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532B1 -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532B1
KR102002532B1 KR1020180019854A KR20180019854A KR102002532B1 KR 102002532 B1 KR102002532 B1 KR 102002532B1 KR 1020180019854 A KR1020180019854 A KR 1020180019854A KR 20180019854 A KR20180019854 A KR 20180019854A KR 102002532 B1 KR102002532 B1 KR 10200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water
composition
weight
antifou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범양글러브
Priority to KR1020180019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5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14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 A63B71/14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or the hands, e.g. baseball, boxing or golfing gloves in the form of gloves
    • A63B71/146Golf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0Impermeable to liquids, e.g. waterproof; Liquid-repellent
    • A41D31/102Waterproof and breath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04Mineral tanning
    • C14C3/06Mineral tanning using chrom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9/00Impregnating leather for preserving, waterproofing, making resistant to heat or simi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1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biodegrada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관한 것으로,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에 있어서, 방수 방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방오가공 조성물이 코팅되며,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물, 에틸렌글리콜,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천연양피 가죽 본연의 부드러움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수분에 노출되어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건조 후 딱딱해지지 않아 최상의 그립감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GOLF GROV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골프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양피 골프장갑에 방수 방오 처리한 골프장갑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갑은 골프클럽의 그립과 손바닥면과의 마찰을 저하하고, 손이 그립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착용한다. 이러한 골프장갑은 손을 편안하게 하고 안정적인 샷을 도와주며 스윙시 생길수 있는 손의 부상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골프장갑은 피혁(천연 또는 인조)이나 직물제를 이용하여 제작하며, 최근에는 큰 마찰력을 발생하고 밀착력이 우수하며 잘 손상되지 않는 천연양피로 주로 제작한다.
그런데 천연양피 골프장갑은 수분에 노출되었을 때 화학약품거품이 발생한다. 이 거품은 골프장갑을 낀 손의 피부에도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골프장갑이 미끌거리고 헛돌아 경기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건조 후에는 수분 증발로 가죽이 딱딱하게 굳어지므로 그립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2009-0094890호(2009.09.0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양피 가죽 본연의 부드러움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수분에 노출되어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건조 후 딱딱해지지 않아 최상의 그립감을 제공하도록 방수 방오 처리한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에 있어서, 방수 방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방오가공 조성물이 코팅된다.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물, 에틸렌글리콜, 유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25~35 중량%과 물 55~65 중량%과 에틸렌글리콜 4~12 중량%과 유화제 1~3 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pH가 6.5~7.5이다.
천연양피 가죽을 드럼에 장입하고 가지부유액을 주입하여 상기 천연양피 가죽에 상기 가지부유액을 침착시키는 단계와 방오가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을 물로 희석하여 적정 농도로 맞추는 단계와 상기 드럼에서 가지부유액을 배기하고 새로운 가지부유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새로운 가지부유액이 주입된 드럼에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첨가하여 상기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시키는 단계와 설정시간 후 상기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 및 가지부유액을 배기하는 단계와 상기 천연양피 가죽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한 천연양피 가죽을 늘리기, 건조, 피할, 염색을 포함한 마무리 과정을 수행한 후 골프장갑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상기 천연양피 가죽 무게의 4~8 중량%를 물로 희석하며, 상기 희석하는 물의 양은 상기 천연양피 가죽 양의 200~1000%이다.
상기 물의 온도는 40~60℃이다.
상기 천연양피 가죽에 크롬 고정 단계가 필요한 경우, 상기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상기 드럼에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크롬 고정 단계 전에 적용한다.
본 발명은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하여 방수 방오 특성을 부여함으로 인해, 방수 방오 기능은 물론 양피 본연의 부드러움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수분과 화학약품의 접촉과 변성을 막아 사용 후 가죽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오랜시간 사용하여도 천연양피 장갑 고유의 부드러운 착용감이 수명을 다할때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명이 길고 사용시 항상 우수한 그립감을 유지하여 골프선수들이 최고의 경기력과 자존심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조된 골프장갑 제조용 천연양피 가죽과 기존 천연양피 가죽의 방수 특성을 실험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의 표면처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의 표면처리 상태를 기존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과 비교 실험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 제조용 천연양피 가죽과 기존 천연양피 가죽의 방오 특성을 실험한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과 기존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의 오랜 시간 사용 후를 비교한 사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골프장갑은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되며, 방수 방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방오가공 조성물이 코팅된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PFBS), 물, 에틸렌글리콜(Ethyleneglycol), 유화제(Emulsifier)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25~35 중량%, 물 55~65 중량%, 에틸렌글리콜 4~12 중량%, 유화제 1~3 중량%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30 중량%, 물 60 중량%, 에틸렌글리콜 8 중량%, 유화제 2 중량%를 포함한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불소와 탄소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물이나 기름으로 인한 오염을 막아준다. 더욱이, 방오가공 조성물은 천연가죽 가공시 사용된 화학약품들이 물 또는 땀에 녹지 않도록 하여 피부를 보호할 뿐 아니라 가죽을 미끄럽게 하거나 가죽을 딱딱하게 굳게 하는 부작용을 방지하여 가죽 본연의 밀착감과 부드러움을 지속시켜준다.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PFBS)은 계면 활성제이다. PFBS는 말단에 술포닐(sulfonyl) 작용기를 가지고 있으며, C4 perfluorinated 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PFBS는 발수성과 소수성의 특징적인 성질을 공유하여 방수 방오 특성을 갖는다.
PFBS는 오염물질이 가죽의 겉에서 침투하지 못하게 하고 안쪽에서는 땀이 가죽에 머물지 않고 신속하게 확산 증발되게 하며 물의 표면장력을 크게하여 표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흘러 내리도록 하며, 수분에 강하여 물세탁을 하여도 변형과 이염이 없도록 한다.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5~35 중량%를 포함하며, 이 범위 내에서 효과가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60 중량%를 포함한다.
PFBS는 고형분이므로 가죽 구조 내에 균일 침투를 위해 물, 에틸렌글리콜, 유화제가 더 포함된다. 고형분인 PFBS를 물과 에틸렌글리콜에 용해시켜 유화제와 함께 방오가공 조성물을 제조한다.
물은 퍼플 루오르 부탄 술폰산, 에틸렌글리콜, 유화제가 균일하게 혼합되고 유동성을 갖기 위한 용매로 사용된다.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5~65 중량%를 포함하며, 이 범위 내에서 혼합성 및 유동성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를 포함한다.
에틸렌글리콜은 가교제로 사용되어 PFBS가 사슬 그물구조를 형성하면서 가죽 조직 내에 균일하게 코팅되게 한다. PFBS가 사슬 그물구조를 형성하면서 가죽 조직 내에 균일하게 코팅되면 PFBS 코팅으로 인해 가죽 통기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방오가공 조성물을 가죽에 코팅하여도 골프장갑의 중요한 특징인 통기성이 유지된다.
에틸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12 중량%를 포함하며, 이 범위 내에서 PFBS의 가교제로서 작용이 우수하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8 중량%를 포함한다.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 중량%를 포함하며, 이 범위 내에서 고형분인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이 안정화되고 균일 분산된다. 바람직하게는 유화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 중량%를 포함한다. 유화제는 폴리옥시에칠렌,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 에칠렌 소르비탄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이므로 비용면에서 효율적이다.
천연양피 가죽은 6개월 미만의 새끼양의 원피를 사용한다. 이는 가죽 모공이 작아서 골프장갑으로 제조시 착용후 변형을 최소화한다.
한편, 골프장갑 제조방법은 골프장갑 제조를 위한 가공단계 중 원피 세척, 유지 제거 등 과정을 통해 천연양피 원피를 천연양피 가죽으로 전처리 가공한 후,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하는 후처리 가공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골프장갑 제조방법은 a)천연양피 가죽을 드럼에 장입하고 가지부유액을 주입하여 천연양피 가죽에 가지부유액을 침착시키는 단계와, b)방오가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c)방오가공 조성물을 물로 희석하여 적정 농도로 맞추는 단계와, d)드럼에서 가지부유액을 배기하고 새로운 가지부유액을 주입하는 단계와, e)새로운 가지부유액이 주입된 드럼에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첨가하여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시키는 단계와, f)설정시간 후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 및 가지부유액을 배기하는 단계와, g)천연양피 가죽을 세척하는 단계와 h)세척한 천연양피 가죽을 늘리기, 건조, 피할, 염색을 포함한 마무리 과정을 수행한 후 골프장갑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단계는 지방을 가죽에 결합시켜 유연성과 불침투성을 부여하는 단계이다.
천연양피 가죽을 드럼에 장입하고 가지부유액을 주입하여 천연양피 가죽에 가지부유액을 침착시킨다. 가지부유액은 포름산 또는 지방 암모니아(AOX)를 사용할 수 있으며 pH는 4~5이다. 드럼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가지부유액이 천연양피 가죽에 균일하게 침착되게 한다. 가지부유액 주입 단계에서 pH 4~5는 가지부유액이 가죽에 침착이 용이하도록 한다.
b)단계는 방오가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25~35 중량%, 물 55~65 중량%, 에틸렌글리콜 4~12 중량% 및 유화제 1~3 중량%를 포함한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pH가 6.5~7.5이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저장성을 위해 온도를 40℃ 이상으로 유지한다.
c)단계는 방오가공 조성물을 물로 희석하여 적정 농도로 맞추는 단계이다.
c)단계에서 방오가공 조성물은 천연양피 가죽 무게의 4~8 중량%를 물로 희석하며, 희석하는 물의 양은 천연양피 가죽 양의 200~1000%일 수 있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천연양피 가죽 무게의 4~8 중량%, 희석하는 물의 양이 천연양피 가죽 양의 200~1000%에서 가죽의 구조 내에 효과적으로 침투 효과를 가진다.
물의 온도는 40~60℃이며, 바람직한 물의 온도는 50℃이다. pH는 4 이상이다.
d)단계는 드럼에서 가지부유액을 배기하고 새로운 가지부유액을 주입하는 단계이다. 가지부유액을 가죽에 침적시키는 작업을 2회 이상 반복하는 것에서 가죽의 탄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e)단계는 새로운 가지부유액이 주입된 드럼에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첨가하여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시키는 단계이다.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새로운 가지부유액이 주입된 드럼에 첨가한 상태에서 pH는 4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는 약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의 온도 및 pH는 4 이상은 방오가공 조성물의 가죽 침투가 효과적이게 한다. 또한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의 안정성은 물의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물 온도 약 50℃(40~60℃ 범위 가능)에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f)단계는 설정시간 후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 및 가지부유액을 배기하는 단계이다. 방오가공 조성물의 배기는 e) 단계 완료후 약 45분 후에 수행한다. 약 45분 정도면 방오가공 조성물이 가죽에 충분히 침투되므로 약 45분 후에 배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오가공 조성물이 배기되면 가지부유액은 대략 pH 3.5로 산화되며 일반적인 작업(테너리) 과정을 거친다. 다음으로 가지부유액이 배기되고 드럼에 남은 천연양피 가죽은 일반적인 작업(테너리) 과정대로 세척된다.
천연양피 가죽에 크롬 고정 단계가 필요한 경우,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드럼에 첨가하는 단계는 크롬 고정 단계 전에 적용할 수 있다.
천연양피 가죽에 가지부유액 침착, 크롬 고정, 방오가공 조성물 코팅 순서로 적용할 수 있다. 크롬 고정은 유기성 유제약품으로 처리 전 가죽의 pH를 낮추기 위해 수행되는 침산(Pickling) 공정으로, pH를 낮추어 가죽을 부드럽게 만들고 우수한 강도를 갖도록 한다.
가지부유액 침착 단계 전 후, 또는 가지부유액 침착 단계 중에 젖은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주입하는 것에서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가지부유액 침착 단계 외 다른 가죽 가공 단계에서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는 방오가공 조성물이 가지부유액 침착 단계에서 가죽 구조 내에 보다 효과적인 침투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g)천연양피 가죽을 세척하는 단계는 물을 이용하여 천연양피 가죽을 세척한다. 세척한 천연양피 가죽은 지방과 방오가공 조성물이 가죽 표면 안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받침대에 쌓아둔 후 일정시간 그대로 유지한다.
h)세척한 천연양피 가죽을 늘리기, 건조, 피할, 염색 등을 포함한 마무리 과정을 수행한 후 재단, 봉재를 통해 골프장갑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h)단계에서 건조는 진공 건조 장치, 유사한 기계장치에서 건조될 수 있으며 자연 건조될 수도 있다. 건조는 수분을 제거하여 실용적인 상태로 만들어 가죽의 물성 향상과 수율을 높인다.
이때, 천연양피 가죽은 두께가 0.35~0.45mm 범위 내의 가죽만을 재단하여 모든 제품에 최적의 착용감을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은 방오가공 조성물이 코팅된 천연양피 가죽을 사용하므로 비에 젖어도 미끄럽지 않으며, 플레이 중 손에서 나오는 땀으로 인한 불쾌감을 방지하여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뿐 아니라, 오랜 사용 후에도 딱딱해짐 및 뒤틀림 등의 형태 변형이 최소화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험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30 중량%, 물 60 중량%, 에틸렌글리콜 8 중량%, 유화제 2 중량%로 제조한다. 이를 PM-4700이라 칭한다.
PM-4700을 시중에 판매되는 스카치가드(PM4701, PM4800)와 비교하였다.
PM-4700은 젖은 상태의 가죽에 적용되는 수성 조성물이고, PM4701은 수성이며 분무 도포용으로 생산된 방수방오 조성물이고, PM4800는 용제이며 분무 도포요으로 생산된 방수방오 조성물이다. PM4701, PM4800는 3M사 제품이다.
본 실시예의 방오가공 조성물은 스카치가드라 명명할 수 있으나 가죽의 가공과정에서 가죽의 구조 내에 코팅되어 방수 방오 특성을 나타내고, 기존의 스카치가드 제품은 가죽 제품에 도포하는 것에서 단순히 가죽의 표면에 코팅되는 1회성이며 지속 기간이 짧은 차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오가공 조성물은 가죽의 가공 과정에서 가죽 구조 내에 코팅되므로 세탁이 가능하며, 세탁 후에도 그 기능이 유지된다.
PM-4700의 sample 2개를 만들어 천연양피 골프장갑에 적용한 후 각각 방수, 방오 시험을 수행하여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 최소기준 PM-4700
(sample No.1)
PM-4700
(sample No.2)
오일 반발 3 6 6
물 저항-스프레이
(water repeliency-spray)
80 95 100
물저항-물/알콜
(water repeliency-water/alcohol)
3 9 9
마찰 발유성
(abrasion oil repellency)
2 3.5 4
마찰 발수성
(abrasion water repellency)
2 9 9
Pass/fail pass pass
[시험기관: 3M에 의뢰]
PM-4700의 sample 2개는 천연양피 가죽 무게의 4 중량%를 천연양피 가죽 양의 500%인 물로 희석하여 드럼에 넣고 적용하였다. 참고로, 표 1에서 최소기준은 시험평가기관 차체에서 설정한 등급 기준이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 방오 시험에서 최소기준값 이상을 만족함이 확인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조된 골프장갑 제조용 천연양피 가죽과 기존 천연양피 가죽의 방수 특성을 실험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한 천연양피 가죽(A)은 방수 특성이 있는 반면, 기존 천연양피 가죽(B)은 물이 스며들어 방수 특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의 표면처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은 물이 구모양을 유지하여 스며들지 않음이 확인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의 표면처리 상태를 기존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과 비교 실험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기존 천연양피 장갑은 물이 표면에 닿았을 때 퍼져 스며드는 반면, 본 발명의 천연양피 장갑은 물이 스며들지 않고 표면장력이 커 구모양을 형성하는 모습이 확인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 제조용 천연양피 가죽과 기존 천연양피 가죽의 방오 특성을 실험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처리한 천연양피 가죽에서는 오염물질이 가죽에 스며들지 않고 쉽게 닦이며, 기존 천연양피 가죽에서는 오염물질이 가죽에 스며드는 것이 확인된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는 방오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골프장갑과 기존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의 오랜 시간 사용 후를 비교한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기존 천연양피 장갑은 손가락 부위에서 딱딱해 지는 현상이 발생되고 뒤틀림 등 형태의 변화가 있으며 오염이 심한 반면, 본 발명의 천연양피 장갑은 수분과 화학약품의 접촉과 변성을 막아 사용 후 가죽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방지되고 오랜시간 사용하여도 천연양피 장갑 고유의 부드러운 착용감이 수명을 다할때까지 유지시켜 줌이 확인된다.
즉, 통기성이 확보되면서 방수, 방오, 발수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세탁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상기한 방오가공 조성물은 천연양피 가죽에 적용되어 방수 방오 효과가 우수함이 확인된다. 방오가공 조성물은 그 효과를 실험하지 않았으나, 천연양피 가죽 외에도 합성 피혁, 섬유, 직물 등에 적용되어 방수 방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과 명세서에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천연양피 가죽으로 제조된 골프장갑에 있어서,
    방수 방오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방오가공 조성물이 코팅되고,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25~35 중량%;
    물 55~65 중량%;
    에틸렌글리콜 4~12 중량%; 및
    유화제 1~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pH가 6.5~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5. 천연양피 가죽을 드럼에 장입하고 가지부유액을 주입하여 상기 천연양피 가죽에 상기 가지부유액을 침착시키는 단계;
    방오가공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을 물로 희석하여 적정 농도로 맞추는 단계;
    상기 드럼에서 가지부유액을 배기하고 새로운 가지부유액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새로운 가지부유액이 주입된 드럼에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첨가하여 상기 천연양피 가죽에 방오가공 조성물을 코팅시키는 단계;
    설정시간 후 상기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 및 가지부유액을 배기하는 단계;
    상기 천연양피 가죽을 세척하는 단계; 및
    상기 세척한 천연양피 가죽을 늘리기, 건조, 피할, 염색을 포함한 마무리 과정을 수행한 후 골프장갑으로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상기 천연양피 가죽 무게의 4~8 중량%를 물로 희석하며,
    상기 희석하는 물의 양은 상기 천연양피 가죽 양의 200~1000%인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물의 온도는 4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오가공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퍼플루오로 부탄 술폰산 25~35 중량%;
    물 55~65 중량%;
    에틸렌글리콜 4~12 중량%; 및
    유화제 1~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제조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연양피 가죽에 크롬 고정 단계가 필요한 경우, 상기 물로 희석한 방오가공 조성물을 상기 드럼에 첨가하는 단계는 상기 크롬 고정 단계 전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갑 제조방법.
KR1020180019854A 2018-02-20 2018-02-20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KR10200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54A KR102002532B1 (ko) 2018-02-20 2018-02-20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854A KR102002532B1 (ko) 2018-02-20 2018-02-20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2532B1 true KR102002532B1 (ko) 2019-07-22

Family

ID=6746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854A KR102002532B1 (ko) 2018-02-20 2018-02-20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877A (ko) * 2019-11-11 2021-05-20 양원용 고신축 및 고통기성 논슬립 골프장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31A (ja) * 2002-08-21 2004-03-11 Du Pont Kk 撥水撥油防汚性に優れた高強力耐熱有機繊維と繊維製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90094890A (ko) 2008-03-04 2009-09-09 서대일 코팅층이 형성된 골프장갑
US20140246366A1 (en) * 2013-03-04 2014-09-04 Thinkvillage-Kerfoo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erfluoroalkyl Compounds
KR101683092B1 (ko) * 2016-09-13 2016-12-20 주식회사 에브리데이해피 방수 골프장갑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6231A (ja) * 2002-08-21 2004-03-11 Du Pont Kk 撥水撥油防汚性に優れた高強力耐熱有機繊維と繊維製品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20090094890A (ko) 2008-03-04 2009-09-09 서대일 코팅층이 형성된 골프장갑
US20140246366A1 (en) * 2013-03-04 2014-09-04 Thinkvillage-Kerfoo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Perfluoroalkyl Compounds
KR101683092B1 (ko) * 2016-09-13 2016-12-20 주식회사 에브리데이해피 방수 골프장갑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6877A (ko) * 2019-11-11 2021-05-20 양원용 고신축 및 고통기성 논슬립 골프장갑
KR102412770B1 (ko) * 2019-11-11 2022-06-24 양원용 고신축 및 고통기성 논슬립 골프장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4441B1 (ko) 위킹 발수성이 우수한 친환경 발수 스웨이드 제조방법
KR102002532B1 (ko) 골프장갑 및 그 제조방법
US20120144597A1 (en) Method for tanning animal skins
KR20100135162A (ko) 하이드 및 스킨 보존방법
Alla et al. Fish skin and exotic leathers
CN109457465A (zh) 一种石墨烯-丁腈胶乳磨砂手套的制备方法
KR101276995B1 (ko) 플루오르화 화합물로 처리된 피혁
EP0994195A2 (en) Process for waterproofing chromium tanned bovine hides
CA2025027A1 (en) Use of fluorochemicals in leather manufacture
CN105568705A (zh) 一种拒水拒油超细纤维合成革的制备方法
US20040237208A1 (en) Leather production
WO1995005484A1 (en) Graphite lubricated leather
ITPI20130078A1 (it) Processo conciario di gommatura per l'ottenimento di pelli ad elevata pienezza ed elasticità e prodotti ottenuti
JPH08113800A (ja) 天然皮革のフッ素樹脂加工方法および撥水撥油性皮革の製造方法
US2523326A (en) Tanning with organic isocyanates in a nonaqueous medium
RU2305709C1 (ru) Способ отмоки меховых шкур
CN109022629B (zh) 一种灵长类动物标本皮张的处理方法
KR102283955B1 (ko) 인조모피 발수방법
KR102485971B1 (ko) 자가복원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Jayakumar et al. Studies on the use of bi-functional enzyme for leather making
KR20170044299A (ko) 선박 내장재용 기능성 피혁의 제조방법
CN108998588A (zh) 一种灵长类动物标本皮张的加工方法
JPH05179300A (ja) 爬虫類皮革の製造方法
KR20240064981A (ko) 자가복원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천연가죽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천연가죽 소재
KR20110086564A (ko) 하이드 보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