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269B1 -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 Google Patents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269B1
KR101996269B1 KR1020170142490A KR20170142490A KR101996269B1 KR 101996269 B1 KR101996269 B1 KR 101996269B1 KR 1020170142490 A KR1020170142490 A KR 1020170142490A KR 20170142490 A KR20170142490 A KR 20170142490A KR 101996269 B1 KR101996269 B1 KR 10199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ice
forming material
tray
ice ma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8024A (en
Inventor
장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스터마인딩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스터마인딩그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스터마인딩그룹
Priority to KR1020170142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269B1/en
Priority to PCT/KR2017/012741 priority patent/WO2019088332A1/en
Publication of KR2019004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2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4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과,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 및 얼음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형성된 트레이부; 및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수용가능하며, 주입구를 통해 트레이부의 수용 공간 내에 삽입가능한 삽입부와 트레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포함하되, 수용 공간 내로 삽입부가 삽입된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이 주입되고, 수용 공간 내에 물이 공급되고 냉각되어, 트레이부의 수용 공간 중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제외한 공간에서 얼음이 제조된다. An ice making frame including a cavity therein, and an ice making apparatus and an ice making method including the ice making frame are disclosed. An ice making frame including a cavity therein includes a tray portion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accommodating water therein and formed with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And a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vity-forming material therein and having an insert portion insertable into a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through an injection port and an exposed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tray portion, The cavity forming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inserted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water is supplied into the space and cooled, and ice is produced in the space exclud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Description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 및 얼음 제조 방법{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apparatus and an ice making method,

본 발명은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 및 얼음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making apparatus and an ice making method including an internal cavity.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요식업체, 커피 또는 주스 등의 음료 전문점 등에서 사용하는 얼음틀은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소재로서 각각의 얼음의 모양에 대응하는 다수의 격실들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얼음틀을 이용하여 제조된 얼음은 내부에 빈 공간이 없이 내부가 꽉 채워진 일률적인 모양으로 형성된다. 도 1 에는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얼음틀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의 얼음틀을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빈 공간이 없는 큐브 형상의 얼음이 제조된다. Generally, a ice shelf used in a home, a restaurant, a beverage shop such as a coffee or a juice is made of plastic or silicone material having a shape having a plurality of compartment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each ice, Is formed in a uniform shape filled with an inner space without an empty space. FIG. 1 shows a ice fram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nd in the case of producing ice using the ice frame of FIG. 1, a cubic ice having no empty space is produced.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01576호는 냉장고 등의 냉동실에 넣어서 가정 등에서 사용하기 위한 얼음을 만드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재료로서 실리콘을 사용함으로써, 가요성을 극대화함과 더불어 환경호르몬의 방출을 제거하며, 얼려진 얼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 실리콘 얼음용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01576 relates to a container for making ice for use in a home by putting it in a freezing room such as a refrigerator. Especially, by using silicon as a material of a container, the flexibility is maximized, An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rozen ice.

그러나, 최근 들어 특정 제품의 디자인 다양성과 관련한 소비자들의 기대 수준과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소비자들은 제품 선택시에 색다르고 특이한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음료 등을 차갑게 마시기 위하여 함께 제공되는 얼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However,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consumer expectations and demands related to design diversity of a specific product. Consumers tend to prefer a different and unique product when selecting a product, The same is true for.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실리콘 얼음용기를 이용하여 얼음을 제조함으로써 환경 호르몬 방출을 막고 얼려진 얼음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을 뿐,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얼음을 형성할 수는 없으며,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없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ce is produced using a silicon ice container, thereby preventing the release of environmental hormones and facilitating the discharge of frozen ice. It is not possible to form ic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It can not meet the needs of changing consumers.

따라서, 현재로서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얼음틀 및 얼음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대한 니즈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at present, there is a need for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ice tray and an ice, which can manufacture ice having an empty space in the inside thereof.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4-0001576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4-000157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얼음제조장치 및 얼음제조방법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realized by recognizing at least any one of the requirements or problems occurring in the conventional ice making apparatus and the ice making metho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얼음틀, 이러한 얼음틀을 포함하는 얼음제조장치 및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얼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maker capable of producing ice having an empty space therein, an ice maker including such ice maker,

또한,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을 제조하여, 내부의 빈 공간에 다른 음료 또는 다른 자원을 넣어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한다. In addition, ice having a cavity therein is manufactured, and various drinks or other resources are put into the empty space inside the ice making room.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형성된 트레이부; 및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수용가능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가능한 삽입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의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 상기 공동형성물질이 주입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물이 공급되고 냉각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제외한 공간에서 얼음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ing mold including an inner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mold includes an accommodation space for containing water therein. ; And a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ptacle being capable of receiving a cavity-forming material therein and having an insertion portion insertable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through the injection port and an exposed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tray portion, Wherein the cavity-forming substance is injected into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nto which the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avity, and water is supplied and cooled in the cavity, so that the space excluding the cavity- In which ice is produced.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얼음 제조틀은, 상기 트레이부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부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주입구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의 상부에는 상부 고정체가 마련되고, 상기 주입구의 하부에는 하부 고정체가 마련되어,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port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y portion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y portion, wherein the injection port of the tray portion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handle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an upper fixing body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injection port and a lower fixing body is provided on the lower part of the injection port to fix the cavity forming material receiver inserted in the receiving spac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부의 하면에는 제빙시 배출되는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impurities discharged during the ice making process to the outside.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보다 어는 점이 낮은 액체 또는 입자 크기가 상기 주입구의 크기보다 작은 고체인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liquid or the particle size of which has a smaller freezing point than that of water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injection port.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Als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장치는, 상기의 얼음 제조틀; 내부에 상기 얼음 제조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얼음 제조틀에 제공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상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의 내부 물통; 내부에 상기 내부 물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물통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물통과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실린더 형상의 단열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making apparatus including an internal cavity,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ice making frame; A cylindrical inner water tank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ice making frame therein and having an opened upper surface for storing wat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An outer cas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water container therein and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water container from the outside; And a cylindrical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ter container and the outer cas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방법은,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형성된 트레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으로,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수용가능한 탄성 재질의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 상기 공동형성물질을 주입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 사이의 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부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단계; 및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로부터 상기 공동형성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ice including an inner cavity,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receiving space in which water is contained, and a tray portion having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receiving space with the outside, ; Inserting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a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receiving a cavity forming material therein; Inject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into the interior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Supplying water to a space between the tray portion and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An ice making step of cooling the tray part to generate ice; And remov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from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and remov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불투명한 얼음이 아닌 투명도가 매우 높으면서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ice having a cavity therei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n ice having a cavity with a very high transparency, not a conventional opaque ice.

또한,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을 제조하여, 내부의 빈 공간에 다른 음료 또는 다른 자원을 넣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ice having a cavity therein, and to use various drinks or other resources in the empty space in the interior.

이로 인해, 다양하게 변화하는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판매자 입장에서는 매출 향상을 기재할 수 있다.This allows us to meet the needs of a variety of changing consumers, and to describe sales improvements from the seller's perspective.

도 1 은 일반적인 얼음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 제조틀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수용 공간의 실시예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general ice fram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frame having an intern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ceiving space of an ice ma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Also,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components as we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 제조틀의 단면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수용 공간의 실시예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frame having an internal cav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mbodiment of a receiving space of the ice making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making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mol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ructural view of an ice mak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cross- It is a flowchart of the method.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 이를 포함하는 얼음 제조장치 및 내부에 공동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2 through 9, an ice making frame including an inner cav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ce making device including the ice making frame, and an ice making method including an inner cavit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전체 구성1. Full Configura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빈 공간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100)은, 크게 몸체에 해당하는 트레이부(110)와 트레이부(110) 내부에 삽입가능한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트레이부(110)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113)이 구비되고, 수용 공간(113) 상부에는 수용 공간(113)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주입구(111)가 마련된다. 얼리고자 하는 액체(예를 들어, 물)는 주입구(111)를 통해 트레이부(110)의 수용 공간(113) 내부로 주입되거나, 얼음 제조틀(100)이 외부의 물통에 담기는 경우 하부의 배출구(112)를 통하여서도 물이 주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ice making mold 100 including an empty sp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110 corresponding to a body, Forming material receptors 118. [0034] A receiving space 113 is provided in the tray 110 and an inlet 111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ing space 113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space 113. The liquid to be frozen (for example, water) is injec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3 of the tray unit 110 through the injection port 111, or when the ice making mold 100 is placed in the external water tank, Water can also be injected through outlet 112.

본 실시예의 얼음 제조틀(100)은 단일 구성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내부 물통, 외부 케이스 및 단열재를 포함하는 투명 얼음 장치의 일부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내부 물통은 내부에 상기 얼음 제조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얼음 제조틀에 제공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상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외부 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내부 물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물통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다. 단열재는 상기 내부 물통과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된다.The ice making frame 100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as a part of a transparent ice device including an inner water container, an outer case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rather than being used in a single configuration. The inner water tank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ce making frame therein, and an upper surface for storing wat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is opened. The outer case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water bottle therein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water bottle from the outsi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ter container and the outer case.

특히, 내부 물통에서 트레이부 내부로부터 얼음이 어는 동안 빠져나오는 기포나 불순물들을 수용하여 상부의 얼음은 지름 5cm 이상의 대형 투명얼음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내부에 별도의 공동이 형성되어, 다른 음료나 칵테일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the ice in the upper part can form a large transparent ice having a diameter of 5 cm or more by accommodating bubbles or impurities that escape from the inside of the tray portion during the freezing of the ice from the inside of the ice tray, It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cocktail.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 공간(113)이 다이아몬드 형상이나,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수용 공간(113)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얼음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추후 설명하도록 한다. 트레이부(110)의 수용 공간(113)에는 얼리고자 하는 액체(예를 들어, 물 등)가 수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부(110) 내에 한 개의 수용 공간(113)이 형성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레이부(110) 내에 복수 개의 수용 공간(113)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space 113 is diamond-shap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for explana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refore,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3 can be variously adopt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ce to be manufactur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A liquid (for example, water or the like) to be frozen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113 of the tray unit 110.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case where one receiving space 113 is formed in the tray unit 1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113 may be formed in the tray unit 11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it.

2. 공동형성물질수용체2. Coupling material receptors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는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수용가능한 것으로서, 전부 또는 일부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이후 얼음이 완성되는 경우 상부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하여, 얼음에서 배출될 수 있다.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는 실리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내부에 주입되는 공동형성물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체적 및/또는 형상이 변할 수 있다.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는 트레이부(110)의 수용 공간(113)으로 삽입되는 부분인 삽입부(118b)와 수용 공간(113)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트레이부(110) 외부에 배치되는 노출부(118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olly or partly of an elastic material, and can be discharged from the ice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when the ice is completed.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is preferably made of a silicon material.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vary in volume and / or shape depending on the type and amount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injected therein. The cavity forming material receptacle 118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118b which i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3 of the tray portion 110 and an exposure portion 118b which is not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13 but is disposed outside the tray portion 110 118a. ≪ / RTI >

2-1. 공동형성물질2-1. Co-forming material

이 때,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 내부에 수용가능한 공동형성물질은 물보다 어는 점이 낮은 액체(예를 들어, 소금물, 알코올 등)를 사용하여야 한다. 물이 얼어 얼음을 형성한 이후에도 액체 상태로 존재하여야만, 얼음 내부의 공동 공간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cavity-forming material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should be a liquid having a lower freezing point than that of water (e.g., brine, alcohol, etc.). This is because water can be released from the common space inside the ice to the outside only if it exists in a liquid state even after the ice is frozen and formed.

얼음 내 공동에서 공동형성물질이 외부로 빠져나온 후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삽입부도, 얼음의 상부 구멍을 통하여 빠져나온다. 이렇게 되면, 상부에 작은 구멍이 존재하는 완전한 공동을 가지는 투명한 대형 얼음이 형성되게 된다.After the cavity-forming material exits from the cavity in the ice,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also escapes through the upper hole of the ice. This results in the formation of transparent large ice with a complete cavity with small holes in the top.

또한, 다른 방법은 내부에 작은 입자로 이루어진 고체(예를 들어, 모래, 소금, 설탕 등)를 삽입할 수 있다. 입자상 고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어는 점에 관계 없이 내부의 유동적이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특히, 내부에 습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온도에 따라 부분적으로 고체들이 응집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건조된 처리를 하여야 한다.In addition, other methods can insert solid (e.g., sand, salt, sugar, etc.) of small particles into the interior. In the case of being formed into a particulate soli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ternal fluidity irrespective of the freezing point. In particular, when moisture is present in the interior, the solids may partially aggregat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do.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의 일부 또는 전부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얼음이 형성된 이후,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의 삽입부(118b)로부터 노출부(118a)로 공동형성물질이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ome or all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o that after the ice is formed, a cavity is formed from the insertion portion 118b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to the exposed portion 118a Material can be discharged outside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의 삽입부(118b)의 용적은 트레이부(110)의 수용 공간(113)의 용적보다 작아야 하며, 수용 공간(113)에서 삽입부(118b)를 제외한 공간이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영역이 된다. The volume of the insertion portion 118b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must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3 of the tray portion 110 and the space excluding the insertion portion 118b in the accommodation space 113 must be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ice- And becomes an ice making area to be generated.

2-2. 투명 얼음을 위한 구성 요소2-2. Components for transparent 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100)은 트레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손잡이부(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손잡이부(114)는 트레이부(110)의 상면에 형성되되, 트레이부(110)의 외측을 향해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부(11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제조틀(100)을 내부 물통으로부터 쉽게 빼내거나 좌우대칭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트레이부(110)를 쉽게 분리하기 위한 구성이며, 그립(grip)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중앙부에 소정 깊이로 함몰된 함몰부(1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얼음 제조틀(100)이 손잡이부(114)를 더 구비하는 경우에는, 주입구(111)가 손잡이부(114)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ce making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114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y 110. The handle 11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y 110 and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y 110. The grip portion 114 is a structure for easily detaching the ice making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inner water container or separating the pair of tray portions 110 that are symmetrica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may further include a depression 115 that is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central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ice making mold 100 further includes the handle 114, it is preferable that the injection port 111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handle 114.

또한, 얼음 제조틀(100)은 수용 공간(113) 하부에 마련되어 수용 공간(113)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출구(11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배출구(112)는 트레이부(1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제빙시에 수용 공간(113)에서 생성되는 불순물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얼음이 형성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부에서부터 물이 천천히 얼기 시작하면, 물의 내부에 있는 기포나 기타 불순물이 아래 방향으로 밀려나오면서 순수한 물만 얼음으로 전환되게 되고, 밀도가 높은 깨끗하고 투명한 얼음이 생성되게 된다. 즉, 얼음이 형성되면서 물 안에 포함되었던 불순물들이 하부로 밀려나오게 되는데, 최종적으로는 하단에 위치하는 배출구(112)를 통하여 불순물들이 배출되게 된다.The ice making mold 100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port 112 provided below the storage space 113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orage space 113 from the outside. The discharge port 112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y unit 110 to discharge impurities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113 to the outside during the freezing.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forming ice, when water slowly starts to freeze from the upper part, bubbles or other impurities in the water push downward, pure water is converted into ice, and clear, transparent ice with high density . That is, as the ice is formed, the impurities contained in the water are pushed downward. Finally, the impuritie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2 located at the bottom.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제조틀(100)은 절단면을 경계로 좌우대칭인 한 쌍의 트레이부(110)가 절단면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한 쌍의 트레이부(110)의 상호 결합을 위해 각 트레이부(110)의 절단면에는 서로 암수 결합할 수 있는 결합부(116)을 구비할 수 있다.The ice making mol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air of tray portions 110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ut surface are coupled so as to share a cut surface. The cut surfaces of the tray units 110 may have engaging portions 116 engageable with each other in order to mutually engage the pair of tray units 110.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얼음 제조틀(100)은 상부 단차(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단차(117)는 트레이부(110)의 상부에 소정 두께로 마련되며, 트레이부(110)의 외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부 단차(117)는 얼음 제조틀(100)을 추후 설명할 내부 물통에 안착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making mold 1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stepped portion 117. The upper stepped portion 117 may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portion 110 and may protrude horizontally toward the outside of the tray portion 110. The upper stepped portion 117 is a structure for placing the ice making mold 100 on the inner water tank to be described later.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음 제조틀(100)의 수용 공간(113) 형상과 관련하여 다양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3(a) 는 큐브 형상이며, 도 3(b)는 구 형상의 예시이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이므로, 이외에도 수용 공간(113)의 형상은 제조하고자 하는 얼음의 형상(예를 들어, 우산 구조를 2개 결합한 모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다. 3, various examples relat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space 113 of the ice making fram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3 (a) is a cube shape, and Fig. 3 (b) is an example of a sphere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3 may be variously adopt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ice to be manufactured (for example, a shape combining two umbrella structures, etc.).

2-3. 고정을 위한 구성 요소2-3. Components for fixing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는 상부고정체(119a)와 하부고정체(119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부고정체(119a)는 주입구(111)의 상부에 마련되고, 하부고정체(119b)는 주입구(111)의 하부에 마련되어, 수용 공간(113) 내로 삽입된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118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fixing body 119a and a lower fixing body 119b. The upper fixing body 119a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111 and the lower fixing body 119b is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111 to fix the cavity- .

상부 고정체(119a)는 주입구(110)의 직경보다 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 고정체(119a)이후의 부분은 아예 삽입이 불가능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하부 고정체(119b)는 공동형성물질수용체(118)의 삽입부(118b)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입구의 하부에서 부력에 의한 상승을 고정한다.The upper fixing body 119a may be formed in a shap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jection port 110 so that the portion after the upper fixing body 119a can not be inserted at all,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118b of the receiver 118 to fix the lift by the buoyanc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특히,삽입부(118b)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은 삽입부(118b)가 팽창함에 따라 삽입부(118b)의 표면적이 평탄해지는 효과를 이용하여 더욱 공고히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부(118b)에서 내부물질이 빠져나간 이후에 주입구(111)를 통하여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Particularly, the upper part of the insertion part 118b can be more firmly fixed using the effect of flattening the surface area of the insertion part 118b as the insertion part 118b expands, And can easily escape through the injection port 111 after the internal material has escaped.

이러한 구조로는, 하부 고정체(118b)가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날개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삼각형의 단면은 내부 주입구(111)의 직경보다 반드시 작게 설계되어야 한다.In this structure, the lower fixture 118b may be formed as a plurality of wings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triangle should be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injection port 111. [

2-4. 불필요한 부분의 제거 구조2-4. Removal structure of unnecessary part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얼음 제조틀(100)의 주입구(111) 하단과 배출구(112) 상단에는 내부 단차(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얼음이 형성된 후에 얼음을 수용 공간(113)의 정확한 모양대로 만들기 위해 주입구(111) 및/또는 배출구(112) 측에 덧붙어서 형성된 얼음을 부러뜨리는 과정이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내부 단차(120)를 구비함으로써 불필요한 얼음을 쉽게 부러뜨릴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단차(120)는 얼음 제조틀(100)의 수직 방향 중심축을 향해 칼날 모양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Referring to FIG. 1, the ice making mold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step 120 at the lower end of the injection port 111 and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port 112. It is necessary to break the ice formed in addition to the injection port 111 and / or the discharge port 112 to make the ice into the correct shap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13 after the ice is formed. This makes it easy to break unnecessary ice.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ner step 120 is formed to protrude in a blade shape toward a vertical central axis of the ice making mold 100.

2-5. 삽입부 구조2-5. Insert structure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노출부는 삽입부 내로 공동형성물질의 주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정량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정량 측정이 가능한 실린더 형상의 주사기와 같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exposed portion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may further include a quantitative adjusting portion capable of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In general, a structure similar to a cylinder-shaped syringe capable of quantitative measurement can be adop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공동의 형성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공동을 형성해야할 필요성이 있고, 이에 따라, 주입되는 공동형성물질의 주입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정량 조절부는 내부에 담길 수 있는 공동형성물질을, 예를 들어, 80cc, 100cc, 120cc 등의 정량으로 조절하여, 공동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In the formation of the cavities, there is a need to form cavities of various sizes as required, an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adjust the amount of the cavitation-forming material to be injected. At this time, the quantitativ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size of the cavity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that can be contained therein, for example, 80 cc, 100 cc, 120 cc or the like.

이 뿐 아니라, 삽입부 내로 주입된 공동형성물질은 얼음이 얼게 되면서 얼음 자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이를 반영하여 생성되는 압력에 의하여 노출부로 역류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역류 방지부는 상기 정량 조절부의 주입되는 경로 상에 이를 차단하는 밸브나 스탑코크등을 설치하여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vity-forming material injected into the insertion part may increase the volume of the ice itself due to freezing of the ice, and thus, there is a possibility of backflow to the exposed part by the generated pressure. . The general backflow prevention part may be provided with a valve, a stopcock, or the like for blocking the flow of the backflow through the path of the metering control part.

또한,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삽입부 내에는 상기 노출부와 삽입부 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내부 와이어를 포함한다. 내부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시에는 구형 형상을 지지하고, 사용 후 배출 시에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어 쉽게 빠져나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Also, with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a plurality of internal wires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exposed portion and the insertion portion. The inner wir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ort the spherical shape at the time of use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ime of discharge after use so that they can easily escape.

또한 이러한 내부 와이어는 실리콘 막 - 내부 와이어 - 실리콘 막과 같이, 2중막 구조를 채택하여 내부의 사용물질에 의한 부식 방지 등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In addition, such an inner wire adopts a double-layer structure, such as a silicon film-an inner wire-silicon film, so that it can bring about an effect of preventing corrosion due to materials used therein.

이러한 구조에서는 내부 와이어의 확장과 수축을 제어하여 내부 와이어로 형성되는 공간의 팽창을 조절하는 와이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In this structur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ire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inner wire to control the expansion of the space formed by the inner wire.

2-6. 복수개의 얼음틀 구조2-6. Plural ice structure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얼음 제조틀(100)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얼음 제조틀(100)의 트레이부(110)에 복수 개의 수용 공간(113)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부(110)에 5개의 수용 공간(113)을 형성하였으나, 이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손잡이부(114)는 하나의 수용 공간(113)에 대해 1:1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거나, 복수 개의 수용 공간(113)에 대해 다(多):1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이 복수 개인 경우에, 다(多):1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대칭 형상이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 얼음 제조틀(100)이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며, 도 6(b)는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다.6, an ice making mold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13 can be formed in the tray unit 110 of the ice making frame 100. Although five receiving spaces 113 are formed in the tray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grip portions 11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one accommodation space 113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or correspond to a plurality of accommodation spaces 113 in a multi-to-one correspondenc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accommodating spaces as well,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multiples: 1. 6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ice making molds 100 in a symmetrical shape are not coupled, and FIG. 6 (b) shows a combined state.

3. 얼음 제조 장치3. Ice making equip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얼음제조장치(10)의 분해 구성도가 도 7 에 도시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음제조장치(10)는 얼음 제조틀(100), 내부 물통(200) 및 외부 케이스(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얼음 제조틀(10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부 물통(200)은 얼음 제조틀(100)에 제공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얼음 제조틀(10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다. 내부 물통(200)은 얼음 제조틀(100)을 넣고 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이며, 얼음 제조틀(10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얼음 제조틀(100)의 형상이 도 6에 도시된 예와 같다면, 내부 물통(20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음 제조틀(100)이 원기둥 형상인 경우에는, 내부 물통(200)도 원기둥 형상이 될 것이다. An exploded view of the ice ma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ce mak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ce making mold 100, an inner water bottle 200, and an outer case 300. Since the ice making mold 100 has been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inner water bottle 200 is for storing wat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mold 100 and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ce making mold 100 therein. The inner water bottle 200 has an upper surface opened to allow the ice making mold 100 to be inserted and removed, and preferab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ce making mold 100. For example, if the shape of the ice making mold 100 is the same as the example shown in FIG. 6, the inner water can 2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when the ice making mold 100 has a cylindrical shape, the inner water container 200 will also have a cylindrical shape.

또한, 내부 물통(2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케이스(300)는 내부에 내부 물통(20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며, 외부 케이스(300)의 형상은 내부 물통(200)의 형상에 대응된다. 외부 케이스(300)의 재질은 플라스틱일 수 있으며, 특히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ABS(acrylintrile-butadiene-styrene)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케이스(300)의 두께는 약 1.5mm 내지 3.0mm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외부 케이스(300)는 바닥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닥부(310)는 미끄럼 방지를 위해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inner water bottle 200 may be a plastic, and preferably a polycarbonate (PC),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uter case 300 has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water bottle 200 therein and the shape of the outer case 30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inner water bottle 200. The material of the outer case 300 may be plastic, and is preferably polycarbonate (PC) or ABS (acryltryl-butadiene-styr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thickness of the outer case 300 is preferably about 1.5 mm to 3.0 m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uter case 300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310 and the bottom portion 310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to prevent slipping.

도 8을 참조하면, 얼음제조장치(10)는 내부 물통(200)과 외부 케이스(300)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열재(250)는 실린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또는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EPS)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열재(250)는 내부 물통(200)의 측면과 하부를 감싸 단열을 유지한다. 이로 인해, 얼음 제조틀(100) 내에서 얼음이 상단부터 하단으로 서서히 얼게 되는 방향성 제빙(directional freezing)이 진행된다. 따라서, 제빙이 진행됨에 따라 물 속의 불순물은 하부로 내려오고, 배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투명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단열재(250)의 두께를 높이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열재(250)의 상부 두께를 하부 두께보다 얇게 형성하는 경우에 방향성 제빙을 유지하면서 냉각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8, the ice making apparatus 10 may further include a heat insulating material 250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ter can 200 and the outer case 300.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50 is preferably a cylindrical shape, and is preferably expanded polypropylene (EPP) or expanded polystyrene (E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50 surrounds the side and the bottom of the inner water can 200 to maintain the heat insulation. Thus, directional freezing in which the ice gradually becomes frozen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ice making mold 100 proceeds. Accordingly, the impurities in the water descend downward as the ice making progresses, and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2 to produce transparent ice. Meanwhile, 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50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ight. For example, when the upper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250 is thinner than the lower thickness, the cooling rate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directional ice making.

4. 얼음 제조 방법4. How to make ice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내부에 공동(空洞)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내부에 수용 공간이 구비된 트레이부를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을 준비한다(S100). 트레이부 상부에는 내부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구비되어 있다. 얼음 제조틀이 준비되면,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수용가능한 탄성 재질의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트레이부의 수용 공간으로 삽입한다(S110). 이 때, 공동형성물질수용체 전체를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만을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하고, 다른 일부는 트레이부의 외부에 남겨둔다. 트레이부는 좌우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트레이부의 원하는 위치에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삽입한 후, 나머지 다른 쪽의 트레이부를 결합시키면 된다.Referring to Fig. 9, a method of manufacturing ice including an internal cav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an ice making frame including a tra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is prepared (S100).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portion is provided with an inle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When the ice making frame is prepared, an elastic material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S110). At this time, instead of inserting the entir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into the receiving space, only a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the other part is left outside the tray part. Since the tray un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coupled, it is only necessary to insert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at a desired position of the tray unit and then connect the other tray unit.

설명의 편의상, 공동형성물질수용체 중 수용 공간 내로 삽입되는 부분을 삽입부라고 하고, 외부에 남겨지는 부분을 노출부라고 한다.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수용 공간에 삽입 후,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주입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ortion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which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is referred to as an insertion portion, and the portion remaining outside is referred to as an exposed portion. After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the cavity-forming substance can be injected into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은 주입되어 있고, 삽입부와 노출부 간을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형성물질은 물보다 어는 점이 낮은 액체(예를 들어, 소금물, 알코올 등) 또는 고체(예를 들어, 모래, 소금, 설탕 등)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some cases, a cavity-forming substance is already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and the space between the insertion portion and the exposure portion can be made relatively movable. Here, the cavity-forming material is preferably a liquid (e.g., brine, alcohol, etc.) or solid (e.g., sand, salt, sugar, etc.) having a lower freezing point than water.

공동형성물질수용체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주입한 후에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수용 공간 내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공동형성물질 수용체의 기본적인 형상이 오뚝이(8)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s inserted into the cavity after the cavity-forming substance is injected into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asic shape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ptor is in the shape of a bevy (8).

다음으로, 주입구를 통해 트레이부와 공동형성물질수용체 사이의 공간에 물을 공급한다(S120). 물을 공급한 후, 트레이부를 냉각시켜 얼음을 제조한다(S130). 이러한 제빙 단계(S130)가 완료되면, 공동형성물질수용체로부터 공동형성물질을 제거하고,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제거한다(S140).Next, water is supplied to the space between the tray portion and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through the injection port (S120). After the water is supplied, the tray is cooled to produce ice (S130). When the deicing step S130 is completed, the cavity forming material is removed from the cavity forming material receiver and the cavity forming material receiving material is removed (S140).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제거하는 단계는 삽입부에서 공동형성물질을 노출부로 이동한 후, 작게 수축한 삽입부를 기존의 주입구를 통하여 배출시킨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내부의 공동을 형성하고, 내부 공간을 빈 공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형성물질은 액체 또는 고체이므로, 트레이부를 거꾸로 위치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공동형성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The step of remov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moves the cavity-forming material from the insert to the exposed portion, and then discharges the slightly shrunk insert through the conventional injection port. Through this process, an inner cavity can be formed and an inner space can be formed as an empty spac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avity-forming substance is liquid or solid, the cavity-forming substance can be removed in a manner such as placing the tray portion upside dow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공동을 갖는 얼음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얼음 내부의 빈 공간에 다른 음료 또는 다른 자원을 넣어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ice having a cavity therein, and various drinks or other resources can be put into the empty space in the ice for various applications.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얼음 제조 장치 100: 얼음 제조틀
110: 트레이부 111: 주입구
112: 배출구 113: 수용 공간
114: 손잡이부 115: 함몰부
116: 결합부 117: 상부 단차
118: 공동형성물질수용체 119: 고정체
120: 내부 단차 200: 내부 물통
250: 단열재 300: 외부 케이스
10: Ice making apparatus 100: Ice making frame
110: tray part 111: inlet
112: outlet 113: accommodation space
114: handle 115: depression
116: engaging portion 117: upper step
118: cavity forming material receptor 119:
120: inner step 200: inner bucket
250: Insulation material 300: Outer case

Claims (8)

내부에 공동(空洞)을 포함하는 얼음 제조틀로서,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형성된 트레이부; 및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을 수용가능하며, 상기 주입구를 통해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삽입가능한 탄성 재질의 삽입부와 상기 트레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포함하되,
상기 수용 공간 내로 상기 삽입부가 삽입된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 상기 공동형성물질이 주입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물이 공급되고 냉각되어,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 중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제외한 공간에서 얼음이 제조되고,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상기 삽입부 내에는 상기 노출부와 상기 삽입부 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부 와이어 및 상기 내부 와이어의 팽창을 조절하는 와이어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음이 제조된 후, 상기 와이어 제어부가 상기 내부 와이어의 확장과 수축을 제어하여,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내부에서 상기 공동형성물질은 상기 노출부로 이동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주입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틀.
1. An ice making mold comprising a cavity therein,
A tray portion having a receiving space for containing water therein and formed with an injection port communicating the receiving space with the outside; And
And a cavity-forming material receptacle capable of accommodating a cavity-forming material therein and including an insertion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insertable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through the injection port and an exposed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tray portion,
Wherein said cavity-forming substance is injected into said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nto which said insertion portion is inserted, and water is supplied and cooled in said cavity, so that the cavity- Ice is produced in spa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internal wires dispos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ptacl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exposed portion and the inserting portion, and a wire control portion for regulating expansion of the internal wire,
After the ice is produced, the wire control controls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inner wire such that the cavity-forming material is moved to the exposed portion within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and the insertion portion is ejected through the injection port Wherein the ice making frame is made of gl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음 제조틀은, 상기 트레이부의 상부에 상기 트레이부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주입구는 상기 손잡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부의 하면에는 제빙시 배출되는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ce mak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grip portion protruding toward an outer side of the tray portion on an upper portion of the tray portion,
The injection port of the tray portion is formed to penetrate the handle portion,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impurities discharged at the time of making the ice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는, 상기 주입구의 상부에서 고정되는 상부 고정체; 및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입구의 하부에서 부력에 의한 상승을 고정하는 하부 고정체를 더 포함하여,
냉각 시에 수용 공간 내에 삽입된 공동형성물질수용체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comprises: an upper fixture fix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And
Further comprising a lower fixture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and fixing the upward movement by buoyancy at a lower portion of the injection port,
Wherein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s fixed in the cavity when it is coo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형성물질은, 물보다 어는 점이 낮은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vity-forming material comprises a liquid having a lower freezing point than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노출부는 상기 삽입부 내에 상기 공동형성물질의 정량을 주입할 수 있는 정량 조절부; 및
냉각 시에, 상기 공동형성물질이 상기 삽입부에서 노출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부를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posed portion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is capable of inject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Further comprising a backflow preven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backflow of the cavity-forming material from the insertion portion to the exposed portion during cooling.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얼음 제조틀;
내부에 상기 얼음 제조틀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얼음 제조틀에 제공되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상면이 개방된 내부 물통;
내부에 상기 내부 물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물통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부 케이스; 및
상기 내부 물통과 상기 외부 케이스 사이에 구비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 장치.
An ice mak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inner water bottl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to store water provided in the ice making frame, the spac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ce making frame therein;
An outer case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inner water container therein and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water container from the outside; And
And a heat insulating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inner water bottle and the outer case.
내부에 공동(空洞)을 포함하는 얼음의 제조 방법으로서,
내부에 물이 담기는 수용 공간이 구비되고, 상부에 상기 수용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주입구가 형성된 트레이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으로, 내부에 공동형성물질이 수용된 탄성 재질의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삽입부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부와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 사이의 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트레이부를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 단계;
상기 삽입부 내에 있는 상기 공동형성물질을 상기 트레이부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트레이부 내에 있는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의 삽입부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공동형성물질수용체는, 상기 트레이부의 상기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에 더하여, 상기 트레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노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 내에는 상기 노출부와 상기 삽입부 간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부 와이어와, 상기 내부 와이어의 팽창을 조절하는 와이어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 내에 있는 상기 공동형성물질을 상기 트레이부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와이어 제어부가 상기 내부 와이어의 확장과 수축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 방법.
1.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ce comprising a cavity inside,
Preparing a tray portion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for containing water therein and formed with an injection port communicating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Inserting an insertion portion of an elastic material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containing a cavity-forming material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Supplying water to a space between the tray portion and the cavity-forming material receiver;
An ice making step of cooling the tray part to generate ice;
Discharg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in the insert to the outside of the tray; And
And discharging an insert of the cavity-forming substance receiver within the tray portion,
The cavity forming material receptacle further includes an exposed portion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ray portion in addition to the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tray portion, And a wire control section for controlling the expansion of the inner wire,
Wherein the step of discharging the cavity-forming material in the insertion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tray portion is performed by controll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internal wire by the wire control portion.
KR1020170142490A 2017-10-30 2017-10-30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KR1019962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90A KR101996269B1 (en) 2017-10-30 2017-10-30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PCT/KR2017/012741 WO2019088332A1 (en) 2017-10-30 2017-11-10 Device for making ice having cavity therein and method for making 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490A KR101996269B1 (en) 2017-10-30 2017-10-30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24A KR20190048024A (en) 2019-05-09
KR101996269B1 true KR101996269B1 (en) 2019-08-01

Family

ID=66331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490A KR101996269B1 (en) 2017-10-30 2017-10-30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6269B1 (en)
WO (1) WO2019088332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318B1 (en) 2023-02-09 2023-10-06 주식회사 하이브코리아 Method of clear ice and appartus thereof
KR20240040927A (en) 2022-09-22 2024-03-29 최용훈 Ice frame for making transparent 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7260A (en) * 2020-01-22 2021-08-1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Ice making module and ice making method
KR102554728B1 (en) * 2021-12-24 2023-07-12 인타이코 주식회사 Transparent ice making system and making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8946A1 (en) 1987-05-07 1988-11-17 Cecil Walter Lipke Ice mould and method of ice sculpture
US20140165618A1 (en)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hybrid mold
US20140167321A1 (en)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JP2016011812A (en)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高▼島屋 Ice vessel manufacturing imp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ce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4411A (en) * 1974-03-28 1978-08-01 Thomas J. Lipton, Inc. Forming of ice lollies and other confections
US4164341A (en) * 1978-02-23 1979-08-14 Mccomb Tiney M Snowman mold
JPH11190575A (en) * 1997-12-25 1999-07-13 Yoriyuki Oguri Ice machine
KR20040001576A (en) 2002-06-28 2004-01-07 (주)포스텍 An ice case made by silicone
KR100529473B1 (en) * 2003-10-10 2005-11-21 이동건 A ice contain production liquid using eating and drinking and that of production method
KR102316929B1 (en) * 2015-01-06 2021-10-26 코웨이 주식회사 Ice mak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8008946A1 (en) 1987-05-07 1988-11-17 Cecil Walter Lipke Ice mould and method of ice sculpture
US20140165618A1 (en)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Clear ice hybrid mold
US20140167321A1 (en) 2012-12-13 2014-06-19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to warm plastic side of mold
JP2016011812A (en)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高▼島屋 Ice vessel manufacturing imp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ce vesse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0927A (en) 2022-09-22 2024-03-29 최용훈 Ice frame for making transparent ice
KR102584318B1 (en) 2023-02-09 2023-10-06 주식회사 하이브코리아 Method of clear ice and appar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88332A1 (en) 2019-05-09
KR20190048024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269B1 (en)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US9574811B2 (en) Transparent ice maker
US9651290B2 (en) Thermoelectrically cooled mold for production of clear ice
US2622415A (en) Chilling foodstuffs
US20100170905A1 (en) Container for a slush beverage
US20150027142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Clear Ice Spheres
KR102089129B1 (en) An apparatus for making ice comprising empty space insid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ce
KR20200103028A (en) A system for serving 1 frozen dessert
EP2937296A1 (en) Control of bubble size in a carbonated liquid
US20180335238A1 (en) Artisan Ice System, Method and Apparatus
EP3577398B1 (en) Apparatus for making clear ice
CN113237260A (en) Ice making module and ice making method
WO2017216294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n apparatus for making clear ice
EP3879978A1 (en) Insulator for preventing container damage and rupture caused by freezing of aqueous solutions containing biological materials
JP2016011812A (en) Ice vessel manufacturing impl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ce vessel
CN207487244U (en) Refrigerating appliance
CN108463119A (en) Beverage product and a kind of method and apparatus producing beverage in beverage container
WO2014178710A1 (en) Mould for an ice sculp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an ice sculpture
KR20230097305A (en) one cup tray
KR102584318B1 (en) Method of clear ice and appartus thereof
JP6682675B1 (en) Ice maker and method for producing ice
JP5869353B2 (en) Filter media for water treatment and septic tank
KR20220013986A (en) Drinking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702699A1 (en) Ice making assembly
US10820605B2 (en) Iced tea press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