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962B1 -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962B1
KR101994962B1 KR1020180077462A KR20180077462A KR101994962B1 KR 101994962 B1 KR101994962 B1 KR 101994962B1 KR 1020180077462 A KR1020180077462 A KR 1020180077462A KR 20180077462 A KR20180077462 A KR 20180077462A KR 101994962 B1 KR101994962 B1 KR 101994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eldspar
wall block
light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김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씨
(주)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씨, (주)지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7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08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adding porous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4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41Aluminium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2Hollow or porous granu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16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20/002Hollow or porous granular materials
    • C04B20/0036Microsized or nanosiz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2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haloge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6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phosphorus in the anion, e.g.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8/0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 C04B38/10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 C04B38/106Porous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 ware; Preparation thereof by using foaming agents or by using mechanical means, e.g. adding preformed foam by adding preformed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멘트(Bc);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 를 각각 0.25 내지 1 : 0.75 내지 3 : 0.75 내지 2.2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은, 에너지 손실 저감, 소음 완화, 미적 기능 개선, 건축 재료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건축물의 세균 및 곰팡이 등 미생물을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서관, 미술관 및 서고 등과 같은 고가의 보관을 요하는 곳에서 적정습도 유지 및 결로에 의한 보존물 훼손 방지에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LIGHTWEIGHT WALL BLOCK USING POROUS FELDSPAR, LIGHTWEIGHT WALL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WALL BLOCK}
본 발명은 활용도가 높은 산업광물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하여 다공질 장석 분체의 높은 비표면적 증대로 인한 축열 성능에 따라 단열, 축열, 소음, 진동에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하며, 장석의 항균성과 중화작용으로 새집증후군 등을 개선하도록 하기 위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서 벽은 공간의 구축요소로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내력벽과 비내력벽으로 구분이 되어 사용된다. 내력벽은 하중을 받는 구조로 콘크리트를 사용하며, 비내력벽은 하중을 받지 않는 벽으로 벽돌, 블록, 석고보드 등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의 건축물 벽 구성을 위한 재료들은 소음, 진동, 단열성에 취약한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Sick house syndrome. SHS), 빌딩증후군(building syndrome) 등과 같은 실내 공기질 문제를 일으켜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67805호 "건축용 경량 복합 재료(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FOR CONSTRUCTION)"(특허문헌 1)는 발포유리와 경량기포콘크리트를 포함하는 경량 복합 재료로서, 상기 발포유리는 알칼리계 유리 80~99 중량부 및 발포제 1~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것이 특징인 경량 복합 재료, 상기 경량 복합 재료 제조용 조성물 및 상기 경량 복합 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70084호 "경량콘크리트 패널(LIGHT WEIGHT CONCRETE PANEL)"(특허문헌 2)은 콘크리트블록 내부에 재활용 PET재질의 병을 내설시킨 뒤, 상기 병 내부에 헬륨가스를 충진하고, 상기 콘크리트블록 내부에 몰탈을 충진함으로써 중량이 더욱 저하될 수 있는, 경량콘크리트 패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6-0039170호 "고단열 경량기포콘크리트 복합판 및 그의 제조방법(HIGH THERMAL INSULATION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COMPOSITE PANEL AND THE PRODUCING METHOD OF IT)"(특허문헌 3)은 규산칼슘 수화물로 형성되어 몰드화된 소정크기의 경량기포 콘크리트; 상기 경량기포콘크리트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단열수단을 포함하는 고단열 경량기포콘크리트 복합판을 제공한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27902호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LIGHT-WEIGHTED MORTAR COMPOSITIONS FOR REPAIRING AND REPAIR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THEREWITH)"(특허문헌 4)은 메틸셀룰로우스계 증점제의 첨가 없이도 하이벨라이트 시멘트와 아타플자이트의 혼합에 의해 속경성, 내염성 및 내구성을 구비한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4의 기술은 소음, 진동, 단열성에 취약한 단점이 있는 모르타르의 단점을 극복하지 못하고, 특허문헌 3을 제외하고는 축열 성능이 떨어져서 에너지 효율도 극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으며, 또한, 특허문헌 3은 축열 성능 향상을 위해 단열수단을 포함하나 이러한 단열수단은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천연 광물 자원을 기반으로 방습, 탈취 등 친환경적인 개선이 가능하고, 고에너지와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건축 내장재에 대한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67805호 "건축용 경량 복합 재료(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FOR CONSTRUC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70084호 "경량콘크리트 패널(LIGHT WEIGHT CONCRETE PANEL)"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6-0039170호 "고단열 경량기포콘크리트 복합판 및 그의 제조방법(HIGH THERMAL INSULATION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COMPOSITE PANEL AND THE PRODUCING METHOD OF I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27902호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LIGHT-WEIGHTED MORTAR COMPOSITIONS FOR REPAIRING AND REPAIR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THEREWITH)"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활용도가 높은 산업광물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제공하여 건축물의 내벽에 설치함으로써, 단열, 축열, 소음, 진동에 개선과 에너지 절감을 하며, 장석의 항균성과 중화작용으로 새집증후군 등을 개선하도록 하기 위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질 장석을 골재로 이용하여 시멘트와 경량 기포를 사용하여 거푸집에 자연 건조하여 탈영하는 방식으로 경량 기포의 양에 따라 밀도 조절이 가능하고, 블록의 크기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경량 기포에 의한 내부의 공극에 따라 단열성능이 우수하며, 다공질 장석의 축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멘트(Bc);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 를 각각 0.25 내지 1 : 0.75 내지 3 : 0.75 내지 2.2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시멘트(Bc)와,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장석 성분 간의 부피비는 2~5 : 5~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제 1 장석 분체(Pb1)와 제 2 장석 분체(Pb2) 간의 부피비는 1 : 0.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 0.1 중량부로 혼입되는 고화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화제는 염화나트륨 10~30 중량부, 염화칼슘 일수화물 10~25 중량부, 염화칼슘 10~25 중량부, 삼인산나트륨 5~10 중량부, 황산나트륨 5~10 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2~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6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3 중량부, 탄산칼슘 1~3 중량부, 과인산석회 1~3 중량부, 시트르산 0.1~1 중량부 및 염화철 0.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의 혼합물을 기준으로 2.3 ~ 6.3 부피%의 석고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거푸집에 사출하여 다진 후 양생 및 탈형하여 얻어지는 경량 벽체 블록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장석을 분쇄하여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를 선별하는 단계;
(2) 상기 얻어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혼합물을 450 ~ 500 ℃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단계;
(3) 시멘트, 상기 소성된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 각각 0.25 내지 1 : 0.75 내지 3 : 0.75 내지 2.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얻어지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기포를 주입하여 경량 기포 모르타르를 형성한 후 벽체 블록 제조용 거푸집에 부어서 경화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경화된 경량 벽체를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3)에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 0.1 중량부의 고화제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화제는 염화나트륨 10~30 중량부, 염화칼슘 일수화물 10~25 중량부, 염화칼슘 10~25 중량부, 삼인산나트륨 5~10 중량부, 황산나트륨 5~10 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2~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6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3 중량부, 탄산칼슘 1~3 중량부, 과인산석회 1~3 중량부, 시트르산 0.1~1 중량부 및 염화철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은, 에너지손실 저감, 소음 완화, 미적 기능 개선, 건축 재료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은, 건축물의 세균 및 곰팡이 등 미생물을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은, 도서관, 미술관 및 서고 등과 같은 고가의 보관을 요하는 곳에서 적정습도 유지 및 결로에 의한 보존물 훼손 방지에 활용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량 벽체 블록의 일 예인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광물의 표면 구조와 다공질 장석의 표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1 실험예에 따라, 제 2 장석 분체(Pb2)의 입도에 따른 본들의 압축 강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2 실험예에 따라, 시간대 별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과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을 촬영한 영상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3 실험예에 따라, 고화제 첨가 유무에 따른 표본들의 압축 강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4 실험예에 따라, 경량 벽체 블록의 밀도(DE)에 따른 압축 강도(CS)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을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기재된 '** mm'라는 치수는 '약 ** mm'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경량 벽체 블록'은 경량 기포 모르타르를 거푸집 내로 사출하여 다져 탈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큰 골재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이고 모르타르는 큰 골재 대신 모래 크기 정도의 작은 골재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이나,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경량 기포 모르타르'는, 큰 골재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와, 큰 골재를 포함하지 않고 작은 골재를 포함하는 건축 재료를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경량 벽체 블록의 일 예인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여, 일반적인 경량 벽체 블록의 일 예인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복수의 기포를 형성하는 복수의 구형 막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모래로 구성된 조성물에 소정량의 물을 배합하고 기포를 혼합하여 제작한 뒤, 경화시키는 건축용 재료로 알려져 있다. 이 경우, 기포는 전체 체적의 약 40%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그리고 경량 기포 블록의 경우, 경화 과정에서 수축으로 인해 혼입된 기포의 외곽을 이루는 부분이 깨지는 현상(소포 현상 또는 파포 현상이라 지칭됨)이 발생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의 강도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으며, 소음, 진동, 단열성에 취약할 뿐만 아니라, 새집증후군(SHS), 빌딩증후군 등과 같은 실내 공기질 문제를 일으켜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한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배합 비율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Bc)와, 시멘트(Bc)의 부피(부피%)보다 큰 부피(부피%)의 규산염광물 성분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시멘트(Bc)에 비해 인체에 이로운 규산염광물을 다량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건축 환경 조성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공질 장석 성분(제 1 장석 분체(Pb1), 제 2 장석 분체(Pb2)), 시멘트를 계량하여 배합기에 투입 과정(S100), 고화제(St) 희석 과정(S200), 교반 과정(S300), 기포 주입 과정(S400), 경량 기포 모르타르 사출 과정(S500), 다짐 과정(S600) 및 탈형 과정(S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Bc)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규산염광물 성분으로 다공질 장석 성분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규산염광물 성분은 상대적으로 큰 입도를 가진 규산염광물 골재 및 상대적으로 작은 입도를 가진 규산염광물 분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산염광물은 입경 대소 차이의 구분상, 규산염 광물 골재로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를 사용하며, 규산염광물 분말로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를 사용한다.
"입도"라 함은, 입자의 선별에 사용하는 체눈(체코)의 크기에 의해서 규정되고, 입자들의 평균 입경일 수 있다. 이때, 입경이란 입자들을 구분하는 입자의 유효지름을 의미한다.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서 물과 반응하여 입자들 간의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분말 바인더로 시멘트(Bc)를 포함하는 것이며, 제 2 장석 분체(Pb2)는 추가로 분말 바인더로 작용하기 위해 4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43~46㎛의 입도를 갖고 제공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말 바인더의 구성 요소로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이 규산염광물을 포함하면 조성물 내 시멘트(Bc)의 양을 줄일 수 있고, 시멘트(Bc)의 양이 줄어들면 시멘트(Bc) 경화시 발생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의 수축 현상을 완화시킴으로써, 종래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서 발생하는 소포 현상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일반적인 광물의 표면 구조와 다공질 장석의 표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공질 장석의 표면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면, 장석의 다공질(多孔質)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장석 내부의 공극의 빈도는 1cm3의 부피에 80,000 내지 200,000개임이 확인된다.
전자현미경의 관찰 결과 만으로도, 도 3a와 같이 장석이 아닌 일반적인 광물의 표면 구에 비해 도 3b의 다공질 장석의 표면 구조에 현저히 더 많은 공극이 관찰된다. 다공질 장석 성분을 포함하는 경량 벽체 블록은 이러한 장석의 다공질 구조 특징에 의해, 에너지 손실 저감에 따른 향상된 축열성능, 건축물의 세균 및 곰팡이 등 미생물을 제어하는데 활용하는 항균 및 탈취 성능, 소음 완화를 위한 흡음 및 차음 성능, 그리고 도서관·미술관·서고 등과 같은 고가의 보관을 요하는 곳에서 적정습도 유지 및 결로에 의한 보존물 훼손 방지 성능 등을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바인더인 시멘트(Bc)와 함께 추가 바인더로 사용되는 규산염광물 분말인 제 2 장석 분체(Pb2)는 40~50㎛의 입도인 경우, 제 2 장석 분체(Pb2)에 의해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입자들 사이의 공극률과 압축 강도를 요구치 이상으로 향상시켜 미리 설정된 이상의 결합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확인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이 다공질 장석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시멘트(Bc)의 부피 및 다공질 장석의 부피의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생성시 부피비는 2~5 : 5~8인 경우 경량 벽체 블록의 경화 과정에서 입자들 사이의 요구치 이상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규산염 광물인 다공질 장석 성분은,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의 부피와,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의 부피 배합비는 1 : 0.5~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경량 벽체 블록의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1 실험예에 따라, 제 2 장석 분체(Pb2)의 입도에 따른 본들의 압축 강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입도와 관련된 제 1 실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두 6개의 경량 벽체 블록의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즉, 공시체로 제 1 장석 분체(Pb1)의 입도는 0.2mm(±1)로 설정한 뒤, 제 2 장석 분체(Pb1)의 입도를 39 내지 48㎛로 각기 설정하고 시멘트(Bc)에 대해서 하기의 표 1과 같은 질량비 및 부피비를 갖도록 하여 경량 기포 모르타르를 사출하여 탈형함으로써,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각각 제작할 수 있다.
W/C
(%)
kg/m3 기포
(L/m3)
시멘트(Bc) 다공질 장석 고화제
0.2(±1)㎜ 44(±1)㎛
75 332 249 327 328 0.17 400
제 2 장석 분체(Pb1)의 입도에 따른 압축 강도(CS)의 측정 결과를 경량화를 위해 요구되는 설계 밀도(DE)가 1.2 내지 1.3 사이로 설정한 상태에서 실험예에서의 표본의 압축 강도(CS)가 다른 표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제 1 실험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제 2 장석 분체(Pb2)의 입도가 본 발명에 따른 범위에 경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규산염광물 골재에 해당하는 제 1 장석 분체(Pb1)는 제 2 장석 분체(Pb2)의 크기보다 큰 입도에 해당하는 0.05~0.5mm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0.3 mm이다.
이러한 입도를 갖는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 시멘트(Bc)에 대항하는 조성물에 물에 희석한 고화제를 배합 후 교반하여 경량 벽체 블록을 제조하며, 이 경우, 시멘트(Bc)는 수경성 시멘트(hydraulic cement)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경성 시멘트에는 포틀랜드 시멘트, 혼합시멘트 및 특수시멘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멘트(Bc)는 포틀랜드 시멘트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염화나트륨 10~30 중량부, 염화칼슘 일수화물 10~25 중량부, 염화칼슘 10~25 중량부, 삼인산나트륨 5~10 중량부, 황산나트륨 5~10 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2~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6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3 중량부, 탄산칼슘 1~3 중량부, 과인산석회 1~3 중량부, 시트르산 0.1~1 중량부 및 염화철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화나트륨은 혼합되는 조기 강성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며, 사용 범위는 10~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염화칼슘 일수화물은 염화칼슘에 물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성분으로서 염화칼슘과 물이 1:1의 몰(Mol)비로 결합되어 얻어진 물질이다. 상기 염화칼슘 일수화물은 수분을 적정 함량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에서 그 사용 범위는 10~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염화칼슘은 발열 반응을 촉진하여 수화 반응을 유도하는 작용을 하며, 사용 범위는 10~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삼인산나트륨은 응집 상태의 장석 미립자를 분산시켜 시멘트와의 응결 고화를 강화하는 작용을 하며, 그 사용 범위는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황산나트륨은 황화 반응을 촉진하여 조직을 치밀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 범위는 5~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리그노술폰산나트륨은 시멘트 및 장석 입자를 흡자막으로 둘러싸서 분산성과 응집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감수를 유지시켜 미립자를 응집시키고 보수성을 가져 장기 안정성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리그노술폰산나트륨은 2~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탄산수소나트륨은 조직을 치밀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 범위는 3~6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황산알루미늄은 고화를 촉진하고 강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산알루미늄은 1~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탄산칼슘은 토양의 응결을 촉진하고 수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 범위는 1~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과인산석회는 조직을 치밀하게 하고 강도 발현에 기여하며, 사용 범위는 1~3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시트르산은 장석 입자 간의 결합을 강화해 강도 발현에 기여하며, 사용 범위는 0.1~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염화철은 수화반응을 유도하여 초기 강도에 기여하며, 사용 범위는 0.1~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화제 성분들은 모두 물에 잘 녹는 성분 및 물에 대한 분산성이 좋은 성분들로서 중금속이나 기타 유해성 물질의 부산물이 생기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은 물에 쉽게 녹는 염으로 이루어진 동시에 다수의 양이온들이 장석 중의 음이온과 이온 결합하고, 음이온은 시멘트 표면에 대전된 양이온과 이온 결합함으로써 장석 입자와 시멘트 입자 사이에서 결합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 성분의 특성으로 인해 수화 작용, 고결 작용 및 수분 흡수 작용 등을 촉진하여 고결화 효과를 조기에 발현되도록 하고 강도를 증진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고화제는 염화나트륨 20 중량부, 염화칼슘 일수화물 15 중량부, 염화칼슘 15 중량부, 삼인산나트륨 8 중량부, 황산나트륨 7 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4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5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2 중량부, 탄산칼슘 2 중량부, 과인산석회 2 중량부, 시트르산 0.5 중량부 및 염화철 0.7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한 추가 구성요소로 석고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석고 분말은 석고를 잘게 부순 것으로서, 석고 분말의 입도는 규산염광물 골재의 입도보다 작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석고는 조성에 따라 결정 석고, 반수 석고, 무수 석고의 세 종류로 나누어지면, 본 실시예의 석고는 결정 석고(CaS04·2H2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석고 분말은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이 물과 배합되어 경화되는 과정에서, 시멘트(Bc)의 발열에 따라 석고가 열변화하며 물을 내보낸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서, 분말 바인더(특히, 시멘트(Bc))의 급속한 경화로 인한 수축 변형을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용량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건축 구조물은,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력벽, 비내력벽에 시공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1)을 중공부(2)를 갖도록 형성한 뒤,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동일한 조성을 갖는 경량 벽체 블록(1)이 미리 설정된 개수가 일렬로 횡으로 정렬된 상태에서 중공부(2)를 관통하도록 경량 벽체 모르타르를 채움재로 사용하고 채움재로 채워진 복수의 경량 벽체 블록(1)으로 생성된 경량 벽체 블록 층 위에 도포된 경량 기포 모르타르 층(3) 위에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 모르타르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벽(4)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단열, 축열, 소음, 진동에 개선과 장석의 항균성, 중화작용으로 새집증후군 등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경량 벽체 블록(1) 사이와 상부에 경량 기포 모르타르 층(3)을 포함함으로써, 경량 기포 모르타르 층(3)은 상하로 두께를 가지는 판형의 구조를 형성됨으로써, 다공질 장석의 축열 성능이 매우 우수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이 경화되어 형성되는 경량 기포 모르타르 층(3)의 높이의 일예로 50mm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량 벽체 블록이 건축 구조물의 벽체 부분에 사용된 것을 보여주나, 이에 제한될 필요 없이, 경량 벽체 블록은 건축 구조물의 바닥 부분이나 천장 부분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은 경량 기포 및 규산염광물 성분에 의해 공기를 함유하고 있어, 이를 건축 구조물에 활용 시, 단열 성능 및 방음 성능을 현저히 상승시키고, 비표면적의 확대로 인해 규산염광물이 양이온 치환 성능을 발휘하기 더욱 유리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공시체가 경화 과정에서 수축되거나 팽창하는데, 이 경우, 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수축 또는 팽창은 소포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건조로 인한 수축을 막기 위해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상술한 석고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나치게 많은 양의 석고 분말은 오히려 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팽창을 유발할 수 있다.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은, 시멘트(Bc) 및 다공질 장석 성분과 함께, 다공질 장석 성분의 부피에 대해 2.3 내지 6.3 부피%의 석고 분말을 더 포함함으로써, 경량 벽체 블록(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수축 및 팽창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다공질 장석 성분의 부피%(Vf)에 대한 석고 분말의 부피%(Vp)의 비율(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1
)은 2.3 내지 6.3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구를 통해 석고 량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에 따르면, 석고를 포함하지 않은 경량 기포 모르타르는 경화 과정에서 7.3%의 수축 변화를 보이고, 다공질 장석 성분의 부피에 대해 6.3 부피%의 석고 분말을 포함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서 0.1%의 팽창 변화를 보이고, 다공질 장석 성분의 부피에 대해 2.2 부피%의 석고 분말을 포함한 경량 기포 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서 수축 또는 팽창 변화가 없는 것이 확인되었다. 바람직하게, 다공질 장석 성분과 시멘트 간의 부피비는 5~8 : 2~5이며, 석고 분말은 다공질 장석 성분 전체 부피에 대해서 2.3 내지 6.3 %의 부피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단계(S100) 이전에 설정된 입도의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를 추출하는 추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출 단계에서는 장석 광물을 분쇄시키고 설정된 입도에 해당하는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를 걸러낼 수 있다.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를 소정의 소성 온도로 소성 처리하는 소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성 처리를 통해, 다공질 장석 성분 내에 잔재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단계(S100)에 따른 제 1 장석 분체(Pb1), 제 2 장석 분체(Pb2), 시멘트를 개량하여 배합기에 투입하는 과정에서 건조한 교반을 약 30초간 수행한 뒤, 단계(S200)에서 물에 고화제(St)를 녹여서 추가로 배합기에 배합한 뒤 단계(S300)의 교반 과정은 약 2분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단계(S200)의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과 물 배합에서, 시멘트(Bc)에 해당하는 바인더와 물에 대한 소정의 물/바인더비(W/B)에 따른 물(Water)을 배합하여, 경량 기포 모르타르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물/바인더비(W/B)는 중량비로서, 시멘트 바인더의 중량(B)에 대한 물의 중량(W)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표 1의 구성성분에 따른 물/바인더비(W/B)는 75%일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단계(S400)의 기포 사출 과정에서 사출된 기포와 경량 벽체 블록 전체에 대한 기포/경량 벽체 블록비(A/B)에 따른 기포를 사출하여, 경량 벽체 블록을 제조할 수 있다. 기포/경량 벽체 블록비(A/B)는 부피비로서, 기포의 부피(A)에 대한 경량 벽체 블록의 부피(V)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표 1의 구성성분에 따른 기포/경량 벽체 블록비(A/B)는 40%일 수 있다. 이러한, 물/바인더비(W/B)와 기포/경량체 블록비(A/B)에 의해 경량 벽체 블록의 밀도는 1.2로 제어될 수 있다(도 8 참조).
그리고, 단계(S200)의 고화제(St) 희석 과정에서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물과 배합 이후, 0.01~0.1 중량부에 해당하는 고화제(St)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화제(St)의 중량%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중 시멘트(Bc) 전체 100 중량부에 대한 고화제(St)의 중량부에 해당하는 비율로 0.01~0.1 중량로 설정되는 경우 경량 벽체 블록의 압축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경량 기포 콘크리트에서는 고화제가 건조 수축을 저감시켜주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기 고화제는 무기 금속염 혼합물로서, 수용액 상태로 분사되어 배합물과 혼합될 수 있다.
단계(S300)의 교반 과정 이후, 단계(S400)의 기포 주입이 수행되어 완성된 경량 기포 모르타르가 형성된 뒤 거푸집에 부어서 경량 벽체 블록의 경화(수화 반응)가 시작되도록 한다.
단계(S400)의 기포 주입 단계에서, 단계(S300)에서 교반된 배합물에 기포를 주입할 수 있다. 기포를 혼입하는 방식은, 기포발생기로 교반된 배합물에 유입시킨 기포를 배합기에 넣고 교반을 2분 가량 실시하는 방식인 이미 발생된 기포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기포제나 발포제 등의 혼화제를 단계(S300)에서 교반된 배합물에 섞어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의 내부적으로 기포가 발생하게 하는 방식도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2 실험예에 따라, 시간대 별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과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을 촬영한 영상들이다. 여기서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은 시멘트와 모래로 구성된 조성물에 물을 배합한 도 1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를 이용해 형성한 모델에 해당한다.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 및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을 시간대 별로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촬영한 영상들로,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 및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을 양생 30일 후, 경량 벽체 블록에 남아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5일간 75℃의 온수를 이용해 가열하여 건조한 후 24시간 동안 냉각하였다. 그 후, 열전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온수 공급을 위한 보일러는 3kW 용량의 전기보일러와 가온 패널을 기준동과 시험동에 각각 설치하였다. 보일러의 운전에 따른 전력량을 파악하기 위해, 단상 2선식 적산전력계를 보일러와 연결하였다. 또한, 보일러의 운전에 따른 온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기준동 및 시험동 각각의 경량 벽체 블록에 80cm 간격으로 천공한 후 온도계를 설치하고, 온도를 실시간 원격으로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일반적인 건축물에 사용하는 시멘트(Bc) 벽돌 시공 벽체와 다공질 장석을 사용한 경량 벽체 블록을 시공하여 비교한 경과, 보일러를 이용한 온수의 열을 제공하는 가온 패널의 75℃로 고정하여 1시간 간격으로 가열하여 복사열로 인한 벽체의 가열, 냉각을 촬영하였다. 전체적으로 평균 2℃의 온도가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a는 75℃의 가열을 4시간 동안 공급한 가열 과정에서의 온도 변화 결과를 보여준다. 제 2 실험예의 가열 과정은 경량 벽체 블록 표면이 9.5℃인 상황에서 시작하였다. 도 6b는 가열을 5시간 동안 중단한 냉각 과정에서의 온도 변화 결과를 보여준다. 도 6에는, 가열 과정이 진행된 구간(Heating)과 냉각 과정이 진행된 구간(Cooling)이 도시된다.
한편, 가열 15분 후, 시험동의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서 가온 패널에 인접한 부분의 온도가 기준동의 일반적인 경량 벽체 블록의 대응 부분의 온도 보다 약 2℃ 높아지는 것이 관찰된다. 가열 30 내지 40분 후, 시험동의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서 가온 패널 사이의 상당 부분의 온도와 기준동의 대응 부분의 온도의 차이가, 점차 커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가열 1시간 후,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온도와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 온도는 평균 4℃ 차이가 나는 것으로 관찰되고,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일 부분 및 최대 온도와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의 대응 부분의 온도 차이는 최대 4.8℃인 것으로 관찰된다.
가열 3시간 후,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온도는 가열 1시간 후의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의 온도와 유사했다.
가열 4시간 후,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온도와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 온도는 평균 6℃ 차이가 나는 것으로 관찰되고,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일 부분 및 최대 온도와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의 대응 부분의 온도 차이는 최대 6.8℃인 것으로 관찰된다.
만약 가열 5시간 이후에도 지속해서 기준동 및 시험동에 온수를 공급하면, 기준동 및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의 온도는 열적 평형 상태에 도달하겠으나, 기준동에서 열적 평행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이 시험동의 해당 시간에 비해 상당히 커지며, 이에 따라 기준동에서 같은 온도에 도달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더 큰 전력량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b를 참고하면, 냉각 과정에서 경량 벽체 블록은 가온 패널에서 거리가 먼 곳부터 냉각된다. 냉각 60분 후,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가온 패널 인접부와 가온 패널의 온도가 거의 같아져, 열화상 영상 내 가온 패널 내의 온수 배관의 형체가 불분명해짐이 확인된다. 냉각 2시간 및 3시간 후의 기준동의 경량 벽체 블록(Control model)의 온도는 각각 평균 18.2℃와 17.3℃가 된다. 한편, 시험동의 경량 벽체 블록(Test model)의 온도는, 기준동의 대응 온도에 비해 높음이 확인되며, 냉각 3시간 후에도 17℃ 이상의 온도가 관측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3 실험예에 따라, 고화제 첨가 유무에 따른 표본들의 압축 강도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을 참고하여, 고화제와 관련된 제 3 실험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두 6개의 경량 벽체 블록의 공시체를 제작한다.
3개의 공시체(O)는 고화제를 배합하지 않은 상태로 경화시키고, 나머지 3개의 공시체(Q)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대해 0.05%의 고화제를 배합한 상태로 경화시킨다. 여기서, 고화제의 배합 유무 외의 나머지 조건들은 상기 6개의 공시체에서 모두 동일하다.
해당 공시체를 소정의 재령 기간 동안 경화시킨 후, 압축 강도(C)를 측정한 결과, 3개의 공시체(O)의 평균적인 압축 강도(CSo)는 10.16Mpa로 측정되고, 3개의 공시체(Q)의 평균적인 압축 강도(CSq)는 16.23Mpa로 측정된다. 결과적으로, 압축 강도(CSo)와 압축 강도(CSq)는 약 1.597배의 차이(D)를 보인다.
한편, 경량 기포 모르타르(경량 벽체 블록)의 설계 밀도와 설계 부피가 정해지면, 경량 기포 모르타르에 형성되어야 할 복수의 기포의 부피가 산정될 수 있다. 경량 벽체 블록 내의 기포의 부피가 커질수록, 경량 벽체 블록의 밀도는 낮아진다.
경량 기포 모르타르의 부피 및 설계 밀도에 따른 복수의 기포의 부피 산정식의 예시는 다음의 수학식 및 설명과 같다.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2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3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4
여기서, Mmax는 기포를 제외한 조성물 전체 중량이고, Ma는 다공질 장석 성분 중량이고, Mb는 시멘트(Bc) 중량이다.
또한, Va는 다공질 장석 성분 부피이고, ρa는 다공질 장석 성분 밀도이고, Ra는 다공질 장석 성분 비율이다.
또한, Vb는 시멘트(Bc) 부피이고, ρb는 시멘트(Bc) 밀도이고, Rb는 시멘트(Bc) 비율이다.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5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6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7
여기서, X는 설계 밀도 비율이고, Vmax는 경량 벽체 블록의 부피이다. 또한, DA는 시멘트(Bc) 재료의 혼합 밀도이고, D1은 경량 벽체 블록의 설계 밀도이다. 또한, LW는 복수의 기포의 부피이다.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8
Figure 112018065704117-pat00009
Figure 112018065704117-pat00010
여기서, M1은 다공질 장석 성분 설계 중량이고, M2는 시멘트(Bc) 설계 중량이고, MF는 설계 혼합 중량이다. 상기 수학식 3은, 감소된 경량 기포의 체적 비율 X만큼 남은 재료들도 X 값의 비율로 감소시켜 배합한다는 의미가 있다.
상기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3을 통해, 경량 벽체 블록 내의 복수의 기포의 부피(LW)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경량 벽체 블록의 밀도를 1.2로 제어하기 위하여 상술한 물/바인더비(W/B)는 75%, 상술한 기포/경량 벽체 블록비(A/B)는 40%, 고화제(St)는 시멘트 중량의 0.05%로 혼입하도록 설계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에 대한 제 4 실험예에 따라, 경량 벽체 블록의 밀도(DE)에 따른 압축 강도(CS)의 측정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의 제 4 실험예를 참고하여, 경량 벽체 블록의 설계 밀도(DE)에 따른 압축 강도(CS)의 측정 결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 설계 밀도(DE)를 작게 할수록 압축 강도(CS)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요구되는 압축 강도(CS)를 만족하는 수준에서, 경량화를 위해 요구되는 설계 밀도(DE)를 정함으로써,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과정에서 혼입되는 기포의 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경량화를 위해 설계 밀도(DE)가 1.2 미만의 경우 급격하게 압축 강도(CS)가 악화되는 것으로 실험 결과가 나타났으며, 밀도(DB) 1.2 이상의 경우에는 압축 강도(CS)의 편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실험 결과가 나타났으므로, 밀도(DB) 1.2에 임계적 의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은, 에너지 손실 저감, 소음 완화, 미적 기능 개선, 건축 재료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고, 건축물의 세균 및 곰팡이 등 미생물을 제어하는데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서관, 미술관 및 서고 등과 같은 고가의 보관을 요하는 곳에서 적정습도 유지 및 결로에 의한 보존물 훼손 방지에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 경량 벽체 블록
2 : 중공부
3 : 경량 기포 모르타르 층
4 : 가이드벽

Claims (10)

  1. 시멘트(Bc);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 를 각각 0.25 내지 1 : 0.75 내지 3 : 0.75 내지 2.2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로서,
    시멘트(Bc)와,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로 이루어지는 다공질 장석 성분 간의 부피비는 2~5 : 5~8이고, 제 1 장석 분체(Pb1)와 제 2 장석 분체(Pb2) 간의 부피비는 1 : 0.5~2이며,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 0.1 중량부로 혼입되는 고화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화제는 염화나트륨 10~30 중량부, 염화칼슘 일수화물 10~25 중량부, 염화칼슘 10~25 중량부, 삼인산나트륨 5~10 중량부, 황산나트륨 5~10 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2~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6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3 중량부, 탄산칼슘 1~3 중량부, 과인산석회 1~3 중량부, 시트르산 0.1~1 중량부 및 염화철 0.1~2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화제는 물에 녹는 염으로 구성되되, 상기 염의 양이온은 장석 중의 음이온과 이온 결합하고 음이온은 시멘트 표면에 대전된 양이온과 이온 결합함으로써 장석 입자와 시멘트 입자 사이에서 결합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의 혼합물을 기준으로 2.3 ~ 6.3 부피%의 석고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따른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거푸집에 사출하여 다진 후 양생 및 탈형하여 얻어지는 경량 벽체 블록.
  8. (1) 장석을 분쇄하여 0.05~0.5mm의 입도를 가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40~50㎛의 입도를 가진 제 2 장석 분체(Pb2)를 선별하는 단계;
    (2) 상기 얻어진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혼합물을 450 ~ 500 ℃의 온도에서 소성하는 단계;
    (3) 시멘트, 상기 소성된 제 1 장석 분체(Pb1) 및 제 2 장석 분체(Pb2) 각각 0.25 내지 1 : 0.75 내지 3 : 0.75 내지 2.2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4) 상기 얻어지는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에 기포를 주입하여 경량 기포 모르타르를 형성한 후 벽체 블록 제조용 거푸집에 부어서 경화시키는 단계; 및
    (5) 상기 경화된 경량 벽체를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3)에서 상기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 0.1 중량부의 고화제를 추가로 혼합하되, 상기 고화제는 염화나트륨 10~30 중량부, 염화칼슘 일수화물 10~25 중량부, 염화칼슘 10~25 중량부, 삼인산나트륨 5~10 중량부, 황산나트륨 5~10 중량부, 리그노술폰산나트륨 2~5 중량부, 탄산수소나트륨 3~6 중량부, 황산알루미늄 1~3 중량부, 탄산칼슘 1~3 중량부, 과인산석회 1~3 중량부, 시트르산 0.1~1 중량부 및 염화철 0.1~2 중량부를 혼합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하고, 상기 고화제는 물에 녹는 염으로 구성되되, 상기 염의 양이온은 장석 중의 음이온과 이온 결합하고 음이온은 시멘트 표면에 대전된 양이온과 이온 결합함으로써 장석 입자와 시멘트 입자 사이에서 결합을 매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77462A 2018-07-04 2018-07-04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KR101994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62A KR101994962B1 (ko) 2018-07-04 2018-07-04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462A KR101994962B1 (ko) 2018-07-04 2018-07-04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962B1 true KR101994962B1 (ko) 2019-07-02

Family

ID=6725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462A KR101994962B1 (ko) 2018-07-04 2018-07-04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9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82B1 (ko) * 2019-11-26 2020-12-07 김진열 실내외 벽면 장식용 조형패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02B1 (ko) * 1998-12-21 2001-10-17 정순착 장석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0502B1 (ko) * 1998-12-21 2001-10-17 정순착 장석을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성욱 외. 다공석 장석으로 제조한 축열층의 열전도 특성.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7년 4월 30일, 제50권, 제2호, 제159면 내지 제170면. 사본 1부.*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1996-0039170호 "고단열 경량기포콘크리트 복합판 및 그의 제조방법(HIGH THERMAL INSULATION LIGHT-WEIGHT AERATED CONCRETE COMPOSITE PANEL AND THE PRODUCING METHOD OF I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67805호 "건축용 경량 복합 재료(LIGHTWEIGHT COMPOSITE MATERIAL FOR CONSTRUCTION)"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6-0170084호 "경량콘크리트 패널(LIGHT WEIGHT CONCRETE PANEL)"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127902호 "경량 모르타르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수공법(LIGHT-WEIGHTED MORTAR COMPOSITIONS FOR REPAIRING AND REPAIR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THEREWIT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082B1 (ko) * 2019-11-26 2020-12-07 김진열 실내외 벽면 장식용 조형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700B1 (ko) 단열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판넬의 제조방법 및 블록의 제조방법
US20160083295A1 (en) Thermally Insulating Aerogel Based Rendering Materials
KR101737811B1 (ko) 내화성 및 우수한 단열 성능을 가진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기질 발포 모르타르의 보수공법
CN105669101A (zh) 气凝胶复合材料及其制造和使用方法
ES2866998T3 (es) Cuerpos moldeados de hormigón celular con capa superior y/o capa inferior
CN105541386B (zh) 一种混凝土加气保温砖及其制备方法
US6368527B1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foamed perlite material
CN107108365A (zh) 耐火的基于硫酸钙的产品
KR101994962B1 (ko) 다공질 장석을 이용한 경량 벽체 블록 제조용 모르타르 조성물, 경량 벽체 블록, 및 경량 벽체 블록의 제조 방법
ES2880392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ieza moldeada a partir de una mezcla seca con partículas de grafito y pieza moldeada así fabricada
KR101155861B1 (ko) 콘크리트관 및 콘크리트추진관용 폴리머 시멘트계 마감코팅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관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추진관의 제조방법
KR100723929B1 (ko)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KR101164580B1 (ko) 단열, 내수성, 내화성을 가지는 초경량 실리카 에어로겔 시멘트 몰탈의 제조방법
KR20190027994A (ko) 방수형 기포콘크리트 블록의 습식 제조방법
US10988413B2 (en) Calcium sulphate-based products
KR101994961B1 (ko) 다공성 장석을 이용한 충전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57594B1 (ko) 물유리를 소재로 한 다공성 경량보드
KR10164207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토양 조성물
KR101935320B1 (ko) 장석 모르타르 제조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한 난방용 바닥, 상기 장석 모르타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35319B1 (ko) 경량 건축 재료 제조용 조성물, 경량 건축 재료, 및 경량 건축 재료의 제조방법
JP2017057105A (ja) 調湿用セメント質硬化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硬化体
KR100547954B1 (ko) 불연, 단열, 보온, 흡 . 차음 기능을 갖는 기포 콘크리트몰타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162455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нобетона на магнезиальном вяжущем
KR20190129606A (ko) 경량 온돌 패널용 무기질 조성물,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온돌 패널 제조방법, 온돌 패널 및 그 온돌 패널을 이용한 온수 난방시스템
PL236977B1 (pl) Sposób wytwarzania betonowych kształtek budowlanych metodą wibrowania lub wibroprasowan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