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057B1 -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 Google Patents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057B1
KR101998057B1 KR1020170010877A KR20170010877A KR101998057B1 KR 101998057 B1 KR101998057 B1 KR 101998057B1 KR 1020170010877 A KR1020170010877 A KR 1020170010877A KR 20170010877 A KR20170010877 A KR 20170010877A KR 101998057 B1 KR101998057 B1 KR 10199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nsor
magnet
cap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6876A (ko
Inventor
양대연
나경두
최우수
정정만
이병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10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0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86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91Housing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1Hermetically-sealed casings sealed by a gasket held between a removable cover and a body, e.g. O-ring, pack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75Magnetic shie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 측면에 센서 홀들이 천공되어 있고, 일면에 하기 차폐자석들이 구비되도록 자석 장착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케이스; 상기 자석 장착 홈들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차폐자석들; 및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센서 홀들을 통해 감지하는 센서들이 실장되어 있는 PWB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SENSOR CASE HAVING MAGNET INSERTING STRUCTURE FOR WATCHING POWER DISTRIBUTION}
본 발명은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케이스의 일단부와 수평을 이루는 자석 삽입 구조와 밴드 체결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전 제품,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스마트 홈, 스마트 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되는 각종 사물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각 사물들이 만들어낸 정보들을 인터넷을 통해 공유하고 제어하는 환경을 구축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 IoT)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사물 인터넷의 적용 분야는 헬스, 건설, 제조, 농업, 에너지, 환경, 국방 등의 모든 분야를 망라하며, 그중 에너지 분야와 관련해서는 스마트 그리드가 대표적인 적용 분야이며, 이 밖에도 전력 이용에 대한 원격 탐침, 전력 설비들에 대한 원격 센싱 기술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력 설비는 발전 설비, 송전 설비, 변전 설비, 배전 설비, 수전 설비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들 설비 중에서 송전 설비는 전력 회사의 발전기에서 생산 또는 변전소에서 변전된 특고압 또는 고압 전류를 변전소 또는 옥내, 건물 내의 전등, 건물, 공장 등에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송전 케이블, 철탑, 전주 등의 설비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주 위에 변압기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들 송전 설비는 수만 볼트의 고압 전기가 흐르므로 매우 위험하므로 통상 송전선로를 지지하기 위한 탑, 즉 송전탑이나 전주 위에 설치되며, 송전탑은 고압 전기가 주위 환경 특히 거주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인식 때문에 인적이 드문 야산이나 험지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전주의 경우도 지상으로부터 상당 높이에 전기선이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송전 설비에 문제가 발생되어 수리를 요하거나, 정기적인 점검을 요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직접 송전탑이나, 전주 상에 올라가 육안으로 확인하거나 테스트 장비를 이용하여 직접 확인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보다 최근에는 전력 설비에 센서류를 부착하여 원격으로 전력설비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력설비에 적용이 가능한 센서 케이스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센서 케이스가 고려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센서 케이스는 장착될 위치에 탈부착되는 제 1 하우징(10) 및 상기 제 1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 2 하우징(200)으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200)에 구비된 감시창에 합형되는 투명캡(300)과, 상기 제 1 하우징(10)과 제 2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광센서(400)와 기체감지용 센서, 및 상기 광센서(400)와 기체감지용 센서로부터 계측된 신호를 수집하는 센서통합보드(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하우징(10)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장착 부위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사용이 완료된 센서 케이스의 철거가 용이하도록 탈부착될 수 있는 구조일 수도 있다.
즉, 탈부착수단은 볼트(610)와 함께 장착 부위에 구비되고 볼트(610)에 끼움 결합되어 제 1 하우징(10)을 장착 부위의 하부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키는 지지판(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630)은 볼트(610)와 너트(620) 사이에 구비되고 장착 부위의 하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제 1 하우징(10) 대신 장착 부위의 하부와 접촉되어 제 1 하우징(10)이 장착 부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센서 케이스는 센싱 위치에 부착하기 위해 접착제 등을 사용하거나 볼트를 이용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로 옥외의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송전 설비에 이와 같이 접착제나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은 장착 안정성 측면이나 설치 작업 곤란도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결과를 초래한다.
한편, IoT 기술이 적용되는 송전 설비로서, 전력 배분의 마지막 단계에 위치하며, 교류전압을 승압시키거나 강압시켜 경제적인 송배전을 통하여 산업설비나 공장 또는 가정에서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로 전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배전용 변압기가 있다.
이러한 배전용 변압기의 경우 전력수요의 증가 및 도시지역의 확대로 인하여 과부하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와 같은 과부하나 외부적인 환경요인과 내부적 요인 등에 의해 변압기에 이상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상 현상을 감시하기 위한 센서가 내장된 센서 케이스를 적절한 위치에 부착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전주 위에 설치되는 변압기에 종래의 센서 케이스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나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하거나, 볼트나 너트로 체결하는 것은 주로 원통형의 금속제 구조를 갖는 변압기에 있어서는 접착면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고, 변압기 본체에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기 위해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이 가능하지 않으므로 적용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센서 케이스를 전력 설비와 같은 금속제 설비에 쉽게 부착할 수 있으면서도 견고한 장착이 유지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출원 제 20-0470830 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센서 케이스를 전력 설비에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밴드를 이용하여 밴드 결합이 가능하며, 또한 차폐자석이 센서 케이스의 일단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삽입되되,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센서 케이스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금형 삽입 구조, 즉 자석이 센서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되며, 자석 장착 홈들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의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력 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는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 측면에 센서 홀들이 천공되어 있고, 일면에 하기 차폐자석들이 구비되도록 자석 장착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케이스;
상기 자석 장착 홈들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차폐자석들; 및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센서 홀들을 통해 감지하는 센서들이 실장되어 있는 PWB 어셈블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제 1 케이스의 일면에는 밴드 체결을 위한 밴드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밴드 홀들은 상호 대향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스의 자석 장착 홈들은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모서리에는 상호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 구멍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폐자석은 자석 장착 홈들과 대면하는 면이 자기 차폐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자기차폐를 위한 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캡은 측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투자율이 높은 철이나 니켈, 코발트 합금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일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 날개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적인 예에서, 상기 PWB 어셈블리의 센서들은 센서 홀들에 대응하도록 실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케이스는 센서 홀을 밀폐하는 광 센서용 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케이스는 센서 홀을 밀폐하는 음파 센서용 방수 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센서 케이스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결합 부위를 밀폐하는 실리콘 고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케이스는 PWB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는, 차폐 자석을 이용하여 센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금속 설비에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며, 비금속 재질의 설비인 경우에도 밴드로 결합이 가능하여 다양한 재질의 전력 설비에 탈부착이 용이하다.
또한, 자석이 센서 케이스의 일단부와 수평을 이루게 하고 자석 장착 홈들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로 인서트 성형되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석이 센서 케이스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장착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센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사시도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자기력선의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모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밴드 체결을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후술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평면도 및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센서 케이스(100)는 제 1 케이스(110), 제 2 케이스(120), 차폐자석들(130) 및 PWB 어셈블리(1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10) 일면에는 전력 설비에 부착을 위한 밴드 홀들(111, 1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밴드 홀들(111, 112)은 밴드(도 11: 192)를 이용하여 전력 설비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제 2 케이스(120)는 제 1 케이스(110)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케이스(120)의 측면에는 센서 홀들(121, 122)이 천공되어 있고, 센서 홀들(121, 122)에는 센서들(141, 142)이 각각 위치하여 감지를 하게 된다. 여기서, 센서들(141, 142)은 초음파 센서, UV(Ultraviolet) 센서,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의 센서일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120)의 일면에는 차폐자석(130)이 구비되도록 자석 장착 홈들(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석 장착 홈들(123)에는 상부가 개방된 캡(132)이 결합되고, 캡(132)에 차폐자석(130)이 결합되어 있다.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120)의 모서리에는 상호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 구멍들(115, 1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구멍들(115, 125)과 나사(190)에는 와셔(191)가 각각 개재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PWB 어셈블리(140)는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120)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센서 홀들(121, 122)을 통해 감지하는 센서들(141, 142)이 실장되어 있다.
이 경우에, PWB 어셈블리(140)의 센서들(141, 142)은 센서 홀들(121, 122)에 각각 대응하도록 실장되어 있다.
센서 홀들(121, 122)에는 각각의 센서 홀들(121, 122)을 밀폐하는 광 센서용 유리(150) 및 음파 센서용 방수 테이프(1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센서 케이스(100)에는 제 1 케이스(110) 및 제 2 케이스(120)의 결합 부위를 밀폐하여 수분 유입 방지를 위해 센서 케이스(100)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중공의 실리콘 고무(1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센서 케이스(100)에는 PWB 어셈블리(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사시도 및 B-B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제 2 케이스(120)의 일면에는 차폐자석(130)이 구비되도록 자석 장착 홈들(12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차폐자석(130)은 자석 장착 홈들(123)과 대면하는 면이 차폐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철로 이루어진 캡(132)에 결합되어 있다. 즉, 상부가 개방된 캡(132)에 차폐자석(130)이 결합되어 자석 장착 홈들(123)에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자석 장착 홈들(123)은 수직 방향에 대해 내측으로 θ만큼 경사져 있으며, 차폐자석(130)이 제 2 케이스(120)의 자석 장착 홈들(123)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차폐자석(130)이 자석 장착 홈들(123)의 개방 부위로의 탈거가 방지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차폐자석(130)은 자석 장착 홈들(123)과 대면하는 면이 차폐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캡(13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132)의 상부가 개방된 면과 대향하는 단부에는 플랜지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플랜지부(133)가 자석 장착 홈들(123)에 삽입되어 차폐자석(130)이 제 2 케이스(120)의 자석 장착 홈들(123)에 인서트 성형되므로 차폐자석(130)이 자석 장착 홈들(123)의 개방 부위로의 탈거가 방지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5와 함께 참조하면, 차폐자석(130)은 자석 장착 홈들(123)과 대면하는 면이 차폐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캡(13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캡(132)의 측면에는 하부를 향해 폭이 증가하는 날개부들(134)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날개부들(134)이 자석 장착 홈들(123)에 삽입되어 차폐자석(130)이 제 2 케이스(120)의 자석 장착 홈들(123)에 인서트 성형되므로 차폐자석(130)이 자석 장착 홈들(123)의 개방 부위로의 탈거가 방지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폐자석의 자기력선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점선 및 실선은 자기력선을 표현한 것으로서, 자석(A)의 차폐를 하지 않은 경우에, N극에서 뻗어나간 자기력선은 다시 S극으로 돌아 들어가며 상하 자기력선의 크기가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와 달리, 자석(A)을 캡(B)으로 차폐를 한 경우의 차폐자석(A')은 캡(B)을 향한 자기력선이 뻗어나가지 못하게 되고, 대향 방향으로는 자기력선이 차폐되지 않은 자석(A)의 자기력선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는 센서 케이스 내부의 부품들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전력 설비에 대한 부착력은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의 밴드 체결을 예시하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도 2 내지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제 1 케이스(110)와 제 2 케이스(120)는 상호 결합되어 PWB 어셈블리(140)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제 1 케이스(110)의 일면에는 설비에 부착을 위한 밴드 홀들(111, 112)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케이스(120)에는 일 측면에 센서 홀들(121, 122)을 밀폐하는 광 센서용 유리(150) 및 음파 센서용 방수 테이프(160)가 장착되어 있으며, 제 2 케이스(120)의 일단부와 수평을 이루도록 차폐자석(130)이 구비되어 있다.
금속 설비에는 차폐자석(130)을 이용하여 부착하고, 금속 설비 이외의 경우에는 밴드 홀들(111, 112)에 밴드(192)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센서 케이스 110: 제 1 케이스
111, 112: 밴드 홀들 115: 나사 구멍
120: 제 2 케이스 121, 122: 센서 홀들
125: 나사 구멍 130: 차폐자석들
132: 캡 133: 플랜지부
134: 날개부들 140: PWB 어셈블리
141, 142: 센서들 150: 광 센서용 유리
160: 음파 센서용 방수 테이프 170: 실리콘 고무
180: 전지 190: 나사
191: 와셔 192: 밴드

Claims (14)

  1. 제 1 케이스;
    상기 제 1 케이스와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일 측면에 센서 홀들이 천공되어 있고, 일면에 하기 차폐자석들이 구비되도록 자석 장착 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 2 케이스;
    상기 자석 장착 홈들에 장착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차폐자석들; 및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센서 홀들을 통해 감지하는 센서들이 실장되어 있는 PWB 어셈블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스의 일면에는 부착을 위한 밴드 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홀들은 상호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자석 장착 홈들은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모서리에는 상호 나사 결합하도록 나사 구멍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자석은 자석 장착 홈들과 대면하는 면이 차폐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캡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측면이 내측으로 경사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일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측면에 날개부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WB 어셈블리의 센서들은 센서 홀들에 대응하도록 실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는 센서 홀을 밀폐하는 광 센서용 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는 센서 홀을 밀폐하는 음파 센서용 방수 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는 제 1 케이스 및 제 2 케이스의 결합 부위를 밀폐하는 실리콘 고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케이스는 PWB 어셈블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KR1020170010877A 2017-01-24 2017-01-24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KR101998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77A KR101998057B1 (ko) 2017-01-24 2017-01-24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877A KR101998057B1 (ko) 2017-01-24 2017-01-24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76A KR20180086876A (ko) 2018-08-01
KR101998057B1 true KR101998057B1 (ko) 2019-07-10

Family

ID=6322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877A KR101998057B1 (ko) 2017-01-24 2017-01-24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0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424B1 (ko) * 2019-07-30 2022-04-08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자 소자 어셈블리 및 에셋 트래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657281B1 (ko)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830Y1 (ko) 2013-05-07 2014-01-16 재단법인 서울테크노파크 센서통합보드가 내장된 천장형 센서케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657281B1 (ko) 2016-01-26 2016-09-13 주식회사 아이오 조명 스위치 원격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876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084865U (zh) 一种组合式配电箱箱体
KR101998057B1 (ko) 자석 삽입 구조를 갖는 전력설비 감시용 센서 케이스
US7154041B2 (en) Double wall isolated remote electronic enclosure apparatus
CN204290095U (zh) 具有防雨和监控报警功能的电度表箱
CN203225466U (zh) 变电站室外端子箱
US9917380B2 (en) Multipurpose wire connection device
KR101889611B1 (ko) 전력선의 누설전류를 이용한 지진감지장치
KR100882568B1 (ko) 배전 전주용 접지판
CN204405791U (zh) 用于开关柜设备局部放电检测的暂态地电压传感器
CN109282153B (zh) 一种用于地下管网的新式检测线引出装置
KR101127466B1 (ko) 피뢰침이 구비된 피뢰도선 지지구
CN206585874U (zh) Din导轨与模块底座的固定结构
KR100847253B1 (ko) 변압기 설치부위를 가진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주.
KR100847258B1 (ko) 곡선형 팔 부위를 가진 배전선로 전주 조립체.
CN206293401U (zh) 一种户外封闭型熔断器
CN103490293A (zh) 一种电控柜电流互感器安装槽板及电控柜
CN214588463U (zh) 一种电力滤波电容器降噪装置
WO2017064847A1 (ja) 力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力検知装置、力検知システム、力検知方法
CN203369001U (zh) 一种塑料膨胀塞
RU2741657C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установочная коробка для навес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систем контроля и связи
KR101036897B1 (ko) 라인포스트 애자의 점퍼선 보호장치
EP3847874B1 (en) A closed system for placing installations, especially electrical ones
CN214956345U (zh) 一种变压器及用电设备
CN202956202U (zh) 一种无源无线温度传感器外壳
CN210326866U (zh) 一种户外电缆接线盒用的防雨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