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318B1 -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 Google Patents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318B1
KR102002318B1 KR1020170146881A KR20170146881A KR102002318B1 KR 102002318 B1 KR102002318 B1 KR 102002318B1 KR 1020170146881 A KR1020170146881 A KR 1020170146881A KR 20170146881 A KR20170146881 A KR 20170146881A KR 102002318 B1 KR102002318 B1 KR 102002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liquid material
electrode assembly
air clean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2191A (en
Inventor
조봉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온
Priority to KR1020170146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318B1/en
Publication of KR20190052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1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3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3Use of electrochemically treated water, e.g. electrolysed water or water treated by electrical discharge
    • F24F2003/167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 Y02B30/8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전기적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일측방으로 배출하는 공기유동장치; 상기 공기청정기에 장착되고, 내부에 통전 가능한 액상물질을 저장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해액 저장용기;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해액 저장용기 또는 개질화 장치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장치; 상기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되고, 전해액 저장용기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액상물질에 전류를 가하여 액상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변경 시킨 후, 개질화된 액상물질을 가습장치에 제공하는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기유동장치, 전해액 저장용기,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
An air cleaner including an electrical reforming device is presented.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 cleaner that sucks ai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discharges filtered air. The air cleaner is mounted inside the air cleaner, and sucks air from the outside to one side. An exhaust air flow device;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air cleane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a liquid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therein; A humidifier installed inside the air cleaner and configured to humidify the air discharged using ultrasonic vibration by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or a reforming device; A reforming device mounted inside the air purifier,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applying a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to change chem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material, and providing a reformed liquid material to a humidifier. It is made the point of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ir flow device,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a humidification device and a reforming device of a specif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air filtration function,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sterilization function. .

Description

전기적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Air Cleaner with Electrical Reforming Device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적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leaner including an electrical reforming device.

환절기나 냉난방 등 실내 온도의 조절이 필요한 시기에는 실내의 습도가 낮아져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습기를 공급하는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Humidifiers for supplying moisture to maintain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have been widely used when humidity of the room needs to be controlled, such as in seasons or air conditioning.

최근에는 가습기 내의 물에 세균이나 병원균이 서식하여 가습기로부터 공급되는 습기 또는 수증기에 세균이나 병원균이 함께 옮겨져 질병을 옮긴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 가습기의 살균 성능이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Recently, as a result of researches that bacteria or pathogens inhabit water in a humidifier and bacteria or pathogens are transferred to moisture or water vapor supplied from the humidifier, the sterilization performance of the humidifier has emerged as a very important problem.

일반적으로 소비 전력이 낮으면서 조용하고 분무량이 많은 초음파 가습기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가습기 안의 물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그대로 분무될 수 있어서 병원균의 번식원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the ultrasonic humidifier with low power consumption and a large amount of spray has been widely us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bacteria can be sprayed as it is in the water in the humidifier to be sprayed as it is to become a pathogen for pathogens.

이에 따라 최근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가열식 가습기는 가습기 안에서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뿜어주는 방식인데, 물을 끓여 분무하므로 위생적이고 따뜻한 수증기로 실내 온도를 유지하므로 호흡기 부담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분무량이 적고 소비 전력이 높으며 특유의 소음이 발생되는 작동상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물을 끓이는 과정에서 고온의 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Accordingly, the heating humidifier, which has recently been used more frequently, is a method of heating water in a humidifier and spouting it with water vapor. Since boiling water is sprayed, it maintains room temperature with hygienic and warm water vapor, thereby reducing the respiratory burden.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operation that the spray amount is relatively small,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the characteristic noise is generat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of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due to high temperature heat in the process of boiling water.

한편, 이들의 복합 형태로서 가열 방식과 초음파 방식이 결합된 복합식 가습기가 사용되었는데, 각각의 방식의 장점을 누릴 수 있지만 높은 제조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complex form of these, a combined humidifier combined with a heating method and an ultrasonic method has been used, but i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take advantage of each method but requires a high manufacturing cost.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복합식 가습기는 가습되는 물을 끓이는 방식을 포함할 뿐,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까지 살균하거나 공기를 소독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complex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method of boiling water to be humidifie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terilize or sterilize air suspended in the air.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살균 가습기가 개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sterilizing humidifier shown in FIG. 1 has been developed.

종래 기술에 따른 살균 가습기(100)는,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로 습기를 만들어 분무하는 가습기로서, 저수조(120) 내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물을 증발 또는 비산시켜 습기를 발생시키는 습기 생성유닛(140)과, 서로 마주보도록 배열되고 저수조(120) 내의 물에 잠기도록 설치되어, 직류 전류가 인가되면 물을 전기 분해하여 산화체를 생성하는 한 쌍의 전극(150)과, 물 내의 전기 전도도를 측정하는 전기전도도 측정부(180)와, 전기 전도도 측정부(180)에서 측정된 값이 미리 정해진 제1값보다 더 낮은 것으로 감지되면, 소금 용액이나 소금 분말을 저장하고 있다가 소금 성분을 저수조(120) 내의 물 속에 공급하는 소금 공급부(16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sterilizing humidifier 1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humidifier that sprays moisture by making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120, and is installed to be immersed in water in the reservoir 120 to generate moisture by evaporating or scattering water to generate moisture. 140 and a pair of electrodes 150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installed to soak in water in the reservoir 120 to electrolyze water to generate an oxidant when a direct current is applied, and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e water.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unit 180 and the value measured by the electrical conductivity measuring unit 180 is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first value, the salt solution or salt powder is stored in the reservoir It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salt supply unit 160 for supplying the water in the (120).

종래 기술에 따른 살균 가습기는, 저수조 내의 세균 등을 박멸하여 위생적인 가습 작용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 역시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까지 살균하거나 공기를 소독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sterilizing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may implement hygienic humidification by erasing the bacteria in the reservoir, but this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sterilize or disinfect the air floating bacteria.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for an air cleaner that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114311 (2013년 10월 18일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13-0114311 (published 18 October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performing an air filtration function, a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n air sterilization func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청정기로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일측방으로 배출하는 공기유동장치; 상기 공기청정기에 장착되고, 내부에 통전 가능한 액상물질을 저장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해액 저장용기;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해액 저장용기 또는 개질화 장치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장치; 상기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되고, 전해액 저장용기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액상물질에 전류를 가하여 액상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변경 시킨 후, 개질화된 액상물질을 가습장치에 제공하는 개질화 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ir purifi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n air purifier for remov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sucking the air, and discharged filtered air, which is mounted inside the air purifier, the air from the outside An air flow device that inhales and discharges to one side;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the air cleane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a liquid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therein; A humidifier installed inside the air cleaner and configured to humidify the air discharged using ultrasonic vibration by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or a reforming device; A reforming device mounted inside the air purifier,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applying a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to change chem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material, and providing a reformed liquid material to a humidifier. It may be a configu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장치는, 공기청정기의 일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의 블로우 팬; 및 상기 블로우 팬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장착되고, 블로우 팬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low apparatus, the blow fan of the structure for sucking air from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a filter mount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low fan and filtering air introduced into the blow fan.

이 경우,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부에는, 블로우 팬에 장착된 필터와 대응되는 위치에 필터가 더 장착될 수 있다.In this case, one side of the air cleaner, the filter may be further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mounted on the blow f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에 수납되는 액상물질은, 수돗물 또는 식염수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material accommodat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may be tap water or sa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의 일측부에는, 전해액 저장용기의 수납공간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수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a water level measuring member for measur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may be moun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는, 전해액 저장용기 또는 개질화 장치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하부면에 장착되고, 본체부 내부에 수납된 액상물질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생성하는 초음파진동자; 및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장착되고,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분사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umidifying apparatus, the main body portion for receiving the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or the reforming device to store in the inner receiving space; An ultrasonic vibrator moun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enerating an aerosol droplet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a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main body; And an injection fan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discharging water droplets in an aerosol state to the outside through an injection nozzle.

이때, 상기 가습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본체부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센서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humidifie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and detecting the level of the liquid substance stor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질화 장치는, 양측에 액상물질 주입구 및 액상물질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고, 둘 이상의 전극 조립체가 적층된 구조이며, 액상물질 주입구를 통해 공급된 액상물질이 전극 조립체의 표면을 지나 액상물질 배출구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층면을 따라 방사형 유동로가 형성된 전극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forming apparatus, the liquid material inlet and the liquid material outlet is formed on both sides, the housing formed therein the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module; And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are stack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liquid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liquid material inlet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to the liquid material outlet so as to flow to the liquid material outle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ode module is formed.

이 경우, 상기 전극모듈은, 액상물질 주입구와 대향하는 최외곽에 배치되고, 액상물질 주입구로부터 공급된 액상물질과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이 장착되고, 타측면에 중심 방향으로 유동로가 형성된 제 1 전극 조립체;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1 전극 조립체와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이 장착되고, 타측면에 중심 방향으로 유동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타측면으로 관통된 유동로가 형성된 제 2 전극 조립체; 상기 제 2 전극 조립체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2 전극 조립체와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이 장착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형 유동로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전극판이 장착된 제 3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제 3 전극 조립체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3 전극 조립체와 대향하는 면에 방사형 유동로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전극판이 장착된 제 4 전극 조립체;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module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facing the liquid material inlet, the electrode plate is mounted on the surface facing the liquid material supplied from the liquid material inlet, the first side has a flow path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An electrode assembly;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is stacked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plate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the flow path is formed in the cent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the flow path is formed through the other side in the center A two electrode assembly; A third electrode assembly stacked adjacent to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having an electrode plate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a radial flow path formed from a center thereof, and an electrode plate mounted on the other side thereof; And a fourth electrode assembly stacked adjacent to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having a radial flow path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and having an electrode plate mounted on the other side thereof.

이 경우,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 제 2 전극 조립체, 제 3 전극 조립체 및 제 4 전극 조립체에 장착되는 전극판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극판은 서로 다른 극성일 수 있다.In this case, in the electrode plates mounted on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the electrode plat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have different polarities.

또한, 상기 제 2 전극 조립체 및 제 4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은 하우징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 및 제 3 전극 조립체의 외주면은, 제 2 전극 조립체 또는 제 4 전극 조립체의 외경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ar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may be a second electrode assembly or a fourth electrode assembly. The outer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 사이로 액상물질이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ccess passage through which the liquid material may be injected or discharged may be formed in the stepped portion formed by stacking the electrode assemblies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에 장착되고,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재차 공기여과를 수행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er is mounted to a position where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the plasma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ir plasma again to perform the air filtration again; may further comprise a configuration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을 바탕으로 공기유동장치,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cleaner, the control unit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ir flow device, the humidifier and the reforming device based on the input value input from the operator; The configuration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센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센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의 냄새를 검출하는 냄새 검출센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입자의 농도를 검출하는 먼저농도 검출센서; 및 상기 가습장치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가습장치에 공급된 액상물질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검출하는 차아염소산농도 검출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유동장치,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purifi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purifier,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A humidity detection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detecting humidity of air; An odor detection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detecting an odor of air; A first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detecting a concentration of du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a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mounted adjacent to the humidifier and detecting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of the liquid substance supplied to the humidifier,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control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irflow device, the humidifier and the reforming devi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기유동장치, 전해액 저장용기,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ir flow device,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a humidification device and a reforming device of a specific structure, the air filtration function,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steriliz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Can provide air purifier.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의 일측부에 흡입되는 공기를 최초 여과하는 필터를 장착하고, 공기유동장치에도 필터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filter for initially filtering the air sucked into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filter in the air flow apparatus, to effectively filter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leaner Can b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수위측정부재를 전해액 저장용기의 일측부에 장착함으로써, 전해액 저장용기에 수납된 액상물질의 수납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 유지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water level measur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torage amount of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ir cleaner maintenance more effectively hav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초음파진동자, 분사팬 및 수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가습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해액 저장용기 또는 개질화 장치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효과적으로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생성한 후 분사노즐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umidifying device including a body portion, an ultrasonic vibrator, a spray fan, and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of a specific structure, by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or the reforming device effectively aerosol state After generating a droplet of water can be sprayed stably through the spray nozzl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우징 및 전극모듈을 포함하는 개질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통전 가능한 액상물질에 전류를 공급하여 차아염소산 가스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액상물질의 개질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소독을 원하는 시기에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forming device including a housing and the electrode module of a specific structure, by supplying a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that can be energized can effectively generate hypochlorous acid ga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nitriding, thereby providing an air cleaner that can properly perform sterilization of contaminated air at a desired tim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온도 검출센서, 습도 검출센서, 냄새농도 검출센서, 먼저농도 검출센서 및 차아염소산농도 검출센서를 구비하고, 검출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유동장치,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상태에 따라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odor concentration sensor, a first concentration sensor and a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sensor that performs a specific role, and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flow device, the humidifier and the reforming device on the bas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n perform the air filtration function,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steril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door ai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기 살균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 장치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기온 및 습도에 따른 식중독 지수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더욱 세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가습장치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가습장치를 A-A'평면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가압펌프, 솔레노이드 펌프 및 개질화 장치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개질화 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1 전극 조립체 및 제 2 전극 조립체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 3 전극 조립체 및 제 4 전극 조립체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제 3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방사형 유동로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제 4 전극 조립체에 형성된 방사형 유동로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전극모듈을 통해 유동하는 액상물질의 유동 경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ir conditioner steriliz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using a re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graph illustrating a control operation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table showing the food poisoning index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assembled stat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7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re detailed state of the air cleaner illustrated in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humidifier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humidifier illustrated in FIG. 10 is cut along the plane AA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pressure pump, the solenoid pump and the re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reform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13.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4.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4.
FIG. 1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radial flow path formed in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6.
FIG. 1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radial flow path formed in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illustrated in FIG. 16.
1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flow path of a liquid material flowing through the electrode module shown in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when one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when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 장치를 이용하여 차아염소산을 생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for generating hypochlorous acid using a re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200)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여과된 공기를 살균 및 소독 처리하는 장치로서, 특정 구조의 개질화 장치(100), 공기유동장치(210), 전해액 저장용기(220) 및 가습장치(2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air purifi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device for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the filtered air after removing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by inhaling the air, the reforming device 100 of a specific structure, It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air flow device 210,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and a humidifier (230).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에 장착되는 개질화 장치(1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222)와 밸브를 통해 전해액 저장용기(220)에 수납된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액상물질에 전류를 가하여 액상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The reforming apparatus 100 mounted on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liquid phase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through the pump 222 and the valve, as shown in FIGS. 3 and 4.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chemical properties of a liquid substance by applying a current to the liquid substance.

이때, 압축기(223)는, 밸브를 통해 공기,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를 개질화 장치(100)에 공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mpressor 223 may supply air, carbon dioxide, or nitrogen to the reforming apparatus 100 through a valve.

또한, 검출센서(260)는 개질화 장치(100)에 의해 개질화된 액상물질의 농도, 예를 들어 차아염소산 농도를 검출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sensor 260 may detect the concentration of the liquid substance modified by the reforming apparatus 100, for example,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and transmit the detected concentration to the controller 250.

제어부(250)는 검출센서(260)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밸브의 작동 및 각 구성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5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lve and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260.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200)는, 공기 유동장치(210)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여과시킨 후 플라즈마 발생장치(240)를 이용하여 재차 여과시킨 후, 가습장치(230)를 통해 개질화된 에어로졸을 함유시켜 공기 중에 분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air clea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lters the air introduced by the air flow device 210 and then again filters the air using the plasma generator 240, and then humidifies the device ( 230 may contain a modified aerosol to be sprayed into the air.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동작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기온 및 습도에 따른 식중독 지수를 나타내는 표가 도시되어 있다.5 is a graph showing a control operation of the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table showing the food poisoning index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 작동모드일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필터 및 플라즈마 발생장치(240)를 이용하여 공기를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일정 시간마다 개질화 장치(100)를 작동시켜 개질화된 액상물질을 가습장치(230)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분무할 수 있다. 이 경우, 개질화 장치(100)에 의해 개질화된 액상물질에는 차아염소산이 일정농도 함유되어 있다. 차아염소산은 공기 중에 분무되어 공기를 살균 및 소독 처리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ir clean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asically filter the air using the filter and the plasma generator 240 in the air cleaning operation mode. At this time, the reforming apparatus 100 may be operated at a predetermined time to spray the reformed liquid material into the air using the humidifier 230. In this case, hypochlorous acid is contained in a certain concentration in the liquid substance modified by the reforming apparatus 100. Hypochlorite can be sprayed into the air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air.

경우에 따라서, 검출센서를 통해 감지된 공기의 상태에 따라 개질화 장치(100)를 작동시켜 공기중에 차아염소산이 함유된 액상물질을 분무하여 공기를 살균 및 소독 처리 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reforming apparatus 10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air detected by the detection sensor to spray the liquid substance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in the air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air.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검출센서(2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 검출센서(261), 습도 검출센서(262), 냄새 검출센서(263), 먼지농도 검출센서(264), 차아염소산농도 검출센서(265)를 더 포함하는 구성임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etection sensor 2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3, the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61, humidity detection sensor 262, odor detection sensor 263, dust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264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further comprises a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265.

또한, 검출센서(260)에 포함된 여러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와 도 6에 도시된 식중동 지수표를 기준으로 감염예방 작동 모드를 작동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ection prevention operation mode may be operated based on data detected from various sensors included in the detection sensor 260 and the food weight index table shown in FIG. 6.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의 보고자료에 따르면 식중독균의 번식속도는 공기 살균소독 시점 이후 2시간 이후부터 번식속도가 급격히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는 바, 상기 언급한 일정시간은 2시간 내외의 시간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report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ropagation rate of food poisoning bacteria is reported to increase rapidly from 2 hours after the time of air sterilization, and the above-mentioned constant time is preferably set to about 2 hours. .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온 및 습도에 따라 식중독 지수가 달라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food poisoning index varies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humidity.

노란색으로 표시된 주의 단계는, 방치한 음식에 6 내지 11시간 내 식중독균이 발생할 수 있는 단계로서, 식중독균 발생 주의를 요하는 단계이다. 주황색으로 표시된 주의 경고 단계는, 방치한 음식이 4 내지 6시간 내 부패할 수 있는 단계로서, 조리시설 취급 주의 및 식중독 주의를 요하는 단계이다. 빨간색으로 표시된 위험 단계는, 방치한 음식이 3 내지 4 시간 내 부패할 수 있는 단계로서, 음식물 취급 극히 주의 및 식중독 극히 주의를 요하는 단계이다.The attention stage indicated in yellow is a stage in which food poisoning bacteria may occur within 6 to 11 hours in neglected food, and a step requiring attention to food poisoning bacteria occurrence. The caution warning step indicated in orange is a step in which neglected food may decay within 4 to 6 hours, and requires attention to cooking facility handling and food poisoning. The danger stage, shown in red, is a stage in which neglected food can rot within 3 to 4 hours, requiring extreme care in food handling and food poisoning.

도 6에 도시된 표를 참조하여 운용자의 의도에 따라 공기청정기의 작동 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며, 기온 및 습도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센서를 통해 기온 및 습도 데이터를 검출하여 이에 따라 개질화 장치(100)를 작동시킴이 바람직하다.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ir purifier may be set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with reference to the table illustrated in FIG. 6, and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may be detected through a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Is preferred.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개질화 장치(100), 고기유동장치(210), 전해액 저장용기(220) 및 가습장치(230)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such a configuration, by providing a reforming device 100, a meat flow device 210,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and a humidifier 230 of a specific structure, the air filtration function, humidification func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air sterilization func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of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또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공기청정기를 더욱 세분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state of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7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and FIG. 9.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re detailed state of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8.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00)는, 전면커버(201), 하우징(202) 및 후면커버(203)로 구성된 케이스 내부에 공기유동장치(210), 전해액 저장용기(220), 가습장치(230) 및 개질화 장치(100)를 장착하는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ai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air flow apparatus 210 and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in a case including a front cover 201, a housing 202, and a rear cover 203. 220, the humidifier 230 and the reforming device 100 may be mounted.

구체적으로, 공기유동장치(21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일측방으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공기청정기의 일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의 블로우 팬(211)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때, 블로우 팬(211)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는 블로우 팬(211)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12)가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청정기의 일측부 즉, 하우징(202) 또는 후면커버(203)의 일측북에는, 블로우 팬(211)에 장착된 필터(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필터(213)가 더 장착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보다 더 세분하여 여과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flow apparatus 210 is a device that sucks air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es it to one side, and may include a blow fan 211 configured to suck air from one side of the air cleaner. . At this time,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blow fan 211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 filter 212 for filtering the air drawn into the blow fan 211. In additi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that is, the north side of the housing 202 or the rear cover 203, the filter 213 is further moun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212 mounted on the blow fan 211, the suction The air to be subdivided can be filtered further.

한편, 전해액 저장용기(220)는, 내부에 통전 가능한 액상물질을 저장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이때,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되는 액상물질은 통전 가능하고 개질화 후 공기 중에 분무되어 공기를 살균 및 소독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식염수일 수 있다. 전해액 저장용기(220)에 저장되는 액상물질을 식염수로 채택할 경우, 개질화 장치(100)에 의해 차아염소산을 함유한 액상물질을 생성할 수 있어, 공기에 대한 살균 및 소독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liquid material is formed therein. At this time,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inner storage sp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aterial that can be energized and sprayed in the air after reforming to sterilize and disinfect the air, and may be, for example, saline. When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is used as the saline solution, the reforming apparatus 100 can produce a liquid material containing hypochlorous acid, thereby achieving a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effect on air. have.

경우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액 저장용기(220)의 일측부에는, 전해액 저장용기(220)의 수납공간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수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부재(221)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202) 또는 후면커버(203)에는 수위측정부재(221)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위측정창(221-1)이 마련되어 전해액 저장용기(220)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저장량을 손쉽게 측정할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9, at one 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a water level measuring member 221 capable of measuring the storage amount of the liquid substanc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Can be mounted. In this case, the housing 202 or the rear cover 203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measurement window 221-1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water level measurement member 221 to easily measure the storage amount of the liquid substance stor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can do.

도 10에는 도 9에 도시된 공기청정기에서 가습장치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가습장치를 A-A'평면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humidifier in the air cleaner shown in FIG. 9, and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umidifier shown in FIG. 10 is cut along the plane AA ′. .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는, 전해액 저장용기(220) 또는 개질화 장치(100)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humidifying apparatus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or the reforming apparatus 100 to humidify the air discharged by using ultrasonic vibration. Can be.

이때, 개질화 장치(100)는, 전해액 저장용기(220)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액상물질에 전류를 가하여 액상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변경 시킨 후, 개질화된 액상물질을 가습장치(230)에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forming apparatus 100 receives the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applies a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to chang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material, and then applies the reformed liquid material to the humidifier 230. Can provide.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는, 특정 구조의 본체부(231), 초음파진동자(232), 분사팬(233) 및 분사노즐(23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10 and 11, the humidifier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body 231, the ultrasonic vibrator 232, the spray fan 233 and the spray nozzle 234 of a specific structure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구체적으로, 본체부(231)는 전해액 저장용기(220) 또는 개질화 장치(100)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하는 구조일 수 있다.In detail, the main body 231 may have a structure for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or the reforming apparatus 100 and storing the liquid material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초음파 진동자(232)는, 본체부(231) 하부면에 장착되고, 본체부(231) 내부에 수납된 액상물질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생성할 수 있다.The ultrasonic vibrator 232 may be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1 and may generate ultrasonic wave droplets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main body 231.

분사팬(233)은, 체부(231)의 상부에 장착되고,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분사노즐(234)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injection fan 233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231 to discharge the water droplets in the aerosol state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234.

이때, 본체부(231)의 내부에는, 본체부(231)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센서(235)가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inside the main body 231,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235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nside the main body 231 may be mounted.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장치(230)의 분사노즐(234)의 분사 방향은, 플라즈마 발생장치(240)를 통해 분사되는 여과 공기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 공기의 분사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분사노즐(234)의 분사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234 of the humidifier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set to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ed air injected through the plasma generator 240. In some cases, as shown in FIGS. 7 and 9,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injection nozzle 234 may be set in a direction form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filtration air.

도 12에는 도 9에 도시된 가압펌프, 솔레노이드 펌프 및 개질화 장치만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질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pressure pump, the solenoid pump, and the reforming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9, and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14 내지 도 16에는 도 13에 도시된 개질화 장치를 분해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4 to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13 is disassembled.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10)은,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액상물질 주입구(113) 및 액상물질 배출구(114)가 형성된 구조로서, 내부에 전극모듈(12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구조이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housing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a liquid material inlet 113 and a liquid material outlet 114 are formed at both sides, 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module 120 is formed.

이때, 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은 전극모듈(120)의 외부형상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전극모듈(120)과 마주하는 하우징(110) 내부면에는 방사형 유동로(141)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10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external shape of the electrode module 120, the radial flow path 14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10 facing the electrode module 120 Can be formed.

이 경우, 하우징(110)의 수납공간은 전극모듈(12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원통형 구조임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110 is preferably a cylindr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lectrode module 120.

또한, 하우징(110)의 일측부에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 내부에 장착된 전극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단자(150)와 전기적으로 결속되는 단자 홀더(153)가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장착될 수 있다. 단자 홀더(153)는 하우징(110)의 일측부에 두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장착되며, 어노드 단자(151)와 캐소드 단자(152)로 구성된 전원공급 단자(150)와 각각 독립적으로 전기적 결속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S. 13 and 14,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ower supply terminal 150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 module 120 mounted inside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10. The holder 153 may be mounted to protru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wo terminal holders 153 may be independent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11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terminal 150 including the anode terminal 151 and the cathode terminal 152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an be.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120)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이상의 전극 조립체(130)가 적층된 구조로서, 원판구조의 전극 조립체(130)가 둘 이상 적층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14 to 16, the electrode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130 are stacked, and a structure in which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ies 130 are stacked. Is preferred.

이러한 구조의 전극모듈(120)은, 하우징(110)의 수납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전극모듈(120)은, 액상물질 주입구(113)를 통해 공급된 액상물질이 전극 조립체(130)의 표면을 지나 액상물질 배출구(114)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층면을 따라 방사형 유동로(140)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electrode module 120 having such a structure may be moun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electrode module 120, the liquid flow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liquid material injection hole 113 flows through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to the liquid material discharge port 114, the radial flow path along the stacking surface I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the 140.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평면상으로 보았을 때 다각형 구조의 전극 조립체(130)를 구성할 경우, 하우징(110)의 수납공간 역시 이와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As another embodiment, when the electrode assembly 130 of the polygonal structure when viewed in plan view, it is preferable that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10 is also formed in a corresponding structure.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 조립체와 제 2 전극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3 전극 조립체와 제 4 전극 조립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llustrates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s shown.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에 형성된 유동로를 따라 유동하는 액상물질의 유동흐름을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17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8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lectrode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low of the liquid material flowing along the flow path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120)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전극 조립체(130)와 이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을 갖는 원판구조의 또 다른 전극 조립체(130)가 둘 이상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electrode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14, the electrode assembly 130 of the disk structure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10 and more predetermined than this. Another electrode assembly 130 of a disc structur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a size as small as the length may be a stacked structure of two or more.

이때,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13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130) 사이로 액상물질이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1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n entrance passage 142 through which the liquid material is injected or discharged may be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130 in the stepped portion formed by stacking the electrode assemblies 130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12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제 1 전극 조립체(131), 제 2 전극 조립체(132), 제 3 전극 조립체(133) 및 제 4 전극 조립체(134)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electrode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a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a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nd a specific structure. It may b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구체적으로, 제 1 전극 조립체(131)는, 액상물질 주입구(113)와 대향하는 최외곽에 배치되고, 액상물질 주입구(113)로부터 공급된 액상물질과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161)이 장착되고, 타측면에 중심 방향으로 유동로(140)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facing the liquid material injection hole 113, and the electrode plate 161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liquid material supplied from the liquid material injection hole 113.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1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center direction.

제 1 전극 조립체(131)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방사형 스포크 구조가 형성된 원판형 구조의 전극 장착몸체(135-1)의 일측에 전극판(161)을 장착한 구조일 수 있다.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161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1 having a radial spoke structure in which a radial spoke structure is formed.

전극 장착몸체(135-1)에 중심에는 관통구(D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 조립체(132)에 장착되는 전극판(162)의 중심에도 관통구(D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극판(162)에 형성된 관통구(D2)의 내경은 전극 장착몸체(135-1)에 형성된 관통구(D1)의 내경보다 소정 크기만큼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관통구(D1, D2)를 통해 액상물질이 유동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 D1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1. In this case, the through hole D2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lectrode plate 162 mounted on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In this c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D2 formed in the electrode plate 162 may be an electr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determined size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D1 formed in the mounting body 135-1. The liquid material may flow through the through holes D1 and D2 of the structure.

또한, 제 2 전극 장착몸체(135-2)에 형성된 출입유로(142-2)는 제 1 전극 조립체(131)의 전극 장착몸체(135-1)에 형성된 관통구(137)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access passage 142-2 formed in the second electrode mounting body 135-2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37 formed in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1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Preferably formed.

경우에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전 가능한 소재로 구성된 메쉬부재(161-1)를 전극판(161) 일측에 부착하여 유입된 액상물질에 전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In some cases, as shown in FIG. 15, the mesh member 161-1, which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electrode plate 161 to more effectively supply current to the introduced liquid material.

제 2 전극 조립체(132)는, 제 1 전극 조립체(131)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1 전극 조립체(131)와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162)이 장착되고, 타측면에 중심 방향으로 유동로(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타측면으로 관통된 유동로(143)가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is stacked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and the electrode plate 162 is mounted on a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1 opposite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and flows in the cent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The furnace 140 is formed,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flow path 143 penetrates to the other side at the center thereof.

제 3 전극 조립체(133)는, 제 2 전극 조립체(132)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2 전극 조립체(132)와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163)이 장착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형 유동로(140)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전극판(164)이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is stacked adjacent to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and the electrode plate 163 is mounted on a surface of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2 opposite to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 Is formed,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electrode plate 164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제 4 전극 조립체(134)는, 제 3 전극 조립체(133)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3 전극 조립체(133)와 대향하는 면에 방사형 유동로(140)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전극판(165)이 장착된 구조일 수 있다.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is stacked adjacent to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nd a radial flow path 140 is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nd an electrode plate ( 165 may be mounted.

또한,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13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130) 사이로 액상물질이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14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tep portion formed by stacking the electrode assemblies 130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is preferably formed, the access passage 142 through which the liquid material may be injected or discharg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130.

이러한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극모듈(120)은,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상물질의 유동 방향을 다양한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Electrode module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ing such a structure, as shown in Figures 17 to 19, can guide the flow direction of the liquid material in various directions.

구체적으로,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모듈(120)에 형성된 방사형 유동로(140)를 따라 유동하는 액상물질은, 전극 조립체(130)의 중심을 향해 수렴되거나 확산되는 유동을 반복함으로써, 액상물질에 효과적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효과적인 전기분해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7 to 19, the liquid material flowing along the radial flow path 140 formed in the electrode module 120 may be a flow that converges or diffuses toward the center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By repeating, the current can b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liquid substance to cause effective electrolysis.

이때, 각각의 전극 조립체(131, 132, 133, 134)에는 특정 위치에 전극판(161, 162, 163, 164)을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유동하는 액상물질에 효과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전기분해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며, 액상물질로 염화나트륨이 용해된 물을 공급하는 경우, 차아염소산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액상물질의 개질화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기적 개질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ectrode plates 161, 162, 163, and 164 are disposed at specific positions in the electrode assemblies 131, 132, 133, and 134, thereby effectively supplying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flowing in various directions, thereby electrolytically acting. In the case of supplying water in which sodium chloride is dissolved as a liquid material, hypochlorous acid water may be effectively generated, and an electrical reforming device capable of effectively performing a reforming role of the liquid material may be provided.

구체적으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극 조립체(131), 제 2 전극 조립체(132), 제 3 전극 조립체(133) 및 제 4 전극 조립체(134)에 장착되는 전극판(161, 162, 163, 164)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극판(161-162, 162-163, 163-164, 164-165)은 서로 다른 극성임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5 and 16, an electrode plate mounted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At 161, 162, 163, and 164, the electrode plates 161-162, 162-163, 163-164, and 164-165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re preferably different polarities.

이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극 조립체(132) 및 제 4 전극 조립체(134)의 외주면은 하우징(110)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제 1 전극 조립체(131) 및 제 3 전극 조립체(133)의 외주면은, 제 2 전극 조립체(132) 또는 제 4 전극 조립체(134)의 외경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4,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of a size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10). At the same tim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and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r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of a siz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or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desirable.

한편, 제 3 전극 조립체(133) 및 제 4 전극 조립체(134)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극성의 전원공급단자(150)가 하우징(110)의 일측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제 1 전극 조립체(131)는 제 4 전극 조립체(134)에 장착된 전원공급단자(15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 2 전극 조립체(132)는 제 3 전극 조립체(133)에 장착된 전원공급단자(15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Meanwhile, power supply terminals 150 having different polarities may be mounted to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so as to protrude to one outside of the housing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may receive power from the power supply terminal 151 mounted on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and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Power may be supplied from the mounted power supply terminal 152.

이때, 너트(154)는 전원공급단다(151, 152)와 쳬결되어 전극모듈(12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nut 154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ends 151 and 152 to integrally couple the electrode module 120.

이하에서는 각각의 전극 조립체(131, 132, 133, 134)의 구조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each electrode assembly 131, 132, 133, and 134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극 조립체(130: 131, 132, 133, 134)는, 특정 구조의 전극 장착몸체(135: 135-1, 135-2, 135-3, 135-4) 및 전극판(160: 161, 161-1, 162, 163, 164)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15 and 16, each electrode assembly 130 (131, 132, 133, 134),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 of a specific structure (135: 135-1, 135-2, 135-3, 135) -4) and electrode plates 160 (161, 161-1, 162, 163, and 164).

구체적으로, 전극 장착몸체(135: 135-1, 135-2, 135-3, 135-4)는, 소정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된 원판형 구조이고, 중심 부분에 소정 크기의 외경으로 만입되어 전극판 장착홈(136)이 형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극판 장착홈(136)에 전극판(160: 161, 161-1, 162, 163, 164)이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 is a disk-shaped structure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 135-1, 135-2, 135-3, 135-4) is indented with an outer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in the center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ounting groove 136 is formed. In this case, the electrode plates 160 161, 161-1, 162, 163, and 164 may be stably mounted in the electrode plate mounting grooves 136.

또한, 전극 장착몸체(135)에 형성된 방사형 유동로(14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판(160)이 장착된 전극 장착몸체(135)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시켜 연결하는 관통구조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방사형 유동로(140)를 따라 유동하는 액상물질에 전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전기분해된 반응물질(예를 들어, 차아염소산수, OH-, 수소수, 산소수)의 생성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adial flow path 140 formed in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 passes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electrode mounting body 135 on which the electrode plate 160 is mounted, as shown in FIGS. 12 to 14.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through structure for connecting. In this case, the current can be effectively supplied to the liquid material flowing along the radial flow path 140, thereby improving the generation efficiency of the electrolyzed reactant (eg hypochlorous acid water, OH-, hydrogen water, oxygen water).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방사형 유동로(14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구조 및 절곡된 구조를 동시에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액상물질의 유동에 많은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어, 액상물질에 전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전기분해 작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dial flow path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a radial structure and a bent structure as shown in FIGS. 17 and 18.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a large number of vortices in the flow of the liquid material,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ly the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as a result can maximize the electrolysis a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공기유동장치, 전해액 저장용기,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air flow device,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a humidification device and a reforming device of a specific structure, the air filtration function,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sterilization function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Can provide air purifier.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공기청정기의 일측부에 흡입되는 공기를 최초 여과하는 필터를 장착하고, 공기유동장치에도 필터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공기청정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여과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filter for initially filtering the air sucked into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additionally equipped with a filter in the air flow apparatus, to effectively filter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cleaner Can b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수위측정부재를 전해액 저장용기의 일측부에 장착함으로써, 전해액 저장용기에 수납된 액상물질의 수납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어, 공기청정기 유지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unting the water level measuring member on one 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storage amount of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ir cleaner maintenance more effectively hav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초음파진동자, 분사팬 및 수위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가습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전해액 저장용기 또는 개질화 장치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효과적으로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생성한 후 분사노즐을 통해 안정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humidifying device including a body portion, an ultrasonic vibrator, a spray fan, and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of a specific structure, by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or the reforming device effectively aerosol state After generating a droplet of water can be sprayed stably through the spray nozzl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우징 및 전극모듈을 포함하는 개질화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통전 가능한 액상물질에 전류를 공급하여 차아염소산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고, 액상물질의 개질화를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오염된 공기에 대한 살균소독을 원하는 시기에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clean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forming device including a housing and the electrode module of a specific structure, by supplying a current to the energized liquid material can effectively generate hypochlorous acid wat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nduce nitriding, thereby providing an air cleaner that can properly perform sterilization of contaminated air at a desired time.

또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에 따르면,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온도 검출센서, 습도 검출센서, 냄새 검출센서, 먼저농도 검출센서 및 차아염소산농도 검출센서를 구비하고, 검출센서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유동장치, 가습장치 및 개질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공기의 상태에 따라 공기여과 기능, 가습기능 및 공기 살균소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ir purifi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odor detection sensor, a first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and a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that perform a specific role, and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flow device, the humidifier and the reforming devi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can perform the air filtration function, humidification function and air steriliz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indoor air.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s possible for such modifications to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 공기청정기
201: 전면커버
202: 하우징
203: 후면커버
210: 공기유동장치
211: 블로우 팬
212: 필터
213: 필터
220: 전해액 저장용기
221: 수위측정부재
221-1: 수위측정창
222: 펌프
223: 압축기
230: 가습장치
231: 본체부
232: 초음파진동자
233: 분사팬
234: 분사노즐
235: 수위검출센서
240: 플라즈마 발생장치
250: 제어부
260: 검출센서(261, 262, 263, 264, 265)
261: 온도 검출센서
262: 습도 검출센서
263: 냄새 검출센서
264: 먼지농도 검출센서
265: 차아염소산농도 검출센서
100: 전기적 개질화 장치
110: 하우징
111: 제 1 하우징
112: 제 2 하우징
113: 액상물질 주입구
114: 액상물질 배출구
120: 전극모듈
130: 전극조립체(131, 132, 133, 134)
131: 제 1 전극 조립체
132: 제 2 전극 조립체
133: 제 3 전극 조립체
134: 제 4 전극 조립체
135: 전극 장착몸체(135-1, 2, 3, 4)
135-1: 전극 장착몸체(제 1 전극 조립체의 구성)
135-2: 전극 장착몸체(제 2 전극 조립체의 구성)
135-3: 전극 장착몸체(제 3 전극 조립체의 구성)
135-4: 전극 장착몸체(제 4 전극 조립체의 구성)
136: 전극판 장착홈
137: 관통구
138: 단자인입구
140: 방사형 유동로(전극 조립체 적층면에 형성)
141: 방사형 유동로(하우징 내부면에 형성)
142: 출입유로
143: 유동로(제 2 전극 조립체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
144: 유동로(제 3 전극 조립체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
145: 유동로(제 4 전극 조립체의 중심에 관통되어 형성)
150: 전원공급 단자
151: 어노드 단자(anode terminal)
152: 캐소드 단자(cathode terminal)
153: 단자 홀더(terminal holder)
160: 전극판(161, 161-1, 162, 163, 164의 통칭)
161: 전극판(제 1 전극 조립체의 구성)
161-1: 매쉬부재(제 1 전극 조립체의 구성)
162: 전극판(제 2 전극 조립체의 구성)
163: 전극판(제 3 전극 조립체의 구성)
164: 전극판(제 3 전극 조립체의 구성)
165: 전극판(제 4 전극 조립체의 구성)
170: 실링부재
200: air cleaner
201: front cover
202: housing
203: rear cover
210: air flow device
211: blow fan
212: filter
213: filter
220: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1: water level measuring member
221-1: Level measurement window
222: pump
223: compressor
230: humidifier
231: main body
232: ultrasonic vibrator
233: injection fan
234: spray nozzle
235: water level sensor
240: plasma generator
250: control unit
260: detection sensor (261, 262, 263, 264, 265)
261: temperature sensor
262: humidity sensor
263: odor detection sensor
264: dust concentration sensor
265: hypochlorite concentration sensor
100: electrical reforming device
110: housing
111: first housing
112: second housing
113: liquid material inlet
114: liquid substance outlet
120: electrode module
130: electrode assembly (131, 132, 133, 134)
131: first electrode assembly
132: second electrode assembly
133: third electrode assembly
134: fourth electrode assembly
135: electrode mounting body (135-1, 2, 3, 4)
135-1: electrode mounting body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5-2: electrode mounting body (constitu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5-3: electrode mounting body (constitution of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5-4: electrode mounting body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6: electrode plate mounting groove
137: through hole
138: terminal inlet
140: radial flow path (formed on the electrode assembly stacking surface)
141: radial flow path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42: flow passage
143: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44: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45: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50: power supply terminal
151: anode terminal
152: cathode terminal
153: terminal holder
160: electrode plate (161, 161-1, 162, 163, 164 collective name)
161: electrode plate (configura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61-1: mesh member (constitution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62: electrode plate (constitu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63: electrode plat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64: electrode plate (configuration of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65: electrode plate (configuration of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70: sealing member

Claims (16)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 중 이물질을 제거한 후 여과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청정기(200)로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 후 일측방으로 배출하는 공기유동장치(210);
상기 공기청정기에 장착되고, 내부에 통전 가능한 액상물질을 저장하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전해액 저장용기(220);
상기 공기청정기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해액 저장용기(220) 또는 개질화 장치(100)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초음파진동을 이용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장치(230);
상기 공기청정기 내부에 장착되고, 전해액 저장용기(220)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액상물질에 전류를 가하여 액상물질의 화학적 특성을 변경 시킨 후, 개질화된 액상물질을 가습장치(230)에 제공하는 개질화 장치(100);
를 포함하고,
상기 개질화 장치(100)는,
양측에 액상물질 주입구(113) 및 액상물질 배출구(114)가 형성되고, 내부에 전극모듈(12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장착되고, 둘 이상의 전극 조립체(130)가 적층된 구조이며, 액상물질 주입구(113)를 통해 공급된 액상물질이 전극 조립체(130)의 표면을 지나 액상물질 배출구(114)로 유동할 수 있도록, 적층면을 따라 방사형 유동로(140)가 형성된 전극모듈(120);
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모듈(120)은,
액상물질 주입구(113)와 대향하는 최외곽에 배치되고, 액상물질 주입구(113)로부터 공급된 액상물질과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161)이 장착되고, 타측면에 중심 방향으로 유동로(140)가 형성된 제 1 전극 조립체(131);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131)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1 전극 조립체(131)와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162)이 장착되고, 타측면에 중심 방향으로 유동로(1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에 타측면으로 관통된 유동로(143)가 형성된 제 2 전극 조립체(132);
상기 제 2 전극 조립체(132)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2 전극 조립체(132)와 대향하는 면에 전극판(163)이 장착되고, 중심으로부터 방사형 유동로(140)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전극판(164)이 장착된 제 3 전극 조립체(133); 및
상기 제 3 전극 조립체(133)와 인접하여 적층되고, 제 3 전극 조립체(133)와 대향하는 면에 방사형 유동로(140)가 형성되며, 타측면에 전극판(165)이 장착된 제 4 전극 조립체(134);
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전극 조립체(132) 및 제 4 전극 조립체(134)의 외주면은 하우징(110)의 수납공간과 대응되는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131) 및 제 3 전극 조립체(133)의 외주면은, 제 2 전극 조립체(132) 또는 제 4 전극 조립체(134)의 외경보다 소정 길이만큼 작은 크기의 외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로 다른 외경을 갖는 전극 조립체(130)가 적층되어 형성되는 단차 부위에는, 전극 조립체(130) 사이로 액상물질이 주입 또는 배출될 수 있는 출입유로(1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As the air cleaner 200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by inhaling the air to discharge the filtered air,
An air flow apparatus (210) mounted inside the air cleaner, and configured to suck air from the outside and discharge the air to one side;
An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mounted to the air cleaner, and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a liquid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therein;
A humidifier 230 mounted inside the air cleaner and configured to humidify the air discharged using ultrasonic vibration by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or the reforming apparatus 100;
Mounted inside the air cleaner, receiving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to apply a current to the liquid material to change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liquid material, to provide a modified liquid material to the humidifier 230 Reforming apparatus 100;
Including,
The reforming apparatus 100,
A housing 110 in which a liquid material injection hole 113 and a liquid material discharge port 114 are formed at both sides, and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module 120 is formed therein; And
Mounted inside the housing 110, the two or more electrode assembly 130 is a stacked structure, the liquid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liquid material inlet 113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electrode assembly 130, the liquid material outlet 114 Electrode module 120 has a radial flow path 140 is formed along the laminated surface to flow to);
Including,
The electrode module 120,
It is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facing the liquid material injection port 113, the electrode plate 161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liquid material supplied from the liquid material injection port 113, the flow path 140 in the center direction on the other side A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formed thereon;
Stacked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the electrode plate 162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the flow path 14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center direction A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having a flow path 143 penetrated to the other side at the center thereof;
Stacked adjacent to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the electrode plate 163 is mounted on a surface facing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a radial flow path 140 is formed from the center, on the other side A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on which the electrode plate 164 is mounted; And
The fourth electrode is stacked adjacent to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the radial flow path 140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the electrode plate 165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Assembly 134;
Inclu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ar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11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and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r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or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tepped portion formed by stacking the electrode assemblies 130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an air passage 142 through which the liquid material is injected or discharged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 assemblies 130.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장치(210)는,
공기청정기의 일측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의 블로우 팬(211); 및
상기 블로우 팬(211)의 일측부 또는 양측부에 장착되고, 블로우 팬(211)으로 인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2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flow device 210,
A blow fan 211 configured to suck air from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A filter 212 mounted to one or both sides of the blow fan 211 and filtering air introduced into the blow fan 211;
Air purifier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부에는, 블로우 팬(211)에 장착된 필터(2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필터(213)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2,
One side of the air cleaner,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213) is further mounted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lter (212) mounted on the blow fan (2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220)에 수납되는 액상물질은, 수돗물 또는 식염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liquid substance contained in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ap water or salin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저장용기(220)의 일측부에는, 전해액 저장용기(220)의 수납공간 내부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수납량을 측정할 수 있는 수위측정부재(22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the ai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level measuring member 221 that can measure the amount of storage of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is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30)는,
전해액 저장용기(220) 또는 개질화 장치(100)로부터 액상물질을 제공받아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하는 본체부(231);
상기 본체부(231) 하부면에 장착되고, 본체부(231) 내부에 수납된 액상물질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생성하는 초음파진동자(232); 및
상기 본체부(231)의 상부에 장착되고, 에어로졸 상태의 물방울을 분사노즐(234)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분사팬(23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umidifier 230,
A main body part 231 which receives a liquid material from the electrolyte storage container 220 or the reforming apparatus 100 and stores the liquid material in an inner storage space;
An ultrasonic vibrator 232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231 and generating ultrasonic water droplets by applying ultrasonic vibration to the liquid material contained in the main body 231; And
An injection fan 233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231 and discharging water droplets in an aerosol state to the outside through an injection nozzle 234;
Air purifier comprising a.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장치(230)는,
상기 본체부(231)의 내부에 장착되고, 본체부(231) 내부 수납공간에 저장된 액상물질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센서(2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humidifier 230,
The air cleaner is mount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231, and further comprising a water level detection sensor (235) for detecting the level of the liquid material stored in the main compartment (231) receiving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조립체(131), 제 2 전극 조립체(132), 제 3 전극 조립체(133) 및 제 4 전극 조립체(134)에 장착되는 전극판(161, 162, 163, 164)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극판(161-162, 162-163, 163-164, 164-165)은 서로 다른 극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electrode plates 161, 162, 163, and 164 mounted to the first electrode assembly 131, the second electrode assembly 132, the third electrode assembly 133, and the fourth electrode assembly 134, adjacent to each other. Electrode plates (161-162, 162-163, 163-164, 164-165) are arranged to have different polarities of ai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200)는,
여과된 공기가 배출되는 위치에 장착되고, 배출되는 공기에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재차 공기여과를 수행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2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leaner 200,
A plasma generator 240 mounted at a position where the filtered air is discharged, and generating a plasma in the discharged air to perform air filtration agai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200)는,
상기 공기청정기(200)의 일측에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값을 바탕으로 공기유동장치(210), 가습장치(230) 및 개질화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cleaner 200,
A control unit 250 mounted to one side of the air cleaner 200 and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air flow apparatus 210, the humidifier 230, and the reforming apparatus 100 based on an input value input from an operator;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기(200)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센서(261);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 검출센서(262);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 중에 함유된 냄새 농도를 검출하는 냄새농도 검출센서(263); 및
상기 공기청정기의 일측에 장착되고, 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입자의 농도를 검출하는 먼저농도 검출센서(264); 및
상기 가습장치(230)와 인접하여 장착되고, 가습장치(230)에 공급된 액상물질의 차아염소산 농도를 검출하는 차아염소산농도 검출센서(26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검출센서(261, 262, 263, 264, 265)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기유동장치(210), 가습장치(230) 및 개질화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air cleaner 200,
A temperature detection sensor 261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for detecting a temperature of air;
A humidity detection sensor 262 mounted to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detecting humidity of air;
An odor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263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and detecting an odor concentration contained in air; And
A first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264 mounted on one side of the air cleaner to detect a concentration of dust particles contained in the air; And
A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detection sensor 265 mounted adjacent to the humidifier 230 and detecting a hypochlorous acid concentration of the liquid substance supplied to the humidifier 230;
More,
The controller 250 operates the air flow apparatus 210, the humidifier 230, and the reforming apparatus 100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s 261, 262, 263, 264, and 265.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검출센서(261, 262, 263, 264, 265)를 통해 획득한 데이터와 식중독 지수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질화 장치(100)를 작동시켜 차아염소산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ler 250 generates hypochlorous acid by operating the reforming apparatus 100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detection sensors 261, 262, 263, 264, and 265 and the food poisoning index data. Air cleaner.

KR1020170146881A 2017-11-06 2017-11-06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KR1020023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81A KR102002318B1 (en) 2017-11-06 2017-11-06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881A KR102002318B1 (en) 2017-11-06 2017-11-06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1A KR20190052191A (en) 2019-05-16
KR102002318B1 true KR102002318B1 (en) 2019-10-02

Family

ID=66671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881A KR102002318B1 (en) 2017-11-06 2017-11-06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3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693B1 (en) * 2019-11-19 2023-03-10 주식회사 플라리트 Air washer
KR102251395B1 (en) * 2020-01-21 2021-05-12 주식회사 그린온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nd system for disinfecting boarding Bridg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boarding Bridge and boarding Bridge
CN111947250A (en) * 2020-08-20 2020-11-17 河南省万聚源医疗器械有限公司 A anion air purifier device for intelligent hou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45B1 (en) * 2009-03-04 2009-11-19 조금일 Unit for creating sterilized water, cartridge therefor and disinfection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KR200452461Y1 (en) * 2010-02-11 2011-02-25 나현기 humidifier
KR101507559B1 (en) * 2014-06-11 2015-03-31 (주)메가이엔씨 Hybrid Module for Cleaning Environmental Air Having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Micro-particle Spraying Function Using Reaction of Air and Liquid Plasm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2887A (en) * 1992-02-03 1994-10-21 Tatsuo Okazaki Electrolytic cell unit of continuous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device
KR20130114311A (en) 2012-04-09 2013-10-18 한국돌기 주식회사 Sterilized humidifier of supplying sterilized vap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45B1 (en) * 2009-03-04 2009-11-19 조금일 Unit for creating sterilized water, cartridge therefor and disinfection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KR200452461Y1 (en) * 2010-02-11 2011-02-25 나현기 humidifier
KR101507559B1 (en) * 2014-06-11 2015-03-31 (주)메가이엔씨 Hybrid Module for Cleaning Environmental Air Having Sterilization, Deodorization and Micro-particle Spraying Function Using Reaction of Air and Liquid Plasm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1A (en)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7525C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ducing nitrogen oxide
KR102002318B1 (en) Air Cleaner Having Electrolysis Reactor
ES2393312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enclosed spaces
US10039850B2 (en)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s
JP6802224B2 (en) Water electrolyzer
KR100872243B1 (en) Air sterilization device
KR101943937B1 (en) An air cleaner
KR101111388B1 (en) A Portable Sterilizer Using Hydrogen Peroxide Vapor
WO1997034643A1 (en) Ozone sterilizer and generator
US20170370013A1 (en) Ozone Generator System
KR20130114311A (en) Sterilized humidifier of supplying sterilized vapor
JP7431421B2 (en) Plasma sterilized water generator
KR102251395B1 (en) Air cleaning and sterilization device and system for disinfecting boarding Bridge and method for disinfecting boarding Bridge and boarding Bridge
TWM643168U (en) Hydrogen water generator and hydrogen gas generating system with alarm function
KR100827384B1 (en) Electrolytic sterilizer
KR101336896B1 (en) Humidifier
US10435314B2 (en) Liquid treatment apparatus
US202003605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aporized hydrogen peroxide cleaning of contents of a chamber of a container
TW202206119A (en) Sanitisation system and method
JP4721932B2 (en) Disinfection device
WO2019012479A1 (en) Sterilization device and method
KR20220097604A (en) Air-cleaning sterilizer
CN219713740U (en) Refrigerator with a refrigerator body
JP7389429B2 (en) Plasma sterilized water generator
US20240131214A1 (en) A combined airborne sterilizer using plasma and vhp and its opera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5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7

Effective date: 2019031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