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138B1 -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 Google Patents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138B1
KR101995138B1 KR1020170177631A KR20170177631A KR101995138B1 KR 101995138 B1 KR101995138 B1 KR 101995138B1 KR 1020170177631 A KR1020170177631 A KR 1020170177631A KR 20170177631 A KR20170177631 A KR 20170177631A KR 101995138 B1 KR101995138 B1 KR 10199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induction
smoke
magnetic
fir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찬근
Original Assignee
권찬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25564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99513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권찬근 filed Critical 권찬근
Priority to KR1020170177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5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5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using electric, e.g. electrostatic methods or magnetic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7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of flu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화재감지기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가 가지고 있는 감지기 오작동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경제적이며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를 개시한다.
상기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는 화재로 인한 연기와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원형의 자기유도챔버(110)와, 상기 자기유도챔버(110) 내에는 자기유도코일(115)과, 자기체(116)를 구비한다.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에서 생성되는 유도전압과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유도 전압/전류 검출부(310)와, 신호증폭부(320)와, 신호비교부(330)와, 경보판단부(340)와, 경보접점신호출력부(351a)와, RS-422/485 신호출력부(351b)를 구비하여 조기에 화재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의 신뢰성을 제고하고, 자동화재경보설비의 주요 구성장치로서의 연기감지기를 제공하게 한다.

Description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Magnetic induction type smoke detector}
본 발명은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가 가지고 있는 감지기 오작동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경제적이며 장기간 안정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감지기 내부에 자기유도코일과 자기체(네오디움 영구자석)을 이용한 자기유도챔버를 구성하여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부로 유입되는 화재연기 및 가스에 포함된 유기탄소입자 또는 산소, 수소입자가 자기체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선을 순시적으로 차단하여 자기유도코일에 유도전압과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감지하고 판단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하는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제공에 관한 것으로서, 그 이론적인 배경은 페러데이 전자기 유도법칙을 기본으로 한다.
매년 국내에서는 수없이 많은 크고 작은 화재로 인하여 귀중한 생명을 잃고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소방법 소방시설 설치기준 및 화재안전기준(NFSC) 그리고 2017년 7월 부터 소방시설법 제8조(주택에 설치하는 소방시설)에 따라 주택용 소방시설 의무설치 법령과 부칙이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화재감지기는 화재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열 및 불꽃 등의 화재징후를 감지하여 화재발생 사실을 경보하여 사람들의 피난을 유도함과 동시에 소화설비와도 연동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압 가능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현재까지 국내에서 가장 일반적이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감지기는 열감지기와 연기감지기인데 열감지기는 감지기가 설치된 주변 온도상승율, 즉 온도 상승속도가 일정값 이상을 초과하였을때 동작되도록 만들어진 차동식과 감지기가 설치된 주변 온도가 설정한 온도값 이상이 되면, 즉 공칭동작온도에 도달하였을때 작동되도록 만들어진 정온식을 사용하는데 열감지기의 경우 화재시 화재발생지점의 가시도가 사람이 피난할 수 없을 정도가 되어도 작동하지 않거나 작동되는 시간이 늦고 설치위치와 조건에 따라 주변에서 발생되는 수증기 또는 난방용 히터기의 바람 등에도 감지기가 동작하는 오동작 사례가 많으며 연기감지기는 광원(LED 등)을 이용하여 연기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하거나 흡수 또는 감쇠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작동되도록 만들어진 감지기인데, 화재로 인한 연기 및 가스입자의 직경은 발생화원(예 ; 종이, 목재, 유류, 플라스틱 등의 화원)에 따라 매우 달라서 광파장과 연기입자의 직경에 감지기가 영향을 받으며, 특히 매우 검은 연기입자(검댕, Soot)에 대해서는 광 흡수가 일어나 그렇지 않은 흰색이나 회색 등의 연기입자의 경우에 대비하여 감지기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기감지기는 열감지기에 비하여 화재로 인한 연기, 가스가 피난을 하기에 심각할 정도로 발생하기 이전에 대부분 작동하지만 장기간 사용에 따라 감지기 내부에 축적된 먼지 또는 감지기로 유입되는 습기 또는 외부 먼지에도 동작하는 오동작 사례가 많다.
특히, 연기감지기 센서의 감도가 지나치게 높아 모기약, 담배연기, 일반연기, 먼지, 습도 등의 변화에도 민감하게 동작하는 화재감지기 오동작으로 인해 접수된 화재신고가 경기소방재난본부가 국민안전처 국가화재 시스템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3년 438건(전체 화재 9천49건), 2014년 1천537건(9천675건), 2015년 3천174건(전체 1만333건), 2016년 3천733건(1만147건)으로 전체 화재 건수 증가 폭보다 오동작에 의한 소방서 오인출동 증가 폭이 더 크고 이러한 화재감지기 오동작으로 인하여 실제 화재가 발생하였는데도 단순 오동작으로 치부할 수 있다는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본 발명의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에서는 상술한 열감지기 및 연기감지기의 단점과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주변 습도, 온도, 먼지 등에 따른 오동작 요소가 없으며 화재발생시 감지기 내부로 유입되는 유리탄소성분을 주로 하는 연기 및 불완전 연소로 생성되는 미세입자와 가스에 포함된 탄소 또는 산소나 수소입자가 자기체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선을 순시적으로 차단하여 자기유도코일에 유도전압과 전류 발생시키고 이러한 전압과 전류를 감지하여 상술한 기존 감지기가 가지는 오동작 요인을 과학적이고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법과 기술이 필요하였다.
상술한 기존 열감지기 및 연기감지기의 오동작 문제점을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는 기존 방식의 감지기가 가지는 습도의 변화, 외부로부터 감지기 내부로 유입되거나 축적되는 먼지, 주변온도의 변화, 발생화원에 따라 변화되는 연기의 특성(연기의 색, 연기의 농도 등) 등에 따른 감지기 오동작의 근본적인 문제점 개선을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화재시 주로 탄소성분의 연기와 탄소성분을 포함하는 독성가스에 존재하는 탄소입자의 고유특성인 전기전도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전자기 유도법칙에 기초하여 자기유도코일과 자기력선을 가지는 자기체(네오디움 영구자석) 사이에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탄소입자가 게제되었을때 생성된 자기력선의 순시적 차단, 즉 자기유도코일과 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의한 자기유도 기전력 발생 현상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화재발생 유무를 감지,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는 자기유도코일과 자기력선을 가지는 자기체(네오디움 영구자석)를 구비하는 원형의 자기유도챔버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유도챔버는 광대역 전자기파 흡수체로 알려진 NiCuZn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하여 전자기파 차폐 상부하우징과 전자기파 차폐 하부하우징으로 구성하여 자기유도챔버 내에 설치되는 자기유도코일에 외부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과 영향을 차폐,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자기유도챔버의 원주방향의 둘레에는 자기유도챔버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자기유도챔버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유도챔버 내에는 일정거리로 이격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자기유도코일과 자기체(네오디움 영구자석)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기유도코일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검출하기 위하여 자기유도 전압/전류 검출부와 검출된 전압/전류값의 크기를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기 위한 신호비교부와, 신호비교부에서 비교된 전압/전류값을 경보로 판단하는 경보판단부와, 검출된 전압/전류값에 따른 기준 설정값(설정감도)을 외부에서 조절하여 셋팅할 수 있는 감도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는, 감지기 내부에 구성되는 내부 PCB 회로기판에 구성되어야 하는 상기의 각 회로들과 동작상태표시 LED 등에 소요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DC전원 공급부와, 화재발생 유무판단(경보판단)에 따라 감지기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경보접점신호 출력부와 RS-422/485 신호출력부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출력되어야 하는 경보자료가 통신이상 또는 통신선 단절 등에 의하여 외부로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 통신상태가 정상으로 회복되었을 때 경보자료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자료 저장부와 감지기 자체 고유ID를 설정하고 외부에서 감지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ID설정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는 기존 방식의 차동식 또는 정온식 열감지기 및 광전식 연기감지기가 가지는 습도의 변화, 외부로부터 감지기 내부로 유입되거나 축적되는 먼지, 주변온도의 변화, 발생화원에 따라 변화되는 연기의 특성(연기의 색, 연기의 농도 등) 등에 따른 감지기 오동작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전자기유도 현상(법칙)에 기초하여 화재 연기 및 가스에 포함된 탄소입자 또는 산소, 수소입자가 가지는 전자기적 고유특성을 활용하여 자기유도에 의한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여 비교, 판단하도록 회로를 구성하므로서 기존 감지기의 오동작 요인을 극복하고 고효율의 안정적인 화재경보설비의 구성을 지원하는 구성장치로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를 제공하게 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필요한 참조도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자기유도챔버 내에서 연기입자와 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따른 자기유도 전압/전류발생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기입자와 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따른 자기유도 전압/전류의 발생원리를 보완 설명하기 위한 상용발전기의 원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1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지 않았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종이를 이용한 1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었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2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지 않았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고무를 이용한 2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었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PCB 회로기판 구성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100)는 화재로 인한 연기와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원형의 자기유도챔버(110)를 구비하고 상기 자기유도챔버(110)는 광대역 전자기파 흡수체로 알려진 NiCuZn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하여 제작된 전자기파 차폐 상부하우징(111a)과 전자기파 차폐 하부하우징(11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자기유도챔버(110) 상부에는 자기유도코일(115)이 설치되고 상기 자기유도코일(115)과 일정거리를 두고 자기력선의 영향이 미치는 거리의 이격된 공간을 사이에 두고 자기체(116)가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은 상기 전자기파 차폐 상부하우징(111a) 내측에서 상호 결합 구성되고, 상기 자기체(116)도 상기 전자기파 차폐 하부하우징(111b) 내측에서 상호 결합 구성되며, 상기 자기체(116)는 네오디움 영구자석의 N극이 상기 자기유도코일(115) 쪽으로 바라보도록 구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자기유도챔버(110)는 광대역 전자기파 흡수체로 알려진 NiCuZn 페라이트 코어로서 화학적 성분조성비가 Fe2 O3 49.0%, NiO 9.0%, CuO 8.0%, ZnO 34.0%로 조성된 소재로 제작하였고, 상기 자기유도챔버(110) 내에 설치되는 자기유도코일(115)에 외부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각종 전자기파에 의한 간섭과 작용이 없도록 차폐, 차단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자기유도챔버(110)의 원주방향의 둘레에는 자기유도챔버(110)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자기유도챔버 개구부a(117a)와 자기유도챔버 개구부b(117b)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자기유도챔버(110)는 자기유도챔버 베이스(120)와 구조적으로 결합 구성되고 상기 자기유도챔버 베이스(120)는 내부PCB 회로기판(150)의 중앙 중심부 위치에 결합 구성되며, 상기 자기유도챔버 베이스(120)는 반구형으로 제작되는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하우징(160)과 상호 결합 구성되어지고, 상기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하우징(160)의 원주방향의 둘레에도 자기유도챔버(110)로 연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기감지기 하우징 개구부a(161a)와 연기감지기 하우징 개구부b(161b)를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100)를 천정이나 벽체 등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연기감지기 하우징 베이스(170)를 구비하고 상기 연기감지기 하우징 베이스(170)에는 외부전원 및 출력신호 접속 단자부(140)와 베이스 PCB회로기판(150)과 상기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100)의 정상동작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동작상태표시LED(171)가 포함되어 구성되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자기유도챔버 내에서 연기입자와 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따른 자기유도 전압/전류발생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연기입자와 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따른 자기유도 전압/전류의 발생원리를 보완 설명하기 위한 상용발전기의 원리도이다.
여기서 보다 상세하게 상술한 연기입자와 자기력선의 상호작용에 따른 자기유도 전압/전류발생(기전력의 발생)을 이론과 원리에 대해 살펴보면 통상, 화재로 인한 연기(Smoke)는 연소시 발생하는 유리탄소를 주로 하는 미세한 입자상 물질로서, 불완전 연소로 인하여 생성되는 독성가스를 포함하며 주로 탄소성분과 연소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의 크기는 0.01㎛ 이상의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일반적인 화재발생시 생성되는 연소 연기와 가스의 특성은 발화가 시작된 화원의 주재료(예 ; 목재화재, 종이화재, 고무화재, 유류화재, 스티로폼이나 각종 가연성 수지계 화재 등)에 따라 다르며, 통상의 화재 연소 연기의 주요 특성은 다음의 [표 1]에서와 같다.
Figure 112017502853960-pat00001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화재시 발생되는 연기와 가스의 성분은 유리탄소성분의 연기가 대부분이고 산소(O) 또는 수소(H) 결합체 연기의 경우, 독성가스가 많아 특히 화재시 연기흡입에 의한 질식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유리탄소입자 또는 산소 및 수소 결합체 입자의 전자기적 고유특성은 금속과 대비하여 전기전도도와 열 전도성이 우수하다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의 기반이론이 되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법칙(Faraday's law of electromagnetic induction)은 변하는 자기장과 이로 인해 생기는 전기장 사이의 양을 결정하는 관계 법칙으로 1831년 영국의 과학자 마이클 패러데이가 실험을 통해 전개했으며, 패러데이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처음으로 깨닫고 연구했으며, 유도법칙을 이용해 이 현상을 정량적으로 표현했다.
즉 전기 회로를 열거나 닫으면 회로에 연결된 전자석 주위의 자기장이 커지거나 사라지며, 이때 가까이 있는 도체에 전류가 흐르고, 영구 자석을 코일에 넣었다 뺐다 해도 코일 도선에 전류가 유도되며, 영구 자석을 고정시키고 도체를 움직여도 도체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발명하였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유도코일(115)과 자기체(116)사이에 연기 또는 가스입자가 게재되지 아니하였을 경우, 자기체(116)의 N극을 출발한 무수히 많은 자기력선 중 자기력선a(201a)와 자기력선b(201b)와 자기력선c(201c)는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을 그데로 통과하고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에는 어떠한 기전력(전압과 전류)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자기유도코일(115)과 자기체(116)사이에 연기 또는 가스입자가 게재되었을 경우, 자기체(116)의 N극을 출발한 무수히 많은 자기력선 중 도면 2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력선a(201a)와 자기력선b(201b)와 자기력선c(201c)는 게재된 연기 또는 가스입자에 의해 자기력선이 순시적으로 잘리게 되고 이때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의 양단에는 변위전류가 발생되고 도 3의 상용발전기의 원리도에서와 같이 상술한 변위전류는 변위시간(dt)이 짧을수록 즉, 자기력선이 순시적으로 잘리는 시간이 빠를수록 큰 변위전류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하여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시험용 자기유도코일을 제작하고 가로 500mm× 폭 400mm×높이 300mm의 크기를 가진 종이박스를 제작하고, 상기 시험용 자기유도코일과 상술한 사각형의 자기체(네오디움 영구자석)를 종이박스 안에 임의로 구성하고 종이와 고무를 연소하였을 때 각각의 특성을 시험하였다.
Figure 112017502853960-pat0000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1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지 않았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종이를 이용한 1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었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으로, A4용지 2장을 종이박스 안에서 10초간 연소시킴과 동시에 종이박스의 두껑을 덮은 상태에서 시험한 결과이다.
또한,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2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지 않았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고무를 이용한 2차 화재연기 실험에서 연기가 게재되었을 때 오실로스코우프로 측정한 자기유도코일 양단의 기전력 소스파형으로 A4용지 반장크기의 2mm 두께 검정색 고무판 1장을 종이박스 안에서 15초간 연소시킴과 동시에 종이박스의 두껑을 덮은 상태에서 시험한 결과로서, 상술한 1차 및 2차 연소시험의 결과는 다음의 [표 3]에서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17502853960-pat00003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1차 화재연기 시험에 사용된 종이의 경우, 화재연기가 게재되었을 때 자기유도코일(115) 양단의 유기되는 발생 기전력은 약 3배 증가되고 2차 화재연기 시험에 사용된 고무판의 경우, 화재연기가 게재되었을 때 자기유도코일(115) 양단의 유기되는 발생 기전력은 약 7배 증가되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종이와 고무판이 연소되면서 생성되는 연기 입자경이 각각 다르고 연기입자를 구성하는 유기탄소입자의 농도차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상술한 화재연기 시험에서와 같이 화재에 의한 연기입자에 의해 자기유도코일(115)과 자기체(116) 자기력선(201a, 201b, 201c)의 상호작용으로 자기유도코일(115) 양단에 자기유도 기전력(전압과 전류)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상의 기술을 가진자가 자기유도코일의 다양한 굵기와 감은 횟수 등을 제어하여 화재연기의 특성에 맞는 본 발명의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를 구현할 수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내부PCB 회로기판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전압, 전류)의 검출을 위하여 상기 자기유도코일(115) 양단 2가닥은 자기유도 전압/전류 검출부(310)와 연결되고, 상기 자기유도 전압/전류 검출부(310)를 통과한 전압과 전류값을 적절한 크기로 증폭하여 용이하게 활용하기 위한 신호증폭부(320)가 구성되고 검출되어 증폭된 전압과 전류값을 기준 설정값과 비교하기 위한 신호비교부(330)와, 신호비교부(330)에서 비교된 전압과 전류값을 경보로 판단하는 경보판단부(340)와, 검출된 전압과 전류값에 따른 기준 설정값(설정감도)을 외부에서 조절하고 셋팅할 수 있는 감도조절부(325)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용이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의 자기유도 전압/전류 검출부(310)와 신호증폭부(320)와 신호비교부(330)와 경보판단부(340)와 감도조절부(325)와 동작상태표시 LED(171)등에 소요되는 전원을 외부로부터 공급받기 위하여 DC전원공급부(350)와 화재발생 유무판단(경보판단)에 따라 감지기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경보접점신호 출력부(351a)와 RS-422/485 신호출력부(351b)를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출력되어야 하는 경보자료가 통신이상 또는 통신선 단절 등에 의하여 외부로 출력되지 않았을 경우, 통신상태가 정상으로 회복되었을 때 경보자료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경보자료 저장부(360)와 감지기 자체 고유ID를 설정하고 외부에서 감지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ID설정 저장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모든 회로들은 내부 PCB 회로기판(130)과 베이스 PCB 회로기판(150)에 컴퓨터로 설계된 회로도에 의해 용이하게 집적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100 :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110 : 자기유도챔버
111a : 전자기파 차폐 상부 하우징 111b : 전자기파 차폐 하부 하우징
115 : 자기유도코일 116 : 자기체(네오디움 영구자석)
117a : 자기유도챔버 개구부a 117b : 자기유도챔버 개구부b
120 : 자기유도챔버 베이스 130 : 내부 PCB 회로기판
140 : 외부전원 및 출력신호 접속단자부 150 : 베이스 PCB 회로기판
160 :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하우징 161a : 연기감지기 개구부a
161b : 연기감지기 개구부b 170 : 연기감지기 하우징 베이스
171 : 동작상태표시 LED 201a : 자기력선a
201b : 자기력선b 201c : 자기력선c
310 : 자기유도 전압/전류검출부 320 : 신호증폭부
325 : 감도조절부 330 : 신호비교부
340 : 경보판단부 350 : DC전원 공급부
351a : 경보접점신호출력부 351b : RS-422/485 신호출력부
360 : 경보자료저장부 370 : ID설정 저장부

Claims (5)

  1. 자기유도 연기감지기에 있어서,
    연기와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원형의 자기유도챔버(110)와,
    상기 자기유도챔버(110)는 전자기파 차폐 상부 하우징(111a) 및 전자기파 차폐 하부 하우징(111b)으로 구성되고,
    상기 자기유도챔버(110) 내 일측에는 통과하는 연기와 가스에 의하여 자기유도 전압 및 전류를 발생시키는 자기유도코일(115) 및 자기체(116)가 설치되며,
    상기 자기유도챔버(110)의 원주방향의 둘레에 연기와 가스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자기유도 챔버 개구부(117a)와 자기유도 챔버 개구부(117b)가 형성되고,
    상기 자기유도코일(115) 양단 2가닥으로부터 자기 유도 챔버 개구부를 통과하는 연기와 가스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유도 전압과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자기유도 전압 및 전류 검출부(310)를 포함하며,
    검출된 전압과 전류 값을 기준 설정 값과 비교하기 위한 신호 비교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유도코일(115)은 상기 자기체(116)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이격된 공간으로 연기와 가스가 통과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 연기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검출된 전압과 전류 값을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기 위한 신호 증폭부(320)와,
    신호 비교부(330)에서 비교한 결과 기준 설정 값보다 큰 경우에 경보로 판단하는 경보 판단부(3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 연기감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기 감지기 자체 고유 ID를 설정하고, 외부에서 감지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ID설정 저장부(37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 연기감지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유도챔버(110)는 광대역 전자기파 흡수체로 알려진 NiCuZn 페라이트 코어로서 화학적 성분조성비가 Fe203 49.0%, NiO 9.0%, CuO 8.0% 및 ZnO 34.0% 로 조성된 소재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 연기감지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유도 연기감지기는 RS-422/485 신호 출력부(351b)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유도 연기감지기.
KR1020170177631A 2017-12-22 2017-12-22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KR10199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31A KR101995138B1 (ko) 2017-12-22 2017-12-22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631A KR101995138B1 (ko) 2017-12-22 2017-12-22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5138B1 true KR101995138B1 (ko) 2019-07-01

Family

ID=6725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631A KR101995138B1 (ko) 2017-12-22 2017-12-22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5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41B1 (ko) * 2019-03-04 2020-08-28 권찬근 자기유도식 열연 복합감지기
US11959857B2 (en) 2020-09-25 2024-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Raman scatter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ue fire using the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442A (en) * 1987-07-15 1989-01-24 Mazda Motor Smoke sensor for engine
JPH04295992A (ja) * 1991-03-26 1992-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電式感知器
JPH0644473A (ja) * 1992-07-24 1994-02-18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KR200363127Y1 (ko) * 2004-05-25 2004-09-22 정헌 무전원 무선 화재 감지 시스템
JP4507990B2 (ja) * 2005-06-08 2010-07-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火災報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0442A (en) * 1987-07-15 1989-01-24 Mazda Motor Smoke sensor for engine
JPH04295992A (ja) * 1991-03-26 1992-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電式感知器
JPH0644473A (ja) * 1992-07-24 1994-02-18 Nohmi Bosai Ltd 火災感知器
KR200363127Y1 (ko) * 2004-05-25 2004-09-22 정헌 무전원 무선 화재 감지 시스템
JP4507990B2 (ja) * 2005-06-08 2010-07-2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火災報知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41B1 (ko) * 2019-03-04 2020-08-28 권찬근 자기유도식 열연 복합감지기
US11959857B2 (en) 2020-09-25 2024-04-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measuring Raman scattering,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ue fire using the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138B1 (ko) 자기유도식 연기감지기
US20060279886A1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s with miswiring or reverse wiring protection and end of life alarm signal
US20050168901A1 (en) Power strip with smoke detection auto-shutoff
US5472337A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a flame
WO2005043479A1 (en) Improvement(s) related to particle monitors and method(s) therefor
RU26137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возмуще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ника
KR102142941B1 (ko) 자기유도식 열연 복합감지기
KR102181889B1 (ko) 화재 및 안전을 위한 화재 및 안전을 위한 침수시 누전 방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누전 및 감전보호 방법
US3930247A (en) Open screen smoke detector and circuit
Lushaka et al. Development of a sensing device to reduce the risk from kitchen fires
CN212301815U (zh) 一种漏电检测系统及电热水器
KR101954273B1 (ko) 스마트 분전반 시스템
KR101234819B1 (ko) 직류 누전차단기
Enalume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Efficient LPG Leakage Detector
CN209149522U (zh) 烟火识别报警系统
JP2005524180A (ja) 無接点スイッチ火災警報プルステーションを作動させ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CN206531574U (zh) 一种火焰检测器
CN202403306U (zh) 电子式可燃气体泄露自动检测保护装置
JPH0240528Y2 (ko)
Wickramasinghe et al. LP Gas Leakage Alarm
KR102102097B1 (ko) 무선형 활선 경보 방법 및 장치
AU2007203107B2 (en) Improvement(s) related to particle monitors and method(s) therefor
CN208520430U (zh) 一种变电站水位预警排水装置
Siregar et al. Design FINER as a Fire Detection and Overcurrent Protection on Electrical Installation Cables
KR101179038B1 (ko) 자동 화재 감지선용 보빈의 저항값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