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40B1 -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 Google Patents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40B1
KR101999840B1 KR1020190046883A KR20190046883A KR101999840B1 KR 101999840 B1 KR101999840 B1 KR 101999840B1 KR 1020190046883 A KR1020190046883 A KR 1020190046883A KR 20190046883 A KR20190046883 A KR 20190046883A KR 101999840 B1 KR101999840 B1 KR 101999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d
heating element
vagina
pr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남
박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진테크
김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진테크, 김상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진테크
Priority to KR102019004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 A61B5/4306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reproductive systems for evaluating the female reproductive systems, e.g. gynaecological evaluations
    • A61B5/4318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 A61B5/4337Evaluation of the lower reproductive system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2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internal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1/00Massage devices for cavities of the body, e.g. nose, ears and anus ; Vibration or percussion related aspects A61H23/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M11/04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 A61M11/041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 A61M11/042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operated by the vapour pressure of the liquid to be sprayed or atomised using heaters elect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7/02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intracavi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61H2201/105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with means for delivering media, e.g. drugs or cosm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7Geni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2Materials for reducing fri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4Female reproductive, genital organs
    • A61M2210/1475Vagin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로서, 팬의 회전으로 송풍관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된 상태로 쑥 추출물을 포함한 패드 및, 상기 패드를 통과한 공기를 임시 저장하는 챔버 및, 상기 팬과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본체;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챔버와 내통된 상태로 질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를 질내에 분사하는 분사로를 복수 개로 구비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Fumigation Apparatus for Women Disease}
본 발명은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훈증장치를 질 내부에 삽입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훈증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은 신체 구조의 특성으로 생식기나 항문 질환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여성들의 생식기에 발생하는 냉, 대하, 월경불순 등의 질환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훈증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훈증장치는 회음부 및 항문에 훈증을 쏘는 장치로서, 훈증장치는 습식, 건식, 원적외선 등을 이용한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훈증장치는 증기나 열기를 여성의 회음부나 항문에 쏘아주어 살균 및 소독 기능을 제공하며, 온열기능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킨다. 더불어, 쑥과 같은 약재를 훈증하여 사용함으로써 여성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준다. 나아가, 훈증장치는 가정에서 쉽게 사용이 가능하여, 가정에서도 여성 질환을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예로, 훈증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308642호(발명의 명칭 : 쑥찜질 장치)는 쑥이 연소하면서 발생하는 훈증으로 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훈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여성들이 냉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과 같은 여성병을 치료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쑥찜질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쑥찜질 장치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쑥찜질이 가능하도록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쑥을 훈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찜질바디와; 상기 찜질바디의 하단부와 하측부위에는 쑥찜질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다수개의 통기개구와 통기공; 상기 찜질바디의 내부 하측에 형성하는 유지림의 중앙위치에는 전, 후에 위치하여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한 쌍의 훈증관과; 상기 훈증관의 상단에 훈증(熏蒸)할 쑥을 담을 수 있도록 착탈 가능케 구비되는 쑥용기와; 상기 찜질바디의 상측에는 뚜껑을 겸하면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하방으로 요입시켜 결합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중앙부위에는 하방으로 일체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결합관과; 상기 결합관에 훈증(熏蒸)이 좌판의 상방으로 토출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훈증토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찜질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쑥을 훈증하여 생리불순이나 자궁출혈과 같은 여성질환의 치료를 도와주며 가정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훈증된 공기가 질 내부에 직접적으로 훈증되지 않아 훈증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적이 작아 사용이 용이할 뿐 아니라 질 내부에 직접적으로 훈증하여 훈증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훈증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훈증장치에 프로브를 추가하여 질 내에 삽입하여 공기를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훈증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훈증장치의 체적을 최소화하며 안정적인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질 내의 압력을 조절해 주는 압력조절로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훈증장치가 질 내에 삽입될 때 질벽과 훈증장치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는 카본 코어가 함입된 윤활 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로서, 팬의 회전으로 송풍관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된 상태로 쑥 추출물을 포함한 패드 및, 상기 패드를 통과한 공기를 임시 저장하는 챔버 및, 상기 팬과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본체;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챔버와 내통된 상태로 질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를 질내에 분사하는 분사로를 복수 개로 구비한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드는, 유칼립투스 오일과 맨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발열체는, 판상체로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송풍관의 단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에 발생된 중공에 상기 발열체를 끼움 지지하는 발열체 지지부와, 상기 발열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지지대를 구비하여, 송풍관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발열체 및 상기 패드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프로브는, 몸체와,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내통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관통로 및, 상기 관통로의 단부에서 확공 처리된 확공로로 이루어진 공기 전달관 및, 상기 확공로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분사로를 구비한 토출 헤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에 의하면,
1) 프로브를 구비함으로써, 질 내에 훈증장치에서 발생된 공기를 직접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서 훈증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고,
2) 이로써, 훈증장치의 체적을 최소화하여 가정용이나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3) 압력조절로를 구비함으로써, 질 내부의 압력이 높아졌을 때 공기를 질 밖으로 빼주어 질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
4) 윤활 처리부를 추가함으로써, 훈증장치가 질 내에 삽입될 때 질벽과 훈증장치 사이의 마찰을 줄여 질에 상처가 나지 않도록 원활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관을 통해 연결된 본체 일부 구성과 프로브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브의 몸체에 윤활 처리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프로브의 추가 실시예와 컨트롤러의 연동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훈증장치는 본체(100)와 프로브(2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본체(100)의 외관을 살펴보면, 본체(100)는 직육면체 기타 다양한 형상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케이스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케이스는 공기를 훈증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는 충분한 체적을 가진다.
이러한 본체(100)의 외관에는 작동 버튼(101), 전원장치(102), 공기 유입구, 공기 분출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작동 버튼(101)은 훈증장치를 ON/OFF 시키거나 훈증장치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컨트롤러(300)와 연동되어 훈증장치의 구동을 제어한다. 더불어, 전원장치(102)는 본체(100)의 내부와 연결되어 훈증장치에 전원을 공급한다. 나아가, 본체(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0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공기 유입구(103)는 훈증을 발생시키기 위해 외부 공기를 본체(100) 내부로 공급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본체(100)에는 훈증된 공기를 프로브(200)로 전달하기 위해 후술할 챔버(150)의 외측 단에 공기 분출구(104)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훈증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이러한 메커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본체(100)의 내부에는 팬(110), 송풍관(120), 발열체(130), 패드(140), 챔버(150) 및 컨트롤러(300)가 포함된다.
먼저, 팬(110)은 공기 유입구(103)에 인접한 일 측에 장착되어, 상술한 공기 유입구(103)로부터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팬(110)의 회전을 통해 송풍관(120)으로 보내준다.
송풍관(120)은 공기 유입구(103)로부터 발열체(130)까지 연결된 관으로, 팬(110)의 회전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발열체(1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발열체(130)는 송풍관(120)의 끝단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송풍관(120)에서 전달된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열체(130)의 일 예로서 열선을 구비한 히터를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130)는 관상, 봉상, 판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특정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 송풍관(120)에서 전달된 공기는 발열체(130)를 통과하면서 발열체(130)의 열에 의해 가열되는데, 공기가 너무 높은 온도로 가열되면 훈증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발열체(130)는 30℃ 내지 45℃의 온도로 발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140)는 발열체(130)의 일 측에 형성되며, 부직포나 면포, 솜 등의 재질로 구성되어 다양한 성분을 함침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패드(140)에 쑥 추출물을 함침시킨다. 이러한 패드(140)에 가열된 공기가 통과되면서 공기에 쑥 성분이 함유된다. 이와 같이 공기가 패드(140)를 통과하기 위해 패드(140)에는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의 모양이나 사이즈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챔버(150)는 연결관(210) 단부로부터 패드(140)와 발열체(130)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며, 패드(140)에 접촉된 공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을 가진다.
컨트롤러(300)는 본 발명의 훈증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여기서 컨트롤러(300)는 마이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컨트롤러(300)는 상술한 작동 버튼(101)과 연동되어, 작동 버튼(101)을 제어하여 훈증장치의 온도를 설정하거나 팬(110)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패드(140)에는 유칼립투스 오일과 맨톨이 포함된다.
쑥 추출물에 유칼립투스 오일과 멘톨을 혼합한 조성물은 패드(140)에 포함되어 훈증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통해 효과적으로 여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으며, 유칼립투스 오일 및 멘톨이 함께 함유되어 있어 쑥 또는 약재의 향으로 인한 거부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쑥 추출물은 쑥에서 추출한 것이며, 쑥은 무기질과 비타민의 함량이 매우 많은 식물로서 특히 비타민A와 비타민C의 함량이 많아 면역력 및 감기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다. 특히, 쑥은 적대하증, 하혈, 생리불순 등 각종 여성 질환에 특별한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유칼립투스 오일은'시네올'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작용과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가벼운 상처 및 진균 감염 등의 치료, 알레르기 증상 완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칼립투스 오일은 상쾌한 향이 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풀어주며 심신에 안정을 줄 수 있으며, 살균 소독 작용을 통해 불쾌한 냄새의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더하여, 멘톨은 허브 식물에 속하는 박하의 잎이나 줄기에서 얻을 수 있는 물질로서 염증을 완화시키는 소염작용, 진통을 멈추거나 피부의 가려움의 완화에 효과적이며, 늘어난 피부를 당겨주고 모공을 수축하는 작용이 있어 피부의 탄력에도 효과적이다. 이러한 성분들을 통해 항균, 살균, 알레르기 완화 등의 효능을 제공할 수 있어 기본적인 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탈취 작용, 피부 탄력 등의 부가적인 효능 또한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 예로 전체 조성물 중량 대비, 쑥 추출물 80 내지 90중량%, 유칼립투스오일 1 내지 5중량%, 멘톨 5 내지 15중량%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비율을 통해 혼합된 조성물은 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패드(140) 혹은 주머니 형태의 망 내에 포함되어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관을 통해 연결된 본체 일부 구성과 프로브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체(100)와 프로브(200)는 연결관(210)을 매개로 연결된다.
연결관(210)은 공기 분출구(104)로부터 프로브(200)까지 연결된 관으로, 본체(100)에서 가열된 공기를 프로브(200)로 전달한다.
프로브(200)는 연결관(210)의 끝단과 연결되며, 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로브(200)는 질에 자극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하기 위해 캡슐과 같이 작고 뾰족하지 않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질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이 때, 프로브(200)는 가열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내부가 관통 형성된다. 나아가, 프로브(200)가 질내에 삽입되면 프로브(200)와 질벽 사이에 마찰이 생겨 원활하게 삽입되기 힘들고 질벽에 상처가 생길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프로브(200)의 표면(외주 면)에 윤활유를 발라 삽입하여 자극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브(200)를 질 내부에 삽입하면, 가열된 공기를 질에 간접적으로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질 내부에 직접적으로 분사하여 훈증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분사로(220)는 프로브(200)와 연결관(210)이 연결된 대향 측에 형성되며, 훈증된 공기를 질 내에 분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사로(220)는 직경이 작은 관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 형성되어 공기를 질 내에 분산하여 배출시킨다. 이러한 분사로(2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구조에 의해 가열된 훈증기를 다방면으로 분산 배출시켜 질 내로의 훈증기 토출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 1,2에 따른 훈증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을 공급하고, 작동 버튼(101)을 조작하여 훈증장치를 작동시킨다. 훈증장치가 작동되면, 팬(110)이 회전되며 팬(110)의 회전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송풍관(120)을 통해 발열체(130)로 전달된다. 이 때, 발열체(130)는 컨트롤러(300)의 설정 온도에 따라 발열되며, 전달받은 공기가 발열체(13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여기서 공기가 가열되면 기체의 성질에 따라 가열된 공기는 위로 올라가게 되며, 공기가 발열체(130)의 패드(140)를 통과한다. 이 때, 패드(140)에 함침되어 있는 조성물이 열에 의해 기화되어 공기에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맨톨 성분이 함유된다. 이러한 공기는 임시적으로 챔버(150) 내부에 저장되다가, 챔버(150)와 프로브(200)를 연결해주는 연결관(210)을 통하여 프로브(200)로 유입된다. 마지막으로 질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프로브(200)의 분사로(220)를 통하여 쑥 추출물, 유칼립투스 오일 및 맨톨 성분이 함유된 공기가 질 내부에 분사될 수 있다.
이로써, 질 내부에 직접적으로 훈증을 함으로써, 질 내부에 삽입하지 않는 훈증장치보다 훈증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쑥 추출물에 유칼립투스 오일과 맨톨을 추가로 넣어 항균, 살균, 탈취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발열체(130)는 판상체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판상의 발열체(130)는 위에서 바라보았을 때, 즉 평면 관찰 기준에서 원, 사각형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정한 모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발열체(130)에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통공이 형성되며, 통공은 다양한 형상과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선 사이사이의 공간도 통공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발열체(130)는 송풍관(120)에서 전달된 공기를 가열시킨다. 다시 말해, 공기가 발열체(130)를 통과할 때 판상체의 구조를 가진 발열체(130)의 면에 닿아 가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열체(130)는 판상체로 형성되어 공기를 가열할 때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만일, 발열체(130)가 비판상체로 형성되면 불필요하게 열선이 구비되어 비용이 많이 들고 판상체보다 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발열체(130)를 판상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본체(100)의 내부에는 발열체 지지부(131)와 패드 지지대(14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발열체 지지부(131)와 패드 지지대(141)는 본체(100) 내부 구조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본체(100)의 체적을 최소화 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발열체 지지부(131)는 송풍관(120)의 일 측에서 챔버(150)까지 기립 형성되며, 발열체(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발열체 지지부(131)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공은 발열체(130)의 형상과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발열체(130)와 중공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중공에 발열체(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발열체(130)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 때, 중공은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공이 단턱의 구조를 가지면 발열체(130)를 중공의 위에서 끼워 고정시킬 수 있고, 중공이 슬릿의 구조를 가지면 발열체(130)를 슬릿에 밀어 넣어 고정할 수 있다. 나아가, 발열체 지지부(131)는 후술할 패드 지지대(141)가 발열체 지지부(131)의 상단에 걸쳐질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패드 지지대(141)는 발열체 지지부(131)의 상단에 걸쳐지는 구조로 형성되며, 패드(140)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패드 지지대(141)는 직육면체,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술한 발열체 지지부(131)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패드 지지대(141)는 패드(14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더불어, 패드 지지대(141)의 측벽의 상단은 절곡되어, 절곡된 부위가 발열체 지지부(131) 위에 걸쳐진다.
이와 같은 추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훈증장치의 작용 및 기능을 설명하면, 먼저 발열체(130)는 발열체 지지부(131)의 중공에 끼움 결합되고, 발열체 지지부(131)의 상부에는 패드(140)가 안착된 패드 지지대(141)가 걸쳐진다.
이로써, 훈증장치의 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정에서나 휴대용으로 사용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서로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다. 또한, 판상의 형태를 가진 발열체(130)와 패드(140)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되어 발열체(130)에서 가열된 공기가 패드(140)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통과할 수 있다.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프로브(200)는 구체적으로 몸체(230), 공기 전달관(240) 및 토출 헤드(250)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몸체(230)는 연결관(210)의 끝단과 연결되는 것으로서, 캡슐과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질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직경을 가진다.
공기 전달관(240)은 몸체(23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관으로, 연결관(210)과 연결되어 본체(100)에서 가열된 공기를 통과시킨다. 이러한 공기 전달관(240)은 관통로(241)와 확공로(242)로 이루어진다.
관통로(241)는 연결관(210)의 끝단과 연결되며, 공기를 연결관(210)으로부터 후술할 확공로(242)에 전달해주는 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관통로(241)는 몸체(230)의 내부에 관통되어 형성되며, 몸체(23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때, 관통로(241)의 직경은 프로브(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면 특정한 제한이 없지만, 연결관(210)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구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관(210)과 연결될 수 있다.
확공로(242)는 관통로(241)의 끝단과 연결되며, 공기를 내부에 임시로 모아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확공로(242)는 확공로(242)의 높이 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확공로(242)는 관통로(241)의 높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만일, 확공로(242)가 너무 길게 형성되면 확공로(242)의 체적이 넓어지게 되고, 확공로(242)의 공기 압력이 너무 높아져, 공기를 분사했을 때 질 내부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져 위험하다. 따라서, 확공로(242)는 관통로(241)의 높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확공로(242)에 공기가 과도하게 모이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확공로(242)의 끝단에는 분사로(220)가 복수 개 형성되어, 질 내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토출 헤드(250)는 몸체(230)에서 질 내 삽입 측 덮개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며, 확공로(242)의 단부에 결합된다. 이 때, 토출 헤드(250)는 외관이 질 내부에 안전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토출 헤드(250)의 외관은 뾰족한 부분 없이 동그란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토출 헤드(250)는 분사로(220)를 내부에 포함하는 구조를 가져, 확공로(242)에서 전달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토출 헤드(250)는 내부에 분사로(220)를 포함하여 제작이 편리하며, 분사로(220)를 감싸 질 내부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공기 전달관(240)를 형성함으로써, 가열된 공기가 연결관(210)을 통과하여 확공로(242)에 모아지고, 공기를 더 높은 압력으로 질 내에 분사할 수 있다. 더불어, 토출 헤드(250)를 추가하여, 분사로(220)를 감싸주어 질에 삽입했을 때 자극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상술한 분사로(220)의 변형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분사로(220)는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분사로는 확공로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분사로(220)는 확공로(242)에서부터 끝단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패턴 처리된다. 여기서 패턴 처리된다는 것은 분사로가 일정한 형태와 간격으로 배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분사로(220)를 형성하면 가열된 공기의 분사 반경을 더 넓힐 수 있어서, 프로브(200)를 질 내에 삽입했을 때 프로브(200)의 상측으로만 분사되는 것이 아니라 질벽을 향하여 분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열된 공기가 일 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질 내에 전체적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토출 헤드(250)는 추가적으로 압력조절로(251)를 포함하여, 질 내부의 공기를 밖으로 빼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토출 헤드(250)는 압력조절로(251)를 구비하기 위해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압력조절로(251)는 토출 헤드(250)의 외측 둘레 부위, 즉, 몸체의 외주면 외측 부위에 형성된다. 더불어, 압력조절로(251)는 질 내의 공기를 밖으로 빼주기 위해 토출 헤드(250)를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 때, 압력조절로(251)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압력조절로(251)는 질 내부에 공기가 과도하게 모여 압력이 올라갔을 때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통로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로써, 질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로브의 몸체에 윤활 처리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200)의 외주 면에 정제수, 알로에 등의 성분을 기반으로 pH 4 내지 5 가량의 약산성 성질을 가져 보습 및 건조 방지 기능을 제공하는 공지의 윤활유를 발라 프로브(200)와 질벽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추가적으로 윤활 처리부(260)를 구비하여 더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윤활 처리부(260)는 몸체(230)의 외주 면에 형성되며, 카본 코어(261)를 함입한다. 이 때, 몸체(230)의 외주 면에는 복수 개의 함입부가 함입 형성되며, 이 함입부에 윤활유 및 그래파이트를 포함한 카본 코어(261)가 압입된다. 여기서 카본 코어(261)는 카본 나노 소재인 그래파이트(Graphite)를 유효 성분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에 상술한 윤활유를 공급하면 카본 코어(261)가 윤활유를 흡착하고 있다가 윤활유를 토출하여 고체 윤활제로서 역할을 한다. 더하여, 카본 코어(261)는 그래파이트 및 다른 종류의 카본 나노 소재 및 기타 첨가제와 함께 혼합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이때, 시중의 압입기를 이용하여 함입부에 카본 코어(261)를 압입할 수 있으며, 압입 과정 후 카본 코어(261)가 함입부 내에 단단하게 고정 압입될 수 있다면 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이로써, 프로브(200)가 질 내부에 삽입될 때 질벽에 가해지는 자극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카본 코어(261)가 윤활제의 기능을 하여 프로브(200)와 질벽의 마찰을 감소시켜 프로브(200)가 질 내부에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프로브의 추가 실시예와 컨트롤러의 연동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보아 알 수 있듯이, 프로브(200)에는 추가적으로 질압측정기(270)와 체크밸브(280)가 장착된다.
질압측정기(270)는 질압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프로브(200)에 형성된다.
질압은 질 내 압력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평상시 질압은 상압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에 공지의 질압측정기는 주로 케겔 운동 등을 통한 질 근육 수축 압력(질 조임 압력)을 측정하여 여성의 성 기능 측정 목적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질압측정기(270)는 상술한 성 기능 측정을 위한 것이 아니라 훈증기가 질 내에 과잉 주입되는 문제 및 이로 인한 질 경련과 같은 위기 상황 발생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프로브의 외측 면에 가해진(접촉된) 에어 압력을 통해 질압을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아니면 인위적인 질 수축 작용이 없어도 무난하게 질 내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공압 감지 센서가 프로브의 외측에 장착되어 질압을 측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질압측정기(270)를 통해 질압을 측정하여 질압이 높을 때 후술할 체크밸브(280)를 개방시키거나 훈증장치에서 훈증기를 생성 구동을 멈출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컨트롤러(300)는 밸브 제어 모듈(310)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경우, 압력 조절로(251)에는 체크밸브(28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는데, 체크밸브(280)는 압력 조절로(251)의 내부 일 측에 장착되어 압력 조절로(251)를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밸브 제어 모듈(310)은 질압의 고저에 따라 체크밸브(280)를 개폐 제어하는 역할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밸브 제어 모듈(310)은 질압측정기(270)에 측정된 질압 데이터를 수신하여 측정된 질압과 미리 설정한 허용 질압(예를 들어 70 내지 80mmHg)을 비교하여 측정된 질압과 허용 질압 간의 차이의 고저에 따라 체크밸브(280)의 개폐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밸브 제어 모듈(310)은 질압측정기(270)에서 측정한 질압이 허용 질압을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였을 때 체크밸브(280)를 개방시켜 압력 조절로(251)로 훈증기가 빠지도록 제어할 수 있고 허용 질압보다 측정 질압이 낮은 경우에는 체크밸브(280)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질압이 과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체크밸브(280)의 개폐를 자동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본 발명의 훈증장치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본체 101: 작동 버튼
102: 전원장치 103: 공기 유입구
104: 공기 분출구 110: 팬
120: 송풍관 130: 발열체
131: 발열체 지지부 140: 패드
141: 패드 지지대 150: 챔버
200: 프로브 210: 연결관
220: 분사로 230: 몸체
240: 공기 전달관 241: 관통로
242: 확공로 250: 토출 헤드
251: 압력조절로 260: 윤활 처리부
261: 카본 코어 270: 질압측정기
280: 체크밸브 300: 컨트롤러
310: 밸브 제어 모듈

Claims (10)

  1.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로서,
    팬의 회전으로 송풍관으로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구비된 상태로 쑥 추출물을 포함한 패드 및, 상기 패드를 통과한 공기를 임시 저장하는 챔버 및, 상기 팬과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 본체;
    연결관을 매개로 상기 챔버와 내통된 상태로 질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를 질내에 분사하는 분사로를 복수 개로 구비한 프로브;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브는,
    몸체와, 상기 연결관의 단부와 내통 연결되어 상기 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관통 연장된 관통로와 상기 관통로의 단부에서 확공 처리된 확공로로 이루어진 공기 전달관 및, 상기 확공로의 단부에 결합된 것으로 상기 분사로를 구비한 토출 헤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상기 분사로는,
    상기 확공로 측에서 단부에 이르기까지 방사형으로 서로 벌어지도록 패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유칼립투스 오일과 맨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판상체로서 공기가 통과하도록 복수 개의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송풍관의 단부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에 발생된 중공에 상기 발열체를 끼움 지지하는 발열체 지지부와,
    상기 발열체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열체 지지부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지지대를 구비하여,
    송풍관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발열체 및 상기 패드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 헤드는,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 외측의 둘레 부위에 관통된 압력조절로를 적어도 하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주 면에는,
    윤활유 및 그래파이트를 포함한 카본 코어가 함입된 윤활 처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질압을 측정하는 질압측정기와,
    상기 압력 조절로를 개폐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프로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질압의 고저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를 개폐 제어하는 밸브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46883A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KR101999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83A KR101999840B1 (ko)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6883A KR101999840B1 (ko)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840B1 true KR101999840B1 (ko) 2019-07-12

Family

ID=67254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883A KR101999840B1 (ko) 2019-04-22 2019-04-22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118A (ko) * 1996-03-29 2000-01-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가열 셀
KR20010111081A (ko) * 2001-11-24 2001-12-15 김성줄 약쑥 연기를 이용한 뜸질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02706A (ko) * 2004-11-18 2005-01-10 변성현 쑥뜸기
KR200439163Y1 (ko) * 2007-04-03 2008-03-25 유원 쑥 연소시 발생하는 훈기를 이용한 염증치료기
KR20160065590A (ko)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휴먼메디컬솔루션 전자동 요실금 및 성기능장애 진단 치료 장치
CN206630873U (zh) * 2016-12-13 2017-11-14 黄玲 一种女性外阴中药熏蒸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118A (ko) * 1996-03-29 2000-01-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가열 셀
KR20010111081A (ko) * 2001-11-24 2001-12-15 김성줄 약쑥 연기를 이용한 뜸질방법 및 그 장치
KR20050002706A (ko) * 2004-11-18 2005-01-10 변성현 쑥뜸기
KR200439163Y1 (ko) * 2007-04-03 2008-03-25 유원 쑥 연소시 발생하는 훈기를 이용한 염증치료기
KR20160065590A (ko)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휴먼메디컬솔루션 전자동 요실금 및 성기능장애 진단 치료 장치
CN206630873U (zh) * 2016-12-13 2017-11-14 黄玲 一种女性外阴中药熏蒸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44078Y (zh) 自动艾灸器
CN201182680Y (zh) 一种中药蒸汽护眼器
KR20070020988A (ko) 부인과 질환의 치료장치
CN205515498U (zh) 一种中医妇科熏浴理疗仪
CN107961155A (zh) 雾熏蒸灸罩装置
KR101999840B1 (ko) 여성 질환용 훈증장치
KR100727637B1 (ko) 전자 뜸 치료기
KR100933219B1 (ko) 좌식 훈증기
CN207400910U (zh) 药物熏蒸治疗装置
KR20210091894A (ko)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CN109646281A (zh) 一种妇科熏治理疗仪
KR102341168B1 (ko) 개별제어가 가능한 여성용 외음부 훈증세정기
CN108837211A (zh) 一种孕妇用阴部清洗护理按摩椅
CN204684163U (zh) 艾灸竹熏罐
CN2885232Y (zh) 一种治疗肛肠疾病的药液熏蒸器
CN209204002U (zh) 肛肠疾病的药液熏洗器
CN113558965A (zh) 一种妇产科用产后外阴熏蒸护理保健装置
KR200333369Y1 (ko) 여성의 질에 사용되는 좌욕 훈증기
CN209332677U (zh) 一种新型熏蒸设备
CN201361233Y (zh) 泌尿外科手术后多功能冲洗器
CN207119003U (zh) 一种泌尿科术后消炎护理装置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KR101262746B1 (ko) 숯을 이용한 좌훈제 및 이를 이용한 좌훈 장치
CN213191094U (zh) 一种新型妇产科用中医熏洗装置
CN206548805U (zh) 一种坐式无烟艾灸艾熏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