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882B1 - washer - Google Patents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882B1
KR101997882B1 KR1020177030301A KR20177030301A KR101997882B1 KR 101997882 B1 KR101997882 B1 KR 101997882B1 KR 1020177030301 A KR1020177030301 A KR 1020177030301A KR 20177030301 A KR20177030301 A KR 20177030301A KR 101997882 B1 KR101997882 B1 KR 10199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water
dehydration tank
forming memb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3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37783A (en
Inventor
나오토 니시우라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7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78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7/00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 D06F17/06Washing machines having receptacles, stationary for washing purposes, wherein the washing action is effected solely by circulation or agitation of the washing liquid by rotary impellers
    • D06F17/10Impe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는, 세탁 탈수조(21)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펄세이터(23)의 회전에 의해 흘러온 물을 통과시키는 환류 수로(25);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과의 사이에 환류 수로(25)를 형성하는 수지제인 수로 형성 부재(26); 수로 형성 부재(26)에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201); 및 필터 장착부(2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환류 수로(25)에서 세탁 탈수조(21) 내로 되돌아온 물 및 펄세이터(23)의 회전을 통해 생성된 수류에 의해 내주벽(21a)을 따라 유동되는 물을 유입하여 통과시켜,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을 수집하는 필터 유닛(27); 을 구비한다. 필터 장착부(201)는, 필터 유닛(27)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하부 지지축(202); 및 하부 지지축(202)의 뒤쪽에 형성되며 환류 수로(25)와 연통되는 개구부(206); 를 포함하며, 수로 형성 부재(26)에서 환류 수로(25)를 향하는 면에는, 개구부(203)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부(210)가 내주벽 측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벽부(210)는 필터 유닛(27)의 실밥에 대한 수집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the reflux channel 25 for passing the water flowing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23); A channel forming member 26 made of resin which forms a reflux channel 25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A filter mounting portion 201 formed in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a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by the water returned from the reflux channel 25 in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and the water flow generat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23. A filter unit 27 for introducing and passing the flowing water to collect seams contained in the water; It is provided. The filter mounting unit 201 includes a lower support shaft 202 constituting a rotation shaft of the filter unit 27; And an opening 206 formed at the rear of the lower support shaft 202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reflux channel 25. It includes, and on the surface from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toward the reflux channel 25, a wall portion 210 for preventing the water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203 is formed toward the inner peripheral wall side. The wall portion 210 may improve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27.

Description

세탁기washer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hing machine.

기존 전자동 세탁기에 있어서, 세탁 시 세탁물에서 나오는 실밥과 먼지를 모으기 위한 구조의 하나로는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실밥 수집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여과 수집 구조를 사용한 세탁기는 특허문헌 1 중에 기재되어 있다. In the conventional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one of the structures for collecting the seams and dust from the laundry during washing may use a seam collection structure as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washing machine using the said filtration collection structure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도 10(a)는 실밥 여과 수집 구조의 세탁 탈수조(500)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세탁 탈수조(500)의 측면부에는 수로 형성 부재(510)에 의해 환류 수로(520)가 형성되어 있다. 수로 형성 부재(510)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필터 장착부(511)가 형성되어 있고, 필터 장착부(511)에는 필터 유닛(530)이 자유로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필터 장착부(511)에 있어서, 하면(511a)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제 1 지지축(512)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511b)에는 제 1 축공(513)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면(511c)에는 유출구(514)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유닛(530)의 하부에 설치된 제 2 축공(531)에는 제 1 지지축(512)이 감입되고, 필터 유닛(530)의 상부에 설치된 제 2 지지축(532)은 제 1 축공(513)에 감입된다. 따라서, 필터 유닛(530)은 제 1 지지축(512) 및 제 2 지지축(532)을 회전축으로 하여, 좌우 방향으로만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다. 환류 수로(520)는 펄세이터(pulsator)(540)의 측면에 연결된다.10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500 of the seam filtration collection structure. The reflux channel 520 is formed at the side portion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500 by 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The channel mounting member 510 is provided with a filter mounting portion 511 recessed to the rear, and the filter mounting portion 511 is freely attached to the filter unit 530. I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511, a first support shaft 512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511a, a first shaft hole 51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511b, and a rear surface 511c. An outlet 514 is formed. The first support shaft 512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haft hole 531 disposed below the filter unit 530,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532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unit 530 is the first shaft hole 513. Is infiltrated. Accordingly, the filter unit 530 may rotate by the predetermined angle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using the first support shaft 512 and the second support shaft 532 as the rotation shafts. The reflux channel 520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pulsator 540.

펄세이터(540)가 회전 시, 화살표(F1)가 나타낸 바와 같이, 펄세이터(540)의 양수 날개(541)에 의해 외주 방향으로 밀린 물은 환류 수로(520) 내로 유입되고 유출구(514)에서 유출되며, 필터 유닛(530)을 통해 세탁 탈수조(500) 내로 돌아온다. 이때,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은 필터 유닛(530)에 의해 수집된다.As the pulsator 540 rotates, as shown by arrow F1, water pushed outwardly by the positive wing 541 of the pulsator 540 flows into the reflux channel 520 and at the outlet 514. It flows out and returns 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500 through the filter unit 530. At this time, the seams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water are collected by the filter unit 530.

이외, 필터 유닛(530)은 펄세이터(540)의 회전에 의해 생성된 수류에 밀려 회전하며, 화살표(F2)가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 탈수조(500)의 내주벽을 따라 흐르는 물은 후면의 흡입구(533)에서 필터 유닛(530) 내로 유입되어, 필터 유닛(53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물과 함께 유입된 실밥 등은 필터 유닛(530)에 수집된다.In addition, the filter unit 530 is rotated by the water flow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540, as shown by the arrow (F2),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500 is The inlet 533 flows into the filter unit 530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530. At this time, the seams and the like introduced with the water is collected in the filter unit 530.

선행기술문헌Prior art literature

[특허문헌][Patent Documents]

특허문헌1:일본 특개2000-334198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0-334198

수로 형성 부재(510)는 수지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럴 경우, 수로 형성 부재(510)는 금형에 의해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may be formed of a resin material. In this case, 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may be molded and manufactured by a mold.

도 10(b)는 수로 형성 부재(510)를 성형하는 금형(M)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도이다. 예를 들어, 수로 형성 부재(510)의 성형에 있어서, 정면측의 제 1 금형(M1) 및 배면측의 제 2 금형(M2)으로 구성되며 수로 형성 부재(510)의 전후 방향으로 분해된 금형(M)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제 1 지지축(512)의 일측은 제 2 금형(M2)에 의해 형성되므로, 필터 장착부(511)의 후면(511c)에서 제 1 지지축(512)의 뒤쪽 위치에 제 2 금형(M2)이 통과되는 개구부(515)가 형성된다. 설명하여야 할것은, 금형(M)에 제 1 지지축(512)의 돌출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제 3 금형을 추가하여, 상기 제 3 금형을 통해 제 1 지지축(512)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럴 경우, 개구부(515)가 형성되지 않았기에, 후면(511c)에 슬라이딩 흔적이 형성될 수 있어, 외관 상태에 영향주거나 실밥 등이 걸릴 수 있다. FIG. 10 (b) is a diagram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mold M for molding 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For example, in the molding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the mold is composed of the first mold M1 on the front side and the second mold M2 on the back side and decompos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M) can be used. In this case, since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shaft 512 is formed by the second mold M2, the second mold (at the rear side of the first support shaft 512 at the rear surface 511c of the filter mounting part 511). An opening 515 through which M2) passes is formed. It should be noted that, by adding a third mold that slides in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pport shaft 512 to the mold M, the first support shaft 512 may be formed through the third mold.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515 is not formed, a sliding trace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511c, which may affect the appearance state or take seams.

수로 형성 부재(510)에 형성된 개구부(515)는 환류 수로(520) 내와 연통된다. 따라서, 도 10(a)에서 화살표(F3)가 나타낸 바와 같이, 유출구(514)를 향해 환류 수로(520)를 통과하는 물의 일부분은 개구부(515)에서 유출된다. 유출된 물은 필터 유닛(530)을 통과하지 않고 세탁 탈수조(500) 내로 돌아온다. 이렇게 되면, 필터 유닛(530)의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The opening 515 formed in the channel forming member 510 communicates with the reflux channel 520. Thus, as indicated by arrow F3 in FIG. 10A, a portion of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reflux channel 520 toward the outlet 514 exits the opening 515. The spilled water returns 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5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530. In this case,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530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이 향상된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collection efficiency for seams.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 탈수조; 상기 세탁 탈수조의 바닥부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 탈수조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흘러온 물을 통과시키는 환류 수로; 상기 세탁 탈수조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상기 환류 수로를 형성하는 수지제인 수로 형성 부재; 상기 수로 형성 부재에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 및 상기 필터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환류 수로에서 상기 세탁 탈수조 내로 되돌아온 물 및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을 통해 생성된 수류에 의해 상기 내주벽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유입하여 통과시켜,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을 수집하는 필터 유닛; 을 구비한다. 그중,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필터 유닛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뒤쪽에 형성되며 상기 환류 수로와 연통되는 개구부; 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수로 형성 부재에서 상기 환류 수로를 향하는 표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부가 상기 내주벽 측을 향해 형성된다.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for receiving laundry; A pulsator freely rotatable at the bottom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 reflux channel install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nd configured to pass water flowing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A channel forming member made of resin forming the reflux channe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 filter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channel forming member; And rotatably mount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inflowing and flowing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by water returned from the reflux channel in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nd water flow generated through rotation of the pulsator. A filter unit for collecting the seams and the like contained therein; It is provided. Among them, the filter mounting portion, the support shaft constitu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filter unit; And an opening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support shaft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flux channel. It includes. Further, a wall portion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from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side.

상기 구조에 따르면, 환류 수로 내를 흐르는 물을 필터 유닛 내로 잘 유입시킬 수 있으므로, 필터 유닛의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since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an flow into the filter unit well,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적어도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 이 세 방향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washing machine of this embodiment, the said wall part can be comprised so that at least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said opening may surround three directions.

상기 구조에 따르면, 벽부의 아래쪽의 벽에 부딪쳐 바로 분류되는 물이 측면으로부터 개구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구부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hat is directly sorted by hitting the wall below the wall part from flowing into the opening from the side, and further preventing the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상기 구조를 사용할 경우, 더 나아가, 상기 벽부와 상기 내주벽 사이에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 structure, a gap can be formed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면, 탈수 과정을 진행 시, 세탁물에서 배출된 물이 개구부의 적어도 세개 방향을 둘러싼 벽부의 내부에 유입되어도, 유입된 물을 간극을 통해 환류 수로 내로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시종 벽부의 내부에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even if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laundry flows into the wall portion surrounding at least three directions of the opening, the introduced water can flow out into the reflux channel through the gap. Thus, water can be prevented from remaining inside the wall portion.

본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중앙부분이 상기 개구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비해 상기 환류 수로의 상류 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ll por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entral portion has a protrusion having a shape that protrudes further upstream of the reflux channel as compared with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pening.

상기 구조에 따르면, 환류 수로 내를 흐르는 물은 돌출부에 부딪쳐 원활하게 좌우 방향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로써, 환류 수로 내의 물의 유속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밥 등이 수류를 따라 필터 유닛으로 잘 운송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can be smoothly divided in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gainst the protrusion. Thereby, since the flow velocity of the water in a reflux channel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seams etc. can be conveyed well to a filter unit along a water flow.

본 발명을 통해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이 향상된 세탁기를 제공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collection efficiency for seams.

본 발명의 효과 및 의미는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하나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ffects and mean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However, the following embodiment is an illustration at the time of implementing this invention to the last, an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환류 수로의 주변 부분의 세탁 탈수조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환류 수로의 주변 부분의 세탁 탈수조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필터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수로 형성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수로 형성 부재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 사시도 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유출구를 향해 환류 수로 내로 유입된 수류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변경예 1 및 변경예 2에 따른 방수 벽부 구조를 나타낸 수로 형성 부재의 주요 부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9는 기타 변경예에 따른 방수 벽부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실밥 수집 구조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1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s the main part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of the peripheral part of the reflux channel which concerns on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reflux channe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filte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is a view showing the water flow introduced into the reflux channel toward the outle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8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main portion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showing the waterproof wall structure according to Modification Example 1 and Modification Example 2;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waterproof wall unit according to another modified example.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eam collection structure.

이하, 본 발명의 세탁기의 일 실시형태인 전자동 세탁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washing machine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도 1은 전자동 세탁기의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전자동 세탁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한다. 케이스(10)는 상하면이 개방된 사각형 통모양의 몸체부(11); 몸체부(11)의 상면을 커버하는 상면판(12); 및 몸체부(11)를 지지하는 받침대(13); 를 포함한다. 상면판(12)에는 세탁물의 투입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투입구(14)는 자유로이 개폐되는 상부커버(15)에 의해 커버된다.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1 includes a case 10 constituting an external appearance. Case 10 has a rectangular tubular body portion 11,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 An upper surface plate 12 covering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And pedestal 13 for supporting the body portion 11; It includes. The top plate 12 is provided with a laundry opening 14. The inlet 14 is covered by the top cover 15 which is freely opened and closed.

케이스(10) 내에는 외조(20)가 4개의 현수봉(미 도시)에 의해 탄성 걸림되어 지지된다. 외조(20) 내에는 세탁 탈수조(21)가 배치되어 있다. 외조(20)와 세탁 탈수조(21)는 전방으로 약간 경사진다. 세탁 탈수조(21)는 수직 방향에 대해 약간 전방으로 경사진 회전축(R)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케이스(10)는 외조(20)의 상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정도와 대응되게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0a)를 구비한다.In the case 10, the outer tub 20 is elastically latched and supported by four suspension rods (not shown). In the outer tub 20, a washing dehydration tank 21 is disposed. The outer tub 20 and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are slightly inclined forward.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rotates about the rotating shaft R inclined slightly forwar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The case 10 includes a protrusion 10a that protrudes forward to correspond to the exten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tub 20 protruding forward.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에는 복수 개의 탈수홀(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 세탁 탈수조(21)의 바닥면에는 복수 개의 통수홀(21c)이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세탁 탈수조(21)의 상부에는 균형링(22)이 설치되어 있다.A plurality of dehydration holes 21b are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In addition, a plurality of water passing holes 21c ar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Furthermore, the balance ring 22 is provided at the upper part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세탁 탈수조(21)의 바닥부에는 펄세이터(23)가 배치되어 있다. 펄세이터(23)의 표면에는 표면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날개(2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외, 펄세이터(23)의 배면에는 배면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양수 날개(2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양수 날개(23b)는 펄세이터(23)의 배면과 세탁 탈수조(21)의 바닥면 사이의 펌프챔버(24)에 배치되어 있다.The pulsator 2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tom part of the washing | cleaning dehydration tank 21. As shown in FIG. On the surface of the pulsator 23, a plurality of wings 23a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er of the surface are formed. In addition, the back surface of the pulsator 23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umping wings 23b extending radially from the back center. This pumping blade 23b is disposed in the pump chamber 24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pulsator 2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환류 수로(25)는 수로 형성 부재(26)와 내주벽(21a)으로 형성된다. 환류 수로(25)의 하단부는 펌프 챔버(24)와 연결되어 있다. 필터 유닛(27)은 환류 수로(25), 즉 환류 수로(25)를 구성하는 수로 형성 부재(26)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필터 유닛(27)은 세탁시 세탁물에서 나온 실밥과 먼지를 수집한다.The reflux channel 25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is formed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The lower end of the reflux channel 25 is connected to the pump chamber 24. The filter unit 27 is removably attached to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constituting the reflux channel 25, that is, the reflux channel 25. The filter unit 27 collects seams and dusts from the laundry during washing.

외조(20)의 바닥부에는 세탁 탈수조(21)와 펄세이터(23)를 구동하는 토크를 생성하는 구동 유닛(30)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 유닛(30)은 구동 모터(31)와 전달 기구부(32)를 포함한다. 전달 기구부(32)는 클러치 기구를 구비하며, 세탁 과정과 헹굼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 기구의 전환 조작을 통해 구동 모터(31)의 토크를 펄세이터(23)에만 전달하여 펄세이터(23)만 회전하도록 하며; 탈수 과정에서는 구동 모터(31)의 토크를 펄세이터(23)와 세탁 탈수조(21)에 전달하여 펄세이터(23)와 세탁 탈수조(21)가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외, 전달 기구부(32)는 감속 기구를 구비한다. 세탁 과정과 헹굼 과정에서, 펄세이터(23)는 구동 모터(31)의 회전 속도가 감속 기구의 감속비에 따라 감속된 회전 속도로 회전된다.The drive unit 30 which produces | generates the torque which drives the washing | dehydration tank 21 and the pulsator 23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bottom part of the outer tank 20. As shown in FIG. The drive unit 30 includes a drive motor 31 and a transmission mechanism portion 32. The transmission mechanism part 32 includes a clutch mechanism, and in the washing process and the rinsing process, the torque of the drive motor 31 is transmitted only to the pulsator 23 through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lutch mechanism so that only the pulsator 23 rotates. To do so; In the dehydration process, the torque of the driving motor 31 is transmitted to the pulsator 23 and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so that the pulsator 23 and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rotate integrally.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mechanism part 32 is provided with a deceleration mechanism. In the washing process and the rinsing process, the pulsator 23 is rotated at a rotational speed at whi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e motor 31 i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reduction ratio of the reduction mechanism.

외조(20)의 바닥부에는 배수구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배수구부(20a)에는 배수 밸브(40)가 설치되어 있다. 배수 밸브(40)는 배수 호스(41)와 연결되어 있다. 배수 밸브(40)를 오픈하면 세탁 탈수조(21)와 외조(20)에 저장된 물은 배수 호스(41)를 통해 세탁기 외부로 배출된다.A drain hole 20a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uter tub 20. The drain valve 40 is provided in the drain port part 20a. The drain valve 40 is connected with the drain hose 41. When the drain valve 40 is opened, the water stored in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and the outer tub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machine through the drain hose 41.

상면판(12)의 후부에는 수돗물을 세탁 탈수조(21) 내로 공급하는 급수 유닛(50)이 배치되어 있다. 급수 유닛(50)에는 급수 밸브(51)가 연결되어 있으며, 급수 밸브(51)는 수도 꼭지와 연결된다. 급수 유닛(50)에는 세탁 작동시 세제가 투입된다. 급수 밸브(51)가 오픈되면, 급수 유닛(50) 내에는 수돗물이 유입된다. 유입된 수돗물은 급수 유닛(50) 내에서 세제와 혼합된 후 급수 유닛(50)에서 유출되어, 세탁 탈수조(21) 내에 공급된다.The water supply unit 50 which supplies tap water into the washing | cleaning dehydration tank 21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rear part of the top plate 12. As shown in FIG. A water supply valve 51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the water supply valve 51 is connected to the tap. Detergent is put into the water supply unit 50 during the washing operation. When the water supply valve 51 is opened, tap water flows into the water supply unit 50. The introduced tap water is mixed with the detergent in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then flowed out of the water supply unit 50 and supplied 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전자동 세탁기(1)는 각종 작동 코스의 세탁 작동을 실시한다. 세탁 작동은 세탁 과정, 중간 탈수 과정, 헹굼 과정 및 최종 탈수 과정을 포함한다.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1 performs washing operation of various operation courses. The washing operation includes a washing process, an intermediate dewatering process, a rinsing process and a final dewatering process.

세탁 과정과 헹굼 과정에서, 세탁 탈수조(21) 내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펄세이터(23)는 왼쪽 방향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펄세이터(23)의 회전을 통해 세탁 탈수조(21) 내에서 수류가 생성된다. 세탁 과정에서는 생성된 수류와 물에 함유된 세제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된다. 헹굼 과정에서는 생성된 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헹궈진다.In the washing process and the rinsing process, the pulsator 23 is rotated in the left direction or the right direction while water is stored in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23 generates water flow in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In the laundry process, the laundry is washed by the generated water and the detergent contained in the water. In the rinsing process, the laundry is rinsed by the generated water flow.

중간 탈수 과정 및 최종 탈수 과정에서, 세탁 탈수조(21)와 펄세이터(23)는 일체로 고속 회전된다. 세탁물은 세탁 탈수조(21)에서 생성된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탈수된다.In the intermediate dehydration process and the final dewatering process,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and the pulsator 23 are integrally rotated at high speed. The laundry is dewatered by the ac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in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본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는 환류 수로(25) 및 필터 유닛(27)으로 구성된 실밥 수집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하, 실밥 수집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1 of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a seam collection structure composed of the reflux channel 25 and the filter unit 27, and the seam collection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2는 환류 수로(25)의 주변 부분의 세탁 탈수조(21)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3은 환류 수로(25)의 주변 부분의 세탁 탈수조(21)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a)는 시계 방향의 수류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b)는 시계 반대방향의 수류가 생성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필터 유닛(27)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고, 도 4(a)는 필터 유닛(27)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필터 유닛(27)의 측면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수로 형성 부재(26)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ich showed the main part of the washing | dehydration tank 21 of the peripheral part of the reflux channel 25. As shown in FIG.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reflux channel 25, Figure 3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ter flow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generated, Figure 3 (b) The counterclockwise water flow is generated.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27, FIG.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27, and FIG. 4B is a side sectional longitudinal view of the filter unit 27. As shown in FIG. 5 and 6 are front and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respectively.

필터 유닛(27)은 실밥 필터(110) 및 필터 케이스(120)를 구비한다. 실밥 필터(110)는 망상 직물인 자루로 구성된다. 필터 케이스(120)는 수직으로 긴 중공의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의 후면은 개구되어 흡입구(121)를 형성한다. 필터 케이스(120)의 전면에는 장착 개구부(1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장착 개구부(122)에는 실밥 필터(110)가 장착되어 있다.The filter unit 27 includes a seam filter 110 and a filter case 120. The seam filter 110 is composed of a bag which is a mesh fabric. The filter case 120 is formed in a vertically long hollow cube shape, and its rear surface is opened to form the inlet 121. A mounting opening 12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ase 120, and a seam filter 110 is mounted on the mounting opening 122.

필터 케이스(120)의 상단부에는 하방으로 휠수 있는 탄성편(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123)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부 지지축(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외, 탄성편(123)의 전단부에는 조작편(125)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상기 조작편(125)을 누름으로써 상기 탄성편(123)이 하방으로 휘어지도록 한다. 더 나아가, 필터 케이스(120)의 하단부에는 하부 축공(126)이 형성되어 있다.An elastic piece 123 that can be bent downwar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lter case 120, and an upper support shaft 124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piece 123. In addition, the operation piece 125 is formed in the front end of the elastic piece 123. A user presses the manipulation piece 125 with a finger so that the elastic piece 123 is bent downward. Furthermore, a lower shaft hole 126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ilter case 120.

수로 형성 부재(26)는 수지 재료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방으로 약간 튀어나왔다. 수로 형성 부재(26)에 있어서, 그 표면은 세탁 탈수조(21)의 내부로 향하고, 그 배면은 환류 수로(25)의 내부로 향한다. 수로 형성 부재(26)의 표면에는 필터 유닛(27)의 필터 케이스(1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필터 장착부(201)가 형성되어 있다.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was formed of a resin material,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otruded slightly forward. In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the surface thereof faces the inside of the washing dewatering tank 21, and the rear side thereof faces the inside of the reflux channel 25. As shown in FIG. The filter mounting part 201 recessed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lter case 120 of the filter unit 27 is formed in the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필터 장착부(201)에 있어서, 그 바닥부(201a)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하부 지지축(20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201b)에는 상부 축공(203)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지지축(202)은 본 발명의 지지축에 해당된다.In the filter mounting part 201, the lower support shaft 202 which protrudes upward is formed in the bottom part 201a, and the upper shaft hole 203 is formed in the upper part 201b. The lower support shaft 202 corresponds to the support shaft of the present invention.

필터 장착부(201)의 후면(201c)에서, 중앙부 및 상기 중앙부의 약간 하방으로 접근하는 위치에는 복수 개의 유출구(20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외, 필터 장착부(201)의 후면(201c)에서의 상부에는 오목부(205)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유닛(27)이 필터 장착부(201)에 장착되었을 경우, 필터 유닛(27)의 탄성편(123)의 뒷부분은 오목부(205)에 수용된다.On the rear face 201c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a plurality of outlets 204 are formed at a position approaching slightly below the central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In addition, a concave portion 20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rear surface 201c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When the filter unit 27 is attach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the rear portion of the elastic piece 123 of the filter unit 27 is accommodated in the recess 205.

더 나아가, 필터 장착부(201)의 후면(201c)에서, 하부 지지축(202)의 뒤쪽 위치에는 하부 지지축(202)보다 조금 큰 사각형의 개구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수로 형성 부재(26)는 금형에 의해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도 10(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성형 제조 시 하부 지지축(202)을 형성하는 금형을 통과시키기 위해 개구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06)는 환류 수로(25) 내와 연통된다.Further, in the rear surface 201c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a rectangular opening 206 that is slightly larger than the lower support shaft 202 is formed at the rear position of the lower support shaft 202.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may be molded and manufactured by a mold.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B, an opening 206 is formed to pass a metal mold forming the lower support shaft 202 during molding. The opening 206 communicates with the reflux channel 25.

수로 형성 부재(26)의 표면에서, 필터 장착부(201)의 좌우 양측에는 복수 개의 필터 장착부(201)와 동일하게 함몰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우측 수로(207) 및 좌측 수로(208)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the right channel 207 and the left channel 208, which are recessed in the same manner as the plurality of filter mounting units 201 and exten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respectively. It is.

수로 형성 부재(26)의 배면에는 이중 구조인 수로 분할리브(209)가 후방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수로 분할리브(209)의 내측영역은 환류 수로(25)를 구성한다. 더 나아가, 수로 형성 부재(26)의 배면에서 개구부(206)의 주변에는 방수 벽부(210)가 후방을 향해, 즉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 측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방수 벽부(210)는 본 발명의 벽부에 해당된다. 방수 벽부(210)는 개구부(206)의 사방을 둘러싸도록 사각형의 통모양으로 형성되며, 아랫벽(211), 윗벽(212), 왼쪽 벽(213) 및 오른쪽 벽(214)을 구비한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수로 형성 부재(26)가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수 벽부(210)와 내주벽(21a)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S)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back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a channel split rib 209 having a dual structure is formed toward the rear. The inner region of the channel dividing rib 209 constitutes the reflux channel 25. Further,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is formed toward the rear of the opening 206 at the rear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toward the rear, that is, towar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side of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corresponds to the wall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so as to surround all sides of the opening 206, and includes a lower wall 211, an upper wall 212, a left wall 213, and a right wall 214. As shown in FIG. 2, in a state where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26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a predetermined gap is formed between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S) is formed.

필터 유닛(27)은 수로 형성 부재(26)의 필터 장착부(201)에 장착된다. 수로 형성 부재(26)를 장착할 경우, 사용자는 우선 필터 장착부(201)의 하부 지지축(202)을 필터 유닛(27)의 하부 축공(126)에 감입한다. 다음, 사용자는 필터 유닛(27)의 조작편(125)을 눌러, 상부 지지축(124)이 필터 장착부(201)의 상부 축공(203)보다 낮도록 탄성편(123)을 하방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필터 유닛(27)의 상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상부 지지축(124)이 상부 축공(203)의 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사용자는 탄성편(123)의 굽힘을 풀어 상부 지지축(124)을 상부 축공(203)에 감입한다. 필터 유닛(27)은 상부 지지축(124) 및 하부 지지축(202)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로 형성 부재(26)의 정면에서 관찰 시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만 소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는 상태로 수로 형성 부재(26)에 고정되어 있다.The filter unit 27 is attach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When mounting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the user first inserts the lower support shaft 202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into the lower shaft hole 126 of the filter unit 27. Next, the user presses the operation piece 125 of the filter unit 27, while bending the elastic piece 123 downward so that the upper support shaft 124 is lower than the upper shaft hole 203 of the filter mounting portion 201.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unit 27 is moved backwards. Subsequently, when the upper support shaft 124 reaches the position of the upper shaft hole 203, the user releases the bending of the elastic piece 123 and inserts the upper support shaft 124 into the upper shaft hole 203. The filter unit 27 is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pport shaft 124 and the lower support shaft 202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nly in the right or left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It is fixed to the furnace channel forming member 26.

다음, 도 2 및 도 3를 참조하여 필터유닛(27)의 실밥 등에 대한 수집 동작을 설명한다.Next, the collection operation for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27 and the lik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세탁 과정 또는 헹굼 과정에서, 펄세이터(23)가 회전 시 양수 날개(23b)의 양수 작용을 통해, 세탁 탈수조(21) 및 외조(20) 사이의 물은 통수홀(21c)을 통해 펌프 챔버(24) 내로 흡입되어, 외주 방향으로 밀린다. 화살표(F1)가 나타낸 바와 같이, 밀린 물은 환류 수로(25) 내에서 상승하며 유출구(204)로부터 유출되고, 필터 유닛(27)의 실밥 필터(110)를 통과하여 세탁 탈수조(21) 내로 되돌아온다. 이때,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은 실밥 필터(110)에 의해 수집된다.In the washing process or the rinsing process, the water between the washing dehydration tank 21 and the outer tub 20 is pumped through the water passage 21c through the pumping action of the pumping blade 23b when the pulsator 23 is rotated. Inhaled in 24, it is pushed outward. As indicated by arrow F1, the pushed water rises in the reflux channel 25 and flows out of the outlet 204, passes through the seam filter 110 of the filter unit 27, and in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Come back. At this time, the seams contained in the water are collected by the seam filter 110.

이외, 도 3(a) 및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펄세이터(23)가 회전되어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의 수류가 생성될 경우, 필터 유닛(27)은 오른쪽 방향 또는 왼쪽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로써, 화살표(F2)가 나타낸 바와 같이,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을 따라 흐르는 물은 후면의 흡입구(121)에서 필터 유닛(27) 내로 유입되어, 실밥 필터(110)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물에 함유된 실밥 등은 실밥 필터(110)에 의해 수집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 and 3 (b), when the pulsator 23 is rotated to generate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ater flow, the filter unit 27 moves in the right or left direction. Incline Thereby, as shown by arrow F2,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flows into the filter unit 27 from the suction port 121 of the rear surface, and the seam filter 110 is removed. Will pass. At this time, the seams contained in the water are collected by the seam filter 110.

도 7은 유출구(204)를 향해 환류 수로(25) 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도이다. 유출구(204)의 상류에 위치된 개구부(206)는 방수 벽부(210)에 의해 둘러싸이며, 환류 수로(25) 내에서 상승하는 물은 방수 벽부(210)의 아랫벽(211)에 부딪쳐 좌우로 분류되어 방수 벽부(210)의 좌우 양측을 흘러 유출구(204)에 도달한다. 이로써, 환류 수로(25) 내를 흐르는 물의 일부분이 개구부(206)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G. 7 shows the flow of water into the reflux channel 25 toward the outlet 204. The opening 206 located upstream of the outlet 204 is surrounded by the waterproof wall 210, and water rising in the reflux channel 25 hits the lower wall 211 of the waterproof wall 210 from side to side. The water flows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proof wall 210 to reach the outlet 204. As a result,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25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opening 206.

설명하여야 할 것은, 탈수 과정을 진행 시, 세탁물에서 배출된 물이 개구부(206)를 통과하여 방수 벽부(21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유입된 물은 방수 벽부(210)와 내주벽(21a) 사이의 간극(S)을 통해 환류 수로(25) 내로 흐른다. 따라서, 방수 벽부(210)의 내부에 물이 남아있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during the dehydration process, water discharged from the laundry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proof wall 210 through the opening 206. In this case, the introduced water flows into the reflux channel 25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waterproof wall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water to remain inside the waterproof wall 210.

<본 실시형태의 효과><Effect of this embodiment>

이상의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수로 형성 부재(26)의 배면에 설치된 방수 벽부(210)를 통해 환류 수로(25) 내를 흐르는 물의 일부분이 개구부(206)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환류 수로(25) 내를 흐르는 물이 필터 유닛(27) 내로 잘 유입되도록 할 수 있므로, 필터 유닛(27)의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ortion of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25 from flowing out of the opening portion 206 through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Therefore, since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25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27 well, the collection efficiency for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27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이외,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수 벽부(210)는 개구부(206)의 사방을 둘러싸도록 구성되므로, 아랫벽(211)에서 바로 분류되는 물이 측면으로부터 개구부(206)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구부(206)에서 물이 유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four sides of the opening 206,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ter that is directly sorted in the lower wall 211 from entering the opening 206 from the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prevent the water from flowing out of the opening 206.

더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수 벽부(210)와 세탁 탈수조(21)의 내주벽(21a) 사이에 간극(S)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탈수 과정 시, 방수 벽부(210)의 내부에 유입된 물은 간극(S)을 통해 환류 수로(25) 내로 흐를 수 있어, 방수 벽부(210)의 내부에 물이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gap S is formed between the waterproof wall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21a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21, the dewate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waterproof wall 210. The introduced water may flow into the reflux channel 25 through the gap S, thereby preventing the water from remaining inside the waterproof wall 210.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술한 이외의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aid embodiment, Th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also various changes except having mentioned above.

<변경예 1><Change Example 1>

도 8(a)는 변경예 1에 따른 방수 벽부(210A)의 구조를 나타낸 수로 형성 부재(26)의 주요 부위의 배면 사시도이다.8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proof wall 210A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본 변경예의 방수 벽부(210A)는 개구부(206)의 하단 가장자리에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아랫벽(211)으로만 구성되었다. 방수 벽부(210A)의 너비를 개구부(206)의 횡방향 너비보다 더 크게 설정한다. 환류 수로(25) 내에서 상승하는 물은 방수 벽부(210A)에 부딪쳐 좌우로 분류되어, 방수 벽부(206)의 좌우 양측을 흘러 유출구(204)에 도달한다.The waterproof wall part 210A of this modification was comprised only with the lower wall 211 extended to the left-right direction from the bottom edge of the opening part 206. As shown in FIG. The width of the waterproof wall 210A is set larger than the transverse width of the opening 206. The water rising in the reflux channel 25 hits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A and is divided left and right, and flows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06 to reach the outlet 204.

따라서, 본 변경예에 따르면, 환류 수로(25) 내를 흐르는 물의 일부분이 개구부(206)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 유닛(27)의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a part of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25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opening 206, so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27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변경예 2><Change Example 2>

도 8(b)는 변경예 1에 따른 방수 벽부(210B)의 구조를 나타낸 수로 형성 부재(26)의 주요 부위의 배면 사시도이다.8B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B according to the first modification.

본 변경예의 방수 벽부(210B)는 아랫벽(211)의 하방에, 중앙부분이 좌우의 양단부에 비해 환류 수로(25)의 상류 측으로 더욱 돌출되는 대략 "V" 자 형상인 돌출부(215)를 포함한다. 환류 수로(25) 내에서 상승하는 물은 돌출부(215)에 부딪쳐 좌우로 분류되어, 방수 벽부(210B)의 좌우 양측을 흘러 유출구(204)에 도달한다.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B of the present modification includes a protrusion portion 215 having a substantially “V” shape below the bottom wall 211, the center portion of which protrudes further upstream of the reflux channel 25 relative to both left and right ends thereof. do. The water rising in the reflux channel 25 hits the protrusion 215 and is divided into left and right, flowing throug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B to reach the outlet 204.

따라서, 본 변경예에 따르면, 환류 수로(25) 내를 흐르는 물의 일부분이 개구부(206)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필터 유닛(27)의 실밥 등에 대한 수집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a part of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25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opening 206, so that the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seams of the filter unit 27 and the like can be improved.

더 나아가, 본 변경예에 따르면, 환류 수로(25) 내를 흐르는 물은 돌출부(215)에 부딪침으로써, 원활하게 좌우로 분류될 수 있다. 이로써, 환류 수로(25) 내의 물 유속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밥 등이 수류에 따라 필터 유닛(27)으로 잘 운송될 수 있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modification, the water flowing in the reflux channel 25 can be smoothly classified from side to side by hitting the protrusion 215. Thereby, since the fall of the water flow rate in the reflux channel 25 can be prevented, seams or the like can be transported well to the filter unit 27 according to the water flow.

<기타 변경예><Other Changes>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방수 벽부(210), 상기 변경예 1에서의 방수 벽부(210A) 및 상기 제 2 변경예에서의 방수 벽부(210B) 외에, 개구부(206)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부로서, 예를 들어 도 9에서 나타낸 각종 방수 벽부(210C∼210I)를 개구부(206)와 관련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A in the modification 1 and the waterproof wall portion 210B in the second modification,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206. As the wall portion, for example, various waterproof wall portions 210C to 210I shown in FIG. 9 may be provided in association with the opening portion 206.

예를 들어, 도 9(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윗벽(212)이 없이, 아랫벽(211), 왼쪽 벽(213) 및 오른쪽 벽(214)으로 개구부(206)를 둘러싼 방수 벽부(210C)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외,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랫벽(211), 왼쪽 벽(213) 및 오른쪽 벽(214)을 구비하지만, 왼쪽 벽(213) 및 오른쪽 벽(214)이 개구부(206)의 상단까지 연장되지 않은 방수 벽부(210D)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9(a) 및 도 9(b)에서의 방수 벽부(210C, 210D)가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206)의 적어도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 이 세 방향을 둘러싸기만 하면 아랫벽(211)에서 잠시 분류되는 물이 측면으로부터 개구부(206)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변경예 1와 같이 아랫벽(211)으로만 구성된 방수 벽부(210A)에 비해, 개구부(206)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추가로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waterproof wall 210C surrounding the opening 206 with the lower wall 211, the left wall 213, and the right wall 214 without the top wall 212. You can also instal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the lower wall 211, the left wall 213, and the right wall 214 are provided, but the left wall 213 and the right wall 214 are formed of the opening 206.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 waterproof wall 210D that does not extend to the top. As shown in the waterproof wall portions 210C and 210D in FIGS. 9A and 9B, at least the bottom, the left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206 surround the three directions for a short time on the lower wall 211. Since the water to be classifie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opening 206 from the side surface, the water flows out through the opening 206 as compared with the waterproof wall 210A consisting only of the bottom wall 211 as in the first modification. Can be further prevented.

더 나아가,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랫벽(211)이 없이, 왼쪽 벽(213) 및 오른쪽 벽(214)에서 돌출된 "V" 자형의 돌출부(215)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 벽부(210E)를 설치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9(d) 및 도 9(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V" 자형이 아닌 원호형 또는 "U" 자형의 돌출부(216)를 구비하는 방수 벽부(210F, 210G)를 설치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9(f)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V" 자형의 돌출부(215)로만 구성된 방수 벽부(210H)를 설치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도 9(g)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또는 "U" 자형의 돌출부(216)로만 구성된 방수 벽부(210I)를 설치할 수도 있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9 (c), without the lower wall 211, the waterproof portion having the “V” shaped protrusion 215 protruding from the left wall 213 and the right wall 214 is formed. The wall portion 210E can also be provided.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9D and 9E, waterproof wall portions 210F and 210G having arcuate or “U” shaped projections 216 that are not “V” shaped may be provided. have. Furthermore, as shown in Fig. 9 (f),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waterproof wall portion 210H composed only of the “V” shaped projections 215. Furthermore, as shown in Fig. 9 (g), a waterproof wall portion 210I composed only of an arc-shaped or “U” shaped protrusion 216 may be provided.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로 형성 부재(26)는 상방으로 균형링(22)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필터 유닛(27)보다 상방에 더 근접한 부위를 수류에 의해 교반되는 세탁물이 마찰되는 배플(baffle)로 기능하였다. 하지만, 수로 형성 부재(26)의 상방 부위는 환류 수로(25)의 기능을 발휘하지 않으므로, 제거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extends upwards to the position of the balancing ring 22 so that the laundry stirred by water flow rubs a portion closer to the upper side than the filter unit 27. It served as a baffle. However, since the upper part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26 does not function as the reflux channel 25, it can be removed.

더 나아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조(20)와 세탁 탈수조(21)는 비록 전방으로 경사지지만, 경사지지 않을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uter tub 20 and the laundry dewatering tank 21 may be inclined forward, but not inclined.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는 의류 건조 기능을 구비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동 세탁기에 적용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1 of the said embodiment does not have a clothing drying function,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ully automatic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a drying function.

이외,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적절하게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suitably within the rang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

21: 세탁 탈수조; 21a: 내주벽; 23: 펄세이터; 25: 환류 수로; 26: 수로 형성 부재; 27: 필터 유닛; 201: 필터 장착부; 202: 하부 지지축(지지축); 206: 개구부; 210: 방수 벽부(벽부); 210A∼210I: 방수 벽부(벽부); 215: 돌출부; 216: 돌출부.21: laundry dehydration tank; 21a: inner circumferential wall; 23: pulsator; 25: reflux channel; 26: channel forming member; 27: filter unit; 201: filter mount; 202: lower support shaft (support shaft); 206: opening; 210: waterproof wall portion (wall portion); 210A to 210I: waterproof wall portion (wall portion); 215: projection; 216: protrusion.

Claims (4)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 탈수조;
상기 세탁 탈수조의 바닥부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
상기 세탁 탈수조의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해 흘러 온 물을 통과시키는 환류 수로;
상기 세탁 탈수조의 내주벽과의 사이에 상기 환류 수로를 형성하는 수지제인 수로 형성 부재;
상기 수로 형성 부재에 형성되는 필터 장착부; 및
상기 필터 장착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환류 수로에서 상기 세탁 탈수조 내로 되돌아온 물 및 상기 펄세이터의 회전을 통해 생성된 수류에 의해 상기 내주벽을 따라 유동하는 물을 유입 통과시켜, 물에 함유된 실밥 또는 먼지를 수집하는 필터 유닛; 을 구비하며,
상기 필터 장착부는, 상기 필터 유닛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지지축; 및 상기 지지축의 뒤쪽에 형성되며 상기 환류 수로와 연통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환류 수로를 통과한 물이 유출되도록 구성된 유출구; 를 포함하며,
상기 수로 형성 부재에서 상기 환류 수로를 향하는 표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벽부가 상기 내주벽 측을 향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A laundry dehydration tank for receiving laundry;
A pulsator freely rotatable at the bottom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 reflux channel installed in a side portion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nd configured to pass water flowing by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A channel forming member made of resin forming the reflux channel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of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 filter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channel forming member; And
It is rotatably mounted to the filter mounting portion, the water flowing back from the reflux channel into the laundry dehydration tank an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rotation of the pulsator flows in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and contained in the water. A filter unit for collecting sewn seams or dust; Equipped with
The filter mounting unit includes a support shaft constituting a rotation shaft of the filter unit; And an opening formed at a rear side of the support shaft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flux channel. And an outlet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opening and configured to allow water passing through the reflux channel to flow out. Including;
And a wall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hannel forming member from the channel forming member toward the reflux channel so as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open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적어도 상기 개구부의 아래쪽, 왼쪽 및 오른쪽 이 세 방향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l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e bottom, left and right of the opening surrounds three direction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와 내주벽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of claim 2,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wal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wall.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중앙부분이 상기 개구부의 좌우 방향의 양단부에 비해 상기 환류 수로의 상류 측으로 더 돌출된 형상을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wall portion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a central portion protruding further upstream of the reflux channel compared with both 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opening.
KR1020177030301A 2015-03-23 2016-03-23 washer KR10199788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60098 2015-03-23
JP2015060098A JP6502139B2 (en) 2015-03-23 2015-03-23 Washing machine
PCT/CN2016/077120 WO2016150383A1 (en) 2015-03-23 2016-03-23 Wash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783A KR20170137783A (en) 2017-12-13
KR101997882B1 true KR101997882B1 (en) 2019-10-01

Family

ID=5697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301A KR101997882B1 (en) 2015-03-23 2016-03-23 washe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066393A1 (en)
EP (1) EP3276070B1 (en)
JP (1) JP6502139B2 (en)
KR (1) KR101997882B1 (en)
CN (1) CN107532368B (en)
WO (1) WO2016150383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198A (en) * 1999-05-31 2000-12-05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JP2000354697A (en) * 1999-06-15 2000-12-26 Toshiba Corp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1088A (en) * 1981-11-06 1983-05-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Yarn trash collector of washer
JP3326304B2 (en) * 1995-05-30 2002-09-24 株式会社東芝 Dehydration combined washing machine
JPH11169594A (en) * 1997-12-12 1999-06-29 Toshiba Corp Fully automated washing machine
JP3296789B2 (en) * 1998-06-26 2002-07-02 三洋電機株式会社 Washing machine
JP2003311085A (en) * 2002-04-24 2003-11-05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CN2612711Y (en) * 2003-02-08 2004-04-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Filtering structure of agitation type full automatic washing machine
CN1600979A (en) * 2003-09-28 2005-03-30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Unit for filtering out foreign matter in washing machine
CN2723493Y (en) * 2004-09-08 2005-09-07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Antomatic thread bits type filter
CN2905863Y (en) * 2006-04-29 2007-05-30 乐建荣 Combined type filtering net
KR101392911B1 (en) * 2007-03-06 201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JP2010136904A (en) * 2008-12-12 2010-06-24 Panasonic Corp Dewatering-cum-wash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198A (en) * 1999-05-31 2000-12-05 Sanyo Electric Co Ltd Washing machine
JP2000354697A (en) * 1999-06-15 2000-12-26 Toshiba Corp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32368A (en) 2018-01-02
WO2016150383A1 (en) 2016-09-29
JP6502139B2 (en) 2019-04-17
EP3276070A1 (en) 2018-01-31
CN107532368B (en) 2019-10-01
EP3276070B1 (en) 2019-09-04
EP3276070A4 (en) 2018-12-05
US20180066393A1 (en) 2018-03-08
JP2016178996A (en) 2016-10-13
KR20170137783A (en)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72445B2 (en) Washing machine
KR101386470B1 (en) Washing machine
US8881555B2 (en) Drain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1324022B (en) Drain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6070439A (en) Pulsator assembly for use in a washing machine for forming water flow spouting upward
JP2007014678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202744831U (en) Washing machine with drainage hoses
KR101964749B1 (en) washer
EP2468940B1 (en) Detergent ca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997882B1 (en) washer
CN108842383A (en) A kind of thread bits filter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CN106521893A (en) Line chip filter and washing machine
CN111826894A (en) Rotary barrel assembly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H0435199B2 (en)
EP2631348B1 (en) Drain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EP2631350B1 (en) Draining device for a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100774511B1 (en) Filter for washing machine
KR100775117B1 (en) Filter for washing machine
CN219218445U (en) Outer cylinder and drum washing machine
CN219586407U (en) Drum washing machine
JP2008228757A (en) Washing machine
KR20170105331A (en) Washing machine
KR100292267B1 (en) Pulsator in washing machine
KR100292266B1 (en) Induction pipe of washing machine
JPS5916067Y2 (en)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