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802B1 -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802B1
KR101996802B1 KR1020180090782A KR20180090782A KR101996802B1 KR 101996802 B1 KR101996802 B1 KR 101996802B1 KR 1020180090782 A KR1020180090782 A KR 1020180090782A KR 20180090782 A KR20180090782 A KR 20180090782A KR 101996802 B1 KR101996802 B1 KR 10199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in
chain system
commodity
reward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월드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월드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월드글로벌
Priority to KR102018009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802B1/ko
Priority to PCT/KR2019/009661 priority patent/WO202002762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6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electronic wallets or electronic money saf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1Currency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6Incentive systems for frequent usage, e.g. frequent flyer miles programs or point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는 과정, 사용자 단말에서 서비스 제공서버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 사용자 단말에서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을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로 결제하는 과정, 및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로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금액의 통페이가 미리 설정된 회수로 나누어 보상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국경, 시간의 장벽과 상관없이 자유로운 거래 가능하며, 암호화폐의 보상을 통해 기존 암호화폐의 급등락으로 인한 실사용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Method for payment and reward using cryptocurrency}
본 발명은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온라인이나 오프라인 매장에서 상품 대금을 결제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암호화폐(cryptocurrency)란 교환 수단으로 기능하도록 고안된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으로서 암호화 방법을 사용하여 거래의 안전을 확보하고, 추가적 단위의 생성을 통제하며, 그 자산의 이전을 인증하는 것을 말한다. 암호화폐는 디지털 화폐의 일종으로, 최초의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출현 후,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리플, 모네로, Zcash, Dash, 에이코인 등 수많은 암호화폐가 등장하고 있다.
암호화폐는 블록체인(blockchain) 기술로 암호화되어 분산발행되고 일정한 네트워크에서 화폐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정보이며, 암호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지 않고 블록체인 기술에 기초하여 금전적 가치가 디지털 방식으로 표시된 전자정보로서 인터넷상 P2P 방식으로 분산 저장되어 운영·관리된다. 각 암호화폐의 분산형 통제는 블록체인 기술을 통하여 운용하는데, 블록체인은 분산 거래장부(distributed ledger)로 기능 하는 공적 데이터베이스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암호화폐는 실시간 가치 하락 및 상승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암호화폐가 거래 상대방에게 완전히 전달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소요되므로, 실생활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암호화폐는 원래 재화교환의 매체, 즉 지급수단으로 고안된 것이지만, 액면가가 없고 투자의 목적이 되어 거래소를 통하여 시장의 수급에 따라 형성되는 가격으로 거래되어 소득 또는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폐의 가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결제대금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거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함께 특정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실생활에서 시장의 수급에 따라 형성되는 가격에 의해 소득 또는 손실되는 부분을 보완함으로써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결제하고, 이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은,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 및 서비스 제공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로 결제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금액의 통페이가 미리 설정된 회수로 나누어 보상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로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이 대응하는 통페이가 지급되는 단계, 및 현금 전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지급받은 통페이지가 자동 매매되어 현금으로 전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로 결제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금액의 통페이가 미리 설정된 회수로 나누어 보상받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모듈은,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는 과정, 서비스 제공서버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과정, 상기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을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로 결제하는 과정,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금액의 통페이가 미리 설정된 회수로 나누어 보상받는 과정을 포함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국경이나 시간의 장벽과 상관없이 자유로운 거래 가능하며, 암호화폐의 보상을 통해 기존 암호화폐의 급등락으로 인한 실사용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거래 수수료가 없거나 매우 적으며, 블록체인 시스템 적용으로 보안에 우수하고, 보상과 동일 스케쥴로 암호화폐의 추가 발행을 진행함으로써 안정적인 자원 마련과 인플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암호화폐의 가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결제대금을 자동으로 계산하여 거래에 이용함으로써, 암호화폐를 실생활에서 결제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하이퍼레저 패블릭의 블록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
도 4는 판매자 단말에서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개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에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등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를 "전송한다" 와 같은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록체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의 블록은 헤더(header)와 바디(body)로 구성된다. 헤더는 단일 블록에 링크드 리스트(linked list)를 만들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바디는 블록에 담기는 거래의 내용들을 포함한다. 비트코인의 경우, 헤더는 소프트웨어 버전, 난이도, 이전 블록의 해시값, 블록 생성시간, 머클루트, 및 난스(nonce)라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바디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잭션(transaction)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난스의 값을 찾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전 블록에 대한 해시값이 새로운 블록의 난스값을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난스의 값을 찾는 과정을 비트코인에서는 채굴이라고 표현하여, 동시에 '합의 알고리즘'이라고도 불린다. 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참여자들이 실시간으로 동일한 장부를 보유하게 하는 분산 원장의 기능을 가능하게 하며, 블록을 서로 연결시켜준다.
블록체인의 안정성은 링크드 리스트를 통한 체인 길이의 확대와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가 간의 동일한 장부를 통해 생겨난다. 체인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이전에 존재하는 하나의 블록을 해킹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워지고, 새롭게 생겨난 블록의 거래 데이터를 분산 원장을 통해 모든 노드가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과반수 이상을 수정할 수 있는 연산력을 보유하지 않는 이상 블록체인의 데이터 조작은 불가능하다.
한편, 블록체인은 그 활용도 측면에서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 콘소시움 블록체인(consortium blockchain) 등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퍼블릭 블록체인의 경우 정보를 누구나 참여가능하고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은 참여자의 제한과 열람의 범위의 제한 등 목적에 따라 제한된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콘소시움 블록체인은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간의 상호운용되도록 구성된다.
도 2는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블록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하이퍼레저는 리눅스 재단의 주도 하에 산업간 블록체인 기술 발전을 위해 조직된 전세계적인 오픈 소스 협업 활동이다. 금융, 뱅킹, 사물인터넷, 공급망, 제조 및 기술 분야의 총 130개 이상 회원이 하이퍼레저 패브릭, 하이퍼레저 컴포저 등 8개 프로젝트에 현재 참여 중이며, 표준화된 개방형 엔터프라이즈급 분산 원장 프레임워크 및 코드 베이스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블록 구조는 암호화된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블럭 구조를 저장함으로써 과거의 트랜잭션 정보가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또한, 하이퍼레저 패블릭의 블록 구조는 비트코인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지만, KVS(Key-Value Store) 해시값도 기록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전블록의 해시 값은 512bit(64bytes)에서 SHA3 SHAKE256 을 사용하여 계산되며, 블록의 메타데이터는 각 노드에서 자유로운 값을 넣을 수 있으며, 해시 계산에서 제외된다.
본 발명에서 암호 화폐를 이용한 상품 대금의 결제나 이에 대한 보상은 기본적으로 하이퍼레저 페브릭(Hyperledger Fabric) 블록체인 시스템이 적용되며, 이와 관련된 데이터나 정보 등은 트랜잭션에 저장되어 송수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이고, 도 4는 판매자의 단말에서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사용자 단말(100), 판매자의 단말(150), 및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250)에 연결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 및 판매자의 단말(150)은 일반적인 PC(Personal Computer)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타블렛 컴퓨터(tablet computer) 등과 같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블록체인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를 포함한다.
블록체인 시스템(250)은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및 보상 방법를 지원하기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으로 기본적으로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 블록체인 시스템이 적용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이 적용되는 블록체인 시스템(250)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를 '통페이(Tongpay)' 또는 '통(Tong)' 이라고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판매자는 판매자의 단말(150)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에 판매할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등록한다(S30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한 웹페이지 접속 등을 통해 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고(S310), 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상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32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상품을 조회한 후(S330),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구매 확정 상품의 대금을 블록체인 시스템(250)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로 결제한다(S340). 이때, 결제하는 구매 확정 상품의 대금으로 결제되는 통페이 금액은 실시간 거래소 시세에 따른다.
사용자는 상품 구매 또는 통페이 자체의 보유 목적으로 통페이를 직접 구매하거나, 또는 소지한 다른 암호화폐를 통페이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할 수도 있다.
결제가 완료되고, 미리 설정된 상품 판매에 대한 지불 요건이 확정되면, 블록체인 시스템(250)을 통해 판매자의 단말(150)로 판매된 상품 금액에 대응하는 통페이가 지급된다(S350). 판매자의 단말(150)로 판매 대금으로 통페이가 지급되기전에, 상품 구매 확정 메시지나 기타 거래에 필요한 메시지 등이 서비스 제공서버(200)를 통해 판매자의 단말(150)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판매자의 단말(150)에서는 거래 전에 미리, 결제 금액으로 지급받은 통페이지를 현금으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된 정보가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s)을 통해 원장에 저장된다.
일관된 정보 업데이트를 지원하고 모든 호스트 기능(거래, 쿼리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스마트 계약을 사용하여 원장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한다. 스마트 계약은 정보를 캡슐화하고 네트워크 전체에서 단순하게 유지하는 핵심 메커니즘 일뿐만 아니라 참가자가 트랜잭션의 특정 측면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작성될 수도 있다.
하이퍼레저 패브릭의 경우, 트랜잭션은 체인코드(스마트 계약)의 실행이라 할 수 있으며, 자산의 최신 상태는 Key-value 저장소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계약 조건이나 규칙을 비지니스 로직으로 스마트 계약에 구현함으로써 항상 합의된 규칙에 따라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으로 트랜잭션을 기술 및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150)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 대금으로 통페이가 지급되면(S352), 현금 전환 선택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제된 통페이를 전자지갑에 보관하고(S354, S356), 현금 전환 선택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자동매매로 지급받은 통페이를 바로 현금으로 전환한다(S354, S358).
이러한 과정에 따라, 판매자는 결제된 통페이에 대응하는 현금을 전환 지급받거나, 통페이 자체를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자동 매매에 의해 통페이를 바로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으므로, 암호화폐의 시세 변동에 따른 리스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암호화폐를 현금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기존 암호화폐의 경우 실질적 거래대금 수령 시간은 2~3일이 소요되지만, 통페이의 현금 전환은 거래와 동시에 판매자(사업자)에게 현금이 입금될 수 있는데, 이는 통페이 거래소내에서 암호화폐를 사고파는 행위는 실제 암호화폐의 이동이 아니라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의 잔고 이동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결제가 확정되면, 인증 완료된 거래정보를 바탕으로 블록체인 시스템(250)에서 결제된 상품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가 소정 회수로 나누어져 사용자 단말(100)로 보상된다(S360). 예컨대, 블록체인 시스템(250)에서 2,000번의 스케줄링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보상할 수 있다.
보상 주기는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일 단위로 보상할 수 있다. 또한, 통페이의 보상시, 보상되는 통페이 금액은 보상되는 시점의 통페이 시세에 따를 수 있다. 즉, 상품 대금에 대응하는 전체 보상 금액을 2000일에 나누어 보상하는 경우, 매일 보상되는 통페이 금액은 보상시점의 통페이 시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통페이의 보상은 통페이의 추가 발행 스케쥴에 연동하여 진행되어, 안정적 재원 마련과 통페이의 인플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국경, 시간의 장벽과 상관없이 자유로운 거래 가능하며, 기존 암호화폐의 급등락으로 인한 실사용의 어려움을, 본 발명은 1 ~ 100% 통페이 보상을 통해 급등락에 대한 부담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 암호화폐의 인증부분에 마이닝에 대한 수수료 부분이 부담으로 작용하였으나, 통페이는 수수료가 없거나 매우 적게 설정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시스템 적용으로 보안에 우수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통페이를 사용하는 하이퍼레저 페브릭(Hyperledger Fabric) 기반의 제1 블록체인 시스템(250)에 연결되어 상품 구매할 수 있으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리플 등과 같은 기존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퍼블릭 블록체인 시스템인 제2 블록체인 시스템(270)에 연결되어, 일종의 콘소시움 블록체인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리플 등과 같은 일반적인 암호화폐의 구입을 요청하여(S400), 암호화폐를 구입하고(S410), 구입한 일반적인 암호화폐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블록체인 시스템(250)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고 결제할 수 있다(S420).
이 경우에도 결제가 확정되면, 인증 완료된 거래정보를 바탕으로 제1 블록체인 시스템(250)에서 결제된 상품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가 소정 회수로 나누어져 사용자 단말(100)로 보상된다(S430). 일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이에 따른 보상은 통페이 거래소 시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에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상에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의 예로는 ROM, RAM, EPROM, EEP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등이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 회로("ASIC")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개별 컴포넌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네트워크 개체(500)는 상술 한 구성 요소들 중 임의의 것을 나타낼 수 있거나 통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510) 및 메모리(520)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동작 세트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개체 (500)의 개별 컴포넌트 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510)에 의해 이해되는 컴퓨터 언어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로 코딩될 수 있고, 메모리(520)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와 같은 유형의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일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모듈(530)은 네트워크 개체(500)의 일부이고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5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명령을 포함하는 또 다른 개별 엔티티 일 수 있다. 네트워크 개체(500)의 상기 언급된 컴포넌트에 추가하여, 통신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 및 수신기 쌍(미도시)을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용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사용에만 국한되지는 않으며, 다른 어떤 컴퓨팅 또는 처리 환경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사용자 단말 150 : 판매자의 단말
200 : 서비스 제공서버 250 : 블록체인

Claims (10)

  1.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에 있어서,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 판매자의 단말, 및 서비스 제공서버가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는 단계;
    상기 판매자의 단말에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를 결제 대금으로 받는 경우 현금으로 전환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된 정보를 스마트 계약을 통해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통페이를 구매하거나, 다른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구입한 다른 암호화폐를 상기 통페이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서버로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을 상기 통페이로 결제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현금으로 전환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을 판매하는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가 지급되어 전자지갑에 보관되고, 상기 현금으로 전환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판매자의 단말로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가 자동 매매에 의해 현금으로 전환되어 지급되는 단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가 미리 설정된 회수로 나누어져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보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보상되는 통페이지의 금액은 보상되는 시점의 상기 통페이 시세에 따라 변동되며,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의 보상은 상기 통페이의 추가 발행 스케쥴에 연동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하이퍼레저 패블릭 블록체인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의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프로세서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7. 삭제
  8. 삭제
  9.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품 정보를 요청하여,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받는 사용자 단말;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상품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서버; 및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 연결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암호화폐인 통페이를 결제 대금으로 받는 경우 현금으로 전환할지 여부에 대해 결정된 정보를 스마트 계약을 통해 블록체인 원장에 저장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구매 확정되는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의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통페이를 구매하거나, 다른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구입한 다른 암호화폐를 상기 통페이로 전환하고, 상기 상품 정보를 조회하여 구매할 상품을 확정하고,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을 상기 통페이로 결제하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를 미리 설정된 회수로 나누어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보상받으며,
    상기 판매자의 단말은, 상기 결정된 정보에 따라 상기 현금으로 전환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를 지급받아 전자지갑에 보관하고, 상기 현금으로 전환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를 자동 매매에 의해 현금으로 전환하여 지급받으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보상되는 통페이지의 금액은 보상되는 시점의 상기 통페이 시세에 따라 변동되며, 상기 구매 확정 상품의 결제 대금에 대응하는 통페이의 보상은 상기 통페이의 추가 발행 스케쥴에 연동하여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시스템은, 하이퍼레저 패블릭 블록체인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180090782A 2018-08-03 2018-08-03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KR10199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82A KR101996802B1 (ko) 2018-08-03 2018-08-03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PCT/KR2019/009661 WO2020027621A1 (ko) 2018-08-03 2019-08-02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782A KR101996802B1 (ko) 2018-08-03 2018-08-03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115A Division KR20200015368A (ko) 2019-06-03 2019-06-03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802B1 true KR101996802B1 (ko) 2019-07-05

Family

ID=6722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782A KR101996802B1 (ko) 2018-08-03 2018-08-03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80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2680A (zh) * 2020-06-15 2020-12-25 合肥维天运通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物流应收账单期权defi交易市场方法和系统
KR20210041986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연동한 투자 시스템
KR20210073059A (ko) 2019-12-10 2021-06-18 손종희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영수증 관리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76666A (ko) * 2019-12-16 2021-06-24 오흥섭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방법
KR20210082890A (ko) 2019-12-26 2021-07-0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처리 성능 향상 방법
WO2022045548A1 (ko) * 2020-08-27 2022-03-03 박영택 가상화폐 거래를 통한 결제방법
KR20220057823A (ko) 2020-10-30 2022-05-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블록 사이즈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KR20230037517A (ko) * 2023-01-30 2023-03-1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94A (ko) * 2015-01-23 2016-08-02 네모아이씨티(주) 비트코인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1194A (ko) * 2015-01-23 2016-08-02 네모아이씨티(주) 비트코인을 이용한 결제 방법 및 결제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기사(TOKENPOST), "블록체인 기반 포인트 적립 생태계 ‘BitRewards’ 출시…퍼블릭 프리세일 진행 중"(2018.02.02.) 1 부.* *
인터넷 기사(중앙일보), "[고란의 어쩌다 투자] 비트코인 1856만원...'배당' 랠리 시작됐다(상)"(2017.12.07.) 1 부.* *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986A (ko) 2019-10-08 2021-04-16 주식회사 블록체인기술연구소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연동한 투자 시스템
KR20210073059A (ko) 2019-12-10 2021-06-18 손종희 블록체인 기반의 전자영수증 관리를 위한 인센티브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76666A (ko) * 2019-12-16 2021-06-24 오흥섭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방법
KR102342763B1 (ko) * 2019-12-16 2021-12-22 오흥섭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시스템 및 블록체인 기반 배달-보상 서비스 방법
KR20210082890A (ko) 2019-12-26 2021-07-06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처리 성능 향상 방법
US11625260B2 (en) 2019-12-26 2023-04-11 Sogang University 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 Foundation Method for enhancing throughput in blockchain network
CN112132680A (zh) * 2020-06-15 2020-12-25 合肥维天运通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物流应收账单期权defi交易市场方法和系统
WO2022045548A1 (ko) * 2020-08-27 2022-03-03 박영택 가상화폐 거래를 통한 결제방법
KR20220057823A (ko) 2020-10-30 2022-05-0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블록 사이즈 조절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KR20230037517A (ko) * 2023-01-30 2023-03-1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25311B1 (ko) * 2023-01-30 2024-01-16 소프트런치주식회사 상품의 거래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802B1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US20200302410A1 (en) Virtual currency system
US20190228409A1 (en) Transaction Pools Using Smart Contracts and Blockchains
US9830580B2 (en) Virtual currency system
KR20210024994A (ko) 디지털 자산 교환
US202103041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fashion asset management through blockchain
CA3004250C (en) Virtual currency system
Papadopoulos Blockchain and digital payments: An institutionalist analysis of cryptocurrencies
US202101662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service of cryptocurrency by means of electronic wallet
JP2017515252A (ja) 信頼度が低い、または信頼度が皆無の当事者間での価値転送を円滑化する装置、システム、または方法
KR102110605B1 (ko) 암호화폐 거래소내 실거래 전자지갑 기반의 블록체인 거래 처리 방법
KR102182072B1 (ko) 실물 자산에 기반한 디지털 자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실물자산 거래 시스템
CN107852333A (zh) 用于可公开验证的授权的系统和方法
KR20220065273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시스템
KR20220065271A (ko) 블록 체인 네트워크 기반의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한 소유권 아이템 자산의 유동성 가치 조절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수행하는 판매자 단말 장치 및 시스템
KR102082625B1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KR102121645B1 (ko) 복수의 거래소를 이용한 가상 화폐 반대 매매를 위한 금융 기술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30558A (ko) 암호 화폐 거래소의 타거래소 연동거래 운영 방법
US2023001227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E-Commerce
WO2019123676A1 (ja) 仮想通貨管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
WO2020027621A1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KR20200015368A (ko)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및 보상 방법
US20240005409A1 (en) Systems, methods, and storage media for managing digital liquidity tokens in a distributed ledger platform
Korhonen Cryptoassets: Value and price drivers of a new asset class
KR20220069872A (ko) 금 기반의 암호화폐와 금을 이용한 수익 창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