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59B1 - Eyeglasses frame - Google Patents

Eyeglasses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59B1
KR101999859B1 KR1020130024961A KR20130024961A KR101999859B1 KR 101999859 B1 KR101999859 B1 KR 101999859B1 KR 1020130024961 A KR1020130024961 A KR 1020130024961A KR 20130024961 A KR20130024961 A KR 20130024961A KR 101999859 B1 KR101999859 B1 KR 101999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ont frame
spectacle
attached
te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0509A (en
Inventor
유이치 이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Priority to KR102013002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59B1/en
Publication of KR20140110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외측 프레임(20)과, 한 쌍의 안경 렌즈(60)를 구비하는 내측 프레임(50)과, 외측 프레임의 양단부에 힌지(30)를 통해 연결된 템플(31)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50)이 외측 프레임(20)에 부착되고, 외측 프레임(20)에는 내측 프레임(50)에 부착된 안경 렌즈(60)에 대응하여 개구부(40)가 마련되는 것인 안경 프레임을 제공한다.An outer frame 20 and an inner frame 50 having a pair of spectacle lenses 60 and a temple 3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uter frame via a hinge 30. An inner frame 50 is provided, And an opening 40 is provided in the outer frame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pectacle lens 60 attached to the inner frame 50. [

Description

안경 프레임{EYEGLASSES FRAME}Glasses frame {EYEGLASSES FRAME}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템플을 크게 개방한 경우에도, 렌즈의 왜곡이나 파손 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ctacle fr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ctacle frame that does not affect distortion or breakage of the lens even when the temple is largely opened.

일반적으로, 안경 프레임은, 좌우의 렌즈를 유지하는 프론트 프레임과 이 프론트 프레임의 양단부에 힌지를 통해 연결된 템플을 구비하고 있다. 프론트 프레임으로서는, 풀 림 타입(full rim type)(렌즈의 전체 주위로 연장되는 림으로 렌즈를 지지하는 형식)과, 하프 림 타입, 또는 투 포인트로 불리는 림리스 타입(렌즈의 일부를 림으로 지지하고, 렌즈의 다른 부분을 나사 혹은 와이어 또는 스트링으로 지지하는 형식)이 있다. Generally, the spectacle frame includes a front frame for holding left and right lenses and a templ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through a hinge. Examples of the front frame include a full rim type (a type of supporting a lens with a rim extending around the entire lens), a half rim type, or a rimless type called a two-point type , And other parts of the lens are supported by screws, wires or strings).

사용자가 통상 안경 프레임을 사용하고 있을 때, 템플은, 프론트 프레임에 대하여 최대로 개방된 상태(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있다. 한편, 사용자가 안경 프레임을 구입할 때, 템플이 머리 부분에 큰 힘을 미치게 하는 일이 없도록, 또한, 머리 부분에 밀착하도록 프론트 프레임과 템플을 연결하는 힌지의 개방 정도나 템플의 굴곡 정도 등이 조절되어 있다. When the user is normally using the spectacle frame, the temple is in a state of being opened to the maximum with respect to the front frame (maximum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urchases the spectacle frame,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hinge connecting the front frame and the temple,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temple, and the like are adjusted so that the temple does not cause a large force on the head portion, .

그러나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 또는 벗는 경우에, 사용자는, 템플을 무의식적으로 최대로 벌어진 상태보다 더 크게 벌리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안경 프레임을 장기간 사용하고 있으면, 템플이 외측으로 구부러지게 되고, 템플이 점차 머리 부분에 밀착하지 않게 되어, 사용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템플의 과도한 벌어짐에 의해, 때로는 프론트 프레임에 큰 힘이 작용하여, 프론트 프레임의 파손, 나아가서는 렌즈를 파손시키는 일도 있다.However, when wearing glasses or taking off glasses, the user tends to open the temple more than unconsciously at the maximum open position. Therefore, when the spectacle frame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temples are bent outward, and the temples do not gradually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head portion, resulting in hindrance in use. In addition, due to excessive spreading of the temple, a large force sometimes acts on the front frame, sometimes causing breakage of the front frame, and thus damage to the lens.

종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템플을 크게 개방한 경우라도 프론트 프레임이나 렌즈에 힘이 작용하는 일이 없는 안경 프레임(110)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8-76743호 공보 참조). 이 안경 프레임(11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대략 L 자형의 형상을 갖고, 렌즈(160)의 내측부를 유지하는 좌우 한 쌍의 렌즈 스테이(122)와, 이들 한 쌍의 렌즈 스테이(122)를 연결하는 브릿지(123)와, 렌즈 스테이(122)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아암(124)과, 이 연결 아암(124)에 힌지(130)를 통해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템플(131)을 구비하고 있다. 양 렌즈 스테이(122)에는 렌즈(160)를 유지하는 렌즈 스토퍼(162)가 설치된다.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6, there is disclosed an eyeglass frame 110 in which no force acts on a front frame or a lens even when the temple is largely opened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8-76743 ). 6, the spectacle frame 110 has a substantially L-shaped configuration as a whole,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lens stays 122 for holding an inner side portion of the lens 160, A bridge 123 connecting the lens stay 122 and a connecting arm 124 connected to the lens stay 122 and a connecting arm 124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124 via a hinge 130 so as to be rotatable inward and outward And a temple 131 connected thereto. A lens stopper 162 for holding the lens 160 is provided in the both lens stay 122.

여기서, 렌즈(160)는, 렌즈 스토퍼(162)에 의해서, 렌즈 스테이(122)에 원 포인트로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템플(131)을 크게 개방한 경우에도, 양 렌즈(160)에는 거의 힘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템플(131)과 함께, 연결 아암(124)이 탄성을 갖기 때문에, 크게 벌어지는 일이 반복되더라도, 이와 같이 벌어지는 이동은, 템플(131) 및 연결 아암(124)의 탄성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어, 렌즈(160)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또한, 부호 161은, 노즈 패드를 도시한다.Here, the lens 160 is attached to the lens stay 122 by a lens stopper 162 at one point. Therefore, even when the temple 131 is largely opened, little force is applied to the both lenses 160. [ In addition, since the connecting arm 124 has elasticity together with the temple 131, even if the wandering is repeated, the wandering movement can be absorbed by the elasticity of the temple 131 and the connecting arm 124 So that it does not affect the lens 160. Reference numeral 161 denotes a nosepad.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안경 프레임의 구조에서는, 디자인의 범위가 한정되어 있고, 수지제의 풀 림 타입의 프론트 프레임 등에는 응용할 수 없으며, 템플의 벌어짐을 반복하더라도, 렌즈에 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게 하는 기능을 다른 디자인의 안경 프레임에 널리 응용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pectacle frame structure has a limited range of design and is not applicable to a full-rim type front frame made of resin, and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lens from being affected even when the temple is repeatedly opened To be widely applicable to spectacle frames of different design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템플을 크게 개방하는 경우에도, 힘이 거의 작용하지 않는 기능을 갖고 또한 참신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으며, 아울러 어떠한 형식에도 응용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yeglass frame that has a function that hardly acts on the force even when the temple is largely opened, has an innovative design, and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은, 외측 프레임과, 이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해당 외측 프레임에 부착된 내측 프레임과, 외측 프레임에 대하여 내측으로 접혀진 위치와 외측으로 개방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외측 프레임에 부착된 템플을 구비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yeglass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frame, an inner fram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attached to the outer frame, And a temple attached to the outer frame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an open position and an outwardly opened position.

상기 내측 프레임에는 좌우의 안경 렌즈가 부착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내측 프레임에 부착된 좌우의 안경 렌즈에 대응하여 설치된 좌우의 개구부를 갖추고 있다. The left and right spectacle lenses are attached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has right and left openings provided corresponding to right and left spectacle lenses attached to the inner fram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의 개략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안경 프레임의 내측 프레임을 외측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안경 프레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yeglass fram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the spectacle frame of Fig.
Fig. 3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the spectacle frame of Fig. 1;
Fig. 4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inner frame of the spectacle frame of Fig. 1;
Fig. 5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ner frame of the spectacle frame of Fig. 1 is separated from the outer frame. Fig.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yeglass fram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10)을 나타내고 있다. 이 안경 프레임(10)은, 외측 프레임(20)과, 이 외측 프레임(20)의 내측에 부착된 내측 프레임(50)과, 외측 프레임(2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 템플(31)을 구비한다(도 1 참조).1 to 5 show an eyeglass fram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tacle frame 10 includes an outer frame 20, an inner frame 50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20 and a temple 31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outer frame 20 (See Fig. 1).

외측 프레임(20)은, 외측 프론트 프레임(21)과 이 외측 프론트 프레임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결 아암(24)을 구비하고, 내측 프레임(50)은,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을 구비한다.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에는 좌우의 안경 렌즈(60)가 부착되어 있다(도 4 참조).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은, 내측 프레임(50)에 부착된 좌우의 안경 렌즈(60)에 대응하도록 마련된 좌우의 개구부(40, 40)를 갖추고 있다(도 3 참조).The outer frame 20 includes an outer front frame 21 and connecting arms 24 extending rearward from both ends of the outer front frame and the inner frame 50 includes an inner front frame 51 . The right and left spectacle lenses 60 are attached to the inner front frame 51 (see Fig. 4). The outer front frame 21 has left and right openings 40 and 40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spectacle lenses 60 attached to the inner frame 50 (see FIG. 3).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외측 림(22)과, 이들 외측 림(22)을 연결하는 외측 브릿지(23)를 갖는다. 연결 아암(24)은, 좌우의 외측 림(22)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은, 좌우의 안경 렌즈(60)의 각각을 유지하는 좌우의 내측 림(52)과 이들 좌우의 내측 림(52)을 연결하는 내측 브릿지(53)를 갖는다. 좌우의 개구부(40, 40)는,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외측 림(22)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개구부(40)는 외측 림(22)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다. 이들 개구부의 형상은, 안경 렌즈(60)의 형상에 따라서 설정된다. 따라서 안경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내측 프레임(50)의 안경 렌즈(60) 및 외측 프레임(20)의 개구부(40)를 통해서 대상을 볼 수 있다.The outer front frame 21 has left and right outer rims 22 and an outer bridge 23 connecting these outer rims 22 as shown in Fig. The connecting arms 24 extend from the respective ends of the left and right outer rims 22. The inner front frame 51 has left and right inner rims 52 for holding each of the right and left spectacle lenses 60 and an inner bridge 53 fo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inner rims 52. The left and right openings 40, 40 are formed by left and right outer rims 22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In other words, the opening 40 is surrounded by the outer rim 22. The shape of these openings is set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spectacle lens 60. [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spectacle frame, the user can see the object through the spectacle lens 60 of the inner frame 50 and the opening 40 of the outer frame 20.

템플(31)은, 외측 프레임(20)의 연결 아암(24)에 힌지(30)를 통해 내측 및 외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한 쌍의 템플(31)은, 외측 프레임(20)에 대하여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고, 또한 내측으로 접혀질 수 있다.The temple 3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24 of the outer frame 20 via a hinge 30 inwardly and outwardly. Thereby, the pair of temples 31 can be opened to the outside with respect to the outer frame 20, and can also be folded inward.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은, 예컨대,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템플(31)은, 예컨대, 수지로 형성되어 있지만, 금속으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은, 풀 림 타입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하프 림 타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outer front frame 21 is made of resin, for example. Although the temple 31 is made of, for example, a resin, it may be formed of a metal.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outer front frame 21 is shown as a full rim type, but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half rim type.

힌지(30)는, 템플(31)을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부착할 뿐 아니라, 템플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안경 프레임(10)의 사용 상태에서는, 최대로 벌어진 상태 이상으로 회동하지 않게 하고, 미사용 상태에서는, 템플(31)을 내측으로 절첩하여 케이스(도시하지 않음)에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hinge 30 not only rotatably attaches the temple 31 to the outer front frame 21 but also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temple. That is, in the use state of the spectacle frame 10, the temple 31 can be folded inward to be housed in a case (not shown), while being prevented from rotating in a state where it is opened to the maximum, and in an unused state.

상기 실시예에서는, 템플(31)은, 외측 프레임(20)에 대하여, 힌지(30)를 통해 연결되어 있지만, 변형예로서, 힌지(30)에 더하여, 힌지에 인접하여 배치된 탄성부(32)를 통해 연결되더라도 좋다. 여기서, 이러한 탄성부(32)는, 연결 아암(24)의 일부에, 템플(31)의 일부에, 또는 힌지(30) 자체에 설치할 수 있다.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탄성부(32)는, 예컨대, 전체적으로 대략 U 자형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연결 아암(24)에 연결되고, 타단이 힌지(30)를 통해 템플(31)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탄성부(32)의 형상은 U 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S 자형 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탄성부(32)는, 템플(31)이 강하게 개방되거나 접혀지더라도(개폐되더라도), 그 템플의 개폐 동작에 의해서 생기는 충격력을 흡수하여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에 전하는 일이 없도록 적절한 탄성을 갖는다. The temple 31 is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0 via the hinge 30 as a modification. In addition to the hinge 30, the temple 31 is connected to the elastic portion 32 ). Here, the elastic portion 32 can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connecting arm 24, on a part of the temple 31, or on the hinge 30 itself. 1 and 5, the elastic portion 32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U-shape as a whol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arm 24,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hinge (not shown) 30, respectively. Further, the shape of the elastic portion 32 is not limited to the U-shape, but may be an S-shape or the like. The elastic portion 32 absorbs the impact force generat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temple 31 even if the temple 31 is strongly opened or folded (opened or closed), and appropriately resiliently absorbs impact to the outer front frame 21 .

탄성부(32)는, 적어도 10° 이상의 각도로, 탄성 변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안경 프레임(10)을 착용하거나 벗거나 할 때에, 최대로 벌어진 상태보다 한쪽으로 10° 이상 더 개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안경 렌즈(60)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lastic portion 32 is preferably elastically deformable at an angle of at least 10 degrees. Thereby, when the user wears or removes the spectacle frame 10, it is possible to open more than 10 degrees on one side of the state in which the spectacle lens 10 is opened at the maximum, and the spectacle lens 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the lik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50)의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은, 예컨대,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은, 나이롤 타입(하프 림 타입)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풀 림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풀 림 타입이란, 림이 렌즈 전체를 지지하도록 렌즈 전체에 걸쳐 연장되는 형식을 말하고, 나이롤 타입(하프 림 타입)이란, 림이 안경 렌즈의 일부(상부)를 지지하고, 나일론 스트링 등이 안경 렌즈의 다른 부분(하부)을 지지하는 형식을 말한다.As shown in Fig. 4, the inner front frame 51 of the inner frame 50 is made of, for example, metal.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front frame 51 is shown as an age roll type (half rim type), but it may be a full rim type. Here, the full rim type refers to a type in which the rim extends over the entire lens so as to support the entire lens. The nail roll type (half rim type) refers to a type in which the rim supports a part (Lower portion) of the spectacle lens.

도시된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의 내측 림(52)은, 통상의 하프 림 타입보다 짧게 형성되고, 사용자의 코에 가까운 부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내측 림(52)의 길이는 안경 렌즈(60)의 외주의 4분의 1 정도이다. 이러한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은, 안경 렌즈(60)와의 사이에서 형상을 맞추는 부분이 적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안경 렌즈(60)면의 곡률이 큰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된다. The inner rim 52 of the illustrated inner front frame 51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normal half rim type and is formed only of a portion close to the user's nose. That is, the length of the inner rim 52 is about 1/4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pectacle lens 60. This inner front frame 51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case where the curvature of the surface of the spectacle lens 60 is large since the portion of the inner front frame 51 that has a shape matching with the spectacle lens 60 is small.

도 1은, 내측 프레임(50)과 외측 프레임(20)이 고정 기구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내측 프레임(50)을 외측 프레임(2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 기구는, 도시의 실시예에서는, 외측 프레임(20)의 외측 브릿지(23)의 내측면 혹은 후면[내측 프레임(50)의 전면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오목부(25)와, 내측 프레임(50)의 내측 브릿지(53)의 외측면 혹은 전면[외측 프레임(20)의 후면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되고 오목부(25) 내에 삽입되는 볼록부(55)를 포함하고 있다. 외측 브릿지(23)의 상면에서 오목부(25)의 위에 있는 부분에는, 나사 삽입 구멍(41)이 마련되고, 내측 프레임(50)의 볼록부(55)에는, 이 나사 삽입 구멍(41)에 대응하여 나사 구멍(42)이 마련된다. 내측 프레임(50)과 외측 프레임(20)은, 먼저, 볼록부(55)를 오목부(25)에 삽입하고, 계속해서, 나사(43)를 나사 삽입 구멍(41)에 삽입하여 이 나사(43)를 나사 구멍(42)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다른 고정 방법으로서, 볼록부(55)를 오목부(25)에 삽입하기 전에, 적당한 접착제를 볼록부(55)의 주위에 도포한 후, 볼록부(55)를 오목부(25)에 삽입함으로써 볼록부(55)와 오목부(25)를 고정하거나, 혹은 접착제를 미리 오목부(25) 내에 충전한 후, 볼록부(55)를 오목부(25)에 삽입하여 볼록부(55)와 오목부(25)를 고정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43)에 의해서 고정하는 경우에는, 나사(43)를 분리함으로써 내측 프레임(50)을 외측 프레임(2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안경 렌즈(60)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디자인의 내측 프레임으로 교환할 수 있다. Fig. 1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ner frame 50 and the outer frame 20 are connected by a fixing mechanism.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ner frame 50 is separated from the outer frame 20. Fig. In this embodiment, the fixing mechanism includes a recess 25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r a rear surface (a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frame 50) of the outer bridge 23 of the outer frame 20, And a convex portion 55 which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the surface facing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20) of the inner bridge 53 of the frame 50 and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5. A screw insertion hole 41 is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bridge 23 located above the concave portion 25 and a convex portion 55 of the inner frame 50 is inserted into the screw insertion hole 41 A screw hole 42 is provided. The inner frame 50 and the outer frame 20 are formed by first inserting the convex portion 55 into the concave portion 25 and then inserting the screw 43 into the screw insertion hole 41, 43 are screwed into the screw holes 42. As another fixing method, a suitable adhesive is appli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vex portion 55 before inserting the convex portion 55 into the concave portion 25, and then the convex portion 55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5 The convex portion 55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25 after the convex portion 55 and the concave portion 25 are fixed or the adhesive is filled in the concave portion 25 in advance, Thereby fixing the part 25. It is possible to easily separate the inner frame 50 from the outer frame 20 by separating the screws 43. As a result, . ≪ / RTI > It can also be replaced by an inner frame of a different design.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안경 프레임(10)은, 외측 프레임(20)의 외측 브릿지(23)와 내측 프레임(50)의 내측 브릿지(53)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템플(31)은 외측 프레임(20)에 연결되어 있고, 안경 렌즈(60)는 내측 프레임(50)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템플(31)을 크게 개방하더라도, 그 힘이 안경 렌즈(60)에까지 영향을 끼치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30)에 인접하여 탄성부(32)를 설치함으로써, 그 안경 렌즈에 대한 영향을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다. The spectacle frame 10 in this embodiment is connected by the outer bridge 23 of the outer frame 20 and the inner bridge 53 of the inner frame 50. [ The temple 31 is connected to the outer frame 20, and the spectacle lens 60 is attached to the inner frame 50. Therefore, even if the temple 31 is largely opened, the force does not affect the spectacle lens 60.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elastic portion 32 adjacent to the hinge 30 as described above, the influence on the spectacle lens can be further reduced.

또한,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은, 풀 림 타입으로 하거나 하프 림 타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은, 나이롤 타입으로 하거나 풀 림 타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템플(31)은, 수지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금속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디자인이 폭넓은 다양성을 갖추게 된다. Further, the outer front frame 21 can be of a full rim type or a half rim type, and the inner front frame 51 can be of an age roll type or a full rim type. The temple 31 may be made of resin or metal. Thus, the design has a wide variety.

또한, 안경 프레임(10)으로서는, 노즈 패드(61)를 내측 프론트 프레임(51)에 부착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외측 프론트 프레임(21)에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탄성부(32)는, 연결 아암(24)측의 부분을 U 자형으로 했지만, 템플(31)측의 부분을 U 자형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연결 아암(24)의 일부나 템플의 일부를 U 자형의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yeglass frame 10 is an example in which the nose pad 61 is attached to the inner front frame 51. It is also possible to attach the nose pad 61 to the outer front frame 21. [ The resilient portion 32 is U-shaped on the side of the connecting arm 24 but may be U-shaped on the side of the temple 31. A portion of the connecting arm 24, May be U-shap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본 발명은, 실용적이면서 참신한 디자인을 갖추어, 렌즈에 거의 힘을 작용시키지 않으면서 템플을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아울러, 디자인에 관해서, 폭넓은 다양성을 갖출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ide variety of designs with respect to design, becau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actical and novel design so that the temple can be largely opened without applying little force to the lens, Can be provid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o these embodiments.

Claims (10)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에 부착된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 대하여 내측으로 접혀진 위치와 외측으로 개방된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외측 프레임에 부착된 템플
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프레임에는 좌우의 안경 렌즈가 부착되고, 상기 외측 프레임은, 상기 내측 프레임에 부착된 좌우의 안경 렌즈에 대응하여 마련된 좌우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외측 프레임은, 좌우의 개구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된 좌우의 외측 림과, 이들 외측 림을 연결하는 외측 브릿지와, 좌우의 외측 림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각각의 템플에 접속되는 연결 아암을 갖는 외측 프론트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프레임은, 좌우의 안경 렌즈의 각각을 유지하는 좌우의 내측 림과 상기 좌우의 내측 림을 연결하는 내측 브릿지를 갖고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에 부착되는 내측 프론트 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내측 프론트 프레임은,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에 고정 기구에 의해서 부착되고,
상기 고정 기구는,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의 외측 브릿지의 내측면에 마련된 오목부와, 상기 내측 프론트 프레임의 내측 브릿지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도록 한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브릿지의 상면에서 상기 오목부의 위에 있는 부분에 나사 삽입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볼록부에 나사 구멍이 마련되며, 상기 내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은 나사를 상기 나사 삽입 구멍에 삽입하여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 체결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는 것인 안경 프레임.
An outer frame,
An inner frame disposed inside the outer frame and attached to the outer frame,
A frame attached to the outer frame so as to be rotatable between a position fold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outer frame and a position open to the outside,
And,
The left and right spectacle lenses are attached to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has right and left opening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right and left spectacle lenses attached to the inner frame,
The outer frame includes left and right outer rims provided so as to surround left and right openings, an outer bridge connecting the outer rims, an outer bridge extending from each end of the left and right outer rims and having connecting arm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temples And the inner frame has an inner front frame attached to the outer front frame, the inner frame having left and right inner rims for holding the right and left spectacle lenses and an inner bridge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inner rims, ,
Wherein the inner front frame is attached to the outer front frame by a fixing mechanism,
Wherein the fixing mechanism includes a concave portion provid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bridge of the outer front frame and a convex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inner bridge of the inner front frame and adapt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Wherein a screw hole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outer bridge above the concave portion,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convex portion, and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insert a screw into the screw insertion hol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frame by screw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은, 수지제로 형성되는 것인 안경 프레임.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front frame is formed of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론트 프레임은, 금속제로 형성되는 것인 안경 프레임.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front frame is formed of a met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의 각 연결 아암과 각 템플은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인 안경 프레임.The eyeglass frame of claim 1, wherein each connecting arm of the outer front frame and each temple are connected by a hing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은, 풀 림 타입이고, 상기 내측 프론트 프레임은 나이롤 타입인 것인 안경 프레임.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uter front frame is of a full rim type and the inner front frame is of an age roll ty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프론트 프레임의 각 연결 아암과 각 템플은, 이들 사이에 설치된 힌지 외에 더 설치된 탄성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인 안경 프레임.7. 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each connecting arm and each temple of the outer front fram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elastic portion provided in addition to a hinge provided therebetwe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프론트 프레임에 설치된 노즈 패드를 더 구비하는 안경 프레임.The spectacle fram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ose pad provided on the inner front frame.
KR1020130024961A 2013-03-08 2013-03-08 Eyeglasses frame KR1019998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961A KR101999859B1 (en) 2013-03-08 2013-03-08 Eyeglasses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961A KR101999859B1 (en) 2013-03-08 2013-03-08 Eyeglasses fr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509A KR20140110509A (en) 2014-09-17
KR101999859B1 true KR101999859B1 (en) 2019-07-12

Family

ID=51756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961A KR101999859B1 (en) 2013-03-08 2013-03-08 Eyeglasses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5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380B2 (en) * 1992-06-30 2001-01-15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ar operation panel
KR200363963Y1 (en) 2004-07-01 2004-10-07 신홍균 A glasses
KR200367353Y1 (en) 2004-08-16 2004-11-10 최운택 Glasses having multi-purpo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380U (en) * 2006-05-11 2006-08-17 長谷川眼鏡株式会社 glasses
KR20090112965A (en) * 2008-04-25 2009-10-29 가부시키가이샤 훠 나인즈 Eyeglass fr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4380B2 (en) * 1992-06-30 2001-01-15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ar operation panel
KR200363963Y1 (en) 2004-07-01 2004-10-07 신홍균 A glasses
KR200367353Y1 (en) 2004-08-16 2004-11-10 최운택 Glasses having multi-purpo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509A (en)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5363B1 (en) Hinge system for eyewear
US9256080B2 (en) Receptor and lock for glasses with removable lenses
JP2002014303A5 (en)
JP3040995B1 (en) Eyeglass lens fastening mechanism
KR102144105B1 (en) Set of Eyeglasses and optical aid device
US9052532B2 (en) Eyeglass frame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KR101979461B1 (en) Eyeglasses frame
KR101999859B1 (en) Eyeglasses frame
JP2004280046A (en) Eyewear product including two lenses and two rearwardly extending temple members
US9116362B2 (en) Eyeglass frame
KR102234023B1 (en) Glasses with improved fixing power of lenses
JP2007316530A (en) Glasses frame
KR200335219Y1 (en) The lenght-variable device of sunshade clip for spectacles
JP2002082319A (en) Spectacle frame
EP2778768B1 (en) Eyeglass frame
JP5190533B2 (en) Eyeglass frames
JP4664401B2 (en) Length-adjustable temple and glasses provided with the temple
KR101870528B1 (en) Assembly type glasses
EP2778748B1 (en) Eyeglass frame
KR100922012B1 (en) Auxiliary glasses unit
KR101961352B1 (en) Detachable sunglasses for eyeglasses
JP4824474B2 (en) Eyeglass frames
JP3583768B2 (en) Glasses with screwless hinges
JP3013908U (en) Spiral joint structure for eyeglass fr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