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33B1 - 기류확산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기류확산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833B1
KR101999833B1 KR1020180148243A KR20180148243A KR101999833B1 KR 101999833 B1 KR101999833 B1 KR 101999833B1 KR 1020180148243 A KR1020180148243 A KR 1020180148243A KR 20180148243 A KR20180148243 A KR 20180148243A KR 101999833 B1 KR101999833 B1 KR 10199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witching
switching body
ang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식
Original Assignee
정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식 filed Critical 정병식
Priority to KR1020180148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2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geometry within the pumps, e.g. by adjusting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4Blade mountings
    • F04D29/36Blade mountings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류확산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블레이드가 다수 마련된 윙부; 및 상기 윙부와 결합되어 상기 윙부를 지지하며, 상기 윙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되,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바디부에 의하여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으므로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어 나오는 기류를 전방위로 확산시켜주므로 실내공간의 온도균일도를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실내공기순환 또는 냉난방효율을 증대시켜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기류확산유도장치{Apparatus for Air Stream Divergency}
본 발명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에어컨디셔너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로 확산시켜주기 위한 기류확산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실내 냉난방을 위하여 에어컨디셔너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에어컨디셔너장치는 실내에 설치되는 형태에 따라 타워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이처럼 다양한 형태의 에어컨디셔너장치 중에서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시스템형의 에어컨디셔너장치의 이용이 급증하고 있다. 에어컨디셔너장치의 형태에 따른 장단점이 각기 있으나, 천정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시스템형의 경우 타워형 등과 같은 다른 에어컨디셔너장치에 비하여 실내공간을 차지하지 아니하며, 타워형처럼 실내구석에 설치되지 않고 중앙 또는 중앙에 가까운 곳에 설치되므로 송풍을 좀 더 고르게 보낼 수 있다는 장점 등이 있으므로 시스템형 에어컨디셔너장치에 대한 선호도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형 에어컨디셔너장치는 4각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송풍구가 4 변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타워형에 비해서는 송풍이 비교적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시스템형 에어컨디셔너장치 또한 송풍기류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있다. 대표적으로 시스템형 에어컨디셔너 장치의 모서리 부분은 송풍구가 없으므로 모서리의 사이각 영역에는 송풍기류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스템형 에어컨디셔너장치의 경우에도 실내 위치에 따라서 송풍기류가 고르게 도달되지 아니하므로 실내온도의 균일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53332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실내로 송풍되는 기류를 전방위로 확산시켜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적어도 일부의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 내로 확산시켜주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의 하측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블레이드가 다수 마련된 윙부; 및 상기 윙부와 결합되어 상기 윙부를 지지하며, 상기 윙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되,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바디부에 의하여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의 하측에 장착되기 위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마련된 회전중심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윙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 각도의 설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조작되는 컨트롤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윙부는, 상기 기류에 접하는 블레이드; 및 일측단이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 측과 결합되는 블레이드암; 을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는, 상기 블레이드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변경 또는 설정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컨트롤어셈블리는, 상기 블레이드암의 타측단과 체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암을 지지하여 주는 스위칭바디; 상기 스위칭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상기 스위칭바디를 지지하여 주는 스위칭사이트; 내측에 다수개의 상기 스위칭사이트가 마련되며, 다수개의 상기 스위칭사이트를 지지하는 컨트롤하우징; 및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바디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가 변경 또는 설정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칭바디는, 적어도 일부분이 원기둥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원기둥의 형태를 갖춘 상기 스위칭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구간의 외주면인 제1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제1받침면이 상기 스위칭사이트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외주면의 곡률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위칭바디가 상기 기울기 각도만큼 회전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칭바디가 상기 기울기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바디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레버가 상기 스위칭바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스위칭바디의 상측공간을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컨트롤레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레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내측 중심축과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측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커버가 결합되되,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내측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커버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홀이 상기 컨트롤레버를 밀어주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칭사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스위칭바디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블록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스위칭바디에는, 상기 제1구간에 이웃하는 제2구간이 마련되어 있으되, 상기 제2구간의 외주면은 상기 제1구간의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곡률반경에 따라 형성된 제2외주면이고,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제1구간의 곡률반경 및 상기 제2구간의 곡률반경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된 바디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걸림턱이 상기 제한블록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위칭바디의 회전에 제한이 가해지게 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각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하우징에는, 외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인디케이터후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홈 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커버 또는 상기 컨트롤하우징에는,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블레이드암의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 형태가 유선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윙부의 상기 블레이드암에는 상기 블레이드암의 형태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변형억제수단이 마련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암과 결합되고,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송풍기류에 접하게 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외측테두리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측 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되도록 형성된 사이드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는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어 나오는 기류를 전방위로 확산시켜주므로 실내공간의 온도균일도를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냉난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 또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하우징커버, 스위칭바디, 베어링 및 컨트롤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하우징커버, 스위칭바디, 베어링 및 컨트롤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에서 컨트롤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위칭바디 및 스위칭사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에서 컨트롤어셈블리의 측면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컨트롤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가 실내 천정형 에어컨디셔너에 장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하우징커버, 스위칭바디, 베어링 및 컨트롤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하우징커버, 스위칭바디, 베어링 및 컨트롤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에서 컨트롤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위칭바디 및 스위칭사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에서 컨트롤어셈블리의 측면부분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컨트롤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의 블레이드 및 블레이드암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가 실내 천정형 에어컨디셔너에 장착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10)는,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적어도 일부의 에어컨디셔너장치(1)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 공간 내로 확산시켜주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기 위하여 에어컨디셔너장치(1)의 하측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윙부(20) 와 바디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윙부(20)는 에어컨디셔너장치(1)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으로 확산시켜주기 위하여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블레이드(150)가 다수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부(30)는 윙부(20)와 결합되어 윙부(20)를 지지하며, 윙부(20)의 회전중심이 된다.
그리고, 다수개의 블레이드(150)가 바디부(30)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가 바디부(30)에 의하여 설정 또는 변경될 수가 있다.
여기서 가상의 수평면은 윙부(20)의 블레이드(150)가 회전을 하는 회전중심축에 수직인 가상의 평면이라고 할 수 있다.
바디부(30)는 베이스(310)와 컨트롤어셈블리(330)를 포함한다.
베이스(310)는 에어컨디셔너장치(1)의 하측에 장착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어셈블리(3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중심축(315)이 베이스(310)에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베이스(310)는 에어컨디셔너장치(1)의 하측에 위치가 고정되며, 베이스(310)로부터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 회전중심축(315) 또한 고정되어 컨트롤어셈블리(330)와 윙부(20)가 회전하는 중심축 역할을 한다.
컨트롤어셈블리(330)는 베이스(310)의 중심에 마련된 회전중심축(315)과 결합되어 회전중심축(315)을 중심으로 윙부(20)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의 설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작된다.
그리고 윙부(20)는 에어컨디셔너장치(1)로부터 송풍되는 기류에 접하는 블레이드(150) 및 일측단이 블레이드(150)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컨트롤어셈블리(330)측과 결합되며, 블레이드(150)가 컨트롤어셈블리(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을 매개하는 블레이드(110)을 포함한다.
여기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는, 앞서 언급한 가상의 수평면에 대하여 블레이드(150)가 회전하면서 진행되는 방향 측으로 상향되는 각도라고 할 수 있다. 블레이드(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블레이드(110)의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윙부(20)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은 바디부(30)에 대한 설명 후에 하기로 한다.
컨트롤어셈블리(330)는 기본적으로 스위칭바디(430), 스위칭사이트(470), 컨트롤하우징(450) 및 하우징커버(410)를 포함한다. 그리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베어링(350), 엔드캡(340)을 더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컨트롤어셈블리(33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컨트롤하우징(450)의 내부공간에 스위칭사이트(470)가 다수 마련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위칭사이트(470)마다 스위칭바디(430)가 하나씩 배치된다. 그리고 스위칭바디(430) 및 스위칭사이트(470)가 내재된 컨트롤하우징(450)의 상측에 하우징커버(4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컨트롤하우징(450)의 상측을 커버한다.
스위칭바디(430)는 소정의 길이를 갖춘 블레이드암(110)의 타측단과 체결되어 블레이드암(110)을 지지하여 준다. 스위칭바디(430)와 블레이드암(110)의 타측단이 체결되므로 스위칭바디(430)의 움직임에 의해 블레이드암(110)도 함께 움직이게 되어 블레이드(110)의 일측단에 결합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바디(430)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가 변경 또는 설정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스위칭바디(430)는 스위칭사이트(470) 내에 내재된다.
그리고, 스위칭바디(430)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일부분이 원기둥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원기둥의 형태를 갖춘 스위칭바디(430)의 적어도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구간의 외주면인 제1외주면(431)이 있다. 그리고, 이에 대응하여 제1외주면(431)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여 스위칭바디(430)를 받쳐주는 제1받침면(471)이 스위칭사이트(47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즉, 스위칭바디(430)의 제1외주면(431)의 곡률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도록 스위칭사이트(470)의 제1받침면(471)이 제1외주면(431)의 적어도 일부분에 접함으로써 스위칭바디(430)를 받쳐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1외주면(431)의 곡률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스위칭바디(430)가 기울기 각도만큼 회전됨으로써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스위칭사이트(470) 내에서 스위칭바디(4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1외주면(431)과 제1받침면(471) 사이에 마찰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스위칭바디(430)에 제2구간이 더 마련되면 좀 더 바람직하다. 스위칭바디(430)에서 제1구간에 이웃하는 제2구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스위칭바디(430)의 제2외주면(432)은 제2구간의 외주면이다. 제2외주면(432)은 제1구간의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곡률반경에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칭바디(430)의 제2외주면(432)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제2받침면(474)이 스위칭사이트(470) 내 제한블록(473)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받침면(474)이 제2외주면(432)에 접하면서 스위칭바디(4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받쳐준다.
스위칭사이트(470) 내에서 스위칭바디(43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제2외주면(432)과 제2받침면(474) 사이에 마찰을 줄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외주면(432)과 제2받침면(474)에 윤활제가 도포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스위칭바디(430)에서 제1구간과 제2구간 사이의 경계에는 제1구간의 곡률반경 및 제2구간의 곡률반경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디걸림턱(435, 437)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디걸림턱(435,437)이 스위칭사이트(470)에 마련된 제한블록(473)에 접촉되면서 스위칭바디(430)의 회전에 제한이 가해지게 된다.
여기서, 스위칭바디(430)가 기울기 각도 또는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스위칭바디(43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레버(433)가 스위칭바디(430)에 마련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6의 (b)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의 스위칭바디(430)의 바디걸림턱(435)은 제한블록(473)의 일부분(475)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볼 때 컨트롤레버(433)가 좌측으로 당겨지는 움직임만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6의 (a)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위칭바디(430)의 바디걸림턱(437)은 제한블록(473)의 다른 일부분(476)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볼 때 컨트롤레버(433)가 우측으로 당겨지는 움직임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위칭바디(430)는 제한블록(473)에 의하여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움직임이 가능하게 되며, 컨트롤레버(433)에 의해 스위칭바디(430)가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움직임이 제어된다.
스위칭바디(430)의 제1외주면(431)의 곡률반경의 중심부분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의 타측단과 체결될 수 있는 블레이드암체결구(439)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블레이드암체결구(439)에 각이 형성되어 있고, 블레이드(110)의 타측단 또한 이에 대응되는 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블레이드암체결구(439)와 블레이드(110)의 타측단에 각이 형성되어 있으면 블레이드(110)의 타측단과 스위칭바디(430)가 서로 맞물리는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며, 스위칭바디(430)가 회전하는 움직임만큼 블레이드(110) 또한 함께 정확히 움직여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스위칭사이트(470)는 스위칭바디(43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스위칭바디(430)를 지지하여 준다. 즉, 스위칭사이트(470)는 스위칭바디(430)가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고 블레이드(110)을 통해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칭사이트(470)에 하나의 스위칭바디(430)가 수용된 형태 또한 바람직하다. 다수개의 스위칭사이트(470)는 컨트롤하우징(450) 내에 배치되어 컨트롤하우징(450)으로부터 지지를 받는다.
스위칭사이트(470)의 내측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위칭바디(43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제한블록(473)이 마련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칭바디(430)에는 제1구간의 외주면인 제1외주면(431)이 있다. 그리고, 스위칭바디(430)의 제1외주면(431)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여 스위칭바디(430)를 받쳐주는 제1받침면(471)이 스위칭사이트(470)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스위칭바디(430)가 회전을 할 때 제1받침면(471)이 제1외주면(431)에 접하여 스위칭바디(43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받쳐준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스위칭바디(430)의 제2외주면(432)은 제2구간의 외주면이다. 제2외주면(432)은 제1구간의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곡률반경에 따라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2외주면(432)에 대응하여 스위칭바디(430)의 제2외주면(432)에 적어도 일부분이 접하는 제2받침면(474)이 스위칭사이트(470) 내 제한블록(473)에 마련되어 있으며, 제2받침면(474)이 제2외주면(432)에 접하면서 스위칭바디(4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받쳐준다.
이와 같이 스위칭사이트(470)는 스위칭바디(430)가 안정적으로 회전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포트 한다.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블레이드(150)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블레이드(150) 각각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스위칭바디(430) 및 스위칭사이트(470)가 마련되며, 다수개의 스위칭바디(430) 및 스위칭사이트(470)는 각각 등간격 또는 등각도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8개의 블레이드(150) 각각에 대응될 수 있도록 8개의 스위칭바디(430)와 8개의 스위칭사이트(470)가 배치된 형태를 도시하였으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이웃하는 스위칭바디(430)의 사이각도는 45도로 이루어진 형태를 도시하였다.
컨트롤하우징(450)은 내측에 다수개의 스위칭사이트(47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컨트롤하우징(45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스위칭사이트(470)는 컨트롤하우징(450) 내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컨트롤하우징(450)의 내측에는 앞서 언급한 베이스(310)에 형성된 회전중심축이 삽입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회전중심홀(45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도면부호 350은 베어링부재로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커버(410)와 컨트롤하우징(450)의 회전운동이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컨트롤하우징(450)의 가운데를 지나가는 회전중심축의 축상에 마련된 것으로서, 컨트롤하우징(450)과 엔드캡(340) 사이에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컨트롤하우징(450)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2의 도면부호 355 또한 베어링부재로서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우징커버(410)의 회전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우징커버(410)와 베이스(310) 사이 또는 하우징커버(410)와 중심축고정너트(360)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중심축고정너트(360)는, 에어컨디셔너장치(1)에 블레이드(150)가 접촉되지 않도록 컨트롤어셈블리(330)가 에어컨디셔너장치(1)로 근접되는 것을 억제 또는 예방하기 위하여 마련된다.
한편, 제조공정상의 조건에 따라서는 컨트롤하우징(450)과 스위칭사이트(470)가 하나의 부재로서 함께 제조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컨트롤하우징(450)과 스위칭사이트(470)가 하는 기능이나 역할은 앞서 설명한 바와 대동소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우징커버(410)는 컨트롤하우징(450)의 상측에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컨트롤하우징(4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대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좀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컨트롤하우징(450)이 홀딩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운데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하우징커버(4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하우징커버(410)가 홀딩된 상태라고 하면 컨트롤하우징(450)이 가운데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우징커버(410)에는 컨트롤하우징(450)과 결합되면서 컨트롤하우징(450)의 내측에 배치된 스위칭바디(430)의 상측공간을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411)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가운데 중심 측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310)에 형성된 회전중심축(315)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는 회전중심홀(4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플레이트(411)에는 컨트롤레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레버홀(4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하우징(450) 내측의 회전중심축과 하우징커버(410) 내측의 회전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컨트롤사우징(450)과 하우징커버(410)가 결합되되, 컨트롤하우징(450) 내측의 회전중심축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하우징커버(410)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레버홀(413)이 컨트롤레버(433)를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커버(410)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하우징커버(410)의 커버플레이트(411) 또한 함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커버플레이트(411)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레버홀(413)이 컨트롤레버(433)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된다.
그리고 커버플레이트(411)의 레버홀(413)에 의해 다수개의 컨트롤레버(433)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로 당겨지거나 밀어주게 되므로 다수개의 블레이드(150)가 모두 동일한 기울기 각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홀(413)에 삽입된 컨트롤레버(433)가 움직이게 되면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스위칭바디(430)의 움직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커버(410)에는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후크(510)가 마련되어 있다. 외부에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컨트롤하우징(450)에는 인디케이터후크(510)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홈(520)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하우징커버(410)가 회전하면서 인디케이터후크(5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인디케이터홈(520) 내에서 이동하게 되며, 인디케이터홈(520) 내에 있는 인디케이터후크(510)의 부분을 통해 현재 상태의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하우징(450)에 대하여 하우징커버(410)를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조작의 용이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컨트롤하우징(450)의 외주면에는,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주름지거나 소정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처럼 컨트롤하우징(450)의 외주면이 주름진 형태 또는 소정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컨트롤하우징(450)과 하우징커버(410)를 잡고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 또는 변경하는 조작시 컨트롤하우징(450)이 손에 미끄러짐 없이 조작되어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커버(410) 또는 컨트롤하우징(450)에는,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각도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도고정수단으로서, 컨트롤하우징(450)과 하우징커버(410)의 커버플레이트(411) 각각에 형성된 각도고정볼트홈(459, 419)과 각도고정볼트(미도시)를 바람직한 예로 들을 수 있다.
컨트롤하우징(450)에 대하여 하우징커버(410)가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면 다수개의 스위칭바디(430)가 고정되므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하우징(450)에 대하여 하우징커버(410)가 회전되지 않도록 체결시켜주기 위하여 각도고정볼트홈(459, 419)이 컨트롤하우징(450)과 하우징커버(410)의 커버플레이트(411)에 마련된다. 그리고 각도고정볼트(미도시)가 하우징커버(410)의 커버플레이트(411)에 마련된 각도고정볼트홈(419)으로 삽입되어 컨트롤하우징(450)에 마련된 각도고정볼트홈(459)에 볼팅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다양한 기울기 각도에 대하여 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도마다 고정시키기 적절한 위치에 각도고정볼트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예시적으로 10도, 15도, 20도로 기울기 각도를 고정시켜주기 위한 각도고정볼트홈(419, 459)이 커버플레이트(411)와 컨트롤하우징(450)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각도고정볼트홈(419, 459)의 직경 크기를 고려하여 회전중심축(315)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위치에 각도별로 각도고정볼트홈이 형성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기울기 각도이지만, 사용자 또는 관리자의 이용상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위치에 각도고정폴트홈(459, 419)이 형성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플레이트(411) 상에 기울기 각도가 10도로 고정되는 각도고정볼트홈이 4군데 마련되어 있으며, 15도와 20도 또한 마찬가지로 4군데에 형성되어 있다. 이 중 어느 하나의 각도고정볼트홈(419)에 각도고정볼트를 삽입시켜서 체결시켜도 가능하다. 또는 선택된 하나의 기울기 각도에 대응되는 다수의 각도고정볼트홈(419) 마다 각도고정볼트를 삽입시켜서 체결시키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윙부(20)의 블레이드(150) 및 블레이드암(1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블레이드(150)는 에어컨디셔너장치(1)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으로 확산시켜주기 위하여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준다.
블레이드암(110)은 일측단이 블레이드(150)와 결합된다. 그리고, 타측단이 컨트롤어셈블리(330)의 스위칭바디(430)에 결합된다. 따라서, 블레이드암(110)은 블레이드(150)가 컨트롤어셈블리(3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결합을 매개한다고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는 블레이드(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블레이드(150)가 블레이드(110)의 일측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블레이드(110)의 타측단이 스위칭바디(43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므로 결국 스위칭바디(430)가 회전으로 움직이는 각도에 따라 블레이드(150) 또한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사이트(470) 내에 스위칭바디(430)가 있는 상태일 때 블레이드(150)는 가상의 수평면과 평행한 상태일 수 있다. 또는 가상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블레이드(150)가 회전하게 되는 방향의 접선방향으로서 일정한 각도만큼 상향된 상태를 이루고 있을 수도 있다. 이 때의 기울기각도를 초기각도 라고 할 수 있으며, 가상의 수평면과 이루는 각도값이 제일 작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하우징커버(410)를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키면 커버플레이트(411)가 회전하게 되면서 다수개의 컨트롤레버(433)를 동시에 일정한 크기만큼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된다. 다수개의 컨트롤레버(433) 각각은 커버플레이트(411)가 회전되는 만큼 밀려나거나 당겨지게 된다.
이 때 스위칭바디(430)의 중심축 즉, 블레이드(110)의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된다. 스위칭바디(430)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110)도 함께 회전을 하게 되면서 블레이드(15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설정 또는 변경되는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는, 앞서 언급한 초기각도에서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된 각도를 더한 값이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로서 설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되면 임의로 변경되지 않고 기울기 각도를 유지하도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각도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 블레이드(150)의 기울기 각도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에어컨디셔너장치(1)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이 블레이드(150)에 맞게 되는 또는 접하게 되는 각도를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으며, 실내공간으로 송풍되는 기류의 확산이 잘 이루어지게 되는 각도로 설정될 수 있게 된다.
블레이드(150)에 의한 송풍기류의 확산유도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메인블레이드(151)와 사이드블레이드(156)로 구분되어 이루어진 것 또한 바람직하다.
메인블레이드(151)는 블레이드암(110)과 결합되고 에어컨디셔너장치(1)로부터 송풍되는 송풍기류에 접하게 되는 주된(mainly) 블레이드이다. 그리고 사이드블레이드(156)는 메인블레이드(151)의 외측 테두리변에 마련되며, 메인블레이드(151)의 상측 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 만큼 상향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메인블레이드(151)와 사이드블레이드(156)로 이루어지게 되면 메인블레이드(151)에 의해 1차적으로 송풍기류의 방향이 전환되어 사이드블레이드(156) 측으로 향하게 되고, 2차적으로 사이드블레이드(156)의 상측면에 접하면서 방향전환이 또 한 번 더 일어나게 된다.
또한 송풍기류가 블레이드(150)에 부딪히거나 접하게 되면서 뉴턴의 작용반작용법칙에 따라 블레이드(150) 및 블레이드암(110)이 밀려나게 되며, 블레이드(150) 및 블레이드암(110)이 밀려나는 힘에 의해 회전중심축(315)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블레이드(150)가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블레이드(150)가 회전운동을 하면서 두 번의 송풍기류의 방향전환이 유도되어 송풍기류의 확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360도 전 방향으로 확산이 이루어지며, 실내 곳곳으로 송풍기류가 널리 확산되어 퍼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블레이드(150)는 표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며, 유선형의 곡면형태로 이루어진 것 또한 바람직하다.
블레이드암(110)은 원기둥형태의 바(bar) 또는 사각기둥 형태의 바로 이루어진 것도 가능하지만, 도면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암(110)의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 형태가 유선형 또는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블레이드(110)의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형태가 유선형 또는 타원형을 갖추면 블레이드(150)와 함께 블레이드암(110)이 회전할 때 공기저항을 덜 받을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150)의 회전운동에 도움이 되며, 아울러 송풍기류의 실내확산에도 도움이 된다.
그리고, 블레이드(110)에는 블레이드(110)의 형태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변형억제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변형억제수단은 블레이드(110)의 외주면에 블레이드(1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형성된 변형억제홈(113)인 것 또한 바람직하다.
블레이드(110)에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변형억제홈(113)이 형성되어 있으면, 휨 또는 꺾임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변형억제홈(113)은 단면의 형태가 'U' 자 형태로 형성된 것 또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10)는 천정에 설치된 에어컨디셔너장치(1)의 가운데에 마련된 공기흡입구 부분에 베이스(310)를 장착시킨 후 컨트롤어셈블리(330)를 통해 블레이드(150)의 기울기각도를 설정하고 고정시킨 다음 블레이드(150)가 결합된 블레이드암(110) 다수개 각각을 컨트롤어셈블리내 스위칭바디(430)에 체결시키고, 베이스(310)의 회전중심축을 회전중심홀에 삽입시킨 다음 베이스(310)의 회전중심축(315)과 엔드캡(340)을 결합시켜줌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류확산유도장치는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어 나오는 기류를 전방위로 확산시켜주므로 실내공간의 온도균일도를 증진시켜줄 수 있으며, 냉난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20 : 윙부
110 : 블레이드암; 113 : 변형억제홈
150 : 블레이드 151 : 메인블레이드
156 :사이드블레이드
30 : 바디부;
310 : 베이스 315 : 회전중심축
330 : 컨트롤어셈블리
450 : 컨트롤하우징; 520 : 인디케이터홀
470 : 스위칭사이트 473 : 제한블록
430 : 스위칭바디 433 : 컨트롤레버
410 : 하우징커버 411 : 커버플레이트
413 : 레버홀 510 : 인디케이터후크

Claims (14)

  1. 실내의 천정에 설치된 적어도 일부의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 내로 확산시켜주거나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의 하측에 배치되는 장치로서,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기류를 실내공간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주는 블레이드가 다수 마련된 윙부; 및
    상기 윙부와 결합되어 상기 윙부를 지지하며, 상기 윙부의 회전중심이 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되,
    다수개의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바디부를 중심으로 하여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있고,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 각도가 상기 바디부에 의하여 설정 또는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부는,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의 하측에 장착되기 위한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마련된 회전중심축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윙부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 각도의 설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조작되는 컨트롤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윙부는, 상기 기류에 접하는 블레이드; 및 일측단이 상기 블레이드와 결합되고, 타측단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 측과 결합되는 블레이드암;을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는, 상기 블레이드암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전됨으로써 변경 또는 설정되고,
    상기 컨트롤어셈블리는, 상기 블레이드암의 타측단과 체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암을 지지하여 주는 스위칭바디; 상기 스위칭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상기 스위칭바디를 지지하여 주는 스위칭사이트; 내측에 다수개의 상기 스위칭사이트가 마련되며, 다수개의 상기 스위칭사이트를 지지하는 컨트롤하우징; 및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상측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바디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가 변경 또는 설정되고,
    상기 스위칭바디는, 적어도 일부분이 원기둥의 형태를 갖추고 있으며, 원기둥의 형태를 갖춘 상기 스위칭바디의 적어도 일부분에 해당하는 제1구간의 외주면인 제1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분에 접하는 제1받침면이 상기 스위칭사이트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외주면의 곡률중심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상기 스위칭바디가 상기 기울기 각도만큼 회전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되고,
    상기 스위칭바디가 상기 기울기 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칭바디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레버가 상기 스위칭바디에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 상기 스위칭바디의 상측공간을 커버하는 커버플레이트 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버플레이트에는, 상기 컨트롤레버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레버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내측 중심축과 상기 하우징커버의 내측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컨트롤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커버가 결합되되,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내측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커버가 임의의 각도로 회전하면서 상기 레버홀이 상기 컨트롤레버를 밀어주고,
    상기 스위칭사이트의 내측에는, 상기 스위칭바디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제한블록이 마련되며,
    상기 스위칭바디에는, 상기 제1구간에 이웃하는 제2구간이 마련되어 있으되, 상기 제2구간의 외주면은 상기 제1구간의 곡률반경의 크기에 비하여 작은 크기의 곡률반경에 따라 형성된 제2외주면이고, 상기 제1구간과 상기 제2구간 사이의 경계에는, 상기 제1구간의 곡률반경 및 상기 제2구간의 곡률반경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된 바디걸림턱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바디걸림턱이 상기 제한블록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위칭바디의 회전에 제한이 가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확산유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각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기 위한 인디케이터후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하우징에는,
    외부에서 상기 블레이드의 기울기각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인디케이터후크의 일부분이 삽입되어 노출되는 인디케이터홈 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확산유도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 또는 상기 컨트롤하우징에는,
    가상의 수평면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기 기울기 각도가 설정 또는 변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확산유도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암의 적어도 일부분의 단면 형태가 유선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확산유도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윙부의 상기 블레이드암에는
    상기 블레이드암의 형태변형을 억제하기 위한 변형억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확산유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암과 결합되고, 상기 에어컨디셔너장치로부터 송풍되는 송풍기류에 접하게 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외측테두리변에 마련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상측 면에 대하여 상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상향되도록 형성된 사이드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류확산유도장치.


KR1020180148243A 2018-11-27 2018-11-27 기류확산유도장치 KR10199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43A KR101999833B1 (ko) 2018-11-27 2018-11-27 기류확산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243A KR101999833B1 (ko) 2018-11-27 2018-11-27 기류확산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833B1 true KR101999833B1 (ko) 2019-07-12

Family

ID=67254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243A KR101999833B1 (ko) 2018-11-27 2018-11-27 기류확산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149A (ko) * 2020-11-06 2022-05-16 농업회사법인아그로그린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수직형 공기 순환팬
KR102556211B1 (ko) * 2022-12-01 2023-07-19 이승희 실링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13A (ko) * 1998-07-27 2000-02-15 오성원 환풍기
KR200432823Y1 (ko) * 2006-07-13 2006-12-08 한일전기주식회사 환풍기의 날개 전개각도 제어장치
JP2009257142A (ja) * 2008-04-15 2009-11-05 Panasonic Corp 天井扇風機
KR101533325B1 (ko) 2014-11-18 2015-07-03 구기승 천정 카세트 에어컨 부착용 다익 확산 팬 조립체
KR101869926B1 (ko) * 2017-12-29 2018-06-21 구기승 무동력 자동 회전 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613A (ko) * 1998-07-27 2000-02-15 오성원 환풍기
KR200432823Y1 (ko) * 2006-07-13 2006-12-08 한일전기주식회사 환풍기의 날개 전개각도 제어장치
JP2009257142A (ja) * 2008-04-15 2009-11-05 Panasonic Corp 天井扇風機
KR101533325B1 (ko) 2014-11-18 2015-07-03 구기승 천정 카세트 에어컨 부착용 다익 확산 팬 조립체
KR101869926B1 (ko) * 2017-12-29 2018-06-21 구기승 무동력 자동 회전 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2149A (ko) * 2020-11-06 2022-05-16 농업회사법인아그로그린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수직형 공기 순환팬
KR102528606B1 (ko) 2020-11-06 2023-05-09 농업회사법인아그로그린주식회사 에너지 절감을 위한 수직형 공기 순환팬
KR102556211B1 (ko) * 2022-12-01 2023-07-19 이승희 실링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833B1 (ko) 기류확산유도장치
JP2008222228A (ja) 通風システム用エアベント
US7249744B2 (en) Quick connect mounting system for a ceiling fan
EP3006837B1 (en) Air supply apparatus used for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the same
KR100344593B1 (ko) 공기조화기
WO2016015387A1 (zh) 一种空调器扫风装置及空调器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KR20170111318A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1869926B1 (ko) 무동력 자동 회전 팬 장치
CN112219071A (zh) 顶棚埋入式空调机
CN112204316B (zh) 顶棚埋入式空调机
JP6668552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760553B2 (ja) 浴室換気乾燥機
KR101263615B1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JP7450438B2 (ja) 環境試験装置
WO2021196891A1 (zh) 取暖换气装置
CN111936797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JP2007155207A (ja) 熱媒体拡散部材及び冷暖房システム
JP4612934B2 (ja) 吹出口装置
KR101881642B1 (ko) 가변 날개부를 구비한 디퓨져
JP2019211103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9036510A (ja) 冷暖房システム
JP716166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3241948B2 (ja) 風向自動切替え装置
JP2019211100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