)를 나타내거나 또는 실현/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시되는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6 중 임의의 하나에서, 단말 장비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시저를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기능성을 나타내고, 그리고/또는 상태 다이어그램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연결 모드(이 연결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됨)에서 동작하고,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비활성 모드(이 비활성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은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은 유지됨) 동작하도록, 자신의 가장 기본 형태로, 장치(10) 또는 그의 프로세서(11)(가능하게는, 메모리(12) 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가 구성되거나, 또는 장치(10)가 초래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시되는 장치(10)는 네트워크 장비(네트워크 장비의 부분)를 나타내거나 또는 실현/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예시되는 장치(10)는 도 2 내지 도 6 중 임의의 하나에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해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프로시저를 수행하고 그리고/또는 기능성을 나타내고 그리고/또는 상태 다이어그램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연결 모드(이 연결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며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설정됨)에서 동작하고,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고, 그리고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비활성 모드(이 비활성 모드에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은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은 유지되며 단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유지됨)에서 동작하도록, 자신의 가장 기본 형태로, 장치(10) 또는 그의 프로세서(11)(가능하게는, 메모리(12) 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와 함께)가 구성되거나, 또는 장치(10)가 초래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임의의 장치는 대응하는 동작들, 프로시저들 및/또는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유닛들 또는 수단들을 포함함으로써 구조화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유닛들 또는 수단들은 도 7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즉,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11),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메모리들(12),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커뮤니케이터들(13),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장치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실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들의 구조의 또 다른 예를 예시하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는 (적어도),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유닛 또는 수단(연결 모드 동작 유닛/수단(110)으로서 표시됨),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기 위한 유닛 또는 수단(트랜지션 유닛/수단(140)으로서 표시됨), 및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유닛 또는 수단(비활성 모드 동작 유닛/수단(120)으로서 표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는 (적어도),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유휴 모드에서 동작하기 위한 유닛 또는 수단(유휴 모드 동작 수단(130)으로 표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션 유닛/수단(140)은 비활성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 트랜지션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유휴 모드로부터 연결 모드로 트랜지션하기 위하여 추가로 적응/구성될 수 있다. 여전히 추가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100)는 (적어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제어 플레인 비활성, 및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활성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기 위한 유닛 또는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장치들(또는 그것의 유닛들/수단들)의 동작가능성/기능성에 관한 추가적 세부사항들에 대해, 도 2 내지 도 6 중 임의의 하나와 관련한 위의 설명에 대한 참조가 각각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프로세서, 메모리 및 커뮤니케이터 중 임의의 하나뿐만 아니라 유닛들/수단들 중 임의의 하나가 개별 모듈들, 칩들, 칩셋들 회로들 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이 공통적 모듈, 칩, 칩셋, 회로 등으로서 각각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라, 시스템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도시되는 디바이스들/장치들의 임의의 구상가능한 조합 및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된 양상들에 따라 각각의 기능 블록들 또는 엘리먼트들은, 그것이 단지 각각의 부분들의 설명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면, 임의의 알려진 수단에 의해, 하드웨어로 그리고/또는 소프트웨어로 각각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될 것이다. 언급되는 방법 단계들이 개별 기능 블록들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에 의해 실현될 수 있거나, 또는 방법 단계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들이 단일 기능 블록으로 또는 단일 디바이스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방법 단계가 본 발명의 사상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소프트웨어로서 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코드에 독립적일 수 있으며, 방법 단계들에 의해 정의되는 기능성이 보존되는 한, 예컨대, Java, C++, C, 및 Assembler와 같은 임의의 알려진 또는 추후 개발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특정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는 하드웨어 타입에 독립적일 수 있으며, 예컨대, ASIC(Application Specific IC (Integrated Circuit)) 컴포넌트들,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컴포넌트들,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 컴포넌트들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컴포넌트들을 사용하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Complementary MOS), BiMOS(Bipolar MOS), BiCMOS(Bipolar CMOS), ECL(Emitter Coupled Logic),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등과 같은 임의의 알려진 또는 추후 개발되는 하드웨어 기술 또는 이들의 임의의 하이브리드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바이스/장치는 반도체 칩, 칩셋, 또는 이러한 칩 또는 칩셋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모듈에 의해 표현될 수 있지만, 이것은, 디바이스/장치 또는 모듈의 기능성이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대신에,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하기/실행되기 위한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 부분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과 같은 (소프트웨어) 모듈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된다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예컨대, 디바이스는 기능적으로 서로 협력하든, 아니면 기능적으로 서로에 대해 독립적이지만 동일한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 있든 간에, 디바이스/장치로서 또는 하나 초과의 디바이스/장치의 어셈블리로서 간주될 수 있다.
장치들 및/또는 유닛들/수단들 또는 이들의 부분들은 개별 디바이스들로서 구현될 수 있지만, 이것은 디바이스의 기능성이 보존되는 한, 장치들 및/또는 유닛들/수단들 또는 이들의 부분들이 시스템 전반에 걸쳐 분배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그리고 유사한 원리들이 당업자에게 알려진 것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설명의 의미에서의 소프트웨어는, 이를테면, 코드 수단 또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 또는 각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뿐만 아니라, 잠재적으로 그것의 프로세싱 동안, 각각의 데이터 구조 또는 코드 수단들/부분들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 상에서 구현되거나, 또는 신호로 또는 칩으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를 포함한다.
방법 및 구조적 어레인지먼트의 위에서 설명된 개념들이 적용가능한 한, 본 발명은 또한, 위에서 설명된 방법 단계들 및 동작들의 임의의 구상가능한 조합, 및 위에서 설명된 노드들, 장치들, 모듈들 또는 엘리먼트들의 임의의 구상가능한 조합을 커버한다.
위의 내용을 고려하여, 비활성 통신 모드, 즉, 통신 시스템 내의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의 동작을 위한 비활성 모드를 인에이블/실현하기 위한 조치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치들은 예시적으로,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의 동작,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의 트랜지션, 및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비활성 모드에서의 동작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첨부하는 도면들에 따른 예들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오히려, 본 발명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많은 방식들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하다.
두문자어들 및 약어들의 리스트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P Access Point
CN Core Network
DRB Dedicated (or Data) Radio Bearer
ECM EPS Connection Management
eNB enhanced Node B (LTE/LTE-A base station)
EPS Evolved Packet System
GW Gateway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O Mobile Originated
MT Mobile Terminated
RAN Radio Access Network
RRC Radio resource Control
UE User Equipment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P User Plane

Claims (43)

  1.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 상에서의 데이터 플레인 트래픽의 어떠한 통신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 플레인 비활성 시 상기 비활성 모드로부터 유휴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는 상기 유휴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 상에서의 제어 플레인 트래픽의 어떠한 통신도 제어 플레인 비활성 기간 동안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 플레인 비활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실제 또는 유망한(prospective) 데이터 플레인 활성 시 상기 비활성 모드로부터 상기 연결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상기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의 재설정이 상기 단말 장비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개시되거나 또는 요청되는 경우, 또는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의 재설정을 요구하는 데이터 플레인 트래픽이 상기 단말 장비에서 펜딩 상태인(pending) 경우 상기 실제 또는 유망한 데이터 플레인 활성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는,
    이전(former)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상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할 때 상기 단말 장비와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내의 최근 네트워크 장비로의 핸드오버 또는 재선택을 수행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상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할 때 상기 단말 장비와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내의 네트워크 장비에, 상기 단말 장비의 서빙 네트워크 장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를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상기 연결 모드에서 설정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거나, 또는
    상기 연결 모드에서 설정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는, 방법.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 장비 또는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에서 또는 상기 단말 장비 또는 상기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동작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단말 장비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라디오 액세스 엘리먼트 또는 라디오 액세스 제어기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은 사용자 플레인 베어러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은 시그널링 연결을 포함하는, 방법.
  10. 방법으로서,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가 유지되는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상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할 때, 상기 단말 장비와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내의 상기 단말 장비의 서빙 네트워크 장비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정보를 추적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단말 장비를 서빙하는 최근 네트워크 장비가,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상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할 때 상기 단말 장비와의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를 유지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비 클러스터 내에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최근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새로운 데이터 플레인 연결의 설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유지되는 컨텍스트 정보를 상기 최근 네트워크 장비로 시프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모드에서 설정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 및
    이전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최근 네트워크 장비로의 상기 단말 장비의 핸드오버 또는 재선택 시, 유지되는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을 상기 단말 장비를 서빙하는 상기 최근 네트워크 장비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모드에서 설정되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 코어 네트워크 엘리먼트 사이의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또는 제어 플레인 연결을 릴리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서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에 의해 동작가능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단말 장비는 사용자 장비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비는 라디오 액세스 엘리먼트 또는 라디오 액세스 제어기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은 사용자 플레인 베어러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은 시그널링 연결을 포함하는, 방법.
  15.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 및
    상기 네트워크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는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장치로 하여금,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데이터 플레인 연결 및 제어 플레인 연결이 설정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컨텍스트 정보가 설정되는 연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데이터 플레인 비활성 시 상기 연결 모드로부터 비활성 모드로 트랜지션하는 것, 및
    상기 단말 장비와의 통신을 프로세싱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장비 사이에서 상기 데이터 플레인 연결이 릴리스되고 그리고 상기 제어 플레인 연결이 유지되고, 그리고 상기 단말 장비에 대한 상기 컨텍스트 정보가 유지되는 상기 비활성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
    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7. 컴퓨터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항, 제 2 항, 제 10 항 및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77018112A 2014-12-01 2014-12-01 비활성 통신 모드 KR102006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4/067914 WO2016089349A1 (en) 2014-12-01 2014-12-01 Inactive communication mo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1704A KR20170091704A (ko) 2017-08-09
KR102006337B1 true KR102006337B1 (ko) 2019-08-01

Family

ID=56092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112A KR102006337B1 (ko) 2014-12-01 2014-12-01 비활성 통신 모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265133A1 (ko)
EP (1) EP3228143A4 (ko)
KR (1) KR102006337B1 (ko)
CN (1) CN107211468B (ko)
WO (1) WO2016089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5354B1 (ko) * 2014-02-17 2021-07-09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지국 및 기지국의 단말 연결 관리 방법
EP3278596B1 (en) * 2015-06-05 2019-08-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s and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8292948A (zh) * 2015-10-14 2018-07-17 威尔逊电子有限责任公司 信号增强器的信道化
US10715302B2 (en) 2015-10-14 2020-07-14 Wilson Electronics, Llc Channelization for signal boosters
CN113316203A (zh) * 2016-08-11 2021-08-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装置
WO2018040000A1 (zh) * 2016-08-31 2018-03-08 富士通株式会社 区域识别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ES2965202T3 (es) 2016-09-30 2024-04-11 Ericsson Telefon Ab L M Conocimiento de la red central de un estado de equipo de usuario
WO2018058255A1 (en) 2016-09-30 2018-04-05 Sierra Wireles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r equipment acces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556589B (zh) 2017-01-26 2021-08-2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的方法、终端和接入网设备
KR102571341B1 (ko) 2017-02-03 2023-08-29 주식회사 아이티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및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장치
WO2018143774A1 (en) 2017-02-06 2018-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gistration management method for terminal accessing 5g network on non-3gpp access
KR102165255B1 (ko) * 2017-02-06 2020-10-13 삼성전자 주식회사 non-3gpp를 통해 5G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에 대한 registration 관리 방안
US10917290B2 (en) * 2017-02-22 2021-02-09 Nokia Technologies Oy Interface for a cloud radio access network
CN108632922B (zh) * 2017-03-23 2022-07-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性管理方法及装置
WO2018198276A1 (ja) * 2017-04-27 2018-11-01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端末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端末移動方法
CN109151800B (zh) * 2017-06-15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和设备
US10893568B2 (en) 2017-08-18 2021-01-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Location and context management in a RAN INACTIVE mode
WO2019061135A1 (en) * 2017-09-28 2019-04-04 Lenovo (Beijing) Limited EXECUTING A REPEAT REQUEST PROCESS
AU2018402024A1 (en) * 2018-01-09 2020-07-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2399152B1 (ko) 2018-04-04 202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재선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432239B2 (en) * 2018-10-18 2022-08-30 Apple Inc. Inactive mode operations
CN112970302A (zh) * 2018-11-01 2021-06-1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控制无线设备的操作模式的方法和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6893A1 (en) 2007-02-06 2008-08-0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discontinuous communication
US20100113023A1 (en) 2007-03-19 2010-05-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scontinuous Communication Interval
US20120113904A1 (en) 2010-11-08 2012-05-10 Nicholas William Anderson Releasing wireless resources
US20140018085A1 (en) 2012-07-11 2014-01-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chanisms to Support UE Power Preference Signaling
WO2014124682A1 (en) 2013-02-15 2014-08-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idle mode
WO2014174243A1 (en) * 2013-04-22 2014-10-30 Sony Corporation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64611B2 (en) * 2010-11-15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Data resume indicator for mobile device power conservation
EP3570628B1 (en) * 2011-08-12 2020-12-30 BlackBerry Limited Handling a conn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46821A1 (en) * 2011-08-15 2013-02-21 Renasas Mobile Corporation Advanced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s
KR20160040472A (ko) * 2013-08-07 2016-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ulti-RAT 환경에서 단말의 요청에 의해 네트워크 노드의 상태를 전환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23651B2 (en) * 2014-11-10 2017-08-01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connection management for multiple access network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6893A1 (en) 2007-02-06 2008-08-0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fficient discontinuous communication
US20100113023A1 (en) 2007-03-19 2010-05-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Discontinuous Communication Interval
US20120113904A1 (en) 2010-11-08 2012-05-10 Nicholas William Anderson Releasing wireless resources
US20140018085A1 (en) 2012-07-11 2014-01-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chanisms to Support UE Power Preference Signaling
WO2014124682A1 (en) 2013-02-15 2014-08-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etwork node for set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n idle mode
WO2014174243A1 (en) * 2013-04-22 2014-10-30 Sony Corporation Infrastructure equipmen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349A1 (en) 2016-06-09
CN107211468B (zh) 2020-12-29
US20170265133A1 (en) 2017-09-14
KR20170091704A (ko) 2017-08-09
EP3228143A1 (en) 2017-10-11
EP3228143A4 (en) 2018-08-01
CN107211468A (zh)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6337B1 (ko) 비활성 통신 모드
US11457495B2 (en) Methods of resuming a radio bearer and related wireless terminals and network nodes
JP6370855B2 (ja) マシンタイプ通信のためのユーザ機器の省電力化
KR102241735B1 (ko) 비활성 사용자 장비들을 위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ue 컨텍스트들의 저장을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
CN112005614A (zh) Rrc_inactive状态下的ta更新
EP3624549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rrc state
EP2936915B1 (en) Methods and network elements for controlling ue's state transition in proximity wireless communication
CN104956721A (zh) 用于配置和使用小数据无线承载的方法和设备
US10057937B2 (en) Communications via multiple access points
US20160198400A1 (en) Method for location area update in multi-rat environment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paging information
KR20210040074A (ko)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기
KR20140084109A (ko) 불연속 수신
WO2017170121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180112811A (ko) 데이터 송신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EP3050392B1 (en) Optimized procedure for user equipment autonomous mobility
EP412073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s, target base station and anchor base station
EP3216278B1 (en) A method for enhanced power saving mode for a wireless device
US20240147554A1 (en) Relay Identification Method, Relay Determining Method, Terminal, and Network Side Device
US20220377665A1 (en) Network Assistance Information on UE Context Retrieval Latency for Enabling Power Saving
KR20230052904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CN111699703A (zh) 无线电接入网中对数据进行路由
EP3288301A1 (en)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setting configuration parameters and method for indicating a non-mobility state of a communication terminal
CN115412860B (zh) 组呼配置、接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193242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witching to a relay ue in an rrc idle or inactive state
CN115412860A (zh) 组呼配置、接收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