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132B1 -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132B1
KR101997132B1 KR1020180025583A KR20180025583A KR101997132B1 KR 101997132 B1 KR101997132 B1 KR 101997132B1 KR 1020180025583 A KR1020180025583 A KR 1020180025583A KR 20180025583 A KR20180025583 A KR 20180025583A KR 101997132 B1 KR101997132 B1 KR 101997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creen
output
request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희
Original Assignee
이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희 filed Critical 이은희
Priority to KR102018002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mat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지치료를 수행하는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복수의 주제 아이콘을 출력하는 제1 단계;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1 화면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2 화면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2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긍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3 화면상에 스케치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4 화면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PPLICATION FOR STRESS ANALYSIS AND MITIGATION}
본 발명은 개인이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인지치료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양측 자극을 통한 인지치료를 수행하는 통합예술 인지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UN 산하 미래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현재 출산율은 세계 최저 권을 기혹하고 있다. 이러한 인구감소와 4차 산업에 따른 급격한 변화에 맞추어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시장을 찾아 빠르게 변모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직장내의 업무도 급격히 변화했고 직무스트레스도 급증하게 되었다.
직무스트레스 연구에 따르면 현재 대부분의 직장인은 스트레스와 업무부담, 가족갈등, 퇴직과 실직에 대한 불안 감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에서 음주나 흡연, 도박 등 중독성 행위가 심각한 것은 바로 건강한 정신건강 관리대책이 빈약한 것과도 연계되는 현상이라고 하겠다. 근로자가 당면하는 문제는 직, 간접적인 비용부담으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직무스트레스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니고 국가적, 사회적 문제가 되었다.
따라서, 개인이 자신의 스트레스 상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하여 용이하게 치료 또는 상담 연계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하기 선행기술문헌은 사용자 상황 또는 사용자 상황 변화뿐만 아니라 보조적으로 사용자 심리 상태에 기초하여 조명 치료 장치와 보조 치료 장치의 제어를 통해 사용자의 심신을 안정시킬 수 있는 건강 관리 방법에 관한 내용만 개시하고 있을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471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등의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양측 자극을 포함한 통합예술 인지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스스로 수행한 인지치료방법을 통하여 산출된 산출물에 기초하여 외부 상담기관과의 효율적인 연계가 가능한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심박수 등의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인지치료 진행 과정에서의 스트레스 지수 변화를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지치료를 수행하는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복수의 주제 아이콘을 출력하는 제1 단계;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1 화면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2 화면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2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긍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3 화면상에 스케치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4 화면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도형, 색채 선택 아이콘, 선종류 선택 아이콘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제2 화면에는 복수 개의 기입란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제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의 생각을 요청하는 동시에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상에 출력된 도형 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하는 제2a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2a 단계에서 수행된 컬러링 산출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제2 화면으로 전환되는 제2b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화면상에 출력된 복수 개의 기입란 중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기입란에 상기 사용자가 제2a 단계를 수행하면서 생각한 내용의 기입을 요청하는 제2c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2c 단계에서 기입된 내용이 저장되는 제2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화면에는 스케치 영역, 색채 선택 아이콘, 선종류 선택 아이콘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제4 화면에는 복수 개의 기입란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제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의 생각을 요청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화면상에 스케치 및 컬리링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요청하는 제3a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3a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치 및 컬러링 중 적어도 하나의 산출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3 화면은 상기 제4 화면으로 전환되는 제3b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4 화면상에 출력된 복수 개의 기입란 중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기입란에 상기 사용자가 제3a 단계를 수행하면서 생각한 내용의 기입을 요청하는 제3c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4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3c 단계에서 기입된 내용이 저장되는 제3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 단계 및 제3 단계에서 산출된 산출물에 포함된 핵심단어의 추출 및 산출물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산출물을 편집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산출물 및 상기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 상담 기관과 연계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의 상담 기관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담 기관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제5a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담 비용 및 상담 절차와 관련된 동의를 요구하는 제5b 단계; 상기 산출물 및 상기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첨부를 요구하는 제5c 단계; 및 상기 산출물 및 상기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담 기관으로 송부하여 상기 상담 기관에 상담 요청을 접수하는 제5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사용자로 하여금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왼손과 오른손을 번갈아 사용하여 신체의 양측을 번갈아 자극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용이한 인지치료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단말기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상담 기관과 용이하게 연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인지치료의 연속성을 효과적으로 지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을 시계열적으로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의 일부 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세분화하여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 사용되는 단말기 및 디스플레이의 메인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서의 제1 단계(S100) 수행시 디스플레이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 중 제2 단계(S200) 수행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 중 제3 단계(S300) 수행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제3 화면 및 제4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서 책갈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서 갤러리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서 상담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10)를 구비한 단말기(1)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인지치료를 수행하는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단말기(1)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일반 PC 등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10)는 출력 기능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이나 터치펜 등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1)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게 되면, 디스플레이(10) 상에는 도 5와 같은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0)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메뉴 아이콘, 구체적으로 홈 아이콘(11), 책갈피 아이콘(12), 갤러리 아이콘(13) 및 상담 아이콘(14)이 출력된다.
홈 아이콘(11)을 누르면 도 1에 도시된 순서에 따라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이 수행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를 선택하는 제1 단계(S100), 부정적 내용을 기록하는 제2 단계(S200), 긍정적 내용을 기록하는 제3 단계(S300), 제2 단계(S200) 및 제3 단계(S300)를 통하여 획득한 기록 산출물을 편집하는 제4 단계(S400) 및 외부 상담 기관과 연계하는 제5 단계(S5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제1 단계(S100)에 대하여 설명해보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10) 상에 복수 개의 주제와 대응되는 주제 아이콘(20)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복수 개의 주제 아이콘(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이 구성된다.
여기에서 주제는 신체활력, 불안, 대인관계, 자존감, 목표달성 등일 수 있으며, 주제 아이콘(20)은 상술한 복수 개의 주제와 대응되는 아이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주제 아이콘(20)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주제에 대한 제2 단계(S200) 및 제3 단계(S300)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제2 단계(S200)는 사용자가 해당 주제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생각하고 기록하는 단계이다.
즉,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사용자의 고민과 해결되지 않는 문제를 사용자에게 질문하고, 사용자는 해당 문제의 패턴을 객관적으로 자기 관찰하고, 양측 자극을 이용하는 동안 해결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제2 단계(S200)는 단말기(1)가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0)에 출력된 제1 화면(100)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2 화면(200)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게 된다.
제2 단계(S200)에서의 미리 설정된 음악은 아르보 패르트(Arvo Part)의 거울속의 거울(Spiegel Im Spiegel)과 같이 조용하고 느린 선율의 음악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자극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2 단계(S200)에서의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제1 화면(100) 및 제2 화면(200)이 각각 출력되어야 한다.
제1 화면(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도형(110), 색채 선택 아이콘(120), 선종류 선택 아이콘(130), 완료 아이콘(140) 및 음악 볼륨 조정 아이콘(150)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화면(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기입란(210~270), 완료 아이콘(140) 및 음악 볼륨 조정 아이콘(29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제2 단계(S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a 단계(S210) 내지 제2d 단계(S240)로 세분화될 수 있다.
제2a 단계(S21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제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의 생각을 요청하는 동시에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100)상에 출력된 도형(110) 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a 단계(S210) 수행을 위한 사용자 안내 멘트가 나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면 상에 표시된 도형에 왼손을 이용하면서 컬러링 하면서 잠시 생각해보겠습니다. 최근 마음이 몹시 불편한 사건이 있었나요?" 등의 멘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생각을 요청한다
제2b 단계(S22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140)을 누르면, 상기 제2a 단계(S210)에서 수행된 컬러링 산출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1 화면(100)은 상기 제2 화면(200)으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제2c 단계(S2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화면(200)상에 출력된 복수 개의 기입란 중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기입란에 상기 사용자가 제2a 단계를 수행하면서 생각한 내용의 기입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2c 단계(S230) 수행을 위한 사용자 안내 멘트가 나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앞에서 생각한 불편한 사건을 오른손을 이용하여 1번 기입란에 기입해 주세요" 등의 멘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생각의 기입을 요청한다.
제2d 단계(S2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화면(200)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280)을 누르면, 상기 제2c 단계(S230)에서 기입된 내용이 저장되는 단계이다.
한편, 상술한 해당 카테고리는 사건의 주제, 지배적 생각, 느낌, 표정, 행동, 신체적 불편함, 감각, 충고/조언, 현실화 점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단계(S200)는 해당 카테고리별로 주어지는 멘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계속 진행됨으로써 제2 화면(200) 상의 복수 개의 기입란(210~270)들이 모두 채워질 수 있도록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음악의 청취를 통하여 청각 자극을 받는 동시에 왼손 및 오른손을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양측 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부정적인 내용을 인지적 차원에서 양측자극을 통한 수용과 객관적 자기관찰을 통하여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제3 단계(S300)는 사용자가 해당 주제에 대한 긍정적인 내용을 생각하고 기록하는 단계로써, 해당 주제와 관련하여 언제인가 발휘된 적 있는 사용자의 최대 기능을 현재에도 발휘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러한 제3 단계(S300)는 단말기(1)가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긍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10)에 출력된 제3 화면(300)상에 스케치 또는 컬러링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4 화면(200)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게 된다.
제3 단계(S300)에서의 미리 설정된 음악은 드뷔쉬(Debussy)의 꿈(Reverie)과 같이 다층의 화음이 짧은 템포로 연주되는 음악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자극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3 단계(S300)에서의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1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제3 화면(300) 및 제4 화면(400)이 각각 출력되어야 한다.
제3 화면(30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케치 영역(300), 색채 선택 아이콘(320), 선종류 선택 아이콘(330), 완료 아이콘(340) 및 음악 볼륨 조정 아이콘(350)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4 화면(4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기입란(410~470), 완료 아이콘(480) 및 음악 볼륨 조정 아이콘(490)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제3 단계(S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a 단계(S310) 내지 제3d 단계(S340)로 세분화될 수 있다.
제3a 단계(S310)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제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의 생각을 요청하는 동시에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화면(300)상의 스케치 영역(310) 상에 스케치 및 컬러링 수행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3a 단계(S310) 수행을 위한 사용자 안내 멘트가 나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화면 상에 표시된 스케치 영역에 왼손을 이용하면서 스케치 및 컬러링 하면서 잠시 생각해보겠습니다. 내가 기억하는 나의 가장 뛰어난 모습은 어제였는지 생각해 보세요" 등의 멘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생각을 요청한다
제3b 단계(S32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화면(300)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340)을 누르면, 상기 제3a 단계(S310)에서 수행된 스케치 또는 컬러링 산출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3 화면(300)은 상기 제4 화면(400)으로 전환되는 단계이다.
제3c 단계(S330)는 상기 사용자에게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화면(300)상에 출력된 복수 개의 기입란 중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기입란에 상기 사용자가 제3a 단계를 수행하면서 생각한 내용의 기입을 요청하는 단계이다.
이때 제3c 단계(S330) 수행을 위한 사용자 안내 멘트가 나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앞에서 생각한 나의 가장 뛰어난 모습에 대한 제목을 오른손을 이용하여 1번 기입란에 기입해 주세요" 등의 멘트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카테고리에 대한 생각의 기입을 요청한다.
제3d 단계(S34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4 화면(400)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480)을 누르면, 상기 제3c 단계(S330)에서 기입된 내용이 저장되는 단계이다.
한편, 상술한 해당 카테고리는 사건의 주제, 신체적 편안함과 감각, 행동, 표정, 느낌, 지배적 생각, 다짐/조언, 현실화 점수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단계(S300)는 해당 카테고리별로 주어지는 멘트에 따라 순차적으로 계속 진행됨으로써 제4 화면(400) 상의 복수 개의 기입란(410~470)들이 모두 채워질 수 있도록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미리 설정된 음악의 청취를 통하여 청각 자극을 받는 동시에 왼손 및 오른손을 번갈아 사용함으로써 양측 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하여 해당 주제와 관련 기능이 가장 높았던 본인의 피크 메모리(Peak Memory)를 찾고, 해당 상황을 모든 인지적 차원에서 재생함으로써 현재의 대처 자원으로 삼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제2 단계(S200) 및 제3 단계(S300) 이후에 책갈피에 저장된 산출물, 즉 제2 단계(S200) 및 제3 단계(S300)에서 사용자가 컬러링, 스케치 또는 기입한 결과물들을 확인하고, 이를 편집하는 제4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단계(S200) 및 제3 단계(S300)에서 산출된 산출물들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주제에 따른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으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사용자는 해당 구분 아이콘을 터치할 경우 도 12와 같이 각 주제 및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산출물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책갈피에 저장된 산출물들을 편집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산출물들에 포함된 핵심 단어나 그림을 별도로 추출하여 복사하여 하나의 편집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 자신만의 작품 Masterpiece를 구성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편집된 산출물들은 갤러리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갤러리 아이콘(13)을 터치하게 되면, 도 14와 같이 갤러리에 저장된 복수개의 산출물들의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 중 어느 하나의 산출물을 선택하게 되면, 도 15와 같이 해당 산출물이 화면을 가득 채우도록 출력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외부 상담기관과의 연계를 위한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제2 단계(S200), 제3 단계(S300) 및 제4 단계(S40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산출된 산출물들에 기초하여 외부 상담 기관과 연계하는 제5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5 단계(S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10)에 복수 개의 상담 기관을 출력한 후 사용자로 하여금 상담 기관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제5a 단계(S510)가 수행되며, 구체적으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연락처 등의 정보가 출력되며, 출력되는 상담 기관으로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하여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사용자에게 상담 비용 및 상담 절차 등과 관련된 동의를 요구하는 제5b 단계(S520)가 수행되며, 이후 산출물 및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첨부를 요구하는 제5c 단계(S530)가 수행된다.
이후, 사용자가 최종 전송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상담기관의 대표 메일로 상기 신청 내역, 동의 내역, 산출물, 편집된 산출물 등이 전송됨으로써, 선택한 상담 기관에 상담 요청이 접수되는 제5d 단계(S540)가 수행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상담 기관과의 연계 기능을 통하여, 정신이나 심리 치료에 접근하기 위한 사용자의 거부감을 낮출 수 있으며, 아울러 외부 상담기관에서도 사용자의 자가 인지치료 결과를 사전에 확보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이고 정확한 심리 상태 판단 및 치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예술 인지치료방법은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 기초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한 후 이를 상술한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10) 상에 표시하는 기능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의 수행을 위하여, 단말기(1)와 연동되는 휴대용 스트레스 측정도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휴대용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사용자의 심박수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일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스트레스 측정도구는 사용자의 심박수 등의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사용자의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스트레스 지수를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10) 상에 출력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술한 제2 단계(S200) 및 제3 단계(S300) 진행중의 자신의 스트레스 지수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인지치료 과정을 통한 자신의 심신 안정화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권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단말기에 설치되는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상에 복수의 주제 아이콘을 출력하는 제1 단계;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부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1 화면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2 화면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2 단계; 및
    미리 설정된 음악을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선택된 주제와 관련된 긍정적인 내용에 대한 질문을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3 화면상에 스케치 수행을 요청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제4 화면상에 상기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기재할 것을 상기 사용자에게 요청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면에는 미리 설정된 도형, 색채 선택 아이콘, 선종류 선택 아이콘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제2 화면에는 복수 개의 기입란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제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의 생각을 요청하는 동시에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1 화면상에 출력된 도형 상에 컬러링 수행을 요청하는 제2a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2a 단계에서 수행된 컬러링 산출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1 화면은 상기 제2 화면으로 전환되는 제2b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화면상에 출력된 복수 개의 기입란 중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기입란에 상기 사용자가 제2a 단계를 수행하면서 생각한 내용의 기입을 요청하는 제2c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2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2c 단계에서 기입된 내용이 저장되는 제2d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화면에는 스케치 영역, 색채 선택 아이콘, 선종류 선택 아이콘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제4 화면에는 복수 개의 기입란 및 완료 아이콘이 출력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주제에 대한 서브 카테고리의 생각을 요청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왼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3 화면상에 스케치 및 컬리링 중 적어도 하나의 수행을 요청하는 제3a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3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3a 단계에서 수행된 스케치 및 컬러링 중 적어도 하나의 산출물이 저장되고, 상기 제3 화면은 상기 제4 화면으로 전환되는 제3b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오른손을 이용하여 상기 제4 화면상에 출력된 복수 개의 기입란 중 상기 서브 카테고리와 대응되는 기입란에 상기 사용자가 제3a 단계를 수행하면서 생각한 내용의 기입을 요청하는 제3c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4 화면상에 출력된 완료 아이콘을 누르면, 상기 제3c 단계에서 기입된 내용이 저장되는 제3d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제2 단계 및 제3 단계에서 산출된 산출물에 포함된 핵심단어의 추출 및 산출물의 크기 조정을 수행하여 상기 산출물을 편집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산출물 및 상기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외부 상담 기관과 연계하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복수 개의 상담 기관을 출력한 후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상담 기관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제5a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담 비용 및 상담 절차와 관련된 동의를 요구하는 제5b 단계;
    상기 산출물 및 상기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의 첨부를 요구하는 제5c 단계; 및
    상기 산출물 및 상기 편집된 산출물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상담 기관으로 송부하여 상기 상담 기관에 상담 요청을 접수하는 제5d 단계;
    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KR1020180025583A 2018-03-05 2018-03-05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KR101997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83A KR101997132B1 (ko) 2018-03-05 2018-03-05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583A KR101997132B1 (ko) 2018-03-05 2018-03-05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132B1 true KR101997132B1 (ko) 2019-07-05

Family

ID=67225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583A KR101997132B1 (ko) 2018-03-05 2018-03-05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3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538A (ja) * 2008-01-29 2009-08-13 Korea Univ Industrial & 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絵画療法の模様選択及び配列、色塗り分析方法、絵画療法の模様分析による心理症状の診断方法、及びこれ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40044718A (ko) 2012-10-05 2014-04-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 치료, 미술 치료, 음악 치료, 인지 치료를 포함한 건강 관리 방법
KR20140117170A (ko) * 2013-03-26 2014-10-07 이태호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60011720A (ko) * 2014-07-22 2016-02-02 (주)문명과사람 상대적 소외계층을 위한 모바일 심리치료 시스템
KR20160077800A (ko) * 2014-12-24 2016-07-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우울증 상담 치유시스템
KR20160122532A (ko) * 2015-04-14 2016-10-24 전은주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78538A (ja) * 2008-01-29 2009-08-13 Korea Univ Industrial & Academic Collaboration Foundation 絵画療法の模様選択及び配列、色塗り分析方法、絵画療法の模様分析による心理症状の診断方法、及びこれを行う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140044718A (ko) 2012-10-05 2014-04-1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 치료, 미술 치료, 음악 치료, 인지 치료를 포함한 건강 관리 방법
KR20140117170A (ko) * 2013-03-26 2014-10-07 이태호 질의 응답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20160011720A (ko) * 2014-07-22 2016-02-02 (주)문명과사람 상대적 소외계층을 위한 모바일 심리치료 시스템
KR20160077800A (ko) * 2014-12-24 2016-07-0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우울증 상담 치유시스템
KR20160122532A (ko) * 2015-04-14 2016-10-24 전은주 Diy 키트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음악치료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ylor Interviewing
Barry et al. Reflexive journal writing: A tool for music therapy student clinical practice development
Deininger et al. Prototyping for context: exploring stakeholder feedback based on prototype type, stakeholder group and question type
O'Neill et al.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perspectiv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 the supports, challenges, and realities of integrating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o everyday life
Cremona Coaching and emotions: An exploration of how coaches engage and think about emotion
CN101657845A (zh) 为医疗患者呈现个人经历的装置和方法
Evans et al. The iPad project: introducing iPads into care homes in the UK to support digital inclusion
van de Sandt‐Koenderman et al. High‐tech AAC and severe aphasia: Candidacy for TouchSpeak (TS)
Wang et al. Assistive technology for adults on the autism spectrum: A systematic survey
Tenneti et al. Design and delivery of a national pilot survey of capabilities
KR101997132B1 (ko) 스트레스 분석 및 완화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방법
Mueller et al. Beyond intuition: Towards a framework for empirical-based design theory building in design science research
Noël Designing a Visual Tool to Interview People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 user-centered approach.
Lynden et al. Workplace telephone coaching conversations: a unique institutional practice as revealed through interpretive and empiricist multi-method approaches
Lee et al. User perception and self-disclosure towards an AI psychotherapy chatbot according to the anthropomorphism of its profile picture
Nimjee et al. Exploring generational differences in physicians' perspectives on the proliferation of technology within the medical field: a narrative study
Keskinen Evaluating the user experience of interactive systems in challenging circumstances
Boechler et al.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with older adults: Adjustments in protocol, materials, and procedures
Vivante et al. Examining science teachers' engagement in professional development: A multimodal situated perspective
Alsmeyer et al. Supporting affective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 with the Subtle Stone
Calvo et al. 2nd symposia on computing and mental health
Enér et al.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Acceptance of New Technology: A Case Study of Smartwatches
KR102173224B1 (ko) 사용자 맞춤형 인지치료방법
Wiklund Axelsson et al. HealthCloud: Participatory design of user interfaces for senior people's active aging
Wallace Complementing therapy using multimodal strateg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