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046B1 -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046B1
KR101999046B1 KR1020180002086A KR20180002086A KR101999046B1 KR 101999046 B1 KR101999046 B1 KR 101999046B1 KR 1020180002086 A KR1020180002086 A KR 1020180002086A KR 20180002086 A KR20180002086 A KR 20180002086A KR 101999046 B1 KR101999046 B1 KR 101999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saliva
protrusion
gum
gum base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경균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2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1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e.g. aerated products
    • A23G4/20Composite products, e.g. centre-filled, multi-layer, laminated
    • A23G4/205Hollow products, e.g. with inedible or edible filling, fixed or movable within the cavit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of the chewing gum b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기능성 껌이 제공된다. 상기 기능성 껌은, 인공타액이 수용되는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Functional gum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련된 것으로서, 인공타액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에서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타액선 기능 저하 및 노화에 의한 타액기능의 저하는 구강건조증이라는 증상으로 나타나며, 이러한 구강 건조증은 음식물 섭취 및 발음 등의 일상 생활에 매우 불편한 상태를 만들어 삶의 질을 낮추는 주요 원인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구강건조증은 환경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타액선 기능저하에 의해서 장기적으로도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인공타액을 투입하거나 타액분비를 유도하는 껌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구강건조증 개선을 위한 인공타액의 경우에는 실제의 타액 성분을 완벽하게 대체하지 못하고 있으며, 구강이라는 공간에 완벽하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뿐만 아니라, 구강이라는 특성 상, 인공타액을 적용할 경우 연하와 같은 기능으로 삼키게 되어, 구강 내에 잔존하는 시간이 제한되어 있어, 지속 가능한 시간이 매우 적어 증상 개선 시간이 제한적이거나 사용되는 양이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타액분비를 유도하는 껌의 경우에는, 저작이라는 기능이 타액 분비를 자극하는 증상을 이용하여, 타액 분비를 증가시켜 구강건조증 증상을 개선하게 되는데, 구강건조증이 심한 상태의 환자에게 사용하게 되면 구강내 작열감이 더욱 증가하게 되어, 효과적인 증상 개선을 야기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건조증을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물질 또는 방법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 민국 공개 공보 10-2017-0125481(출원번호: 10-2016-0055150,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에는, 잔소리졸 또는 자바강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또는 구강건조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시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 번호 10-2017-012549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타액분비를 촉진하는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저작작용을 돕는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공타액이 구강내로 용이하게 제공되는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능성 껌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껌은, 인공타액이 수용되는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표면은 상기 껌 베이스로 둘러싸이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는 상기 인공타액으로 채워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껌은,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중첩되는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한 표시가 되어있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 표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은, 상기 껌 베이스 표면과 공면(coplanar)을 이루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내부는 상기 인공타액으로 채워지되, 상기 돌출부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의 상(phase)과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의 상(phase)은 서로 다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면에는 보조막이 제공되되, 상기 보조막은, 인간의 타액과 반응하여 소멸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껌 베이스는, 자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은,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에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은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과 공면을 이루고, 상기 인공타액은 상(phase)이 서로 다른 제1 및 제2 인공타액을 포함하되, 상기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는,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에 상기 제1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제2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은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과 공면을 이루되, 상기 공면에 인간의 타액과 반응하여 소멸되는 보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기 껌 베이스가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건조증 환자는, 상기 기능성 껌의 일 영역만 깨무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를 통해 상기 인공타액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를 통해 환자의 구강으로 제공된 상기 인공타액은 환자의 구강건조증을 일부 해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는 상기 기능성 껌의 전체를 용이하게 씹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표면에 돌출부에 대한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 중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은, 인공타액 수용부(12), 및 돌출부(14)를 갖는 껌 베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설명된다.
상기 껌 베이스(10)는,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및 상기 돌출부(14)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껌 베이스(10)는 자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연추출물은, 타액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는, 상기 껌 베이스(10)의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는, 상기 껌 베이스(10) 내부의 빈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의 내부에는 인공타액(artificial saliva)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타액은 인간의 타액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로부터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로부터 돌출된 상기 껌 베이스(10) 내부의 빈 공간일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의 내부에는,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와 같이 상기 인공타액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돌출부(14)의 표면은 상기 베이스로(10)로 둘러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4)의 내부는 상기 인공타액으로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4)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4)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은, 상기 돌출부(14)에 의하여 상기 인공타액이 구강건조증을 갖는 환자의 구강 내에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돌출부(14)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4)는 제1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4)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10) 표면까지의 거리(d1)가, 제2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4)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10)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돌출부(14)가 돌출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X 방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의 직각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Z 방향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건조증 환자가 상기 기능성 껌(100)의 일 영역만을 깨무는 경우에도, 구강건조증 환자의 구강 내로 상기 돌출부(14)를 통해 상기 인공타액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환자가 깨물게 되는 상기 기능성 껌(100)의 일 영역 내에 상기 돌출부(14)가 포함되도록,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14)에 대한 표시가 되어있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표면에 돌출부에 대한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14)에 대한 표시가 되어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14)에 대한 표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껌 베이스(10)의 둘레를 따라 점선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에 대한 표시는, 상기 돌출부(14)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이 중첩되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강건조 환자는 상기 기능성 껌(100)을 외부에서 바라보는 경우에도 상기 기능성 껌(100)의 내부에 제공되는 상기 돌출부(1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능성 껌(100)과 달리, 상기 돌출부(14)가 없이 껌 베이스의 내부 공간에 인공타액이 제공된 기능성 껌의 경우, 구강건조증 환자의 구강 내로 인공타액이 제공되기 위해, 껌 전체 부분을 씹게 된다. 이 경우, 환자가 구강건조증으로 인해 저작작용을 용이하게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껌 내부에 제공된 인공타액이 구강 내로 용이하게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껌 전체 부분을 씹는 저작작용을 수행하더라도, 껌의 부피로 인하여 환자의 구강 내에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기능성 껌(100)은, 상기 껌 베이스(10)가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로부터 돌출된 상기 돌출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4)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10) 표면까지의 거리(d1)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14)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10) 표면까지의 거리(d2)보다 짧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구강건조증 환자는, 상기 기능성 껌(100)의 일 영역만 깨무는 경우에도, 상기 돌출부(14)를 통해 상기 인공타액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돌출부(14)를 통해 환자의 구강으로 제공된 상기 인공타액은 환자의 구강건조증을 일부 해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는 상기 기능성 껌(100)의 전체를 용이하게 씹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껌 베이스(10)가 타액 분비를 촉진하는 자연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공타액을 통해 1차적으로 구강건조증을 해소하고, 상기 껌 베이스(10)를 지속적으로 씹는 작용을 통해 2차적으로 구강건조증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이 설명되었다. 이하,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과 달리, 상기 돌출부(14)의 일 면이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과 공면(coplanar)을 이루는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과 같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및 상기 돌출부(14)를 갖는 상기 껌 베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기 돌출부(14)의 일 면이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과 공면(coplanar)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의 상(phase)과 상기 돌출부(14)의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의 상(phase)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내부에는 액체 상태의 인공타액이 채워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14) 내부에는 겔(gell) 상태의 인공타액이 채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구강건조증 환자가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일 영역만을 깨무는 경우에도, 구강건조증 환자의 구강 내로 상기 돌출부(14)를 통해 상기 인공타액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술된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과 같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및 상기 돌출부(14)를 갖는 상기 껌 베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기 돌출부(14)의 일 면이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과 공면(coplanar)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기 공면에 보조막(16)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막(16)은 인간의 타액과 반응하여 소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조막(16)은 셀룰로스(cellulose)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구강건조증 환자가 상기 제3 실시 예에 다른 기능성 껌 전체를 입 안에 넣은 경우에도, 구강건조증 환자의 구강 내로 상기 돌출부(14)를 통해 상기 인공타액이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은, 상기 기능성 껌 전체를 환자의 입 안에 넣은 경우, 상기 보호막이 제거되어 상기 돌출부(14)를 통해 상기 인공타액이 제공될 수 있다. 즉, 저작작용이 없이 상기 돌출부(14)로부터 상기 인공타액이 제공됨에 따라, 환자의 구강건조증을 일부 해소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환자는 상기 기능성 껌(10)의 전체를 용이하게 씹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성 껌이 설명되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들이 포함하는 상기 돌출부(14)의 구성들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이 포함하는 상기 돌출부(14)의 구성이 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일측의 돌출부는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의 상기 돌출부(14)와 같이 특정 형상을 갖고, 상기 돌출부(14)의 표면이 상기 껌 베이스(10)로 둘러싸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타측의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이 포함하는 상기 돌출부(14)와 같이 상기 돌출부(14)의 일 면과 상기 껌 베이스(10)의 표면이 공면을 이루고,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12) 및 상기 돌출부(14) 내부에 서로 다른 상의 인공타액이 채워진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이 포함하는 상기 돌출부(14)의 구성이 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상기 제2 및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100)이 포함하는 상기 돌출부(14)의 구성이 조합될 수 있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이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은, 인공타액 수용부 및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내에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S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통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이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및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S100)는, 상기 껌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껌 베이스 내부에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돌출부는, 상기 껌 베이스 내부에 특정 형상의 공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내에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S200)는, 상기 인공타액을 상기 껌 베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를 관통하여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돌출부 내부로 제공하는 방법으로 주입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 중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이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과 공면을 이루고, 상기 인공타액은 제1 및 제2 인공타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 중, 상기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S200)는,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에 상기 제1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S210), 및 상기 돌출부에 상기 제2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S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인공타액 및 상기 제2 인공타액은 상(phase)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인공타액은 액체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인공타액은 겔(gell)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통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0 참조하면,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되,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이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과 공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은, 상기 공면에 인간의 타액과 반응하여 소멸되는 보조막을 형성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막을 형성하는 단계(S300)는 상기 인공타액(S200)을 주입하는 단계 이후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을 통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껌이 제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껌 베이스
12: 인공타액 수용부
14: 돌출부
16: 보조막
100: 기능성 껌

Claims (12)

  1. 인공타액이 수용되는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 내부는 상기 인공타액으로 채워지고,
    상기 돌출부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은 겔(gel) 상태이고,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은 액체 상태인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표면은 상기 껌 베이스로 둘러싸이고,
    상기 돌출부의 내부는 상기 인공타액으로 채워진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로부터,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과 중첩되는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에는, 상기 돌출부에 대한 표시가 되어있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 표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돌출부가 돌출되는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껌 베이스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은, 상기 껌 베이스 표면과 공면(coplanar)을 이루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6. 삭제
  7. 인공타액이 수용되는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은, 상기 껌 베이스 표면과 공면(coplanar)을 이루고
    상기 공면에는 보조막이 제공되되,
    상기 보조막은, 인간의 타액과 반응하여 소멸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8.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껌 베이스는, 자연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9. 제1 항 또는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
  10.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에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은 겔(gel) 상태이고,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 내부에 채워진 상기 인공타액은 액체 상태인 것을 포함하는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
  11. 삭제
  12. 인공타액 수용부, 및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껌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인공타액 수용부와 상기 돌출부 내부에 인공타액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돌출부의 일 면은 상기 껌 베이스의 표면과 공면을 이루고, 상기 공면에 인간의 타액과 반응하여 소멸되는 보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껌의 제조 방법.
KR1020180002086A 2018-01-08 2018-01-08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KR101999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86A KR101999046B1 (ko) 2018-01-08 2018-01-08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086A KR101999046B1 (ko) 2018-01-08 2018-01-08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046B1 true KR101999046B1 (ko) 2019-07-10

Family

ID=67254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086A KR101999046B1 (ko) 2018-01-08 2018-01-08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0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0841A (ja) * 2000-05-03 2004-01-15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機能性成分を含有する菓子製品
KR20100122375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능성분이 구강 및 인후에 오래 전달되어 효능이 지속되는 캔디 조성물
KR20170125491A (ko) 2016-05-04 2017-11-1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가스터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0841A (ja) * 2000-05-03 2004-01-15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機能性成分を含有する菓子製品
KR20100122375A (ko) * 2009-05-12 2010-11-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효능성분이 구강 및 인후에 오래 전달되어 효능이 지속되는 캔디 조성물
KR20170125491A (ko) 2016-05-04 2017-11-1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블레이드 및 이를 구비한 가스터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구강내과학회지, Vol.24, No.4, pp.347-359(1999.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0635B1 (ko) 치아 미백 스트립의 형상
AU2009226621B2 (en) Gingival wafer
ES2675949T3 (es) Composición para tratamiento de la xerostomía o boca seca
PE20020694A1 (es) Composiciones orales que tienen caracteristicas esteticas del consumidor mejoradas
CA2613509A1 (en) Carrier strip for application to oral surfaces and related methods
KR20060026047A (ko) 치주 질환 치료용 약물 투여 트레이 및 약물 투여 방법
PT893992E (pt) Formas de dosagem oral de desintegracao rapida
AR027902A1 (es) Preparacion medicamentosa plana para la administracion transmucosa de oxicodona o un principio activo similar en la cavidad bucal, para su aplicacion en el tratamiento contra el dolor y la adiccion
ES2039480T3 (es) Una forma de dosificacion liquida para administracion oral de una sustancia farmaceuticamente activa.
CA2520986A1 (en) Physiological compatible film
KR101999046B1 (ko) 기능성 껌 및 그 제조 방법
Agarwal et al. Efficacy and acceptability of 0.074% diclofenac-containing mouthwash after periodontal surgery: a clinical study
Baurmash The etiology of superficial oral mucoceles
US3478432A (en) Dental articles
Mani et al. Are all additives of toothpastes rational?
Prakash et al. A case report on stomatitis venenata due to the use of lip balm
US6533579B2 (en) Intraoral diffusion type administration device incorporated in removable dental restoration
US11633352B2 (en) Diclofenac and hyaluronic acid combination treatment for oral leukpoplakia
Pejcic Drug-induced oral reactions
BR0307816C1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oral para cápsulas macias contendo vinorelbina e método de tratamento
KR100632802B1 (ko) 치주질환 치료 및 예방용 마우스피스
Sadiq et al. Pyogenic granuloma-a case report
RU2373894C2 (ru) Зубной протез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ossi et al. Buccal delivery systems for peptides: recent advances
US2872925A (en) Medicament applicator for the tong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