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166B1 - 윈도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윈도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166B1
KR102002166B1 KR1020170169601A KR20170169601A KR102002166B1 KR 102002166 B1 KR102002166 B1 KR 102002166B1 KR 1020170169601 A KR1020170169601 A KR 1020170169601A KR 20170169601 A KR20170169601 A KR 20170169601A KR 102002166 B1 KR102002166 B1 KR 102002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window frame
filter unit
filter
outsi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9170A (ko
Inventor
최찬우
김수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이알
Priority to KR102017016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1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Abstract

외부와의 단열과 기밀이 신뢰성 잇게 유지되고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과 연계되어 외부로의 공기 유입이 제어되는 윈도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필터장치는, 창틀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된 외면을 구비한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흡입 팬과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동유닛,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1차로 여과되는 제1필터유닛, 및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2차로 여과되는 제2필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유닛은 상기 외부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댐퍼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윈도 필터장치{Filter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윈도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와의 단열과 방음이 신뢰성 있게 유지되고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한꺼번에 필터링할 수 있는 윈도 필터장치에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 공기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공기가 오염되고 이렇게 오염된 공기 속의 각종 먼지, 미생물들은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주로 창문을 열어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는데,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는 경우에 강한 바람이 유입되거나 외부의 빗물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고, 박테리아나 세균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나 매연이 함유된 공기가 실내로 바로 유입되기 때문에 환기에 의해 오히려 실내 공기가 더 나빠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틀과 창유리 사이에 환기장치를 설치하여 자연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전후로 관통된 공기통로와, 공기통로를 개폐하여 환기조절을 하기 위한 환기조절구와, 실외 공기 내에 함유된 오염물질 및 빗물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그릴 등이 설치된 구성의 창호용 환기장치가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창호용 환기장치의 예로는, 특허 제1111171호와 제1360504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창호용 환기장치는, 주로 유입되는 공기의 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관련하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독성정보"를 참조하면,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대기 중보다 2~3배 높으면 20% 이상의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고, 6배 이상의 농도에서는 오심과 두통을 느끼며, 1%의 농도에서는 졸음을 느끼고, 7~10%의 농도에서는 현기증, 시각장애, 의식불명을 일으킨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창틀의 사이즈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창틀에 설치하는 것과 분리하는 것이 어렵고, 일반 사용자가 필터를 교환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단열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기장치가 구동되지 않을 때,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중 창호의 경우, 외부의 창틀에 환기장치를 설치하는데, 환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내부의 창틀에 관통구멍을 뚫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의 이산화탄소나 유해 가스의 농도와 연계되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제어되는 윈도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되지 않을 때 외기가 유입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윈도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창틀에 설치와 분리가 용이한 윈도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와의 단열과 방음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윈도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창호의 경우 창틀에 전원 라인을 위한 관통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는 윈도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창틀이나 창짝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된 외면을 구비한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흡입 팬과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동유닛;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1차로 여과되는 제1필터유닛; 및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2차로 여과되는 제2필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유닛은 필터와 상기 필터의 후단에서 상기 외부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필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하게, 창틀이나 창짝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된 외면을 구비한 제2윈도 프레임; 및 상기 제2윈도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예비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비체는, 상기 제1 및 제2필터유닛과 동일한 필터유닛을 구비하여 보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댐퍼는, 댐퍼 몸체, 날개, 차단 팬, 온도센서, 및 개폐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몸체는,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바닥에 일부 관통구멍이 형성된 센서수납부, 상기 차단 팬이 설치되고 상하 관통되는 팬 수납부 및 상기 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하 관통되는 날개 수납부로 구획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차단 팬은 상기 날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팬 수납부의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밀어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용전원이 연결되어 직류로 변환하는 어댑터; 상기 창틀의 측면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되고 내부에 판상의 한 쌍의 전원선이 매립되어 인서트 사출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PCB; 및 상기 PCB의 단부에 결합되는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프론트 커버, 상기 프레임의 프레임의 후면에 설치되는 리어 커버, 및 상기 리어 커버의 내측에 결합하는 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리어 커버에는 다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판에는 상기 관통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의 하방에는 유입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실내에 설치된 감지센서로부터 실내 이산화탄소나 유해가스(NOx, SOx) 또는 냄새를 감지하여 필터장치를 구동하여 외부공기를 기설정된 유량으로 유입하여 농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윈도 프레임의 외면에 창틀이나 창짝에 형성된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 창틀이나 창짝에 밀착되어 신뢰성 있는 단열과 방음이 이루어진다.
또한, 리어 커버를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더라고 빗물이 차단판에 부딪혀 차단판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기 때문에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창틀에 따라 굴곡진 커넥터를 적용함으로써, 이중 창호의 경우 창틀에 전원 라인을 위한 관통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윈도 필터장치가 창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윈도 필터장치의 유닛별 분해도이다.
도 2a는 필터유닛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필터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유닛을 보여준다.
도 5는 윈도 필터장치를 적용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윈도 필터장치가 창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윈도 필터장치의 유닛별 분해도이며, 도 2a는 필터유닛의 구조를 보여준다.
통상 윈도(50)는 창짝(52)과 창틀(54)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윈도 필터장치는 창짝(52)과 창틀(54)에 사이의 틈새에 설치되며, 기존의 윈도 구조에도 별도의 부재가 필요 없이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윈도 필터장치(100)는 본체(110)와 예비체(210)로 구성되는데, 본체(110)와 예비체(210)는 각각 윈도 프레임(160, 260)에 결합한 상태에서 한 몸체를 이루어 윈도(50)에 장착된다.
본체(110)는 외부공기의 흡입과 필터링을 수행하도록 구동유닛(120), 필터유닛(300), 및 필터유닛(140)을 구비하며, 이들은 프레임(111) 내에 수납되어 장착된다.
예비체(210)는 구동유닛(120)을 제외하고 본체(110)에 대응하는 필터유닛(300)과 필터유닛(240)을 구비하며, 마찬가지로 이들도 프레임(211) 내에 수납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본체(110)의 일부 유닛이 파손되거나 고장난 경우 예비체(210)의 대응하는 유닛을 분리하여 꺼내어 교체할 수 있고, 파손되거나 고장난 유닛은 임시로 예비체(210)에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실시 예와 달리, 예비체(210)를 프레임(211)으로만 구성하고 프레임(211)에 유리를 끼워 구성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체(110)의 필터유닛(140)은 필터 카트리지(142)와 홀더(144)로 구성되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예비체(210)의 필터유닛(240)도 같은 어셈블리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체(110)의 필터유닛(140)이 파손되면, 예비체(210)의 필터유닛(240)을 통째로 분리하여 교체하게 된다.
필터 카트리지(142)의 필터는, 가령 미세먼지를 걸러주는 특수 대전섬유인 석면섬유로 제작된 여과지인 헤파(HEP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필터유닛(140)이 설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전면에는 프론트 커버(112)가 결합되고, 후면에는 리어 커버(113)가 결합된다.
리어 커버(113)에는 다수의 관통구멍(113a)이 형성되어 구동유닛(120)의 흡입 팬이 구동하면 본체(110) 내부에 음압이 형성됨으로써 외부공기가 관통구멍(113a)을 통하여 유입된다.
리어 커버(113)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판(114)에는 관통구멍(113a)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의 돌기(114a)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돌기(114a)의 하방에는 유입구멍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비가 오면서 바람이 세게 불 경우, 리어 커버(113)의 관통구멍(113a)을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더라고 관통구멍(113a)에 대향하는 돌기(114a)에 빗물이 부딪혀 차단판(114)의 표면을 따라 흐르게 되기 때문에 돌기(114a)의 하방에 형성된 유입구멍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프론트 커버(112)와 필터 카트리지(142) 사이에는 공기가 잘 통하는 방음 부직포를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15는 프레임(111)의 후면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리어 커버(113)를 제외한 부분을 막는 커버를 나타낸다.
상기에서는 본체(110)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동일한 구조가 예비체(210)에도 적용됨을 물론이다.
상기한 것처럼, 본체(110)와 예비체(210)는 각각 윈도 프레임(160, 260)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통상 윈도 프레임(160, 260)을 창호(50)에 먼저 장착하여 고정한 다음, 각 윈도 프레임(160, 260)에 본체(110)와 예비체(210)를 끼워 고정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때, 조립과정에서 본체(110)와 예비체(210)가 윈도 프레임(160, 260)의 외측으로 밀려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윈도 프레임(160, 260)의 외측에는 스톱퍼(162, 213)가 설치될 수 있다.
윈도 프레임(160, 260) 사이에는 간격조절유닛(150)이 설치될 수 있는데, 간격조절유닛(150)의 상세한 구조와 동작은 상기의 특허출원을 참조할 수 있다.
간격조절유닛(150)의 회전판을 돌리면, 분리되어 구성된 상부와 하부의 두 몸체가 각각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본체(110)와 예비체(210)가 각각 상방과 하방으로 이동하여 창호(50)의 틈새를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것처럼, 본체(110)와 예비체(210)는 각각 윈도 프레임(160, 260)에 끼워져 고정되는데, 윈도 프레임(160, 260)의 외면은 창틀이나 창짝에 밀착되는 형상과 크기를 갖기 때문에, 윈도 프레임(160, 260)의 외면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어떠한 창짝이나 창틀 사이에도 정확하게 피팅되어 실내가 외부와 신뢰성 있게 밀폐되어 단열과 방음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윈도 필터장치를 적용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구동유닛(120)은, 상기의 특허출원에 기재된 팬 유닛과 스위치 유닛을 합한 구성으로, 흡입 팬과 팬을 지지하고 배출구멍이 마련된 지지대를 구비하고, 컨트롤러는 다수의 기능 스위치, 구동 상태나 실내 이산화탄소 또는 유해가스의 농도를 지시하는 숫자 또는 기타 구동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LCD를 구비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기능적으로 제어부(10), 전원공급부(20), 무선통신부(30) 및 감지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스위치 신호의 입력에 따라 전원공급부(2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필터장치에 인가하거나 스위치마다 할당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제어부(10)는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가령 구동유닛(120)의 동작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임베드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는 상용전원을, 가령 12V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하고, 무선통신부(30)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제어신호나 휴대폰의 구동 앱에 의한 와이파이 신호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며, 감지부(40)는 온도센서(362)나 감지센서(370)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한다.
감지센서(370)는 실내에 설치되는데, 기설정된 주기로 이산화탄소 농도나 유해가스(NOx, SOx) 농도 또는 냄새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전달한다. 신호의 전달은 유선이나 무선 어느 것도 가능하며, 감지센서(370)는 다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필터유닛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필터유닛(300)은 수납부(312)가 돌출 형성된 주 몸체(310), 한 쌍의 필터(321, 322)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필터 수납몸체(320), 및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는 댐퍼(330)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필터(321, 322)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필터로 구성할 수 있는데, 가령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필터와 박테리아와 세균을 여과하는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유닛(140)의 필터 카트리지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주 몸체(310)의 수납부(312)에는 필터 수납몸체(320)가 끼워져 고정되고, 수납부(312) 위에 댐퍼(330)가 장착된다.
댐퍼(330)는 한 쌍의 필터(321, 322)를 통과하여 댐퍼 몸체(331)의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날개(340)를 제어하여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역할을 한다.
댐퍼(330)는 댐퍼 몸체(331), 날개(340), 차단 팬(360), 온도센서(362), 및 개폐모터(350)를 구비한다.
댐퍼 몸체(331)는 온도센서(362)가 설치되고 바닥에 일부 관통구멍(332a)이 형성된 센서수납부(332), 차단 팬(360)이 설치되고 상하 관통되는 팬 수납부(333) 및 날개(3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하 관통되는 날개 수납부(334)로 구획된다.
온도센서(362)는 관통구멍(332a)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차단 팬(360)은 날개(340)가 닫힌 상태에서 팬 수납부(333)의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도 4는 커넥터 유닛을 보여준다.
커넥터 본체(420)는 창틀(52)의 측면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되는데, 내부에 판상의 한 쌍의 전원선이 매립되어 인서트 사출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커넥터 본체(420)의 일단에는 사용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어댑터(412)가 수납되는 수납부(410)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플렉시블 PCB(430)가 결합되며, 플렉시블 PCB(430)의 단부에는 단자(440)가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420)가 얇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창틀(52)의 측면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지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420)를 끼우 상태에서 창짝(54)을 닫으면 창틀(52)과 창짝(54) 사이에 밀폐가 잘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또한, 필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내부의 창틀에 관통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다.
이하 윈도 필터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필터장치(100)는 실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관계없이 수동으로 제어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구동유닛(120)의 전원 스위치를 눌러 필터장치(100)를 구동시키면 제어부(10)는 흡입 팬을 회전시켜 외부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흡입 팬이 구동하여 필터장치 내부에 음압이 걸리고 외부 공기가 리어 커버(143)의 관통공(143a)으로 유입되어 외부 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나 유해물질은 필터유닛(140)의 필터 카트리지(142)에 구비된 필터를 거치면서 1차 제거되고, 상방으로 흘러 필터유닛(300)으로 유입된다.
상기한 것처럼,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필터유닛(300)의 개폐모터(350)가 날개(340)를 오픈하여 외부공기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흐르도록 한다.
외부 공기가 필터(321, 322)를 통과하면서 유해가스와 박테리아 및 세균이 필터링되어 결과적으로 정화된 공기만이 실내로 유입된다.
한편, 감지센서(370)는 일정한 주기로 이산화탄소나 유해 가스의 농도 또는 냄새를 감지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는데, 가령 설정기준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0)는 구동유닛(120)을 구동하고 현재 상태를 LCD를 통해 표시한다.
외부공기의 유입에 따라, 실내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점차 감소하는데, 감지센서(370)에 주기적으로 감지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준치보다 낮아지면, 제어부(10)는 흡입 팬을 제어하여 정지시킨다.
흡입 팬의 정지와 함께, 필터유닛(300)의 날개(340)가 닫히면서 날개 수납부(334)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완전히 차단된다. 특히, 날개(340)의 가장자리를 고무 패킹으로 감싸 밀폐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필터장치(100)의 정지에도 외부 공기는 일부 유입될 수 있는데, 제어부(10)는 관통구멍(332a)으로 흐르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온도센서(362)로 감지하고 실내에 설치된 온도센서(미도시)가 감지한 값과의 차이를 계산하여 기설정된 값 이상으로 차이가 나면 차단 팬(360)을 구동하여 외부 공기를 밀어냄으로써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
110: 본체
111, 211: 프레임
160, 260: 윈도 프레임
120: 구동유닛
140, 240: 필터유닛
150: 간격조절유닛
210: 예비체

Claims (5)

  1. 윈도 필터장치에서 필터의 후단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데 적용되며,
    댐퍼 몸체, 날개, 차단 팬, 온도센서, 및 개폐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댐퍼 몸체는, 상기 온도센서가 설치되고 바닥에 일부 관통구멍이 형성된 센서수납부, 상기 차단 팬이 설치되고 상하 관통되는 팬 수납부 및 상기 날개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하 관통되는 날개 수납부로 구획되며,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차단 팬은 상기 날개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팬 수납부의 하방으로 공기를 배출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필터장치용 댐퍼.
  2. 창틀이나 창짝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된 외면을 구비한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흡입 팬과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동유닛;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1차로 여과되는 제1필터유닛; 및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2차로 여과되는 제2필터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2필터유닛은 청구항 1의 윈도 필터장치용 댐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필터장치.
  3. 창틀이나 창짝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된 외면을 구비한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흡입 팬과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동유닛;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1차로 여과되는 제1필터유닛;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2차로 여과되는 제2필터유닛; 및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유닛은,
    상용전원이 연결되어 직류로 변환하는 어댑터;
    상기 창틀의 측면 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이 형성되고 내부에 판상의 한 쌍의 전원선이 매립되어 인서트 사출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어댑터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플렉시블 PCB; 및
    상기 PCB의 단부에 결합되는 단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필터장치.
  4. 창틀이나 창짝의 굴곡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굴곡된 외면을 구비한 윈도 프레임; 및
    상기 윈도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흡입 팬과 컨트롤러를 구비한 구동유닛;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1차로 여과되는 제1필터유닛; 및
    상기 제1필터유닛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2차로 여과되는 제2필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2필터유닛은,
    한 쌍의 필터가 적층되어 수납되는 필터 수납몸체가 끼워져 장착되는 수납부가 돌출 형성된 주 몸체; 및
    상기 수납부 위에 장착되는 댐퍼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필터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면서 상기 제1필터유닛과 다른 기능을 하는 필터로 구성하고,
    상기 댐퍼는 상기 한 쌍의 필터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제어하여 차단하거나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윈도 필터장치.
  5. 삭제
KR1020170169601A 2017-12-11 2017-12-11 윈도 필터장치 KR102002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01A KR102002166B1 (ko) 2017-12-11 2017-12-11 윈도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01A KR102002166B1 (ko) 2017-12-11 2017-12-11 윈도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70A KR20190069170A (ko) 2019-06-19
KR102002166B1 true KR102002166B1 (ko) 2019-07-23

Family

ID=67104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01A KR102002166B1 (ko) 2017-12-11 2017-12-11 윈도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418B1 (ko) * 2020-07-13 2022-06-15 임미란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KR102631466B1 (ko) * 2022-06-16 2024-01-31 주식회사 엔이알 외기의 선택적 필터링이 가능한 창문형 복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05Y1 (ko) * 2004-05-14 2004-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제식 환기장치의 장착구
KR100896758B1 (ko) * 2007-08-29 2009-05-11 (주)지에스에이컨설턴트 창문틀 및 창틀형 환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279A (ko) * 2014-07-14 2016-01-22 주식회사 다이나젠 방범 기능 및 제습 기능이 구비된 공기 순환형 환풍장치
KR101897571B1 (ko) * 2016-01-05 2018-09-12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8405Y1 (ko) * 2004-05-14 2004-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강제식 환기장치의 장착구
KR100896758B1 (ko) * 2007-08-29 2009-05-11 (주)지에스에이컨설턴트 창문틀 및 창틀형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70A (ko) 2019-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176B1 (ko) 윈도 필터장치
KR101864160B1 (ko)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200458368Y1 (ko)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CN204460474U (zh) 装在滑动窗的空气净化器
CN205502923U (zh) 整体式智能防雾霾窗
CN204901947U (zh) 室内和室外空气双净化空气净化装置
KR102002166B1 (ko) 윈도 필터장치
CN105987426A (zh) 室内空气质量控制系统
CN105757815A (zh) 一种应用于室内环境的强制清洁空气过滤系统
KR10202288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101993561B1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CN104456815A (zh) 室内空气补给净化系统
CN104456754A (zh) 一种智能空气净化窗及窗用智能空气净化系统
KR102411692B1 (ko) 공기조화장치를 이용한 통합제어형 공기조화시스템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KR102243305B1 (ko) 가정용 에어 샤워기
KR20190123707A (ko) 윈도 필터장치 어셈블리
KR20080047103A (ko)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창호
CN113310156A (zh) 一种室内用超薄型除湿净化装置
KR20190004097A (ko) 창틀부착용 공기정화장치
CN205897489U (zh) 一种双通道空气净化器
CN206131303U (zh) 窗式新风净化器
KR102279407B1 (ko) 환기형 공기청정기
KR102136361B1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CN204987299U (zh) 能装配在集成设备带中的空气净化装置以及集成设备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