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777B1 -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 Google Patents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777B1
KR101999777B1 KR1020190023416A KR20190023416A KR101999777B1 KR 101999777 B1 KR101999777 B1 KR 101999777B1 KR 1020190023416 A KR1020190023416 A KR 1020190023416A KR 20190023416 A KR20190023416 A KR 20190023416A KR 101999777 B1 KR101999777 B1 KR 101999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ortable terminal
opening
wip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3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환
임미영
Original Assignee
김대환
임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환, 임미영 filed Critical 김대환
Priority to KR1020190023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7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7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F16K37/0016Mechanical means having a graduated sca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 control valve,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 control valve comprises: a handle unit configured to rotate while being gripped by a user; and a lever unit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andle unit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water control valve. Moreover,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can be installed in the handle unit or the lever unit. Accordingly, the mobile terminal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 control valve, and thus the water control valve can be easily managed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mounted on the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water control valve.

Description

제수밸브 개폐장치 및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과 방법{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제수밸브 개폐장치 및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휴대 단말이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거치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제수밸브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수밸브 개폐장치 및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a wiping valv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ping valve open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a wiping valve that can easily manage a valve.

일반적으로, 상하수도에는 내부에 흐르는 물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수밸브가 구비되어 상황에 따라 상하수도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수밸브는 지하에 상수도관을 매설할 때 일정 구간마다 설치하게 되며, 배관의 교환이나 수리 등과 같은 공사 시 해당 위치의 제수밸브를 제어하여 전체적인 단수를 피하고 부분적인 단수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그 피해를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수도 공급수계를 구획하여 그 분기점에도 제수밸브를 설치하는데, 이는 수계와 수계 사이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분기점에 설치되는 제수밸브는 보다 주의 깊은 관리가 요구된다. Generally,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is provided with a water discharge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of water flowing in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so that the water supply and drainage system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drain valve is installed every time when the water pipe is buried in the underground, and when the pipe is replaced or repair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rain valve at the relevant position so as to avoid the entire number of stages, .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water system is partitioned and the water supply valve is installed at the branch point. This is to control the supply of water supplied between the water system and the water system, and the water supply valve installed at the branch point requires more careful management.

이러한 제수밸브는 지면으로부터 얕게 설치되면, 지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낮게는 대략 1 ~ 2m 정도의 깊이부터 깊게는 대략 8 ~ 10m 정도의 깊이에 제수밸브 보호통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제수밸브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길이가 긴 제수밸브용 키를 이용하여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제수밸브 보호통의 내측에 설치된 제수밸브를 지표면에서 개폐할 수 있다.If the water level valve is installed shallow from the ground, it may be damaged by the pressure or impact applied from the ground. Therefore, the water level valve should be installed at a depth of about 1 ~ 2m from the bottom to about 8 ~ 10m deep , And a drain valve is installed in the inside thereof. If necessary, a ground-use operator can open and close the wastewater valve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wastewater valve protector on the ground surface by using the key for the wastewater valve having a long length.

하지만, 제수밸브는 동일한 구역이라도 복수 개가 설치되기 때문에 제수밸브의 배치도만으로는 개폐하고자 하는 제수밸브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a plurality of sweep valves are provided in the same area,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locate the sweep valve to be opened or closed only by the arrangement of the sweep valves.

게다가 종래에는 작업자가 제수밸브용 키를 회전시켜 제수밸브를 개폐한 후, 제수밸브의 개폐율을 수작업으로 기록하는 방식을 통해 제수밸브를 관리하였으나, 추후 제수밸브를 다시 개폐하고자 할 경우 이전에 기록된 제수밸브의 개폐율을 다시 확인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기록이 누락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past, the operator manually controlled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drain valve after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valve by rotating the key for the drain valve. However, if the drain valve is to be opened and closed later, It takes a long time to confirm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iping valve. In som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cording may be missed.

이와 같이, 제수밸브가 현재 어느 정도 개폐되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제수밸브의 개폐율을 알기 위해서는 제수밸브를 전부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 후 수동으로 찾아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know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astewater valv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stewater valve must be fully opened or closed and then manually searched.

이러한 제수밸브의 개방과 폐쇄는 1년에 1~2회나, 길게는 몇 년에 한 번 개폐하는 것이 현실인 상황에서 용역에 의존하여 관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제수밸브에 대한 관리 기록을 공유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제수밸브를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Most of the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ain valve is controlled once or twice a year, and depending on the service, it is a common practice to open and close the gate once a year.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manage the wiping valve.

이에 작업자가 제수밸브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제수밸브의 개폐율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제수밸브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wiping valve management system that enables the operator to accurate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wiping valve and accurately measure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iping valve.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8571호(등록일: 1999. 11. 11)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68571 (Registered on November 11, 199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휴대 단말이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거치된 휴대 단말을 이용하여 제수밸브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제수밸브 개폐장치 및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mounted on a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which can easily control a wastewater valve using a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wastewater opening / And 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wiping valve.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ther objects that can be achieved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o the objects explicitly mentioned.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수밸브에 결합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레버부는 휴대 단말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gate valve opening / closing apparatus including a grip portion rotatably held by a user, one end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wiper valve And the handle portion or the lev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레버부에 착탈되는 장착부재, 상기 휴대 단말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휴대 단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or the lever portion,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a fixing member that fixes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상기 레버부는 외주면에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깊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깊이 식별자가 구비될 수 있다.The lev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pth identifier so as to identify the dep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mbedded from the ground.

상기 깊이 식별자는 상기 레버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depth identifiers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portio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은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 및 상기 휴대 단말로부터 전송 받은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상기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wru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rung valve using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in a state of being stowed in the wru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for opening / closing the wrung valve A portable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calculated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and a management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관리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es: a sensor unit for measuring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the management server;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by us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calculated wiping valve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휴대 단말은 현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long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

상기 휴대 단말은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를 포함하는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상기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가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including the depth of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embedded from the ground,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So that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상기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can store and manage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wiping valve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상기 제수밸브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수밸브에 결합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레버부는 휴대 단말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 설치될 수 있다.Wherein the handle valve unit includes a grip portion rotatably held by a user and a lever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wiper valve, A mounting unit for mounting the terminal can be installed.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레버부에 착탈되는 장착부재, 상기 휴대 단말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휴대 단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or the lever portion, a mounting member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and a fixing member that fixes the portable terminal mounted on the mounting member.

상기 레버부는 외주면에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깊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깊이 식별자가 구비될 수 있다. The lever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depth identifier so as to identify the dep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mbedded from the ground.

또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제수밸브의 관리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이 수행하는 제수밸브의 관리 방법은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managing a wiping valve performed by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management of a wiping valve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lculating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using the measured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and transmitting the calculated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o the management server.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easur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ransmitting step may transmi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o the management server together with the calculated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를 포함하는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단계는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상기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a wiping valve including a depth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buried from the ground, wherein the transmitting step includes: To the server.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 상기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상기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can store and manage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on the wiping valve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개폐장치 및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과 방법에 따르면,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휴대 단말이 거치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휴대 단말이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측정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용이하게 산출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nd the wiping val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mounted on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can be easily calculated by measuring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하도록 함으로써 제수밸브의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n, the calculated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is stored and managed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so that the wiping valve can be efficiently managed.

게다가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여 제수밸브의 현재 위치 정보로 관리함으로써 추후 제수밸브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구비된 깊이 식별자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는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를 측정하여 제수밸브가 매립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s measured and managed as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iping valve can be accurately detected. Further,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embedded in the ground through the depth identifier provided in the wiping valve opening / The depth is measured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rasp the position where the wiping valve is buried.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bove, and other effects that can be derived from the constitu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also included i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의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이다.
FIG.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wastewater valv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wedge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edge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aging a wip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anagement system for a wip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1)은 크게 휴대 단말(100) 및 관리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the wastewater management system 1 includes a portable terminal 100 and a management server 200.

휴대 단말(100)은 통신망(10)을 통해 관리 서버(200)와 각종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

여기서,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4G/5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 may b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 internet, a 3G / 4G / 5G May include various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ing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Fi,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or Long Term Evolution (LTE), and may include any data communication network none.

휴대 단말(10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memory means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web pad, etc., And various applications can be installed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o the user.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100)은 관리 서버(200)에서 제공한 제수밸브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수밸브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제수밸브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수밸브 관리 프로그램은 관리 서버(200)와 연동되어 휴대 단말(100)로부터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를 전송 받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휴대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가 휴대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제수밸브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수밸브 관리 프로그램은 앱 스토어, 안드로이드 마켓 등과 같은 어플리케이션 마켓(미도시)이나 관리 서버(200)로부터 설치 파일을 다운받아 휴대 단말(100)에 설치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wiping valve management application or a wiping valve management program provided by the management server 200. The wiping valve management application or the wiping valve management program can interlock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to receive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store and manage the wiping valve management information. So that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displayed. The wiping valve management application or the wiping valve management program can be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by downloading an installation file from an application market (not shown) such as an app store, an Android market, or the management server 200.

휴대 단말(100)은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제수밸브 개폐장치(50)에 거치될 수 있는데, 휴대 단말(100)이 거치되는 제수밸브 개폐장치(50)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to generate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wastewater valve, and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first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정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다.FIG. 2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 wedge valve opening /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edge valv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수밸브 개폐장치(50)는 손잡이부(51), 레버부(53) 및 거치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2 and 3,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may include a handle 51, a lever portion 53, and a mounting portion 55.

손잡이부(51)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51)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범위의 외경을 가지는 "T"형 또는 구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51)는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handle 51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a state in which the grip 51 is held by a user. For example, the handle 51 may be of a "T" shape or a sphe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the user can grasp by han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or shapes that the user can grasp. The handle 51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while the user grasps the handle.

레버부(53)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으로, 일단이 손잡이부(51)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수밸브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수밸브의 상단에는 지표면에서 작업자가 제수밸브를 개폐할 수 있도록 레버부(53)와 끼움 결합될 수 있는 결합돌출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lever portion 53 may have a long rod shape and one end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51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able to the wiping valve. To this end, an engaging projection means (not show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wiping valve, which can be fitted to the lever portion 53 so that an operator can open and close the wiping valve on the ground surface.

레버부(53)의 일단은 손잡이부(51)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수밸브의 결합돌출수단과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재(53a)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버부(53)의 결합부재(53a)가 제수밸브의 결합돌출수단에 끼워진 후, 지상에 있는 작업자가 손잡이부(5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부(51)의 회전에 따라 레버부(53)의 결합부재(53a) 또한 회전되어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게 된다.One end of the lever portion 53 may be connected to the handle 51 and the other end may be provided with a coupling member 53a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jection means of the wiper valve. When an operator on the ground rotates the handle 51 in the normal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after the engaging member 53a of the lever portion 53 is fitted in the engaging projection means of the wiping valve, The engaging member 53a of the portion 53 can also be rotated to open or close the wiping valve.

거치부(55)는 손잡이부(51) 또는 레버부(53)에 휴대 단말(100)이 거치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장착부재(55a), 안착부재(55b), 및 고정부재(55c)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거치부(55)가 손잡이부(51)에 거치될 경우, 휴대 단말(100)은 지면에 대응하는 수평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거치부(55)가 레버부(53)에 거치될 경우, 휴대 단말(100)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거치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향으로 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ounting portion 55 can be mounted on the handle 51 or the lever portion 53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mounted thereon and the mounting member 55a, the seating member 55b, and the fixing member 55c, . ≪ / RTI > For example, when the mounting portion 55 is mounted on the knob portion 51,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moun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nd surface, and the mounting portion 55 is mounted on the lever portion 53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moun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various directions.

장착부재(55a)는 손잡이부(51) 또는 레버부(5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장착부재(55a)의 착탈 구조는 나사식 체결구조를 이용하거나 끼움 결합에 의해 거치부(55)를 손잡이부(51) 또는 레버부(53)에 착탈시키는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부(51) 또는 레버부(53)에 나사 구멍이 형성되고, 장착부재(55a)는 수나사로 이루어져 거치부(55)를 손잡이부(51) 또는 레버부(53)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외에 다양한 착탈 구조를 이용하여 거치부(55)를 손잡이부(51) 또는 레버부(53)에 장착시킬 수 있다.The mounting member 55a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handle 51 or the lever 53. [ The mounting and dismounting structure of the mounting member 55a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55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handle 51 or the lever portion 53 by using a threaded fastening structure or by fitting. For example, a screw hole is formed in the handle portion 51 or the lever portion 53. The mounting member 55a is made of male screw to engage the mounting portion 55 with the handle 51 or the lever portion 53, . The attachment portion 55 can be attached to the handle 51 or the lever portion 53 by using various attachment / detachment structures.

안착부재(55b)는 휴대 단말(100)이 안착될 수 있는 면이나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seating member 55b may be in the form of a surface or a groove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seated and can perform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고정부재(55c)는 안착부재(55b)에 안착된 휴대 단말(1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홀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고정부재(55c)는 휴대 단말(100)의 상부를 고정 지지하는 상부 홀더 및 휴대 단말(100)의 하부를 고정 지지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휴대 단말(100)의 좌우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100) 전체를 고정 지지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는 휴대 단말(100)의 상부 및 하부를 각각 가압하여 휴대 단말(100)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휴대 단말(1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펀지 등의 완충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fixing member 55c may be a holder or the lik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55b. For example, the fixing member 55c may include an upper holder for fixing the upp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 lower holder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But may include a holder for holding the whole portable terminal 100 fixedly. The upper holder and the lower holder may be provided with a cushioning material such as a sponge to prevent the portable terminal 100 from being damaged b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support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fixed manner have.

한편, 레버부(53)는 외주면에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깊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깊이 식별자(57)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깊이 식별자(57)를 이용하여 제수밸브 개폐장치(50)가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깊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매설 깊이를 파악할 수 있다. 깊이 식별자(57)는 레버부(53)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깊이 식별자(57)는 문자 또는 숫자 형태의 마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깊이 식별자(57)는 돌기, 홀 또는 점자 등과 같이 사용자가 제수밸브의 매설 깊이를 식별하기 위하여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lever portion 53 may be provided with a depth identifier 57 so that the depth of the lever portion 53 can be embedded from the ground surface. The user can confirm the depth of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buried from the ground by using the depth identifier 57, and can use it to grasp the depth of burial of the wastewater valve. A plurality of depth identifiers 57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portion 53. The plurality of depth identifiers 57 may be formed of characters or numeric markers. Alterna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pth identifier 57 can be made by various means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o identify the depth of burial of the wiping valve, such as protrusion, hole or braill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세부적인 구성도를 나타낸다.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은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서부(130), 위치 측정부(140), 제어부(150), 저장부(160) 및 출력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4,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an input unit 120, a sensor unit 130, a position measurement unit 140, a control unit 150, a storage unit 160, and an output unit 170 ).

통신부(110)는 관리 서버(200)와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관리 서버(200)와 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can exchange various information and data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and can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erver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anner.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문자, 텍스트, 숫자, 이미지나 영상 등의 입력 신호, 기능키의 입력 신호 또는 휴대 단말(10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다수의 문자키, 숫자키 또는 기능키를 포함한 버튼 조작부(키패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펜 또는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입력부(120)는 출력부(170)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터치 입력 신호나 펜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입력 신호나 펜 입력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송하는 입력 장치 기능과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문자, 텍스트, 숫자, 이미지나 영상 등을 출력하는 출력 장치 기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unit 120 may receive input signals of characters, text, numbers, images or images, input signals of function keys, or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from the user, and may transmit the input signals to the controller 150.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button operation unit (keypad) including a plurality of character keys, numeric keys, or function keys, a touch screen, a pen, or a mouse.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120 interlocks with the output unit 170 to sense a touch input signal or a pen input signal of the user, An input device function for transmitting an input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 and an output device function for outputting characters, text, numbers, images,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50.

센서부(130)는 휴대 단말(100)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센서부(130)는 휴대 단말(100)이 제수밸브 개폐장치(50)에 거치된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 센서, 모션(motion) 센서, 자이로스코프 등과 같은 각속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130 may measure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at is, the sensor unit 130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 motion sensor, and the like, which can measure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mounted on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Sensors, angular velocity sensors such as gyroscopes, and the like.

위치 측정부(140)는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측정부(140)는 GPS 위성에서 송출되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하거나, 다양한 측위 방식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WiFi나 Wibro 등의 모바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AP 장치 또는 비콘(beacon)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may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can receive the GP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and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r collect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using various positioning methods. An AP device using a mobile network such as WiFi or Wibro or a beacon may be used to measu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제어부(150)는 휴대 단말(100)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센서부(130)에서 측정된 휴대 단말(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can calculate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by u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easured by the sensor unit 130 as means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s a whole .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수밸브를 개폐하기 위하여 제수밸브 개폐장치(50)를 제수밸브에 결합시킨 다음, 휴대 단말(100)이 제수밸브 개폐장치(50)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수밸브 개폐장치(5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복수 회 회전시키면, 제수밸브 개폐장치(50)의 회전 동작에 따라 휴대 단말(100)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130)에서 휴대 단말(100)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하면, 제어부(150)는 센서부(130)에서 감지된 휴대 단말(100)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100)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수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이고, 휴대 단말(100)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휴대 단말(1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지 알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율까지도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는 통신부(110)를 통해 관리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is coupled to the wastewater valve to open and close the wastewater valve, and then the user opens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The portable terminal 100 also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when the valve 50 is rotated a plurality of times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roller 150 senses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e sensor unit 130 and transmits the sensed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to the controller 150. The controller 15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ensed by the sensor unit 130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wiping valve is opened,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suming that the wiping valve is closed, It is possible to know whether the wiping valve is opened or closed and also to know the opening and closing rate of the wiping valve by us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hus calcul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0.

한편, 제어부(150)는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위치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는 제수밸브의 현재 위치를 아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는 현재 제수밸브의 상태(개폐율)를 아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140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can be used to know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astewater valve, and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can be used to know the stat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astewater valve at present.

그리고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를 포함하는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입력 받고, 제어부(150)는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가 관리 서버(2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는 제수밸브가 매립된 깊이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5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wastewater valve and the information on the wastewater valve from the management server 120. [ (200).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pth at which the wiping valve is embedded.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제수밸브 개폐장치(50)의 레버부(53)에 구비된 깊이 식별자(57)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제수밸브 개폐장치(50)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 외에 제수밸브 개폐장치(50)의 치수나 무게 등을 포함하는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휴대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휴대 단말(100)은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measure the depth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embedded from the ground by using the depth identifier 57 provided in the lever portion 53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including dimensions, weight, etc.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0 can be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addition to the depth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T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

이와 같이, 휴대 단말(100)은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관리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transmit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o the management server 200.

저장부(160)는 휴대 단말(100)을 제어하고 제수밸브 관리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및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60 may store a control program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application and a program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출력부(170)는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입력부(120)에서 인가된 문자, 텍스트, 숫자, 이미지, 영상, 휴대 단말(100)의 상태나 메뉴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출력부(170)는 휴대 단말(100)이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입력부(120)와 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 가능한 문자나 숫자를 포함하는 키패드 영역, 메뉴 화면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The output unit 170 may output characters, text, numbers, images, images, and the st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 menu screen, and the like, which are input from the input unit 1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50. In particular,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touch screen, the output unit 170 may output a keypad area and a menu screen area including characters or numbers that can be input by the user in cooperation with the input unit 120. [

관리 서버(200)는 휴대 단말(100)로부터 전송 받은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The management server 200 can store and manage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shower valve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information of the shower valve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shower valve.

보다 자세하게는, 관리 서버(200)는 휴대 단말(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제수밸브의 위치별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 및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100)의 요청에 따라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를 휴대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200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wastewater valve by us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tores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by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wastewater valve .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may be continuously updated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t the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단말(100)을 이용하여 조작 대상이 되는 제수밸브의 위치 및 각종 관리 정보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전에 조작한 제수밸브의 개폐율을 고려하여 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learl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wastewater valve to be operated and various management information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can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astewater valve previously operated .

그리고 관리 서버(200)는 각 제수밸브에 대한 관리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수밸브의 관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management server 200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wipe valve, the wipe valve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mana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의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a wiping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수밸브의 관리 과정을 보여주는 동작 흐름도를 나타낸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wiping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휴대 단말이 거치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측정할 수 있다(S500).As shown in FIG. 5, the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can be measured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apparatus (S500).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수밸브를 개폐하기 위하여 제수밸브 개폐장치를 제수밸브에 결합시킨 다음, 휴대 단말이 제수밸브 개폐장치에 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수밸브 개폐장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복수 회 회전시키면,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회전 동작에 따라 휴대 단말 또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휴대 단말의 센서부가 휴대 단말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drain valve, the drain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is coupled to the drain valve. Then, when the user holds the drain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in the forward / The portable terminal also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At this time, the sensor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sense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 the sensed direction and the rotation number to the controller.

다음으로, 측정된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S510).Next,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can be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rotation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S510).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는 센서부에서 감지된 휴대 단말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수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이고, 휴대 단말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수밸브를 폐쇄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휴대 단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지 알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회전수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개폐율까지도 알 수 있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can calculate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using the rotational direction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rtable terminal sensed by the sensor unit.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in the normal direction, the wiping valve is opened, an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assumed that the wiping valve is closed. And th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iping valve can be known using the rotation number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리고 이와 같이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는 통신부를 통해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S520).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hus calculated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S520).

이때, 제어부는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위치 측정부에서 측정된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는 제수밸브의 현재 위치를 아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는 현재 제수밸브의 상태(개폐율)를 아는데 이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ler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and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measured by the position measuring unit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to know the current position of the wiping valve, and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can be used to know the state (opening / closing rate) of the wiping valve at present.

그리고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를 포함하는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입력 받고,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가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는 제수밸브가 매립된 깊이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eives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including the depth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buried in the ground from the user, and controls the wip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ogether with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depth at which the wiping valve is embedded.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레버부에 구비된 깊이 식별자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매설된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깊이 외에 제수밸브 개폐장치의 치수나 무게 등을 포함하는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휴대 단말에 입력하여 관리 서버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ser can measure the depth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embedded from the ground by using the depth identifier provided in the lever portion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In addition to the depth of the wip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including dimensions, weight, and the like can be input to the portable terminal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그러면, 관리 서버는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S530). 즉 관리 서버는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와 함께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및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로서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Then, the management server can manage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S530).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can store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together with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as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보다 자세하게는, 관리 서버는 휴대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제수밸브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제수밸브의 위치별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 및 제수밸브의 제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요청에 따라 제수밸브의 관리 정보를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can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wastewater valve by using the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store the wastewater valv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and the specification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by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wastewater valve.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may be continuously updated and the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may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이, 관리 서버는 각 제수밸브에 대한 관리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제수밸브의 관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this manner, since the management server can continuously receive the management information for each wipe valve, the wipe valve can be quickly and efficiently managed.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제수밸브의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computer-readable medium hav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is medium records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anagement method of the wiping valve. Th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Examples of such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 and DVD, programmed instructions such as floptical disk and magneto-optical media, ROM, RAM, And a hardware device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the program.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 제수밸브의 관리 시스템
50: 제수밸브 개폐장치
51: 손잡이부 53: 레버부
55: 거치부
100: 휴대 단말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센서부 140: 위치 측정부
150: 제어부 160: 저장부
170: 출력부 200: 관리 서버
200: 관리 서버
1: Management system of the flush valve
50: Dewatering valve opening / closing device
51: Handle portion 53: Lever portion
55:
100:
110: commun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sensor unit 140: position measuring unit
150: control unit 160:
170: output unit 200: management server
200: management server

Claims (14)

휴대 단말과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수밸브의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휴대 단말이 거치되고 상기 제수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수밸브에 결합되는 레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레버부는,
상기 휴대 단말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부가 설치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손잡이부 또는 상기 레버부에 착탈되는 장착부재;
상기 휴대 단말이 안착되는 안착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상기 휴대 단말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부는 외주면에 지면으로부터 매설되는 깊이를 식별할 수 있도록 깊이 식별자가 구비되며,
상기 휴대 단말은,
각속도 센서, GPS 신호와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여 처리는 위치 측정부 및 통신부가 내장된 휴대 단말로서, 상기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개폐장치.
An apparatus for opening or closing a wiping valve,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in a wiping valv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 portable terminal and a management server,
A grip portion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 state of being held by a user; And
And a lever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andle portion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wiper valve,
Wherein the handle portion or the lever portion includes:
A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he mounting portion may include a mounting member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or the lever portion.
A seating member o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seated; An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The le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depth identifier so as to identify the dep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embedded from the ground,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n angular velocity sensor, a GPS signal and a communication signal, and the processing i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osition measur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wherein the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is calculated using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otations using the angular velocity sens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measuring unit and the calculated opening and closing information of the wastewater valve to the management server.
제1항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웹 패드(Web Pad)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Wherein the at least one valve is at least one of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a web pad.
제1항에서,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각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위치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위치 정보와 상기 산출된 제수밸브의 개폐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수밸브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ortable terminal calculates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by using the direction and the number of revolutions using the angular velocity sensor, and calculates the opening / closing information of the wiping valve by using the position information measured through the position measuring unit, Th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Wherein the controller is implemented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서,
상기 깊이 식별자는,
상기 레버부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제수밸브 개폐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epth identifier comprises:
Wherein a plurality of the valve unit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ever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23416A 2019-02-27 2019-02-27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KR1019997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16A KR101999777B1 (en) 2019-02-27 2019-02-27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3416A KR101999777B1 (en) 2019-02-27 2019-02-27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777B1 true KR101999777B1 (en) 2019-07-12

Family

ID=6725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3416A KR101999777B1 (en) 2019-02-27 2019-02-27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77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5971A1 (en) * 2020-11-17 2022-05-27 Avk Holding A/S A method for operating a valve and an operating ke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652A (en) * 1997-09-04 1999-04-06 윤종용 Graduated valve
KR200168571Y1 (en) 1999-08-26 2000-02-15 조규성 Sluice valve apparatus
KR20130057554A (en) * 2011-11-24 2013-06-03 윤세형 Supporting holder for mobile phone of bicycle
JP2016125616A (en) * 2015-01-07 2016-07-11 凸版印刷株式会社 Valve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and valve opening/closing management system of valv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652A (en) * 1997-09-04 1999-04-06 윤종용 Graduated valve
KR200168571Y1 (en) 1999-08-26 2000-02-15 조규성 Sluice valve apparatus
KR20130057554A (en) * 2011-11-24 2013-06-03 윤세형 Supporting holder for mobile phone of bicycle
JP2016125616A (en) * 2015-01-07 2016-07-11 凸版印刷株式会社 Valve opening/closing detection device and valve opening/closing management system of valve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5971A1 (en) * 2020-11-17 2022-05-27 Avk Holding A/S A method for operating a valve and an operating ke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1835B2 (en) Electronic manifest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s
US8766638B2 (en) Locate apparatus with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receiv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regarding underground facility marking oper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20150083044A1 (en) Marking apparatus for receiv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regarding underground facility marking oper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US20100088032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generating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and combined locate and marking apparatus for same
US20090241045A1 (en) Virtual white lines for delimi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US20100085185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nic records of locate operations
JP6066372B2 (en) Water pipe vibration detection device and water pipe vibration detection method
KR101999777B1 (en) Water Control Valve Operato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Water Control Valve
US20140195956A1 (en) Electronic manifest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marks
WO2010093426A2 (en) Locate apparatus having enhanced features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oper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and systems
KR101095849B1 (en) Method and appaeatus for managing irrigation and drainage at rural area using mobile station
KR101220268B1 (en) System of measuring with gps for underground map
KR101459579B1 (en) Manual valve opening degree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4688017B2 (en) Transmission line inspection support system
KR101367336B1 (en) A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facility based on the ubiquitous
JP2014074611A (en) Vibration detection device for public water supply pipe and vibration detection method for public water supply pipe
KR1014541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iver bed variation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20100036753A (en)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and completion inspection using dgps in engineering works and construction
KR20160118006A (en) Nonpoint pollution source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device
KR101506941B1 (en) Positioning system of operating precision positioning setting method with touch apparatus
JP2020173205A (en) Liquid intrusion detection system, liquid intrusion detection method, and liquid intrusion detection program
KR101492529B1 (en) Positioning system of operating precision positioning setting method with touch apparatus
KR102476572B1 (en) Underground facilities detection system for increasing reliability using laser rangefinder
KR102259515B1 (en) Augmented reality system for maintenance of underground pipeline
Lepot et al. Design of a monitoring network: from macro to micro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