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024B1 - Adjustment ejector system - Google Patents

Adjustment ejecto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024B1
KR102003024B1 KR1020190030628A KR20190030628A KR102003024B1 KR 102003024 B1 KR102003024 B1 KR 102003024B1 KR 1020190030628 A KR1020190030628 A KR 1020190030628A KR 20190030628 A KR20190030628 A KR 20190030628A KR 102003024 B1 KR102003024 B1 KR 102003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jector
nozzle
air
adjustab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6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봉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조일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조일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조일기업
Priority to KR1020190030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0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4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inducing feed of the materials by suctio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52Adaptations of pipe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 B65G2812/165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able ejector transfer system capable of airtight maintenance, including: a vent hopper storing and pressurizing a material; a material fixed quantity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vent hopper and supplying the material to the vent hopper side with a fixed quantity; a material transfer body which is connected to the material fixed quantity supply unit, in whic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discharged is formed on one end portion, and which forms a transfer path of the material; and an adjustable ejector unit having an ejector nozzle in which operation fluid inducing discharge of the material is sprayed so that adsorptive force in which th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let is formed on an adsorptive chamber in the material transfer body and coupled to the material transfer body in an opposite position of the outlet in a position adjustable manner.

Description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ADJUSTMENT EJECTOR SYSTEM}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with airtightness {ADJUSTMENT EJECTOR SYSTEM}

본 발명은,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재료 이송에 따른 공정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airtightness, and more particularly, a partial replacement or replacement or positioning of ejector nozzles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equipment as in the past when a change in the transfer conditions of the working fluid is required. Can be performed simply and simp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as well as to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aterial transfer, and also to control the ejector adjustable ejector to effectively maintain the airtight to effectively prevent material leakage It's about the system.

공기 이송시스템(Pneumatic Conveyor)은 공기압을 이용해서 재료를 이송하는 일련의 장비로서, 원동기, 공급기, 이송 관로, 분리기 등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Pneumatic Conveyor (Pneumatic Conveyor) is a series of equipment to transfer the material using the air pressure, it is generally composed of a prime mover, a feeder, a conveying line, a separator.

공기 이송시스템은 이젝터(EJECTOR)의 일종이다. 원래 이젝터란 압력을 갖는 물, 증기, 공기 등을 분출구에서 고속도로 분출함으로써 주위의 유체나 재료를 다른 곳으로 보내는 일종의 펌프를 가리킨다. 이때, 공기를 사용하는 일이 많아서 공기 이송시스템을 이젝터 이송시스템이라 부르는 경우가 잦다.An air transport system is a type of ejector. Originally, an ejector is a type of pump that sends pressured water, steam, air, etc. from a spout to a highway so that the surrounding fluid or material is diverted. At this time, since air is often used, the air transfer system is often called an ejector transfer system.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기계식보다 에너지 효율이 다소 낮기는 하지만 기계식의 설치가 어려운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한 등의 장점으로 분체로 된 재료의 이송 설비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Ejector conveying system has a lower energy efficiency than mechanical, but can be installed in a difficult space for mechanical installation, it is widely applied to the transportation equipment of powder material.

이러한 이젝터 이송시스템의 구성에서 원동기는 공기를 압축하고 유동 생성을 위한 일련의 장치를 포함하며, 공급기는 재료를 공급하는 일련의 장치를 포함한다. 이송 관로는 파이프라인, 곡관, 방향전환 밸브 등을 포함하여 공기가 이송되는 경로를 이룬다. 그리고, 분리기는 최종 목적지에서 공기와 재료를 분리하는 장치를 포함한다.In the construction of such an ejector delivery system, the prime mover includes a series of devices for compressing air and generating flow, and the feeder includes a series of devices for supplying material. The conveying conduit forms a path through which air is delivered, including pipelines, bends, directional valves and the like. The separator then includes a device that separates the air and the material at the final destination.

한편, 이와 같은 구성 중에서 이젝터 이송시스템의 핵심 부분(part)이 공급기이다. 공급기는 앞서 기술한 것처럼 재료를 공급하는 일련의 장치로 이루어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re part of the ejector transport system of such a configuration is the feeder. The feeder consists of a series of devices for feeding th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다시 말해, 이젝터 이송시스템의 공급기는 재료를 저장하는 한편 가압하는 벤트 호퍼(Vent Hopper)와,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 공급부와, 작업 유체의 흡입력을 통해 재료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이젝터 유닛을 포함한다. 이젝터 유닛에 작업 유체가 분사되는 이젝터 노즐이 마련된다.In other words, the feeder of the ejector conveying system includes a vent hopper for storing and pressurizing the material, a material supply for supplying the material, and an ejector unit for discharging the material to the outlet through the suction force of the working fluid. The ejector unit is provided with an ejector nozzle through which a working fluid is injected.

이러한 구성으로 이젝터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작업 유체, 즉 공기의 속도에 의해 흡입실에 흡입력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흡입력에 의해 재료가 흡입되면서 배출 관로를 통해 배출구로 재료가 배출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uction force is formed in the suction chamber by the speed of the working fluid sprayed through the ejector nozzle, that is, the air, and the material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while the material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이와 같은 작용 시 이젝터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위치, 공기 분사량, 분사압력 등이 적절해야 효과적인 재료의 배출작용이 진행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jection action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ejector nozzle, the air injection amount, the injection pressure, and the like must be appropriate for the effective material discharge operation to proceed.

하지만, 그러하지 못할 경우, 즉 이젝터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위치, 공기 분사량, 분사압력 등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이젝터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비산되면서 배출구로 제대로 향하지 못하게 되어 재료가 효과적으로 이송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if this is not the case, that is, when the injection position, air injection amount, injection pressure, etc.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ejector nozzle are not appropriate, the air injected from the ejector nozzle is scattered and cannot be properly directed to the outlet so that the material cannot be effectively transferred. A problem arises.

그뿐만 아니라 이젝터 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비산되는 경우에는 비산되는 공기 일부가 흡입실에 역압을 가해서 공기의 흐름, 즉 배출구로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재료의 배출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같은 조건으로 공기가 흐르더라도 투입되는 재료의 양에 변동이 발생하거나 압력상태가 일정하지 못할 때도 위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ir injected from the ejector nozzle is scattered, a part of the scattered air exerts a back pressure on the suction chamber, which interferes with the flow of air, that is, the flow of air toward the outlet, thereby preventing the material from being discharged. . Of course, even if air flows under the same conditions, the above problem may occur even when the amount of material introduced is changed or the pressure is not constant.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공기의 이송조건, 다시 말해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을 시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설비의 공급부 전체를 교체하거나 분해 후 재설치야 해서 작업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When such a problem occurs, it is necessary to try to change the transfer condition of the air, that is, the transfer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which is difficult to work because it needs to replace or disassemble the entire supply of the equipment.

또한, 기존의 이송시스템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흡입실이 형성되는 압력으로 재료 공급부의 구동부에 빠른 마모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재료의 누설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전반적으로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이젝터 이송시스템에 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ransport system,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the pressure of the suction chamber is formed, which causes rapid abrasion of the driving part of the material supply par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n ejector transfer system of a new concept that is not known.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6-0002490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1996-0002490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6-0023097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1996-0023097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3124호Korea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0-0093124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20530호Korean Patent Office Application No. 10-2011-0020530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재료 이송에 따른 공정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rk because it is possible to respond by simply and simply performing partial replacement or replacement or positioning of ejector nozzles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equipment as in the past when the transfer conditions of the working fluid need to be chang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aterial transfer, and also to provide an adjustable ejector transfer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airtight to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the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장비의 현장 설치 이후에도 이젝터 노즐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설치 후 초기가동 시 설비의 이송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or nozzle replacement or position adjustment can be performed even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to ensure the airtight adjustable ejector transfer system that can optimize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equipment during initial operation after installation To provide.

상기 목적은, 재료를 저장하고 가압하는 벤트 호퍼(Vent Hopper); 상기 벤트 호퍼와 연결되며, 상기 벤트 호퍼 측의 재료를 정량씩 공급하는 재료 정량 공급부; 상기 재료 정량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재료의 이송로를 형성하는 재료 이송 바디; 및 상기 재료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흡입력이 상기 재료 이송 바디 내의 흡입실에 형성되도록 상기 재료의 배출을 유도하는 작업 유체가 분사되는 이젝터 노즐(Ejector Nozzle)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재료 이송 바디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형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 vent hopper (Vent Hopper) for storing and pressing the material; A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unit connected to the vent hopper and supplying a quantity of material on the vent hopper side by volume; A material transfer body connected to the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part and having a discharge port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discharged, and forming a transfer path of the material; And an ejector nozzle into which a working fluid for inducing the discharge of the material is injected such that a suction forc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suction chamber in the material transfer body, and at the position opposite to the discharge port. It is achieved by an airtight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justable ejector unit which is adjustablely coupled to the material conveying body.

상기 재료 이송 바디는, 상기 흡입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 바디부; 및 상기 제1 바디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형 이젝터 유닛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사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material transfer body may include: a first body part having the suction chamber formed therein and the outlet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body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wherein the adjustable ejector unit may be positionably connect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상기 조정형 이젝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 내에 걸쳐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배치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단부에서 상기 이젝터 노즐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노즐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이젝터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 사이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유닛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와 상기 이젝터 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조정형 이젝터 유닛의 조정을 위하여 상기 이젝터 플랜지의 이동을 허용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에 위치별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바아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와 상기 이젝터 플랜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서 기밀 유지를 위해 배치되는 기밀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 노즐이 상기 유닛 바디의 노즐 지지부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이젝터 노즐이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The adjustable ejector unit may include a main body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and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width of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front end, and the ejector nozzle is detachably screwed at the end portion. A unit body having a nozzle support portion and an ejector flange provid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ly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unit body being capable of position adjust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A plurality of guide bar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ejector flanges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allowing movement of the ejector flanges for adjustment of the adjustable ejector unit;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guide bars by positions and removably fastening the guide bars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ejector flange; And an airtight holding part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the main body part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and locking the ejector nozzles so that the ejector nozzles are not separated after the ejector nozzle is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of the unit body. The member can be joined.

상기 재료 이송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이젝터 노즐을 청소하는 노즐 청소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노즐 청소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제2 바디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바디부 내의 흡입실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에어 호스(Air Hose); 상기 에어 호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볼 밸브(Ball Valve); 및 상기 에어 호스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실 내의 이젝터 노즐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용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재료 정량 공급부는 밀폐식 로터리 밸브(Airtight Rotary Valve)를 포함할 수 있다.And a nozzle cleaning unit connected to the material transfer body to clean the ejector nozzle, wherein the nozzle cleaning unit has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portion and the other end communicated with a suction chamber in the first body portion. Air hoses coupled; A ball valve coupled to one side of the air hose; And an air injection nozzl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hose and injecting air toward the ejector nozzle in the suction chamber, wherein the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part may include a sealed rotary valve.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재료 이송에 따른 공정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simply perform partial replacement or ejector nozzle replacement or position adjustment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whole equipme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transfer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is required, thus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It can of course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aterial transfer, and also has the effect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leakage of the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장비의 현장 설치 이후에도 이젝터 노즐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설치 후 초기가동 시 설비의 이송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or nozzle can be replaced or adjusted after the field install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thereby optimizing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equipment during initial operation after install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의 시공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재료 이송 바디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조정형 이젝터 유닛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이젝터 노즐의 조립 혹은 교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the construction of the adjustable ejector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1.
3 is a front view of FIG. 1.
4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FIG. 1.
5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terial transfer body region of FIG. 4.
6 is a partial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7 and 8 ar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djusting the adjustable ejector unit.
9 to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ssembly or replacement process of the ejector nozzle.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Thus, in some embodiments, well known components, well known operations and well known technique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the terminology (discussed)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In addition, components and acts (acts) referred to as 'includes (or include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nd ac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define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의 시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재료 이송 바디 영역의 확대도, 도 6은 도 5의 부분 분해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조정형 이젝터 유닛을 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은 이젝터 노즐의 조립 혹은 교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side view of a construction of an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material conveying body region, FIG. 6 is a partially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FIGS. 7 and 8 show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adjustable ejector unit, and FIGS. 9 to 11 show the assembly of the ejector nozzle or It is a figure for demonstrating a replacement process.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처럼 현장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공기 이송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운전조건을 쉽게 조정하여 안정된 이송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adjusted to maintain a stable conveying state by easily adjusting the main operating conditions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air conveying in the state that is installed on the site as shown in Figs. It is.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153)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재료 이송에 따른 공정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asily and simply perform partial replacement or replacement or positioning of the ejector nozzle 153 without the need to replace the entire facility as in the past when the transfer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is required to be changed. Because it can be performed by the operation, the convenience of the work can be improved, as well as the process efficiency of the material transfer can be improved, and also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material effectively.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처럼 골조 프레임(111)에 탑재되어 시공될 수 있다. 골조 프레임(111)은 공장 내의 한 설비일 수 있다. 골조 프레임(111)이 적용될 때는 복수의 클램프(102)를 재료 이송 바디(130)에 고정하는 형태로 시공할 수 있다.The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can provide such an effect, may be mounted on the frame frame 111 as shown in FIGS. 1 to 3. Frame frame 111 may be a facility in a factory. When the frame frame 111 is applied, the plurality of clamps 102 may be constructed in a form of fixing to the material transfer body 130.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벤트 호퍼(110, Vent Hopper), 재료 정량 공급부(120), 재료 이송 바디(130),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 및 노즐 청소 유닛(1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vent hopper 110, a material metering supply unit 120, a material conveying body 130, an adjustable ejector unit 140, and a nozzle cleaning unit 170. have.

벤트 호퍼(110)는 재료를 저장하고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벤트 호퍼(110)의 외측에 에어 인렛부(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벤트 호퍼(110) 내에 인렛 파이프(112)가 연결된다. 인렛 파이프(112)를 통해 재료가 공급될 수 있다. 벤트 호퍼(110)의 외측에는 리페어 플랜지(113)가 마련된다.The vent hopper 110 serves to store and pressurize the material. The air inlet 111 is formed outside the vent hopper 110. And the inlet pipe 112 is connected in the vent hopper 110. Material may be supplied through inlet pipe 112. The repair flange 113 is provided outside the vent hopper 110.

벤트 호퍼(110)는 재료 정량 공급부(120)와의 상호작용으로 안정적인 재료의 공급이 가능케 한다.The vent hopper 110 enables stable supply of materials by interacting with the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unit 120.

재료 정량 공급부(120)는 벤트 호퍼(110)와 연결되며, 벤트 호퍼(110) 측의 재료를 정량씩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vent hopper 110, and serves to supply the material of the vent hopper 110 side by side in a quantitative manner.

이러한 재료 정량 공급부(120)는 밀폐식 로터리 밸브(121, Airtight Rotary Valve)가 적용된다. 밀폐식 로터리 밸브(121)는 흡입 부압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재료를 정량으로 공급한다.The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unit 120 is a sealed rotary valve (121, Airtight Rotary Valve) is applied. The sealed rotary valve 121 supplies the material quantitatively while minimizing the influence of the suction negative pressure.

이러한 밀폐식 로터리 밸브(121)의 적용으로 인해 재료의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application of the sealed rotary valve 121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the material.

재료 이송 바디(130)는 재료 정량 공급부(120)와 연결되는 일종의 덕트식 파이프로서 재료의 이송로를 형성한다. 재료 이송 바디(130)의 일단부에는 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133)가 형성된다. 배출구(133)는 플랜지 타입으로서, 이곳에 다른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The material conveying body 130 is a kind of duct pipe connected to the material quantity supply part 120 to form a material conveying path. One end of the material transfer body 13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33 is discharged. The outlet 133 is a flange type, other pipe may be connected thereto.

재료 이송 바디(130)는 흡입실(137)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1 바디부(131)와, 제1 바디부(13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132)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131)의 일단부에 배출구(133)가 형성된다.The material transfer body 130 includes a first body part 131 in which the suction chamber 137 is formed, and a second body part 13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part 131. An outlet 133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body 131.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공기를 매개로 한 이송장비로서, 운전조건의 미세한 변화에도 이송량 및 속도의 변화가 민감하게 발생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ir-borne conveying equipment, and the change in the feed amount and the speed may occur sensitively even with a slight change in the operating conditions.

여기서, 운전조건이란 도시 않은 블로워(Blower)의 압력 및 풍량, 재료의 투입량과 속도, 투입부의 압력상태, 이젝터 노즐(153, Ejector Nozzle)의 위치, 토출량, 속도 및 압력 등을 의미한다. 블로워(Blower)는 제2 바디부(132) 단부 측에 연결되는 장비로서, 제2 바디부(132) 쪽으로 에어를 분사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ng conditions mean the pressure and air flow rate of the blower (Blower), the input amount and speed of the material, the pressure state of the input portion, the position of the ejector nozzle 153, the discharge amount, the speed and pressure, and the like. The blower is a device connected to the end side of the second body part 132, and may blow air toward the second body part 132.

이러한 시스템에서 투입, 이송량의 조절이 필요한 때에 풍량을 조절하는 한편 이젝터 노즐(153)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이송상태를 안정시킬 필요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을 위해 설비의 공급부 전체를 교체하거나 분해 후 재설치야 해서 작업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었다.In such a system,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conveying state by adjusting the air flow rate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ejector nozzle 153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feeding amount and the conveying amount. It had to be reinstalled, which made it difficult.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153)의 위치조정이나 혹은 교체를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it is possible to respond by simply and simply performing the partial replacement or the position adjustment or replacement of the ejector nozzle 153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equipment as befor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improved.

특히, 석션 챔버(Suction Chamber)로서 내부에 흡입실(137)이 마련되는 재료 이송 바디(130)가 주변 설비에 고정되어 조정이나 이동이 불가한 상태라도 이젝터 노즐(153)의 위치 조정이 가능해서 재료 이송에 따른 공정효율이 향상되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material conveying body 130 having the suction chamber 137 provided therein as a suction chamber is fixed to the peripheral equipmen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ejector nozzle 153 can be adjusted even when adjustment or movement is impossible. Process efficiency due to material transfer can be improved.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에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이 적용된다.In order to provide such an effect, the adjustable ejector unit 140 is applied to the adjustable ejector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은 재료가 배출구(133)로 배출되는 흡입력이 재료 이송 바디(130) 내의 흡입실(137)에 형성되도록 재료의 배출을 유도하는 작업 유체가 분사되는 이젝터 노즐(153, Ejector Nozzl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업 유체는 공기로 적용되나 다른 유체로 대체되어도 무방하다.The adjustable ejector unit 140 has an ejector nozzle 153 through which a working fluid for inducing the discharge of the material is injected such that the suction force through which th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133 is formed in the suction chamber 137 in the material transfer body 130. Nozzle). In this embodiment, the working fluid is applied with air but may be replaced with another fluid.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은 기존의 위치 고정식과 달리 제1 바디부(131)와 제2 바디부(132) 사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은 배출구(133)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재료 이송 바디(130)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adjustable ejector unit 14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adjustable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131 and the second body portion 132, unlike the conventional fixed position. That is, the adjustable ejector unit 140 is movably coupled to the material transfer body 130 at a position opposite the outlet 133.

이러한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은 유닛 바디(150), 복수의 가이드 바아(160), 그리고 복수의 체결부재(162)를 포함한다.The adjustable ejector unit 140 includes a unit body 150, a plurality of guide bars 160,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62.

유닛 바디(150)는 제1 및 제2 바디부(131,132) 내에 걸쳐 배치되는 본체부(151)와, 본체부(151)의 단부에 배치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단부에서 이젝터 노즐(153)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노즐 지지부(152)와, 본체부(151)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이젝터 플랜지(154)를 포함한다.The unit body 150 is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151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131 and 132, and is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151 so that the width thereof becomes narrower toward the tip and the ejector nozzle at the end portion thereof. 153 includes a nozzle support 152 detachably screwed, and an ejector flange 154 provid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of the main body 151.

본체부(151)에 대한 기밀 유지를 위하여 제1 및 제2 바디부(131,132)와 본체부(151) 사이에는 기밀 유지부(164)가 마련된다. 기밀 유지부(164)는 교체식이며, 오래 사용하면 새것으로 교체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confidentiality of the main body 151, the airtight holding part 164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31 and 132 and the main body part 151. The airtight holding part 164 is replaceable and can be replaced with a new one if used for a long time.

복수의 가이드 바아(160)는 제1 및 제2 바디부(131,132)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134,135)와 이젝터 플랜지(154)에 일체로 연결되며, 조정형 이젝터 유닛(140)의 조정을 위하여 이젝터 플랜지(154)의 이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The plurality of guide bars 160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34 and 135 and the ejector flange 154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31 and 132, respectively, of the adjustable ejector unit 140. It serves to allow movement of the ejector flange 154 for adjustment.

그리고, 복수의 체결부재(162)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160)에 위치별로 결합되며, 가이드 바아(160)를 제1 및 제2 플랜지(134,135)와 이젝터 플랜지(154)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체결부재(162)는 일종의 너트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162 are coupled to the plurality of guide bars 160 by positions, and detachably fasten the guide bars 160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134 and 135 and the ejector flange 154. Play a role. The fastening member 162 may be a kind of nut.

이에, 체결부재(162)의 일부를 풀어 유닛 바디(150)가 이동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도 7에서 도 8처럼 제1 및 제2 바디부(131,132) 사이에서 유닛 바디(15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이후에 체결부재(162)를 다시 조이면 이젝터 노즐(153)의 위치를 용이하게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공기 이송의 성능을 결정하는 주요 운전조건을 쉽게 조정하여 안정된 이송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us, in a state where the unit body 150 is movable by releasing a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162, the unit body 150 is moved to a desired posi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31 and 132 as shown in FIGS. If the fastening member 162 is tightened again after moving, the position of the ejector nozzle 153 may be easily chang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main operating conditions that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air transport in the state of completion of installation on the site to maintain a stable transport state.

이처럼 이젝터 노즐(153)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이젝터 노즐(153)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분사위치와 분사압력 등이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ejector nozzle 153 in this way, the injection position and the injection pressure of the air injected from the ejector nozzle 153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특히, 이젝터 노즐(153)은 유닛 바디(150)의 노즐 지지부(152)에서 손쉽게 착탈 결합될 수 있는데, 이처럼 이젝터 노즐(153)의 손쉬운 교체 작업으로 인해 이젝터 노즐(153)을 통한 공기 분사량 역시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ejector nozzle 153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nozzle support 152 of the unit body 150. As a result of the easy replacement of the ejector nozzle 153, the amount of air injection through the ejector nozzle 153 is also appropriate. Can be adjusted.

예컨대, 토출 구경이 표준인 이젝터 노즐(미도시)이나 혹은 표준보다 크거나 작은 이젝터 노즐(미도시)로 교체함으로써 노즐의 유출 속도 조절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노즐의 크기를 바꾸게 되면 전체 길이가 변동되며 이 경우 노즐의 위치 조정이 필요한데, 이때도 체결부재(162)의 일부를 풀어 유닛 바디(150)가 이동 가능하게 한 상태에서 도 7에서 도 8처럼 제1 및 제2 바디부(131,132) 사이에서 유닛 바디(15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이후에 체결부재(162)를 다시 조이면 이젝터 노즐(153)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by adjusting the ejector nozzle (not shown) having a standard discharge aperture or the ejector nozzle (not shown) larger or smaller than the standard, the outflow speed of the nozzle may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if the size of the nozzle is changed, the overall length is changed, in this case, the position of the nozzle needs to be adjusted. In this case, the unit body 150 is movable by releasing a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162. As described above, if the fastening member 162 is retightened after the unit body 150 is mov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31 and 132 to a desired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ejector nozzle 153 can be easily changed.

이젝터 노즐(153)을 교체한 후에는 이젝터 노즐(153)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끔 로킹부재(155)를 결합시키며 된다. 로킹부재(155)는 이젝터 노즐(153)이 유닛 바디(150)의 노즐 지지부(152)에 결합된 이후에 이젝터 노즐(153)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After replacing the ejector nozzle 153, the locking member 155 is coupled to prevent the ejector nozzle 153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The locking member 155 is used as a means for preventing the ejector nozzle 153 from being separated after the ejector nozzle 153 is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152 of the unit body 150.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은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이 필요한 상황, 예컨대 이젝터 노즐(153)의 노출부 위치나 구경을 조정하기 위한 상황에서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153)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the adjustable ejector convey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need to replace the entire equipment as befor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ransfer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needs to be changed, for example, to adjust the position or aperture of the exposed part of the ejector nozzle 153. Partial replacement or replacement of the ejector nozzle 153 can be performed by simply and simply performing the operation so that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can be improv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에는 노즐 청소 유닛(170)이 더 적용된다. 노즐 청소 유닛(170)은 재료 이송 바디(130)에 연결되어 이젝터 노즐(153)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노즐 청소 유닛(170)은 이젝터 노즐(153)의 상단부에 적재 가능한 이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nozzle cleaning unit 170 is further applied to the adjustable ejector transpo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zzle cleaning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material transfer body 130 to clean the ejector nozzle 153. In particular, the nozzle cleaning unit 170 serves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that can be loaded on the upper end of the ejector nozzle 153.

이러한 노즐 청소 유닛(170)은 일단부가 제2 바디부(132)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제1 바디부(131) 내의 흡입실(137)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에어 호스(171, Air Hose)와, 에어 호스(171)의 일측에 결합되는 볼 밸브(172, Ball Valve)와, 에어 호스(171)의 타측에 결합되며, 흡입실(137) 내의 이젝터 노즐(153)을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용 노즐(173)을 포함한다. 재료의 이송 중 수시로 볼 밸브(172)를 열어 이젝터 노즐(153) 혹은 그 주변을 청소함으로써 재료의 이송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The nozzle cleaning unit 170 may include an air hose 171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second body 132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137 in the first body 131. , The ball valve 172 coupled to one side of the air hose 171, and the air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hose 171, injecting air toward the ejector nozzle 153 in the suction chamber 137. And a spray nozzle 173. By frequently opening the ball valve 172 and cleaning the ejector nozzle 153 or its surroundings during the transfer of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material from dropping.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 유체의 이송조건 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 종전처럼 설비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부분 교체 또는 이젝터 노즐(153)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간편하고 간단하게 수행해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재료 이송에 따른 공정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재료의 누설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acts on the basis of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transfer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needs to be changed, partial replacement or replacement or adjustment of the ejector nozzle 153 is not necessary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equipment as before. It can be performed simply and simply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work can be improved as well as to improve the process efficiency according to the material transfer, it is also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leakage of the material.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체 장비의 현장 설치 이후에도 이젝터 노즐의 교체나 위치조정을 수행할 수 있어서 현장 설치 후 초기가동 시 설비의 이송효율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jector nozzle may be replaced or adjusted after the field installation of the entire equipment, thereby optimizing the transport efficiency of the equipment during initial operation after the site installation.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 골조 프레임 110 : 벤트 호퍼
120 : 재료 정량 공급부 121 : 밀폐식 로터리 밸브
130 : 재료 이송 바디 131 : 제1 바디부
132 : 제2 바디부 133 : 배출구
134 : 제1 플랜지 135 : 제2 플랜지
137 : 흡입실 140 : 조정형 이젝터 유닛
150 : 유닛 바디 151 : 본체부
152 : 노즐 지지부 153 : 이젝터 노즐
154 : 이젝터 플랜지 155 : 로킹부재
160 : 가이드 바아 162 : 체결부재
164 : 기밀 유지부 170 : 노즐 청소 유닛
171 : 에어 호스 172 : 볼 밸브
173 : 에어 분사용 노즐
101: flame frame 110: vent hopper
120: material supply portion 121: sealed rotary valve
130: material transfer body 131: first body portion
132: second body portion 133: outlet
134: first flange 135: second flange
137: suction chamber 140: adjustable ejector unit
150: unit body 151: main body
152: nozzle support 153: ejector nozzle
154: ejector flange 155: locking member
160: guide bar 162: fastening member
164: airtight holder 170: nozzle cleaning unit
171: air hose 172: ball valve
173: nozzle for air injection

Claims (4)

재료를 저장하고 가압하는 벤트 호퍼(Vent Hopper)와, 상기 벤트 호퍼와 연결되며, 상기 벤트 호퍼 측의 재료를 정량씩 공급하는 재료 정량 공급부와, 상기 재료 정량 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일단부에 형성되되 상기 재료의 이송로를 형성하는 재료 이송 바디와, 상기 재료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흡입력이 상기 재료 이송 바디 내의 흡입실에 형성되도록 상기 재료의 배출을 유도하는 작업 유체가 분사되는 이젝터 노즐(Ejector Nozzle)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구의 반대편 위치에서 상기 재료 이송 바디에 위치 조정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형 이젝터 유닛을 포함하는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재료 이송 바디는 상기 흡입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제1 바디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형 이젝터 유닛은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 사이에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조정형 이젝터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 내에 걸쳐 배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단부에 배치되되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단부에서 상기 이젝터 노즐이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노즐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이젝터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 사이에서 위치 조정이 가능한 유닛 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 및 제2 플랜지와 상기 이젝터 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조정형 이젝터 유닛의 조정을 위하여 상기 이젝터 플랜지의 이동을 허용하는 복수의 가이드 바아와, 상기 복수의 가이드 바아에 위치별로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바아를 상기 제1 및 제2 플랜지와 상기 이젝터 플랜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하는 복수의 체결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에서 기밀 유지를 위해 배치되는 기밀 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 노즐이 상기 유닛 바디의 노즐 지지부에 결합된 이후에 상기 이젝터 노즐이 분리되지 않도록 로킹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재료 이송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이젝터 노즐을 청소하는 노즐 청소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노즐 청소 유닛은 일단부가 상기 제2 바디부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 바디부 내의 흡입실에 연통되게 결합되는 에어 호스(Air Hose)와, 상기 에어 호스의 일측에 결합되는 볼 밸브(Ball Valve)와, 상기 에어 호스의 타측에 결합되며, 상기 흡입실 내의 이젝터 노즐를 향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용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재료 정량 공급부는 밀폐식 로터리 밸브(Airtight Rotary Valve)를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 노즐은 끝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재료 이송 바디의 상기 제1 바디부에 설치되는 상기 에어 분사용 노즐은 상기 제1 바디부에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에어 분사용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이젝터 노즐을 향해 사선방향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에어 분사용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상기 이젝터 노즐을 통해 배출되는 재료와 함께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유지가 가능한 조정형 이젝터 이송시스템.
A vent hopper for storing and pressurizing the material, a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vent hopper and supplying a quantity of material on the vent hopper side, and a material quantitative supply part, and the material is discharged A material conveying body having an outlet formed at one end thereof to form a conveying path of the material, and a working fluid for inducing the discharge of the material such that a suction force from which th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outlet is formed in the suction chamber in the material conveying body; In the airtight adjustable ejector transport system having an ejector nozzle ejected, the adjustable ejector transport system including an adjustable ejector unit that is adjustablely coupled to the material transport body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outlet,
The material conveying body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having the suction chamber formed therein and having an outlet at one end thereof, and a second body portion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body portion, wherein the adjustable ejector unit includes: A position adju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The adjustable ejector unit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and a nozzle disposed at an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width of which is narrowed toward the tip, and the ejector nozzle is detachably screwed at the end portion. A support body, and an ejector flange provid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ly of the main body, the unit body being capable of position adjust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and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guide bar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ejector flange, the guide bars allowing the movement of the ejector flange for adjustment of the adjustable ejector unit, and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guide bars;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for detachably fastening a guide bar to said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said ejector flange, Includes a first group and a second confidentiality is arranged to ensure confidentiality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main body portion,
The locking member is coupled so that the ejector nozzle is not separated after the ejector nozzle is coupled to the nozzle support of the unit body.
And a nozzle cleaning unit connected to the material transfer body to clean the ejector nozzle, wherein the nozzle cleaning unit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econd body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nozzle cleaning unit to communicate with the suction chamber in the first body part. An air hose, a ball valve coupled to one side of the air hose, and an air injection nozzle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air hose and injecting air toward the ejector nozzle in the suction chamber. The material metering supply includes a sealed rotary valve (Airtight Rotary Valve),
The ejector nozzle is formed such that the inner diameter becomes smaller toward the end,
The air jetting nozzle installed in the first body part of the material transfer body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an oblique direction in the first body part, so that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jetting nozzle is directed toward the ejector nozzle. By supplying in an oblique direction,
And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ir injection nozzle is discharged by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ort together with the material discharged through the ejector nozz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0628A 2019-03-18 2019-03-18 Adjustment ejector system KR102003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28A KR102003024B1 (en) 2019-03-18 2019-03-18 Adjustment ejector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628A KR102003024B1 (en) 2019-03-18 2019-03-18 Adjustment ejector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024B1 true KR102003024B1 (en) 2019-10-17

Family

ID=6842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628A KR102003024B1 (en) 2019-03-18 2019-03-18 Adjustment ejector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0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49B1 (en)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Ejector for transferring cathod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denseveyor included the sam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90A (en) 1994-06-09 1996-01-26 김주용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KR960023097A (en) 1994-12-31 1996-07-18 김만제 Blast Furnace Blowing Method of Powdered Iron
JP2002130200A (en) * 2000-10-27 2002-05-09 Nippon Steel Corp Steam ejector for evacu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50010578A (en) * 2003-07-21 2005-01-28 주식회사 포스코 Air eject apparatus for ejecting coal collected with improved efficiency
KR20100093124A (en) 2007-12-17 2010-08-24 테크놀러스 퍼펙트 비젼 게엠베하 Method for intrastromal refractive surgery
KR20110020530A (en)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shortened function on a mobile phone
KR20130000574A (en) * 2011-06-23 2013-01-03 유양기술 주식회사 Ejecto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2490A (en) 1994-06-09 1996-01-26 김주용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KR960023097A (en) 1994-12-31 1996-07-18 김만제 Blast Furnace Blowing Method of Powdered Iron
JP2002130200A (en) * 2000-10-27 2002-05-09 Nippon Steel Corp Steam ejector for evacu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050010578A (en) * 2003-07-21 2005-01-28 주식회사 포스코 Air eject apparatus for ejecting coal collected with improved efficiency
KR20100093124A (en) 2007-12-17 2010-08-24 테크놀러스 퍼펙트 비젼 게엠베하 Method for intrastromal refractive surgery
KR20110020530A (en) 2009-08-24 2011-03-03 주식회사 팬택 Apparatus and method for executing shortened function on a mobile phone
KR20130000574A (en) * 2011-06-23 2013-01-03 유양기술 주식회사 Ej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49B1 (en)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Ejector for transferring cathode material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denseveyor included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94449B1 (en) Blast media fragmenter
US9027506B2 (en) Dense phase powder coating system for containers
US11548115B2 (en) Dry wet blast media blasting system
JP2013227157A (en) Pneumatic solids transfer pump
JP2008201588A (en) Fluid or powder transport device
KR102003024B1 (en) Adjustment ejector system
US8951022B2 (en) Feeding device for powder spray coating device
US20180147696A1 (en) Sand blaster with reduced vibration and wear
KR20190052373A (en) Washing device for bottles
US20170304850A1 (en) Pneumatic atomizing nozzle
CZ2018124A3 (en) Multi-jet abrasive head
CN106052472A (en) Spr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praying device
GB2579969A (en) Pump system and method for pumping goods or object in a liquid
KR101822623B1 (en) Spraying apparatus with air compressor
RU2015132752A (e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Y OF MASS PARTS WITH DOSING AND FORMING OF FORMS FROM MASSES ABLE TO BE TRANSPORTED BY PUMP
CN107791159B (en) Sand distributor and sand blasting machine
US2500271A (en) Pneumatic conveyer
CN103726385A (en) Dryer fabric cleaning device
US20230013354A1 (en) Dry wet blast media blasting system
EP2274110B1 (en) Decontamination method and system for air intake plants, and cleaning head for said system
US20230264209A1 (en) Injection nozzle and injection device including injection nozzle
JP2018171700A (en) Wet blasting machine
KR101529595B1 (en) Inner injection type ozone water mixer for pipeline
CN211471432U (en) Enzyme reactor atomizing feed arrangement
US20050003741A1 (en) Injecting an air stream with sublimable partic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