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524B1 - Umbrella Dry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Umbrella Dry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524B1
KR102004524B1 KR1020180154703A KR20180154703A KR102004524B1 KR 102004524 B1 KR102004524 B1 KR 102004524B1 KR 1020180154703 A KR1020180154703 A KR 1020180154703A KR 20180154703 A KR20180154703 A KR 20180154703A KR 102004524 B1 KR102004524 B1 KR 10200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drying
receiving portion
lower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인호
박민수
김태옥
정점숙
Original Assignee
황인호
박민수
김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호, 박민수, 김태옥 filed Critical 황인호
Priority to KR102018015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5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5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housing portion including an accommodation portion opened upwards to accommodate an umbrella; a support portion capable of lifting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and a drying portion located in the housing portion. Moreover, a plurality of first drying ports ar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forming the accommodation portion.

Description

우산 건조 장치{Umbrella Drying Apparatus}[0001] Umbrella Drying Apparatus [0002]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우산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우천시 대부분의 우산 사용자들은 젖은 우산에서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않은 채 실내 공간, 예를 들면, 호텔, 백화점, 학교, 상가 및 사무용 빌딩으로 들어오게 된다. 때문에, 우산에 부착된 빗물 등은 우산으로부터 실내 바닥이나 계단으로 낙하되고, 이러한 빗물은 실내 바닥을 미끄럽게 하여 보행자가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며, 이러한 보행자의 미끄러짐 사고가 계단 등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매우 치명적인 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Typically, in the rainy season, most umbrella users will enter the interior space, for example, hotels, department stores, schools, commercial and office buildings, without completely removing the moisture from the wet umbrella. Therefore, the rainwater attached to the umbrella falls from the umbrella to the floor or stairs of the room. Such rainwater slips the floor of the room, causing an accident such as falling of the pedestrian. Such a pedestrian slipping accident occurs in the stairway This can lead to a very fatal accident.

이에, 빌딩의 출입구에는 우천시 항상 우산을 담아두기 위한 우산통을 구비하거나 우산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우산비닐공급장치를 비치하게 된다. 특히, 우산분실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주로 우산비닐공급장치를 사용하는데, 우산비닐공급장치는 장우산 또는 단우산(접이식 우산)을 넣을 수 있는 비닐봉투를 거치대상에 수 십장씩 준비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비닐에 넣은 상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n umbrella box for storing umbrellas is always provided at the entrance of the building, or an umbrella supplying device is provided for carrying the umbrella. Especially, in order to prevent the loss of the umbrella, the umbrella vending machine is mainly used. In the umbrella vending machine, tens of sheets of the plastic bag for putting the umbrella or the umbrella (folding umbrella) To carry the umbrella in a state of being put in the vinyl.

하지만, 폐 비닐 처리에 대한 환경오염 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우산비닐의 사용 역시 제한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일회용 우산비닐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하고도 빠르게 우산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우산 건조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However,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of the waste vinyl treatment is greatly increased, the opinion that the use of umbrella vinyl is also limited is increas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which can dry the umbrella effectively without using the disposable umbrella vinyl.

나아가, 3단 우산(단우산)의 경우, 우산 천이 상호 포개어지는 부분이 존재하여 단순히 외부에서 열풍을 발산하는 방식만으로는 우산 천이 겹쳐지는 부분의 건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존재하였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three-stage umbrella (short umbrella),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portion where the umbrella cloth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it is not easy to dry the overlap portion of the umbrella cloth only by a method of radiating hot air from the outside.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930호(2014.04.01)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1930 (Apr. 1, 201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우산에 젖어있는 물기를 자동으로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우산 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and effectively drying wet water wetted by a user's umbrell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 건조에 충분한 시간이 도과되면 자동으로 우산을 상방 이동시킬 수 있는 우산 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moving the umbrella upward when a sufficient time has passed for drying the umbrell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필요 시 발판을 조작함으로써 언제든지 우산을 회수할 수 있는 우산 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an umbrella at any time by operating a foot plate when necessary by a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 회수 간 건조구에 우산 살이 걸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우산 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problem such as the umbrella being caught in the drying area between the umbrella recovery tim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접히어 포개어지는 부분이 존재하는 3단 우산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우산 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drying even a three-stage umbrella having a folded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우산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승하강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 상에는 복수 개의 제1 건조구가 형성된, 우산 건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frigerator comprising: a housing part including an accommodating part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an umbrella;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ith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 drying unit positioned in the housing part,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are formed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forming the receiving part.

상기 받침부는, 사용자가 우산을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하며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며, 하강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승강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may be lowered as the user inserts and presses the umbrella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may be raised or lowe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lowered state.

상기 우산 건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발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 조작 시 승강될 수 있다.The umbrella dryer may further include a foot plate formed on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wherein the foot plate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a user when the foot plate is operated.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유체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관통 형성된 배수부재; 및 상기 배수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 직경의 내주면을 구비하도록 중공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support portion comprises: a drain member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having at least one drain port through which fluid can pass;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as to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which is extended upward from the drain member.

상기 보조 지지부 상에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건조구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second drying hole may be formed on the auxiliary suppor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배수부재의 말단부를 따라 상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을 감싸는 슬라이드 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벽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강 시 상기 복수 개의 제1 건조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슬라이드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unit may further include a sl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distal end of the drain member and surround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The slide wall portion may be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first dryers when the receiver portion is lowered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de openings.

상기 복수 개의 제1 건조구는 상기 받침부의 승강 시 상기 슬라이드 벽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may be closed by the slide wall portion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lifted or lowered.

상기 우산 건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삽탈 가능하며 상기 수용부 내의 우산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물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ucket portion which is removable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nd accommodates a fluid flowing in from the umbrella in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우산에 젖어있는 물기를 자동으로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nd efficiently dry the water wetted by the user's umbrell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우산 건조에 충분한 시간이 도과되면 자동으로 우산을 상방 이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can be automatically moved upward when a sufficient time has elapsed for drying the umbrell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 시 발판을 조작함으로써 언제든지 우산을 회수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mbrella can be recovered at any time by operating the footrest when necessary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우산 회수 간 건조구에 우산 살이 걸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the umbrella being caught in the drying area between the umbrella recovery tim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접히어 포개어지는 부분이 존재하는 3단 우산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n the case of a three-stage umbrella having a folded portion, it can be effectively dr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의 제1 건조구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의 제1 건조구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에 포함되는 받침부의 보조 지지부 부분 확대도
1 is a view show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a)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the first drying unit of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FIG. 3 (b)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ying orifice of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of a receiving portion included in the umbrella dry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merely a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는 우산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부(11)를 포함하는 하우징부(10), 수용부(11) 내에서 승하강 가능한 받침부(20) 및 하우징부(10) 내에 위치된 건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하우징부(10)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우산을 삽입할 수 있고, 수용부(11)에 우산이 삽입되며 받침부(20)가 하강하는 경우, 건조부(30)의 작동으로 빗물 등에 의해 젖은 우산이 건조될 수 있다.1 and 2, an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ortion 10 including an accommodating portion 11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an umbrella, a receiving portion 11 And a drying unit 30 positioned in the housing unit 10. The drying unit 30 may include a drying unit 30, The user can insert the umbrella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 form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10 and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operation of the drying portion 30 So that the wet umbrella can be dried by rainwater or the like.

구체적으로, 상술한 건조부(30)는 온풍을 발생시킬 수 있는 프로펠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부(10)의 내벽면(110) 상에는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가 형성될 수 있고, 건조부(30)가 작동됨에 따라 건조부(30)에서 발생된 온풍이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를 통해 수용부(11) 내의 우산에 도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rying unit 3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peller capable of generating hot air. A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may b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 forming the housing portion 11 and the drying portion 30 30 can reach the umbrella in the receiving portion 11 through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

또한, 상술한 받침부(20)는 사용자가 우산을 수용부(11) 내에 삽입하며 가압함에 따라 하강될 수 있고, 하강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자동으로 승강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는 하우징부(10)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발판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받침부(20)는 사용자의 발판부(40) 조작 시 승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portion 20 can be lowered by the user when the user inserts the umbrella into the receiving portion 11 and presses it, and can be automatically raised or lowe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lowered state. In addition,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oot part 40 formed on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10, (40).

즉, 받침부(20)는 우산 삽입 후 기 설정된 시간 도과에 따라 우산 건조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승강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필요 시 발판부(40)를 조작함으로써 우산의 건조 완료 여부와는 상관없이 언제든지 우산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mbrella drying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after the umbrella is inserted, the receiving portion 20 may be automatically lifted or lowered. If the user desires to operate the footrest portion 40, The umbrella can be easily recovered at any time. Thus, the usability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더 구체적으로, 하우징부(10) 내의 받침부(20)의 측부에는 받침부(20)의 이동을 제한 가능한 제동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제동부(50)는 받침부(20) 측으로 수평 방향 이동 가능하여 받침부(20) 내측으로 삽탈 가능한 스토퍼(510), 하우징부(10)에 고정 배치된 지지부재(530) 및 지지부재(530)와 스토퍼(510) 사이에서 스토퍼(510)에 탄성 반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20)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on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20 in the housing portion 10, a braking portion 50 capable of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portion 20 may be provided. The braking unit 50 includes a stopper 510 movable horizontally toward the receiving unit 20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receiving unit 20, a supporting member 530 fixedly disposed on the housing unit 10, And a spring 520 that provides an elastic reaction force to the stopper 510 between the stopper 530 and the stopper 510.

이 때, 스프링(520)은 지지부재(530)에 지지된 상태로 스토퍼(510)를 받침부(20) 측으로 가압할 수 있고, 스토퍼(510)의 받침부(20) 측 외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510)는 받침부(20)의 하면와 경사면을 통해 접촉되는 바, 받침부(20) 하강 시 경사면에 의해 지지부재(5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받침부(20)가 충분히 하강되는 경우, 스프링(520)의 탄성에 의해 스토퍼(510)는 받침부(20)에 형성된 삽탈 홈(212) 내에 삽입될 수 있다.The spring 520 can press the stopper 510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2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530.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510 on the receiving portion 20 sid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comes smaller. That is, the stopper 51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20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receiving portion 20 descends, the stopper 510 can be moved toward the supporting member 530 by the inclined surface, The stopper 51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212 formed in the receiving portion 20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520. [

한편, 하우징부(10)는 받침부(20)의 하측에 형성된 지지벽(1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지지벽(120) 상에는 받침부(20)를 상방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12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10)의 일측은 와이어 등의 연결부재(41)에 의해 발판부(40)와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발판부(40)가 조작되는 경우, 연결부재(41)에 의해 연결된 스토퍼(510)는 지지부재(5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1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wall 12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rt 20. On the support wall 120, at least one elastic member supporting the support part 20 upward 121 may be formed. One end of the stopper 510 can be connected to the footrest 40 by a connecting member 41 such as a wire and can be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41 when the footrest 40 is operated by the user The stopper 510 can be moved toward the support member 530 side.

위와 같이, 받침부(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10)가 이동됨에 따라 하측 탄성부재(121)의 탄성에 의해 받침부(20)는 승강될 수 있고, 사용자는 받침부(20)와 함께 승강된 우산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As the stopper 510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eceiving unit 20 is mov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unit 20 can be raised and lowered by the elasticity of the lower elastic member 121, The umbrella raised and lowered together can be easily recovered.

또한, 상술한 연결부재(41)는 발판부(40)에 인접하게 배치된 모터(미도시 됨)에도 연결될 수 있고, 모터는 받침부(20) 하강 후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되면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받침부(20) 하강 후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된 경우, 스토퍼(510)는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받침부(20)는 승강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1 may be connected to a motor (not shown) disposed adjacent to the footrest 40 and the motor is controlled to be driven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since the receiving unit 20 descended . Accordingly, when the pre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lowering of the receiving unit 20, the stopper 510 can be automatically moved, and the receiving unit 20 can be raised and lowered.

한편, 상술한 받침부(20)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유체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211)가 관통 형성된 배수부재(210) 및 배수부재(210)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 직경의 내주면을 구비하도록 중공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 지지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ceiving unit 20 includes a drain member 210 and a drain member 210. The drain member 210 is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has at least one drain hole 211 through which fluid can flow. The drain member 210 extends upward from the drain member 210, And an auxiliary support 220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이 때, 배수부재(210) 및 보조 지지부(220)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In this case, details of the drainage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support unit 2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또한, 상술한 받침부(20)는 배수부재(210)의 말단부를 따라 상방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내벽면(110)을 감싸는 슬라이드 벽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드 벽부(230)는 받침부(20)의 하강 시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슬라이드 개구(2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0 may further include a slide wall portion 230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distal end of the drainage member 210 and surrounding the inner wall surface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 At this time, the slide wall 2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lide openings 231 form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when the receiving portion 20 is lowered.

구체적으로, 슬라이드 벽부(230)는 배수부재(210)의 수평 방향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부(10)의 내벽면(1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20)가 하강되어 제동부(5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경우, 슬라이드 벽부(230)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슬라이드 개구(231)는 하우징부(10)의 내벽면(110) 상의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와 연통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lide wall portion 230 may extend upward from the horizontal edge of the drainage member 210 and be positioned inside the inner wall surface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 [ A plurality of slide openings 231 formed on the slide wall portion 230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 when the receiving portion 20 is lowered and the position is fixed by the braking portion 50. [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may b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시간 도과 또는 사용자의 발판부(40) 조작에 의해 받침부(20)가 승강되는 경우, 슬라이드 벽부(230)가 승강됨에 따라 슬라이드 개구(231)의 지면에 대한 높이 역시 상승되며,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는 슬라이드 벽부(2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ceiving portion 20 is lifted or lowered by a predetermined time or by a user's operation of the footstep portion 40, as the slide wall portion 230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may be closed by the slide wall portion 230. In this case,

상술한 슬라이드 벽부(230)의 승하강 및 제1 건조구(111)의 개폐에 대한 구체적인 작동 형태는 도 3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concret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up / down movement of the slide wall portion 230 and the opening / closing of the first drying port 111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는 하우징부(10)의 하부에 삽탈 가능하며 수용부(11) 내의 우산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물통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물통부(60)는 하우징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물통부(60)를 하우징부(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물통부(60) 내에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Further,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ucket 60 which is removabl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0 and accommodates a fluid flowing in from the umbrella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11 can do. At this time, the water container 60 may include a handle (not shown) projecting outwardly of the housing 10, and the user can easily push the water container 60 from the housing 10 through the handle Th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 container 60 can be easily treated.

한편, 상술한 지지벽(120) 상에는 배수구(211)를 통해 받침부(20)를 통과한 유체가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배수 구멍(213)이 상하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수부재(210)의 배수구(211)를 통해 받침부(20)의 하측으로 유동된 유체는 지지벽(120)의 배수 구멍(213)을 통해 물통부(60) 내로 유입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drain holes 213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wall 120 so that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drain hole 211 can be moved downward. That is, the fluid that has flowed down the receiving portion 20 through the drain port 211 of the drain member 2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bucket 60 through the drain hole 213 of the support wall 120.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의 제1 건조구(111)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의 제1 건조구(111)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3 (a)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ying device 111 of the umbrella dry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FIG. 3 (b)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drying unit 111 of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closed.

도 3의 (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받침부(20)가 하강되어 제동부(50)에 의해 그 높이가 고정된 경우, 슬라이드 벽부(230) 및 하우징부(10)의 내벽면(110)은 도 3의 (a)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 및 슬라이드 개구(231)는 상호 동축으로 배치되어 연통될 수 있고, 하우징부(10) 내의 건조부(30)에서 발생한 온풍은 제1 건조구(111) 및 슬라이드 개구(231)를 통해 우산으로 발산될 수 있다.3 (a), when the support portion 20 is lowered and the height thereof is fixed by the braking portion 50, the slide wall portion 230 and the inner wall surface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 Can be arranged as shown in Fig. 3 (a).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and the slide openings 231 may be coaxially arranged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and the hot air generated in the drying portion 30 in the housing portion 10 may be passed through the first drying hole 111 And the slide opening 231. In this case,

한편, 도 3의 (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받침부(20)가 하강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되거나 사용자가 발판부(40)를 조작하여 받침부(20)가 다시 승강되는 경우, 슬라이드 벽부(230) 및 하우징부(10)의 내벽면(110)은 도 3의 (b)와 같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벽부(230)가 승강됨에 따라 슬라이드 개구(231) 역시 상측으로 이동되며, 복수 개의 제1 건조구(111)는 슬라이드 벽부(23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3 (b),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while the receiving unit 20 is lowered, or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ceiving unit 40 to rotate the receiving unit 20 again The slide wall portion 230 and the inner wall surface 110 of the housing portion 10 can be arranged as shown in FIG. 3 (b). That is, as the slide wall portion 230 is lifted and lowered, the slide opening 231 is also moved upward, and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111 can be closed by the slide wall portion 230.

이를 통해, 받침부(20)가 승강됨에 따라 수용부(11) 내의 우산이 함께 승강되거나 사용자가 우산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우산의 살 말단이 제1 건조구(111)에 삽입되어 걸리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우산을 용이하게 회수 함으로써 이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umbrella in the receiving portion 11 is raised or lowered together with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receiving portion 20, or when the user removes the umbrella, the end of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first drying hole 111 And the convenience of use can be increased 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retrieve the umbrella.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에 포함되는 받침부(20)의 보조 지지부(220) 부분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auxiliary support 220 of the receiving unit 20 included in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배수부재(210)의 수평 방향 중앙에는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보조 지지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지지부(220)는 중공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보조 지지부(220) 상에는 수평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건조구(221)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n auxiliary support 220 protruding upwar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rainage member 2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second drying holes 221 may be formed on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220 in a horizontal direction.

또한, 배수부재(210) 내에도 상술한 건조부(30)가 배치될 수 있고, 배수부재(210) 내에 배치된 건조부(30)에서 발생되는 열풍은 보조 지지부(220)의 제2 건조구(221)를 통해 발산될 수 있다.The hot air generated in the drying unit 30 disposed in the drainage member 210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drying unit 30 of the auxiliary support unit 220, (Not shown).

한편, 사용자가 일반적인 장우산이 아닌 우산 천끼리 포개어지는 부분이 발생하는 3단 우산 등을 사용하는 경우, 3단 우산의 우산 천과 천 사이가 잘 건조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user uses a three-layer umbrella, which is not a general umbrella, but a part where the umbrella cloth overlaps, the umbrella cloth and the cloth of the three-layer umbrella may not be dried well.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건조 장치(1)는 중공된 실린더 형상의 보조 지지부(220)를 포함하는 바, 사용자는 3단 우산의 우산 축 단부를 보조 지지부(220)의 내측에 삽입할 수 있고, 배수부재(210)에 수직하게 형성된 보조 지지부(220)는 3단 우산의 상호 포개어지는 우산 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배수부재(210)에 배치된 건조부(30)가 작동되는 경우, 보조 지지부(220) 상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2 건조구(221)를 통해 온풍이 발산될 수 있다. 이 때, 제2 건조구(221)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바, 온풍은 3단 우산의 우산 천에서 상호 포개어지는 부분에 발산될 수 있고, 3단 우산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However,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cylinder-shaped auxiliary support portion 220, and the user can insert the umbrella shaft end portion of the three-step umbrella in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220 And the auxiliary support 220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drainage member 210 can be disposed between the mutually overlapping umbrella cloths of the three-stage umbrella. When the drying unit 30 disposed on the drainage member 210 is operated, hot air may be emi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second drying units 221 formed on the auxiliary support unit 220. At this time, the second drying device 221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and the warm air can be diverted to a part overlapping with the umbrella cloth of the three-step umbrella, .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equivalents to the appended claims, as well as the appended claims.

1 : 우산 건조 장치
10 : 하우징부
11 : 수용부
110 : 내벽면
111 : 제1 건조구
120 : 지지벽
121 : 탄성부재
20 : 받침부
210 : 배수부재
211 : 배수구
212 : 삽탈 홈
213 : 배수 구멍
220 : 보조 지지부
221 : 제2 건조구
230 : 슬라이드 벽부
231 : 슬라이드 개구
30 : 건조부
40 : 발판부
41 : 연결부재
50 : 제동부
510 : 스토퍼
520 : 스프링
530 : 지지부재
60 : 물통부
1: umbrella drying unit
10:
11:
110: inner wall
111: 1st drying oven
120: support wall
121: elastic member
20:
210: drainage member
211: Drain
212: Slide home
213: drain hole
220: auxiliary support
221: Second drying section
230:
231: Slide opening
30: Drying section
40:
41:
50:
510: Stopper
520: spring
530: Support member
60: Bucket section

Claims (8)

우산을 수용 가능하도록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수용부 내에서 승하강 가능한 받침부; 및
상기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건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 상에는 복수 개의 제1 건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부는 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유체 유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가 관통 형성된 배수부재 및 상기 배수부재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정 직경의 내주면을 구비하도록 중공된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된 보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상기 배수부재의 말단부를 따라 상방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을 감싸는 슬라이드 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벽부는 상기 받침부의 하강 시 상기 복수 개의 제1 건조구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슬라이드 개구를 포함하는, 우산 건조 장치.
A housing part including an accommodating part opened upward to accommodate the umbrella;
A receiving portion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within the receiving portion; And
And a drying unit located in the housing part,
A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forming the accommodat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drain member disposed parallel to the ground and having at least one drain hole through which a fluid can flow, and an auxiliary support portion formed in a hollow cylinder shape so as to extend upward from the drain member and hav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he receiv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slide wall portion extending upwardly along the distal end of the drain member and surround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in the slide wal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lide opening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사용자가 우산을 상기 수용부 내에 삽입하며 가압함에 따라 하강되며,
하강된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승강되는, 우산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0030]
A user inserts an umbrella into the receiving portion and descends as it presses,
And is raised and lower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in a lowered st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우산 건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 외면에 형성된 발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는 사용자가 상기 발판부 조작 시 승강되는, 우산 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oot plate formed on a lower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raised and lowered when the user operates the foot port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부 상에는 지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건조구가 형성된, 우산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second drying hole is formed on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aper surf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제1 건조구는 상기 받침부의 승강 시 상기 슬라이드 벽부에 의해 폐쇄되는, 우산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first drying holes are closed by the slide wall portion when the receiving portion is moved up and dow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우산 건조 장치는,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에 삽탈 가능하며 상기 수용부 내의 우산으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물통부;를 더 포함하는, 우산 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mbrella drying apparatus includes:
And a water container which is removable in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nd receives a fluid flowing in from the umbrella in the accommodating portion.
KR1020180154703A 2018-12-04 2018-12-04 Umbrella Drying Apparatus KR1020045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03A KR102004524B1 (en) 2018-12-04 2018-12-04 Umbrella Dr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03A KR102004524B1 (en) 2018-12-04 2018-12-04 Umbrella Dry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4524B1 true KR102004524B1 (en) 2019-07-26

Family

ID=6746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03A KR102004524B1 (en) 2018-12-04 2018-12-04 Umbrella Dry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524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88U (en) * 1992-04-20 1993-11-26 株式会社カンセイ Umbrella dehydrator
JP2002156184A (en) * 2000-09-07 2002-05-31 Seiwa Kogyo Kk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water drops from umbrella
KR20080002757U (en) * 2007-01-17 2008-07-22 주식회사 하람기술 Automatic ejecting umbrella dehydrated device
KR200471930Y1 (en) 2012-11-13 2014-04-01 이준석 Dryer for umbrella
CN105300037A (en) * 2014-06-11 2016-02-03 蒋世芬 Rapid water removing dryer for foldable umbrella
CN106052315A (en) * 2016-06-21 2016-10-26 王培良 Umbrella dehydrator
KR20170067327A (en) * 2015-12-08 2017-06-16 임주생 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7488U (en) * 1992-04-20 1993-11-26 株式会社カンセイ Umbrella dehydrator
JP2002156184A (en) * 2000-09-07 2002-05-31 Seiwa Kogyo Kk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water drops from umbrella
KR20080002757U (en) * 2007-01-17 2008-07-22 주식회사 하람기술 Automatic ejecting umbrella dehydrated device
KR200471930Y1 (en) 2012-11-13 2014-04-01 이준석 Dryer for umbrella
CN105300037A (en) * 2014-06-11 2016-02-03 蒋世芬 Rapid water removing dryer for foldable umbrella
KR20170067327A (en) * 2015-12-08 2017-06-16 임주생 Apparatus for drying wet umbrella
CN106052315A (en) * 2016-06-21 2016-10-26 王培良 Umbrella dehydra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6966B1 (en) Umbrella drying apparatus
KR20170140517A (en)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102469190B1 (en) Umbrella rainwater removal unit and umbrella rainwater removal system having the same
KR101583906B1 (en) Umbrella drier
KR102004524B1 (en) Umbrella Drying Apparatus
KR102011662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from Umbrella
KR102488577B1 (en) Umbrella rainwater removal device
TW201945611A (en) washing machine
KR20190002072U (en) Drying equipment for folding umbrellas
KR102333109B1 (en) Umbrella drying device
KR20150078370A (en) Unbrella drying apparatus
KR102025929B1 (en) Umbrella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and its opening and closing method
KR20070051128A (en) 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KR102151115B1 (en) Umbrella dehydrator with an air compressure
KR200444884Y1 (en) A standing device for an umbrella
KR102030092B1 (en) A apparatus for dewatering the umbrella
KR100634840B1 (en) 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KR101920570B1 (en) Eco-friendly umbrella dry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KR20190002073U (en) Drying equipment for umbrellas
KR200395993Y1 (en) apparatus for drying an umbrella
KR102570249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US9078414B1 (en) Pet washing apparatus
KR102102747B1 (en) Rainwater remover device for umbrella
KR102535254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hands and feet
US20210395990A1 (en) Vented Toile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