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632B1 -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632B1
KR102003632B1 KR1020177036950A KR20177036950A KR102003632B1 KR 102003632 B1 KR102003632 B1 KR 102003632B1 KR 1020177036950 A KR1020177036950 A KR 1020177036950A KR 20177036950 A KR20177036950 A KR 20177036950A KR 102003632 B1 KR102003632 B1 KR 102003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er
sensitive adhesive
protective film
pressure
surface 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11244A (en
Inventor
시노부 나가노
마사히로 야에가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2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3Arrangements for polarized light emis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H01L51/529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화상 표시 장치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를 실현 가능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원하는 비편광부의 형상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그 일방면측에 그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 그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그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 필름 적층체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olarizer capable of realizing multifunctional and high-functionaliz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image display device, and capable of forming a desired shape of a non-light-emitting portion with high accuracy.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laminat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on the one surface side of a polarizer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 or les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olarizing film A step of producing a laminate, a step of bringing a basic solution into contact with an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and a step of remov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Description

편광자의 제조 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본 발명은,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emitting portion.

휴대 전화, 노트형 퍼스널 컴퓨터 (PC)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는, 카메라 등의 내부 전자 부품이 탑재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성능 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7). 그러나, 스마트폰, 터치 패널식의 정보 처리 장치의 급속한 보급에 의해 카메라 성능 등의 추가적인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또, 화상 표시 장치의 형상의 다양화 및 고기능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편광 성능을 갖는 편광판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요망을 공업적 및 상업적으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허용 가능한 비용으로 화상 표시 장치 및/또는 그 부품을 제조하는 것이 요망되는 바, 그러한 기술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검토 사항이 남아 있다.BACKGROUND ART [0002]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cellular phone or a notebook type personal computer (PC) has an internal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camera mounted there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amera performance and the like of such an image display apparatus, various studies have been made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7). However, with the rapid spread of smart phones and touch panel typ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es, it is desired to further improve camera performance and the like. In addition, in order to cope with the diversification and high functionality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 polarizing plate having a partial polarization performance is required. In order to industrially and commercially realize these demands, it is desired to manufacture image display devices and / or parts thereof at an allowable expense, and various considerations remain in order to establish such a technology.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8131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8131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41314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7-241314 미국 특허출원 공개 제2004/0212555호 명세서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4/021255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205호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18205 한국 특허공보 제10-129321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93210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773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137738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211548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211548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화상 표시 장치 등의 전자 디바이스의 다기능화 및 고기능화를 실현 가능한 편광자의 제조 방법으로서, 원하는 비편광부의 형상을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polarizer capable of realizing multifunctional and high-functionaliz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n image display device, And to provide a way to do so.

본 발명의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그 일방면측에 그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 그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그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 필름 적층체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laminat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on the one surface side of a polarizer with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 or less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 polarizing film A step of producing a laminate, a step of bringing a basic solution into contact with an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and a step of remov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은,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includ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 basic solution.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점착제층은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n acrylic resin.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조 방법은,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nufacturing method further includes a step of bringing an acid solution into contact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노출부에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은,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n acidic solution includ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n acidic solution.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은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및, 그 노출부에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은 그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includ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 basic solution, and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n acidic solution comprises: In an acidic solution.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는 장척상이다.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s a lamellar phase.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편광자가 얻어진다. 이 편광자는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er is obtained. This polarizer is obtained by the above-mentioned production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편광판이 얻어진다. 이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plate is obtained.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the polarizer.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있어서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이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is provid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includes the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사용하는 편광 필름 적층체는,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있다. 이와 같은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used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rface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占 퐉 or less. By using such a polarizing film laminate, it is possible to form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of a desired shape with high accuracy.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편광 필름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3a 는 홀 러프니스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 (실선) 가 비편광부 근사원 (파선) 의 외측에 있는 경우의 비편광부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거리 a 를 나타낸다.
도 3b 는 홀 러프니스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 (실선) 가 비편광부 근사원 (파선) 의 내측에 있는 경우의 비편광부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거리 b 를 나타낸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film laminat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arrangement pattern of through holes in a surface protective film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rough-holes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C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rough holes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us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hole roughness. Represents the distance a betwee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non-light-portion approximating circle when the boundary (solid line) between the polarizer 1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2 is outside the non-light-portion approximating circle (broken line).
3B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measuring the hole roughness. Represents the distance b betwee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non-light-portion approximating circle when the boundary (solid line) between the polarizer 1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2 is inside the non-light portion approximation circle (broken line).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 편광자의 제조 방법A.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그 일방면측에 그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 그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그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 필름 적층체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편광자의 원하는 부분 (즉, 노출부로부터 노출된 부분) 만을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킬 수 있다. 편광자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접촉부에 함유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을 적게 할 수 있어, 다른 부분보다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낮은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olarizing film laminate hav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laminated on one side of a polarizer via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 or less and having an exposed portion, A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with a basic solution, and a step of remov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By using a polarizing film laminate having an exposed portion, only a desired portion of the polarizer (that is, a portion exposed from the exposed portion)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By bringing the polarizer and the basic solution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contact portion can be reduced,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having a lower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than other portions can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는, 편광자와 표면 보호 필름을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한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한다. 점착제층의 두께를 10 ㎛ 이하로 함으로써, 점착제의 표면 장력에 의해 노출부 내에 기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출부 전체에 염기성 용액이 충분히 접촉하여,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고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비편광부를 형성하기 전의 편광자는, 엄밀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중간체이지만,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간단히 편광자로 칭한다. 당업자이면, 본 명세서의 기재를 보면, 「편광자」가 중간체를 의미하는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를 의미하는지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Further, i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larizing film laminate obtained by laminating a polarizer and a surface protective film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 or less is used. By setting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10 m or less, adhesion of bubbles in the exposed portion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the basic solution is sufficiently in contact with the entire exposed portion, so that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having a desired shape can be formed with high accuracy. The polarizer before forming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strictly an intermediate of the polarizer having the light-extinguishing portion obtain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this specification, it is simply referred to as a polarizer.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term " polarizer " means an intermediate or a polarizer having a retardation portion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1. 편광 필름 적층체의 제작A-1. Production of polarizing film laminate

편광 필름 적층체는,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여, 제작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광 필름 적층체는, 상기 일방면측에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갖는다.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s produced by laminat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on one side of a polarizer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 or less interposed therebetween.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xposed portion where at least a part of the polarizer is exposed on the one sid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편광 필름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편광자/보호 필름의 구성을 갖는 편광판을 사용한다.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편광자 (10)/보호 필름 (20) 의 적층체의 편광자 (10) 의 표면에 표면 보호 필름 (50) 이 두께 10 ㎛ 이하인 점착제층 (60) 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다. 표면 보호 필름 (50) 은, 관통공 (71) 을 갖는다.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관통공 (71) 으로부터 편광자 (10) 가 노출된 노출부 (51) 를 갖는다. 표면 보호 필름 (50) 은, 편광판 (실질적으로는, 편광자 (10)) 에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다. 또한, 편광판의 형태 이외의 형태를 갖는 편광자 (예를 들어, 단일의 수지 필름인 편광자, 수지 기재/편광자의 적층체) 에 대해서도 동일한 순서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film laminate u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polarizing plate having a configuration of a polarizer / protective film is used.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100 is obtained by laminat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50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of the laminated product of the polarizer 10 and the protective film 20 with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60 having a thickness of 10 [ . The surface protection film (50) has a through hole (71).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100) has an exposed portion (51) from which the polarizer (10) is exposed from the through hole (71). The surface protective film 50 is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substantially the polarizer 10) in a peelable manner. Needless to say, the same procedure can be applied to a polarizer having a shape other than the shape of the polarizer (for example, a laminate of a polarizer, a resin substrate, and a polarizer as a single resin film).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관통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50) 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면에, 다른 표면 보호 필름 (도 1 에 있어서의 표면 보호 필름 (30)) 이 추가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하, 관통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 (50) 을 제 1 표면 보호 필름, 편광 필름 적층체 (100) 의 관통공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이 적층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적층된 표면 보호 필름 (30) 을 제 2 표면 보호 필름이라고도 한다.In one embodiment,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100 is formed by laminating another surface protective film (the surface protective film 30 in Fig. 1) on the surface on which the surface protective film 50 having through holes is not laminated Or may be further stacked. Hereinafter, the surface protection film 50 having through holes is referred to as a first surface protection film, the surface protection film 30 laminated on the side where the surface protection film having through holes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100 is not laminated It is also referred to as a second surface protective film.

편광 필름 적층체는, 대표적으로는 장척상이다.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는, 예를 들어,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 관통공을 갖는 장척상의 표면 보호 필름과 장척상의 편광자를 적층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키는 공정, 및, 다른 처리액과 접촉하는 공정 (예를 들어, 산성 용액에 접촉시키는 공정) 을 침지에 의해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편광자의 생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는 복수의 노출부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라도, 각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어, 고정밀도로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s typically a long film. The elongated-phase polarizing film laminat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laminating an elongated-phase surface protective film having through-hol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and the elongated polarizer. By using the elongated-phase polarizing film laminate, for example, the step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and the step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another treatment liquid (for example, a step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an acidic solution) .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of the polarizer can be further improved. In addition, the long-axis polarizing film laminate may have a plurality of exposed portions. Even in such a case, the basic solution can be sufficiently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f the exposed portions,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having a desired shape can be formed with high accuracy.

또한,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함으로써, 노출부의 패턴에 대응한 패턴으로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장척상의 편광자의 전체에 걸쳐서 비편광부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배치할 수 있다. 그 결과, 당해 장척상의 편광자로부터 소정 사이즈의 최종 제품으로서의 편광자를 재단한 경우에, 최종 제품마다의 품질의 편차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비편광부는, 관통공의 위치에 선택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형성되므로, 복잡한 장치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재단되어 화상 표시 장치에 탑재되는 최종 제품으로서의 편광자의 사이즈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의 위치에 맞춰 비편광부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소정 사이즈의 편광자를 얻을 때의 수율이 매우 우수하다.Further, by u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deflecting portion i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of the exposed portion, so that the non-light-deflecting portion can be precisely controlled and arranged over the entirety of the elongated polarizer. As a result, when the polarizer as the final product of a predetermined size is cut from the polarizer of the long-axis image, deviations in quality of each final product can be remarkably suppressed. Moreover, such a light-shielding portion is selectively and easily formed at the position of the through hole, so that complicated apparatus and operation are not requ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position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se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polarizer as the final product mount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the position of the camera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yield This is very good.

A-1-1. 편광자A-1-1. Polarizer

편광자는, 대표적으로는 이색성 물질을 포함하는 수지 필름으로 구성된다. 수지 필름은,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이하, 「PVA 계 수지」라고 칭한다) 필름이다. 상기 이색성 물질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요오드가 사용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킴으로써, 요오드 착물이 환원되어 요오드의 함유량이 저감되고, 그 결과,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절한 특성을 갖는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olarizer is typically composed of a resin film containing a dichroic substance. The resin film is, for example, a polyvinyl alcohol res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VA resin ") film. Examples of the dichroic material include iodine, organic dyes,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odine is preferably used. As described later, by contacting with the basic solution, the iodine complex is reduced to reduce the content of iodine, and as a result,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having properties suitable for use 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can be formed.

상기 수지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VA 계 수지가 사용된다. PVA 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은,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PVA 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 몰% 이상 100 몰%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95.0 몰% ∼ 99.95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99.0 몰% ∼ 99.93 몰% 이다. 비누화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해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누화도의 PVA 계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한 편광자를 얻을 수 있다. 비누화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겔화될 우려가 있다.As the resin forming the resin film, any suitable resin may be used. Preferably, a PVA-based resin is used. As the PVA resin,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 and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can be mentioned. Polyvinyl alcohol is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 The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is obtained by saponifying a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of the PVA resin is generally 85 mol% or more and less than 100 mol%, preferably 95.0 mol% to 99.95 mol%, and more preferably 99.0 mol% to 99.93 mol%. The saponification degree can be obtain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26-1994. By using such a saponification degree PVA resin, a polarizer excellent in durability can be obtained. If the degree of saponification is too high, there is a fear of gelation.

PVA 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 ∼ 10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1200 ∼ 4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 4300 이다. 또한,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1994 에 준해 구할 수 있다.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VA resin can be suitably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is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200 to 4500, and more preferably 1500 to 4300.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can be obtain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26-1994.

편광자 (수지 필름) 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이다. 한편으로,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상이다. 이와 같은 두께이면,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킴으로써, 비편광부가 양호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또,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킨 부분의 두께는 다른 부분보다 얇아지는 경우가 있다. 두께가 얇은 수지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킨 부분과 접촉시키지 않은 부분의 두께의 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보호 필름 등의 다른 구성 요소와의 첩합 (貼合) 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resin film) can be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The thickness is preferably 3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25 占 퐉 or less, further preferably 20 占 퐉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0 占 퐉 or less. On the other hand, the thickness is preferably 0.5 占 퐉 or more, and more preferably 1 占 퐉 or more. With such a thickness, by contacting with a basic solution, non-polarized light portions can be formed well. In addition, the contact time of the basic solution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contacting with the basic solution may be thinner than other portions. By using a resin film having a small thickn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the portion contacting with the basic solution and the portion not contacting with the basic solution, and to perform the bonding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a protective film well have.

수지 필름은, 팽윤 처리, 연신 처리, 상기 이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가교 처리, 세정 처리, 건조 처리 등의 각종 처리가 실시되고, 편광자로서 기능할 수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각종 처리를 실시할 때, 수지 필름은, 기재 상에 형성된 수지층이어도 된다. 기재와 수지층의 적층체는, 예를 들어, 상기 수지 필름의 형성 재료를 포함하는 도포액을 기재에 도포하는 방법, 기재에 수지 필름을 적층하는 방법 등에 의해 얻을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sin film is in a state in which it can perform various treatments such as swelling treatment, stretching treatment, dyeing treatment with the dichroic substance, crosslinking treatment, washing treatment, drying treatment, and so on, and can function as a polarizer. When various treatments are carried out, the resin film may be a resin layer formed on a substrate. The laminate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resin layer can be obtained by, for example, a method of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material for forming the resin film to a substrate, a method of laminating a resin film on a substrate, and the like.

상기 염색 처리는, 예를 들어, 염색액에 수지 필름을 침지시킴으로써 실시한다. 염색액으로는, 요오드 수용액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4 중량부 ∼ 5.0 중량부이다. 요오드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기 위해, 요오드 수용액에 요오드화물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오드화물로는, 요오드화칼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요오드화물의 배합량은,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 15 중량부이다.The dyeing treatment is carried out, for example, by immersing a resin film in a dyeing solution. As the dyeing solution, an iodine aqueous solution is preferably used. The blending amount of iodine is preferably 0.04 parts by weight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In order to increase the solubility of iodine in water, it is preferable to add iodide to an aqueous solution of iodine. As the iodide, potassium iodide is preferably used. The blending amount of iodide is preferably 0.3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상기 연신 처리에 있어서, 수지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3 배 ∼ 7 배로 1 축 연신된다. 또한, 연신 방향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흡수축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In the stretching treatment, the resin film is uniaxially stretched at a stretch ratio of typically 3 to 7 times. Further, the stretching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absorption axis direction of the obtained polarizer.

A-1-2. 표면 보호 필름A-1-2. Surface protective film

표면 보호 필름 (50) 은, 얻어지는 편광자의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고자 하는 부분 (즉,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 (51) 에 상당하는 부분) 에 대응하는 관통공 (71) 이 형성된다.The surface protective film 5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71 corresponding to a portion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of the polarizer to be obtained (that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xposed portion 51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표면 보호 필름의 관통공의 평면시 형상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원형, 타원형, 정방형, 사각형, 마름모형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 따르면, 기포의 부착에 의해 노출부로부터 노출된 편광자와 염기성 용액이 충분히 접촉할 수 없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복잡한 형상 (예를 들어, 별형) 및/또는 작은 사이즈의 노출부라도,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n the plan view may be any suitable shape depending on the purpose. Specific examples include circular, elliptical, square, rectangular, and rhombic.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larizer exposed from the exposed portion from being inadequately contacted with the basic solution by the adhesion of the bubbles, so that a more complicated shape (for example, star shape) and / Or a small-sized exposed por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non-light-emitting portion having a desired shape.

표면 보호 필름의 관통공은, 예를 들어, 기계적 타발 (打拔) (예를 들어, 펀칭, 조각날 타발, 플로터, 워터 제트) 또는 표면 보호 필름의 소정 부분의 제거 (예를 들어, 레이저 어블레이션 또는 화학적 용해) 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hole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can be removed by, for example, mechanical punching (for example, punching, engraving blade cutting, plotter, water jet) Or by chemical dissolution).

관통공의 배치 패턴 (형성 패턴) 은,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도 2a 는 표면 보호 필름의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b 는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2c 는 관통공의 배치 패턴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예를 들어, 관통공 (71) 은,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 (50) 의 장척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장척 방향 및 폭 방향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실질적으로 등간격」이란, 장척 방향의 간격이 등간격이고, 또한, 폭 방향의 간격이 등간격인 것을 의미하고, 장척 방향의 간격과 폭 방향의 간격이 동등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장척 방향의 간격을 L1 로 하고, 폭 방향의 간격을 L2 로 했을 때, L1 = L2 여도 되고, L1 ≠ L2 여도 된다. 혹은, 관통공은, 장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되고;장척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또한, 폭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모두 도시 생략).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 관통공이 상이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인접하는 관통공의 간격은 모두 상이해도 되고, 일부 (특정의 인접하는 관통공의 간격) 만이 상이해도 된다. 또, 표면 보호 필름의 장척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규정하고, 각각의 영역마다에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의 관통공의 간격을 설정해도 된다.The arrangement pattern (formation pattern) of the through holes can be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2A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rough hole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IG. 2B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rough holes, and FIG.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Fi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A, the through holes 71 may be arranged substantially equidistantly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50. In addition, " substantially equidistant in bo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 means that the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equally spaced and the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re equal intervals, and th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Are not necessarily equal. For example, when the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1 and the interval in the width direction is L2, L1 = L2 or L1? L2. Alternatively, the through holes may be arrange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different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t differen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substantially equal intervals in the width direction (All not shown). When the through holes are arranged at differen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the intervals of the adjacent through holes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only a part (interval between specific adjacent through holes) may be different.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a plurality of area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o set the intervals of the through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the width direction for each area.

또, 관통공 (71) 은,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71) 은,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이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W 를 갖도록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관통공 (71) 은,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L 을 갖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W 를 갖도록 배치된다. θL 및/또는 θW 는 바람직하게는 0°를 초과하고 ±10°이하이다. 여기서,「±」는 기준 방향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 에 대해 시계 회전 방향 및 반시계 회전 방향 중 어느 방향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2A, in the embodiment, the through-holes 71 are formed so that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djacent through-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aight lines connecting adjacent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hrough holes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2B, the through-hole 71 is formed so that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djacent through-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balls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2C,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djacent through 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predetermined angle &thetas; 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adjacent through holes is arrang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angle? W with respect to the width direction. [theta] L and / or [theta] w are preferably more than 0 [deg.] and less than +/- 10 [deg.]. Here, " 占 " means to include either th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or width direction).

도 2b 및 도 2c 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는 경우, 롤 반송하면서 원하는 패턴 (관통공의 배치 패턴에 대응한 패턴) 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척상의 편광자의 전체에 걸쳐서 배치 패턴을 정밀하게 제어하여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 표시 장치에 따라서는 표시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편광자의 흡수축을 당해 장치의 장변 또는 단변에 대해 최대로 10°정도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편광자의 흡수축은 장척 방향 또는 폭 방향으로 발현하므로, 도 2b 및 도 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턴의 비편광부를 형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비편광부와 흡수축의 위치 관계를 장척상의 편광자 전체에 있어서 통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축 정밀도가 우수한 (따라서, 광학 특성이 우수한) 최종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재단 (예를 들어, 장척 방향 및/또는 폭 방향으로의 절단, 타발) 된 매엽의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을 원하는 각도로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편광자마다의 흡수축의 방향의 편차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관통공의 배치 패턴이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어, 관통공 (71) 은, 장척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장척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θL 을 갖고, 그리고,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관통공을 잇는 직선이 폭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이도록 배치되어도 된다. 또, 표면 보호 필름 (50) 의 장척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을 규정하고, 각각의 영역마다에 θL 및/또는 θW 를 설정해도 된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B and 2C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When a long-axis polarizing film laminate is use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formed in a desired pattern (a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rough-holes) while being rolled. As a result,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formed by precisely controlling the arrangement pattern over the entirety of the long-axis polarizer. Here, in some image display devices, it is sometimes required to arrange the absorption axes of the polarizers at a maximum of about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ong side or the short side of the device in order to improve display characteristics. Since the absorption axis of the polarizer is ex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absorption axis in such a case can be obtained in the entire long polarizer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nal product which can be uniformly controlled and which has excellent axial precision (and thus has excellent opt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cisely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of the sheet polarizer that is cut (cut or punch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 or width direction) to a desired angle, and the deviation of the direction of the absorption axis Can be remarkably suppressed. Needless to say,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rough holes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 For example, the through-hole 71 has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djacent through-hol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predetermined angle? 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adjacent through- Direction, as shown in Fig. It is also possible to define a plurality of reg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50 and set? L and / or? W for each region.

표면 보호 필름은, 경도 (예를 들어, 탄성률) 가 높은 필름이 바람직하다. 관통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의 관통공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이다. 이와 같은 재료이면, 탄성률이 충분히 높아, 관통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a film having high hardness (e.g., elastic modulu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at the time of conveyance and / or concatenation, particularly when used as a polarizing film laminate of an elongated phase. 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nclude ester based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based resins, cycloolefin based resins such as norbornene based resins, olefin based resins such as polypropylene, polyamide based resins, polycarbonate based resins , And the like. An ester-based resin (particularly, a polyethylene terephthalate-based resin) is preferable. When such a material is u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due to a sufficiently high modulus of elasticity, and when the film is used as a long-axis polarizing film laminate,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is difficult to occur even 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during carrying and / There is an advantage.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임의의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 점에서,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 ㎛ ∼ 150 ㎛ 이다.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can be set to any appropriate value. For example, when used as a polarizing film laminate of a long-axis phase, the thicknes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may be, for example, from the viewpoint that it has an advantage that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is hard to occur even when tensile force is applied at the time of carrying and / 30 占 퐉 to 150 占 퐉.

표면 보호 필름의 탄성률은, 바람직하게는 2.2 kN/㎟ ∼ 4.8 kN/㎟ 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탄성률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관통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및/또는 첩합시에 장력을 가해도 관통공의 변형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탄성률은, JIS K 6781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The elastic modulus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2.2 kN / mm 2 to 4.8 kN / mm 2. When the modulus of elasticity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in this range,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can be prevented, and particularly when the film is used as a long polarizing film laminate, deformation of the through hole occurs even when tension is applied during transportation and / It i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result. The elastic modulus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81.

표면 보호 필름의 인장 신도는, 바람직하게는 90 % ∼ 170 % 이다. 표면 보호 필름의 인장 신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장척상의 편광 필름 적층체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송 중에 파단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인장 신도는, JIS K 6781 에 준거하여 측정된다.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90% to 170%. When the tensile elongation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in this range, it has an advantage that it is hard to be broken during transportation in the case where it is used as a long-axis polarizing film laminate. The tensile elongation i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K 6781.

A-1-3. 점착제층A-1-3. The pressure-

점착제층 (60) 의 두께는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다.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하여 염기성 용액에 접촉시키는 경우, 노출부의 표면 보호 필름 및 점착제층에 기포가 부착됨으로써,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충분히 접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노출부의 사이즈가 작은 경우나 노출부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는 이 영향이 현저해져,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점착제의 표면 장력에 의해 노출부 내에 기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충분히 접촉시킬 수 있어, 원하는 형상의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얻어진다.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60 is 10 占 퐉 or less, preferably 5 占 퐉 or less. When a polarizing film laminate is used to contact a basic solution, bubbles adhere to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exposed portion, so that the basic solution can not sufficiently contact the exposed portion. When the size of the exposed portion is small or the shape of the exposed portion is complicated, this influence becomes significant,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of a desired shape can not be formed. When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ubble from adhering to the exposed portion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s a result, the basic solution can sufficientl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posed portion, and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deflected portion of a desired shape can be obtained.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수지 성분 및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점착제의 베이스 수지로는, 임의의 적절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유리 전이 온도 Tg 가 0 ℃ 이하인 수지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를 들 수 있다. 10 ㎛ 이하의 두께라도 표면 보호 필름과 편광자의 적층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using any suitable composition. 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cludes, for example, a resin component and any suitable additives. As the base resi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y appropriate resin can be used, and a resin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0 DEG C or lower is preferable. Specific examples include acrylic resins, silicone resins, rubber resins and urethane resins. An acrylic resin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maintain a good lamination state of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polarizer even if the thickness is 10 m or less.

아크릴계 수지로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메타크릴레이트 (이하,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도 한다) 를 적어도 1 종 함유하는 아크릴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모노머 성분으로서, 50 중량% ∼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acrylic resin, an acrylic polymer containing at least one kind of acrylate and / or methacrylat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s preferable. The acrylic polymer preferably contains 50% by weight to 100% by weight of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as a monomer component.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로는, 예를 들어,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include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isobu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isodecyl Tetradec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These (meth) acrylate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그 중에서도,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n-테트라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탄소수 4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 4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함으로써, 점착력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져, 재박리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Among them, preferred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yl (meth) acrylate, hex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n-decyl (meth) acrylate, isodecyl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4 to 14 carbon atoms such as tetradecyl (meth) acrylate.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of 4 to 14 carbon atoms, it is easy to control the adhesive force, and the re-peeling property is excellent.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탄소수 1 ∼ 14 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다른 모노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모노머 성분으로는,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 인산기 함유 모노머,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 비닐에스테르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등의 응집력·내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모노머 성분이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에테르류 등의 접착력 향상이나 가교화 기점으로서 기능하는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성분을 들 수 있다. 다른 모노머 성분은, 1 종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 acrylic polymer may contain, in addition to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4 carbon atoms, any other suitable monomer component. Examples of the other monomer component include monomer componen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cohesion and heat resistance of sulfon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phosphoric acid group-containing monomers,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s, vinyl esters and aromatic vinyl compounds; monomer components containing carboxyl groups, monomers containing acid anhydride groups , A monomer component having a functional group which functions as an adhesive force improving or crosslinking base point such as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n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an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N-acryloylmorpholine, vinyl ethers, have. The other monomer component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술폰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술폰산, 알릴술폰산, 2-(메트)아크릴아미드-2-메틸프로판술폰산, (메트)아크릴아미드프로판술폰산, 술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인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로일포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시아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 비닐에스테르류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비닐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을 들 수 있다.(Meth) acrylamide-2-methylpropanesulfonic acid, (meth) acrylamidopropanesulfonic acid, sulfoprop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sulfonic acid, Acryloyloxynaphthalenesulfonic acid and the like. As the phosphate group-containing monomer, for example, 2-hydroxyethyl acryloyl phosphate can be mentioned. The cya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s, for example, acrylonitrile. The vinyl esters include, for example, vinyl acetate. The aromatic vinyl compound includes, for example, styrene.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등을 들 수 있다. 산무수물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실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하이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하이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하이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하이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비닐알코올, 알릴알코올, 2-하이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4-하이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아미드, 디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비닐에테르류로는, 예를 들어, 비닐에틸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eth) 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carboxypentyl (meth) acrylate, itaconic acid, maleic acid, fumaric acid and crotonic acid. Examples of the acid anhydr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maleic anhydride, itaconic anhydrid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8-hydroxyoctyl (meth) acrylate, 10-hydroxydecyl (meth) acrylate, 12- Acrylate, N-methylol (meth) acrylamide, vinyl alcohol, allyl alcohol, 2-hydroxyethyl vinyl ether, 4-hydroxybutyl vinyl ether and diethylene glycol monovinyl ether. Examples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acrylamide and diethylacrylamide. Examples of the amino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N, N-dimethylaminoethyl (meth) acrylate, N, N-dimethylaminoprop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epoxy group-containing monomer include glycidyl (meth) acrylate, allyl glycidyl ether, and the like. The vinyl ethers include, for example, vinyl ethyl ether.

다른 모노머 성분은, 예를 들어, 점착력을 조정하기 쉽다는 점에서, 얻어지는 폴리머의 Tg 가 0 ℃ 이하가 되도록 사용된다. 또한, 폴리머의 Tg 는, 예를 들어, -1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monomer components are used so that the Tg of the obtained polymer is 0 DEG C or lower in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easily adjusted, for example. The Tg of the polymer is preferably, for example, -100 DEG C or higher.

상기 아크릴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어, 10 만 이상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acrylic polymer is, for example, 100,000 or more.

상기 아크릴 폴리머는, 임의의 적절한 중합 방법에 의해 얻어진다.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등 아크릴 폴리머의 합성 수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중합 방법을 들 수 있다.The acrylic polymer is obtained by any suitable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polymerization methods generally used as synthetic methods of acrylic polymers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and suspension polymerization can be mentioned.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지 성분으로서 상기 베이스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수지로는, 폴리에테르 수지, 변성 폴리에테르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다른 수지의 함유 비율은 2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contain a resin other than the base resin as a resin component. Other resins include polyether resins, modified polyether resins, and epoxy resins. When another resin is contained, the content ratio of the other resin is preferably 20% by weight or less.

점착제층 형성용 조성물은, 수지 성분 이외에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교제, 커플링제, 점착성 부여제, 표면 윤활제, 레링제, 계면 활성제, 대전 방지제, 미끄러짐성 향상제, 젖음성 향상제, 산화 방지제, 부식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가교 촉진제, 가교 촉매, 무기 또는 유기의 충전제, 금속 분말, 안료 등의 분체, 입자상, 박상물 등을 들 수 있다.The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contain any suitable additives in addition to the resin component. For example, a crosslinking agent, a coupling agent, a tackifier, a surface lubricant, a lubricant, a surfactant, an antistatic agent, a slipperiness improver, a wettability improver, an antioxidant, a corrosion inhibitor, a light stabilizer, , Crosslinking catalysts, inorganic or organic fillers, metal powders, powders such as pigments, particulates, and foams.

가교제로는, 임의의 적절한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아지리딘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the crosslinking agent, any suitabl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isocyanate compound, an epoxy compound, an aziridine compound, and a melamine compound.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가교제의 함유량은, 수지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 15 중량부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중량부 ∼ 10 중량부이다.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preferably 0.1 to 15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2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resin component.

점착제층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로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 상에 점착제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키는 방법,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당해 점착제층을 표면 보호 필름에 전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포법으로는, 예를 들어, 리버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등의 롤 코팅법, 스핀 코팅법, 스크린 코팅법, 파운틴 코팅법, 딥핑법, 스프레이법을 들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by any suitable method. Specific examples include a method of applying a composition for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drying, a method of form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a separator, and transferr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to a surface protective film. Examples of the coating method include a roll coating method such as reverse coating and gravure coating, a spin coating method, a screen coating method, a fountain coating method, a dipping method and a spraying method.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표면 보호 필름은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구비한 점착 시트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표면 보호 필름은, 상기의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과 그 수지 필름의 일방의 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는 적층체이며, 그 수지 필름과 그 점착제층을 관통하는 관통공을 갖는다. 제 1 표면 보호 필름이 점착 시트인 경우, 장척상의 편광자와 장척상의 제 1 표면 보호 필름의 첩합을 롤투롤로 실시할 수 있고, 제조 효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당해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가 박리 가능하게 가착 (假着) 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surface protection film i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mu m or less.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in this embodiment is a laminate having a resin film used as the abov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resin film, and the resin film and the pressure- . When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is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the elongation of the longitudinal polarizer and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arried out with a roll roll, and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or can be peelably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세퍼레이터는, 실용에 제공할 때까지 점착제층을 보호하는 보호재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세퍼레이터로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 장사슬 알킬아크릴레이트계 박리제 등의 박리제에 의해 표면 코트된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필름, 부직포 또는 종이 등을 들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채용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의 두께는, 예를 들어 10 ㎛ ∼ 100 ㎛ 이다. 세퍼레이터는, 상기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에 적층해도 되고, 세퍼레이터 상에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세퍼레이터와 점착제층의 적층체를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에 적층해도 된다.The separator has a function as a protecting material for protec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until it is provided for practical use. Examples of the separator include plastic (for examp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films that have been surface-coated with a releasing agent such as a silicon based releasing agent, a fluorine based releasing agent and a long chain alkyl acrylate based releasing agent, Or paper.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may be any suitable thickness depending on the purpose. The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for example, 10 mu m to 100 mu m. The separator may be laminated on a laminate of a resin film used as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parator, a laminate of the separato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laminated on a resin film You can.

편광 필름 적층체 (10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표면 보호 필름 (50) 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측에 제 2 표면 보호 필름 (30) 이 추가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이 제 2 표면 보호 필름은,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제 1 표면 보호 필름 (50) 과 동일한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 2 표면 보호 필름으로는,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과 같은 부드러운 (예를 들어, 탄성률이 낮은)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제 2 표면 보호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편광판 (편광자/보호 필름) 을 더욱 적절히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적으로, 편광자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보다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rface protective film 30 laminated on the side where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50 is not disposed. The second surface protective film may be the same film as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50 except that a through hole is not formed. Also, as the second surface protective film, a soft film (for example, a low elastic modulus) such as a polyolefin (e.g., polyethylene) film may be used. By using the second surface protective film, it becomes possible to more appropriately protect the polarizing plate (polarizer / protective film) in the step of contacting with the basic solution, and as a result, the step of bringing the polarizer and the basic solution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s performed more satisfactorily can do.

A-2.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A-2. Contact process with basic solution

이어서,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킨다.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노출부의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되고, 그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이 저감됨으로써 비편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편광 필름 적층체에 사용되는 편광자로는, 상기와 같이, 요오드를 함유하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편광자가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함유하는 경우, 편광자의 노출부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킴으로써, 노출부의 요오드 함유량을 저감시키고, 결과적으로, 노출부에만 선택적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잡한 조작을 수반하지 않고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편광자의 소정 부분에 선택적으로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편광자에 요오드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 요오드 착물을 파괴하여 비편광부를 형성하였다고 해도,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여 재차 요오드 착물이 형성되어, 비편광부가 원하는 특성을 갖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오드 자체가 편광자 (실질적으로는, 비편광부) 로부터 제거된다. 그 결과, 편광자의 사용에 수반하는 비편광부의 특성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Subsequently, a basic solu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By contacting a basic solution,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n the exposed portion is reduced, and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s reduced, whereby the non-polarized portion can be formed. As the polarizer used in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a polarizer containing iodine is preferab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larizer contains iodine as a dichroic substance, the iodine content of the exposed portion is reduced by bring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er into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and as a result, the nonluminous portion can be selectively formed only in the exposed por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form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olarizer with a very high production efficiency without complicated operation. Further, in the case where iodine remains in the polarizer, even when the iodine complex is destroyed to form the non-polarized portion, the iodine complex is formed again with use of the polarizer, and the non-polarized portion may not have the desired characteristics. In the present invention, iodine itself is removed from the polarizer (substantially the light-blocking por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haracteristic change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ccompanying the use of the polarizer.

편광 필름 적층체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지, 적하, 도공, 스프레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표면 보호 필름 (및, 필요에 따라 제 2 표면 보호 필름) 을 사용함으로써,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 이외의 부분에서는 편광자에 함유되는 요오드 함유량이 저감되지 않기 때문에, 침지에 의해 원하는 부분에만 비편광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염기성 용액에 편광 필름 적층체를 침지시킴으로써, 편광 필름 적층체에 있어서의 노출부만이 염기성 용액과 접촉한다.The step of bringing the basic solution into contact with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can be carried out by any appropriate means. Examples thereof include immersion, dropping, coating, and spraying.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ent of iodine contained in the polarizer is not reduced in portions other than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by using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and the second surface protective film, if necessary) It is possible to form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only in a desired portion. Specifically, by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the basic solution, only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염기성 용액에 의한 비편광부의 형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와의 접촉 후, 염기성 용액은 노출부 (구체적으로는, 편광자) 내부로 침투한다. 편광자에 함유되는 요오드 착물은 염기성 용액에 포함되는 염기에 의해 환원되어, 요오드 이온이 된다. 요오드 착물이 요오드 이온으로 환원됨으로써, 노출부로부터 노출된 편광자의 편광 성능이 실질적으로 소실되고, 노출부에 비편광부가 형성된다. 또, 요오드 착물의 환원에 의해, 노출부의 투과율이 향상된다. 요오드 이온이 된 요오드는, 노출부로부터 염기성 용액의 용매 중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염기성 용액과 함께 요오드 이온도 편광자로부터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편광자의 소정 부분에 선택적으로 비편광부가 형성되고, 또한 당해 비편광부는 시간 경과적 변화가 없는 안정적인 것이 된다. 또한, 제 1 표면 보호 필름의 재료, 두께 및 기계적 특성, 염기성 용액의 농도, 그리고 편광 필름 적층체의 염기성 용액으로의 침지 시간 등을 조정함으로써, 염기성 용액이 원하지 않는 부분까지 침투하는 것 (결과적으로, 원하지 않는 부분에 비편광부가 형성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다.The formation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by the basic solu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fter contact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the basic solution penetrates into the exposed portion (specifically, the polarizer). The iodine complex contained in the polarizer is reduced by the base contained in the basic solution to become an iodide ion. The iodine complex is reduced to iodine ions, whereby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polarizer exposed from the exposed portion is substantially lost and a non-polarized portion is formed in the exposed portion. Also, the reduction of the iodine complex improves the transmittance of the exposed portion. Iodine which has become iodine ion moves from the exposed portion into the solvent of the basic solution. As a result, the iodide ion is removed from the polarizer together with the basic solution. In this way, a non-polarizing portion is selectively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non-polarizing portion is stable without any change over time. Further, by adjusting the material, thickn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irst surface protective film, the concentration of the basic solution, and the immersion time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to the basic solution, etc., the basic solution penetrates to an undesired portion , And a non-polarized portion is formed in an undesired portion) can be prevented.

상기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염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염기성 화합물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 수산화칼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탄산나트륨 등의 무기 알칼리 금속염, 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유기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수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이다. 알칼리 금속의 수산화물을 함유하는 염기성 용액을 사용함으로써, 요오드 착물을 효율적으로 이온화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게 비편광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염기성 화합물은 1 종만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As the basic compound contained in the basic solution, any suitable basic compoun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basic compound include hydroxides of alkali metals such as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and lithium hydroxide, hydroxides of alkaline earth metals such as calcium hydroxide, inorganic alkali metal salts such as sodium carbonate, organic alkali metal salts such as sodium acetate and ammonia water. The basic compound contained in the basic solution is preferably a hydroxide of an alkali metal, more preferably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or lithium hydroxide. By using a basic solution containing a hydroxide of an alkali metal, the iodine complex can be efficiently ionized,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formed more easily. These basic compound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염기성 용액의 용매로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물,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코올,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및, 이들의 혼합 용매를 들 수 있다. 요오드 이온이 양호하게 용매로 이행하고, 용이하게 요오드 이온을 제거할 수 있는 점에서, 용매는 물, 알코올이 바람직하다.As the solvent for the basic solution, any suitable solvent may be used. Specific examples include water, alcohols such as ethanol and methanol, ether, benzene, chloroform, and mixed solvents thereof. Water and alcohol are preferable as the solvent in that the iodine ion preferably migrates to the solvent and can easily remove the iodide ion.

상기 염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 염기성 용액의 농도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효율적으로 편광자 내부의 요오드 함유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노출부 이외의 부분에 있어서의 요오드 착물의 이온화를 방지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the basic solution is, for example, 0.01 N to 5 N, preferably 0.05 N to 3 N, and more preferably 0.1 N to 2.5 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basic solution is within this range, the iodine content in the polarizer can be efficiently reduced, and the ionization of the iodine complex at portions other than the exposed portion can be prevented.

상기 염기성 용액의 액온은, 예를 들어, 20 ℃ ∼ 50 ℃ 이다. 편광 필름 적층체 (실질적으로는, 편광자의 노출부) 와 염기성 용액의 접촉 시간은, 편광자의 두께, 사용하는 염기성 용액에 함유되는 염기성 화합물의 종류 및, 염기성 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5 초간 ∼ 30 분간이다.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basic solution is, for example, 20 ° C to 50 ° C. The contact time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substantially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er) and the basic solution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the kind of the basic compound contained in the basic solution to be use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basic compound, For 5 seconds to 30 minutes.

상기 염기성 용액은, 편광자의 노출부와 접촉 후 (비편광부의 형성 후), 필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의 제거 방법의 구체예로는, 걸레 등에 의한 닦아냄 제거, 흡인 제거, 자연 건조, 가열 건조, 송풍 건조, 감압 건조, 세정 등을 들 수 있다. 염기성 용액을 건조에 의해 제거하는 경우의 건조 온도는, 예를 들어, 20 ℃ ∼ 100 ℃ 이다.The basic solution may be removed by any suitable means as needed after contact with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er (after formation of the retarded portion). Specific examples of the basic solution removing method include wiping off with a mop, suction removal, natural drying, heat drying, air blow drying, vacuum drying, cleaning and the like. The drying temperature when the basic solution is removed by drying is, for example, 20 to 100 캜.

A-3. 표면 보호 필름의 제거 공정A-3. Removal process of surface protective film

필요한 공정을 실시한 후, 표면 보호 필름은 편광 필름 적층체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박리 가능하게 편광자의 표면에 첩부되어 있다. 그 때문에,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작에 필요한 공정을 실시한 후, 편광자의 표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necessary process is performed,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removed from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As described above, the surface protective film is past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so as to be peelable with the aid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polarizer from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after carrying out the steps required for producing the polarizer having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4. 그 밖의 공정A-4. Other processes

본 발명의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은, 편광 필름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와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거하는 공정 이외의 임의의 적절한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밖의 공정으로는, 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 및, 세정 공정 등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deflect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deflecting portion,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polarizing film laminate;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with a basic solu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n appropriate process. Other processes include a step of contacting with an acidic solution, and a cleaning step.

A-4-1. 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A-4-1. Contact process with acidic solution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편광 필름 적층체와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원하는 치수 및 형상의 비편광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특히, 가습 환경하에 있어서) 유지할 수 있다. 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은,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키는 공정 후에 실시될 수 있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bring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to contact with the acidic solution. By further including a step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the acidic solutio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of a desired dimension and shape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particularly, in a humidified environment). The step of bringing into contact with the acidic solution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after the step of contacting with a basic solution.

산성 용액에 함유되는 산성 화합물로는, 임의의 적절한 산성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산성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염산, 황산, 질산, 불화수소 등의 무기산, 포름산, 옥살산, 시트르산, 아세트산, 벤조산 등의 유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용액의 농도는, 예를 들어, 0.01 N ∼ 5 N 이고, 바람직하게는 0.05 N ∼ 3 N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N ∼ 2.5 N 이다.As the acidic compound contained in the acidic solution, any suitable acidic compound can be used. Examples of the acidic compound include inorganic acids such as hydrochloric acid, sulfuric acid, nitric acid and hydrogen fluoride, and organic acids such as form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acetic acid and benzoic acid. The concentration of the acidic solution is, for example, 0.01 N to 5 N, preferably 0.05 N to 3 N, and more preferably 0.1 N to 2.5 N.

산성 용액에 사용되는 용매, 산성 용액의 액온, 산성 용액과의 접촉 시간 및, 접촉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 A-2 항에 기재된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에서 채용될 수 있는 조건과 동일한 조건이 채용될 수 있다.With respect to the solvent used in the acidic solution, the liquid temperature of the acidic solution, the contact time with the acidic solution, and the contact method, the same conditions as those that can be employed in the contact process with the basic solution described in A- .

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은,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박리 공정 전에 (구체적으로는, 편광 필름 적층체의 상태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광 필름 적층체의 상태로 실시함으로써, 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을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과 연속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step of contacting with the acidic solu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before the step of peel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concretely, in the state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By carrying out the state in the state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the contact step with the acidic solution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with the contact step with the basic solution.

A-4-2. 세정 공정A-4-2. Cleaning process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은, 세정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세정 공정은, 1 회만 실시해도 되고, 복수 회 실시해도 된다. 세정 공정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공정의 임의의 적절한 단계에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염기성 용액과 접촉시킨 편광자를 임의의 적절한 액체로 세정한 후, 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을 실시해도 되고, 염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과 산성 용액과의 접촉 공정을 실시한 후, 임의의 적절한 액체에 의한 세정 공정을 실시해도 된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step. The cleaning process may be performed only once, or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The cleaning process can be carried out at any appropriate stage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polarizer having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For example, the polarizer in contact with the basic solution may be washed with any appropriate liquid and then contacted with the acid solution. Alternatively, after the contact process with the basic solution and the contact with the acid solution are carried out, A cleaning process with a suitable liquid may be performed.

세정에 사용하는 액체로는, 임의의 적절한 액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수,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 산성 수용액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하는 액체의 온도는 임의의 적절한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Any suitable liquid may be used as the liquid used for cleaning. Examples thereof include pure water, alcohols such as methanol and ethanol, acidic aqueous solutions, mixed solvents thereof,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to be used can be set to any suitable temperature.

B.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B. Polarizer with non-light-emitting portion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는, 고정밀도로 형성된 원하는 형상 및 사이즈의 비편광부를 가질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편광자는, 우수한 기능성 및 디자인성을 가질 수 있다.The polarizer obtain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a non-light-emitting portion of a desired shape and size formed with high precision. Therefore,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excellent functionality and design.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는, 예를 들어, 카메라를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작은 사이즈의 비편광부를 형성한 경우라도, 카메라가 충분히 촬영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또 얻어지는 화상 표시 장치의 볼품도 우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polarizer having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a camera. This is because the camera can sufficiently exhibit the photographing function even whe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of a smaller size is formed, and the appearance of the obtained image display device can be also excellent.

비편광부의 평면시 형상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한에 있어서,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 채용될 수 있다. 또, 비편광부의 투과율 (예를 들어, 23 ℃ 에 있어서의 파장 550 ㎚ 의 광으로 측정한 투과율) 은,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 %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이다. 이와 같은 투과율이면, 비편광부로서의 원하는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비편광부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편광자를 배치한 경우에, 카메라의 촬영 성능에 대한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Any suitable shape can be employed as long as the flat shape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camera performanc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The transmittance of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for example, the transmittance measured with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50 nm at 23 캜) is preferably 50% or more, more preferably 60% or more, further preferably 75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90% or more. With such a transmittance, desired transparency as a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secured. As a result, when the polarizer is arranged so that the non-polarized portion corresponds to the camera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dverse effects on the photographing performance of the camera can be prevented.

비편광부는, 편광자의 다른 부분 (편광 성능을 갖는 부분) 과 비교하여, 이색성 물질 함유량이 적은 부분이다. 비편광부에 함유되는 이색성 물질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이하이다. 또,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 함유량의 하한값은, 통상적으로 검출 한계값 이하이다. 비편광부의 이색성 물질 함유량이 이와 같은 범위이면, 비편광부에 원하는 투명성을 부여할뿐만 아니라,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비편광부를 사용하는 경우에, 밝기 및 색미의 양방의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촬영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색성 물질로서 요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편광부의 요오드 함유량은, 형광 X 선 분석으로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구한 값을 말한다.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a portion having a small content of a dichroic substance as compared with other portions (portions having a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polarizer.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preferably 1.0 wt% or less, more preferably 0.5 wt%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0.2 wt% or less.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usually below the detection limit value. When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i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in this range, not only the desired transparency is imparted to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but also whe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used a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amera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 very excellent photographing performance can be realized. When iodine is used as the dichroic substance, the iodine content i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refers to a value obtained from a calibration curve prepared using a standard sample in advance from the X-ray intensity measured by fluorescent X-ray analysis.

편광자의 비편광부 이외의 부분 (편광 성능을 갖는 부분) 에 함유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과, 비편광부에 함유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의 차는,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 이상이다. 비편광부 이외의 부분에 함유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과 비편광부에 함유되는 이색성 물질의 함유량의 차가 이와 같은 범위임으로써, 비편광부가 충분한 투명성을 갖고 있고, 예를 들어, 화상 표시의 카메라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비편광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portion other tha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the portion having the polarization performance) of the polarizer and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preferably 0.5% by weight or more, 1% by weight or more. Si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portion other tha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and the content of the dichroic substance contained in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is in this range, the non-polarized portion has sufficient transparency. For example,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can be preferably used as the corresponding portion.

C. 편광판C. polarizer

편광자는, 실용적으로는 편광판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편광판은, 편광자와 편광자의 적어도 일방의 측에 배치된 보호 필름을 갖는다. 실용적으로는, 편광판은, 최외층으로서 점착제층을 갖는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화상 표시 장치측의 최외층이 된다. 점착제층에는, 세퍼레이터가 박리 가능하게 가착될 수 있다.The polarizer can be practically provided as a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has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the polarizer. Practically, the polarizing plate h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s an outermost layer.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the outermost layer on the sid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 separator can be attach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so as to be detachable.

보호 필름의 형성 재료로는, 예를 들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이들의 공중합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보호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 100 ㎛ 이다. 보호 필름은, 대표적으로는, 접착층 (구체적으로는, 접착제층, 점착제층) 을 개재하여 편광자에 적층된다. 접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PVA 계 접착제나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 형성된다. 점착제층은, 대표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로 형성된다.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protective film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diacetylcellulose and triacetylcellulose, olefinic resins such as (meth) acrylic resins, cycloolefin resins and polypropylen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s and the like Ester-based resins, polyamide-based resins, polycarbonate-based resins, and copolymer resins thereof.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10 mu m to 100 mu m. Typically, the protective film is laminated on the polarizer via an adhesive layer (specifically, an adhesive lay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formed of a PVA adhesive or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ypically formed of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편광판은, 목적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 기능층을 추가로 갖고 있어도 된다. 광학 기능층의 대표예로는, 위상차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표면 처리층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보호 필름이, 광학 보상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목적에 따른 적절한 굴절률 타원체, 면내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를 갖고 있어도 된다).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have any suitable optical functional layer depending on the purpose. Typical examples of the optical function layer include a retardation film (optical compensation film) and a surface treatment layer. In addition, the protective film may have an optical compensation function (concretely, it may have an appropriate refractive index ellipsoid depending on the purpose, in-plane retardation and thickness retardation).

표면 처리층은, 편광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면 처리층의 대표예로는,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안티글레어층을 들 수 있다.The surface treatment layer can be disposed on the viewer side of the polarizing plate. Typical 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layer include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d an antiglare layer.

D. 화상 표시 장치D. Imag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자를 구비한다. 화상 표시 장치로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이 액정 셀의 편측 혹은 양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자를 포함하는 액정 패널을 구비한다. 유기 EL 디바이스는, 시인측에 상기 편광자가 배치된 유기 EL 패널을 구비한다. 편광자는, 비편광부가 탑재되는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polarizer.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organic EL device. Specifically,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es a liquid crystal cell and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the polarizer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The organic EL device has an organic EL panel on which the polarizer is disposed on the viewer side. The polarizer may be dispo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mera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n which the non-polarized light portion is mounted.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제조예 1]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1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아크릴계 수지 (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 95/5 의 조성비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60 만의 아크릴 폴리머) 100 중량부와 에폭시계 가교제 (미츠비시 가스 화학 (주) 제조, 상품명:TETRAD-C)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1 을 조제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60,000, which is composed of butyl acrylate / acrylic acid = 95/5) and 5 parts by weight of an epoxy cross-linking agent (trade name: TETRAD-C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o., To thereby prepar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1.

장척상 (폭 1200 ㎜, 길이 43 m) 의 두께 38 ㎛ 의 PET 필름 (미츠비시 화학 폴리에스테르 필름 (주) 제조, 상품명:다이아호일 T100C) 에,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 ㎛ 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를 첩합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에, 피나클날을 사용하여 직경 2 ㎜ 의 원형의 작은 구멍을 1000 개 형성하였다. 각 작은 구멍은, 세로 250 ㎜, 가로 400 ㎜ 간격으로 형성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1 을 얻었다.The obtain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was coated on a PET film (trade name: DIAFOLY T100C,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Polyester Film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38 탆 and a long axis of 1200 mm in length and 43 m in length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 separator was applied to the form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n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0 pinholes having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2 mm were formed using a pinnacle blade. Each small hole was formed at an interval of 250 mm in length and 400 mm in width to obtain a surface protective film 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제조예 2]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2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2]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2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제층의 두께를 5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2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2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5 占 퐉.

[제조예 3]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3]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제층의 두께를 30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30 占 퐉.

[제조예 4]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2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4]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2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2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2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20 占 퐉.

[제조예 5]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3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5]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3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3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3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15 占 퐉.

[제조예 6]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3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6]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3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아크릴계 수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 96/4 의 조성비로 이루어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50 만의 아크릴 폴리머) 100 중량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닛폰 폴리우레탄 (주) 공업사, 상품명:콜로네이트 HX) 4 중량부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점착제 2 를 조제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an acrylic resin (an acrylic 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00 and a composition ratio of 2-ethylhexyl acrylate / 2-hydroxyethyl acrylate = 96/4) and 100 parts by weight of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Nippon Polyurethane Co., : Coronate HX) were mixed to prepar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2.

장척상 (폭 1200 ㎜, 길이 43 m) 의 두께 38 ㎛ 의 PET 필름 (토요보사 제조, 상품명:E5000) 에, 얻어진 아크릴계 점착제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 ㎛ 가 되도록 도포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형성한 점착제층에 세퍼레이터를 첩합하여, 점착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점착 시트에, 피나클날을 사용하여 직경 2 ㎜ 의 원형의 작은 구멍을 1000 개 형성하였다. 각 작은 구멍은, 세로 250 ㎜, 가로 400 ㎜ 간격으로 형성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보호 필름 3 을 얻었다.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by applying the obtain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to a PET film (trade name: E5000,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38 탆 and a thickness of 10 탆 after drying. A separator was applied to the form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n the result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000 pinholes having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2 mm were formed using a pinnacle blade. Each small hole was formed at intervals of 250 mm in length and 400 mm in width to obtain a protective film 3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thereon.

[제조예 7]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4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7]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4 hav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제층의 두께를 5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4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4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5 占 퐉.

[제조예 8]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4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8]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4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점착제층의 두께를 30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4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4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30 占 퐉.

[제조예 9]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5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9]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5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의 두께를 20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5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5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20 占 퐉.

[제조예 10]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6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0]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6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의 두께를 15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6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6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15 占 퐉.

[제조예 11]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5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1]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5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5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5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2]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6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2]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6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6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6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2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3]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7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3]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7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7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7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3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4]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8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4]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8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4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8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8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4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5]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9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5]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9 o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5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9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9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5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6]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7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6]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7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6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7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7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6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7]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8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7]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8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7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8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8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7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8]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0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8]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10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8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0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10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8,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19]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1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19]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1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9 와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1 을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1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9,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제조예 20]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2 의 제작[Production Example 20] Production of surface protective film C12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점착 시트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을 4 ㎜ 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0 과 동일하게 하여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C12 를 얻었다.A surface protective film C12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0, except that the diameter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as 4 mm.

<실시예 1>≪ Example 1 >

기재로서, 장척상이고 흡수율 0.75 %, Tg 75 ℃ 인 비정질의 이소프탈산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IPA 공중합 PET) 필름 (두께:100 ㎛) 을 사용하였다. 기재의 편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이 코로나 처리면에 폴리비닐알코올 (중합도 4200, 비누화도 99.2 몰%) 및 아세트아세틸 변성 PVA (중합도 1200, 아세트아세틸 변성도 4.6 %, 비누화도 99.0 몰% 이상,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Z200」) 를 9:1 의 비로 함유하는 수용액을 25 ℃ 에서 도포 및 건조시키고, 두께 11 ㎛ 의 PVA 계 수지층을 형성하여, 적층체를 제작하였다.As the substrate, amorphous isophthalic acid copolymeriz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IPA copolymerized PET) film (thickness: 100 mu m) having a water absorption rate of 0.75% and a Tg of 75 DEG C was used. (Polymerization degree: 4200, degree of saponification: 99.2 mol%) and acetacetyl modified PVA (degree of polymerization: 1200, degree of acetacetyl modification: 4.6%, degree of saponification: 99.0 mol% or more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trade name " Kosei Pimer Z200 ") at a ratio of 9: 1 was applied and dried at 25 캜 to form a PVA resin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1 탆 to prepare a laminate .

얻어진 적층체를, 120 ℃ 의 오븐 내에서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 (길이 방향) 으로 2.0 배로 자유단 1 축 연신하였다 (공중 보조 연신).The resultant laminate was free-end uniaxially stretched in an oven at 120 캜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engthwise direction) between the different rolls having different circumferential speeds (free-standing elongation).

이어서, 적층체를 액온 30 ℃ 의 불용화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불용화 처리).Subsequently, the laminate was immersed (insolubilization treatment) for 30 seconds in an insolubilizing bath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mixing 4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a liquid temperature of 30 占 폚.

이어서, 액온 30 ℃ 의 염색욕에, 편광판이 소정의 투과율이 되도록 요오드 농도, 침지 시간을 조정하면서 침지시켰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를 0.2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1.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요오드 수용액에 60 초간 침지시켰다 (염색 처리).Subsequently, the polarizing plate was immersed in a dyeing bath at a liquid temperature of 30 캜 while adjusting the iodine concentration and immersion time so that the polarizing plate had a predetermined transmittance. In this embodiment, 0.2 part by weight of iodine was blended with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1.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was blended, followed by immersion for 60 seconds in an aqueous iodine solution (dyeing treatment).

이어서, 액온 30 ℃ 의 가교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칼륨을 3 중량부 배합하고, 붕산을 3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붕산 수용액) 에 30 초간 침지시켰다 (가교 처리).Subsequently, the resultant was immersed in a crosslinking bath (aqueous solution of boric acid obtained by mixing 3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and 3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30 占 폚 for 30 seconds (crosslinking treatment).

그 후, 적층체를, 액온 70 ℃ 의 붕산 수용액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붕산을 4 중량부 배합하고, 요오드화칼륨을 5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키면서, 주속의 상이한 롤 사이에서 종방향 (길이 방향) 으로 총 연신 배율이 5.5 배가 되도록 1 축 연신을 실시하였다 (수중 연신).Thereafter,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 boric acid aqueous solution having a liquid temperature of 70 캜 (an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mixing 4 parts by weight of boric acid and 5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nd the uniaxial stretching was performed so that the total draw ratio was 5.5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underwater stretching).

그 후, 적층체를 액온 30 ℃ 의 세정욕 (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요오드화 칼륨을 4 중량부 배합하여 얻어진 수용액) 에 침지시켰다 (세정 처리).Thereafter, the laminate was immersed in a cleansing bath (an aqueous solution obtained by mixing 4 parts by weight of potassium iodide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water) at 30 DEG C (cleaning treatment).

계속해서, 적층체의 PVA 계 수지층 표면에, PVA 계 수지 수용액 (닛폰 합성 화학 공업사 제조, 상품명 「고세파이머 (등록 상표) Z-200」, 수지 농도:3 중량%) 를 도포하고 보호 필름 (두께 25 ㎛) 을 첩합하고, 이것을 60 ℃ 로 유지한 오븐으로 5 분간 가열하였다. 그 후, 기재를 PVA 계 수지층으로부터 박리하여, 투과율 42.3 %, 두께 5 ㎛ 의 편광자를 갖는 편광판 (폭:1200 ㎜, 길이:43 m) 을 얻었다.Subsequently, a PVA resin aqueous solution (trade name: GOSE PYMER (registered trademark) Z-200, manufactured by Nippon Synthetic Chemical Industry Co., Ltd., resin concentration: 3 wt%) wa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VA resin layer of the laminate, (Thickness: 25 mu m) was laminated and heated in an oven maintained at 60 DEG C for 5 minutes. Thereafter, the base material was peeled off from the PVA-based resin layer to obtain a polarizer (width: 1200 mm, length: 43 m) having a polarizer with a transmittance of 42.3% and a thickness of 5 탆.

이어서, 얻어진 편광판의 편광자측 표면에,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 (1) 을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첩합하여,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상온의 염기성 용액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ℓ (1 N)) 에 8 초간, 0.1 ㏖/ℓ (0.1 N) 의 염산에 30 초간 각각 침지시켰다. 그 후, 60 ℃ 에서 건조시키고, PET 필름을 박리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Subsequently, a surface protective film (1) hav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n which a separator was peeled off was attached to the polarizer side surface of the obtained polarizing plate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to obtain a laminate. The obtained laminate was immersed in a basic solution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1 mol / l (1 N)) at room temperature for 8 seconds for 30 seconds in 0.1 mol / l (0.1 N) hydrochloric acid. Thereafter, the film was dried at 60 占 폚, and the PET film was peeled off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polarizer having a transparent part.

[실시예 2 ∼ 8] [Examples 2 to 8]

표 1 에 기재된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을 각각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polarizer having a transparent part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escribed in Table 1 was formed was used, respectively.

(비교예 1 ∼ 12)(Comparative Examples 1 to 12)

표 1 에 기재된 점착제층이 형성된 표면 보호 필름을 각각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투명부를 갖는 편광자를 구비한 편광판을 얻었다.A polarizing plate provided with a polarizer having a transparent part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surface protective film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described in Table 1 was formed was used, respectively.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형성한 편광자의 투명부에 대하여, 이하의 방법에 의해 투과율 및 요오드 함유량을 측정하였다.The transmittance and the iodine content of the transparent part of the polarizer form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1. 투과율 (Ts)1. Transmittance (Ts)

분광 광도계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주) 제조 제품명 「DOT-3」)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투과율 (T) 은, JlS Z 8701-1982 의 2 도 시야 (C 광원) 에 의해, 시감도 보정을 실시한 Y 값이다.(DOT-3, manufactured by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Co., Ltd.). The transmittance (T) is a Y value obtained by performing visibility correction by a 2-degree field of view (C light source) of JIS Z 8701-1982.

2. 요오드 함유량2. Iodine Content

형광 X 선 분석에 의해, 편광자의 투명부에 있어서의 요오드 함유량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조건에 의해 측정한 X 선 강도로부터, 미리 표준 시료를 사용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편광자의 요오드 함유량을 구하였다.The content of iodine in the transparent part of the polarizer was determined by fluorescent X-ray analysis. Specifically, the iodine content of the polarizer was determined from the X-ray intensity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calibration curve prepared in advance using a standard sample.

·분석 장치:리가쿠 전기 공업 제조 형광 X 선 분석 장치 (XRF) 제품명 「ZSX100e」· Analytical Apparatus: Fluorescent X-ray analyzer (XRF) manufactured by Rigaku Kogyo Co., Ltd. Product name "ZSX100e"

·대음극:로듐· Large cathode: Rhodium

·분광 결정:불화리튬· Spectroscopic crystals: lithium fluoride

·여기광 에너지:40 kV-90 mAExcitation energy: 40 kV-90 mA

·요오드 측정선:I-LA· Iodine measuring line: I-LA

·정량법:FP 법· Quantitative method: FP method

·2θ 각 피크:103.078 deg (요오드) · 2θ angle peak: 103.078 deg (iodine)

·측정 시간:40 초· Measurement time: 40 seconds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투명부는, 모두 투과율 90 % 이상, 요오드 함유량 1 중량% 미만이었다. 이들 투명부는 비편광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었다.All of the transparent portions of the polarizers obtain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90% or more in transmittance and less than 1% by weight in iodine content. These transparent portions were able to function as a non-light-emitting portion.

[평가 방법][Assessment Methods]

이하의 방법에 의해, 편광판에 형성된 각 투명부의 형상 정합도를 측정하였다. 편광자 상의 투명부 1000 개 중, 형상 정합도가 0.05 를 초과하는 것의 비율이 40 % 이하인 것을 ◎, 50 % 이하인 것을 ○, 60 % 를 초과하는 것을 × 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The shape matching degree of each transparent portion formed on the polarizing plate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hape matching of more than 0.05% was less than 40% among the 1000 transparent parts on the polarizer,?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conformity was 50% or les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형상 정합도][Shape matching degree]

초고속 플렉시블 화상 처리 시스템 (키엔스사 제조, 상품명:XG7700) 을 사용하여,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12 에서 얻어진 편광자의 비편광부의 에지 검출을 실시하고, 비편광부 근사원을 구하였다. 그 비편광부 근사원의 원주 (도 3a 및 도 3b 의 파선 부분) 와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 (도 3a 및 도 3b 의 실선 부분) 의 거리를 2°마다 측정하고, 합계 180 점에서 거리를 구하였다. 측정점에 있어서,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가 비편광부 근사원의 외측에 있는 경우 (즉, 도 3a 의 경우) 에는, 비편광부 (2) 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거리 a 를 측정하고, 편광자 (1) 와 비편광부 (2) 의 경계가 비편광부 근사원의 내측에 있는 경우 (즉, 도 3b 의 경우) 에는, 비편광부 (2) 와 비편광부 근사원의 거리 b 를 측정하였다. 거리 a 의 최대값과 거리 b 의 최대값의 합계값을 홀 러프니스로서 산출하였다. 산출한 홀 러프니스의 값을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직경 (실시예 1 ∼ 4 및 비교예 1 ∼ 3 및 7 ∼ 9:2 ㎜, 실시예 5 ∼ 8 및 비교예 4 ∼ 6 및 10 ∼ 12:4 ㎜) 으로 나누어, 형상 정합도의 값을 구하였다.Edge detection of the non-light-deflected portion of the polarizer obtained in Examples 1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12 was performed using an ultra-high-speed flexible image processing system (trade name: XG7700, manufactured by Keyence Corpora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ircumference (broken line portion in FIG. 3A and FIG. 3B)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polarizer 1 and the non-light-deflecting portion 2 (solid line portion in FIG. 3A and FIG. 3B) The distance was calculated from 180 points. In the case where the boundary between the polarizer 1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2 is located outside the non-light portion approximation circle (i.e., in the case of FIG. 3A), the distance a between the non- When the boundary between the polarizer 1 and the non-light-emitting portion 2 is located inside the non-light portion approximation circle (that is, in the case of Fig. 3B), the distance b between the non- Respectively. The total value of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a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distance b was calculated as the hole roughness. The values of the hole roughness thus calculated were compared with the diameters of small holes formed in the PET film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and 7 to 9: 2 mm, Examples 5 to 8 and Comparative Examples 4 to 6 and 10 To 12: 4 mm), and the value of shape matching was obtained.

Figure 112017127894913-pct00001
Figure 112017127894913-pct00001

점착제층의 두께가 10 ㎛ 이하인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사용한 실시예 1 ∼ 8 에서는,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형상에 대응하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높은 수율로 얻어진다. 이와 같은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이면, 예를 들어, 비편광부가 화상 표시 장치의 카메라부에 대응하도록 사용하는 경우, 얼라인먼트 가공성이 향상되고, 카메라의 위치 맞춤을 양호하게 실시할 수 있다. 표면 보호 필름에 형성된 작은 구멍이 2 ㎜ 로 작은 실시예 1 ∼ 4 에 있어서도, PET 필름에 형성한 작은 구멍의 형상에 가까운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가 얻어진다.In Examples 1 to 8 using a polarizing film laminate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10 m or less,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emit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ET film was obtained with high yield. With such a polarizer having a non-light-deflecting portion, for example, when the non-polarizing portion is us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mera por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ignment workability is improved and camera alignment can be satisfactorily performed. Even in Examples 1 to 4 in which the small holes formed in the surface protective film are as small as 2 mm, a polarizer having a light-blocking portion close to the shape of a small hole formed in the PET film is obtaine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는,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전화, 노트형 PC, 테블릿 PC 등의 카메라가 형성된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유기 EL 디바이스) 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polarizer obtained by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for an image display devic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ganic EL device) in which a camera such as a mobile phone such as a smart phone, a notebook PC, and a tablet PC is formed.

10 : 편광자
20 : 보호 필름
30 : 표면 보호 필름
50 : 표면 보호 필름
60 : 점착제층
51 : 노출부
71 : 관통공
100 : 편광 필름 적층체
10: Polarizer
20: Protective film
30: Surface protective film
50: Surface protective film
60: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51: Exposed portion
71: Through hole
100: polarizing film laminate

Claims (10)

편광자의 일방면측에 두께 10 ㎛ 이하의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표면 보호 필름을 적층하고, 상기 일방면측에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 노출부를 갖는 편광 필름 적층체를 제작하는 공정,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 및,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을 편광 필름 적층체로부터 제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비편광부를 갖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A step of laminating a surface protective film wi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10 占 퐉 or less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and a step of producing a polarizing film laminate having an exposed portion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polarizer is exposed,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with a basic solution,
And removing the surface protective film from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이,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compris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 basic solu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수지를 함유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ontains an acrylic res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의 노출부에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acting an exposed portion of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with an acidic solu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이,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n acidic solution compris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n acidic solu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에 염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이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염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및, 상기 노출부에 산성 용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이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를 산성 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편광자의 제조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 basic solution compris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 basic solution, and the step of contacting the exposed portion with an acidic solution comprises immersing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n an acidic solution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 필름 적층체가 장척상인, 편광자의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arizing film laminate is an elongated prism.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편광자.A polarizer obtained by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8 항에 기재된 편광자를 갖는, 편광판.A polarizer having the polarizer according to claim 8. 제 9 항에 기재된 편광판을 구비하는, 화상 표시 장치.An imag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claim 9.
KR1020177036950A 2015-06-25 2016-06-17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KR10200363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27716A JP6152138B2 (en) 2015-06-25 2015-06-25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JPJP-P-2015-127716 2015-06-25
PCT/JP2016/068133 WO2016208510A1 (en) 2015-06-25 2016-06-17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244A KR20180011244A (en) 2018-01-31
KR102003632B1 true KR102003632B1 (en) 2019-07-24

Family

ID=57584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950A KR102003632B1 (en) 2015-06-25 2016-06-17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52138B2 (en)
KR (1) KR102003632B1 (en)
CN (1) CN107710038B (en)
TW (1) TWI709479B (en)
WO (1) WO20162085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39883B (en) * 2020-02-19 2022-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Polarizer, LCD screen and OLED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64941A (en) * 1971-12-09 1973-09-07
US4181756A (en) * 1977-10-05 1980-01-01 Fergason James L Process for increasing display brightness of liquid crystal displays by bleaching polarizers using screen-printing techniques
US4396646A (en) * 1981-07-20 1983-08-02 Polaroid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patterned polarizers
US4466704A (en) * 1981-07-20 1984-08-21 Polaroid Corporation Patterned polarizer having differently dyed areas
JP4208187B2 (en) * 2002-10-28 2009-01-14 日東電工株式会社 Adhesive 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US20040212555A1 (en) 2003-04-23 2004-10-28 Falco Mark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grated display and camera and method therefore
JP4646951B2 (en) 2007-06-06 2011-03-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Display device with sensor
KR20100125537A (en) * 2009-05-21 2010-12-0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Method for preparing polarization grating screen, polarization grating screen and 3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5434457B2 (en) 2009-10-09 2014-03-05 ソニー株式会社 Optical unit and imaging device
US8467177B2 (en) * 2010-10-29 2013-06-18 Apple Inc. Displays with polarizer windows and opaque masking layers for electronic devices
KR101293210B1 (en) 2010-12-15 2013-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hole of polarizing plate for display device
KR101495759B1 (en) 2011-04-18 2015-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Polarizer having hole for cammera, LCD panel and display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JP2012247574A (en) * 2011-05-26 2012-12-13 Nitto Denko Corp Adhesion typ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4081482A (en) * 2012-10-16 2014-05-08 Nitto Denko Corp Polariz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6370029B2 (en) * 2013-03-13 2018-08-08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and image display device
JP2014211548A (en) 2013-04-19 2014-11-13 住友化学株式会社 Production method of polarizing laminate film having region showing no polarizance, and polarizing plate
TWI589939B (en) * 2014-03-26 2017-07-01 Lg化學股份有限公司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having locally depolarized area, and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JP6214594B2 (en) * 2014-04-25 2017-10-18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er,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766015B1 (en) * 2014-06-30 2017-08-08 주식회사 엘지화학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JP6604714B2 (en) * 2014-09-03 2019-11-13 日東電工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510A1 (en) 2016-12-29
CN107710038B (en) 2020-11-03
CN107710038A (en) 2018-02-16
KR20180011244A (en) 2018-01-31
JP2017009906A (en) 2017-01-12
TWI709479B (en) 2020-11-11
TW201707941A (en) 2017-03-01
JP6152138B2 (en) 201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98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long polarizer
KR101985994B1 (en) Polarizing film production method
TWI666473B (en) Long polarizing film laminate
CN106471082B (en) Long-strip-shaped adhesive film
TWI703355B (en) Polarizer
CN107710037B (en) Polarizing plate having non-polarizing portion
JP2021144224A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722037B (en) Polarizing plat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1144223A (en) Polarizing plat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093814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piece protective polarizing film with adhesive layer
KR101980035B1 (en) Polarizer production method
KR10200363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larizer
WO201918873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er
KR20170052514A (en) Polarizing plate with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JP7369237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