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435B1 -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435B1
KR102001435B1 KR1020190037564A KR20190037564A KR102001435B1 KR 102001435 B1 KR102001435 B1 KR 102001435B1 KR 1020190037564 A KR1020190037564 A KR 1020190037564A KR 20190037564 A KR20190037564 A KR 20190037564A KR 102001435 B1 KR102001435 B1 KR 102001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mber
climbing
unit
stick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리 에릭
Original Assignee
리 에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에릭 filed Critical 리 에릭
Priority to KR1020190037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43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4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The system for monitor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cli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iological inform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climber; an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for monitoring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imber and the frontal situation of the climber; a data analysis unit for monitoring the health status of the climber and determining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climb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climber,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limber and the frontal situation of the climbe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data analysis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a uniqu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operation unit may comprise earphones provided in the mask worn by the climber,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ports goggles worn by the climber, a climbing stick body and a climbing stick tip provided on the climbing stick worn by the climber, and an Eisen equipped with the climbing shoes worn by the climber.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safely climb a mountain even on various road surfaces.

Description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biological information of a mountain climber,

본 발명은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산 전 사용자 생체정보 분석 및 등산 중 사용자 생체정보 모니터링에 기반한 시스템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enhancing safety and convenience of a user through system control based on user biometric information analysis before climbing and us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during climbing .

최근 등산객의 조난 사고뿐 아니라, 건강상태가 좋지 않음에도 무리한 등산을 하여 발생하는 건강악화, 저조한 컨디션에서 발생하는 실족 등에 의한 낙상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해빙기 등산로는 잔설과 얼음이 남아있고 산 아래 저지대는 지표면이 녹아 미끄럽기 때문에 낙상사고가 많이 발생한다.In recent years, not only a distress accident of a mountain climber but also a fall in health due to a deterioration in health caused by unreasonable climbing due to poor health condition and a fault occurred in a poor condition have occurred. Especially, there are many residual accidents due to slippery and ice in the melting ice trail and slippery surface of the lowland under the mountain.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공개된 제1020180004684호가 있으며, 이는 정보통신망을 활용하여 등산객의 트레킹 완주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트레킹 완주 인증을 위한 리플렛, 스탬프 등과 같은 소모성 자원의 낭비 및 등산로 상의 인증 장소 설치 없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등산객의 트레킹 완주를 인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트레킹 관리 시스템이 기후 등의 외부 상황에 시시각각 영향을 받는 등산로에서의 돌발 위험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등산객을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 종합하고 인근의 등산객에게 배포하여, 등산객의 안전도를 제고시키고 산행 시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자 하고 있다.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20180004684, which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the trekking completion of a mountain climber using an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It is possible to certify completion of trekking of a climber more conveniently and efficiently without waste of consumable resources and installation of an authentication place on a trai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ekking management system collects and synthesizes real-time information on the unexpected risk factors on the trails that are affected by external circumstances such as the climate in real time and distributes them to the nearby climbers,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ring hiking.

다만 종래의 문헌 대부분이 단순히 등산객의 위치 트래킹에 기반한 정보 분석을 수행하거나, 등산객의 신체정보를 단순 제공하는 정도에 그칠 뿐, 등산객의 생체정보에 기반하여 안전과 편의성을 효율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 등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documents merely perform information analysis based on the position tracking of hikers, or simply provide the physical information of the hiker, so that the safety and convenience can be efficiently increased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hiker And so on.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등산객의 신체로부터 측정된 다양한 생체정보와 등산객의 외부환경 분석을 통해, 등산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등산객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for a climber which can secure the safety of a climber through various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d from the body of a climber,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su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등산객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와, 상기 등산객의 위치정보 및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외부환경 취득부와, 상기 등산객의 생체정보, 상기 등산객의 위치정보 및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등산객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등산객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마스크에 구비된 이어폰,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스포츠 고글에 구비된 정보표시부,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등산스틱에 구비된 등산스틱 몸체 및 등산스틱 팁,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등산 슈즈에 구비된 아이젠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ological inform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hiker, an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for monito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imber and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 data analyzer for monitoring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limb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imber and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climber; And an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wherein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n earphone provided in a mask worn by the climber,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ports goggles worn by the climber, A climbing stick body provided on the climbing stick to be worn and a climbing stick tip, Yonghan may include a Eisen provided on climbing shoes.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는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에 기초하여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를 제어하며,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 및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는 수학식 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Wherein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sense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and the controller controls a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based on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The distance difference of the climbing shoes and the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may have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112019032878046-pat00001
Figure 112019032878046-pat00001

(여기서, L1은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이며, D1은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를 나타낸다.)(Where L1 is a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and D1 i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환경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오르막길이면 상기 등산스틱의 길이가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내리막길이면 상기 등산스틱의 길이가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환경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바위길이면 상기 등산스틱의 지면 착지부에 위치하는 스틸 팁을 고무 팁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산 슈즈의 아이젠을 상기 등산 슈즈의 밑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부환경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바위길이 아니면 상기 등산스틱의 상기 스틸 팁을 상기 고무 팁보다 돌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산 슈즈의 상기 아이젠을 상기 밑창보다 돌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to be shorter than the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if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cquir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is an uphill, The controller controls the climbing stick so that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becomes longer than the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when the climbing stick is long,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el tip so that the steel tip does not protrude from the rubber tip and controls the sole of the climbing shoe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sole of the climbing shoe when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cquir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ring unit is not a rock length, The steel tip of the stick is projected beyond the rubber tip, and the climbing shoe Of the crampons it is possible to control so as to project more than the outso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등산 전, 등산 중 사용자의 생체정보 센싱값에 기반하여 등산객의 건강 상태에 따른 안전한 등산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등산 전 사용자의 생체정보 센싱값에 기반하여 등산스틱의 길이를 적정하게 제어하고, 등산 중 외부환경 취득값에 기반하여 등산스틱 및 등산 슈즈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노면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등산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climbing guide according to a health condition of a climber based on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value of a user during climbing or climbing. Furthermore, by properl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value of the user before climbing and controlling the climbing stick and climbing shoes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value during climbing, the user can safely climb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스포츠 고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등산 슈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등산스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마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등산 전 생체진단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등산 중 생체진단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ither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ports goggle employing a hither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imbing shoes in which a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imbing stick employing a hiking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sk in which a climber'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hill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climbing biomedical diagnosis and control method of a hither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iological diagnosis and control method during climbing of a hitherto bio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the singular forms herein may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text.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hither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등산객(즉, 본 시스템의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110), 등산객이 맞이한 외부환경을 취득하는 외부환경 취득부(120), 수집된 생체정보 센싱값 및 외부환경에 기반하여 등산객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및/또는 위급상황을 인지하는 데이터 분석부(200), 분석된 결과에 기반하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 및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동작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the hill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includes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a hiker (i.e., a user of the present system), an external environment acquiring unit 120 for acquiring an external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a climber, A data analyzer 200 for monitoring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limber based on the collected bio-information sensing value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 or recognizing an emergency situation, a controller 300 for controlling the system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And an operation unit 400 that operates in accordance wit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300.

생체정보 센싱부(110)는 고글 센싱부(111), 제1 및 제2 마스크 센싱부(112, 113), 등산스틱 센싱부(114) 및 슈즈 센싱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may include a goggle sensing unit 111, first and second mask sensing units 112 and 113, a climbing stick sensing unit 114, and a shoes sensing unit 115.

고글 센싱부(111)는, 본 발명의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일 구성일 수 있는, 등산객이 착용하는 스포츠 고글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goggle sensing unit 111 may be disposed in a sports goggles worn by a hiker, which may be a constituent of the hill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

제1 및 제2 마스크 센싱부(112, 113)는, 본 발명의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일 구성일 수 있는, 등산객이 착용하는 마스크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mask sensing units 112 and 113 may be arranged in a mask worn by a climber, which may be a constituent of the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등산스틱 센싱부(114)는, 본 발명의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일 구성일 수 있는, 등산객이 사용하는 등산스틱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climbing stick sensing unit 114 may be disposed on a climbing stick used by a climber, which may be a component of the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do.

슈즈 센싱부(115)는, 본 발명의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일 구성일 수 있는, 등산객이 착용하는 등산 슈즈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shoe sensing unit 115 may be disposed in a mountaineering shoe worn by a climber, which may be a constituent of the hiking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외부환경 취득부(120)는 등산객이 나아갈 길을 모니터링하는 전방 카메라(122) 및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ring unit 120 may include a forward camera 122 for monitoring the path of the climber and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124 for estimating the position of the user.

데이터 분석부(200)는, 생체정보 센싱부(11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초기 건강상태 및 등산 중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사용자 건강상태 모니터링부(210), 생체정보 센싱부(11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와 외부환경 취득부(120)로부터 수집된 사용자의 외부환경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위급상황에 처하였는지 등을 판단하는 외부환경 분석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nalysis unit 200 includes a user health state monitoring unit 210 for monitoring a user's initial health state and a health state during climbing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And an external environment analysis unit 22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user is in an emergency based on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user 110 and the user's external environment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120 can do.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부(200)는 후술할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스포츠 고글(20), 등산 슈즈(30), 등산스틱(40), 마스크(5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에서, 데이터 분석부(200)는 상기 스포츠 고글(20), 등산 슈즈(30), 등산스틱(40), 마스크(50) 외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data analysis unit 200 may be included in any one of the sports goggles 20, climbing shoes 30, climbing sticks 40, and masks 50 with reference to FIGS. 2-6, have. In some other embodiments, the data analysis unit 200 may have a separate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sports goggles 20, the climbing shoes 30, the climbing stick 40, and the mask 50.

제어부(300)는 사용자 건강상태 모니터링부(210) 또는 외부환경 분석부(220)를 통해 전달받은 정보에 기반하여, 동작부(400)의 이어폰(410), 동작부(400)의 정보표시부(420)를 통해 운전자에게 현재의 상황을 보고 내지 경고하거나, 동작부(400)의 등산스틱 몸체(430)의 길이제어, 동작부(400)의 등산스틱 팁(440) 돌출제어, 동작부(400)의 아이젠(450) 돌출제어, 통신모듈(430)의 동작제어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earphone 410 of the operation unit 400 and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400 of the operation unit 400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user health monitoring unit 210 or the external environment analysis unit 220. [ The control of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body 430 of the operation unit 400, the protrusion control of the climbing stick tip 440 of the operation unit 400,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unit 400 (450) protrusion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30), and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communication module (430).

일부 실시예에서, 이어폰(410)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할 마스크(50)에, 정보표시부(420)는 도 2을 참조하여 후술할 스포츠 고글(20)에, 등산스틱 몸체(430) 및 등산스틱 팁(440)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할 등산스틱(40)에, 아이젠(450)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등산 슈즈(30)에 각각 물리적으로 결합된 하드웨어일 수 있다. 통신모듈(460)은 상기 스포츠 고글(20), 등산 슈즈(30), 등산스틱(40), 마스크(50) 각각에 별개로 구성된 하드웨어로서, 상기 스포츠 고글(20), 등산 슈즈(30), 등산스틱(40), 마스크(50) 상호간, 또는 제어부(300)와의 통신을 통해 제어 신호 등의 정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earphone 410 is attached to a mask 5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5, the information display 420 includes a sports goggle 2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2, a climbing stick body 430, The climbing stick tip 440 may be hardware that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climbing stick 4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4 and the eisen 450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climbing shoe 30 to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e communication module 460 is hardware composed of the sports goggles 20, the climbing shoes 30, the climbing sticks 40 and the masks 50, The climbing stick 40, the mask 50, or the control unit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300. [005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스포츠 고글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ports goggle employing a hither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스포츠 고글(20)은 렌즈부(21), 프레임부(22), 걸이부(23), 고글 센싱부(24), 전방 카메라(25) 및 정보표시부(26)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sports goggles 20 include a lens portion 21, a frame portion 22, a hook portion 23, a goggle sensing portion 24, a front camera 25 and an information display portion 26 can do.

렌즈부(21)는 사용자의 좌안, 우안에 대응되는 렌즈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렌즈쌍은 프레임부(2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렌즈부(21)는 반투명 유리 또는 합성 수지재로 구현되어 외부 광을 투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lens unit 21 may be a pair of lenses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eyes of the user, and the pair of lenses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frame unit 22. The lens portion 21 may be formed of translucent glass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as to transmit external light.

일부 실시예에서, 후술할 정보표시부(26)가 HUD(Head Up Display) 방식으로 구현될 경우라면, 렌즈부(21)는, 정보표시부(26)상에 조사되는 사용자 생체정보 등이 렌즈에 맺힐 수 있는 재료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some embodiments, whe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to be described later is implemented by a Head Up Display (HUD) method, the lens unit 21 can display the user biometric information irradiat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It is preferable to be embodied as a material that can be used.

프레임부(22)는 렌즈부(21)를 고정시키며, 프레임부(22)는 렌즈부(21)의 좌우 렌즈쌍 사이에 배치되는 전방 카메라(25)를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The frame section 22 fixes the lens section 21 and the frame section 22 can fix the front camera 25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ight and left lenses of the lens section 21 in a fixed manner.

걸이부(23)는 사용자의 귀에 스포츠 고글(20)이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걸이부(23)는 프레임부(22)의 양 끝단 각각에 힌지 결합된 제1 걸이부(23a) 및 제2 걸이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ok portion 23 can be configured to seat the sports goggles 20 on the user's ears. The hooking part 23 may include a first hooking part 23a and a second hooking part 23b hinged to both ends of the frame part 22, respectively.

제1 걸이부(23a)의 일부 영역에는 고글 센싱부(24)가 내장될 수 있고, 제2 걸이부(23b)의 일부 영역에는 GPS(27)가 내장될 수 있다. 고글 센싱부(24)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생체정보 센싱부(110)의 고글 센싱부(111)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GPS(27)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외부환경 취득부(120)의 GPS(124)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 고글 센싱부(24)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등산 슈즈(30)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고글 센싱부(24)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스포츠 고글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데이터 분석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The goggle sensing unit 24 may be incorporated in a part of the first hooking part 23a and the GPS 27 may be embedded in a part of the second hooking part 23b. The goggle sensing unit 24 may correspond to the goggle sensing unit 111 of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GPS 27 may include the goggle sensing unit 111, And may correspond to the GPS 124 of the base station 120. The goggle sensing unit 24 may includ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distance to the climbing shoe 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goggle sensing unit 24 may be transmitted to the data analysis unit 2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of the sports goggles.

전방 카메라(25)는 렌즈부(21)의 좌우 렌즈쌍 사이에 배치되도록 프레임부(22)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전방 카메라(2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방 카메라(122)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등산객이 나아갈 길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전방 카메라(25)는 등산객이 나아갈 길의 상태가 바위인지, 눈길인지, 빙벽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영상 정보를 취득하여 본 시스템의 데이터 분석부(200, 도 1)로 전송할 수 있다.The front camera 25 can be coupled on the frame portion 22 so as to be disposed between the left and right lens pairs of the lens portion 21. [ The front camera 25 may correspond to the front camera 122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may monitor the route on which the hiker travels. The front camera 25 can acquire image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tate of the road on which the climber is traveling is a rock, an eye, or an ice wall and transmit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to the data analysis unit 200 (FIG. 1) of the present system.

정보표시부(26)는 렌즈부(21)의 일부 영역에서, 사용자의 생체정보 및 현재의 이동정보 등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정보표시부(26)는 HUD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스포츠 고글(20)의 프레임부(22) 상에는 정보표시부(26)상에 사용자 생체정보 등을 조사(illuminate)시키기 위한 정보 조사부(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can output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and current movement information in a part of the lens unit 21 and provide it to the user. In some embodiment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can be implemented by the HUD method. For this purpose, on the frame unit 22 of the sports goggles 20, the user biometric information is illuminat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Not shown) may be includ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등산 슈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limbing shoes in which a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3을 참조하면, 등산 슈즈(30)는 토우 센싱부(32), 패드부(34) 및 아이젠(36)을 포함할 수 있다. 3, the climbing shoe 30 may include a toe sensing portion 32, a pad portion 34, and an eisen 36.

토우 센싱부(32)는 등산 슈즈(30)의 토우(toe)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토우 센싱부(32)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스포츠 고글(20)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거리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e sensing portion 32 may be disposed on the toe region of the climbing shoe 30 and the toe sensing portion 32 may measure the distance to the sports goggles 2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And a distance measuring sensor.

일부 실시예에서, 토우 센싱부(32)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고글 센싱부(24)와 동일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글 센싱부(24)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부(20)의 양 단부 중 사용자의 오른쪽 눈 쪽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 배치된 경우, 토우 센싱부(32)는 오른발 쪽 등산 슈즈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고글 센싱부(24)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프레임부(20)의 양 단부 중 사용자의 왼쪽 눈 쪽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 배치된 경우, 토우 센싱부(32)는 왼발 쪽 등산 슈즈 내에 위치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toe sensing portion 32 may be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goggle sensing portion 24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For example, when the goggle sensing portion 24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rame portion 20 located on the right eye side of the user, as shown in FIG. 2, the toe sensing portion 32 has a right- Can be located within the climbing shoes. 2, the toe sensing unit 32 is disposed at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20, Can be located within the shoes.

고글 센싱부(24)의 거리 측정센서 및 토우 센싱부(32)의 거리 측정센서는 서로 쌍을 이루어서 상호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등산객의 키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of the goggle sensing unit 24 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of the toe sensing unit 32 can be paired with each other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m and thereby estimate the key of the hiker roughly.

패드부(34)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지면으로부터 완충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패드일 수 있으며, 패드부(34)에는 사용자의 발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 센서(35)가 포함될 수 있다.The pad unit 34 may be a pad that functions to buffer the user's sole from the ground. The pad unit 34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35 for measuring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user's foot.

압력 센서(35)는 왼발 쪽 등산 슈즈 및 오른발 쪽 등산 슈즈 각각에 포함되어, 사용자의 양 발 각각으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수집할 수 있다. 압력 센서(35)는 양 발 각각으로부터 전해지는 압력을 수집하여 데이터 분석부(2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분석부(200)는 양쪽 발(또는 양쪽 다리)에 누적되는 피로도를 계산하여 등산 중인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pressure sensor 35 is included in each of the left foot climbing shoe and the right foot climbing shoe so as to collect pressure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user's feet. The pressure sensor 35 may collect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each of the feet and transmit the pressure to the data analyzer 200 through which the data analyzer 200 calculates the fatigue accumulation on both feet (or both legs) Can be provided to the user who is climbing.

상기 토우 센싱부(32) 및 압력 센서(35)는, 도 1의 슈즈 센싱부(115)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toe sensing unit 32 and the pressure sensor 35 may correspond to the shoe sensing unit 115 of FIG.

아이젠(36)은, 패드부(34)의 하측에 위치하는 등산 슈즈(30)의 밑창(sole)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아이젠(36)은 도 1에서 상술한 동작부(400)의 아이젠(450)과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아이젠(36)은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를 통해, 스포츠 고글(20)의 전방 카메라(25)를 통해 모니터링된 지면 상황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카메라(25)를 통해 모니터링된 지면 상황이 빙판길인 경우 아이젠(36)은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를 통해 등산 슈즈(30)의 밑창에서 돌출되도록 제어되고, 전방 카메라(25)를 통해 모니터링된 지면 상황이 바위길인 경우 아이젠(36)은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를 통해 등산 슈즈(30)의 밑창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eeze 36 may be located in the sole region of the climbing shoe 30 located below the pad portion 34. The eigens 36 may correspond to the eigens 450 of the actuating part 4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1. The eigens 36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sports goggles 20 And can adaptively operate according to the ground conditions monitored through the camera 25. [ For example, when the ground condition monitored through the front camera 25 is an ice sheet, the eisen 36 is controlled to protrude from the sole of the climbing shoe 30 throug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300, The control unit 300 can control the eisen 36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soles of the climbing shoe 30.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등산스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limbing stick employing a hiking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등산스틱(40)은 손잡이부(41), 스틱 몸체부(42), 지면 착지부(43)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limbing stick 40 may include a handle 41, a stick body 42, and a ground holding portion 43.

손잡이부(41)는 손잡이부(41)의 일 측면에 위치한 등산스틱 센싱부(44) 및 손잡이부(41)의 상면에 위치한 스위치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등산스틱 센싱부(44)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등산스틱 센싱부(44)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등산스틱(40)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데이터 분석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스위치부(45)는 손잡이부(41)의 상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엄지손가락 등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사용자의 실족 등 위험상황을 판단하기 이전에, 사용자의 스위치 입력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위험상황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 grip portion 41 may include a climbing stick sensing portion 44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ip portion 41 and a switch portion 45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grip portion 41. [ The climbing stick sensing unit 44 may include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collected through the climbing stick sensing unit 44 can be transmitted to the data analysis unit 20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of the climbing stick 40. [ The switch portion 45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portion 41 and can be used as a means for receiving a user's input through the user's thumb or the like. For example, before the climber'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determines a dangerous situation such as a user's fault, the user can determine the dangerous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user inputs a switch.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스틱 몸체부(42)는 손잡이부(41)와 물리적으로 연결된 제1 스틱부(42a) 및 제1 스틱부(42a)로부터 연장되는 제2 스틱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틱 몸체부(4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등산스틱 몸체(430)와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stick body portion 42 may include a first stick portion 42a physically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41 and a second stick portion 42b extending from the first stick portion 42a. The stick body portion 42 may correspond to the climbing stick body 4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2 스틱부(42b)는 제1 스틱부(42a)의 하측에 위치하는 원통형 실린더(C) 내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제2 스틱부(42b)는 제1 스틱부(42a) 내에 위치하는 제어 모터(미도시) 등을 통해서, 상기 원통형 실린더(C)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스틱 몸체부(42)의 총 길이가 조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stick portion 42b can be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cylinder C located below the first stick portion 42a. The second stick portion 42b is slid in the cylindrical cylinder C through a control motor (not shown) or the like located in the first stick portion 42a so that the total length of the stick body portion 42 can be adjusted . ≪ / RTI >

지면 착지부(43)는 고무 팁(43a) 및 스틸 팁(4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round receiving portion 43 may include a rubber tip 43a and a steel tip 43b.

스틸 팁(43b)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고무 팁(43a)을 관통하며 제2 스틱부(42b)의 하측 일부영역까지 연장되는 원통형 관통홀(H)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스틸 팁(43b)은 제2 스틱부(42b) 내에 위치하는 제어 모터(미도시) 등을 통해서, 상기 원통형 관통홀(H)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고무 팁(43a) 보다 돌출되는 위치에 고정되거나, 고무 팁(43a) 보다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steel tip 43b may be positioned in the cylindrical through hole H extending through the rubber tip 43a to a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tick portion 42b as shown in Fig. The steel tip 43b is fixed at a position where it is slid in the cylindrical through hole H and protruded from the rubber tip 43a through a control motor (not shown) or the like located in the second stick portion 42b, It can be controlled to be fixed at a position not protruding beyond the rubber tip 43a.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이 채용된 마스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ask in which a climber'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ployed.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크(50)는 본체부(51), 걸이 끈(52) 및 귀덮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5, the mask 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51, a hooking strap 52, and an ear-

본체부(51)는 사용자의 안면에서 적어도 코와 입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본체부(51)는 본체부(51)의 양 측방에 구비되는 걸이 끈(52)을 사용자의 귀에 걸음으로써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될 수 있다. The main body 51 is formed so as to cover at least the nose and the mouth on the face of the user and the main body 51 is hooked to the user's ear by the hooking cord 5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51, Can be worn on the face.

본체부(51)상 사용자의 입이 위치하는 영역에는, 사용자의 호흡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마스크 센싱부(5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마스크 센싱부 (54)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1 마스크 센싱부(112)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A first mask sensing unit 54 for measuring the respiration rate of the user may be configured in an area where the user's mouth is located on the main body 51. [ The first mask sensing unit 54 may correspond to the first mask sensing unit 112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귀덮개부(53)는 걸이 끈(52)의 일부영역과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귀덮개부(53) 상에는 사용자의 심박수를 측정하는 심박수 측정 센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 센서 등을 포함하는 제2 마스크 센싱부(55)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마스크 센싱부 (55)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2 마스크 센싱부(113)에 대응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ear lid portion 53 may be formed to cover the ear of the user, in combination with a portion of the hooking cord 52. On the ear lid portion 53, a second mask sensing portion 55 including a heart rat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a user's heart rate, a body temperature sensor for measuring a user's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may be configured. The second mask sensing unit 55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mask sensing unit 113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귀덮개부(53) 상에는 사용자에게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이어폰(56)이 구비될 수 있다.On the ear lid portion 53, an earphone 56 may be provided to provide information to the user on the horn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 및 제2 마스크 센싱부(54, 55) 및 이어폰(56)은 본체부(51)상에 구비된 통신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마스크 센싱부(54, 55)를 통해 수집된 사용자의 생체정보가 데이터 분석부(200, 도 1)에 전달될 수 있으며, 이어폰(56)은 제어부(300, 도 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 등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Although not shown, the first and second mask sensing units 54 and 55 and the earphone 5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provided on the main body unit 51. The user's biometric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ask sensing units 54 and 55 can be transmitted to the data analysis unit 200 1) to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적용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hill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포츠 고글(20), 등산 슈즈(30), 등산스틱(40) 및 마스크(50)를 상호 참조하여 설명하며,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sports goggles 20, the climbing shoes 30, the climbing sticks 40 and the masks 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ach other,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reference symbols will be omitted .

도 6을 참조하면,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포츠 고글(20), 등산 슈즈(30), 등산스틱(40) 및 마스크(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climber biomed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may include a sports goggles 20, a climbing shoe 30, a climbing stick 40, and a mask 50.

본 발명의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키를 추정하여 등산스틱(40)의 적정 길이를 결정하고 이에 따라 등산스틱(40)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스포츠 고글(20)에 구성된 거리 측정센서와, 도 3를 참조하여 설명한 등산 슈즈(30)에 구성된 거리 측정센서는 서로의 거리, 즉 스포츠 고글과 등산 슈즈의 거리차(D1)를 측정하여 데이터 분석부(200, 도 1)에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200, 도 1)는 스포츠 고글(20)과 등산 슈즈(30)의 거리차(D1)에 기반하여, 등산스틱의 길이(L1)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 도 1)는 등산스틱(40)이 결정된 등산스틱의 길이(L1)로 조정되도록, 등산스틱(40)의 스틱 몸체부(42, 도 4)를 제어할 수 있다.The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proper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40 by automatically estimating the user's key and automatically adjust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40 accordingly. To this e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constructed in the sports goggles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the distance measuring sensor constructed in the climbing shoe 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i.e., the dista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The difference D1 can be measured and transmitted to the data analysis unit 200 (FIG. 1). The data analyzer 200 (FIG. 1) can determine the length L1 of the climbing stick based on the distance difference D1 between the sports goggles 20 and the climbing shoes 30. 1) controls the stick body portion 42 (FIG. 4) of the climbing stick 40 so that the climbing stick 40 is adjusted to the length L1 of the determined climbing stick.

스포츠 고글과 등산 슈즈의 거리차(D1) 및 등산스틱의 길이(L1)는 아래 수학식 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The distance difference D1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and the length L1 of the climbing stick may have the following relationship (1).

Figure 112019032878046-pat00002
Figure 112019032878046-pat00002

한편,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 등산스틱의 길이(L1)는 사용자가 평지를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구해진 기준 길이이며, 등산 중 나아갈 길의 경사도에 따라 등산스틱의 길이는 달라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gth L1 of the climbing stick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1) is a reference length obtain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ser moves on the flat ground, and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may vary depending on the inclination of the road during climbing.

예를 들어, 스포츠 고글의 전방 카메라(25)에 의해 모니터링된 전방 지면이 오르막길인 경우 제어부는 등산스틱의 길이(L2)를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 등산스틱의 길이(L1)보다 짧게 조정할 수 있다. 또는, 스포츠 고글의 전방 카메라(25)에 의해 모니터링된 전방 지면이 내리막길인 경우 제어부는 등산스틱의 길이(L2)를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 등산스틱의 길이(L1)보다 길게 조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ront surface monitored by the forward camera 25 of the sports goggles is an uphill road, the controller can adjust the length L2 of the climbing stick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L1 of the climbing stick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have. Alternatively, if the front surface monitored by the front camera 25 of the sports goggles is downhill, the controller may adjust the length L2 of the climbing stick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L1 of the climbing stick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 1 above.

한편, 스포츠 고글(20)의 전방 카메라(25)에 의해 모니터링된 전방 지면 상태에 따라 등산 슈즈(30)의 아이젠(36) 및 등산스틱(40)의 스틸 팁(43b, 도 4) 또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고글(20)의 전방 카메라(25)에 의해 모니터링된 전방 지면 상태가 빙판길인 경우, 아이젠(36, 도 3)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등산 슈즈(30)의 밑창에서 돌출되도록 제어되고, 스틸 팁(43b, 도 4)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고무 팁(43a)보다 돌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The eigens 36 of the climbing shoes 30 and the steel tips 43b of the climbing sticks 40 are also controlled according to the front ground state monitored by the front camera 25 of the sports goggles 20 . For example, when the front ground state monitored by the front camera 25 of the sports goggles 20 is an ice sheet, the Eisen 36 (Fig. 3) is projected from the soles of the climbing shoe 30 And the steel tip 43b (FIG. 4) may be controlled to protrude from the rubber tip 43a throug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이와 달리 스포츠 고글(20)의 전방 카메라(25)에 의해 모니터링된 전방 지면 상태가 바위길인 경우, 아이젠(36, 도 3)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등산 슈즈(30)의 밑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되고, 스틸 팁(43b, 도 4)은 제어부의 제어 신호를 통해 고무 팁(43a)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contrast, when the front ground surface monitored by the front camera 25 of the sports goggles 20 is a rocky road, the Eisen 36 (FIG. 3) is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sole of the climbing shoe 30 And the steel tip 43b (FIG. 4) can be controlled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rubber tip 43a through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등산 전 생체진단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7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e-climbing biomedical diagnosis and control method of a hitherto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생체정보 센싱부(110, 도 1)는 등산 전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취득하고(S710), 생체정보 센싱부(110, 도 1)에 의해 취득된 사용자의 생체정보는 데이터 분석부(200, 도 1)에 의해 분석된다(S720). S720 단계에서의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부(300, 도 1)는 상기 스포츠 고글의 정보표시부(26, 도 2) 및/또는 상기 마스크의 이어폰(56, 도 5)을 제어하여, 등산 전 사용자 생체정보에 기초한 목표 운동량을 사용자에게 권고할 수 있다(S730).7,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FIG. 1) acquir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before climbing (S710),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user acquired by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110 (FIG. 1) Is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200 (FIG. 1) (S720). 1) controls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26 (Fig. 2) and / or the earphone 56 (Fig. 5) of the sports gogg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at step S720, The target amount of mo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S730).

이후, 제어부는 등산스틱(40, 도 4)이 S710 단계에서 측정된 스포츠 고글과 등산 슈즈의 거리차(D1, 도 6)에 기반하여 산출된 등산스틱의 길이(L1)가 되도록, 등산스틱의 스틱 몸체부(42, 도 4)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then determines that the climbing stick 40 (FIG. 4) is the length L1 of the climbing stick calculated based on the distance difference D1 (FIG. 6) between the sports goggles measured in step S710 and the climbing shoes The stick body portion 42 (Fig. 4) can be controll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의 등산 중 생체진단 및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8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biological diagnosis and control method during climbing of a hitherto bio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생체정보 센싱부(110, 도 1)는 등산 중인 사용자의 생체정보를 모니터링하고, 외부환경 취득부(120, 도 1)의 GPS(124, 도 1)는 등산 중인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810).8,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FIG. 1) monitors biometric information of a user during climbing, and the GPS 124 (FIG. 1) of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120 The moving speed can be monitored (S810).

생체정보 센싱부(110, 도 1)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체온이 기준치 이하로 판단된 경우, 즉 저체온증으로 판단되면(S820), 제어부(300, 도 1)는 상기 스포츠 고글의 정보표시부(26, 도 2) 및/또는 상기 마스크의 이어폰(56, 도 5)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하산을 권고할 수 있다(S822).The control unit 300 (FIG. 1) displays the information on the sports goggles 26 (see FIG. 1), if the temperature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 FIG. 2) and / or the mask earphone 56 (FIG. 5) to advise the user of the descent (S822).

생체정보 센싱부(110, 도 1)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심박수 및 호흡속도가 기준치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되면(S830), 제어부(300, 도 1)는 상기 스포츠 고글의 정보표시부(26, 도 2) 및/또는 상기 마스크의 이어폰(56, 도 5)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이동속도를 감속시킬 것을 권고할 수 있다(S832).1), the control unit 300 (FIG. 1) determines that the user's heart rate and respiration rate have increased by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rough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110 (FIG. 1) 2) and / or the earphone 56 (FIG. 5) of the mask to slow the movement speed to the user (S832).

데이터 분석부(200, 도 1)는 GPS(124, 도 1)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의 이동속도값이 정상 기준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S840).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이동속도값이 정상 기준범위를 초과하는지 여부는 수직 이동속도값을 모니터링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기준범위는 0 km/h ~ 44 km/h 일 수 있다. 사용자의 이동속도값이 정상 기준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이동속도값이 50 km/h 로 측정된 경우, 데이터 분석부(200, 도 1)는 사용자의 이동이 자신의 의지에 따른 이동이 아닌 추락 등에 의한 이동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신변 확보를 위한 사용자 피드백을 요청할 수 있다(S842). 상기 피드백 요청은 예를 들면 상기 스포츠 고글의 정보표시부(26, 도 2) 및/또는 상기 마스크의 이어폰(56, 도 5)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The data analyzer 200 (FIG. 1) may monitor whether the speed value of the user sensed through the GPS 124 (FIG. 1) exceeds the normal reference range (S840). In some embodiments, whether the user's movement velocity value exceeds the normal reference range can be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vertical movement velocity value. The normal reference range may be 0 km / h to 44 km / h. When the moving speed value of the user exceeds the normal reference range, for example, when the moving speed value of the user is measured at 50 km / h, the data analysis unit 200 (FIG. 1)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ement is caused by a fall rather than a movement due to the user, and the user feedback may be requested (S842). The feedback request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via the information display 26 (FIG. 2) of the sport goggles and / or the earphone 56 (FIG. 5) of the mask.

사용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등산스틱의 스위치부(45)를 통해 상기 피드백 요청을 수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피드백 요청을 수용하지 않으면(S850), 데이터 분석부(200, 도 1)는 사용자가 위험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여 통신모듈(460, 도 1)을 통해 구급대 등에게 응급 구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852). The user can accept the feedback request through the switch 45 of the climbing stic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f the user does not accept the feedback request (S850), the data analysis unit 200 (FIG. 1)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sends an emergency rescue request message to the emergency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460 (S852).

한편, 도 2의 실시예처럼 GPS가 스포츠 고글(20, 도 2)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의 추락상황이 아닌 스포츠 고글을 절벽 등에서 실수로 떨어트린 경우에도 위험상황으로 판단되어 불필요한 응급 구조요청을 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S840 단계에서 GPS에 의해 측정된 이동속도값이 기준치를 초과한 경우라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포츠 고글과 등산 슈즈의 거리차(D1)가 인간의 영역을 벗어난 경우(예를 들어, D1=10 m) 라면, 사용자의 위험상황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S842 단계의 사용자 피드백 요청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S842 단계의 사용자 피드백 요청은 사용자의 이동속도값이 정상 기준범위를 초과함과 동시에 스포츠 고글과 등산 슈즈의 거리차(D1)가 인간의 영역(예를 들어, 0 m < D1 < 3 m) 내에 있는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GPS is located in the sports goggles 20 (FIG. 2)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 for example, when a sports goggle is accidentally dropped from a cliff, You may be asked to rescue.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even if the moving speed value measured by the GPS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n step S840, if the distance difference D1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is out of the human range (For example, D1 = 10 m),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not in a dangerous situation and the user feedback request in step S842 may not be performed. In other words, the user feedback request in step S842 is performed when the moving speed value of the user exceeds the normal reference range and the distance difference D1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is in a human range (for example, 0 m < m). < / RTI &g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따르면, 등산 전, 등산 중 사용자의 생체정보 센싱값에 기반하여 등산객의 건강 상태에 따른 안전한 등산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등산 전 사용자의 생체정보 센싱값에 기반하여 등산스틱의 길이를 적정하게 제어하고, 등산 중 외부환경 취득값에 기반하여 등산스틱 및 등산 슈즈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다양한 노면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등산을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limber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climbing guide according to a health condition of a climber based on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value of a user during climbing or climbing. Furthermore, by properly controlling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value of the user before climbing and controlling the climbing stick and climbing shoes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value during climbing, the user can safely climb .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from an illustrative point of view, not from a restrictive point of view.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등산객의 생체정보를 센싱하는 생체정보 센싱부와,
상기 등산객의 위치정보 및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외부환경 취득부와,
상기 등산객의 생체정보, 상기 등산객의 위치정보 및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등산객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등산객의 위급상황을 판단하는 데이터 분석부와,
상기 데이터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고유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는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마스크에 구비된 이어폰,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스포츠 고글에 구비된 정보표시부,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등산스틱에 구비된 등산스틱 몸체 및 등산스틱 팁, 상기 등산객이 착용한 등산 슈즈에 구비된 아이젠을 포함하고,
상기 생체정보 센싱부는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를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에 기초하여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를 제어하며,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 및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는 수학식 1의 관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112019047392346-pat00003

(여기서, L1은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이며, D1은 상기 스포츠 고글과 상기 등산 슈즈의 거리차를 나타낸다.)
A biometric information sensing unit for sensing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hiker,
An external environment acquisition unit for monitoring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limber and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 data analyzer for monitoring the health condition of the climber based o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climber, the positional information of the climber, and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of the climbe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based on an analysis result of the data analysis unit;
And an operation unit for performing a specific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The operation unit includes an earphone provided in the mask worn by the climber, an information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sports goggles worn by the hiker, a climbing stick body provided on the climbing stick worn by the climber, a climbing stick tip, And an eigene provided in a climbing shoe,
Wherein the bio-information sensing unit sense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a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based on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and the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have the relationship of Equation (1)
Hiker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Equation 1]
Figure 112019047392346-pat00003

(Where L1 is a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and D1 is a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sports goggles and the climbing shoe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환경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오르막길이면 상기 등산스틱의 길이가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보다 짧아지도록 제어하며,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내리막길이면 상기 등산스틱의 길이가 상기 등산스틱의 기본 길이보다 길어지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환경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바위길이면 상기 등산스틱의 지면 착지부에 위치하는 스틸 팁을 고무 팁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산 슈즈의 아이젠을 상기 등산 슈즈의 밑창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상기 외부환경 취득부에 의해 취득된 상기 등산객의 전방 상황이 바위길이 아니면 상기 등산스틱의 상기 스틸 팁을 상기 고무 팁보다 돌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등산 슈즈의 상기 아이젠을 상기 밑창보다 돌출되도록 제어하는,
등산객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to be shorter than the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if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cquir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ring unit is an uphill path and if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is downhill, The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is longer than the basic length of the climbing stick,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teel tip located at the ground landing portion of the climbing stick so as not to protrude from the rubber tip when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cquir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ring unit is a rocky road, And controls the steel tip of the climbing stick to protrude from the rubber tip if the forward situation of the climber acquired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cquiring unit is not a rock length, To protrude from the sole,
Hikers' biometric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KR1020190037564A 2019-03-31 2019-03-31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KR1020014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64A KR102001435B1 (en) 2019-03-31 2019-03-31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564A KR102001435B1 (en) 2019-03-31 2019-03-31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435B1 true KR102001435B1 (en) 2019-07-18

Family

ID=6746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564A KR102001435B1 (en) 2019-03-31 2019-03-31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43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95A (en) * 2015-12-21 2017-06-29 (주)해올 Stick for leisure and system for monitoring user's situation using it
KR20180122865A (en) * 2017-05-04 2018-11-14 맹인영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bio- information acquisi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3995A (en) * 2015-12-21 2017-06-29 (주)해올 Stick for leisure and system for monitoring user's situation using it
KR20180122865A (en) * 2017-05-04 2018-11-14 맹인영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bio- information acqui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96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arly detection of diabetic foot disorders by analyzing foot temperature and vertical and shear forces on feet
US101153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overstriding in runners
US6783501B2 (en) Heart rate monitor and heart rate measuring method
US20180028075A1 (en) De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the heart rate during motion
EP267285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
CN109414608B (en)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WO2016097746A1 (en) Biomechanical analysis
US20220370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movement variables
KR102043104B1 (en) Mo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CN109328094B (en) Mo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WO2014172267A1 (en) Gait and mobility assessment systems and methods
US202203878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atigue and providing coaching in response
EP33557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running technique of a user
KR102001435B1 (en) System for monitoring mountain climber&#39;s biometrics and method thereof
KR102022942B1 (en) The Method of predicting IVLR(instantaneous vertical loading rate) and apparatus for quantifying risk of gait injury using it
CN109314818B (en) Wearable device for activity monitoring
CN113812943A (en) Evalu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for predicting falling risk of patient with sarcopenia
Strohrmann et al. Automated assessment of gait deviation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sing a sensorized shoe and active shape models
KR10186662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nalyzig data for healthcare and smart life-logger
KR1022594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valuating visual field defect using eye-tracking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odina et al. Gait analysis platform for measuring surgery recovery
KR102244768B1 (en) System and Method of Hearing Assistant System of Route Guidance Using Chatbot for Care of Elderly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N110916671A (en) Intelligent running monitoring system
KR20190126751A (en) Mo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JP7211231B2 (en) Heat Stroke Risk Calculation System, Heat Stroke Risk Calculation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