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518B1 -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4518B1
KR102004518B1 KR1020170105742A KR20170105742A KR102004518B1 KR 102004518 B1 KR102004518 B1 KR 102004518B1 KR 1020170105742 A KR1020170105742 A KR 1020170105742A KR 20170105742 A KR20170105742 A KR 20170105742A KR 102004518 B1 KR102004518 B1 KR 10200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trips
unit
sensor strip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590A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김태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윤 filed Critical 김태윤
Priority to KR1020170105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45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4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6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changes in electrical capaci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7Removable steps or ladders, e.g.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01R27/2605Measuring capaci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센서 스트립부; 상기 센서 스트립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서 스트립부와 상기 센싱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에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며, 각각의 감지 스트립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는 위상제어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Sensing apparatus for approach of object and collision prevention safety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되, 2 이상의 감지 스트립 각각의 전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감지 거리 증가 및 데드 포인트로 인한 감지 오류 방지 효과를 갖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체 접근을 감지 장치는 크게 접촉식과 비접촉식으로 구분된다. 접촉식은 장애물과 같은 물체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기적 부하의 변화나 공압의 변화를 감지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고, 비접촉식은 정전용량의 변화, 자기장 또는 전장(Electric Field)의 변화 등을 이용하여 장애물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정전용량 방식 장애물 감지장치는 도 1의 개략 구성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모듈(12), 정전용량 감지모듈(12)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모듈(18), 정전용량 감지모듈(12)의 출력신호를 제어모듈(18)로 전달하는 전송라인(20)을 포함한다.
정전용량 감지모듈(12)은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나 윈도우의 주변부를 따라 설치되는 센서 스트립(14)과 센서 스트립(14)의 단부에 결합되어 센서 스트립(14)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정전용량 감지회로(16)를 포함한다.
센서 스트립(14)은 예를 들어, 유연성이 좋은 고무재질의 절연체 내부에 얇은 띠 형태의 전도체(예, 금속재)가 삽입된 것으로서, 상기 전도체가 커패시터(capacitor)의 전극역할을 하기 때문에 근처에 접근 물체가 있는 경우의 정전용량과 없는 경우의 정전용량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센서 스트립(14)은 차량의 도어나 윈도우 주위 또는 슬라이딩 게이트, 엘리베이터 도어 등 다양한 대상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센서 스트립(14)은 직선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곡선형으로 굽혀서 설치될 수도 있다.
제어모듈(18)은 예를 들어, 정전용량 감지회로(16)의 출력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허용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허용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예를 들어, 차량의 도어나 윈도우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개폐모듈(30)로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도어의 동작을 중단시키거나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정전용량 감지회로(16)에는 예를 들어, 센서 스트립(14)과 연결된 RF 발진기가 구비되며, RF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는 회로 제작시에 결정되므로, 장애물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정전용량 감지회로(16)의 출력신호는 일정한 주파수를 가진다.
사람의 손이나 신체의 일부가 문이나 도어에 근접하는 경우, 센서 스트립(14)의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되고, 센서 스트립(14)에 연결된 RF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달라진다. 이렇게 RF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달라짐에 따라, 정전용량 감지회로(16)의 출력신호가 허용 주파수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모듈(18)은 장애물과 같은 물체의 접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물체 접근 감지 장치는 물체나 장치 중 어느 하나가 이동하는 경우, 이동속도에 대비하여 물체를 감지하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으므로 물체나 장치의 이동속도가 빠른 경우 물체가 장치와 상호 충돌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물체 접근 감지 장치는 물체가 접근하여도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지점(이하 '데드 포인트')이 센서 스트립에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559호 (2010.03.08 등록)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RF 발진기를 사용하여 다수의 주파수를 일정주기에 따라 교번하여 발진하도록 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의 조절에 따라 데드 포인트가 겹치지 않도록 하여 데드 포인트로 인한 감지불능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두 개 이상의 RF 발진기를 사용하는 경우, 회로 구성이 복잡하고 고장의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발진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감지 거리를 증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7922호 (2006.09.18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47559호 (2010.03.0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되, 2 이상의 감지 스트립 각각의 전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감지 거리 증가 및 데드 포인트로 인한 감지 오류 방지 효과를 갖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센서 스트립부; 상기 센서 스트립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서 스트립부와 상기 센싱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에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며, 각각의 감지 스트립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는 위상제어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스트립부는,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을 모두 커버하는 대향 면적을 갖는 도체 프레임에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각각의 감지 스트립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은 상기 도체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스트립부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이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감지 스트립과, 상기 제1 감지 스트립과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2 이상의 제1 감지 스트립을 모두 커버하는 대향 면적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2 감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감지 스트립은 (+)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감지 스트립은 접지 또는 (-) 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상제어부는 2 이상의 위상제어요소로 이뤄지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가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형성하는 임피던스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는 각각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가변 커패시터를 제어하여 각각의 위상제어요소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싱부는, 상기 위상제어부를 통해 센서 스트립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가변하는 RF 발진기와, 상기 RF 발진기에 연결되며,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RF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되는 경우 상기 RF 발진기가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위상고정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물체와 이동체 사이에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안전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 측에 상기 센서 스트립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감지 실행 모드에서,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센서 스트립부에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경우, 상기 물체와 상기 이동체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관리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또는 정지 상태를 구분하는 이동 상태 감지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 감지 실행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체는 수송기기에 구비되고 수송기기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어 또는 이동식 발판이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는 상기 도어 또는 이동식 발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전관리 신호는 이동체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동작을 변경하도록 하는 동작 변경 신호 및 물체의 충돌 위험을 알리는 경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의 전계가 상호 중첩되도록 하여 물체 접근을 감지하는 거리가 증가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물체 접근 감지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장치 또는 물체의 이동시 물체와 장치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회로 구성을 통해 감지 스트립의 데드 포인트로 인한 감지 오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물체 접근 감지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의 제어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의 또다른 제어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에서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의 전계 중첩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부의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부의 모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이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의 제어회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는, 물체(500)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a, 도 5 참고)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을 포함하는 센서 스트립부(110),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의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100),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사이에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위상제어부(300) 및 상기 센싱부(100)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500)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물체'는 안전 목적(예, 충돌방지)으로 접근 감지가 필요한 사람 또는 사물이 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는,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바디부(112, 도 5 참고)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은, 예를 들어, 띠 형상의 도전성 소재로 이뤄지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은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의해 형성되는 전계가 상호 중첩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이며,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의 폭에 따라 간격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은 폭이 10㎜인 평판 스트립 구조로 이뤄지고,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간의 간격이 5㎜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지 스트립의 배치 및 후술하는 위상 제어에 의해 폭이 40㎜인 하나의 평판 스트립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 증가된 물체 접근 감지 거리를 제공하면서 데드 포인트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바디부(112)는 상기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상기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대향하여 설치되는 도체(예, 도체 스트립 또는 도체 프레임)와의 사이에 전계 형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간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의 프레임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부(112)는 유전체의 성질을 가지면서 소정의 강도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 또는 합성고무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체는 도체 스트립의 형태로 상기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같이 바디부(112) 내측에 설치되어 센서 스트립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도체는 도체 프레임의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바디부(112)에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배치된 센서 스트립부(110)가 상기 도체 프레임에 밀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부의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부의 모식도이다.
일예로, 도체 프레임(11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는,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을 모두 커버하는 대향 면적을 갖는 도체 프레임(110")에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은 상기 도체 프레임(110")에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b)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도체 프레임(110")은 차량이나 엘리베이터 등의 몸체의 일부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체 프레임(110")은 접지 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은 (+) 전극판을 형성하며, 상기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도체 프레임(110")이 이루는 전기장에 기초하여 정전용량 센싱을 위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다른 예로,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이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상기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2 이상의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을 모두 커버하는 대향 면적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2 감지 스트립(110')을 포함하여 이뤄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은 (+)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감지 스트립(110')은 접지 또는 (-) 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제2 감지 스트립(110')이 이루는 전기장에 기초하여 정전용량 센싱을 위한 전기장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은 상기 감지 스트립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감지 스트립(110')은 상기 도체 스트립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및 제2 감지 스트립(110')은 금속판 또는 금속 편조물과 같은 도전성 소재를 스트립과 유사한 판재 형태로 가공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110')의 실제 구현 형상은 바람직하게는 판상으로 이뤄지지만, 정전용량 센싱을 하기 위한 전기장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과 크기, 위치를 갖는다면, 반드시 도시된 형태의 판상의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후술하는 위상제어부(300), 센싱부(100) 및 제어부(200)에 의한 물체 접근 감지는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가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및 제2 감지 스트립(110')을 포함하여 이뤄지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물체(500)가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도체 프레임(110")이 형성하는 정전용량값 또는 각각의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과 제2 감지 스트립(110')이 형성하는 정전용량값에 변화가 발생되며, 이러한 변화의 여부 또는 그 정도를 센싱부(100)에서 센싱하게 되며, 제어부(200)에서 물체(500)의 존재(접근)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센싱부(100)는, 상기 위상제어부(300)를 통해 센서 스트립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의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가변하는 RF 발진기와, 상기 RF 발진기에 연결되며,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RF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되는 경우 상기 RF 발진기가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위상고정루프부(Phase Locked Loop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위상고정루프부에 연결되며, 상기 RF 발진기(152)가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상기 위상고정루프부가 제어하는 동안 상기 위상고정루프부로부터 수신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5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MCU(250; 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감지 스트립(110')은 접지 상태를 이루고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상기 위상제어부(300)를 거쳐 RF 발진기(152)에 연결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상제어부(300)에 의해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사이에 위상 차이가 발생되고, 위상 차이가 있는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의한 전계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물체(500)의 접근에 의해 정전용량값이 변화되며, 상기 위상제어부(3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의 정전용량에 변화가 발생되면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RF 발진기(152)와 위상고정루프부로 이루어지는 정전용량 감지회로가 구성된다.
상기 정전용량 감지회로는 MCU(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위상고정루프부의 출력신호를 전달받아 물체(5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RF 발진기(152)는 센서 스트립부(110)에 연결되어, 발진 주파수에 따른 교류 전원 파형이 센서 스트립부(110)에 인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예로, 상기 RF 발진기(152)는 전압으로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는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가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상고정루프부는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위상고정루프부는 설정된 기준 발진 주파수와 센서 스트립부(110)의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발진 주파수와의 차이를 자동적으로 보정(補正)할 수 있도록 구성된 주파수 제어회로(制御回路)이다.
즉,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되는 경우 상기 RF 발진기(152)가 설정된 기준 발진 주파수를 항상 유지하도록 조절하는 회로가 PLL이다.
상기 MCU(250)는 상기 위상고정루프부에 연결되어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 값의 변화에 근거하여 물체(5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MCU(250)에는 RF 발진기(152)의 기준 발진 주파수 값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즉, 물체(500)의 근접에 따라 센서 스트립부(110)에서 정전용량값이 변화하는 경우에,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위상고정루프부에서는 RF 발진기(152)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주파수의 변화를 상쇄하여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설정된 전압을 '주파수설정용 전압'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할 때 이를 상쇄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압을 '주파수 조정용 전압'으로 이해할 수 있다.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 제어를 위한 주파수 조정용 전압값은 전기적 신호의 형태로 ADC(Analog-to-Digital Converter, 251)를 거쳐 MCU(250)로 전송되며, 입력된 전기적 신호값이 MCU(250)에 미리 설정된 전기적 신호 기준값의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체(500)가 센서 스트립부(110)에 근접하였음을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MCU(250)는 제어 설정 입출력을 위한 입력부(162) 및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163)와 전송라인(253)을 통해 연결되며, 인터페이스(264)를 통해 액추에이터 모듈(170) 및 경보부(180)와 연결된다. 일예로, 인터페이스(264)는 공지의 RS232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액추에이터 모듈(170) 및 경보부(180)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인터페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MCU(250)는 위상고정루프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예, 주파수 조정용 전압값)를 감지하여 물체(5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물체 감지를 알리는 경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MCU(250)에 연결된 입력부(162)는 사용자가 조작신호나 리셋(reset) 신호 등을 입력하는 부분이며, 전원부(163)는 센서 스트립부(110), RF 발진기(152), 위상고정루프부 및 MCU(250)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DC 5V의 직류전원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위상고정루프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위상고정루프부는, 일단이 RF 발진기(152)에 연결되는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와, 위상고정루프IC(142)와, 위상고정루프IC(142)와 가변용량 다이오드(141)를 연결하는 주파수 조정용 신호선(143)과, 주파수 검출용 커패시터(144)를 포함한다. 미설명 부호 147은 위상고정루프IC(142)에 레퍼런스 주파수를 제공하는 오실레이터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주파수감지수단으로서 주파수 검출용 커패시터(144)가 사용된다. 상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를 위상고정루프IC(142)로 전달할 수 있다면, 상기 주파수감지수단은 예시된 주파수 검출용 커패시터(144) 이외에도 다른 공지의 요소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가변용량 다이오드(141)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정전용량이 가변하는 성질을 가지며, 일단이 주파수 조정용 신호선(143)에 연결되는 한편 타단은 접지된다.
물체(500)의 근접 없이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준 발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설정용 전압이 설정값을 유지한다.
물체(500)의 근접에 의해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벗어나려고 하는 경우, 상기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에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인가하거나 인가 중인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기준 발진 주파수가 유지되도록 한다.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인가 또는 변경한다는 것은, 기준 발진 주파수를 발진시키기 위해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에 당초 인가되었던 주파수설정용 전압에 더해,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 또는 - 의 조건으로 더욱 인가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주파수설정용 전압을 대신하여 기준 발진 주파수를 적응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인가한다는 관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RF 발진기(152)와 위상고정루프IC(142)는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에 대하여 병렬로 연결된다.
위상고정루프IC(142)는 상기 MCU(250)에 의해 제어되며, 주파수 검출용 커패시터(144)를 통해 상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를 지속적으로 감지하며, 상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되는 경우 주파수 조정용 신호선(143)을 통해 상기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에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상기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에 있어서, 상기 위상고정루프부로부터 MCU(250)가 수신하는 전기적 신호는, 상기 위상고정루프IC(142)에서 상기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에 공급하기 위해 출력되는 주파수 조정용 전압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파수 조정용 신호선(143)에는 RF 발진기(152)에 대한 입력 전압에서 불필요한 신호를 필터링해주는 루프필터(145)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물체의 감지 실행 모드에서 위상고정루프부의 위상고정루프 IC(142)를 이용하여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물체(500)가 센서 스트립부(110) 주변에 위치하여 센서 스트립부(110)의 정전용량이 변화하면 RF 발진기(152)의 발진 주파수가 변화하기 때문에, 이때 위상고정루프IC(142)에서 가변용량 다이오드(141)에 인가하는 주파수 조정용 전압을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발진 주파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MCU(250)가 위상고정루프부의 위상고정루프IC(142)의 구동을 제어하는 한편, 루프필터(145)에 연결되는 주파수 조정용 신호선(143)을 통해 주파수 조정용 전압의 변화를 감지한다. 그리고 MCU(250)가 감지된 전압값을 토대로 물체(500)의 근접 여부를 판단한다.
일예로, MCU(250)에 의해 물체(500)가 센서 스트립부(110)에 근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MCU(250)는 경보부(180)를 제어하여 물체 감지를 알리는 경보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MUC(250)는 물체 감지 여부에 따라 자동차의 윈도우나 도어를 자동으로 여닫는 액추에이터 모듈의 동작 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MCU(250)는 주파수 조정용 전압의 변화를 기준신호로 기억하고, 물체(500)가 있는지 여부의 판단 등의 기능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거나 해당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하드웨어적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기능의 분담을 위해 2 이상의 MCU가 분산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상기 위상제어부(300)는,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와 상기 센싱부(10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사이에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위상제어부(300)는,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100)가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위상제어부(300)는, 2 이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로 이뤄진다.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가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위상 차이는 기준 발진 주파수의 크기 및 감지 스트립의 갯수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감지 스트립과 이웃하여 배치되는 또다른 하나의 감지 스트립 간에 30° 또는 60°의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impedance) 값을 형성하는 임피던스 소자로 이뤄진다.
예를 들어,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터(capacitor, 302a, 302b, 302c)와 커패시터 이외의 다른 수동소자 및 능동소자가 단독 또는 조합하여 이뤄진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는 저항(resistor) 또는 저항과 인덕터(inductor)의 조합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위상 차이와 무관하게 미리 각각의 임피던스 값이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에 포함된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가 상호 동일한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구성되고, 각각 서로 다른 커패시터 값을 갖는 커패시터(302a, 302b, 302c)를 상기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와 연결하여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커패시터 값에 의해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상호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패시터(302a, 302b, 302c)와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가 직렬 연결을 이루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병렬 연결로 이뤄질 수도 있으며, 상기 위상 차이의 제어를 위해서 서로 다른 인덕터 값을 갖는 인덕터로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가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의 또다른 제어회로 구성도이다.
다른 예로,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는 각각 가변 커패시터(302a', 302b', 302c')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각각의 가변 커패시터(302a', 302b', 302c')를 제어하여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에 포함된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가 상호 동일한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가변 커패시터 값을 조절하여 각각의 위상제어요소(301a', 301b', 301c')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가변 커패시터 값의 조절에 의해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상호 일정한 위상 차이를 갖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변 커패시터(302a', 302b', 302c')와 고정 임피던스 소자(304a', 304b', 304c')가 직렬 연결을 이루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병렬 연결로 이뤄질 수도 있으며, 상기 위상 차이의 제어를 위해서 가변 커패시터 외에 인덕터(예, 가변 인덕터)의 값을 조절하여 임피던스 값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에서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의 전계 중첩 모식도이다.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고,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상 차이가 발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사이에 전계 중첩이 이뤄지고, 센서 스트립부(110)를 통해 물체(500)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도 4의 (a) 내지 (c)는 발진 주파수의 주기에 따른 전계의 범위 변화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으로, 중첩된 전계의 최대 거리(범위)가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의한 각각의 전계의 거리(범위)에 비해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서 좌측의 감지 스트립(110a)이 이루는 전계 a1이 가장 크고, 중간의 감지 스트립(110b)이 이루는 전계 b1, 우측의 감지 스트립(110c)이 이루는 전계 c1 순으로 크기가 작아지며, 이를 합성한 전계 a1+b1+c1은 각각의 전계를 포함하면서 중첩된 부분에서 더욱 증가된 전계를 보여준다.
이러한 전계의 크기의 차이는,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인가되는 파형이 정현파인 경우, 동일한 파형에서도 위상 차이에 따라 진폭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의 중첩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된 모식도로서, 각각의 전계의 표현이 각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에 의해 생성되는 전계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이 차량에 구비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은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물체(500)와 이동체(MO) 사이에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안전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충돌방지 안전시스템은, 상기 이동체(MO)의 이동 방향 측에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의 감지 결과를 기초로 시스템의 제어를 실행하는 시스템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0)는, 감지 실행 모드에서,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에 물체(500)가 근접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200)가 판단한 경우, 상기 물체(500)와 상기 이동체(MO)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관리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0)는 공지의 MCU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0)는 상기 이동체(MO)의 이동 또는 정지 상태를 구분하는 이동 상태 감지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MO)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 감지 실행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계의 중첩에 의해 감지 거리가 증가된다.
따라서, 물체(500)의 접근을 먼 거리에서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체(MO)에 센서 스트립부(110)가 구비되어 이동체(MO)와 함께 이동하더라도 물체(500)와 이동체(MO)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예로, 상기 이동체(MO)는 차량이나 선박, 비행기와 같은 수송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 편의상 차량을 예시 설명한다.
일예로, 상기 이동체(MO)는 승하차 보조를 위해 차량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식 발판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는 상기 이동식 발판의 외측 단부에 부착 또는 몰딩 등의 방식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이상의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이동식 발판의 단부면에 나란하게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의 후방(차량측 방향)에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이동식 발판이 도체 프레임(110")을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이 상기 도체 프레임(110")의 전방(차량 외측 방향)에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면서 감지 스트립(110a, 110b, 110c) 상호간에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 프레임(110")이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의 제2 감지 스트립(110')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SF는 상기 이동식 발판(MO)의 프레임이며, 상기 제2 감지 스트립(110')에 접지를 제공하며, 도체로 이뤄지는 경우 상기 제2 감지 스트립(110')이 없더라도 상기 도체 프레임(110")과 유사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D)가 개방되고 승차를 위해 이동식 발판(MO)이 차량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0)가 이동식 발판(MO)의 이동을 감지하여 감지 실행 모드가 동작하도록 한다.
감지 실행 모드에서, 사람 등의 물체(500)가 접근하거나 물체(500)가 차량과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이동식 발판(MO)의 외측 단부에 설치된 센서 스트립부(110)의 정전용량값이 변화되고, 제어부(200)에서 센싱부(100)를 통해 상기 센서 스트립부(110)에 물체(500)가 근접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0)에서 상기 안전관리 신호를 생성한다.
일예로, 상기 안전관리 신호는 이동체의 액추에이터(2000)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체(MO)가 이동하는 동작을 변경하도록 하는 동작 변경 신호 및 물체(500)의 충돌 위험을 알리는 경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1000)는 상기 제어부(200)와 연결되어 제어부(200)로부터 물체(500)의 접근 여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게 되며, 상기 안전관리 신호를 생성하여 이동체의 액추에이터(2000) 또는 경보부(3000)로 안전관리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관리 신호가 동작 변경 신호인 경우, 상기 이동체의 액추에이터(2000)로 안전관리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이동체의 액추에이터(2000)가 이동체(MO)의 이동을 제어하여 이동체(MO)가 정지하거나 반대방향(예, 차량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관리 신호가 경보 신호인 경우, 상기 경보부(3000)로 안전관리 신호를 전달하게 되면, 상기 경보부(3000)는 음향 또는 시각을 통해 이동체의 액추에이터(2000)를 동작하는 사용자 또는 물체(500)에게 경보 알람을 제공하게 된다.
다른예로, 상기 이동체(MO)는 차량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어(예, 슬라이딩 도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센서 스트립부(1110)는 상기 슬라이딩 도어의 개방부측 단부에 부착 또는 몰딩 등의 방식으로 설치된다. 센서 감지에 의한 제어 동작은 상술한 이동식 발판과 유사한 방식으로 이뤄지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센싱부 110: 센서 스트립부
110a, 110b, 110c: 제1 감지 스트립 110': 제2 감지 스트립
110": 도체 프레임 200: 제어부
300: 위상제어부 MO: 이동체
500: 물체 1000: 시스템 제어부

Claims (12)

  1. 물체의 접근에 따라 정전용량값이 가변하며,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센서 스트립부;
    상기 센서 스트립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서 스트립부와 상기 센싱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에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며, 각각의 감지 스트립에 의해 발생되는 전계가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센싱부가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는 위상제어부; 및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되는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물체의 접근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위상제어부는 2 이상의 위상제어요소로 이뤄지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가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감지 스트립에 인가되는 전원 파형의 위상을 각각 제어하여 각각의 감지 스트립 사이에 미리 설정된 위상 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스트립부는,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을 모두 커버하는 대향 면적을 갖는 도체 프레임에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각각의 감지 스트립이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은 상기 도체 프레임에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스트립부는,
    2 이상의 감지 스트립이 미리 설정된 횡방향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감지 스트립과, 상기 제1 감지 스트립과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미리 설정된 종방향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2 이상의 제1 감지 스트립을 모두 커버하는 대향 면적을 갖도록 설치되는 제2 감지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 스트립은 (+)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감지 스트립은 접지 또는 (-) 전극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는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형성하는 임피던스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위상제어요소는 각각 가변 커패시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가변 커패시터를 제어하여 각각의 위상제어요소가 서로 다른 임피던스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위상제어부를 통해 센서 스트립부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의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가변하는 RF 발진기와,
    상기 RF 발진기에 연결되며, 상기 정전용량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RF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가 기준 발진 주파수로부터 변화되는 경우 상기 RF 발진기가 기준 발진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위상고정루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체 접근 감지 장치.
  9. 제1항에 따른 물체 접근 감지 장치를 이용하여, 물체와 이동체 사이에 상호 충돌을 방지하는 안전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체의 이동 방향 측에 상기 센서 스트립부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감지 실행 모드에서, 상기 물체 접근 감지 장치가 동작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센서 스트립부에 물체가 근접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가 판단한 경우, 상기 물체와 상기 이동체가 상호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관리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이동체의 이동 또는 정지 상태를 구분하는 이동 상태 감지 기능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체가 이동 중인 상태에서 감지 실행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는 수송기기에 구비되고 수송기기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도어 또는 이동식 발판이며,
    상기 센서 스트립부는 상기 도어 또는 이동식 발판의 단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관리 신호는 이동체의 액추에이터를 제어하여 상기 이동체가 이동하는 동작을 변경하도록 하는 동작 변경 신호 및 물체의 충돌 위험을 알리는 경보 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KR1020170105742A 2017-08-21 2017-08-21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KR10200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42A KR102004518B1 (ko) 2017-08-21 2017-08-21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42A KR102004518B1 (ko) 2017-08-21 2017-08-21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90A KR20190020590A (ko) 2019-03-04
KR102004518B1 true KR102004518B1 (ko) 2019-07-26

Family

ID=65759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42A KR102004518B1 (ko) 2017-08-21 2017-08-21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45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04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54514A (ko) 2021-10-15 2023-04-25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875B1 (ko) * 2021-01-28 2024-02-14 (주)비토넷에이피 비접촉식 인체감지 센서를 이용한 안티핀치 시스템
EP4286637A1 (en) * 2021-01-28 2023-12-06 Vitonet Ap Co., Ltd. Non-contact-type pinch prevention device
CN113031081B (zh) * 2021-03-10 2024-06-0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接近传感检测电路、电容校准方法、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973B2 (ja) * 2003-11-07 2008-02-0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非接触式車両用接近体検出装置
JP2014522614A (ja) 2011-06-16 2014-09-04 ナノテック ソリュシオン 浮動ブリッジを含む容量測定用の集積回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1398B (en) * 2000-03-28 2005-10-11 Toshiba Corp Eddy current loss measuring sensor, film thickness measuring device, film thickness measur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777958B2 (en) 2001-10-17 2004-08-17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hange in capacitance of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KR100947559B1 (ko) 2007-12-17 2010-03-12 조승원 위상고정루프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시스템과 그 감지방법
KR101746122B1 (ko) * 2015-10-15 2017-06-13 황성공업 주식회사 물체 접근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42973B2 (ja) * 2003-11-07 2008-02-06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非接触式車両用接近体検出装置
JP2014522614A (ja) 2011-06-16 2014-09-04 ナノテック ソリュシオン 浮動ブリッジを含む容量測定用の集積回路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3004A (ko)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KR20230054514A (ko) 2021-10-15 2023-04-25 주식회사 에프아이시스 딥러닝을 이용한 사고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590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518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돌방지 안전시스템
KR100947559B1 (ko) 위상고정루프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시스템과 그 감지방법
KR101746122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AU2005239317B2 (en) Capacitance activated switch device
US20170122927A1 (en) Electrostatic capacitance detection device
JP2018141352A (ja) ドア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KR102021583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센서 스트립
KR101457446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KR101563515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KR102001199B1 (ko) 물체 접근 감지 기능을 갖는 웨더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물체 접근 감지 장치
KR101660005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CN204675589U (zh) 电梯门口障碍物检测装置
KR102325726B1 (ko) 전계변화 감지를 이용한 물체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센서 유닛
KR101581751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KR101749291B1 (ko) 승강기 자동문의 안전 동작을 위한 장애물 감지장치
KR20160002640A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KR101959427B1 (ko) 전동차 승강장 안전시스템
KR20210109143A (ko) 차량을 위한 물체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센서 스트립
KR20210109142A (ko) 차량용 물체 감지 장치 및 이를 위한 센서 스트립
KR102090016B1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물체 접근 감지 방법
US8887440B2 (en) Garage door antenna
KR20200061117A (ko) 물체 접근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물체 접근 감지 방법
KR20190033959A (ko) 물체 접근 감지용 웨더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물체 접근 감지 장치
KR101977949B1 (ko) 다중전극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 시스템
US20200240855A1 (en) Object deformation detection using capacitive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