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541B1 -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541B1
KR101995541B1 KR1020180173658A KR20180173658A KR101995541B1 KR 101995541 B1 KR101995541 B1 KR 101995541B1 KR 1020180173658 A KR1020180173658 A KR 1020180173658A KR 20180173658 A KR20180173658 A KR 20180173658A KR 101995541 B1 KR101995541 B1 KR 10199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team
water vapor
present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6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진형
Original Assignee
최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형 filed Critical 최진형
Priority to KR1020180173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54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5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removing dust using water vapor.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removing dust using water vapor which is a structure is formed of a plurality of stages extending upwards, wherein the structure can generate water vapor through a boiler and steam is discharged to an upper side of the structure by generating compressed air into the structure using a compressor, thereby removing surrounding dust through the discharged steam.

Description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removing dust,

본 발명은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ust removing structure utilizing steam.

구체적으로는, 화력발전소, 소각장, 화장터 등에서 사용되어 발생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물에 있어서, 복수 단으로 이루어져 상측으로 연장되되, 보일러를 통해 내부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수증기를 구조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로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통해 주변의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Specifically, a structure capable of removing dust generated in a thermal power plant, an incinerator, a crematorium, or the like, has a plurality of stages and is extended upward to generate water vapor through a boiler, A structure for removing steam around the structure through steam generated by generating compressed air into the structure and discharging water vapor to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상업이 발전됨에 따라, 공기 중에 분진, 먼지, 미세먼 등(이하, '분진'으로 통칭함)이 증가되고 있다.As commerce develops, dust, dust, and fine du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dust") are increasing in the air.

분진이란 연마, 분쇄, 절삭, 천공 등의 작업공정에서 고체물질이 파쇄되어 생긴 미세한 고체입자로 크기가 통상 150㎛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Dust means fine solid particles formed by crushing a solid material in a working process such as grinding, crushing, cutting, drilling and the like, and usually the size is 150 mu m or less.

이러한 분진은 제조업, 건설업, 광업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업종에서 문제가 되지만, 작업환경관리상 특히 문제가 되는 것만 꼽아보아도 주물제조업, 요업, 광업, 금속정련업 등에서 습식을 제외한 거의 전공정, 일반제조업에서도 원료의 분쇄, 혼합, 분류, 연마, 연삭, 분체주입 등 광범하다.These dusts are problematic in almost all industries including manufacturing, construction, and mining. However, considering that they are particularly problematic in terms of work environment management, almost all processes except for wetting, general manufacturing, Grinding, mixing, sorting, grinding, grinding and powder injection are widely used.

분진 중 유리규산을 함유하는 토석·암석·광물·석면의 분진이 폐포에 침착하여 진폐의 원인이 되고, 금속화합물의 분진에는 진폐를 일으키는 분진 외에 중독을 일으키는 분진도 함유되어 있다.Dust, rocks, minerals and asbestos dusts containing free silicate in the dust are deposited in the alveoli and cause pneumoconiosis. The dust of metal compounds contains dust that causes poisoning in addition to dust that causes pneumoconiosis.

따라서, 이러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Therefore, a technique capable of removing such dust has been developed.

관련된 기술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6839호의 폐기물소각장치의유해개스및분진제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선행기술 1).As a related art, there is disclosed a device for removing harmful gas and dust from a waste incineration plant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5-0006839 (prior art 1).

상기 기술은, 소각열에 의해 냉각수가 증발하여 발생된 수증기의 일부를 응결시켜 물로 환원하고 이를 집진장치의 배기통로 또는 굴뚝내에 분사함으로써, 배기가스 중에 섞인 각종 유해물질이나 분진을 분사된 물과 함께 낙하시킴과 동시에 고온의 배기가스를 식혀주게 되며, 결국 청정한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폐기물 소각장치의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각공간과 담수공간을 구비하는 소각로와, 이 소각로의 소각공간과 연통되어 이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분진을 처리한 후, 처리된 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폐기물소각장치에 적용되며, 상기 담수공간에 수용되는 냉각수의 최고수위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소각로의 상부일측에 설치되는 수증기 응결실과, 일단은 상기 수증기 응결실과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담수공간의 상부와 접속되는 제1수증기배출관과, 일단은 상기 수증기 응결실의 하부와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집진장치의 배기통로 또는 굴뚝중 어느하나와 접속되는 물공급관과, 상기 수증기 응결실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증기 응결실로 유입된 수증기와 접촉하며 수증기의 체류시간을 연장하는 복수개의 유도편으로 구성된다.The above-mentioned technique is a technique in which a part of water vapor generated by evaporation of cooling water by incineration heat is condensed and reduced into water and injected into an exhaust passage or a chimney of a dust collecting device to drop various harmful substances or dusts mixed in the exhaust gas together with the sprayed water And the exhaust gas is cooled at a high temperature at the same time that only clean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dust removing apparatus of the waste incineration apparatus includes an incinerator having an incinerator space and a fresh water space, And a dust collecting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the space to process exhaust gas discharged therefrom and then exhausts the treated exhaust gas to the outside, wherein the dust collecting device is applied to a waste incinerating device that is higher than the highest water level of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fresh water space A steam condensing cha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incinerator at a location thereof,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team condensing chamber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one of the exhaust passage or the chimne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the water vapor supply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vapor discharge pipe, And a plurality of induction pieces installed inside the deletion chamber to contact the steam introduced into the steam condensation chamber and extend the residence time of steam.

다른 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729079호에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가 기재되어 있다(선행기술 2).As another technique, Patent Publication No. 10-1729079 discloses a device for removing harmful gas and odor including dust (Prior Art 2).

상기 기술은,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사업장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를 동시에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제거 효율이 우수한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mful gas and a malodor removing apparatus including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lodorous apparatus and a malodor removing apparatus which are capable of simultaneously removing noxious gas and odor including a large amount of dust generated in various work sites, And a harmful gas and odor removing device.

이를 위하여 상기 기술은, 분진과 유해가스 및 악취가 포함된 처리대상기체가 송풍팬의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흡입부와, 이 흡입부로 흡입된 처리대상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과 유해가스 및 악취를 1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제1분사노즐이 구비되는 싸이클론집진기; 상기 싸이클론집진기의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분진이 저장되며, 상부 내측에는 연통구멍이 형성되는 분진저장함; 상기 분진저장함의 연통구멍을 통해 이동되는 처리대상기체에 물을 분사하여 분진과 유해가스 및 악취를 2차적으로 제거하도록 제2분사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처리대상기체가 상부로 지그재그로 이동되면서 수증기가 제거되도록 복수 개의 칸막이가 배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거쳐 이동된 처리대상기체의 수증기를 재차 제거하는 필터부가 구비되고, 상기 필터부를 거친 처리대상기체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진을 포함한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장치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technique comprises a suction unit in which a gas to be treated containing dust, noxious gas and odor is sucked by the suction force of the blowing fan, and a suction unit for sucking dust, noxious gas and odor A cyclone dust collector having a first injection nozzle for primarily removing the first injection nozzle; A dust storage box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yclone dust collector to store dust to be dropped, and a communicating hole formed inside the upper portion; A second injection nozzle for spraying water onto the gas to be treated which is mo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dust storage box to remove dust and harmful gas and odor, and the gas to be treated is moved in a zigzag fashion, And a main body having a filter unit for removing water vapor of the gas to be treated which has been moved through the partition and having a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gas to be treated is discharged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 dust removing device for removing harmful gases and odors.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6932호에는 수증기 응축식 가스상 오염물 제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선행기술 3).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096932 discloses a method of removing water vapor condensation gas phase contaminants (Prior art 3).

상기 기술은, 수증기 응축식 가스상 오염물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덕트에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가습부를 통해 가열, 가습하는 가열가습단계와 상기 가열가습단계를 거친 공기를 냉각부를 통해 냉각시키는 제 1 냉각단계 그리고 상기 제 1 냉각단계를 거친 공기를 에어와셔를 통해 냉각시키는 제 2 냉각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moving water vapor condensed gaseous pollutants by heating and humidifying the air introduced into a duct through a heating and humidifying part and a first cooling and cooling step of cooling air passing through the heating and humidifying step through a cooling part, And a second cooling step of cooling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cooling step through the air washer.

이에 따르면, 가스상의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According to this, it is described tha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gaseous pollutants can be increased.

상술된 선행기술들에 있어서, 본 출원인이 제공하고자 하는 본 발명과 가장 유사한 기술은 선행기술 1이 있는데, 수증기를 응집시켜 분진을 제거한다는 점에 유사점이 있으나, 본 출원발명이 갖는 구성과는 상이하다고 할 수 있다.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most similar technology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provided by the present applicant is the prior art 1, but there is a similarity in that dust is removed by coagulating steam. However,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5-0006839호(1995.03.21.)Public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1995-0006839 (March 21, 1995) 등록특허공보 제10-1729079호(2017.04.21. 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0-1729079 (Bulletin of Apr. 21, 2017)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6932호(2008.11.04.)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08-0096932 (November 4,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단으로 이루어져 상측으로 연장된 구조물에 있어서, 보일러를 통해 내부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수증기를 구조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로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통해 주변의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extending upward, generating water vapor through a boiler, generating compressed air into the structure using a compressor, And a dust removing structure using water vapor to remove surrounding dust through exhausted stea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는, 복수 단으로 이루어져 상측으로 연장된 구조물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ust-removing structure utilizing s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extending upward,

보일러를 통해 내부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수증기를 구조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출되는 수증기를 통해 주변의 분진을 제거하되,The steam generator is configured to generate water vapor through the boiler and generate compressed air into the structure using a compressor to discharge water vapor to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상기 구조물은,The structure comprises:

베이스(10)와,A base 10,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연장되되, 일측에 연통홀(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몸체(20, 21)와,A plurality of bodies 20 and 21 which ar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exten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30 at one side,

상기 몸체 중 맨 하단에 위치된 몸체(20)와 상기 베이스(10)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열을 인가함으로써, 구조물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보일러(40)와,A boiler 40 connected to the base 10 by pipes and generating heat by applying heat to generate steam in the structure,

상기 몸체 각각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mpressor (50) connected to each of the bodies by a pipe to supply compressed air.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dust-removing structure utilizing water vap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발생된 수증기를 구조물 외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구조물 주변의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irst, dust generated around the structure can be removed by discharging the generated steam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둘째, 컴프레셔를 통해 압축공기를 구조물의 내부로 공급함에 따라, 분진 제거를 목적으로 발생된 수증기가 구조물 외측으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Second,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structure through the compressor, so that the steam generated for the purpose of dust removal can be quick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structure for removing dust using s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dust-removing structure utilizing water vap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ust removing structure utilizing steam.

구체적으로는, 복수 단으로 이루어져 상측으로 연장된 구조물에 있어서, 보일러를 통해 내부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수증기를 구조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물로서, 배출되는 수증기를 통해 주변의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을 나타낸 것이다.Specifically, in a structure formed by a plurality of stages and extending upward, water vapor is generated through a boiler, compressed air is generated in the structure by using a compressor, and steam is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ructure for removing dust by using water vapor, which allows the surrounding dust to be removed through discharged steam. FIG.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structure for removing dust using st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구조물(1)은 주요하게,Th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 1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베이스(10)와,A base 10,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연장되되, 일측에 연통홀(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몸체(20, 21)와,A plurality of bodies 20 and 21 which ar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exten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30 at one side,

상기 몸체 중 맨 하단에 위치된 몸체(20)와 상기 베이스(10)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열을 인가함으로써, 구조물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보일러(40)와,A boiler 40 connected to the base 10 by pipes and generating heat by applying heat to generate steam in the structure,

상기 몸체 각각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compressor (50) connected to each of the bodies by a pipe to supply compressed air.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에 의하면, 보일러(40)를 통해 열을 인가받은 구조물(1)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한다.With this structure, according to the dust removing structure using stea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water vapor is generated inside the structure 1 which receives heat through the boiler 40.

이를 위하여, 구조물(1)의 베이스(10)에는 인가받을 열을 기반으로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물이 수용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일측이 개방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ase 10 of the structure 1 may contain water to generate water vapor based on the heat to be applied, and may include a tank having one side opened for this purpose.

이때, 물의 공급을 위한 공급수단을 베이스(10)에 포함할 수도 있고, 이는 사용자가 파이프를 통해 물을 직접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저수지 또는 호수 등에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도록 파이프 연결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체크밸브 등을 통해 조작되어 물을 공급하거나 일정주기 마다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a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may be included in the base 10, and thi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user directly supplies water through a pipe. However, in order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from a separate reservoir or a lake, You can also implement a connection. In such a case, the water may be supplied through the check valve or the like, or the water may be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이와 같이 구조물(1)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되면, 대류현상에 의하여 상부방향으로 수증기가 이동되기 시작하는데, 몸체(20, 21)에 연결된 컴프레셔(50)가 압축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수증기가 더 신속하게 구조물(1)의 상측으로 방출 또는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When water vapor is generated in the structure 1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vapor starts to move upward due to the convection phenomenon. As the compressor 50 connected to the bodies 20 and 21 supplies the compressed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1).

이때, 압축공기의 공급은 일정주기마다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compressed air may be supplied at regular intervals.

한편, 상기 각각의 몸체(20, 21)는 상, 하면이 개방된 형태로 구성되어 베이스(10) 또는 인접한 다른 몸체에 조립되도록 구성되고, 몸체 결합체의 최상측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하는데,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dy 20 and 21 are configured to be opened to be assembled to the base 10 or another adjacent body. The uppermost body of the body 20 is open so that water vapor is discharged. to do,

이렇게 배출된 수증기는 공기 중의 분진과 결합되어 분진에 수분을 함유시켜 상기 분진이 지상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하여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The discharged steam is combined with the dust in the air to contain moisture in the dust so that the dust can be dropped to the ground so that the dust can be removed.

이때, 상기 컴프레셔(50)의 파이프에 연결되기 위하여 몸체에는 1개당 적어도 2개 이상의 연통홀(30)이 형성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t least two communication holes 30 are formed in the body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pipes of the compressor 50.

이때, 연통홀(30)로의 파이프 연결은 연통홀을 상기 파이프보다 직경이 작은 파이프의 형태로 구성하여 멀티조인트 등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고, 플랜지를 이용한 결합의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는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예측 가능한 모든 구성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pipe connection to the communication hole 30 may be realized by forming the communication hole in the form of a pi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pipe, through a multi-joint or the like, or by using a flange. All configurations predictable by a technician may be employed.

다른 한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연통홀(30)의 주변부로는 단순 홀 형태의 보조홀(도면에 미도시)을 연통홀(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보조홀을 통해 수증기의 배출을 도와 분진 제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design conditions, a plurality of auxiliary 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30 i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30, It is possible to exhaust the water vapor through the hole and efficiently perform dust removal.

또한, 몸체에 있어서, 상, 하면이 개방된 형태의 구조를 복수 층으로 적층함에 따라, 베이스(10)와 몸체 간에 상호 연통된 구조를 갖도록 하는데,In addition, in the body, 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pened is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so that the body 10 has a structure communicating with the body,

이때, 베이스(10)와 몸체의 결합은 단순하게 멀티조인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용접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플랜지를 통해 볼팅체결로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between the base 10 and the body may be simply a multi-joint or may be combined through welding. It may also be bolted together through a flange.

또한,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컴프레셔(50)와 몸체를 연결하는 파이프 중에서, 상기 몸체에 인접한 지상과 수평된 파이프 일측에 1개 이상의 미세 통공을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ther design conditions, one or more fine holes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orizontal pipe adjacent to the ground adjacent to the body among the pipes connecting the compressor 50 and the body.

이에 따라, 컴프레셔(5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의 일부가 파이프의 미세 통공을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 중에 지상을 향해 가라앉는 분진이 존재하는 경우, 구조물(1)의 몸체 주변으로 하강 중인 분진을 상승시켜 수증기에 닿도록 하여 원활한 분진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분진제거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도록 할 수 있다.This allows a part of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compressor 50 to be discharged into the air through the fine holes of the pipe, so that when dust that sinks toward the ground exists in the ai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ust removal by allowing the dust in the descending state to rise so as to reach the steam, thereby enabling smooth dust removal.

한편,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서는, 각 몸체의 하측의 개방된 구조를 [표 1]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other design conditions, the lower open structure of each body can be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Figure 112018132309124-pat00001
Figure 112018132309124-pat00001

구체적으로는, 몸체 각각의 개방된 하부에 있어서, 굴곡지면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표 1] 참조)를 갖도록 하되, 굴곡진 영역의 외경(볼록하게 굴곡진 영역)으로 와류 형성을 위한 와류돌기를 구성하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vortex protrusions are formed in the open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bodies so as to have a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is bent while being bent (see Table 1) .

그리고 직경이 좁아진 상태로 개방된 영역에 팬을 설치하도록 한다.The fan should be installed in the open area with a narrow diameter.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경우, 구조물(1) 내부에 수증기의 유동이 가속되는 경우에, 와류돌기에 의해 수증기의 유동을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팬이 수증기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when the flow of water vapor in the structure 1 is accelerated, the flow of the water vapor by the vortex protrusion can be performed more quickly, .

이 경우, 팬의 구동에 따라 압축공기로 인해 인가된 외력(外力)이 감소되더라도, 구조물(1) 내부의 유동방향을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지속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수증기가 일부 가라앉을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수증기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In this case, even if the external force (external force) applied due to the compressed air is reduced due to the driving of the fan, since the flow direction inside the structure 1 can be maintained upward in the downward direction, So that the discharge of steam can be further facilitated.

다른 한편,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른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e according to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mployed.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2 schematically shows the structure of a dust-removing structure utilizing water vap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의 도 2에 따르면, 보일러(40)의 파이프를 베이스(10)에 연결할 때, 상기 보일러(40)의 파이프를 연통홀(3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ipe of the boiler 40 can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30 when the pipe of the boiler 40 is connected to the base 10.

이는 도 2의 맨 하측 베이스(10)를 참조하면 이해할 수 있는데, 구체적인 형태는, 연통홀(30)에 Y형 분기관을 구성하고, 보일러(40)의 파이프와 컴프레셔(50)의 파이프를 분기관에 연결하는 방법일 수도 있고, 보일러(40)의 파이프를 컴프레셔(50)의 파이프 일측에 연통시키는 방법일 수도 있다.2, a Y-shaped branch pipe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ole 30, and the pipe of the boiler 40 and the pipe of the compressor 5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r may be a method of connecting the pipe of the boiler 40 to one side of the pipe of the compressor 50. [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ings,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n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nd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1 : 구조물
10 : 베이스
20 : 몸체
30 : 연통홀
40 : 보일러
50 : 컴프레셔
1: Structure
10: Base
20: Body
30: communication hole
40: boiler
50: Compressor

Claims (2)

복수 단으로 이루어져 상측으로 연장된 구조물에 있어서,
보일러를 통해 내부에 수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하고, 컴프레셔를 이용하여 상기 구조물 내부로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수증기를 구조물 상측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배출되는 수증기를 통해 주변의 분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
In a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ges and extending upward,
The steam is generated through the boiler and the compressed air is generated in the structure by using the compressor to discharge the steam to the upper side of the structure, and the surrounding dust is removed through the discharged steam. A structure for removing dust using ste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상측으로 복수 개가 적층되어 연장되되, 일측에 연통홀(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몸체(20, 21)와,
상기 몸체 중 맨 하단에 위치된 몸체(20)와 상기 베이스(10)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열을 인가함으로써, 구조물 내부에 수증기가 발생되도록 하는 보일러(40)와,
상기 몸체 각각에 파이프로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셔(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증기를 활용한 분진제거용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ucture comprises:
A base 10,
A plurality of bodies 20 and 21 which are stack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 and extend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s 30 at one side,
A boiler 40 connected to the base 10 by pipes and generating heat by applying heat to generate steam in the structure,
And a compressor (50) connected to each of the bodies by pipes to supply compressed air.
KR1020180173658A 2018-12-31 2018-12-31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KR1019955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58A KR101995541B1 (en) 2018-12-31 2018-12-31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658A KR101995541B1 (en) 2018-12-31 2018-12-31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541B1 true KR101995541B1 (en) 2019-07-02

Family

ID=6725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658A KR101995541B1 (en) 2018-12-31 2018-12-31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541B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838U (en) * 1993-08-27 1995-03-21 곽정호 Waste Incinerator with Steam Shower Dust Collector
KR950006839Y1 (en) 1992-10-21 1995-08-21 정장호 Hybrid multiplexer
JPH09187615A (en) * 1996-01-12 1997-07-22 Babcock Hitachi Kk Steam condensation dust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H09318024A (en) * 1996-05-27 1997-12-12 Aasu Metal Kk Method for igniting combustible waste and incinerator
KR200187572Y1 (en) * 2000-01-25 2000-07-15 주식회사지아고 Water-cooled incinerator equipped with wet dust collector for steam
KR20080096932A (en)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Contamination removal method at vapor condensation gas
JP2011041936A (en) * 2009-07-22 2011-03-03 Koshichi Suzuki Soot particle removing device
KR101729079B1 (en) 2016-06-20 2017-04-21 노창식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839Y1 (en) 1992-10-21 1995-08-21 정장호 Hybrid multiplexer
KR950006838U (en) * 1993-08-27 1995-03-21 곽정호 Waste Incinerator with Steam Shower Dust Collector
JPH09187615A (en) * 1996-01-12 1997-07-22 Babcock Hitachi Kk Steam condensation dust collect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H09318024A (en) * 1996-05-27 1997-12-12 Aasu Metal Kk Method for igniting combustible waste and incinerator
KR200187572Y1 (en) * 2000-01-25 2000-07-15 주식회사지아고 Water-cooled incinerator equipped with wet dust collector for steam
KR20080096932A (en) 2007-04-30 2008-11-04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Contamination removal method at vapor condensation gas
JP2011041936A (en) * 2009-07-22 2011-03-03 Koshichi Suzuki Soot particle removing device
KR101729079B1 (en) 2016-06-20 2017-04-21 노창식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exhaust g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83333A1 (en) Dust collector
CN202289865U (en) Dry type smoke treating system for sludge incineration
CN202289850U (en) Smoke burning disposal system for sludge
CN105498431B (en) A kind of wood fibre drying device tail gas environment-friendly disposal system
KR101995541B1 (en) Apparatus for removal dust usng a water vapor
CN105458495B (en) Matched system used for laser precise machining
US3702756A (en) Smokeless antitoxic burner apparatus
US67465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air emissions and recovering products therefrom
KR101833398B1 (en) System for Carbonizing Middle and Low Level Radiative Waste Using Low Pressure Superheated Vapor
KR102541711B1 (en) Dust collection system
US3923956A (en) Smokeless anti-toxic burner method
US9084964B1 (en) Radial fabric filter for particulate collection
JP2003024741A (en) Combustion type semiconductor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CN102092593A (en) Multi-stage humidification powder dedusting method and device for cyclic dedusting
KR102398311B1 (en) The wet scrubber
JP2006234196A (en) Incinerating treatment device
JP3510511B2 (en) Incinerator
KR102198134B1 (en) Combustion structure for hydrogen-incinerator
EP1146287A1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soot and mist
CN217139802U (en) Thermal desorption waste gas treatment system
JP7447837B2 (en) Painting exhaust treatment equipment and painting exhaust treatment method
KR10220313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exhaust gas using rotational force
KR102346862B1 (en) Device for eliminating harmful substance
CN210801206U (en) Heat accumulating type high-temperature incineration device
JP2003136029A (en) Method for cleaning incineration plant and tools for use in the clean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